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682B1 - 차량 헤드라이트 및 그것을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시스템으로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헤드라이트 및 그것을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시스템으로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682B1
KR920002682B1 KR1019880701433A KR880701433A KR920002682B1 KR 920002682 B1 KR920002682 B1 KR 920002682B1 KR 1019880701433 A KR1019880701433 A KR 1019880701433A KR 880701433 A KR880701433 A KR 880701433A KR 920002682 B1 KR920002682 B1 KR 920002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light
optical
optically effective
phi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1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0785A (ko
Inventor
죠셉 알. 스트로벨
울리크 스타이거
피터 이. 카스트로
Original Assignee
이스트만 코닥 컴퍼니
토마스 에프. 키르쵸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58533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2000268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스트만 코닥 컴퍼니, 토마스 에프. 키르쵸프 filed Critical 이스트만 코닥 컴퍼니
Publication of KR890700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0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3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 F21S41/334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the reflector consisting of patch like s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3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 F21S41/338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the reflector having surface portions added to its general concavity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 헤드라이트 및 그것을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시스템으로 제조하는 방법
제1도는 반사경 및 렌즈로 구성되는 헤드라이트의 제1실시예의 도시도.
제2도는 제1 및 제2실시예의 조명에 대한원통좌표 X, rho 및 phi를 보여주는 좌표계 X, Y 및 Z내에서의 헤드라이트의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의 단면(헤드라이트의 축에 수직임)의 개략적 사시도.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트를 사용하여 성취할 수 있는 조명될 표면의 조명을 위한 많은 가능한 실시예중 2가지의 개략도.
제4도는 표면 세그먼트들로 분활된 헤드라이트의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인 헤드라이트 축 "X"에 수직인 평면의 그 축 X에 평행한 방향의 투영도.
제5도는 제4도에 따른 하나의 표면 세그먼트의 확대도.
제6도는 제1도의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과 조명될 표면 사이의 광선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은 편평한 목표 표면상에 예정된 조명 패턴을 투영할 수 있는 차량 헤드라이트, 특히, 자동차 헤드라이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헤드라이트는 반사 표면을 지니는 반사경을 포함한다.
교통 안전에 대한 법률 규정 때문에, 몇몇 공지된 자동차 헤드라이트에는 조명 범이, 색상의 균일성, 도로 및 그 가장 자리의 조명 패턴 및 명/암 한계 기준에 대한 특별한 규칙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반사경과 광 분포렌즈 사이의 광선내에 배치되는 차광 요소가 제공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차광 요소를 사용하는 것은 전술된 그러한 헤드라이트가 충분한 광출력을 낼 수 없고 균일 색광을 방출에 대한 규정에 반하는 색 줄무늬(color fringe)가 발생할 수 있는 주 원인중 하나이다.
제DE-AS18 02 113호에 기재되어 있는 자동차 헤드라이트는 차광 요소를 사용치 않고도 명확한 명/암 한계(저 광속 헤드라이트)가 성취된다. 이같은 목적을 위해, 반사경은 명확한 명/암 한계를 초래하는 주 경면 지역을 형성하는 2개의 좁은 축방대칭 섹터를 포함한다. 2개의 포물선형의 추가 경면이 이들 주 경면들을 보충한다. 그러므로, 공지된 반사경은 4개의 경계변에서 접하는 4개의 각개 표면들로 구성된다. 그러한 경계변은 반사광으로 하여금 조명될 표면을 향해 불규칙한 광선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고광도의 연속된, 즉, 균일한 광 분포가 불가능하다.
제DE-AS33 41 773호의 반사경은 유사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에도, 반사경에 의해 반사된 광선을 전체적으로 명/암 한계 미만으로 분포시키기 위한 목적은 불완전하고 불연속되게 달성된다. 그 공지된 반사경 또한, 수평축 둘레에 대칭으로 배치된 2개의 포물선형 섹터 및 그에 접한 2쌍의 소위 편향 표면으로 구성된다. 제DE-AS18 02 113호로부터 공지된 4개의 표면 대신에 제DE-AS33 41 773호의 반사경은 6개의 경계변에서 접하는 6개의 표면을 포함하지만 각개 반사경면들이 접하는 경계변들이 불연속성을 보이지 않는다고 추정하더라도 광분포의 불연속성의 단점을 실질적으로 개선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될 표면을, 특히, 몇몇 국가의 법률 규정을 고려하여 헤드라이트의 광원을 최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소기의 광 분포로 조명하는 헤드라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상기 반사 표면과 교차하는 실제 모든 평면들 내에서 비점대칭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성취한다.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시스템은 반사경 표면 자체로 제공될 수 있다.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시스템은 또한 반사경 표면에 의해 반사되는 광선의 경로내에 배치된 광학 요소의 표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시스템은 또한 반사경 표면에 의해 반사되는 광선의 경로내의 광학요소의 표면과 반사 표면의 결합체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적을 효과적인 시스템의 표면(들)은 또한 다음의 단일 수학 관계식
Figure kpo00001
식중
Figure kpo00002
식중, X는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에 의해 발생된 광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헤드라이트 축의 선형 원통 좌표, rho는 상기 원통 좌표의 반경 방향 벡터, phi는 궤적에 대한 상기 원통 좌표의 극좌표 각, n은 0 내지 50, 바람직하기로는 10까지의 정수, m, I 및 k는 0 내지 최소한 3, 바람직하기로는 20까지의 정수, R(phi)는 phi에 종속하고 X=0일 때 헤드라이트축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축방향 평면을 지니는 정점에서의 표면의 원추부의 곡률 반경의 한계치를 규정하는 계수, K(phi)는 원추 단면 계수의 phi함수, Akn(phi)은 ne+1개의 다른 비구형 계수중 하나의 phi함수, Rcm및 Rsm은 각기 me+1개의 다른 상변수중 하나, Kc1및 Ks1는 각기 ie+1개의 다른 상변수중 하나, Akcnk및 Aksnk는 각기(ne+1)·(ke+1)개의 다른 상변수중 하나이다.
상기 광학적 표면 관계식은 phi에 독립된 계수 R, K, Akn을 지니는 회전 표면에 대한 공지된 관계식의 변형식이다. 이 공지된 관계식에서, 각각의 X값은 어떤 값의 rho를 결정하는바, 그러므로 rho는 phi에 독립된다. 이 표현에서 상기 계수들이 phi에 종속되기 때문에, 각각의 X값은 phi에 종속된 rho의 값을 결정한다. 그러므로, 반경 벡터 rho는 공지된 관계식에서처럼 X의 함수일 뿐아니라 phi의 함수이다. "원추단면 계수" 및 "비구형 계수"라는 K 및 AKn의 명칭은 phi에 독립된 계수를 포함하는 공지된 관계식으로부터 각기 유래된다. 공지된 회전 표면과 관련하여 R에 대해 "기본 반경"이라는 명칭 또한 공통으로 사용된다.
상기 관계식에 따른 헤드라이트의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시스템은, 20인 것이 바람직한 me 및 ie에 대해서는, 각각의 변수 Rcm, Rsm, Kc1의 값이, ne=10 및 ke=20인 것이 바람직한 변수 AKcnk및 AKsnk의 (ne+1)·(ke+1)값에 대해서는, 곡률 반경 계수 R(phi), 원추 단면 계수 K(phi) 및 비구형 계수 AKn(phi)가 결정된다는 점에서 계산될 수 있다.
전기의 광학적 표면 관계식이 계수들의 상호 종속 관계때문에, 표면 표현중 한 특별한 영역의 표현에 대한 수학적 처리는 그 표현의 다른 영역들에서의 변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소기의 광학적 표면을 수학적으로 제조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방법은 표현의 다른 영역들의 광학적 특성에 영향을 주지않고 각개 세그먼트들을 수학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수학적으로 제시된 표면 세그먼트를 지니는 그 표면의 근사 표면을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한 수학적 표현 방법은 2변수 텐서 곱 스플라인(tensor product spline)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스플라인은 다시 표면 세그먼트를 표현하고 2차 도함수를 통해서 인접 표면 세그먼트의 공통변에서 동일한(세그먼트들의 공동 변에서의 연속성) 초기 2변수 다항식의 결정과 함께 시작하는 소위 베지에법(bezier method) 또는 B-스플라인법(B-spilne method)에 의해 표현되도록 계속해서 변경된다.
이는 예컨대 포물면같은 공지된 광학 표면에 근사한 표면의 표면 세그먼트를 표현하는 초기 2변수 다항식을 결정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하게 실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초기 2변수 다항식이 결정되어 단지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이 초기 영역에서만 소기의 광학적 특성만을 지니는 초기 표면 세그먼트를 표현하다. 계속해서, 또 다른 2변수 다항식이 결정되어 소기의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에 대한 근사 표면이 얻어질때까지 초기 영역에 인접 배치된 또다른 초기 표면 세그먼트를 표현하다.
상기 두 실현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사 표면은, 상기 광학 표면의 결과적인 표현으로 소기의 광학 특성을 얻을때까지, 상기 근사 표면의 다른 영역의 광학적 특성에 영향을 주지않고 2차 도함수를 통해서 상기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2변수 다항식의 계수들을 변경시킴으로써 단계적으로 궤적이 변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기의 광학 표면의 수학적 표현을 고안하는데 사용된 방법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인 표현은 그 후에 컴퓨터 언어로 표현되고 기계공구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입력되어 수학적 표면을 물리적 형태로 재생하는데 사용된다.
반사경 및/또는 광학 요소와 교차하는 다수의 섹숀들의 비대칭 때문에, 반사경의 반사지점은 조명될 표면상의 한정된 지역을 조명하지만 조명된 표면의 어떤 영역은 하나 이상의 반사경 지점으로부터 조명될 수 있는 바, 즉, 반사경의 형상은 그 반사경의 반사 지점에 의해 반사된 광선들이 여러 지점에서 소기의 명도에 따라 조명될 표면상에 사용가능한 양의 빛을 분포시켜 바람직하지 못한 명도의 상승 또는 강하가 회피되어 사용가능한 광원의 최적 이용을 성취하도록 계산 결정됐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광학적으로 효과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에 의해 광성이 형성될 때 초래되는 광손실은 최소로되며,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량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추가로, 급작스런 명/암 한계 대신에 점진적인 명암의 한계가 성취됨은 물론이고 개선된 측방 지역 조명이 성취되는바 이는 도로 교통 안정에 대해 바람직하다. 더욱이, 직간접적인 방사 때문에 차광 요소에서 발생된 열을 분산시킬 필요가 없다.
일반적으로, 반사경, 특히,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반사경으로부터 편리하게 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반사 필터층이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반사경으로부터의 광로내의 렌즈 또는 다른 광학 요소들은 반사경 자체상의 반사 필터 및/또는 반사경 개구부 전방에 어떤 경사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냉각(열을 흡수하지 않는) 거울로 보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냉각 거울이 반사경의 전방에 45。의 각도로 배치되면, 그 경면에 의해 반사된 광선의 광학축이 반사경의 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므로 헤드라이트의 L형 형상이 확보되며, 이러한 사실은 그러한 시스템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공산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그러한 감소는 자동차에서 유리하다. 냉각 거울 경면에 의해 반사된 광선내에 배치된 광학수단은 무열광에 의해서만 투사되고 그 결과 열에 민감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헤드라이트 축은 직각을 이루는바, 그 연직부는 반사경 축과 반사경의 전방에 배치된 광학 요소의 광학축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트는 보통의 난반사 스크린이 필요없기 때문에, 자동차 차체 설계자는 실제로 자유롭게 헤드라이트 전방 유리를 성형할 수 있다.
반사경 개구부의 전방에 배치된 렌즈는 착색된 재료로 구성되거나 착색필터 코팅이 제공될 수 있어 반사경에 의해 방출된 빛이 법률규정에 의한 색깔에 부응하게 한다.
놀랍게도, 수행된 시험들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이 최적의 저광속 광을 생성할 뿐아니라 이중 필라멘트 램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고광속의 차광 요소로 의해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현저히 높은 광속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헤드라이트는 차광 요소의 사용을 배제하고 사용 가능한 빛의 최적 이용을 허용하며 전체 광 출력의 상당한 상승과 함께 소기의 광, 분포를 성취하고 색깔 줄무늬의 발생을 회피한다.
본 발명에 따른 2가지 실시예의 헤드라이트 및 제조 방법을 첨부도면 및 표를 참고로 설명하겠다.
표 1은 전술된 식에 의해 반사경 표면을 계산하기 위한 변수들.
표 2는 반사경 표면과 함께 상기 식으로 헤드라이트의 제1실시예의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시스템을 형성하는 반사경 전방에 배치된 렌즈의 표면을 계산하기 위한 변수들.
표 3 및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반사경 표면 및 렌즈 표면으로 형성된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2변수 다항식의 계수(b).
표 5는 헤드라이트의 제2실시예의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을 결정하는 베이시스 스플라인 법(Basis-Spline-Method)의 "b"계수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라이트의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은 반사경(1)상에서 비대칭으로 설계되어있다. 렌즈(2)는 헤드라이트 축(4)에 동축으로 배치된다. 도면 번호(3)는 반사경내에 배치된 광원(예컨대, 이중 필라멘드 램프)을 도시하고 있다. 헤드라이트 축(4)상의 전술된 구성요소의 배치는 여러 가지 가능한 실시예중 하나의 실시예이다.
반사경(1)의 표면에 추가하여, 최소한 렌즈(2)의 한 표면을 형성할 수도 있는바, 그 한 표면은 그 표면과 교차하는 모든 평면내에서 비정대칭임을 특징으로 하는데 그 표면은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의 일부이다.
또한, 렌즈(2)는 주 방사 방향과는 다른 한 방향 또는 몇 방향으로의 광 반사를 달성하도록 헤드라이트 축(4)에 대해 편이 및/또는 경사진 관계로 배치될 수 있다
유리 또는 플라스틱 렌즈(2) 자체는 또한 헤드라이트 전방을 밀폐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형상을 지니는 분리된 전방 유리는 필요없다. 이를 이하여, 최소한 렌즈의 외표면은 긁힘에 대한 저항을 지녀야한다. 헤드라이트 요소로 사용되는 렌즈 대신에 예컨대 제2실시예에서처럼 편평한 판을 삽입할 수 있다.
강력한 광 반사를 위하여, 헤드라이트를 로우빔 및 하이빔모드로 사용할 수 있도록 광원(3)으로서 이중 필라멘트 램프가 제공된다.
반사경 표면 및/또는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렌즈 표면은 본 명세서의 개요에 제공된 식으로 기술될 수 있다.
전술된 식을 만족시키는 반사경 표면의 12×21=252 변수 Rcm, Rsm, Kc1, Ks1및 AKsnk가 표 1의 제1면 내지 제3면에 수록되어 있다. 표 2에 표시된 변수로 한정되는 2개의 표면은 렌즈와 함께 반사경 전방에 배치되는바, 그 반사경 표면은 본 발명에 따르는 헤드라이트의 제1실시예의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을 형성한다.
표 1 및 표 2에 수록된 수치의 끝에 추가된 E-02 및 E+02는 그 값들에 각기 10-2또는 10+2가 곱해져야함을 의미한다.
표 2에 표시된 값들은, 제1렌즈 표면이 무한의 큰 곡률 반경을 지녀 평면을 나타냄을 보여준다. 제2렌즈 표면은 me=ie=ke=0에 대한 변수값에 의해서만 형성됨으로써, 상기 표면은 헤드라이트 축에 대한 회전표면을 나타낸다.
상술된 실시예의 헤드라이트를 사용하면, 조명될 표면의 조명은 개략적으로 단순화된 형태로 제3도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성취된다.
제1방법의 제1단계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초기 표면은 예컨대 포물선 회전체 같은 공지된 형상의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을 기초로한다. 계산에 의해 초기 표면을 100개의 초기 표면 섹먼트(5')로 분활하였고(제6도), 헤드라이트 축 X에 수직으로 배치된 평면상에 도시한 투영부에 참고 번호(5)를 기재하였다(제4도 및 제5도). 단순화 하기 위하여 투영부(5)는 단지 25개의 표면 세그먼트(5')로만 표시되고 있다(제4도).
그러한 세분은, 초기 표면이 2군의 평행한 평면에 의해 절개된다는 사실에 기인하는바, 한군의 평면들은 타군의 평면들에 수직으로 연장하고 2군의 평면 모두는 헤드라이트 축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그렇게 계산된 초기 표면 세그먼트(5')로 이제 그 모서리들을 결정할 수 있다. 제4도 및 제6도에는 헤드라이트의 카티젼(Cartesian) 좌표 X, Y 및 Z가 도시되어 있는바 X축은 헤드라이트 축을 한정한다. 각각의 표면 세그먼트(5')의 코너 b0, b3, b30및 b33은 코너 계수로서 다음의 2변수 다항식에 대입된다.
Figure kpo00003
식중, "X" 및 "Z"(제4도)와 비교하여 "y" 및 "z"(제5도)는 "X" 좌표 "b0"를 지니는 각각의 표면 세그먼트의 코너(6)(제5도)로부터 시작하는 카티젼 좌표이다.
베지에(Bezier) 방법을 사용하면, 각각의 표면 세그먼트의 2변수 다항식의 나머지 계수들은 2차 도함수를 통해서 인접 표면 세그먼트들의 접선들내에서 다항식이 동일하도록 나머지 계수들을 상기 방법에 따라 계산한다. 베지에 방법은 예컨대 W. Boehm, Gose, Einfuehrnng in die Methoden der Numerischen Mathematik, Vieweg Verlag, Braunschweig, 1977, 제108 내지 119면에 기재되어 있다. 그렇게 계산되는 2변수 다항식은 초기 표면 세그먼트의 근사치인 표면 세그먼트들로 귀착한다. 표면 세그먼트의 다항식의 코너 계수들이 광학적으로 효율적인 표면의 소기의 궤적에서 변화하고, 계속해서 전술된 바와 같이 나머지 계수들을 계산하면, 다항식으로 표현된 표면 형상의 궤적 변화는 그 표면의 다른 영역을 변경시키지 않고 가능하게 된다.
소기의 특성을 지니는 광학적으로 효율적인 표면을 얻기 위하여, 다항식의 코너 계수 및 그 나머지 계수들은 소기의 광 분포가 성취되도록 단계적으로 변화되는바, 어떤 변화가 발생했는지를 매번 점검할 수 있다. 이 과정은 결과적인 수학적 표면 형태가 소기의 광학적 특성을 성취할때까지 계속된다.
표면 세그먼트(5')의 수가 많을수록 조명될 표면상의 소기의 광분포를 더욱 잘 성취할 수 있다. 이는 또한 그 변수 다항식의 차수에도 적용되는바, 즉 다항식의 차수가 높을수록 조명될 표면상에 더욱 바람직한 광분포가 성취된다.
코너(6)로부터 진행하면, 표면 세그먼트(5')의 각각의 투영부(5)는 0 내지 1의 표준 유니트로 "y" 및 "z" 방향으로 연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 유니트는 16개의 b계수(b0부터 b33)를 지니는 다항식에 의해 특징 지워진다. 각각의 표면 세그먼트에 대해서 "y" 및 "z"에 대한 값이 다항식에 대입되고 좌표 "X"가 계산된다. 표면 세그먼트(5')의 투영부(5)는 정방형 또는 장방형일 수 있다. 그러나, 인접한 표면 세그먼트들의 코너(6)는 인접 표면 세그먼트들의 접선에서 소기의 연속성, 즉, 전체 반사경 표면의 연속성을 성취하기 위하여 일치한다.
제5도는 반사경(1) 표면의 표면 세그먼트(5')의 투영부(5)의 확대도이다. 표면 세그먼트(5')의 일부는 광선을 조명될 표면(7)으로 향하게 한다(제6도). 이와 관련하여, 투영된 상의 형상은 Y 및 Z방향으로 곡선을 형성하는 표면 세그먼트(5')의 일부에 의해 한정된다. 조명될 표면(7)의 필요한 형상에 따라 각개의 인접한 표면 세그먼트들은 각각의 표면 세그먼트(5')가 표면(7)상의 영역(8)에 상응하도록 배향되어 있다. 필요한 경우에, 다른 표면 세그먼트(5')의 영역(8)이 중첩되거나 심지어 일치될 수 있다. 조명될 표면(7)상의 광량의 분포는 전체 표면을 가로질러 균일하게 분포하는 광으로 한정되지 않지만, 필요하면 광도가 조명될 표면을 가로질러 연속적으로 변활 수 있다.
표 3, 1면 내지 20면 및 표 4에는 제1실시예의 헤드라이트의 표면 세그먼트의 "b"계수가 수록되어 있는바, 상기 세그먼트들은 전술된 2변수 다항식으로 표현된다. 표면 세그먼트들은 상기 표의 "세그먼트 RS"로 도시되는바, R 및 S는 각기 제4도에 도시된 행 및 열을 나타낸다.
표 3에 수록된 표면 세그먼트들은 반사경 표면을 형성하고 표 4에 수록된 값들은 반사경 전방에 배치되어 반사경 표면과 함께 제3b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조명될 표면의 조명을 수행할 헤드라이트의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을 형성하는 렌즈의 2개의 표면을 한정한다.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제1렌즈 표면은 평면이다. 이는 모든 표면 세그먼트의 모든 궤적에 대해 X가 항상 0이 되는 값 b=0으로부터 유도된다.
표 1 및 2 또는 3 및 4에 수록된 값들을 준수하는 헤드라이트는 반사경(1)의 축과 동축으로 배치되는 렌즈(2)의 편평한 표면과 반사경의 정점 사이의 거리가 118mm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헤드라이트에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을 나타내는 세그먼트들의 2변수 다항식의 계수를 표시하고 처리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드 부어(De Boor)의 베이시스-스플라인법(Basis-Spilne Method) ("APRACTICAL GULDE TO SPLINES", 응용 수학 제27권(Springer Verlag, Berlin, Heiclelberg, New York)참고)을 이용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전술된 방법에서처럼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의 어떤 영역의 소기의 광학적 특성을 지니는 초기 표면 세그먼트를 표현하는 제1의 2변수 다항식이 결정되고, 이 초기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광학적 표면에 근사한 표면이 성취될때까지 상기 영역에 인접한 또다른 2변수 다항식들이 결정된다. 그후에, 얻어진 근사 표면은, 그 표면의 다른 영역의 광학적 특성에 영향을 주지않고 변형되는 지역내에서 2차 도함수를 통한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베이시스 스플라인의 계수를 변경함으로써 국부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 방법을 계속하면 근사 표면은 상기 광학적 표면의 결과적인 형태가 소기의 광학 특성을 얻을때까지 변경된다.
광학적 표면을 표시하기 위한 이 B-스플라인 법에서 0 내지 67mm의 X범위 및 0 내지 360도의 phi범위는 분할점들에 의해 소구간으로 분활된다. 상기 범위 및 소구간에 대한 노트 수열(knot-sequence)은 2차 도함수를 통해 각각의 변수의 4차 B-스플라인이 연속하도록 선택된다. X변수의 베이시스 스플라인은 "노트가 아닌" 단부 조건을 만족시킨다. phi변수의 B-스플라인 및 주기적 단부 조건을 만족시킨다. 변수들, 분할점 및 노트 수열내에서, 결과적인 베이시스 스플라인 수열은 Bk(x), k=1 내지 15, Pj(phi) 및 j=1 내지 15로 표시된다. 상기 반사경 면은 이 후에 다음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kpo00004
식중, rho는 원통 좌표(X-축)축의 위치 x 및 z축에 대한 각도 phi에서 상기 반사경 표면의 반경임.
표 5는 제2실시예의 phi변수 및 x변수에 대한 노트 수열 및 계수(bkj)를 보여준다. 이 데이터들은 예컨대 할로겐 H4램프같은 공지된 특성의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에 소기의 특성을 지니는 반사경 표면을 계산하는데 충분한 입력 데이터이다. 제2도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광원은 저 광속 필라멘트의 축이 X축과 일치하고 필라멘트의 단부가 x=29mm에 위치한 기부에 가장 인접하도록 위치시켜야 한다. 상기 램프는 기준핀이 제2도의 도표에 따라 x축으로부터 측정했을 때 75°각도에 있도록 배향시켜야한다. H4램프는 하우징에서 램프를 배향시키는 3개의 핀을 지니는바 그중 하나가 기준 핀이다.
표 1 내지 5에 수록된 데이터는 포트란 언어를 사용하는 예컨대 Micro-Vax 2000형의 컴퓨터로 산출된다. 계속된 단계에서 궁극적인 X, Y 및 Z축을 나타내는 이들 데이터는 미국의 메뉴팩춰링 콘설팅 시스템사에 의해 제작된 CAD(Computer Aided Design) 앤빌 프로그램(Anvil program)으로 전달된다. 이 프로그램에 의해 그 데이터들은 터린 소재 피디아사의 수치 제어 기계를 제어하도록 변환된다. 결국, 수치 제어기계는 먼저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표면을 복제할 수 있는 주형을 형성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반사경을 제조하기 위하여 독일 에스링겐소재 보흐너 앤드 쾨흘사의 밀링 머신을 제어한다.

Claims (30)

  1.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을 지니는 반사경을 포함하고 편평한 목표 표면상에 예정된 조명 패턴을 투영할 수 있는 차량 헤드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과 교차하는 모든 평면에서 비점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2.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을 지니는 반사경을 포함하고 편평한 목표 표면상에 예정된 조명 패턴을 투영할 수 있는 헤드라이트에 있어서, 목표 표면에 대해 광학적으로 수직하게 상기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과 교차하는 모든 평면에서 비점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3.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을 지니는 반사경을 포함하고 편평한 목표 표면상에 예정된 조명 패턴을 투영할 수 있는 헤드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의 모든 부분에서 축에 대해 비점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4. 편평한 목표 표면상에 예정된 조명 패턴을 투영할 수 있는 헤드라이트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을 지니는 반사경을 포함하고, 부정의 축방향 영역이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의 중앙에 위치하고, 그 축 방형 영역에 대해 마주한 관계로 배치된 상기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의 모든 섹터들이 비대칭으로 되는 헤드라이트.
  5. 편평한 목표 표면상에 예정된 조명 패턴을 투영할 수 있는 헤드라이트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을 포함하고, 부정의 축방향 영역이 그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의 중앙에서 광학적을 효과적인 표면 높이의 약 절반부 위치에 수직으로 중심이 맞춰진 수평 밴드의 경계내에 위치하고 상기 밴드내의 축방향 영역에 대해 마주한 관계로 배치되는 모든 섹터들이 비대칭으로 되는 헤드라이트.
  6. 반사 섹터를 지니는 반사경을 포함하고 편평한 목표 표면상에 예정된 조명 패턴을 투영할 수 있는 헤드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표면과 교차하는 수평 중앙 평면에 인접한 반사 표면의 양측부로부터 상호 마주한 관계로 연장되는 상기 표면의 섹터들의 비대칭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트.
  7. 제1항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이 반사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트.
  8. 제7항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이 반사표면에 의해 반사된 광선의 경로내에 배치된 광학적 렌즈요소의 표면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트.
  9. 제1항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이 단일의 수학적 관계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트.
  10. 제9항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이 관계식
    Figure kpo00005
    으로 설계되고, 식중,
    Figure kpo00006
    (식중, X는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에 의해 발생된 광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헤드라이트 축의 선형 원통 좌표, rho는 상기 원통 좌표의 반경 방향 벡터, phi는 궤적의 상기 원통 좌표의 극좌표 각, n은 0 내지 50, 바람직하기로는 10까지의 정수, m, i 및 k는 0 내지 최소한 3, 바람직하기로는 20까지의 정수, R(phi)는 phi에 종속하고 X=0일 때 헤드라이트축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축방향 평면을 지니는 정점에서의 표면의 원추부의 곡률 반경의 한계치를 규정하는 계수, K(phi)는 원추 단면 계수의 phi함수, Akn(phi)은 ne+1개의 다른 비구형 계수중 하나의 phi함수, Rcm및 Rsm은 각기 me+1개의 다른 상변수중 하나, Kc1및 Ks1는 각기 ie+1개의 다른 상변수중 하나, Akcnk및 Aksnk는 각기 (ne+1)·(ke+1)개의 다른 상변수중 하나이다)에 따라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트.
  11. 제10항에 있어서, 변수 Rcm,Rsm,Kc1,Ks1, Akcnk및 Aksnk에 대해 표 1에 부여된 값들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헤드라이트.
  12. 제8항에 있어서, 광학 렌즈요소가 헤드라이트 축과 동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트.
  13. 제8항에 있어서, 광학 렌즈요소가 헤드라이트 축에 대해 편심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트.
  14. 제8항에 있어서, 반사경과 광학 렌즈요소 사이에 열반사 필터 수단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트.
  15. 제1항에 있어서, 반사경이 냉각 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트.
  16. 제8항에 있어서, 광학 렌즈요소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트.
  17. 제8항에 있어서, 광학 렌즈요소가 착색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트.
  18. 제8항에 있어서, 반사경의 개구부로부터 가장 원격한 거리의 광학 렌즈요소의 표면이 긁힘에 대한 저항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트.
  19. 다항식의 2변수 텐서곱(tenser product)으로부터 스플라인(spline)을 형성함으로써 광학 표면을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단계; 상기 수학적 표현으로부터 컴퓨터 입력 포맷의 수학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광학적 표면의 수학적 표현을 물리적 형태로 재생하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에 상기 데이터를 입력시키고 상기 데이터를 응답하여 상기 컴퓨터로부터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 제조 방법.
  20. 궤적 영역의 수학적 표현이 다른 영역의 광학적 특성에 영향을 주지않도록 수학적 특성을 지니며 광학 표면에 근사한 수학적 표현을 공식화하는 단계; 결과적인 수학적 표면 표현이 소기의 광학적 특성을 성취할때까지 상기 표현의 궤적 영역을 수학적으로 조작하는 단계; 결과적으로 수학적 표현으로부터 컴퓨터 입력 포맷의 컴퓨터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및 상기 광학적 표면의 수학적 표현을 물리적 형태로 재생하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에 상기 데이터를 입력시키고 상기 데이터를 응답하여 상기 컴퓨터로부터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적 표면 제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광학적 표면의 수학적 표현이 광학축을 포함하는 상기 광학 표면에 근사하게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단계들로서 상기 근사한 표면을 교차하는 2군의 평면으로 상기 근사 표면의 수학적 표현을 사변형의 초기 표면 세그먼트로 분활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초기 표면 세그먼트들의 코너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초기 표면 세그먼트에 근사한 또다른 표면 세그먼트들을 결정하는 초기 2다항식의 계수를 상기 코너로부터 결정하는 단계; 및 결과적인 수학적 표현이 소기의 광학적 특성을 성취할때까지 연속적인 표면 세그먼트의 계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또다른 표면 세그먼트의 코너를 단계적으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각군의 평면들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광학축과 평행하며, 상기 군들중 한군의 평면들은 타군의 평면들에 대해 직각인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들로부터 초기 2다항식의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가 상기 초기 및 또다른 표면 세그먼트의 코너(b0,b3,b33)로부터 초기 및 또다른 다항식의 계수(b0내지 b33)를 계산하기 위하여 베지에(Bezier)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1항 또는 22항에 있어서, 공통변을 지니는 더욱 인접하게 연속적이 표면 세그먼트에 대한 3차 다항식을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표면 세그먼트들은 그들의 다항식의 2차 도함수를 통해서 그들의 공통변내에서는 동일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광학적 표면의 어떤 영역의 소기의 광학적 특성을 지니는 초기 표면 세그먼트를 표현하는 2변수 다항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영역에 인접한 또다른 초기 표면 세그먼트를 표현하는 또다른 2변수 다항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광학적 표면에 대한 근사 표면이 성취될때까지 이미 결정된 영역에 인접한 추가 표면 세그먼트를 표현하는 추가 2변수 다항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광학적 표면의 결과적인 표현이 소기의 광학적 특성을 성취할때까지 상기 근사 표면의 다른 영역의 광학적 특성에 영향을 주지않고 변경되는 영역내에서 2차 도함수를 통한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다항식의 변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근사 표면의 궤적을 변화시키는 단계; 결과적인 수학적 표면으로부터 컴퓨터 입력 포맷의 컴퓨터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광학적 표면의 수학적 표현을 물리적 형태로 재생하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컴퓨터에 상기 데이터를 입력시켜 상기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컴퓨터로부터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적 표면 제조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또다른 2변수 다항식 및 상기 추가 2변수 다항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항식들의 상기 계수를 변겨하는 단계가 베이시스 스플라인 법(Basis-spline method)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광학적 표면을 관계식
    Figure kpo00007
    식중,
    Figure kpo00008
    (식중, X는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표면에 의해 발생된 광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헤드라이트 축의 선형 원통 좌표, rho는 상기 원통 좌표의 반경 방향 벡터, phi는 궤적의 상기 원통 좌표의 극좌표 각, n은 0 내지 50, 바람직하기로는 10까지의 정수, m, I 및 k는 0 내지 최소한 3, 바람직하기로는 20까지의 정수, R(phi)는 phi에 종속하고 X=0일 때 헤드라이트축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축방향 평면을 지니는 정점에서의 표면의 원추부의 곡률 반경의 한계치를 규정하는 계수, K(phi)는 원추 단면 계수의 phi함수, Akn(phi)은 ne+1개의 다른 비구형 계수중 하나의 phi함수, Rcm및 Rsm은 각기 me+1개의 다른 상변수중 하나, Kc1및 Ks1는 각기 ie+1개의 다른 상변수중 하나, Akcnk및 Aksnk는 각기(ne+1)·(ke+1)개의 다른 상변수중 하나이다에 의해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단계; 결과적으로 수학적 표현으로부터 컴퓨터 입력 포맷의 콤퓨터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단계; 및 상기 광학적 표면의 수학적 표현을 물리적 형태로 재생하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에 상기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적 표면 제조 방법.
  27. 제20항내지 제22항중어 한 항에있어서, 차량 헤드라이트 표면을 복제할 수 있는 주형의 형태로 상기 광학적 표면을 물리적으로 재생하도록 상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를 프로그래밍하는 추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8. 제20항 내지 제2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헤드라이트에 필요한 형태로 상기 광학적 표면을 물리적으로 재생하도록 상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를 프로그래밍하는 추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9. 하나의 반사표면을 갖는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구조 및 상기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구조에 정렬 배치된 광축에 연관된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표면은 그것의 전체 축 길이에 대해 비대칭 축을 나타내며, 상기 표면은 상기 표면위면 어디든지 연속적인 제1 및 제2도 함수를 갖는 연속적인 수학적 표현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을 지님으로써, 상기 반사 표면에 의해 반사된 광선이 광원에 의해 방사된 광을 광학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광원의 광을 광패턴 분산에 따라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30. 하나의 반사 표면을 지니는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구조, 및 상기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구조에 정렬 배치된 광축에 연관된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광표면은 상기 축을 포함하는 어떤 평면에 대해 대칭이 되지 않도록 전체 축 길이에 대해 비대칭 축을 나타내며, 상기 표면은, 상기 반사 표면에 의해 반사된 광선이 상기 광원에 의해 방사된 광을 광학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상기 광원의 광을 광 패턴 분산에 따라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표 1]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표 2]
    Figure kpo00013
    [표 3]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7
    Figure kpo00018
    Figure kpo00019
    Figure kpo00020
    Figure kpo00021
    Figure kpo00022
    Figure kpo00023
    Figure kpo00024
    Figure kpo00025
    Figure kpo00026
    Figure kpo00027
    Figure kpo00029
    Figure kpo00030
    Figure kpo00031
    Figure kpo00032
    Figure kpo00033
    Figure kpo00034
    [표 4]
    Figure kpo00035
    Figure kpo00036
    Figure kpo00037
    Figure kpo00038
    Figure kpo00039
    Figure kpo00040
    Figure kpo00041
    Figure kpo00042
    Figure kpo00043
    Figure kpo00044
    Figure kpo00045
    Figure kpo00046
    Figure kpo00047
    Figure kpo00048
    Figure kpo00049
    Figure kpo00050
    Figure kpo00051
    Figure kpo00052
    Figure kpo00053
    Figure kpo00054
    Figure kpo00055
    Figure kpo00056
    [표 5]
    Figure kpo00057
KR1019880701433A 1987-03-11 1988-03-11 차량 헤드라이트 및 그것을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시스템으로 제조하는 방법 KR9200026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707751.1 1987-03-11
DE3707751 1987-03-11
DEP3713867.7 1987-04-25
DE3713867 1987-04-25
PCT/EP1988/000196 WO1988007155A1 (en) 1987-03-11 1988-03-11 Vehicular headlight and method of producing an optically effective system of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0785A KR890700785A (ko) 1989-04-27
KR920002682B1 true KR920002682B1 (ko) 1992-03-31

Family

ID=25853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1433A KR920002682B1 (ko) 1987-03-11 1988-03-11 차량 헤드라이트 및 그것을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시스템으로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065287A (ko)
EP (1) EP0282100B1 (ko)
JP (1) JPH02502143A (ko)
KR (1) KR920002682B1 (ko)
AU (1) AU1489988A (ko)
BR (1) BR8807407A (ko)
DE (1) DE3861803D1 (ko)
ES (1) ES2021107B3 (ko)
FI (1) FI89302C (ko)
NO (1) NO174019C (ko)
WO (1) WO19880071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24206D0 (en) * 1988-10-15 1988-11-23 Carello Lighting Plc Motor vehicle headlamp
JP3187293B2 (ja) * 1995-07-17 2001-07-1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の反射鏡の反射面形成方法
JP3145910B2 (ja) * 1995-11-02 2001-03-1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US5954427A (en) * 1997-11-05 1999-09-21 Ford Motor Company Automotive tail lamp with large rake angle
US6250768B1 (en) 1998-04-13 2001-06-26 Raymond Hill Lighting apparatus for a model lighthouse
FR2792999B1 (fr) * 1999-04-29 2001-09-14 Valeo Vision Projecteur bi-fonction a source unique et a optique fixe pour vehicule automobile
GB2356448B (en) * 1999-09-25 2002-05-15 Alan Joseph Blake Improved lighting apparatus
JP4050432B2 (ja) * 1999-10-01 2008-02-2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の反射鏡の反射面決定方法
JP4031600B2 (ja) 1999-10-01 2008-01-0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の反射鏡の反射面決定方法
JP2001195909A (ja) 2000-01-07 2001-07-19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の反射鏡の反射面決定方法
JP4002046B2 (ja) * 2000-01-20 2007-10-3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反射鏡の反射性能を評価する方法、反射鏡の反射性能を評価するための評価システム、および反射鏡の反射性能の評価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3990523B2 (ja) 2000-01-20 2007-10-1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反射鏡のための基礎曲面を評価する方法、反射鏡のための基礎曲面を評価する評価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EP1499829A1 (en) * 2002-04-18 2005-01-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uminaire
DE10318051A1 (de) * 2003-04-17 2004-11-04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Halogenglühlampe
DE102004058750A1 (de) 2004-12-06 2006-06-08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Einseitig gesockelte Hochdruckentladungslampe
DE102009013812A1 (de) * 2009-03-18 2010-09-23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Reflektor, Lichtquellenanordnung sowie Projektorgerät
US10302278B2 (en) * 2015-04-09 2019-05-28 Cree, Inc. LED bulb with back-reflecting optic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61862C (nl) * 1975-03-04 1980-03-17 Oce Van Der Grinten Nv Reflector.
US4153929A (en) * 1976-10-20 1979-05-08 Meddev Corporation Light assembly
DE3226580A1 (de) * 1981-12-08 1983-06-16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cheinwerfer fuer kraftfahrzeuge
US4481563A (en) * 1982-05-10 1984-11-06 Corning Glass Works Automotive headlight having optics in the reflector
FR2536502B1 (fr) * 1982-11-19 1987-01-09 Cibie Projecteurs Projecteur de croise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4495552A (en) * 1982-12-13 1985-01-22 Cal Custom Accessories, Inc. Forward shining vehicle lamp
DE3334459C2 (de) * 1983-09-23 1993-10-21 Bosch Gmbh Robert Reflektor für einen Abblendlichtscheinwerfer für Kraftfahrzeuge
JPS60100102A (ja) * 1983-11-07 1985-06-04 Ichikoh Ind Ltd 灯具用反射鏡
DE3340462C1 (de) * 1983-11-09 1985-04-18 Westfälische Metall Industrie KG Hueck & Co, 4780 Lippstadt Abgeblendeter Fahrzeugscheinwerfer
DE3340796A1 (de) * 1983-11-11 1985-05-2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Abblendlicht-scheinwerfer fuer kraftfahrzeuge
US4722023A (en) * 1984-05-15 1988-01-26 Koito Seisakusho Co., Ltd. Lamp assembly for emitting a beam of light at an angle to its optical axis
DE3531224A1 (de) * 1985-08-31 1987-03-05 Bosch Gmbh Robert Scheinwerfer fuer abblendlicht oder nebellicht von kraftfahrzeugen
FR2590351B1 (fr) * 1985-11-15 1988-02-05 Cibie Projecteurs Feu de signalisation a double fonction pour vehicule
JPH0789442B2 (ja) * 1985-12-27 1995-09-27 市光工業株式会社 プロジエクタ型の車輌用前照灯
US4825343A (en) * 1985-12-27 1989-04-25 Ichikoh Industries Limited Projector type headlamp for vehicles
US4704661A (en) * 1986-08-25 1987-11-03 General Electric Company Faceted reflector for headlam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82100B1 (en) 1991-02-27
NO174019B (no) 1993-11-22
KR890700785A (ko) 1989-04-27
EP0282100A1 (en) 1988-09-14
DE3861803D1 (de) 1991-04-04
BR8807407A (pt) 1990-05-15
NO885014L (no) 1988-11-10
AU1489988A (en) 1988-10-10
US5065287A (en) 1991-11-12
FI89302B (fi) 1993-05-31
NO885014D0 (no) 1988-11-10
WO1988007155A1 (en) 1988-09-22
JPH02502143A (ja) 1990-07-12
FI894257A0 (fi) 1989-09-08
NO174019C (no) 1994-03-02
FI89302C (fi) 1993-09-10
ES2021107B3 (es) 1991-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682B1 (ko) 차량 헤드라이트 및 그것을 광학적으로 효과적인 시스템으로 제조하는 방법
JP2538180B2 (ja) 照明装置
US5204820A (en) Method of producing an optically effective arrangement in particular for application with a vehicular headlight
US4927248A (en) Vehicle lamp lens having Fresnel lens
US5096281A (en) Optical transform system
US5192124A (en) Reflector for vehicle headlight
US6527425B1 (en) Method and apparatus using B-spline reflective surface and curved lens to render it difficult to see reflector through lens
JP6983318B2 (ja) 光学部品、照明器具、及び光学部品を作製する方法
JP3207087B2 (ja) 車輌用灯具
JPH07326203A (ja) プロジェクタ型前照灯
US4149227A (en) Reflector
US6102558A (en) Motor vehicle headlight with a reflector for generating a wide beam, and with a striated cover lens
JPH10116505A (ja) 自動車用表示ライト
JPH06187809A (ja) 自動車の信号又は照明装置用ミラーの製造方法、及びそのミラーを装着した信号又は照明装置
CN108870310A (zh) 一种车辆用灯具花纹及其生产方法
EP0313216A2 (en) Optical transform system
CN109952529A (zh) 光学器件、灯具以及用于制造光学器件的方法
Żagan et al. Methods for designing and simulating optical systems for luminaires
EP1505339B1 (en) Complex reflector for a vehicle headlight,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the reflector
JP4068319B2 (ja) 車両用灯具の反射鏡の反射面設計方法
KR100350041B1 (ko) 반사경의 제조방법 및 램프 어셈블리
JPH0614443B2 (ja) 照明装置の製造方法
US5645339A (en) Vehicle headlamp construction for a well defined lower beam pattern
EP0125353A1 (en) Automotive headlight having optics in the reflector
JP4075973B2 (ja) 反射鏡の製造方法および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