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147Y1 -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럭 - Google Patents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럭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147Y1
KR960003147Y1 KR92020164U KR920020164U KR960003147Y1 KR 960003147 Y1 KR960003147 Y1 KR 960003147Y1 KR 92020164 U KR92020164 U KR 92020164U KR 920020164 U KR920020164 U KR 920020164U KR 960003147 Y1 KR960003147 Y1 KR 9600031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anchor
landscaping
connector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0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0167U (ko
Inventor
박정서
Original Assignee
박정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서 filed Critical 박정서
Priority to KR92020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147Y1/ko
Publication of KR9400101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1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1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1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럭
제1도는 개략적으로 나타낸 본고안의 시공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도.
제3도는 연결부의 일부절개 평면도.
제4도는 시공후 신설된 배수관의 배수방향을 예시한 참고도.
제5도는 신설한 배수관을 절개해 본 조경블럭의 측면도.
제6도는 조경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블럭 5 : 연결구
7 : 배수관 8 : 중공나사축
9 : 캡 10 : 나사공
14 : 환상홈
본 고안은 성토나 절토로 생긴 비탈지가 강우, 해빙등에 의해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공하는 조경블럭의 구조개량에 관한 것이며, 특히 지중에 있어서의 배수가 보다 원활하고 또한 어떤 이유로 앵커가 빠져 버리더라도 조경 블럭간의 접속상태는 그대로 존속되도록 한 조경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고안에 앞서 공표된 선행기술로서는 실용신안공보 ① 제83-1755호, ②공개 실용공보(공개번호 91-18377)호가 있다. 그러나, 이들 선행기술중①은 비앵커 고정식이어서 시공강도가 약해 빗물에 쓸려내리기 쉬운 홈과 지하배수가 원할치 못한 결점이 있고 ②의 선행기술은 어떤 이유로 앵커가 빠져버리는 경우에는 서로 맞대이은 연결부가 이내 와해될 우려가 높은가 하면 배수공의 위치가 높아 그 배수공이하 부위에서의 배수 즉, 지중에 매설된 배수공 아래 부분에서의 지중배수가 비효율적이어서 폭우시에는 미쳐 배수되지 못하고 갇힌 빗물과 유실토사가 해당 조경블럭에 대하여 일종의 압력체로 작용하기 때문에 기초면과 조경블럭의 유실을 함께 초래할 우려가 컸다.
본고안은 이 점을 참작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시공완료후 앵커가 빠져 버리더라도 조경블럭만은 접속상태 그대로 온전하게 버틸 수 있는 조경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중에 매입되는 블럭부분에서의 지하배수가 원활히 이뤄지게 하므로서 폭우와 같은 악조건하에서도 토사의 유실, 지반침하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일로 조경블럭의 시공상태가 망가지는 일이 없는 예방효과가 큰 조경블럭을 제공함에 있다.
본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지중에 대하여 앵커기능이 일층 강화된 조경블럭을 제공하려 한 것이다. 이들 세 가지 큰 목적을 달성하기에 알맞은 본 고안의 조경블럭은 그 길이 방향의 양단에 연결구의 끼움홈에 연결하기 위한 끼움돌기가 블럭과 일체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직벽상에는 배수공이 형성된 기존의 형태를 바탕구조로 삼아 블럭의 밑면에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관을 일체상으로 부여하여 지중에서의 앵커기능과 배수기능을 동시에 발휘하도록 하고, 연결구의 상면 복판에 세운 중공 나사축과 여기에 체결하는 나사캡으로 블럭끼리 연결하고 연결한 상태를 가둠으로써 앵커없이 또는 시공후에 앵커가 빠져나가더라도 블럭간의 연결상태가 그대로 존속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2도 이하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한다.
제2도는 본고안의 분해도이다. 이 그림에서, 블럭(1)의 길이 방향 양끝에는 종형 끼움돌기(2)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고 밑면에서 조금 올라간 직벽(3)상에는 배수공(4)이 여러 개 뚫려 있으며, 연결구(5)에는 상기 끼움돌기(2)를 끼워서 연결하는 끼움홈(6)이 3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블럭(1)을 연결한 뒤에 캡(9)을 씌워 가리게 되어 있다. 이상은 선행기술등에서 이미 주지된 바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특징은 블럭(1)의 밑면에 둔 배수관(7)과, 연결구 (5)의 상면 복판에 형성한 중공 나사축(8) 및 블럭을 연결한 후에 상기 연결구(5)에 체결하여 씌우는 나사공(10)과 그 외측으로 환상홈(14)을 가진 캡(9)에 있다. 상기 배수관(7)은 직벽(3)상에 뚫린 배수공(4)과 방향을 같이한다. 또, 이 신설 배수관(7)은 블럭(1)의 밑면에서 아래를 향해 튀어나와 있다. 비탈면에 시공할 때에는 이 배수관(7)이 블럭(1)의 밑면보다도 더 깊이 박는다. 그래서 이 배수관(7)은 제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럭(1)에 대하여 앵커의 기능을 보좌하는 역활을 담당하게 되므로 시공한 블럭의 자세를 더욱 튼튼히 하게 되고 나아가 기존의 배수공(4) 하단이하 부분에서의 지하배수도 원활히 이뤄질 수가 있으며 배수관(7)은 제6도와 같이 판체형으로 형성해도 본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캡(9)의 복판에도 나사공(10)이 뚫려 있다. 이 나사공(10)이 바로 상기 나사축(8)에 체결되는 요소이다. 연결구(5)의 각 끼움홈(6)에 위쪽으로부터 세 블럭(1)의 끼움돌기(2)를 각각 끼워 연결하면 3방향 시공이 된다. 이렇게 3개의 블럭(1)을 연결하면 끼움돌기(2)의 상단만이 끼움홈(6)위로 솟는다.
물론, 나사축(8)은 그대로 노출된 채로 남는다. 이 상태에서 캡(9)을 나사축(8)에 체결하여 마무리한다. 이때, 끼움홈(6) 위로 솟은 끼움돌기(2)의 상단(2a)부분은 나사캡(9)의 밑면에 형성한 환상홈(14)의 어딘가에 갇힌다. 이 때문에 각블럭(1)은 끼울 때의 반대방향으로 멋대로 빠지는 일은 없다. 캡(9)을 틀어박은 다음엔 중심이 일치된 앵커공(11)(13)에 앵커(12)를 내리박아 지면에 고정하는 것으로 조경블럭의 시공이 최종 마무리된다. 이처럼 시공한 상태에서 알 수 없는 이유로 앵커(12)가 빠져나가더라도 블럭간의 연결상태는 그대로 이어진다. 앵커봉의 길이는 토질성분에 따라 긴것과 짧은것을 병행 실시할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대로 본고안의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럭은 지면과 블럭 밑면간의 경계면 아래쪽 지하에서의 배수가 원활히 이뤄지고 또한 앵커역할도 하므로 폭우와 같은 기상 악조건하에서도 비탈면 보호기능을 십분발휘, 토사유실이나 블럭유실 혹은 지반침하와 같은 불측의 피해예방에 아주 효과적이며, 앵커가 빠져나가더라도 블럭간 연결상태는 그대로 온전하게 지켜지므로 예컨대 흐트러진 블럭의 위치를 바로잡는 보수작업등을 하기도 수월하고 강우때문에 블럭이 쓸려내리는 것을 방지하는데도 그 효과가 뛰어나다.

Claims (1)

  1. 양단에는 연결용 끼움돌기(2)를 갖고 직벽(3)상에는 배수공(4)을 형성한 블럭(1)과 상기 끼움돌기 삽입용 다수의 끼움홈(6)을 가진 연결구(5)와 연결구위를 가려주는 캡(9)으로 이뤄진 것에 있어서, 상기 블럭(1)의 밑면에 기존의 배수공(4)과 방향을 같이하며 아래로 튀어나온 배수관(7)을 추가 형성하고, 연결구(5)의 상면 복판에는 중공 나사축(8)을 세우며, 캡(9)의 중앙에는 상기 나사축(8)에 체결할 나사공(10)과 환상홈(1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럭.
KR92020164U 1992-10-19 1992-10-19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럭 KR9600031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0164U KR960003147Y1 (ko) 1992-10-19 1992-10-19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0164U KR960003147Y1 (ko) 1992-10-19 1992-10-19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167U KR940010167U (ko) 1994-05-23
KR960003147Y1 true KR960003147Y1 (ko) 1996-04-16

Family

ID=19342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0164U KR960003147Y1 (ko) 1992-10-19 1992-10-19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14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049B1 (ko) * 2000-08-21 2003-04-26 이근희 콘 너트를 이용한 수로형 사면 보호블록의 연결방법
KR101407084B1 (ko) * 2012-11-16 2014-06-13 이종하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167U (ko) 199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778B1 (ko) 녹화용 옹벽구조물 설치용 기구
US5765970A (en) Plastic retaining wall construction
KR960003147Y1 (ko)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럭
KR100663091B1 (ko) 도로의 친환경적인 옹벽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100466491B1 (ko) 암반붕괴 방지용 락볼트(네일) 연계 고정장치
CN113186970A (zh) 一种台阶式锚杆基础
KR930000935Y1 (ko) 경사면 보호용 합성수지제 블럭
KR200159048Y1 (ko) 배수로용 홈통
KR880002290Y1 (ko)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KR100216125B1 (ko) 지중앵커파일 및 그의 시공방법
KR930002500Y1 (ko) 배수로
KR200268873Y1 (ko) 도로 경사면의 조립식 유형 측구의 연결구조
KR100259616B1 (ko) 매립 고정형 지주
KR970001825Y1 (ko) 조립식 배수구의 부상방지장치
KR200305610Y1 (ko) 도로의 낙석방지망 설치구조
JPH0351370Y2 (ko)
KR200287899Y1 (ko) 도로 비탈면 슬라이딩 방지용 십자용 조경블록 설치구조
KR920007982Y1 (ko) 레진콘크리트재 법면 보호용 원형블럭
KR200184804Y1 (ko) 지면 지지형 지주 구조
KR200141791Y1 (ko) 토목용 낙석보호망 고정구
KR200201489Y1 (ko) 법면 보호블록
JPH0144588Y2 (ko)
KR100277019B1 (ko) 울타리용 패널 및 그 설치방법
JPH041104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