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528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528B1
KR920001528B1 KR1019830004319A KR830004319A KR920001528B1 KR 920001528 B1 KR920001528 B1 KR 920001528B1 KR 1019830004319 A KR1019830004319 A KR 1019830004319A KR 830004319 A KR830004319 A KR 830004319A KR 920001528 B1 KR920001528 B1 KR 920001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heat
machine room
passag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4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059A (ko
Inventor
히테오 오지아미
요시나리 나고야
료우이지 후지모도
스스무 야마자기
노부히고 사사모도
신이지 이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쓰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쓰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40006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6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incoming air flow
    • F25D2323/00265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incoming air flow through the front top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6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incoming air flow
    • F25D2323/00266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incoming air flow through the bott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7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out-flowing air
    • F25D2323/0027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out-flowing air from the back 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7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out-flowing air
    • F25D2323/00273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out-flowing air from the back cor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장고
제1도는 종래 냉장고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냉장고의 중요부를 분해한 설명도.
제3도는 종래의 냉장고의 중요부를 절단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냉장고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제4도에 중요부를 분해한 설명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냉장고의 중요부를 절단한 사시도.
제7도는 크린 카바와 주 응축기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냉동 사이클 배관의 설명도.
제9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냉장고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제9도는 뒷면을 나타내고, 또한 제10도는 앞면과 천정면을 제외한 3면이 막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냉장고의 중요부를 절단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냉장고 본체 22 : 냉장고 내부
23 : 냉동실 문 24 : 냉장실 문
25 : 외부 상자 26 : 천정판
27 : 측면판 28 : 뒷면판
29 : 바닥판 30 : 압축기
31 : 서리 제거용수 증발접시 32 : 배수 콘덴서
33 : 기계실 34 : 열배출 통로
35 : 기계실 카바 36 : 경사면
37 : 열배출구 38 : 주 응축기
39 : 크린 카바 40 : 전면 조작부
40a : 전면조작부 40의 뒷면 41 : 카바부
42 : 뒷쪽 프레임 43 : 조작용 손잡이
44 : 흡입구 45 : 통기구
46,47 : 배출구 46a,47a : 배출구 그릴
47b : 벽의 반대쪽으로 경사진 면 48 : 주 응축기의 입구 파이프부
49 : 전기용품 50 : 파이프
본 발명은 냉장고의 하부에 형성된 기계실안에 압축기를 설치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를 제1도~제3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1)은 냉장고 본체이고, 이 냉장고 본체(1)은 내부에 냉장고 내부(20)를 형성하고 있다.
(2),(3)은 그 냉장고 내부의 전면 열림부를 폐쇄하는 냉동실 문과 냉장실 문이다.
상기 냉장고 본체(1)의 외곽을 형성하는 외부 상바(4)는 천정면을 형성하는 테이블판(5), 측면판(6), 뒷면판(7), 바닥판(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9)는 압축기이며, (10)은 서리제거용수 증발접시, (11)은 그 서리제거용수 증발접시내에 고인 서리제거용수를 증발시키기 위한 배수 콘덴서(condenser)로서 이들 번호(9),(10),(11)은 냉장고 본체(1)의 하부에 형성되는 기계실(12)안에 설치되어 있다. (13)은 주 응축기 파이프이며, 이 주 응축기 파이프(13)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크린(clean) 카바(14)의 뒤쪽에 밀착하여 부착되며, 크린 카바(14)를 방열판으로 활용하고 있다. (15)는 압축기(9)등이 설치되어 있는 기계실(12)의 뒷부분을 덮는 기계실 카바이다. 그래서, 이들 크린 카바(14), 기계실 카바(15)는 앞에서의 냉장고 본체(1)의 뒷부분에 형성된 돌출부(16)에 상기 크린 카바(14)와 기계실 카바(15)가 대략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부착되는 것이다. 이때에, 상기 뒷면판(7)과 크린 카바(14), 기계실 카바(15)사이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열배출 통로(17)이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앞에서의 냉장고 본체(1)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뒷면을 벽등에 거의 밀착시켜 설치하였을 때에도, 이 열배출 통로(1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수 콘덴서(11), 압축기(9)와 열교환한 공기 및 서리제거용수 증발접시에서 증발한 습한 공기와 주 응축기 파이프(13)과 열교환한 공기는 그 열배출 통로(17)을 통해서 외부로 방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냉장고에 의하면 열배출 통로(17)의 안쪽길이의 치수 L1만큼 냉장고의 뒷면판(7)로부터 뒷쪽으로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었다. 그래서, 냉장고의 안쪽 길이의 치수가 크게되어 공간 절약화에 역행하는 것이었다. 또한, 냉장고 본체(1)의 넓은 뒷면을 크린 카바(14)로 덮고 있으므로 압축기(9)와 열교환한 높은 온도의 공기가 열배출 통로(17)을 통과할때에, 냉장고 내부를 넓은 면적으로 가열하게되어 냉장고 내부의 열누설량이 증가하여 전력을 절약하는데 역행하는 것이었다. 더우기 뒷면에 크린 카바(14)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높은 원가로 되어있다. 그리고, 종래 공지의 문헌으로는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소화 55-158493호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쪽길이의 치수가 적으며, 또한 열 누설량이 적고 값이 싼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 내부를 갖는 냉장고 본체를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하고, 이 냉장고 본체의 바닥 부분에 기계실을 형성하며, 이 기계실 안에 압축기를 배치하고, 상기 기계실의 뒷면을 덮는 카바를 마련해서 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 카바를 상기 냉장고 본체의 뒷면과 대략 평탄하게 만들어 상기 냉장고 본체의 뒷면 양쪽의 모서리 부분을 절결하여 상부 열배출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기계실 카바의 양쪽에 단부를 만들어서 하부의 열배출 통로를 형성하고, 이 하부 열배출 통로에 열배출구를 마련하여 상기 상부 열배출 통로와 하부 열배출 통로를 연이어 통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 열배출 통로의 윗면을 개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기의 열배출 통로는 냉장고 본체의 뒷면에서 돌출하고 있지 않으므로 종래의 예와 비교해서 안쪽 길이의 치수를 작게할 수가 있어 공간절약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냉장고 본체의 뒷면을 크린 카바로 덮을 필요도 없기 때문에 저렴하게 제작할 수가 있다. 더우기 압축기와 열교환한 높은 온도의 공기는 냉장고 본체의 뒷면 양쪽의 모서리 부분을 절결하여 형성한 상부 열배출 통로로 상승하기 때문에 냉장고 내부를 거의 가열하지 않고 나가버린다. 즉, 기계실 내에 설치된 압축기에서의 열이 하부 열배출 통로에 마련된 열배출구에서 하부 열배출 통로 및 이에 연이어 통하는 상부 열배출 통로에 안내되어 상승하고 상부 열배출 통로의 위쪽으로 방출된다. 이로 인해서 냉장고의 소비전력을 크게 저감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제4도~제11도에 따라 설명한다. (21)은 냉장고 본체이며, 이 본체(21)은 내부에 냉장고 내부(22)를 형성하고 있다. (23),(24)는 앞에서의 냉장고 내부(22)의 전면 열림부를 폐쇄하는 문으로 (23)은 냉동실 문이며, (24)는 냉장실 문이다. 상기 냉장고 본체(21)의 외곽을 형성하는 외부 상자(25)는 천정판(26), 측면판(27), 뒷면판(28), 바닥판(2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30)은 압축기, (31)은 서리제거용수 증발접시, (32)는 그 서리제거용수 증발접시(31)안에 고인 서리제거용수를 강제적으로 증발시키기 위한 배수 콘덴서로서 이들 번호 (30),(31),(32)는 냉장고 본체(21)의 바닥 부분에 형성되는 기계실(33)안에 설치되어 있다. (34)는 상기 뒷면판(28)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상부 열배출 통로를 표시한다. 이 상부 열배출 통로(34)는 옆가장자리 부분에서 대략 50㎜ 폭의 장소에 30㎜ 정도의 단압을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한 단면이 대략
Figure kpo00001
형상의 뒷면판(28)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부분에 열배출 통로(34)를 형성한 이유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벽의 두께가 가장 두껍고 냉장고 내부(22)로의 열이 누설될 염려가 없는 장소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35)는 기계실 카바이다. (36)은 그 기계실 카바(35)에 형성된 경사면이 있는 하부 열배출 통로를 표시하며, (37)은 또한 그 하부 열배출 통로(36)에 형성된 열배출구를 표시한다. 그리하여, 앞에서의 하부 열배출 통로(36)은 옆면 부분에서 대략 50㎜ 이상의 폭(앞에서의 상부 열배출 통로 50㎜ 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부 열배출 통로(36)을 마련하는 폭은 기계실(33)안의 열배출량과의 관계로 설정된다. 또한 이 기계실 카바(35)는 앞에서의 뒷면판(28)과 대략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더운공기의 통로를 살펴보면, 기계실(33)내에 설치된 압축기(30)에서의 열이 하부 열배출 통로(36)에 마련된 열배출구(37)에서 하부 열배출 통로(36) 및 이에 연이어 통하는 상부 열배출 통로(34)에 안내되어 상승하고 상부 열배출 통로(34)의 위쪽으로 방출된다. (38)은 천정판(26)위에 설치된 주 응축기이며, (39)는 그 주 응축기(38)을 미관적으로 덮는 크린 카바이다. 이 크린 카바(39)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 조작부(40)과 주 응축기를 덮는 카바부(41)과 뒤쪽 프레임부(42)로 되어 있다.
그리하여, 전면 조작부(40)에는 정면에서 냉장고 내부의 온도 조절등을 행하는 조작용 손잡이(43)이 부착되어 있으며, 그 외에 냉동실문(23)의 윗면(23a)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흡입구(44)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흡입구(44)를 형성하는 데 있어 냉동실 문의 윗면(23a)와의 간격을 충분히 갖도록 그 전면 조작부(40)의 뒷면(40a)는 윗쪽으로 향하여 경사되어 있다. 또한, 카바부(41)의 옆면에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구(45)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뒷쪽 프레임부(42)는 앞에서의 전면 조작부 및 카바부보다 한단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높게 형성된 곳에 배출구(46),(47)이 마련되어 있다. 이 배출구(46),(47)의 형성에 있어서는 이 부분에서 크린 카바(39)안으로 먼지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의미로 그 그릴(grille)(46a),(47a)는 천정판에 대해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 배출구(46)은 열교환한 공기를 냉장고의 앞쪽으로, 배출구(47)은 뒷쪽으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이것은 배출구(46)이 앞에서의 크린 카바(39)위에 물품이 놓여져 배출구(46)이 막히는 형태로 되어도, 성능으 크게 저하시키지 않도록 연구한 것이다. 또한, 배출구(47)을 마련하는데 있어서는 당연히 뒷벽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도록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뒷쪽 프레임(42)는 제6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앞에서 기술한 뒷면판(28)에 마련된 상부 열배출 통로(34)의 연장부에 닿는 곳은 그 뒷면판(28)과 같은 형상을 하고, 또한 그 같은 형상을 하는 부분에는 배출구(47)을 만들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뒷면판(28)에 형성된 열배출 통로를 상승한 열배출 공기가 주 응축기 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49)는 상기 뒷쪽 프레임(42) 부분에 부착된 전기용품인 기판이다. 이 기판(49)에는 냉장고 자체의 운전을 제어하는 여러가지 부품이 놓여져 있다. 또 이 기판(49)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뒷쪽 프레임의 뒷쪽이며, 더우기 천정판 가까운 장소에 부착되어 그 뒷쪽 프레임(42)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 그릴(47a)를 통해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도록 대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기용품을 뒷쪽 프레임 안에 설치한다는 것은 압축기등의 기계실의 뒷쪽에 설치되어 있는 관계상 결선등의 작업을 냉장고의 뒷면쪽에서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작업성(써어비스성)이 좋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뒷쪽 프레임(42)에 마련된 배출구(47)의 내부 그릴(47a)쪽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의 뒷면에 벽등에 대략 밀착해서 놓여졌을 때에도 크린 카바안의 열배출에 지장을 주지않도록 벽의 반대쪽으로 경사진 면(47b)에 만들어진 것이다.
다음에 이 크린 카바(39)와 주 응축기(38)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면, 우선 주 응축기(38)의 크린 카바(39)에 대한 높이 방향의 위치에 있으나, 이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린 카바(39)와 천정판(26)으로 만드는 높이 방향의 공간을 L2로 하면, 앞에서의 주 응축기(38)은 L2인 치수에 대해서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다시말하면 주 응축기(38)의 윗면과 카바(41)의 안쪽면과의 사이를 크게하여 그 부분을 주 응축기(38)과 열교환한 더운 공기의 통로로 한 것이다. 그리고, 이 더운 공기의 통로에 해당하는 곳에 통기구(45)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에 크린 카바(39)의 안쪽길이 방향에 대한 위치관계를 설명하면,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응축기(38)의 뒷쪽 끝부분이 뒷쪽 프레임(42)에 이르도록 구성되어 제8도에 도시한 주 응축기의 입구 파이프부(48)이 꼭 이 뒷쪽 프레임(42)를 향한 장소에 위치하도록 되어있다(만약 이 주 응축기(38)을 여러 단 설치할때에는 앞에서의 주 응축기의 입구 파이프부(48)이 뒷쪽 프레임(42)에 마련한 배출구(46),(47)에 가까운 장소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공기의 대류를 고려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을 한 냉장고의 사용방법의 주된 것으로는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를 고려할 수 있다.
즉, 제9도에 도시한 것은 뒷면을 벽 등에 밀착해서 사용할 때이며, 제10도에 도시한 것은 뒷면 및 양측면까지 벽과 선반등으로 막혀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사용방법을 취하였을 때에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압축기(30)과 응축기 등은 충분히 냉각되어 냉동 싸이클은 소정의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의 전면과 천정면을 제외한 3면이 폐쇄되는 상태로 냉장고가 사용되고 있을 때, 기계실(33)안에 설치된 압축기(30)과 배수 콘덴서(32) 그리고, 그 위에 놓인 서리제거용수 증발접시(31)안의 서리제거용수는 기계실(33)의 전면등에서 들어오는 공기와 열교환 및 증발접시안의 서리제거용수 면의 증발등을 행하면서 기계실 카바(35)에 마련된 열배출구(37)에서 기계실(33)밖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서리제거용수 증발접시(31)은 기계실로의 공기 흡입구와 열배출구(37)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배출된 공기는 이번에는 뒷면판(28)에 형성된 상부 열배출 통로(34)를 상승하여 뒷쪽 프레임(42)부에 이르러, 그곳에서 냉장고의 상부로 배출되어가는 것이다. 즉, 하부 열배출 통로와 상부 열배출 통로가 열(더운공기) 통로의 작용을 하고, 더운 공기는 상승하여 상부 열배출 통로에서 방출되게 된다. 한편, 냉장고의 상부면에 설치된 주 응축기(38)은 냉장고 앞쪽과 냉동실 상면에 대응하는 부분에 열려진 공기 흡입구(44), 통기구(45)에서 흡입된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이 주 응축기(38)과 열교환한 공기는 뒷쪽 프레임(42)에 마련된 배출구(46),(47)로 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에 특히 압축기등과 열교환한 공기가 주 응축기(38)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뒷쪽 프레임(42)에서 구별해서 제어하는 것이다.
다음에 기계실(33)안의 열배출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기계실(33)안의 열배출은 기계실 카바(35)의 경사면에 마련된 슬릿 상태의 열배출구(37)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열배출구(37)은 가능한한 큰것이 좋다. 그러나, 이 슬릿(slit) 상태의 열배출구(37)의 크기는 의장상 당연히 제약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뒷면판(28)이 만드는 열배출 통로(34)의 단압이 A점에서 B점을 연결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해, A′점에서 B점을 연결한 형상으로 하고 A′-B 사이의 경사면을 충분히 취해서 이 부분에 열배출구(37)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다시말하면, 제10도와 같이 3면을 폐쇄하였을 때 기계실 카바와 뒷면의 벽과 선반 사이에 만들어지는 면적(사선부)에 그 기계실 카바의 높이 h치수를 곱한 공간 예를들면, 이 공간 scm3로 충분히 열 공기를 보낼 수 있는 크기의 열배출구를 이 경사면에 만드는 것이 이상적이다.이와같이 하므로써 기계실(33)안에서 열교환한 공기는 스무스(smooth)하게 기계실 밖으로 나가고 그 다음 앞에서의 열배출 통로(3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 응축기(38)에 고온냉매를 도입하는 파이프(50a)와 주 응축기로부터 냉매를 도출하는 파이프(50b)를 열배출 통로 근처의 단열재안으로, 또 뒷면과 또는 옆면판에 따라서 제11도와 같이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냉장고 내부로의 열 부하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냉장고에 의하면, 냉장고의 뒷면은 종래의 주 응축기를 마련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였던 공간만큼 줄일 수가 있기 때문에 냉장고 전체의 안쪽길이의 치수가 적어져 공간절약의 경향에 일치하는 것은 물론이며, 주 응축기의 냉각에 종래와 같이 압축기 등과 이미 열교환한 높은 온도의 공기를 사용하지 않고, 신선한 공기를 직접 크린 카바 안으로 보내서 주 응축기와 열교환 시키는 구조로 하였기 때문에 주 응축기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주 응축기에 냉매를 도입하고, 도출하는 고온 파이프부를 뒷면판 모서리 부분에 구성되는 열배출통로 근처의 단열재안으로 또 뒷면판 또는 옆면판을 따라 설치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냉장고 내부로의 열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은 물론이며, 파이프(50a),(50b)도 열배출 통로를 상승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서리제거용수 증발접시는 기계실안의 공기 흡입구와 기계실 카바에 마련한 열배출구의 사이에 설치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기계실 안의 공기는 기계실 공기 흡입구에서 기계실 카바의 열배출구로 향해서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 기계실 안의 압축기 등의 냉각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기계실 안의 서리제거 용수 증발도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며, 증발 접시안의 서리제거용수의 증발은 서리제거용수면 위를 통과하는 낮은 온도의 공기와 배수 콘덴서의 방열에 의해서 서리제거용수 증발접시를 거쳐서 더워진 높은 온도의 서리제거용수와의 온도차에 의해서 서리제거용수면 위의 증발이 촉진되고, 이것이 기계실안의 서리제거용수 증발접시 위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과 함께 습한 공기로 되어서 기계실 카바의 열배출구로 도입되는 것에 따라 접시 안의 서리 제거용수 증발이 충분히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주 응축기를 덮는 크린 카바의 앞끝을 냉동실 문등의 위끝까지 이어지게 하고 문짝의 위끝의 대응부분에 주 응축기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를, 또 크린 카바 뒷쪽에 주 응축기와 열교환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각각 마련하고, 그 크린 카바, 뒷쪽의 열배출 통로에 통하는 뒷쪽 프레임 뒷면 모서리 부분의 오목부에는 주 응축기쪽의 배출구를 형성하지 않도록하여 열배출 통로를 상승하여 오는 기계실 뒷면의 열배출구에서 나오는 공기가 크린 카바 안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기계실 안을 지나간 공기가 크린 카바 안으로 들어가지 않으므로 주 응축기의 열교환을 방해하는 일이 없으며, 주 응축기는 충분히 냉각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기(30)의 열배출 통로(34),(36)은 냉장고 본체(21)의 뒷면에서 돌출하고 있지 않으므로 종래의 예와 비교해서 안쪽길이의 치수를 적게할 수가 있어 공간절약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냉장고 본체(21)의 뒷면을 크린 카바(14)로 덮을 필요도 없기 때문에 저렴하게 제작할 수가 있다. 더우기 압축기(30)과 열교환한 높은 온도의 공기는 냉장고 본체(21)의 뒷면 양측의 모서리 부분을 절결하여 형성한 상부 열배출 통로(34)를 상승하기 때문에 냉장고 내부를 거의 가열하지 않고 나가 버린다. 이로인해서, 냉장고의 소비전력을 크게 저감할 수가 있다.

Claims (2)

  1. 냉장고 내부(22)를 갖는 냉장고 본체(21)을 직육면체로 형성하고, 이 냉장고 본체(21)의 바닥부분에 기계실(33)을 형성하며, 이 기계실(33)안에 압축기(30)을 배치하고, 상기 기계실(33)의 뒷면을 덮는 기계실 카바(35)를 마련해서 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 카바(35)를 상기 냉장고 본체(21)의 뒷면과 평탄하게 만들고 상기 냉장고 본체(21)의 뒷면 양쪽의 모서리 부분을 절결하여 상부 열배출 통로(34)를 형성하고, 상기 기계실 카바(35)의 양쪽에 단부를 만들어서 하부의 열배출 통로(36)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열배출 통로(36)에 열배출구(37)를 마련하여 상기 상부 열배출 통로(34)와 하부 열배출 통로(36)을 연이어 통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 열배출 통로(34)의 뒷면을 개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열배출 통로(36)의 폭을 상기 상부 열배출 통로의 폭보다도 크게 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19830004319A 1982-09-17 1983-09-14 냉장고 KR920001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161002 1982-09-17
JP57161002A JPS5952181A (ja) 1982-09-17 1982-09-17 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059A KR840006059A (ko) 1984-11-21
KR920001528B1 true KR920001528B1 (ko) 1992-02-15

Family

ID=15726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319A KR920001528B1 (ko) 1982-09-17 1983-09-14 냉장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522040A (ko)
JP (1) JPS5952181A (ko)
KR (1) KR920001528B1 (ko)
GB (1) GB2129111B (ko)
PH (1) PH1983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11720Z2 (it) * 1987-02-06 1989-04-07 Zanussi Elettrodomestici Apparecchio frigorifero o congelatore domestico con parete di schiena chiudibile.
JP2875087B2 (ja) * 1992-01-09 1999-03-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蔵庫
DE19833196C2 (de) * 1998-07-23 2000-11-30 Fischer Fritz Udo Wärmegewinnung aus dem Kondensator eines steckerfertigen Kühlregals
ES2167280B1 (es) * 2000-10-26 2003-06-01 Frost Trol S A Sistema de recuperacion de calor para climatizacion y reduccion del efecto pasillo frio.
US20050016203A1 (en) * 2001-11-20 2005-01-27 Espindola Estevao Marino Condenser for refrigeration systems
US6543250B1 (en) 2001-11-27 2003-04-08 Dometic Corporation Installation template for a mobile refrigerator
US20090158754A1 (en) * 2007-12-19 2009-06-25 Qingdao Haier Special Icebox Co., Ltd Freezer and its control method
EP2669608A2 (en) * 2012-06-01 2013-12-04 Ellen Uzonwanne Refrigerated medicine cabinet
US9803898B2 (en) * 2014-06-10 2017-10-31 Whirlpool Corporation Air conditioner with selectable supplemental compressor cooling
US9759438B2 (en) 2014-06-10 2017-09-12 Whirlpool Corporation Air conditioner with selective filtering for air purification
US11306966B2 (en) * 2019-08-01 2022-04-1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and variable shelf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02178A (en) * 1925-11-05 1926-10-05 Kelvinator Corp Mechanical refrigeration
US2741095A (en) * 1952-10-07 1956-04-10 Gen Motors Corp Refrigeratior having multiple section evaporator
US2798367A (en) * 1952-12-04 1957-07-09 Guyon L C Earle "l" refrigerator assembly
US3005321A (en) * 1959-08-25 1961-10-24 Philco Corp Multiple temperature refrigerator
US3232071A (en) * 1963-08-12 1966-02-01 Whirlpool Co Air flow control for use in refrigeration apparatus
US3307365A (en) * 1965-09-20 1967-03-07 Borg Warner Refrigerator having air circulation guide means
US3893307A (en) * 1974-05-03 1975-07-08 Gen Motors Corp Refrigerator freezer with frost eliminator
JPS5854612Y2 (ja) * 1978-12-28 1983-12-13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952181A (ja) 1984-03-26
PH19831A (en) 1986-07-31
GB2129111B (en) 1986-04-16
GB2129111A (en) 1984-05-10
JPH0471149B2 (ko) 1992-11-12
KR840006059A (ko) 1984-11-21
GB8324837D0 (en) 1983-10-19
US4522040A (en) 198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6045B1 (en) Kimchi refrigerator
KR920001528B1 (ko) 냉장고
KR102646411B1 (ko) 냉장고
JP3553633B2 (ja) 冷蔵庫
KR960002577B1 (ko) 냉장고
JP3640498B2 (ja) パススルー型冷蔵庫
JPH0791811A (ja) 冷蔵庫
CN218764148U (zh) 制冷设备
CN219222966U (zh) 嵌入式的制冷设备
JPS599478A (ja) 冷蔵庫
JPS6135461B2 (ko)
JP2001280810A (ja) 冷却庫
CN219390180U (zh) 半导体制冷的制冷设备
JP4410947B2 (ja) 冷蔵庫等の排気構造
JPS597874A (ja) 冷蔵庫
JPH0444182B2 (ko)
JP3510122B2 (ja) 冷蔵装置
JP2003056970A (ja) 冷蔵庫
JP3389494B2 (ja) 冷蔵冷凍ショーケース
JPS6266081A (ja) 冷蔵庫
JPS597871A (ja) 冷蔵庫
JPH0444181B2 (ko)
JP2000180021A (ja) 冷却貯蔵庫
JPH10253223A (ja) 冷却貯蔵庫
KR20030000209A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