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092Y1 -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 Google Patents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092Y1
KR920003092Y1 KR2019890004593U KR890004593U KR920003092Y1 KR 920003092 Y1 KR920003092 Y1 KR 920003092Y1 KR 2019890004593 U KR2019890004593 U KR 2019890004593U KR 890004593 U KR890004593 U KR 890004593U KR 920003092 Y1 KR920003092 Y1 KR 9200030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landscaping
rainwater
slope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4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809U (ko
Inventor
이근희
Original Assignee
이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희 filed Critical 이근희
Priority to KR2019890004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092Y1/ko
Publication of KR9000188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8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0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써, 제1도는 조경 상태도.
제2도는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블록부재와 연결부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제4도는 제3도 A-A 선의 단면도.
제5도는 제3도 B-B 선의 단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써, 제6도는 연결부재의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설치상태 단면도.
제8도 내지 제11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8도 및 제9도는 조경블록을 사각 또는 마름모형으로 조경시킨 상태도.
제10도는 연결부재의 사시도.
제11도는 또 다른 연결부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경블록 2 : 블록부재
3 : 상, 하부연결부재 7 : 단부
8 : 안내홈 9 : 배수공
14 : 배수공 16a, 16b : 단부
본 고안은 토목공사에 있어서 비탈면의 절취면과 상토면이 빗물에 유실되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법면상에 시공하는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에 관한 것이며, 특히 비탈면상으로 흘러내리는 빗물을 집수현상 없이 자연분산 배수되게 하여 비탈면의 쇄굴, 유실, 붕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탈면 조경에 있어서는 대부분 콘크리트 블록을 격자상으로 조립시공하고, 블록사이의 토사층에는 잔디, 초목을 심는 방법이 널리 시행되어 왔는데, 이는 콘크리트 블록의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시공상 불편하고 시공후에도 막대한 블록의 자체중량 때문에 슬라이딩 현상이 생기는 등 시공후의 하자도 자주 발생하였으며, 비탈면의 최대 경사선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콘크리트 블록 하단부위의 토사층이 빗물의 집수 및 낙차 현상으로 빚어지는 침식작용 때문에 쇄굴 또는 유실되는 현상이 나타나 소경후의 미관을 해치게 됨은 물론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이러한 경향이 누적되면 블록과 초목 마저 유실되는 보다 심각한 문제점이 나타나기 마련이었다.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는 조경블록을 합성수지로 제조하여 경량화와 함께 시공성을 높이고, 또한 조경블록의 측면에 다수의 배수공을 천공하여 빗물이 흘러내릴 때 하방으로 접수되는 빗물이 그 배수공을 통해 배수되게 한 것이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도 복토층의 함수비가 높아지면 부재측면의 배수공으로 빗물이 모여서 배수되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비탈면 하방으로 갈수록 집수현상이 두드러져 블록내부의 복토층 전체가 유실 또는 쇄굴되므로서 상기 종래의 결점을 완벽하리만치 보완할 수 있는 것은 되지 못했다.
따라서, 본출원인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미 선출원 공고(특허공고 제87-1863호)된 바 있는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을 구조적으로 더욱 개량하여 효과면에서 종래의 그 어떤 조경블럭에서도 감히 기대할 수 없던 신규한 조경블록의 완성을 보고 본 고안을 제안하기에 이른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은 한쌍의 상, 하 연결부재와 블록부재에 배수공 다수를 위에서 아래쪽으로 향하게 천공하여 비탈면의 빗물이 복토부를 거치지 않고 토사층으로 자연분산 배수되게 함으로써 복토부의 함수비를 저하시켜 비탈면의 쇄굴, 유실, 붕괴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로서, 합성수지제 조경블록(1)은 블록부재(2)와 연결부재(3)로 구성된다. 상기 블록부재(2)의 양끝에는 위에서 보면 6각형이면서도 T자형인 연결돌기(4)가 일체상으로 튀어나오게 형성되어 있고, 측단면이 사다리꼴을 이룬 일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의 면보강용 종돌기(5)를 돌출시켜 저면의 접지부(6)와 일체로 연결하고 있다.
또한, 상기 면의 위끝은 길이방향으로 단부(7)를 이루며, 이 단부(7)의 안쪽에는 안내홈(8)이 형성돼 있고 이 안내홈(8)의 바닥면에는 일정간격마다 수직으로 관통한 배수공(9)이 다수 천공되어 있다.
상기 연결돌기(4)는 측단면의 높이보다도 작은 칫수의 간격부(10)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재(3)는 위 아래부재로 나뉘며 상호 동일한 구조를 가졌으므로 동일 부호를 매겨 설명한다.
상기 연결부재(3)는 전체적으로 본 평면모양이 6각형이며, 120도 간격마다 방사방향의 원심측 외면 중앙이 개방된 T자형 연결홈(11)이 형성되어 간격부(12)를 이루고, 상기 연결홈(11)의 협지면 바깥 모서리는 면취하여 경사면(13)을 갖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홈(11) 사이마다 120도 간격으로 평면모양이 대략 삼각형인 배수공(14)을 수직으로 관통시키고, 한복판에는 고정구멍(15)을 역시 수직으로 관통시켜 위 아래 연결부재(3)를 지상에 설치할 때 못박음으로 연결부재간의 결합안정성을 도모한다.
제6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부재(3)의 배수공(14)의 상, 하단에 각각 안내단부(16a), (16b)를 추가 형성하는 것이다.
또, 제10도 및 제11도는 제2도 및 제5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연결부재(3)의 형상을 8각형으로 구성하여 조경블록(1)을 사각 또는 마름모꼴이 되도록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오직 조경블록을 시공한 후의 겉모습만 약간 달리 보일 뿐 그 밖의 실시효과는 한결같이 동등하므로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경블록을 시공함에 있어서, 비탈면 토사층(17)상에 다수의 블록부재(2)가 6각형을 이루도록 상호 접하게 배치하고 이어서 제3도 및 제4도와 같이 서로 인접한 각 블록부재(2)끼리 상, 하 연결부재(3)로 연결한다. 즉, 각 블록부재(2)의 양끝에 돌출된 연결돌기(4)를 하부 연결부재(3)의 연결홈(11)에 끼워 맞추고 블록부재(2)의 하부측 간격부(10)를 하부 연결부재(3)의 간격부(12)와 일치시켜 블록부재(2)와 하부 연결부재(3)의 밑면을 일치시킨다.
이어서, 상부 연결부재(3)의 연결홈(11)이 각 블록부재(2)의 연결돌기(4)에 일치되도록 하부 연결부재(3)와는 반대로 설치한다.
이때, 블록부재(2)의 상부측 간격부(10)가 상부 연결부재(3)의 간격부(12)와 일치되게 하므로서 블록부재(2)와 상부 연결부재(3)의 평면을 일치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상, 하 연결부재(3)의 배수공(14)은 서로 연달아 통한 상태가 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런 다음에는 상, 하 연결부재(3)의 고정구멍(15)에 고정핀(18)을 끼우고 토사층(17)에 깊이 때려박아서 각 블록부재(2)를 고정한다.
이같은 시공방법으로 각 블록부재(2)와 상, 하 연결부재(3)를 조립한 다음에 복토(19)하고 잔디(20)를 심으면 조경이 완료된다.
이때, 잔디(20)은 각 블록부재(2)의 단부(8)에 위치하도록 심는다.
이렇게 시공한 뒤에 비가 내리면 잔디(20) 표면에 떨어지는 빗물은 잔디(20)와 복토(19)를 거쳐 토사층(17)으로 스며들게 되지만, 이때 미처 스며들지 못한 빗물은 제1도 및 제3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흘러내려 상, 하 연결부재(3)의 배수공(14)으로 유도되고, 배수공(14)으로 유도된 빗물은 토사층(17)으로 다시 스며들게 인도된다.
그러나, 잔디(20)로 스며든 빗물이 복토(19)와 토사층(17)으로 스며들지 못했을 때에는 블록부재(2)와 안내 홈(8)으로 유도되어 안내홈(8)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9)을 배수되므로 토사층(17)으로 저절로 스며 들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다량의 빗물을 토사층으로 직접 분산배수함으로써 비탈면 하방 복토부의 함수비가 감소되는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오고 그래서 종래와 같이 빗물에 의해 빚어졌던 쇄굴, 붕괴, 유실현상이 효과좋게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 하 연결부재(3)의 연결홈(11)에 V자형 경사면(13)을 형성하고 블록부재(2)의 연결돌기(4)를 6각형으로 형성한 것은 블록부재(2)가 상기 연결홈(11) 내에서 유동성을 갖게함에 따라 시공할 때 약간의 각도변경이 생기더라도 쉬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시공 능력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제6도 및 제7도와 같이 상, 하 연결부재(3)를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조립시공하면 상, 하단과 중간에 형성된 안내단부(16a), (16b)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배수구멍이 형성되므로 상단으로는 잔디(20)의 표면으로 흐르는 빗물이 접수돼 배수공(14)으로 배수되고, 복토(19)로 스며든 빗물이 토사층(17)으로 미처 스며들지 못한 경우에는 상, 하 연결부재(3)가 조립되어 이루는 중간부위의 배수구멍으로 집수하여 배수공(14)으로 배수토록하므로서 복토(19)로 스며든 후 토사층(17)으로 미처 스며들지 못한 빗물이 효과적으로 집수, 토사층(17)으로 자연분산 배수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제8도 및 제9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경블록(1)을 사각형 또는 마름모꼴로 설치할 경우 8각형의 연결블록(3)을 사용해야 되는데, 이때에도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작용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조경블록에 의하여 빗물이 맨 아래쪽 조경블록에 이르기 전에 미리 자연분산 배수토록 하므로써 복토층의 함수비를 최대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복토층이 쇄굴되는 일이 없으므로 조경후 미관을 해칠 염려가 없는 것이다.

Claims (2)

  1.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배수공이 천공된 블록부재(2)를 사각, 6각 또는 마름모꼴로 설치한 후 상, 하 연결부재(3)로 조립한 조경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재(2)의 일측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단부(7)를 형성한 후 그 단부(7)를 따라 안내홈(8)을 형성시키며, 상기 안내홈(8)에 일정간격으로 배수공(9)을 다수 천공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하고, 상기 상, 하부 연결부재(3)에 120도 간격으로 일측이 개방된 T자형 연결홈(11)사이마다 대략 삼각형의 배수공(14)을 관통시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연결부재(3)의 배수공(14)의 상하단에 각각 안내단부(16a), (16b)를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KR2019890004593U 1989-04-13 1989-04-13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KR9200030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4593U KR920003092Y1 (ko) 1989-04-13 1989-04-13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4593U KR920003092Y1 (ko) 1989-04-13 1989-04-13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809U KR900018809U (ko) 1990-11-08
KR920003092Y1 true KR920003092Y1 (ko) 1992-05-21

Family

ID=19285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4593U KR920003092Y1 (ko) 1989-04-13 1989-04-13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0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131B1 (ko) * 2005-10-11 2007-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면 발광형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그에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131B1 (ko) * 2005-10-11 2007-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면 발광형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그에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809U (ko) 1990-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455B1 (ko) 지표수의 지하배수방법
KR100618407B1 (ko) 도로 경사면용 배수로장치
CN214573726U (zh) 一种边坡绿化防护结构
KR920003092Y1 (ko)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880002290Y1 (ko)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KR100519910B1 (ko) 건축단지의 비탈면 방호시설
KR100590403B1 (ko) 건축단지와 인접한 친환경적인 옹벽 시설물
KR200327418Y1 (ko) 식생용 호안블럭
KR100662876B1 (ko) 하천 생태보호용 식생블록 설치구조
KR870001863B1 (ko)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KR200406758Y1 (ko) 변화형 친환경 블록
KR200255725Y1 (ko) 도로의 법면 보호용 접합식 콘크리트 블럭
KR200283005Y1 (ko) 도로 비탈면의 유실방지용 합성골판 콘크리트블록 구조
KR200142764Y1 (ko) 법면보호를 위한 블록
KR200403790Y1 (ko)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KR100882186B1 (ko)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KR200268824Y1 (ko) 식생블록
KR102634487B1 (ko) 도시 침수 방지를 위한 빗물 유입 유도장치
KR20190140685A (ko) 배수가 용이한 패널 블럭 구조
JP2851816B2 (ja) のり面の安定構造
DE102018130488B4 (de) Anordnung von miteinander verbundenen Rasenkantensegmenten
KR102097475B1 (ko) 생태적 복원용 화분 및 생태적 복원용 시공 구조체
KR200287899Y1 (ko) 도로 비탈면 슬라이딩 방지용 십자용 조경블록 설치구조
KR20100001503U (ko) 비탈면 보호용 격자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