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975B1 - 소 오 터 - Google Patents

소 오 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975B1
KR920001975B1 KR1019880009564A KR880009564A KR920001975B1 KR 920001975 B1 KR920001975 B1 KR 920001975B1 KR 1019880009564 A KR1019880009564 A KR 1019880009564A KR 880009564 A KR880009564 A KR 880009564A KR 920001975 B1 KR920001975 B1 KR 920001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nion
bin tray
cam
bin
rotary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726A (ko
Inventor
요이찌로 아리에
Original Assignee
미타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미타 요시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타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미타 요시히로 filed Critical 미타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2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9/00Associating, collating, or gathering articles or webs
    • B65H39/10Associating articles from a single source, to form, e.g. a writing-pad
    • B65H39/11Associating articles from a single source, to form, e.g. a writing-pad in superpose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1Bottom
    • B65H2405/1111Bottom with several surface portions forming an angle relatively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1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sheet(s)
    • B65H2408/11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 B65H2408/113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with variable location in space of the bins relative to a stationary in-feed pa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lation Of Sheets And Web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 오 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소오터(sorter)의 제1의 구체적인 예를, 일부를 절개하여 표시한 사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소오터의 일부를 표시한 간략도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소오터에 있어서의 이송구조를 표시한 간략한 측면도.
제4a도 내지 제4h도는, 제1도의 소오터에 있어서는 이송구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간략도.
제5a도 내지 제5e도는, 종래의 제네바 형상 회전캠형 이송구조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도.
제6도는 빈트래이의 하류단부의 양측에 배설할 수 있는 개량된 캠수단을 표시한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캠수단을 표시한 부분사시도.
제8도는 제6도의 캠수단을 표시한 부분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소오터의 제2의 구체적인 예를 일부를 절개하여 표시한 사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소오터를 표시한 간략한 단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소오터를 일부를 절개하여 표시한 간략한 측면도.
제12도는 제9도의 소오터의 일부를 표시한 단면도.
제13도는 제9도의 소오터의 일부를 표시한 단면도.
제14도는 빈트래의 하류단부의 지지방식의 수정예를 표시한 사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수정예의 간략한 부분단면도.
제16도는 제14도의 수정예에 있어서의 빈트래이를 표시한 사면도.
제17도는 제14도의 수정예의 부분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202 : 소오터 4, 204 : 정지지지틀체
6, 5, 206 : 측판 11, 14, 211, 214 : 안내판짝
12, 16, 212, 216 : 반송로울러짝 15, 22, 222 : 상측안내판
17, 219 : 안내판
18, 26, 30, 32, 108, 218, 230, 232, 280 : 회전축
20, 28, 34, 36 : 로울러 24 : 늘어진편
38, 217, 238 : 하측안내판 40, 54, 466 : 돌출편
42 : 파지편 44, 112, 244, 312 : 구동원
46, 246 : 화살표 48, 71, 248, 271 : 검출기
50, 250, 506 : 빈트래이 51, 56, 134, 256 : 트라니온
52 : 단벽 58, 68, 258 : 슬롯
60 : 롯드 62 : 레버
64 : 주요부 66 : 절곡부
70 : 조절나사 72 : 절개
74 : 캠블록 76 :지지판
78 : 전체번호 80, 82, 282 : 짧은축
84 : 보강연결편 86, 88, 286, 288 : 회전캠판
90, 92, 110, 116, 290, 292 : 기어 94, 98, 128, 294, 295 : 수용홈
96, 100, 130, 296, 300 : 캠 외주면 102, 104 : 회전중심 축선
106 : 직선 114, 245, 314 : 출력측
118 : 회전구동수단 120 : 복사기
122 : 시이트도입로 124 : 배출로울러 짝
126 : 원판캠 132 : 스프링수단
205, 208 : 직립측판 207, 209 : 보조측판
220, 234 : 하측로울러 221 :활 동부재
223, 279 : 안내레일 225 : 피안내레일
236 : 상측로울러 277, 554 : 안내부재
239 : 수하편 240 :돌출편
318 : 회전구동수단 241, 243, 276 : 지지부재
247, 251, 253 : 풀리 257 :벨트
273 : 작동편 274, 538 :지지편
278 : 이송구조 310, 316 : 치부풀리
311 :치부벨트 424 : 캠수단
426 : 선회부재 428 : 계합돌기
430 : 블록 431 : 홈
432 : 지지축 434 : 기부
438 : 자유단부 440 : 정지돌기
442 : 피계합부 444 : 안내면
540 : 입상부 542 : 돌출부
544 : 지지플레임 546 : 연재부
548 : 경사부 550 : 직립부
552 : 수평부 556 : 안내면
본 발명은, 정전복사기 혹은 인쇄기등에서 배출되는 시이트를 필요한대로 나누어서 수집하기 위한 소오터 (sorter) 및 이와 같은 소오터에 사용되는 트라니온 이송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서, 콤팩트 소오터(compact sorter)로 불리우는 비교적 소오터가 제안되여 실용에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소오터를 개시하고 있는 선행문헌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미국특허 제4,328,963호, 제4,332,377호, 제4,337,936호, 제4,343,463호, 제4,397,461호, 제4,766,608호, 제4,466,509호, 제4,478,406호를 들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소오터는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빈트래이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개의 빈트래이의 각각은, 그 시이트 수압단부의 적어도 한쪽편에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트라니온을 가진다. 횡단면이 원형의 핀으로 좋은 트라니온(trvnion)은 상하방향에 적중 배치되며, 또한 적중방향으로 소정의 이동경로를 따라서 이동이 자재로운 것이다.
상기한 소오터는, 또한 상기한 트라니온을 1개마다 차례로 상기한 소정의 이동 경로를 따라서 상승 및 하강시켜, 인접하는 빈트레이를 차례로 그들의 시이트 수입단으로 상호로 상하방향으로 격리시켜서 시이트 수입구를 이루는 이송구조(이와 같은 이송구조는 상기한 미국특허 제4,328,936호 등에 개시되여 있음)와, 일반적으로 스파이랠형상 회전캠형으로 불리우는 형식의 이송구조(이와 같은 이송구조는 미국특허 제4,337,936호 등에 개시되어 있음)이 사용되고 있다. 제네바(geneva)형상의 회전캠형 이송구조는,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반지름 방향 외단은 개방되여 있는 적어도 1개의 트라니온 수용홈이 형성된 제네바 원판 형상의 원판캠을 구비하며, 이와 같은 원판캠은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서 회전시켜 진다. 스파이랠(spiral)형상 회전캠형 이송구조는, 외주면을 스파이렐 형상으로 연장하는 트라니온 수용홈이 세겨진 원주상 캠을 구비하며, 이와 같은 원주상 캠은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증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서 회전시켜진다.
그러나, 상기한 제네바 형상 회전캠형 이송구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원판캠에 형성되여있는 트라니온이 진입될때 및 그것에서 트라니온이 진출할때에, 충돌 및 급격한 상승 내지 하강이 이루어진다. (이점에 관하여는 후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서 다시 상술한다).
그럼으로 비교적 큰 잡음이 이루어지며, 그리고 또, 트라니온의 고속 이송에는 적당하지 않으며, 내구성도 낮다.
한편, 스파이랠 형상 회전캠형 이송구조에 있어서는, 원주상 캠의 외주면에 각설되는 스파이랠 형상의 트라니온 수용홈은 그 하단부 및 상단부에 있어서도 회전에 따라서 점차로 상승 내지 하강하는 형태로 시켜질 수 있으므로, 상기한 제네바 형상 회전 캠형의 이송구조에 있어서의 상기한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스파이랠 형상 회전캠형 이송구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로, 상기한 원주상 캠을 제조하는 데에는 원주의 외주면에 스파이랠 형상 연장하는 트라니온 수용홈을 각설하는 것이 필요한 것인바, 이와 같은 트라니온 수용홈을 세기는 작업은 상당히 곤란한 것이며, 그럼으로 제조원가가 비교적 고가인 것이다. 둘째로, 통상적으로 복수개의 핀트래이의 각각에는 그 양측에 트라니온을 설치하며, 빈트래이의 양측에 있어서 트라니온(synchronism)을 동시에 이송하는 것을 원한다. 이와 같은 요망을 만족하기 위하여는, 빈트래이의 양측에 상기한 원주상 캠을 배설함과 동시에 쌍방의 원주상 캠을 구동연결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쌍방의 원주상 캠은 폭방향으로 상호로 간격을 두고 배설되여 있으나, 쌍방의 원주상 캠의 회전중심 축선은 상하방향에 연장하고 있으며, 따라서, 쌍방의 원주상 캠을 구동연결하기 위하여는,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으로 변환하기 위한 복수개의 회전 요소를 필요로 하며 필연적으로 구동연결 구조가 복잡하게 되며, 그 때문에 제조원가가 비교적 고가인 것이다. 다른 한편, 빈트래이의 하류단부는 시이트 수집할때의 꽉 찬 발생의 회피등의 견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빈트래이의 상류단부를 이송구조에 의하여서 상하방향에 격리시키면 이와 같은 빈트래이의 하류단부도 자동적으로 상하방향으로 격리시켜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가장 적당한 것이다. 그래서, 상기한 미국특허 제4,337,377호에 개시되어 있는 소오터에 있어서는, 빈트래이의 각각의 하류단부의 양측에 소정형상의 캠블록을 고정하며, 이와 같은 캠블록에 의하여 빈트래이의 하류단부를 적중하고 있다. 상측의 빈트래이의 상류단부가 상승되면, 이와 같은 빈트래이의 하류단부는 하류방향으로 이동되며, 따라서 상측의 빈트래이에 고정된 캠블록이 하측의 빈트래이에 고정된 캠블록에 대하여서 하류방향으로 활동하며, 이것에 기인하여 상측의 빈트래이의 하류단부가 상승시켜진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소오터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빈트래이의 하류부의 격리를, 적중시켜진 2개의 캠블록 사이의 활동에 전면적으로 의존하고 있으며, 그러므로 캠블록 사이의 활동에 부수되는 고유의 결점, 즉 내구성이 낮으며, 불쾌한 소음(스치는 소리)을 발생한다. 운동변환효율이 낮은(환언하면, 인접하는 빈트래이의 하류단부를 충분하게 크게 격리할 수 없다)등의 결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스파이랠 형상 회전캠 형의 이송구조에 있어서의 상기한 문제의 발생을 회피 내지 억제하여서 상기한 제네바 형상 회전캠 형의 이송구조에 있어서의 상기한 문제, 독특한 이송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독특한 이송구조를 구비한 소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한 다른 목적은, 인접한 빈트래이의 상류단부의 상하방향의 격리에 따라서 이와같은 빈트래이의 하류단부를 자동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한 캠수단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결점이 얼는 독특한 캠수단을 구비한 소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의하면, 상하방향에 배열된 복수개의 빈트래이를 구비하며, 그 복수개의 빈트래이의 각각은 그 적어도 한쪽편에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트라니온을 가지며, 그 트라니온은 상하방향으로 적중 배치되며, 또한 적중방향으로 소정된 이동경로를 따라서 이동이 자재로운 것의 소오터를 위한 이송구조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같이 작동하는 한쌍의 회전캠판과 회동구동수단을 구비하며, 그 한쌍의 회전캠판의 각각은, 반지름 방향에 연장하며, 또한 반지름 방향 외단은 개방되여 있는 적어도 1개의 트라니온 수용홈과, 그 트라니온 수용홈의 부위를 제외하여서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캠외주면을 가지며, 그 캠외주면은 소정의 회전방향으로 보아 반지름이 점차로 증대하는 소용돌이면(卷面)이며, 그 한쌍의 회전캠판은, 그들의 회전중심축선이 그 소정의 이동경로를 사이에 끼워서 그 양측에 위치하며, 그들의 회전중심축선을 연결하는 직선이 그 소정의 이동 경로를 경사로 가로질르며, 또한 상호로 소정의 회전각도 관계에 그들의 회전중심축선을 연결하는 그 직선과 그 소정의 이동경로와의 교차부에 있어서 상호로 접촉 내지 근접하도록 배치되며, 그 회전구동수단은 그 한쌍의 회전캠판을 상호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킨다.
그 한쌍의 회전캠판의 각각의 그 캠외주면은, 회전각도와 반지름의 증대와의 율이 일정한 알키메데스(ARCHIMEDES)소용돌이면이 바람직하다. 그 트라니온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이며, 그 한쌍의 회전캠판의 각각의 그 캠외주면에 있어서 최대의 반지름과 최소의 반지름의 차는 그 트라니온의 지름에 대응하여 있는 것을 바란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빈트래이와 상하방향으로 인접하는 빈트래이의 상류단부를 상하방향으로 격리하기 위하여, 빈트래이의 상류단부를 적당하게 승강동작시키는 이송구조를 포함하여 상류단부가 상승되면 하류항향으로, 상류단부가 하강되면 상류방향으로 이동시켜진다. 빈트래이의 하류단부는 인접하는 빈트래이의 상류단부의 상하방향의 격리에 따라서 하류단부를 상하방향으로 격리시키는 캠수단에 의하여 상호로 적중되여 있는 소오터가 제공된다. 그 캠수단은 하측의 빈트레이에 배설된 선회부재와 상측의 빈트래이에 배설된 계합돌기를 포함하며, 그 선회부재로 상류측에서 그 계합돌기를 받아들일 수 있는 피계합부를 가지며, 또한 소정의 정지 위치에서 그 피계합부가 상승시켜지는 소정의 방향으로 선회자재롭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측의 빈트래이의 상류단부가 상승되어서 그 하류단부가 하류방향에 이동시켜지면, 그 계합돌기가 그 피계합부에 받아들여져서 그 선회부재를 그 소정의 방향으로 선회시키며, 이와 같이 하여서 상측의 빈트래이의 하류단부가 상승시켜진다. 그 선회부재의 그 피계합부는 상류측이 개방된 凹부이며, 그 凹부의 상류측에는 안내면이 설치되어 있으며, 인접하는 빈트래이의 상류단부가 상하방향에 결리되여 있지 않은 때에는, 그 계합돌기는 그 안내면상에 위치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캠수단은 인접하는 빈트래이의 하류단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여 있는 것이 가장 적당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체를 번호 2로 표시한 도시된 소오터는, 정지지지틀체(4)를 구비한다. 이 지지틀채(4)는, 폭방향(제2도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인 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설된 앞측 및 뒤측의 직립측판(6) 및 (8) 또한, 이와 같은 측판(6) 및 (8)의 상류단(제2도에 있어서 우측단)상반부 1사이를 연장하는 연결판(10)을 가진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측판(6) 및 (8)사이에는, 하류에 향하여 차례로 제1의 안내판짝(11), 제1의 반송로울러짝(12), 제2의 안내판짝(14) 및 제2의 반송로울러짝(16)이 배설되여 있다. 또한 상술하면, 제 1의 안내판짝(11)에 있어서의 상측안내판(15) 및 하측안내판(17)은, 측판(6) 및 (8)사이에 고정되여 있다. 측판(6) 및 (8)사이에는 실질상 수평으로 연장하는 회전축(18)이 회전이 자재롭게 장착되여 있으며, 이와 같은 회전축(18)에는 폭방향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예로 4개)의 로울러(20)가 고정되여 있다.
한편, 상기한 제2의 안내판짝(14)에 있어서의 상측안내판(22)의 상류단부 양측에는 하측에 늘어지는 늘어진편(24)이 일체로 형성되여 있으며, 이와 같은 늘어진편(24)사이에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하는 회전축(26)이 회전이 자재롭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축(26)에는 상기한 로울러(20)과 같이 작동하여서 상기한 제1의 반송로울러짝(12)를 구성하는 로울러(28)가 폭방향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예로 4개)가 고정되여 있다. 상기한 측판(6) 및 (8)사이에는, 또한 상하방향에 간격을 두고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하는 회전축(30) 및 (32)이 회전자재롭게 장착되여 있다.
그리고, 회전축(30)에는 폭방향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예로 4개)의 로울러(34)가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32)에는, 상기한 로울러(34)와 같이 작동하여서 상기한 제2의 반송로울러짝(16)을 구성하는 로울러(36)가 폭방향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예로 4개)가 고정되여 있다. 로울러(36)가 고정되어 있는 회전축(32)은 상하방향에 어느 정도의 범위에 걸쳐서 이동이 자재롭게 장착되며, 또한 적당한 스프링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서 하측에 탄성적으로 쏠려져 있으며, 이와 같이 하여 로울러(36)가 탄성적으로 로울러(34)에 압압되여 있는 것이 가장 적당한 것이다. 상기한 제2의 안내판짝(14)에 있어서의 하측안내판(38)은, 상기한 측판(6) 및 (8)사이에 고정되여 있다. 한편. 상기한 제2의 안내판짝(14)에 있어서의 상기한 상측안내판(22)에는, 그 하류부 양측에 돌출편(40)이 일체로 형성되여 있으며, 이와 같은 돌출편(40)의 하류단부를 상기한 회전축(32)에 유설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측안내판(22)은 회전축(32)의 선회가 자재롭게 장착되여 있다. 이와 같은 상측안내판(22)은 통상적으로는, 그 자체의 중량에 의하여서 제2도에 도시하는 폐(폐)위치, 즉 그것에 장착된 상기한 회전축(26)에 고정된 로울러(28)가 로울러(20)에 접하는 폐위치에 유지되여 있다.
제1도에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안내판(22)이 상면에 있어서의 상류단부에는 파지편(42)이 고정되여 있으며, 이와 같은 파지편(42)을 파지하여서 상측안내판(22)을 제2도에 2점쇄선으로 도시함과 같이 개동(開動)하며, 이와 같이 하여 로울러(28)를 로울러(20)에서 격리함과 동시에 안내판짝(14)에 의하여 규정되는 반송경로를 개방할 수 있다. 제1의 반송로울러짝(12)에 있어서의 상기한 회전축(18) 및 제2의 반송로울러짝(16)에 있어서의 상기한 회동축(30)은, 적당한 전동구조(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전동무우터로 좋은 구동원(44)에 구동연결되어 있으며, 제1의 반송로울러짝(12) 및 제2의 반송로울러짝(16)은 제2도에 화살표(46)으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도시한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한 안내판짝 (11)에 의하여 규정되는 반송경로를 통하여 반송되는 시이트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48)도 배설되여 있다.
이와 같은 검출기(48)은, 안내판짝(11)사이에 돌출하는 검출암을 가지는 마이클로스위치도 좋다.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소오터(2)는, 또한 상하방향에 배열된 복수개, 도시인 경우는 10개의 빈트래이(50)을 구비하고 있다. 빈트래이(50)의 각각은, 전체로서 대략 구형의 판형상으로 좋다. 빈트래이(50)의 각각의 상류단 가장자리에는, 어느 정도의 거리만 상측으로 돌출한 단벽(5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단벽(52)의 양측단에는, 또한 상측에 약간만을 돌출한 돌출편(54)이 형성되여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돌출편(54)의 각각에는 폭방향에 돌출하는 트라니온(56)의 내측단부가 고정되여 있다. 트라니온(56)은 원형횡단면을 가지는 편으로 좋다. 한편, 제1도 및 제3도에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정지 지지틀체(4)의 측판(6) 및 (8)의 각각에는, 실질적으로 연직으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슬롯(58)이 형성되여 있다.
이와 같은 슬룻(58)의 횡방향 칫수는 상기한 트라너온(56)의 지름애 대응하고 있다. 복수개의 빈트래이(50)의 각각의 상류단부 앞측 및 뒷측에 설치되여 있는 상기한 슬롯(58)을 관통하여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 시켜지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서, 트라니온(56)의 각각은, 슬롯(58)에 따라서 실질적으로 연직인 방향에 이동이 자재롭게 상호로 실질적으로 연직인 방향으로 적중되여 있다. (단,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이송구조의 작용에 의하여 위에서 제4번째의 빈트래이(50)의 상류단과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50)의 상류단과는 연직방향에 상호로 격리되어 있으며, 따라서, 위에서 제1번째에서 제4번째까지의 4개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은 상하방향에 차례로 접촉시켜지며, 그리고 또 위에서 제5번째에서 제10번째까지의 6개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도 상하방향에 차례로 접촉시켜져 있는바, 위에서 제4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과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과는 상호로 격리되어 있다).
도시한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는, 또한 위에서 제1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의 상측을 폭방향으로 연속하여서 연장하는 로드(60)도 배설되여 있다.
횡단면은 원형으로 좋다. 로드(60)의 전단부는 측판(6)에 형성되여 있는 슬롯(58)을 관통하여서 앞측에 돌출하며, 후단부는 측판(8)에 형성되여 있는 슬롯(58)을 관통하여서 뒷측에 돌출하고 있다. 제1도에 명확하게도 도시함과 같이, 로드(60)의 전단부는 위에서 제1번째에서 제9번째까지의 빈트래이(50)의 앞측 트라니온의 전단을 넘어서 전방에 돌출시켜져 있으며, 이와 같은 전단부에는 레버(62)의 상단부가 고정되여 있다. 레버(62)는 실질적으로 연직으로 하측에 연장하는 주요부(64)와, 이 주요부(64)의 하단에서 앞측에 연장하는 절곡부(66)을 가진다. 레버(62)의 주요부(64)의 하단부에는 연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68)이 형성되여 있다. 그리고, 아래에서 제1번째(즉, 위에서 제10번째의 빈트래이(50)의 앞측 트라니온(56)은, 다른 빈트래이(50)의 앞측 트라니온(56)의 전단을 넘어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한 슬롯(68)을 관통하여 있다. 한편, 레버(62)의 절곡부(66)에는 조절나사(70)가 나착되여 있으며, 이와 같은 조절나사(70)의 상단은, 아래에서 제1번째의 앞측 트라니온(56)의 연장된 전단부의 하면에 접하게 되여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위에 서 제1번째의 빈트래이(50)의 앞측 트라니온(56)까지의 거리 1(제3도)은, 조절나사(70)의 조작에 의하여서 약간 조절이 자재로운 필요치에 유지되는 것이 이해된다. 상기한 거리 1은 1=10d+x, 여기서 d는 트라니온(56)의 지름으로, x는 후술하는 이송구조의 작용에 의하여 상호로 격리되는 2개의 트라니온(56)사이의 간격이며, 이것에 설정된다(제3도).
빈트래이(50)의 뒷측 트라니온(56) 및 로드(60)의 후단부에 관하여도 도시되지 않는바, 동일한 구성(레버(62) 및 조절나사(70))이 배설되여 있는 것이 가장 적당한 것이다. 상기한 격리 1을 회망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조절나사(70)으로 대신하여, 아래에서 제1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을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쏠리는 스프링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시 또, 도시한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는, 측판(6) 및 (8)에 형성되여 있는 슬롯(58)은 실질적으로 연직으로 연장하여 있으나, 상기한 미국특허 제4,328,963호 또는 미국특허 제4,332,377호등에 개시되여 있는 바와 같이, 슬롯(58)을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상측으로 향하여 상류측 또는 하류축에 경사져서 연장하는 형태로 시킬 수도 있다.
도시한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도, 또한 측판(6)에 검출기(71)(제1도 및 제2도)가 배설되여 있다. 이 검출기(71)은 축판(6)에 형성되여 있는 상기한 슬롯(58)의 하단부를 가로질러서 연장하는 검출암을 가지는 마이클로스위치도 좋다. 10개의 빈트래이(50)이 초기상태, 즉 10개의 빈트래이(50)의 모든 것의 트라니온(56)이 상하방향에 차례로 접촉시켜져 있는 상태에 있을 때에는, 아래에서 제1번째의 빈트래이(50)의 앞측 트라니온(56)이 검출기(71)에 작용하며, 이와 같이 하여서 10개의 빈트래이(50)의 초기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기 (71)가 검출한다.
제1도에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빈트래이(50)의 각각은 상기한 정지 지지틀체(4)를 넘어서 하류측에 연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빈트래이(50)의 각각에는, 폭방향 중앙부를 하류단에서 상류로 향하여 연장하는 절개(72)가 형성되여 있는 것이 가장 적당한 것이다. 또한, 도시된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 빈트래이(50)의 각각의 하류단부 양측에 캠블록(74)이 고정되며, 빈트래이(50)의 각각의 캠블록(74)을 상호로 접촉시켜서 적중되여 있다.
뒤의 설명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인접하는 캠블록(74)은 상대적으로 상류 및 하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선회가 자재롭게 적중되여 있다. 도시한 소오터(2)는 또한, 상기한 정지 지지틀체(4)의 측판(6) 및 (8)사이에 고정된 상류단에서 하류로 향하여 상측으로 경사되여 연재하고 있는 정지 지지판(76)도 배설되여 있다. 제1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아래에서 제1번째의 빈트래이(50)의 하류부는, 상기한 정지 지지판(76)의 하류단에 접하여, 이것에 지지되여 있다. 아래에서 제1번째의 빈트래이(50)를 제외한 다른 빈트레이(50)의 하류부는, 각각의 캠블록(74)이 곧 아래의 빈트래이(50)의 캠블록(74)에 접하는 것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상기한 정지 지지판(76)의 하류단에 지지되여 있다. 원컨데, 지지판(76)의 상류단을 정지 지지틀체(4)에 고정하는 것으로 대신하여 예로, 적당한 부재에 의하여 상기한 레버(62)에 고정하며, 뒤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레버(62)가 상승 및 하강시켜지면, 이것에 따라서 지지판(76)도 상승 및 하강시켜지도록 할 수도 있다.
소오터(2)는, 또한 전체를 번호(78)로 표시한 이송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제1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한 앞측의 직립측판(6)에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전방에 돌출하는 2개의 짧은 축(80) 및 (82)가 식설되며, 이와 같은 2개의 짧은축(80) 및 (82)의 자유단부는, 보강연결편(84)에 의하여 상호로 연결되여 있다.
짧은축(80)은 상기한 회전축(30)과 동심형상인 것이 가장 적당한 것이다. 상기한 단측(80) 및 (82)에는, 각각 회전캠(86) 및 (88)이 회전이 자재롭게 장착되여 있는 동시에, 기어(90) 및 (92)가 회전이 자재롭게 장착되여 있다. 짧은축(80)에 장착되여 있는 고정캠판(86)과 기어(90)은 상호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키이(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연결되여 있다. 동일하게 짤은축(82)에 장착되여 있는 회전캠판(88)과 기어(92)는 상호 일체로 회전하도록 키이(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연결되여 있다.
원컨대, 회전캠판(88)과 기어(92)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기어(90)과 기어(9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며, 또한 서로가 맞물려져 있으며, 따라서 회전캠판(86)과 회전캠판(88)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회전속도로 상호로 반대방향에 회전시켜지도록 구동연결되어 있다. 제3도에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캠판(86)에는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하며, 또한 반지름 방향외단은 해당되여 있는 트라니온 수용홈(94)이 형성되여 있다. 이 트라니온 수용홈(94)익 폭은, 상기한 빈트래이(50)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한 트라니온(56)의 지름에 대응하고 있다. 트라니온 수용홈(94)의 부위를 제외하여 둘레방향으로 연속하여서 연장하는 캠 외주면(96)은 제3도에 있어서 상기한 트라니온 수용홈(94)의 한쪽면에는 다른측까지 시계방향으로 보아 반지름(r)가 점차 증대하는 소용돌이면인 것이 중요한 것이다.
도시한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 캠외주면(96)은 시계방향으로 보아 회전각도(θ)와 반지름(γ)와의 증대율이 일정한 알루키메데스 소용돌이면인 것이다. 즉, 캠외주면(96)에 있어서 최소의 반지름을(a)로 하면, 이와 같은 최소의 반지름(a)의 위치에서 각도(θ)만 격리한 위치에 있어서 캠 외주면(96)의 반지름은 =a +n , 여기에서 n은 적당한 정수로 표시된다.
캠 외주면(96)에 있어서 최대의 반지름(b)와 상기한 최소의 반지름(a)와의 차(b-a)는, 1개의 트라니온(56)의 지름에 대응시켜져 있으며, (b-a) d인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캠판(85)은 회전캠판(86)과 완전히 동일한 형상이다. 즉, 회전캠판(88)에는 반지름방향으로 연장하며 또한 반지름 방향외단은 해방되어 있는 트라니온 수용홈(9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트라니온 수용홈(98)의 부위를 제외하여 둘레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캠 외주면(100)는 제3도에 있어서 상기한 트라니온 수용홈(98)의 한쪽편에서 다른측까지 시계방향으로보아 반지름(γ)가 점차 증대하는 소용돌이면( 卷面) 바람직하기로는 최소의 반지름(a)의 위치에서 각도(θ)만 격리한 위치에 있어서 캠 외주면(100)의 지름이 상기한 식 (γ=a+nθ)로 표시되는 알루키메데스 소용돌이면이다.
제3도에서 명확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짧은 축(80) 및 (82)의 중심축선, 따라서 회전캠판(86) 및 (88)의 회전중심축선(102) 및 (104)는, 축판(6)에 형성되어 있는 슬룻(58)에 의하여 규정되는 상기한 트라니온(56)의 이동경로를 따라 그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회전중심축선(102) 및 (104)는 상하방향으로 비켜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회전중심축선(102)및 (104)를 연결한 직선(106)은 상기한 트라니온(56)의 이동경로를 예로서 45도로 좋은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가로지른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회전속도로 상호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지는 회전캠판(86)및 (88)은 상호로 소정의 각도 관계에서 또한 상세하게는 제4d도에 표시함과 같이 상기한 직선(106)과 슬롯(58)과의 교차부에 있어서 트라니온 수용홈(94) 및 트라니온수용홈(98)이 상호로 대향하도록 관련시켜져 있다.
제4d도와 동시에 제4c도 및 제4e도 등을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4c도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회전캠판(8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캠판(88)이 반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지면, 상기한 교차부에 있어서는 회전캠판(86)의 캠 외주면(96)은 반지름(γ)이 점차로 감소하여 회전캠판(88)의 캠외주면(100)은 반지름(γ)가 점차로 증가한다.
반대로, 제4c도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회전캠판(86)이 반대시계방향으로 회전캠판(8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지면, 상기한 교차부에 있어서는 회전캠판(86)의 캠 외주면(96)은 반지름(γ)가 점차로 증대하여 회전캠판(88)의 캠 외주면(100)은 반지름(γ)이 점차로 감소한다.
이와 같은 상태임으로, 상기한 교차부에 있어서 회전캠판(86)의 캠 외주면(96)과 회전캠판(88)의 캠외주면(100)이 상호로 간섭하는 일은 없으며, 상기한 교차부에 있어서 회전캠판(86)과 회전캠판(88)은 항상 접촉 내지 근접시켜져 있다.
필연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며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뒷측의 직립측판(8)의 뒷측에도 완전히 동일하게 상기한 짧은축(80) 및 (82) 보강연결편(84) 캠판(86) 및 (88) 또한 기어(90) 및 (92)가 배설되어 있는 것이 가장 적당한 것이다. 제1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측판(6) 및 (8)사이에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하는 회전축(108)이 회전이 자재롭게 장착되어 있다.
이 회전축(108)의 전단부는 축판(6)을 관통하여서 전방에 돌출하여 있으며, 이와 같은 전단부에는 상기한 기어(90)에 맞물려져 있는 기어(110)이 고정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동일하게 회전축(108)의 후단부는 측판(8)을 관통하여서 후방에 돌출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후단부에는 측판(8)의 후방에 배설되어 있는 상기한 기어(90)에 맞물려져 있는 기어(110)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측판(6)의 내면에는 전동모우터로 좋은 회전구동원(112)(제3도)가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동권(112)의 출력축(114)는 측판(6)을 관통하여서 전방에 돌출시켜져 있으며, 출력축(114)의 선단부에는 측판(6)의 전방에 배설되어 있는 상기한 기어(110)에 맞물려져 있는 기어(116)이 고정되어 있다. 구동원(112)기어(116) 및 (110)과 동시에 상술한 기어(90) 및 (92)는 상기한 회전캠판(86) 및 (88)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수단(118)을 구성한다.
구동원(112)에 의하여서 기어(116)이 제3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지면, 회전캠판(86)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캠판(88)은 반대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진다.
반대로, 구동원(112)에 의하여서 기어(116)이 제3도에 있어서 반대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지면, 회전캠판(86)은 반대시계 방향으로 회전캠판(88)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소오터(2)의 작용 효과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오터(2)는 예로서 정전복사기(120)에 편성시켜서 사용된다. 이 경우에 제1의 안내판짝(11)의 상류단부에 의하여서 규정되는 시이트도이로(122)가 복사기(120)의 시이트 배출구에 대향하도록, 복사기(120)에 대하여서 소오터(2)가 위치하게 된다.
복사기(120)의 배출로울러짝(124)에 의하여서 복사기(120)에서 배출되는 시이트(복사지)는 제1의 안내판짝(11)사이를 통하여 제1의 반송로울러짝(12)에 송급되며, 그리고 제2의 반송로울러짝(12)의 작용에 의하여서 제2의 안내판짝(14)를 통하여 제2의 반송로울러짝(16)에 송급되며, 그런후에 제2의 반송로울러짝 (17)의 작용에 의하여서 복수개의 빈트래이(50)의 어느 것에 배출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에서 제4번째의 빈트래이(50)과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50)이 그들의 수입단으로서 상호 상하방향으로 격리시켜져 있어 양자사이에 시이트 수입구가 생성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의 반송로울러짝(16)의 작용에 의하여서 반송되는 시이트는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레이(50)위에 배출된다. 복수개의 빈트래이(50)의 어느 것에 시이트를 배출하는가는, 이송구조 78에 의한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의 상승 및 하강을 적당하게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필요한 바와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이송구조(78)에 의한 트라니온(56)의 상승 및 하강작용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에 제4번째의 빈트래이(50)과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50)이 그들의 수입단에서 상호 상하방향으로 격리시켜져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때에는 이송구조(78)에 있어서 회전캠판(86) 및 (88)은 예로 제4a도에서 도시하는 각도위치에 정지시켜져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는 위에서 4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은, 회전캠판(88)의 캡 외주면(100)위에 접촉시켜져 있으며,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은, 회전캠판(86)의 캠외주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50)과 위에서 제6번째의 빈트래이(50)을 그들의 수입단에서 상호로 상하방향으로 격리하며, 이와 같이 하여서 제2의 반송로울러짝(16)의 작용에 의하여서 반송되는 시이트가 위에서 제6번째의 빈트래이(50)위에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는 이송구조(78)의 구동원(112)를 소정된 시간가동시켜서, 회전캠판(8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캠판(88)을 반대시계방향으로 1회전시킨다.
회전캠판(86) 및 (88)이 제4a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에서 제4b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까지 회전시켜지는 동안에는 위에서 제4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이 접촉하여 있는 부위에 있어서 회전캠판 (88)의 캠외주면(100)의 반지름은 점차로 증대한다.
따라서 위에서 제4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은 점차 상승시켜진다.
이와 같이 하면, 제1도 및 제3도를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이하되는 바와 같이 위에서 제3번째, 제2번째 및 제1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과 동시에 롯드(60) 및 레버(62)도 점차 상승시켜지며, 따라서 위에서 제5번째, 제6번째, 제7번째, 제8번째, 제9번째, 및 제10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 (56)로 상승시켜진다.
회전캠판(86) 및 (88)이 제4a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에서 제4b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까지 회전시켜지는 동안에는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이 접촉 내지 근접하여 있는 부위에 있어서, 회전캠판(86)의 캠외주면(96)의 반지름은 회전캠판(88)의 캠외주면(100)의 반지름이 증대에 대응하여서 점차로 감소한다.
이와 같이 하여서,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50)의, 점차로 상승하는 트라니은(56)은 회전캠판(86)의 캠외주면(86)에 접촉 내지 근접을 계속한다.
회전캠판(86) 및 (88)이 제4c도에 도시하는 각도 위치까지 회전시켜지면,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이 회전캠판(86)의 트라니온수용홈(94)내에 진입하며, 그리고 위에서 제6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이 회전캠판(86)의 캠외주면(96)에 접촉 내지 근접한다.
회전캠판(86) 및 (88)이 제4b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에서 제4c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까지 회전시켜지는 사이에도 상술한 이유에 의하여 위에서 제1번째 내지 제10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은 점차로 상승시켜진다.
회전캠판(86) 및 (88)이 제4d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까지 회전시켜지면,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은 트라니온수용홈(94)의 구속작용에 의하여서 회전캠판(56)의 회전에 따라서 비교적 고속으로 상승되어서 위에서 제6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에서 상측으로 격리된다.
그리고, 위에서 제6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이, 회전캠판(86)의 캠외주면(96)에 접촉 내지 근접하도륵 된다.
이때에 위에서 제6번째의 빈트레이(50)의 트라니온(56)은 이미 필요량이 상승되어 있으므로 회전캠판(86)의 캠외주면(96)에 과격하게 충돌하는 일은 없다.
회전캠판(86) 및 (88)이 또한 회전을 계속하면 제4d도와 제4e도를 비교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이해 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은 회전캠판(86)의 트라니온수용홈(94)에서 진출하여서 회전캠판(88)의 트라니온수용홈(98)에 진입한다.
그리고 회전캠판(86) 및 (88)이 제4f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까지 회전시켜지는 동안에는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은 트라니온수용홈(98)의 구속작용에 의하여서 회전캠판(88)의 회전에 따라 비교적 고속으로 상승된다. 회전캠판(86) 및 (88)이 제4c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에서 제4f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까지 회전하는 동안에도, 위에서 제4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이 접촉하는 부위에 있어서, 회전캠판(88)의 캠외주면(100)의 반지름은 점차로 증대하며 위에서 제6번쩨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이 접촉 내지 근접하는 부위에 있어서, 회전캠판(86)의 캠외주면(96)의 반지름은 점차로 감소하며, 따라서 위에서 제1번째 내지 제4번째 및 제6번째 내지 제10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은 점차로 상승시켜진다.
회전캠판(86) 및 (88)이 또한 회전을 계속하면, 제4g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은 회전캠판(88)의 트라니온 수용홈(98)에서 진출하여서 회전캠판(88)의 캠 외주면(100)에 접촉한다.
이때에는 위에서 제4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은 이미 트라니온(56)의 지름에 대략 대응하는 거리만큼 상승되어 있으며, 그 때문에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은 위에서 제4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이온(56)에 과격하게 충돌함이 없이 회전캠판(88)의 트라니온 수용홈(98)에서 진출할 수 있다.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이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캠판(86)의 트라니온 수용홈(94) 및 회전캠판(8)의 트라니온 수용홈(94) 및 회전캠판(88)의 트라니온 수용홈(95)의 작용에 의하여 비교적 고속으로 상승되는 동안에는 제1도를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5θ)의 하류단부 양측에 설치되어서 있는 캠블록(74)는 그 바로 아래축의 빈트래이(50)의 캠블록(74)위를 어느정도 하류로 향하여 활동시켜짐과 동시에, 전방에서 보아 반대시계방향으로 선회시켜진다.
회전캠판(86) 및 (88)은 또한 제4h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를 통하여서 다시 제4a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까지 회전이 계속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동안에도,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이 접촉하는 부위에 있어서 회전캠판(88)의 캠외주면(100)의 반지름은 점차로 증대하며, 위에서 제6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이 접촉내지 근접하는 부위에 있어서 회전캠판(86)의 캠외주면(96)의 반지름은 점차로 감소하며, 따라서 위에서 제1번째 내지 제10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은 점차 상승시켜진다.
회전캠(86) 및 (88)이 1회전되어서 다시 제4a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로되면,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에서 제4번째의 빈트래이(50)과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50)으로 대신하여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50)과 위에서 제6번째의 빈트래이(57)이 그들의 수입단으로 서로 상하방향으로 격리하며, 이와 같이 하여서 제2의 반송로울러 짝(16)의 작용에 의하여 반송되는 시이트가 위에서 제6번째위 빈트래이(50)위에 배출되는 상태로된다.
또한 회전캠판(8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캠판(88)을 반대시계방향으로 차례로 1회전마다 회전시키면 제2의 반송로울러 각(16)의 작용에 의하여서 반송되는 시이트가 차례로 위에서 제7번째로 내지 제10번째의 빈트래이(50) 위에 배출되는 상태로된다. 회전캠판(86) 및 (85)을 회전시키기위한 구동원(112)의 가동은 예로서 앞의 시이트의 후단이 검출기(48)(제2도)에 의하여 검출된 시점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고에 개시하면 좋다.
다른한편,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하는 상태, 즉 제2의 반송로울러짝(16)의 작용에 의하여서 반송되는 시이트가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50)위에 배출되는 상태에서 위에서 제4번째의 빈트래이(50) 위에 배출되는 상태로 시키기위하여는 이송구조(78)의 구동원(112)를 소정의 시간 가세시켜서, 상술한 경우와는 반대로, 회전캠판(86)을 반대시계방향으로 회전캠판(88)을 시계방향으로 1회전시키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제4a도 내지 제4h도를 상술한 경우와 반대방향으로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에서 제4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66)이 회전캠판(88)의 트라니온(56)이 회전캠판(88)의 트라니온 수용홈(98) 및 회전캠판(86)의 트라니온 수용홈(94)의 작용에 의하여서 소정의 거리만 비교적 고속으로 하강됨과 동시에 트라니온(56)의 전체가 트라니온(56)의 지름에 대응한 거리만 연속적으로 점차로 하강시켜진다.
이와 같이 하여서 위에서 4번째의 빈트래이(50)과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50)으로 대신하여 위에서 제3번째의 빈트래이(50)과 위에서 제4번째의 빈트래이(50)이 그들의 수입단(受入端)으로 서로 상하방향으로 격리하며, 이와 같이 하여서 제2의 반송로울러 짝(16)의 작용에 의하여 반송되는 시이트가 위에서 제4번째의 빈트래이(50)위에 배출되는 상태로 된다. 위에서 제4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이 회전캠판(88)의 트라니온 수용홈(98) 및 회전캠판(86)의 트라니온 소용홈(94)의 작용에 의하여서 비교적 고속으로 하강되는 동안에는 제1도를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에서 제4번째의 빈트래이(50)의 하류단부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캠블록(74)는 그 바로 하측의 빈트래이(50)의 캠블록(74) 위를 어느 정도 상류에 향하여 활동시켜짐과 동시에 전방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선회시켜진다. 회전캠판(86)을 반대 시계방향으로 회전캠판(88)을 시계방향으로 또한 차례로 1회전마다 회전시키면, 제2의 반송로울러짝(17)의 작용에 의하여서 반송되는 시이트가 차례로 위에서 제3번째 내지 제1번째의 빈트래이(50)위에 배출되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도시한 이송구조(78)에 있어서는, 같이 작동하는 한쌍의 회전캠판(86) 및 (88)에 각각 1개의 트라니온 수용홈(94) 및 (98)을 형성하고 있는바, 한쌍의 회전캠판(86) 및 (88)에 각각 원하는 각도간격을 두고 2개 또는 3개 이상의 트라니온 수용홈(94) 및 (98)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인접하는 2개의 트라니온 수용홈(94) 사이의 캠외주면(96)의 각각 및 인접하는 2개의 트라니온 수용홈(95) 사이의 캠외주면(100)의 각각을 최소의 반지름(a)에서 최대의 반지름(b)까지 반지름이 점차로 증대하는 소용돌이면, 바람직하게는 알주키메데스 소용돌이면으로 시킴과 동시에, 회전캠판(86) 및 (88)을 회전마다 회전시키는 것으로 대신하여, 트라이온 수용홈(94) 및 (98)의 수를 n로하면, 360°/n마다 회전시키면 좋다.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상기한 이송구조(78)에 의하면, 특정한 트라니은(56)(예로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50)의 트라니온(56))을 회전캠판(86) 및 (88)의 트라니온 수용홈(94) 및 (98)의 작용에 의하여서 소정의 거리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혹은 특정한 트라니온(56) (예로 위에서 제4번째의 빈트래이 50의 트라니온 56)을 회전캠판(86) 및 (88)의 트라니온 수용홈(94) 및 (98)의 작용에 의하여서 소정의 거리를 하강시키기 위하여, 회전캠판(86) 및 (88)을 1회전시 회전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캠판(86) 및 (88)을 이와 같은 1회전의 전체기간에 걸쳐서 트라니온(56)의 전체가 연속적으로 점차상승 혹은 하강된다.
그렇기 때문에, 트라니온(56)의 상승 혹은 하강은 충분하게 원활한 것이며, 과잉인 충격이 이루어지는 일이 없다. 따라 트라니온(56)의 이송을 충분하게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그리고 또 과잉마찰등을 수반하는 일이 없으며 장기간에 걸쳐서 기능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다른한편, 상기한 미국특허 제4,328,963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제네바 형상 회전캠형의 이송구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제5a도 내지 제5e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제네바 형상 회전캠형 이송구조는, 상술한 한쌍의 회전캠판(86) 및 (88)으로 대신하여서, 축(125)에 회전이 자재롭게 장착된 제네바 원판형상의 원판캠(126)을 구비하고 있다. 이 원판캠(126)에는, 상술한 회전캠판(86) 또는 (88)과 동일하게 반지름방향으로 연장하여 또한 반지름방향외단을 해방되어 있는 1개(또는 복수개)의 트라이온 수용홈(128)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원판캠(126)에 있어서는, 트라니온 수용홈(125)의 부위를 제외하고 둘레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캠외주면(130)은 소용돌이면은 아니며, 반지름 r이 일정한 원호면인 것이다.
이와같은 제네바 현상 회전캠형 이송구조에 있어서 예로서 위에서 제4번째의 빈트래이가 그들의 수입단으로 상호로 상하방향으로 격리시켜져 있는 상태에서,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와 위에서 제6번째의 빈트래이가 그들의 수입단으로 상호로 상하방향으로 이격시켜져서 있는 상태로 되는 때에는, 상기한 원판캠(126)이 시계방향으로 1회전시켜진다. 그리고 원판캠(126)이 제5a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에서 제5b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까지 회전시켜지는 동안은, 스프링수단(132)에 의한 상축에의 탄성의 솔리는 작용에 의하여, 위에서 제4번째의 빈트래이의 트라니온(134)도 빈트래이 등위, 중량에 의하여 원판캠(126)의 캠외주면(130)에 접촉시켜져 있다.
그러나, 원판캠(126)의 캠외주면(130)은 반지름(γ)이 일정한 원호면임으로 원판캠(126)이 제5a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에서 제5- 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까지 회전시켜지는 동안, 모든 빈트래이의 트라니온(134)은 상승되는 일이 없이 정지시켜지고 있다. 원판캠(126)이 제5β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를 넘어서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지면, 제5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 트라니온(134)는, 원판캠(126)의 트라니온 수용홈(128)에 진입하며, 따라서 원판캠(126)의 회전에 부수되어 비교적 고속으로 상승시켜지게 된다. 다른한편, 제5b도와 제5c도를 비교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5b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에서 트라니온 수용홈(128)의 폭(따라서 트라니온(134)의 지름)에 대응하는 작은 각도 범위에 걸쳐서 원판캠(12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순간에, 위에서 제6번째 저지 제10번째의 빈트래이의 트라니온(134)는 스프링수단(132)에 의한 상측에의 탄성의 쏠리는 작용에 의하여 트라니온(134)의 지름에 대응한 거리만 급격하게 상승되며 위에서 제6번째의 빈트래이의 트라니온(134)가 원판캠(126)의 캠외주면(130)에 충돌하게 된다.
원판캠(126)이 제5c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에서 제5d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까지 회전시켜지는 동안 은,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의 트라니온(134)는 원판캠(126)의 회전에 부수되어 비교적 고속으로 상승시켜지는바, 나머지의 빈트래이(즉, 위에서 제1번째 내지 제4번째 및 제6번째 내지 제10번째)의 트라이온(134)는 상승되는 일이 없이 정지시켜져 있다. 원판캠(126)이 제5d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를 넘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지면,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의 트라니온(134)는 원판캠(126)의 트라니온 수용홈(128)에서 진출하며, 원판캠(126)의 캠외주면(130)에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이때에는, 제5d도와 제5e도를 비교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라니온 수용홈(128)의 폭(따라서 트라니온 (134)의 지름에 대응하는 작은 각도 범위에 걸쳐서 원판캠(12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서 제5e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로 되는 순간에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의 트라니온(134)는, 그때까지 원판캠(126)의 캠외주면(139)에 접촉하여서 정지시켜져 있던 것의 위에서 제4번째의 빈트래이의 트라니온(134)에 충돌하며, 이어서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의 트라니온(134)의 상승에 따라서 위에서 제1번째 내지 제4번째의 빈트래이의 트라니온(134)가, 트라니온(134)의 지름에 대응한 거리만 급격하게 상승된다. 원판캠(126)이 제5e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를 넘어서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재차 제5a도에 도시하는 각도위치에 되돌아가는 동안은 모든 빈트래이의 트라니온(134)는 정지시켜져서 있다.
원판캠(126)이 시계방향이 아닌 것으로 반대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따라서 원판캠(126)의 트라니온 수용홈(128)의 작용에 의하여서 위에서 제4번째의 트라니온(134)가 비교적 고속으로 하강되는 경우에도, 제5a도 내지 제5e도를 상술한 경우와 반대방향으로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에서 제4번째의 트라니온(134)가 원판캠(126)의 트라니온 수용홈(128)에 진입할때 및 그 곳에서 진출할때에 상술한 바와 같은 충돌 및 급격한 하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제네바 형상 회전캠형 이송구조에 있어서는 특정한 트라니온(134)가 원판캠(126)의 트라니온 수용홈(128)에 진입할때 및 그곳에서 진출할때에 충돌 및 급격한 상승 또는 하강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종래의 제너바 형상의 회전캠형의 이송구조에 있어서도, 비교적 큰 잡음이 발생하며, 그리고 또 트라니온의 고속이 송에 정당하지 않다. 가하여 마모등에 의하여 비교적 짧은 기한내에 필요한 것 같은 기능이 수행될 수 없게되어 버린다.
제6도 내지 제8도는 상술한 캠블록(74)으로 대신하여서 빈트래이(50)의 하류단의 양측에 배설할 수 있는 독특한 구성의 캠수단(424)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캠수단(424)은 상하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빈트래이(50)에 관하여서 하측의 빈트래이(50)에 배설된 선회부재(426)와 상측의 빈트래이(50)에 배설된 계합돌기(428)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위에서 제2번째에서 제9번째(아래에서 제2번째)까지의 빈트래이(50)에는 선회부재(426)와 계합돌기(428)과의 쌍방이 배설되어 있는 것이 필요한 것인바, 위에서 제1번째의 빈트래이(50)에 있어서는 선회부재(426)가 생략되며 위에서 10번째(아래에서 제1번째)의 빈트래이(50)에 있어서는 계합들기(428)가 생략되어 있다. 제7도에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빈트래이(50)의 각각의 하류단부 양측에는 대략 장방체(長方體)형상의 클록(430)이 고정되어 있다.
적당한 합성수지로부터 형성할 수 있는 블록(430)의 내측면에는 빈트래이(50)의 하류단측연부를 받아들이는 홈(43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블록(430)은 적당한 접착제에 의하여 빈트래이(50)의 소요 위치에 접합할 수 있다. 블록(430)의 외측면에 있어서의 하류단부에는 폭방향 외측으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돌출하는 지지축(4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선회부재(426)는 이와 같은 지지축(432)에 선회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적당한 합성수지로부터 형성할 수 있는 선회부재(426) 자체는 대략 Z자 형상이며 기부(434)의 내측면에는 폭방향 내측 에 돌출하는 정지돌기(440)(제8도)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지돌기(440)는 블록(430)의 상면에 접하며, 선회부재(426)이 제8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실선을 넘어서 제8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는 것을 지지한다. 환언하면, 선회부재(426)는 그 정지돌기(44)가 블록(430)의 상면에 접하는 소정의 정지위치에서 제8도에 있어서 반대시계방향(즉 자유단부(438)가 상승시켜지는 방향)으로 선회가 자재롭게 장착되어 있다. 선회부재(426)의 자유단부(428)에는 상류측이 개방된 횡단면이 대략 원형의 凹부로 좋은 피계합부(442)가 형성되어 있다. 자유단부(428)에는 또한 피계합부(422)에서 상류측으로 연재하는 안내면(444)를 규정하는 돌출편(46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선회부재(426)와 같이 작동하는 상기한 계합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블록(430)의 외측면에서 폭방향외측에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계합돌기(428)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 내지 타원형인 것이 가장 적당한 것이다.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인접하는 빈트래이(50)가 통상적인 상태, 즉 이와 같은 빈트래이(50)의 상류단부가 상하방향으로 격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상측의 빈트래이(50)의 블록(430)을 하측의 빈트래이(50)의 블록(430) 위에 직접적으로 접하게하여서 상측의 빈트래이(50)의 하류단부가 하측의 빈트래이(50)의 하류단부강에 적중시켜져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의 상측의 빈트래이(50)의 계합돌기(428)를 하측의 빈트래이(50)의 안내면(444) 위에 위치시켜져서 있다. 상측의 빈트래이의 계합돌기(428)는 아직도 하측의 빈트래이(50)의 피계합부(442)에 계합하고 있지 않으며, 그럼으로 제6도에 있어서 위에서 제1번째의 빈트래이(50)에 관하여서 2점쇄선으로 예시함과 같이 상측의 빈트래이(50)의 하류단부를 수동에 의하여 상측으로 상승시켜(이때에는 빈트래이(50)는 그 상류단에 배설되어 있는 상기한 트라니온(56)을 중심으로 하여서 제6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선회시켜 진다). 인접하는 2개의 빈트래이(50)를 수동에 의하여서 대폭적으로 격리할 수 있다(이와 같은 격리는 양빈트래이(50) 사이에서 종이가 꽉찬 것이 발생하였을 때에 유용한 것이다).
제6도를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이해할 구 있는 바와 같이 특정한 빈트래이(50)의 상류단부를 그 바로 하측의 빈트래이(50)의 상류단부에서 상측으로 이격하기 위하여 특정한 빈트래이(50)의 상류단부를 상기한 이송구조(78)에 의하여서 상승시키면, 이송구조(78)에 의한 트리니온(56)의 이동은 실질적으로 연직한 방향인것 및 빈트래이(50)는 하류에 향하여 상측으로 경사져서 있는 것에 기인하여서 특정의 빈트래이(50)의 하류단부는 그 바로 하측이 빈트래이(50)의 하류단부가 하류방향으로 시동시켜지면,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특정한 빈트래이(50)에 있어서의 캠수단(424)의 계합돌기(428)가 그 바로 하측의 빈트래이(50)에 있어서의 캠수단(424)의 선회부재(426)가 안내면(444)위를 하류방향으로 어느정도 이동하여서 피계합부(442)내에 진입한다. 이어서 제8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함과 같이 계합돌기(428)의 하류방향에의 이동에 따라서 선호부재(426)가 소정의 방향(제8도에 있어서 반대 시계방향)으로 격리작용 위치까지 선회된다.
선회부재(426)의 이와 같은 선회에 의하여 계합돌기(428)는 선회부재(426)의 피계합부(442)와 동시에 상승시켜지며, 이와 같이 하여서 특정의 빈트래이(50)의 하류단부가 그 바로 하측의 빈트래이(50)의 하류단부에서 상측으로 격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서 그 상류단부와 동시에 그 하류단부도 하측의 빈트래이(50)의 상류단부가 이송구조(78)에 의하여 하강시켜질때에는 특정의 빈트래이(50)의 하류단부는 그 바로 하측의 빈트래이(50)의 하류 단부에 대하여서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진다.
이와 같이 하면, 특정의 빈트래이(50)에 있어서의 캠 수단(424)의 계합돌기(428)의 상류방향에의 이동에 부수되어서, 그 바로 하측의 빈트래이(50)에 있어서의 캠수단(424)의 선회부재(426)는 상기한 이격작용 위치에서 상기한 소정의 방향의 반대방향(제8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선회시켜져서 상기한 정지위치에 되돌아가게 된다.
이어서 계합돌기(428)는 선회부재(426)에 대하여서 상대적으로 상류방향으로 이동하며, 선회부재(426)의 피계합부(442)에서 이탈하여서 안내면(444)위에 이동한다.
특정의 빈트래이(50)의 상류단부가 이송구조(78)에 의하여서 상등 및 하강될때의 특정의 빈트래이(50)의 하류단부와 그 바로 하측의 빈트래이(50)의 하류단부와의 관계에 관하여 설명하였는바, 특정의 빈트래이(50)의 하류단부와 그 바로 상측의 빈트래이(50)의 하류단부가 상승시켜져서 그 바로 상측의 빈트래이(50)의 상류단부에 접근시켜지는 경우에는 특정의 빈트래이(50)의 하류단부는 그 바로 상측의 빈트래이(50)의 하류단부에 대하여서 하류방향으로 이동하여 따라서 그 바로 상측의 빈트래이(50)의 하류단부는 특정의 빈트래이(50)에 있어서 캠수단(424)의 선회부재(426)는 이격작용 위치에서 상기한 소정의 방향의 반대방향(제8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선회시켜지며, 이것에 의하여 특정의 빈트래이(50)의 하류단부는 그 바로 상측의 빈트래이(50)의 하류단부에 접근시켜진다.
특정의 빈트래이(50)의 상류단부가 하강시켜져서 그 바로 상측의 빈트래이(50)의 상류단부에서 하측으로 격기시켜지는 경우에는 특정의 빈트래이(50) 하류단부는 그 바로 상측의 빈트래이(50)의 하류단부에 대하여서 상류방향으로 이동하며, 따라서 그 바로 상측의 빈트래이(50)의 하류단부는 특정의 빈트래이(50)에 대하여서 상대적으로 하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면 특정의 빈트래이(50)에 있어서의 캠 수단(424)의 선회부재(426)는 정지위치에서 상기한 소정의 방향(제8도에 있어서 반대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켜지며, 이것에 의하여서 특정의 빈트래이(50)의 하류단부는 그 바로 상측의 반트래이(50)외 하류단부에서 하측으로 격리된다.
상기한 캠수단(424)에 있어서는 계합돌기(428)이 선회부재(426)에 작용하여서 이것을 소정의 방향으로 선회시키며, 이와 같이 하여서 특정의 빈트래이(50)의 하류단부가 상승시켜진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빈트래이(50)의 하류단부를 자동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하여 2개의 캠블록 사이의 활동으로 대신하여서 선회부재(426)의 선회운동을 이용하고 있으며, 그러므로 내구성을 증대하며, 불쾌한 소음의 발생을 회피하며, 높은 운동의 변환효율을 실현하여서 인접하는 빈트래이(50)하류단부를 충분히 크게 격리할 수 있다.
제9도 내지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소오터의 제2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9도 및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체를 번호(202)로 나타낸 도시된 소오터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 도시된 경우는 18개의 빈트래이(25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빈트래이(250)의 각각의 하류단부 양측에는, 어느 정도 상측에 돌출하며 이어서 폭방향 외측에 돌출하는 지지편(27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한편, 정지 지지틀체(204)에 있어서의 앞측 및 뒷측 직립측판(206) 및 (208)의 각각의 내면 하단부에는, 하류로 향하여서 상측으로 경사져서 연장하는 정지 지지부재(276)의 상류단이 고정되여 있다.
이와 같은 정지 지지부재(276)의 각각의 하류단부에는, 실질적으로 연직으로 상측에 연장하는 안내부재(277)의 각각의 저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상호로 평행으로, 하류에 향하여서 어느 정상측으로 경사져서 연장하는 복수개, 도시한 경우는 18개의 안내레일(279)이 형성되여 있다. 그리고, 빈트래이(250)에 형성되여 있는 상기한 지지편(274)의 폭 방향의 돌출부가 각각, 안내레일(279)의 각각 위에 재치되여 있다. 이와 같이 하여서, 빈트래이(250)의 각각의 하류단부는, 안내레일(279)의 각각에, 이것에 따라서 활동이 자재롭게 또한 선회가 가능하게 지지되여 있다.
제1도와 동시에 제1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소오터(202)에 있어서는, 상기한 정지 지지틀체(204)의 측판(206) 및 (208)의 각각의 외면에는, 대략 L자형성의 단면 형상을 갖는 보조측판(207) 및 (279)이 고정되여 있다.
그리고, 측판(206)과 보조측판(207)에 의하여서 규정되는 공간, 및 측판(208)과 보조측판(209)에 의하여 규정되는 공간에는, 각각 실질적으로 연직인 방향으로 활동이 자재로운 활동부재(221)가 배설되여 있다. 또한 상술하면, 상기한 보조측판(207) 및 (209)이 각각의 주요부 내면에는, 안내판(219)이 고정되여 있으며, 이와 같은 안내판(219)의 내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어서 실질적으로 연직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안내레일(223)이 일체로 형성되여 있다. 다른 한편 상기한 활동부재(221)의 각각의 폭 방향외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실질직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피안 내 레일(225)이 일체로 형성되여 있다. 제12도에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한쌍의 안내레일(223) 사이에 상기한 한쌍이 피안내 레일(225)이 삽입되며, 이와 같이 하여서 활동부재(221)의 각각은, 상기한 한쌍의 안내레일(223)에 안내되여서 실질적으로 연직인 방향으로 활동할 수 있다.
제12도에 도시함과 같이 앞측의 활동부재(221)와 뒷측의 활동부재(221)과의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하는 회전축(280)이 회전이 자재롭게 장치되여 있다.
제12도와 동시에 제13도를 참조하여서 설명하면, 소오터(202)에 있어서는, 제2의 안내판짝(214)에 있어서의 하측안내판(238)의 폭방향 양측에는 하측으로 늘어지는 수하편(239)이 일체로 형성되여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수하편(239)의 상류단부는, 상기한 정지 지지틀체(204)에 있어서의 측판(206) 및 (208)사이에 장착된 회전축(218)에 선회가 자재롭게 연결되여 있다.
제1의 반송로울러짝(212)의 하측로울러(220)가 고정되는 상기한 회전축(218)은, 제2의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는, 회전이 자재로움과 동시에, 제13도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필요한 범위에 걸쳐서 이동이 자재롭게, 상기한 정지 지지틀체(204)에 있어서의 측판(206) 및 (208)사이에 장착되여 있다.
다른한편, 상기한 수하편(239)의 하류단부는, 상기한 활동부재(221)에 장착된 상기한 회전축(280)에 선회가 자재롭게 장착되여 있다.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2의 안내판짝(214)에 있어서의 하측안내판(235)의 폭방향 앞측에는, 하측으로 늘어지는 지지부재(241)가 고정되여 있으며, 그리고 이와같은 지지부재 (241)에는 전동모우터로 좋은 구동원(312)가 장착되여 있다.
이와 같은 구동원(312)의 출력축(314)에는 치부 풀리(316)가 고정되여 있다. 다른한편. 상기한 회전축(280)의 앞측에도 치부풀리(310)이 고정되여 있으며, 이와같은 치부 풀리(310)과 상기한 치부 풀리(316)에 치부벨트(311)이 감아 걸쳐져서 되여 있다. 상기한 구동원(312) 치부 플리(316) 및 (310) 또한 치부벨트(311)는, 상술한 기어(290) 및 (292)와 동시에 전체를 번호(278)로 표시한 이송구조에 있어서 회전구동수단(318)을 구성한다.
즉, 구동원(312)이 가세되면, 상기한 회전캠판(286)이 시계방향으로 상기한 회전캠판(288)이 반대시계 방향으로, 혹은 상기한 캠판(286)이 반대시계 방향으로, 상기한 회전캠판(288)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진다.
제12도에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활동부재(221)에 장착된 상기한 회전축(280)의 중앙부에는, 상기한 회전축(280)과는 별개의 독립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중공원통형상의 회전축(230)이 장착되여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회전축(230)에, 제2의 반송로울러짝(216)에 있어서의 하측로울러(234)가 고정되여 있다.
제10도에 간략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앞측의 활동부재(221)과 뒷측의 활동부재(221)과의 사이에는, 또한 상기한 회전축(280) 및 (230)의 상측을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하는 회전축(232)이 회전이 자재롭게 장착되여 있다. 그리고, 이 회전축(232)에는, 제2의 반송로울러짝의 상측로울러(236)가 고정되여 있다. 제13도를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이해할 수 있는 바와같이 상기한 제2의 안내판짝(214)에 있어서의 상측안내판(222)의 하류부 양측에 형성되여 있는 돌출편(240)의 하류단부는, 상기한 회전축(232)에 선회가 자재롭게 연결되여 있다.
제12도 및 제13도를 참조하여서 설명하면, 상기한 제2의 안내판짝(214)에 있어서의 하측안내판(238)의 폭방향 뒷측에는, 하측에 늘어지는 지지부재(243)이 고정되여 있다. 그리고, 이 지지부재(243)에는, 전동모우터로 좋은 구동원(244)이 장착되여 있다.
이 구동원(244)의 출력축(245)에는 풀리(247)가 고정되여 있다. 상기한 지지부재(243)에는 짧은축(249)의 회전이 자재롭게 장착되여, 이 짧은축(249)에는 풀리(251)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회전축(218) 및 (230)의 폭방향 후단부에도 풀리(253) 및 (255)가 고정되여 있다. 그리고, 상기한 풀리(247)(251)(253) 및 (255)에는, 벨트(257)가 감아 걸쳐져서 있다. 이와 같이하여서, 구동원(244)가 가세되면, 제1의 반송로울러짝(212) 및 제2의 반송로울러짝(216)은 화살표(246)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제9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의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도, 빈트래이(250)의 각각의 상류단 가장자리 양측에는, 폭방향의 외측에 돌출하는 트자니온(256)이 고정되여 있다. 다른한편, 상기한 정지 지지틀체(204)에 있어서의 측판(206) 및 (208)의 각각에는 실질적으로 연직으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슬롯(258)이 형성되여 있다. 그리고, 빈트래이(250)의 트라니온(256)은 상기한 슬롯(255)을 관통하여서 폭방향의 외측에 돌출시켜져져 있다. 이와같이 하여서, 트라니온(256)의 각각은 슬롯(258)에 따라서 실질적으로 연직인 방향으로 적중되여 있다(단, 제9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는, 이송구조(278)의 작용에 의하여서 위에서 제7번째의 빈트래이(250)의 상류단과 위에서 제8번째의 빈트래이(250)의 상류단과는 연직방향으로 상호로 격리되여 있으며, 따라서 위에서 제1번째부터 제7번째 까지의 7개의 빈트래이(250)의 트라니온(256)은 상하방향으로 차례로 접촉시켜지며, 그리고 또 위에서 제8번째부터 제18번째까지의 11개의 빈트래이(250)의 트라니온(256)도 상하방향으로 차례로 접촉시켜져 있는바, 위에서 제7번째의 빈트래이(250)의 트라니온(256)과 위에서 제8번째의 빈트래이(250)의 트라니온(256)과는 상호로 격리되여 있다).
그리고, 제11도에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같이, 제2의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슬롯(258)의 연직 방향 길이 ℓ은 ℓ=18d+X, 여기서 d는 트라니온(256)의 지름이며, X는(이송구조)(278)의 작용에 의하여 상호로 격리되는 2개의 트라니온(256)사이의 간격인 이것에 설정되여 있다. 따라서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는, 위에 제1번째의 빈트래이(250)의 트라니온(256)은, 슬롯(258)의 상단에 당접 내지 근접하며, 따라서 위에서 제1번째 내지 제8번째의 빈트래이(250)의 트라니온(256)은 상승할 수 없다. 또, 아래에서 제1번째(위에서 제18번째)의 빈트래이(250)의 트라니온(256)는, 슬롯(258)의 하단에 접하며, 따라서 위에서 제9번째 내지 제18번째의 빈트래이(250)의 트라니은(256)은 하강할 수 없다. 상기한 슬롯(258)의 상기한 길이 ℓ를 필요치에 충분히 정밀하게 설정하기 위하여, 원한다면, 제1의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의 조절나사(70)과 같은 위치조절이 자재로운 적당한 조절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서, 상기한 슬롯(258)의 상단 및/또는 하단을 설정할 수도 있다.
다시 또, 원하면 슬롯(258)의 상단 및/또는 하단에, 트라니온(256)에 작용하는 나사수단(도시하지 않음)을 배설할 수도 있다.
제2의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의 상술한 구성이외는, 상술한 제1의 구체적인 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이들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의 구체적인 예의 작용효과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소오터(202)는 제1의 구체적인 예와 동일하게 예로 정전복사기(320)에 조합시켜서 사용된다. 복사기(320)의 배출로울러짝(322)에 의하여 복사기(320)에서 배출되는 시이트(복사지)는, 제1의 안내판짝(211)사이를 통하여서 제1의 반송로울러짝(212)에 송급되며, 그리고 제1의 반송로울러짝(212)의 작용에 의하여 제2의 안내판짝(214)를 통하여서 제2의 반송로울러짝(216)에 송급되며, 그런뒤에 제2의 반송로울러짝(216)의 작용에 의하여 복수개의 빈트래이(250)의 어느것에 배출된다. 제9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함과 같이, 위에서 제7번째의 빈트래이(250)과 위에서 제8번째의 빈트래이(250)이 그들의 수입단으로 상호로 상하방향에 격리시켜져 있어서 양자간에 시이트 수입구가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제2의 반송로울러짝(216)의 작용에 의하여서 반송되는 시이트는, 위에서 제8번째의 빈트래이(250) 위에 배출된다.
제9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이송구조(278)의 구동원(312) (제12도)를 소정의 시간 가세시켜서, 회전캠판(28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캠판(288)을 반대시계방향으로 1회전시키면, 위에서 제8번째의 빈트래이(250)와 위에서 제9번째의 빈트래이(25)가 그들의 수입단으로 상호로 상하방향으로 격리되며, 제2의 반송로울러짝(216)의 작용에 의하여서 반송되는 시이트는, 위에서 제9번째의 빈트래이(250)위에 배출되는 상태로 된다.
또한, 상술하면 회전캠판(28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캠판(288)이 반대시계방향으로 1회전시켜지면, 제1의 구체적인 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회전캠판(286)의 캠 외주면(296)에 접촉하여 있던 것의 위에서 제8번째의 빈트래이(250)의 트라니온(256)은, 회전캠판(286)의 트라니온 수용홈(294)에 진입하며, 이어서 회전캠판(286)의 트라니온 수용홈(294)에서 진출하여서 회전캠판(288)의 트라니온 수용홈(298)에 진입하며, 그런뒤에 회전캠(288)의 트라니온 수용홈(298)에서 진출하여서 회전캠판(288)의 캠외주면(300)에 접촉하도록 되며, 이것에 의하여서 제2의 반송로올러짝(216)의 상측에 상승시켜진다. (제4a도 내지 제4h도도 참조되기 바란다).
다른한편, 제1의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는, 회전캠판(8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캠판(88)이 반대시계 방향으로 1회전시켜지는 사이에는, 트라니온(56)의 전체가 점차로 상승시켜진다. 그러나, 제2의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는, 회전캠판(286) 및 (288)의 트라니온 수용홈(294) 및 (298)의 작용에 의하여서 비교적 고속으로 상승시켜지는 특정의 트라니온, 즉 위에서 제8번째의 빈트래이(250)의 트라니온(256), 이외의 트라니온(256)은 상승할 수 없으며, 한편 회전캠판(286) 및 (288)이 장착되여 있는 활동부재(221)는 승강이 자재로운 것이다. 그럼으로, 회전캠판(28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캠판(288)이 반대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서, 위에 서 제8번째의 빈트래이(250)의 트라니온(256)이 회전캠판(286)의 트라니온 수용홈(294)에 진입하기까지는 위에서 제8번째의 빈트래이(250)의 트라니온(256)이, 그런뒤에는 위에서 제9번째의 빈트래이(250)의 트라니온(256)이 접촉하는 부위에 있어서, 회전캠판(286)의 캠외주면(296)의 반지름이 점차로 감소하며, 동시에 위에서 제8번째의 빈트래이(250)의 트리니온(256)이 회전캠판(288)의 트리니온 수용홈(298)에서 진출하기 까지는 위에서 제7번째의 빈트래이(250)의 트라니온(250)이, 그런뒤에는 위에서 제8번째의 빈트래이(250)의 트라니온(256)이 접촉하는 부위에 있어서 회전캠판(288)의 캠 외주면(300)의 반지름이 점차로 증대하면, 이것에 따라서 회전캠판(286) 및 (288)이 장착되여 있는 활동부재(221)이 점차로 하강한다. 그리고, 회전캠판(28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캠판(288)이 반대시계 방향으로 1회전 시켜지는 동안의 활동부재(221)의 하강량은 1개의 트라니온(256)의 지름에 대응한다. 제13도를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같이, 활동부재(221)이 하강되면, 제2의 반송로울러짝(216)은 활동부재(221)에 장착되여 있으므로, 제2의 반송로울러 짝(216)도 하강된다.
그리고 제2의 반송로울러짝(216)의 하강에 따라서 제2의 안내판짝(214)는, 그 상류 단부가 제13도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시켜지는 동시에, 상류단부(또한 상세하게는 회전축(218))을 회전중심으로 하여서 제13도에 있어서 반대시계 방향으로 선회시켜진다. 이와같이 하여서, 제2의 반송로울러짝(216)에 의하여 반송되는 시이트가 위에서 제9번째의 빈트래이(250)위에 배출되는 상태가 확립된다.
제9도 및 제10도를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이해할 수 있는 바와같이, 위에서 제8번째의 빈트래이(250)의 트라니온(256)이 상술한 바와같이하여서 비교적 고속으로 상승되는 동안에는, 위에서 제8번째의 빈트래이(250)의 하류단측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편(274)가 안내부재(277)의 안내레일(279)위를 어느 정도 하류에 향하여서 활동시켜짐과 동시에, 앞측에서 보아 반대시계 방향으로 선회시켜진다.
회전캠판(28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캠판(288)을 반대시계 방향으로, 차례로 1회전마다 회전시키면, 제2의 반송로울러짝(216)의 작용에 의하여서 반송되는 시이트가 차례로 위에서 제10번째 내지 제18번째의 빈트래이(250)위에 배출되는 상태로 된다.
회전캠판(286) 및 (288)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원(312)의 가세는 제1의 구체적인 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앞서서의 시이트의 후단이 검출기(248)(제10도)에 의하여서 검출된 시점에서 소정의 시간 경과후에 개시하면 좋다.
검출기(248)자체는, 제1의 안내판짝(211)의 하축안내판(217)에 장착할 수 있다. 회전캠판(28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캠판(288)을 반대시계방향으로 차례로 1회전마다 회전시켜서, 아래에서 제1번째(위에서 제18번째)의 빈트래이(250)위에 시이트가 배출되는 상태(이와같은 상태에 있어서는, 아래에서 제1번째의 빈트래이(250)의 트라니온(256)이 회전캠판(286)의 캠외주면(296)에 접촉하며, 아래에서 제2번째의 빈트래이(250)의 트라니온(256)이 회전캠판(288)의 캠외주면(300에 접촉한다)로 시키면, 활동부재(221)은 제11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한 최하의 위치로 된다.
이와 같이하면 활동부재(221)에 고정된 작동편(273)이 축판(206)에 고정된 검출기(271)의 검출암에 작용하며, 이와같이하여 활동부재(221)이 최하의 위치로된 것이 검출된다.
다른한편, 제9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이송구조(278)의 구동훤(312) (제12도)를 소정의 시간 가세시켜서, 회전캠판(286)을 반대시계 방향으로 회전캠판(288)을 시계방향으로 1회전시키면, 위에서 제6번째의 빈트래이(250)와 위에서 제7번째의 빈트래이(250)가 그들의 수입단으로 상호로 상하방향으로 격리되며, 제2의 반송로울러짝(216)의 작용에 의하여서 반송되는 시이트는, 위에서 제7번째의 빈트래이(250)위에 배출되는 상태로 된다. 또한 상세하게 설명하면, 회전캠판(286)이 반대시계 방향으로 회전캠판(288)이 시계방향으로 1회전 시켜지면, 제1의 구체적인 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회전캠외주면(300)에 접촉하여 있던것의, 위에서 제7번째의 빈트래이(250)의 트라니온(256)는, 회전캠판(288)의 트라니온수용홈(298)에 진입하며, 이어서 회전캠판(288)의 트라니온수용홈(298)에서 진출하여 회전캠판(286)의 트라니온수용홈(294)에 진입하며, 그런뒤에 회전캠판(286)의 트라니온수용홈(294)에서 진출하여 회전캠판(286)의 캠외주면 (296)에 접촉하도록 되며, 이것에 의하여서 제2의 반송로울러짝(216)의 하측에 하강시켜진다. 그리고 또, 회전캠(286)이 반대시계 방향으로 회전캠판(288)이 시계방향으로 1회전 시켜지는 동안에는, 상술한 경우와는 반대로, 회전캠판(286) 및 (288)이 장착되여 있는 활동부재(221)이 1개의 트라니온(256)의 지름에 대응하는 량만 점차로 상승시켜진다. 제13도를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이해할 수 있는 바와같이 활동부재(221)이 상승되면, 제2의 반송로울러짝(216)은 활동부재(221)에 장착되여 있으므로, 제2의 반송로울러짝(216)도 상승된다.
그리고, 제2의 반송로울러짝(216)이 상승에 따라서, 제2의 안내판짝(214)은 그 상류단부가 제13도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어느 정도 시동시켜지는 동시에, 상류단부(또는 상세하게는 회전축(218))을 회전중심으로 하여서 제13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선회시켜진다. 이와같이하여서, 제2의 반송로울러짝(216)에 의하여 반송되는 시이트가, 위에서 제7번째의 빈트래이(250)위에 배출되는 상태가 확립된다.
제9도 및 제10도를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이해할 수 있는 바와같이, 위에서 제7번째의 빈트래이(250)의 트라니온(256)이 상술한 바와같이하여서 비교적 고속으로 하강되는 동안에는 위에서 제7번째의 빈트래이(250)의 하류단부 양측에 설치되여 있는 지지편(274)가 안내부재(277)의 안내레일(279)위를 어느 정도 상류로 향하여서 활동시켜지는 동시에, 앞측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선회 시켜진다.
회전캠판(286)을 반대시계 방향으로 회전캠판(288)을 시계방향으로 차례로 1회전마다 회전시키면, 제7의 반송로울러짝(216)의 작용에 의하여서 반송되는 시이트가 차례로 위에서 제6번째 래지 제1번째의 빈트래이(250)위에 배출되는 상태로 된다. 시이트가 위에서 제1번째의 빈트래이(250)위에 배출되는 상태에 있어서는, 모든것의 빈트래이(250)의 트라니온(256)은, 제2의 반송로울러짝(216)의 하측에 위치하며, 위에서 제1번째의 빈트래이(250)의 트라니온(256)이 회전캠판(286)의 캠외주면(296)에 접촉한다.
제2의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는, 특정의 트라니온(276)(예로 위에서 제8번째의 빈트래이 250의 트라니온(256)을 회전캠판(286) 및 (288)의 트라니온수용홈(294) 및 (298)의 작용에 의하여서 소정의 거리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혹은 특정의 트라니온(256)(예로 위에서 제7번째의 빈트래이 250의 트라니온 256)을 회전캠판(286) 및 (288)의 트라니온수용홈(294) 및 (298)의 작용에 의하여서 소정의 거리잔 하강시키기 위하여, 회전캠판(286) 및 (288)을 1회전 회전시키면, 상술한 바와같이 회전캠판(286) 및 (288)의 이와 같이 1회전의 전체 기간에 걸쳐서, 회전캠판(286) 및 (288)이 장착된 활동부재(221)가 연속적으로 점차로 하강 혹은 상승된다.
그럼으로, 활동부재(221)의 상승 및 하강은 충분히 원활하며, 종래의 제네바 형상 회전캠형의 이송구조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루어지는 과잉인 충격 및 활동부재의 급격한 하강 혹은 상승이 이루어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트라니온(256)의 이송(및 활동부재(221)의 상승 혹은 하강)을 충분히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그리고 또 과잉마찰 등을 수반함이 없이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한 기능을 할 수 있다.
제9도 내지 제13도에 도시한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는, 빈트래이(250)의 하류단부 양측의 상측에의 이동이, 안내부재(277)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레일(279)에 의하여서 제한되여 있다.
따라서 예로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250)과 위에서 제6번째의 빈트래이(250)와의 사이에서 시이트가 꽉 찬 경우에, 위에서 제1번째 내지 제5번째의 빈트래이(250)의 하류단부를 들어올려서 위에서 제5번째의 빈트래이(250)과 위에서 제6번째의 빈트래이(257)와 사이를 대폭적으로 격리할 수 없으며, 꽉 찬 시이트의 제거가 반드시 용이하다고 할 수 없다.
제14도 내지 제17도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한 빈트래이의 하류단부의 지지방시의 수정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6도를 참조하여서 설명하면, 빈트래이(506)은, 그 하류 단부양측에 지지편(538)이 일체로 형성되여 있다. 이와 같은 지지편(538)은, 빈트래이(506)의 본체에 있어서와 하류단부와 측가장자리에서 폭방향 외측에 돌출하는 돌출부(542)를 가진다. 상기한 입상부(540)는, 제17도를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측에 향하여서 약간 폭방향 외측에 경사시켜져 있다. 제16도에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찬 입상부(540)는, 상특에의 돌출 높이가 하류에 향하여서 점차로 증대한 3각 형상이며, 상기한 돌출부(542)는 구형상이다. 따라서, 돌출부(542)는, 빈트래이(506)의 본체에 있어서의 측가장자리에 대하여서 약 20 내지 30도로 좋은 겅사각도 a를 이루어 하류에 향하여서 상측에 경사시켜져 있다. 제16도와 동시에 제 17도를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빈트래이(506)에 설치되여 있는 상기한 지지편(538) 중의 입상부(540)는, 모든 빈트래이(506)에 대하여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지지편(538) 중의 돌출부(542)는 그 폭방향 외측에의 돌출량이 상측의 빈트래이(506)에서 하측의 빈트래이(506)에 향하여서 단계적으로 감소시켜져 있다.
위에서 제1번째의 빈트래이(506)에 있어서의 돌출부(542)의 폭방향 돌출량ℓ max에 대하여서, 하측의 빈트래이(506)에 있어서 돌출부(542)의 폭방향 돌출량 ℓ은 소정의 량 C1씩 단계적으로 감소시켜져 있으며, 위에서 제n번째의 빈트래이(506)에 있어서의 돌출부(542)의 폭방향 돌출량 1n은, 1n=1max-(n-1)C 에 설치되여 있다. 그리고, 아래에서 제1번째의 빈트래이(506)에 있어서는, 상기한 입상부(540)는 형성되여 있는 바, 돌출부(542)는 형성되여 있지 않다.
한편 제14도 및 제1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정지 지지틀체(204)에는 전체를 번호 544로 표시한 지지플레임이 부설되여 있다. 이 지지플레임(544)은, 정지 지지틀체(204)의 앞측 및 뒷측직립측판(206) 및 (208)의 각각에 고정된 상류단에서 하류에 향하여서 상측으로 경사져서 연장하는 연재부(546)과, 이와 같은 연재부(546)의 각각의 하류단에서 상측으로 향하여서 폭방향외측에 경사져서 연장하는 경사부(548)와, 이와 같은 경사부(548)의 각각에서 실질적으로 연직으로 상측으로 연장하는 직립부(550)와, 이와 같은 직립부(550) 사이를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하는 수평부(552)를 가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지지플레임(544)의 하류단부 양측에는 안내부재(554)가 고정되여 있다. 원컨대, 지지플레임(544)과 일체로 안내부재(554)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15도 및 제17도를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빈트래이(506)의 하류단부 양측에 대향하여서 위치하는 상기한 안내부재(544)의 각각은, 측면도에 있어서는 대략 평행 4변형이며 (제15도 참조). 하류측에서 본 단면도에 있어서는, 상기한 지지플레임(544)의 경사부(548)에 따라서 상측으로 향하여서 연장하여 있다. 안내부재(554)의 각각의 내면은, 제17도에 명확하게 도시되여 있는 바와 같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향하여서 단계적으로 폭방향 내측으로 변위시켜진 복수개의 안내면을 가지는 계단형태로 시켜져 있다. 도시한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는, 안내부재(554)의 각각의 내면은, 상측으로 향한 18개의 안내면(556)을 가진다. 위에서 제1번째의 안내면(556)에서 제17번째(즉 아래에서 제2번째)의 안내면(556)까지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안내면(556) 사이의 폭방향 변위량 C2및 상하방향 단차 h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폭방향 변위량 C2는, 빈트래이(506)에 있어서의 지지편(538)의 돌출부(542)에 관하여서 언급한 상기한 소정량 C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되여 있다.
다른 한편, 아래에서 제1번째의 안내면(556)과 아래에서 제2번째의 안내면(556)과의 사이의 단차 ha는, 다른 단차 h보다도 크게 설정되여 있다(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아래에서 제1번째의 빈트래이 506에는 돌출구 542가 형성되여 있지 않은 것에 대응하고 있다) 제15도를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명백하게 이 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안내부재(554)의 각각의 내면에 형성되여 있는 복수개의 안내면(556)은, 약 40도 내지 50도로 좋은 경사각도 β를 이루고, 하류로 향하여서 상측으로 경사져서 연장하여 있는 것이 가장 적당한 것이다.
제15도 및 제17도를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빈트래이(506)의 각각의 하류단부는, 지지편(538)의 돌출부(542)를 대응하는 안내면(556) 위에 재치하는 것에 의하여서 지지된다.
즉, 위에서 제1번째의 빈트래이(506)위에 재치되며, 위에서 제n번째의 빈트래이(506)의 돌출부(542)는, 안내부(554)에 있어서의 위에서 제n번째의 안내면(556)위에 재치된다. 단, 도시한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아래에서 제1번째의 빈트래이(506)에는 돌출부(542)가 형성되여 있지 않으며,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에서 제1번째의 빈트래이(506)의 하류단부는, 그 본채 자체의 양측연부를 직접적으로 안내부재(554)에 있어서의 아래에서 제1번째의 안내면(556)위에 재치시키는 것에 의하여서, 필요한 위치에 지지되여 있다.
상술한 이송구조(278)의 작용에 의하여서 특정의 빈트래이(506)의 상류만이 상승 또는 하강 될 때에는, 상기한 특정의 빈트래이(506)의 돌출부(542)는, 그것이 재치되여 있는 안내면(566)에 따라서 하류방향 또는 상류방향으로 활동시켜짐과 동시에, 상기한 안내면(556)에 대하여서 어느 정도 선회시켜진다.
제15도를 참조하여서 또한 상세히 설명하면, 제15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위에서 제8번째의 빈트래이(506)의 트라니온(256)이 이송구조(278)의 작용에 의하여 소정의 거리만 상승시켜지는 동안에는, 위에서 제8번째의 빈트래이(506)의 돌출부(542)는, 안내부재(544)에 있어서의 위에서 제8번째의 안내면(556)에 따라서 어느 정도 하류방향으로 활동함과 동시에 약간 반대시계 방향으로 선회시켜진다. 반대로, 제15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위에서 제7번째의 빈트래이(506)의 트라니온(256)이 이송구조(278)의 작용에 의하여서 소정의 거리만 하강되는 동안에는, 위에서 제7번째의 빈트래이(506)의 돌출부(542)는, 안내부재(554)에 있어서의 위에서 제7번째의 안내면(556)에 따라서 어느 정도 상류방향으로 활동함과 동시에 약간 시계방향으로 선회시켜진다.
제14도 내지 제17도에 도시한 수정예에 있어서는, 안내부재(554)에 있어서의 복수개의 안내면(556)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향하여서 단계적으로 폭방향 내측에 변위, 환언하면 하측에서 상측으로 향하여서 단계적으로 폭방향 외측에 변위시켜져 있다.
그러므로, 특정의 빈트래이(506)의 하류단부의 상승이 그것보다 상측의 빈트래이(506)를 위한 안내면(556)에 의하여서 저해되는 일이 없으며, 특정의 빈트래이(506)의 하류단부는, 그것에서 상측의 빈트래이(506)의 하류단부와 동시에 자유로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예로 위에서 제7번째의 빈트래이(506)과 위에서 제8번째의 빈트래이(506)와 사이에서 시이트가 꽉 찬 경우에, 제15도에 그 점쇄선으로 표시함과 같이 위에서 제1번째 내지 제7번째의 빈트래이(506)의 하류단부를 수동에 의하여 상승시켜서, 이들의 빈트래이(506)을 각각 상류단에 있어서의 트라니온(256)을 중심으로 하여서 선회시키며, 이와 같이 하여서, 위에서 제7번째의 빈트래이(506)과 위에서 제8번째의 빈트래이(506)와의 사이를 대폭적으로 격리하여서, 꽉 찬 시이트를 충분히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 바,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체적인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여러가지의 변형 내지 수정이 가능한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빈트래이이며, 그 복수개의 빈트래이의 각각은 그 적어도 한쪽편에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트라니온(trunion)을 갖이며, 그 트라니온은 상하방향으로 적중배치되며, 또한 적중 방향으로 소정의 이동경로를 따라서 이동이 자재로운 것에 복수개의 빈트래이와, 그 트라니온을 1개마다 차례로 그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서 상승 및 하강시키며, 인접하는 빈트래이를 차례로 그들의 시이트 수입단에서 상호로 격리시켜서 시이트 수입구를 이루는 이송구조를 구비한 소오터(sorrier)에 있어서, 그 이송구조는, 같이 작동하는 한쌍의 회전캠판과 회전구동구단을 구비하며, 그 한쌍의 회전캠판의 각각은,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하며 또한 반지름방향 외단은 개방되여 있는 적어도 1개의 트라니온 수용홈과, 그 트라니온 수용홈의 부위를 제외하여서 둘레방향으로 연속하여서 연장하는 캠외주면을 가지며, 그 캠외주면은 소정의 회전방향으로 보아 반지름이 점차로 증대하는 소용돌이면이며, 그 한쌍의 회전캠판은, 그들의 회전 중심축선이 그소정의 이동경로를 사이에 끼워서 그 양측에 위치하며, 그들의 회전 중심축선을 연결하는 직선이 그 소정의 이동경로를 경사지게 가로지르며, 또한 상호로 소정의 회전각도 관계에, 그들의 회전중심축선을 연결하는 그 직선과 그 소정의 이동경로와의 교차부에 있어서 상호로 접촉 내지 근접하도록 배치되며, 그 회전 구동수단은, 그 한쌍의 회전캠판을 상호로 반대방향으로 동기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오터.
  2. 제1항에 있어서, 그 한쌍의 회전캠판의 각각의 그 첨외주면은, 회전각도와 반지름의 증대와의 율이 일정한 알키메데스(ARCHIMEDES) 소용돌이면을 가진 소오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그 트라니온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이며, 그 한쌍의 회전캠판의 각각의 그 캠외주면에 있어서의 최대의 반지름과 최소의 반지름의 차는 그 트라니온의 직경에 대응하고 있게 하여서 된 소오터.
  4. 적중 배치되며, 또한 적중 방향으로 소정의 이동경로에 따라서 이동이 자재로운 복수개의 트라니온을 위한 이송구조로서, 같이 작동하는 한쌍의 회전캠판과 회전구동구단을 구비하며, 그 한쌍의 회전캠판의 각각은,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하며, 또한 그 트라니온 수용홈의 부위를 제외하여서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서 연장하는 캠외주면을 가지며, 그 캠외주면은 소정의 회전방향으로 보아 반지름이 점차로 증대하는 소용돌이면이며, 그 한쌍의 회전캠판은, 그들의 회전중심축선이 그 소정의 이동경로를 사이에 끼워서 그 양측에 위치하며, 그들의 회전중심축선을 연결하는 직선이 그 소정의 이동경로를 경사지게 가로지르며, 또한 상호로 소정의 회전각도 관계에, 그들의 호전중심축선을 연결하는 그 직선과 그 소정의 이동경로와의 교차부에 있어서 상호로 접촉 내지 근접하도륵 배치되며, 그 회전 구동수단은, 그 한쌍의 회전캠판을 상호로 반대방향으로 동기회전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구조로서 된 소오터.
  5. 제4항에 있어서, 그 한쌍의 회전캠판의 각각의 그 캠외주면은, 회전각도와 반지름의 증대와의 율이 일정한 알키메데스 소용돌이면을 가진 이송구조로서 된 소오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그 트라니온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이며, 그 한쌍의 회전캠판의 각각의 그 캠외주면에 있어서의 최대의 반지름과 최소의 반지름의 차는 그 트라니온의 지름에 대응하고 있는 이송구조로서 된 소오터.
  7.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빈트래이와,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빈트래이의 상류단부를 상하방향으로 격리하기 위하여, 빈트래이의 상류단부를 적당하게 승강이동시키는 이송구조를 포함하며, 상류단부가 상승되면 하류방향으로, 상류단부가 하강되면 상류방향으로 이동시켜지는 빈트래이의 하류단부는, 인접하는 빈트래이의 상류단부의 상하방향의 격리에 따라서 한류단부를 상하방향으로 격리시키는 캠수단에 의하여서 상호로 적중되여서 있는 소오터에 있어서, 그 캠수단은 하측의 빈트래이에 배설된 선화부재와 상측의 빈트래이에 배설된 계합돌기를 포함하며, 그 선회부재는 상류측에서 그 계합돌기를 받아들일 수 있는 피계합부를 가지며 또한 소정의 정지위치에서 그 피계합부가 상승시켜지는 소정의 방향으로 선화가 자재 좁게 장착되여 있으며, 상측의 빈트래이의 상류단부가 상승되여서 그 하류단부가 하류방향으로 이동시켜지면, 그 계합돌기가 그 피계합부에 받아들여져서 그 선회부재를 그 소정의 방향으로 선회시키며, 이와 같이 하여서 상측의 빈트래이의 하류단부가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오터.
  8. 제7항에 있어서, 그 선회 부재의 그 피계하부는 상류측이 개방된 凹부이며, 그 凹부의 상류측에는 안내면이 설치되여 있으며, 인접하는 빈트래이의 상류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격리되여 있지 않을 때에는, 그 계합돌기는 그 안내면상에 위치하여서 된 소오터.
  9. 제7항에 있어서, 그 캠수단은 인접하는 빈트래이의 하류단부의 양측으로 각각 설치하여서 된 소오터.
KR1019880009564A 1987-07-28 1988-07-28 소 오 터 KR920001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86694 1987-07-28
JP?62-186694 1987-07-28
JP62186694A JPH0717306B2 (ja) 1987-07-28 1987-07-28 積重配置トラニオン移送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ソ−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726A KR890002726A (ko) 1989-04-11
KR920001975B1 true KR920001975B1 (ko) 1992-03-07

Family

ID=16192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564A KR920001975B1 (ko) 1987-07-28 1988-07-28 소 오 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301538B1 (ko)
JP (1) JPH0717306B2 (ko)
KR (1) KR920001975B1 (ko)
DE (1) DE386630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3691A (ja) * 1989-10-31 1991-06-19 Ikegami Tsushinki Co Ltd スティプラ付ソータ
JP2735902B2 (ja) * 1989-10-31 1998-04-02 池上通信機株式会社 スティプラ付ソータ
JP2695026B2 (ja) * 1990-01-16 1997-12-24 池上通信機株式会社 スティプラ付ソータ
JP2695034B2 (ja) * 1990-07-10 1997-12-24 池上通信機株式会社 ソータ
JPH0475960A (ja) * 1990-07-13 1992-03-10 Ikegami Tsushinki Co Ltd ソータ
KR940000374B1 (ko) * 1991-03-12 1994-01-19 주식회사 신도리코 복사지 분류기(Sorter)의 트레이 이송장치
CN111938431B (zh) * 2020-07-24 2022-01-28 六安索伊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全自动胶囊咖啡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2555A (ja) * 1982-05-31 1983-12-10 Olympus Optical Co Ltd シ−ト分類装置
US4580775A (en) * 1984-03-02 1986-04-08 Ikegani Tsushinki Company, Ltd. Sheet sorting apparatus
JPS60223764A (ja) * 1984-04-20 1985-11-08 Canon Inc シ−ト分配装置
JPS6118267U (ja) * 1984-07-06 1986-02-01 ミノルタ株式会社 ソ−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66301D1 (de) 1992-01-02
EP0301538B1 (en) 1991-11-21
KR890002726A (ko) 1989-04-11
EP0301538A1 (en) 1989-02-01
JPH0717306B2 (ja) 1995-03-01
JPS6434865A (en) 1989-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8963A (en) Compact sorter
CA1207704A (en) Apparatus for sorting photocopies
US4332377A (en) Compact sorter
KR920001975B1 (ko) 소 오 터
JPH08225224A (ja) オフセットスタッカートレイアセンブリ
US4843434A (en) Random access sheet receiver
CN208946230U (zh) 筒管废丝切割装置的进料机构
US4878660A (en) Sorter
CA1230896A (en) Sheet sorting machine with travelling bin sorter
US4872663A (en) Sheet sorter apparatus
US4854571A (en) Sheet sorting device
US4962920A (en) Sheet sorting device
US4148475A (en) Sheet sorting device
US5845901A (en) Parallel moving tray sorter
JP2565364B2 (ja) シート分類装置
US4941657A (en) Sheet sorting device
US4863155A (en) Compact sorter for copying machine
KR940000374B1 (ko) 복사지 분류기(Sorter)의 트레이 이송장치
GB2154219A (en) Sheet deflector and conveyor drive
US4982941A (en) Slotted link side-to-side jogging apparatus
KR940000372B1 (ko) 복사지 분류장치(Sorter)의 트랜스퍼 휠
US4179115A (en) Sheet feeding and collating apparatus
WO1991013018A1 (en) A sorter unit for sorting separate sheets into bins
JPH0525790B2 (ko)
CA1234174A (en) Sheet sor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