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290Y1 -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 Google Patents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290Y1
KR880002290Y1 KR2019850008997U KR850008997U KR880002290Y1 KR 880002290 Y1 KR880002290 Y1 KR 880002290Y1 KR 2019850008997 U KR2019850008997 U KR 2019850008997U KR 850008997 U KR850008997 U KR 850008997U KR 880002290 Y1 KR880002290 Y1 KR 880002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block
hole
slope
dra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8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327U (ko
Inventor
이근희
Original Assignee
이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희 filed Critical 이근희
Priority to KR2019850008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2290Y1/ko
Publication of KR8700023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3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2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제 1 도는 본 고안의 조립시공상태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가 -가선 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나 -나선 단면도.
제 5 도는 제 2 도의 다 -다선 단면도.
제 6 도는 블럭 연결부위의 연결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블록 2, 2' : 측면
4 : 배수공 5 : 집수홈
8 : 배수분산공 9 : 상면측 연결단턱
10 : 저면측 연결단턱 11, 12 : 연결공
13 : 연결핀 14 : 연결용 부싱
본 고안은 토목공사에 있어서 비탈면의 절취면과 성토경사면의 유실,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법면에 설치하는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비탈면 조경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블록을 격자상으로 조립시공하고, 블록사이의 토사층에 잔디등의 초목을 심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는 콘크리트블록 자체의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불편하고, 시공후에도 블록의 중량에 의해 슬라이딩현상이 생기는 등 하자가 있을뿐 아니라, 비탈면의 최대 경사선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블록의 하단부위의 토사층이 그 불럭을 타고 넘는 빗물의 낙차로 인한 침식작용으로 쇄굴되어 조경후 미관을 해치게 됨은 물론 장기간 경과후에는 블록과 초목이 유실되는 중대한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985년 특허 출원 제3959호이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을 출원한바 있다. 그러나 이 또한 블록에 천설된 배수공 하부에 있어서 배수에 의해 침수현상이 발생하며, 또한 블럭간의 연결부위의 구조와 연결핀의 구조가 다소 복잡하여 조립, 설치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합성수지제의 블록(1)의 내측면(2)(2')을 다수의 블록 조립에 의해 원형을 이루도록 호상으로 형성하되, 그 하단부에는 접지확설부(3')를 형성하고, 조립시공시 비탈면에 대해 상, 하부에 위치되는 측면(2')쪽 상면에는 배수공(4)으로 빗물을 집수하기 위한 집수홈(5)을 형성하며, 배수공(4) 사이에는 블록(1)을 비탈면에 견고히 고정키 위한 고정핀(7)의 타입공(6)을 관통 설치한다.
상기 배수공(4)은 저면(4')이 막힌 상태로 형성하되 그 저면(4')에는 배수공(4)에 유입된 빗물을 분산시키기 위한 배수 분산공(8)을 천설한다. 블록(1)의 연결단부 중 일측 양단은 상면측으로 연결단턱(9)을 형성하고, 타측 양단은 저면측으로 연결단턱(10)을 형성하며, 연결단턱(9)(10)에는 각각 조립시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연결공(11)(12)을 각각 천공하고, 연결공(11)에는 연결핀(13)을 삽입하기 위한 연결용 부싱(14)을 하향 돌출되도록 삽입한다.
상기 연결핀(13)은 상광하협형으로 형성하며, 연결용 부싱(14)은 약간의 신축성이 있는 재질 예컨대, 합성수지로 성형하여 연결핀(13)의 타입시 연결용 부싱(14)이 확장되면서 연결공(9)(10)에 밀착고정토록 한다.
미설명부호(15)는 보강돌편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여 조경시공함에 있어서는 비탈면 토사층상에 다수의 블록(1)을 연결단턱(9)이 인접하는 블록의 연결단턱(10) 상에 중첩되게 배치하고, 연결공(11)에 하향돌출되게 삽입된 연결용 부싱(14)을 연결공(12)에 삽입한 다음, 연결용 부싱(14)에 위로부터 연결핀(13)을 타입하여 블록(1)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연결핀(13)이 비탈면 토사층에 타입되어 일단 블록은 고정되며, 블록(1)을 비탈면 토사층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고정핀 타입공(6)을 통해 토사층에 고정핀(7)을 타입하면 된다.
이와같이 블록(1)의 연결 및 고정의 완료되면 블록(1)의 측면(2)(2')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 공간내의 토사층에 초목을 심음으로써 조경이 완료되는 것이다.
조경시공완료후 시공장소에 비가오는 경우 빗물은 블록(1)의 측면(2)을 따라 흘러 내려서 집수홈(5)에서 집수되어 배수공(4)으로 유입되고, 배수공(4)이 저면(4')에 천공된 분산공(8)을 통해 토사층으로 분산 배수된다.
따라서 배수공(4) 저부의 토사층이 침식작용에 의해 쇄굴되는 일이 없게된다.
이상과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조경시공시 블록의 연결 및 고정작업이 간편하며, 조경후 빗물에 의한 침식작용으로 토사층이 쇄굴되지 않으며, 특히 배수공 저부의 토사층에서의 쇄굴현상이 방지되므로 장기간 보수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합성수지제로서 내측면(2)(2')을 호형상으로 형성하고, 측면(2')쪽 상면에는 배수공(4)으로 빗물을 집수키 위한 집수홈(5)을 형성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4)의 저면(4')에는 다수의 배수 분산공(8)을 천설하며, 블록(1)의 연결단부중 일측 양단에는 상면측 연결단턱(9)을, 타측 양단에는 저면측 연결단턱(10)을 형성하여 각각 연결공(11)(12)을 천설하고, 연결공(11)에는 상광하협형 연결핀(13)을 삽입하기 위한 연결용 부싱(14)을 하향 돌출되게 삽입하여서 된 비탈면보호용 조경블록.
KR2019850008997U 1985-07-18 1985-07-18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KR8800022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8997U KR880002290Y1 (ko) 1985-07-18 1985-07-18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8997U KR880002290Y1 (ko) 1985-07-18 1985-07-18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327U KR870002327U (ko) 1987-03-17
KR880002290Y1 true KR880002290Y1 (ko) 1988-06-25

Family

ID=19243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8997U KR880002290Y1 (ko) 1985-07-18 1985-07-18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2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656B1 (ko) * 2013-10-08 2014-02-24 대원콘크리트 주식회사 조립설치가 용이한 수질정화용 식생 호안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426B1 (ko) * 2019-11-29 2021-12-10 박재경 방울토마토 꼭지 제거장치
KR102371996B1 (ko) * 2021-08-24 2022-03-08 최수영 농산물 꼭지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656B1 (ko) * 2013-10-08 2014-02-24 대원콘크리트 주식회사 조립설치가 용이한 수질정화용 식생 호안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327U (ko) 1987-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2290Y1 (ko)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KR100839019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870001863B1 (ko)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KR920003092Y1 (ko)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KR200142764Y1 (ko) 법면보호를 위한 블록
KR100662876B1 (ko) 하천 생태보호용 식생블록 설치구조
KR200283005Y1 (ko) 도로 비탈면의 유실방지용 합성골판 콘크리트블록 구조
KR960010650Y1 (ko) 비탈면 수로 겸용 보호블럭
KR960003147Y1 (ko)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럭
CN219527219U (zh) 一种拼接式树篦子
KR940008631B1 (ko) 비탈면 보호용 합성수지 수로망
KR20050090604A (ko) 호안블럭의 결합 구조물
KR100882186B1 (ko)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KR20080081602A (ko) 건축 및 하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KR920007982Y1 (ko) 레진콘크리트재 법면 보호용 원형블럭
KR100398961B1 (ko)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배수로시공방법
KR200255725Y1 (ko) 도로의 법면 보호용 접합식 콘크리트 블럭
KR930005649Y1 (ko) 비탈면 수로겸용 보호블럭의 연결관
KR100196274B1 (ko) 폐 타이어 로우프를 이용한 법면 보호용 매트 및 그 시공방법
KR920007980Y1 (ko)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KR200201489Y1 (ko) 법면 보호블록
KR960010651Y1 (ko) 조경용 블럭
KR940001787Y1 (ko) 경사면의 붕괴방지를 위한 보호블럭
KR930000723Y1 (ko) 비탈면 보호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