KR920003635B1 - 앵커드릴기구(Anchor drilling implement) - Google Patents

앵커드릴기구(Anchor drilling impl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635B1
KR920003635B1 KR1019890007902A KR890007902A KR920003635B1 KR 920003635 B1 KR920003635 B1 KR 920003635B1 KR 1019890007902 A KR1019890007902 A KR 1019890007902A KR 890007902 A KR890007902 A KR 890007902A KR 920003635 B1 KR920003635 B1 KR 920003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support
mounting
anchor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565A (ko
Inventor
요한 하버러
Original Assignee
바우어 스페찌알티프바우 게엠베하
만프레드 쉬톡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우어 스페찌알티프바우 게엠베하, 만프레드 쉬톡커 filed Critical 바우어 스페찌알티프바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00000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29/00Propulsion of machines for slitting or completely freeing the mineral from the seam
    • E21C29/22Propulsion of machines for slitting or completely freeing the mineral from the seam by wheels, endless trac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0/00Setting anchoring-bolts
    • E21D20/003Machines for drilling anchor holes and setting anchor bolts
    • E21D20/006Machines for drilling anchor holes and setting anchor bolts having magazines for storing and feeding anchoring-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5Rock drills, i.e. jumbo d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Dowels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앵커드릴기구(Anchor drilling implement)
제 1 도는 앵커드릴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따른 앵커드릴기구의 드릴탑재대(mount)를 A-B선에 따란 도시한 개략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따른 앵커드릴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앵커드릴기구 11 : 드릴운반차
12 : 무한궤도기어 13 : 턴테이블, 회전링
14 : 드릴탑재기구상부 16 : 운전실
17 : 지지대(support) 18 : 드릴탑재대(mount)
19 : 미끄럼캐리지 20 : 드릴구동기(drilling drive)
21 : 탑재지지대 22 : 드릴공구부
24 : 수압실린더 26 : 공구매거진(tool magazine)
27 : 공구파이프 28 : U형 탑재지지대
29 : U형 탑재지지대 30 : 후부탑재지지대
31 : 공구파이프 32 : 고정조우
33 : 수압실린더 34 : 푸시로드
37 : 캐리어암 38 : 포오크
39 : 상부포크암 40 : 하부포크암
43 : 강철레일
본 발명은 독립항의 서두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드릴운반차(drill carriage)와, 흙속에 로드앵커(load anchor)를 삽입하기 위해 운반차에 드릴탑재대(mount)를 포함한 앵커드릴기구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건설공사에서 주어진 각도범위로 칸막이나 외벽을 고정하는데 로드앵커(load anchor)가 사용된다. 앵커는 흙속에서 삽입되어 쌓아올린 흙속을 압박함으로써 고정된다. 시팅(sheeting) 동안 평방미터당 유리한 가격을 얻기 위해 긴로드앵커(load anchor)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전에는 주로 직경 70 내지 76mm의 드릴공구를 필요로하는 26mm 및 32mm의 직경을 갖는 싱글로드 앵커(single road anchor)가 시트(sheet)된 반면 오늘날에는 133mm이상의 직경을 갖는 드릴공구가, 빈번히 요구되는 조여주는 앵커용으로 사용된다.
경제적인 면과 드릴링 때문에 두 장치로 동시에 작업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코어비트(core bit)를 갖는 내부공구는 알려진 드릴방법을 사용할 때 생기는 파이프 구멍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건축장소에서 사용될때 주위환경에서 앵크드릴기구를 조작하고 드릴공구를 교체하는데 상당한 육체적 노력이 필요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이 간단하고 전환시간이 감소되는 반면 동시에 무거운 앵커드릴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전기(前記)한 형식의 앵커드릴기구를 준비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적인 부분에 의해 해결되며 본 발명은 종속항에서 더욱 설명된다.
본 발명은 상당한 힘이 드릴탑재대로부터 지지대를 경유하여 공구의 회전상단부에 전달되어, 드릴공구 혼자 드릴작업하는 동안, 드릴링, 그라우팅(grouting) 및 잡아 뽑는 작업(pulling-out)을 포함하여 앵커드릴기구의 조작과 감시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작업자는 드릴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여 드릴위치와 드릴 끈을 가장 잘 볼수 있다.
드릴탑재대의 위치를 지나 드릴칩이 자유롭게 떨어져 기계부품들과 접촉하지 않는다. 자동화된 공구의 설치와 해체 및 착탈로 수작업이 불필요하고 상대적으로 큰 직경, 즉 최고(176mm와 최고 6m의 길이를 갖는 공구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것 때문에 드릴작업의 진보와 드릴작업의 중단시간을 줄이고, 과중한 육체적인 힘이 필요치 않게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과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에서와 같이 앵커드릴기구(10)는 무한궤도기어(12)를 장치한 드릴운반차(11)를 포함하며, 드릴운반차(11)위에 드릴탑재기구상부(14)가 회전링 또는 턴테이블(13)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다. 드릴 운반차(11)는 구동장치(15), 밀폐된 운전실(16)에 의해 둘러싸인 드릴작업자용 조작위치와 턴테이블(13)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된 드릴탑재대(18)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17)를 포함한다. 드릴탑재대(18)는 미끄럼캐리지(19)에 피봇설치되며, 미끄럼캐리지(19)는 지지대(19)위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안내된다.
드릴탑재대(18)는 드릴구동기(20) 및 전부(前部) 탑재지지대(21)와, 도시되지 않은 드릴 또는 드릴공구가 드릴작업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조우(32)를 포함한다.
도면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드릴작업위치에 있는 드릴 또는 드릴 공구용 후부탑재지지대는 도시되지 않는다. 제 1 도에서 드릴공구부(22)는 탑재지지대(21) 또는 드릴탑재대(18)를 지나서 드릴방향으로 작동되며, 화살표 방향을 따라 바깥쪽과 안쪽으로 이동하여 축을 박거나 뽑는다. 드릴공구는 드릴위치에 있는 드릴탑재대(18)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다. 지지대(17)는 드릴운반차(11)의 이동방향쪽 전부에 설치되며 그래서 드릴탑재대(18)가 도면의 자유공간에 있는 지지대(17)와 무한궤도기어(12)의 상부면에 피봇될 수 있다.
그러므로 드릴탑재대(18)는 임의의 경사각도로 피봇될 수 있다. 드릴지점용 수준기는 미끄럼캐리지(19)의 세로방향변위에 의해 고정된다. 지지대는 횡방향으로 보강된 2개의 강철레일(43)로 구성된 드릴 탑재대(18)는 드릴탑재대(18)의 후부와 미끄럼캐리지(19)의 정상에 있는 아암(25) 사이에 설치된 수압실린더(24)에 의해 수압적으로 피봇되며, 역시 수압에 의해 수직으로 조절된다.
드릴탑재대(18) 역시 서너개의 공구파이프(27)를 장입할 수 있고, 수압으로 작동되는 공구매거진(tool magazine)을 포함하며, 공구파이프(27)는 예시된 바와같이 도면의 평면에 대해 직각인 횡렬로 배열된다. 따라서 첫번째 공구 파이프만 보이며, 나머지는 보이지 않는다. 공구 매거진(26)에 장입된 공구파이프(27)내에 있으며, 드릴위치에 있는 드릴공구부(22)의 연장선상에 있는 드릴공구는 보이지 않는다.
공구매거진(26)은 거의 비슷한 2개의 U형 탑재지지대(28, 29)로 구성되며, U형 탑재지지대(28, 29)는 공구매거진(26) 역시 어느방향으로도 선회할 수 있고 드릴탑재대(18)의 수직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방식으로 도면의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드릴탑재대(18)에 고정된다. 그래서 드릴탑재대(18)의 어떤위치에서도 반복된 착탈이 보장된다.
제 2 도는 드릴탑재대(18)와 공구매거진(26)의 A-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드릴탑재대(18)는 강철캐리어(36)으로 구성되며, 그 하면에 드릴위치에 있는 공구파이프(31)를 고정하는 후부탑재지지대(30)가 착설된다. 공구파이프(31)는 후부탑재지지대(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2개의 조우(32)에 의해 견지된다. 공구매거진(26)에 대한 일련의 상세한 서술은 제 1 도의 탑재지지대(28)와 동일한 탑재지지대(29)와 관련된다. 드릴탑재대(18)의 정상에 드릴탑재대(18)의 길이방향축에 대해 직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수압실린더(33)가 설치되며 수압실린더(33)에 의해 푸시로드(34)는 화살표(35) 방향과 같은 길이방향으로 변위된다. 푸시로드(34)의 자유단에 캐리어암(37)이 설치되고 그 자유단에 공구파이프(27)를 내장할 수 있는 포크(38)가 설치된다.
포크(38)는 공구파이프(27)를 위해 길이방향 매거진의 역할을 하며, 공구파이프(27)는 푸시로드(34)에 평행한 상부포크암(39)과 하부포크암(40)사이에 나란히 떨어져 있는 방법으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은 공구파이프 각각과 접촉되는 수압실린더(41)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수압실린더(41)는 하부포크암(40)위에 설치되고, 공구파이프(27)는 하부포크암(40)위 수압실린더(41)의 자유단 위에 있는 고정조우(42)에 의해 압압된다. 상기와 같은 압축력에 의해 공구파이프(27)는 드릴탑재대(18)의 어떤위치에서도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공구를 바꿀때에는 포크(38)는 포크(38)내의 공구파이프(27)가 어떤 위치에 놓이도록 푸시로드(34)의 길이방향운동에 의해 드릴탑재대(18) 아래 위치로 움직이며 공구파이프(27)는 드릴공구부(22)(제 1 도)로 나사죄임될 수 있거나 드릴공구부(22)로부터 나사풀림될 수 있다.
특정한 수압실린더(41)를 개방함으로써 포크(38)내로의 삽입이나 분리가 즉시 가능하다. 나사죄임(screwing)은 수압으로 작동되는 고정조우(32)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며 운전실(16)로부터 조절된다.
이해하기 쉬운 도면을 만들기 위해 구동장치(15)로 부터 각각의 수압실린더로의 모든 연결라인은 도시되지 않았다.
제 3 도에 따른 앵커드릴기구(10)의 평면도로부터 운전실(16)은 축이나 드릴구멍에 접하는 드릴탑재대(18)의 지역에 바로 인접해 있으며, 드릴운반차(11)의 이동방향 전면끝에 있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그의 시계(視界)내로 드릴과정동안 모든 필수장치와 드릴구멍을 포착하게 된다. 운전실(16)내의 모든 제어장치는 인체공학적으로 배치되었기 때문에 앵커드릴기구(10)는 한 사람에 의해서 확실히 제어 될수 있다.
지지대(17)와 드릴탑재대(18)는 충분히 큰 자유공간을 가지고 이동하는 무한궤도기어(12)의 상부끝에 설치된다. 그래서 드릴탑재대(18)의 자유로운 선회가 가능하다. 이 중요한 발명의 결과로 어떤 회전위치에서 무한궤도기어 위에 설치된 기구의 상부가 화살표(44)와 같이 회전운동을 하는동안, 드릴탑재대(18)의 자유로운 선회가 가능하도록 충분한 자유공간이 확보된다.
지지대(17)가 직접 드릴탑재기구상부(14)에 고정되므로 지지대(17)는 매우 큰 힘을 흡수할 수 있다. 특히 지지대(17)가 관절(關節)로 연결되지 않고 탑재기구상부(14)에 나사결합이나 용접에 의해 고정되면 드릴탑재대(18)가 선회하는 동안 자유도(degree of freedom)에 관한 상당한 제한없이 큰 힘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운전실(16) 역시 기구상부의 어떤 회전위치인 드릴 구멍으로부터 최적의 거리에 있다.
앵크드릴기구의 중심을 향해 약간의 배경사를 갖는 지지대(17)를 준비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것이 중량변위를 위해 수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드릴탑재대(18)를 기구(10)의 중심으로 이동하게 한다. 그래서 앵크드릴기구(10)의 확실한 안정성이 보장된다.

Claims (2)

  1. 드릴운반차와, 드릴운반차에 설치되고 흙속에 로드앵커(load anchor)를 삽입하기 위해 수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드릴탑재용 레일로 조립되는 지지대로 구성되고 드릴운반차(11)는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드릴탑재기구상부(14)를 포함하며, 지지대(17)는 하나의 암으로 조립되고 드릴탑재기구상부(14)위에 직접 설치되고, 드릴탑재기구상부(14) 역시 지지대(17)와 횡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한 운전실(16)을 수반하며, 지지대(17)는 무한궤도기어(12)를 지나 돌출되게 설치되고, 드릴탑재대(18)의 자유로운 선회가 자유공간에서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드릴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공구매거진(26)은 드릴탑재대(18)에 설치되고 운전실(16)의 제어로 수압으로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드릴기구.
KR1019890007902A 1988-06-08 1989-06-08 앵커드릴기구(Anchor drilling implement) KR920003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819537.2 1988-06-08
DE3819537A DE3819537A1 (de) 1988-06-08 1988-06-08 Ankerbohrgera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565A KR900000565A (ko) 1990-01-30
KR920003635B1 true KR920003635B1 (ko) 1992-05-04

Family

ID=6356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902A KR920003635B1 (ko) 1988-06-08 1989-06-08 앵커드릴기구(Anchor drilling implement)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018588A (ko)
EP (1) EP0345650B1 (ko)
JP (1) JPH0235188A (ko)
KR (1) KR920003635B1 (ko)
AT (1) ATE79153T1 (ko)
AU (1) AU611034B2 (ko)
DE (2) DE3819537A1 (ko)
NO (1) NO892187L (ko)
PT (1) PT907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30525A1 (de) * 1990-09-27 1992-04-09 Salzgitter Maschinenbau Gestaengemagazin fuer eine gesteinsbohrmaschine
BE1004106A3 (nl) * 1990-12-20 1992-09-22 Franco Gerard & Zonen B V B A Behandelingsinrichting voor langwerpige voorwerpen zoals buizen, bij het uitvoeren van boorwerken.
CA2067697C (en) * 1992-04-30 2005-12-20 Ronald S. Sorokan Tubular handling system
FI93256C (fi) * 1993-06-21 1995-03-10 Tamrock Oy Laitteisto poratankojen käsittelemiseksi
US5423390A (en) * 1993-10-12 1995-06-13 Dreco, Inc. Pipe racker assembly
DE9408941U1 (de) * 1994-06-01 1995-02-23 Klemm Bohrtech Haltevorrichtung zum Abstützen von Bohrrohren
US6085852A (en) 1995-02-22 2000-07-11 The Charles Machine Works, Inc. Pipe handling device
DE19528620A1 (de) * 1995-08-04 1997-02-06 Tracto Technik Erdbohrgerät
DE19610883A1 (de) * 1996-03-20 1997-09-25 Tracto Technik Bohrgestängemagazin
EP0819820A1 (de) * 1996-07-19 1998-01-21 Doll Fahrzeugbau Gmbh Horizontalbohrgerät
US6213851B1 (en) 1998-07-07 2001-04-10 Delta International Machinery Corp. Abrading apparatus
DE19837692C2 (de) 1998-08-19 2003-04-03 Bentec Gmbh Drilling & Oilfield Systems Bohrvorrichtung, Bohranlage und Verfahren zum Abteufen einer Explorations- und Förderbohrung
US6283702B1 (en) * 1999-02-17 2001-09-04 Inco Limited Drill rod loader
US7431105B2 (en) * 2006-07-25 2008-10-07 Stevens Joseph W Geothermal heat loop installation
US7748471B2 (en) * 2007-07-06 2010-07-06 Southeast Directional Drilling, Llc Mobile self-erecting directional drilling rig apparatus
DE202008006571U1 (de) 2008-05-14 2008-07-31 Heiss, Josef Mobiles Erdbohrgerät
ES2367492B1 (es) * 2008-11-13 2012-08-03 Perforaciones Y Voladuras, S.A. Máquina perforadora autónoma.
CN101871319B (zh) * 2010-06-30 2013-10-02 中煤科工集团重庆研究院 煤矿用双履带钻机
CN103702920B (zh) * 2011-05-26 2016-04-27 勒瓦利工业公司 组装或拆分管道的附件
CN104912484B (zh) * 2015-04-21 2017-03-15 王发秀 煤矿用全自动锚杆钻车
DE102018204348A1 (de) * 2018-02-23 2019-08-29 Hakan Demir Erdbohrgerät
DE202019101322U1 (de) * 2019-03-08 2019-04-01 Wilfried Dekena Horizontalbohranlage
CN114046166B (zh) * 2022-01-13 2022-03-25 太原理工大学 一种推拉式大容量全自动锚杆钻机
CN114837573B (zh) * 2022-07-06 2022-10-28 陕西中煤新能源有限公司 一种钻头导向调节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96159A (en) * 1966-10-07 1970-06-24 Atlas Copco Ab Improvements in Drilling Machines
US4022284A (en) * 1975-03-17 1977-05-10 Dresser Industries, Inc. Automatic alignment system for earth boring rig
US4258796A (en) * 1978-07-31 1981-03-31 The Salem Tool Company Earth drilling apparatus
US4312413A (en) * 1978-11-09 1982-01-26 Loftis James B Drilling apparatus
AU535127B2 (en) * 1979-09-18 1984-03-01 Ogimachi Pty Ltd Drill rig
AT382682B (de) * 1983-04-07 1987-03-25 Ver Edelstahlwerke Ag Vorrichtung zum bohren
GB2169334B (en) * 1984-11-08 1988-01-20 Ming Luen Lam A drilling and/or lifting machine
CN1008382B (zh) * 1984-11-08 1990-06-13 林明鸾 打桩、拔桩和/或钻孔机
US4645084A (en) * 1985-02-21 1987-02-24 Construction Robotics, Inc. Robot a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45650B1 (de) 1992-08-05
DE58901974D1 (de) 1992-09-10
JPH0235188A (ja) 1990-02-05
EP0345650A3 (en) 1990-03-07
AU611034B2 (en) 1991-05-30
PT90779B (pt) 1994-02-28
NO892187L (no) 1989-12-11
KR900000565A (ko) 1990-01-30
EP0345650A2 (de) 1989-12-13
US5018588A (en) 1991-05-28
PT90779A (pt) 1989-12-29
AU3616089A (en) 1990-07-19
ATE79153T1 (de) 1992-08-15
DE3819537A1 (de) 1989-12-14
DE3819537C2 (ko) 1990-08-30
NO892187D0 (no) 198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635B1 (ko) 앵커드릴기구(Anchor drilling implement)
AU2004231158B2 (en) Drilling and bolting head for a bolting machine
US5709276A (en) Multi-position directional drill
US5431234A (en) Ground-drilling device
RU224041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мены бурильного элемента в установке бурения скального грунта
CN2232485Y (zh) 掘进机机载锚杆钻机
SU1389690A3 (ru) Способ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 бурильной установки относительно плоскости бурени скважин,которые бур т в стенках туннел ,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US4711604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 anchor member below water level through a wall into a soil formation
JP3934637B2 (ja) 土壌中に掘削エレメントを挿入する装置及び方法
CN1095920C (zh) 用于钻孔设备的悬臂装置
JP2918431B2 (ja) 法面の削孔装置
EP0846216B1 (en) Multi-linked working boom for working machine
JP2596411B2 (ja) 道床プロファイラー
CN215672029U (zh) 一种深埋涵管中心水沟施工设备
SU1078078A1 (ru) Стволова буропогрузочна машина
CN220226876U (zh) 一种用于凿岩机械的平行移动机构
SU1153058A1 (ru) Горный комбайн
CN220726196U (zh) 一种多自由度滑移式机载多功能钻机
CN220791152U (zh) 一种煤矿坑道用架柱式钻机
JP3065540B2 (ja) ガイドセル姿勢保持装置を備えた削孔機
JP5342349B2 (ja) 小口径推進機およびこれを用いた丸穴工法での非開削方法
JP2922102B2 (ja) 法面の削孔装置
SU1097788A1 (ru) Проходческий комбайн
US4838362A (en) Apparatus for manipulating a tool
KR200348664Y1 (ko) 굴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5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