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348B1 - 가스발생장치 및 가스발생물질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가스발생장치 및 가스발생물질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348B1
KR920001348B1 KR1019880014322A KR880014322A KR920001348B1 KR 920001348 B1 KR920001348 B1 KR 920001348B1 KR 1019880014322 A KR1019880014322 A KR 1019880014322A KR 880014322 A KR880014322 A KR 880014322A KR 920001348 B1 KR920001348 B1 KR 920001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combustion chamber
buffer member
diameter portion
gas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4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733A (ko
Inventor
이. 슈나이터 프레드
Original Assignee
모르톤 티오콜, 인코오포레이티드
제럴드 케이. 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르톤 티오콜, 인코오포레이티드, 제럴드 케이. 화이트 filed Critical 모르톤 티오콜, 인코오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90011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7/00Apparatus for generating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428Gas and water specific plumbing component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3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스발생장치 및 가스발생물질의 조립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가스발생장치의 부분단면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가스발생장치의 선 2-2를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스발생장치 12 : 원통형 하우징부재
14 : 단부캡 16 : 나사형성핀
18 : 점화관 20 : 플러그부재
22 : 공동부 24 : 판형부재
26 : 용접부 28 : 단부캡
30 : 단부캡공동부 32 : 확대개방단부
34 : 점화하우징 36 : 점화조립체
38 : 원통형 연장부 40 : 견부
41 : 회측확대부 42 : 기폭판
44 : 전기도선 46 : 개구
48 : 플러그 50 : 퓨우즈
52 : 불꽃점화물질 54 : 개공
56 : 연소실 58 : 알루미늄포일
60 : 다공의 금속바스켓 61 : 개공
62 : 가스여과조립체 64 : 필터팩(filter pack)
66 : 스크린 팩 68 : 개공
70 : 알루미늄포일층 72 : 적층웨이퍼입자
74 : 웨이퍼 78 : 완충부재
80 : 디스크유지부재 86 : 스크린
본 발명은 가스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충돌시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팽창가스백(gas bag)가 같이 가스발생용 고체연료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한 가스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4, 547, 342호 및 제4, 005, 876호의 가스발생장치에서는 압축시킨 정제형태(아스피린 정제와 유사함)의 가스발생제를 가스발생장치의 연소실내에 되는 대로 충진시켜 사용하고 있다. 이와같은 압축정제 형태의 가스발생제는 대부분의 목적을 만족시키지만 정제 형태의 가스발생제는 그 최소의 연소 표면적이 커서 팽창의 개시가 부드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신속하게 작동하면서도 팽창이 비교적 완만하게 개시되는 가스발생장치의 제작이 요청되는데, 이는 되는대로 충진된 압축 정제의 연소표면의 중성화를 개선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연소표면의 중성화는 연소 과정중에 각기 다른 시간에 연소되게 표면적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특정의 가스발생제의 연소표면의 중성화를 증대시키면 연소 과정중의 임의의 시점에서의 연소 표면적은 보다 균일해지고, 초기 압력의 급격한 상승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짐으로써 보다 부드럽게 팽창이 개시된다. 가스를 보다 균일하게 발생시키고, 가스발생제를 더욱 양호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종료시에 있어서 연소 표면적은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표면 중성화를 향상시켜야 한다.
되는대로 충진된 압축 정제의 체적장전율은 통상 55-57%의 범위인데, 이는 각 압축 정제간의 입자가 공간때문이다. 차량내에서 공기백(air bag)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고 그 치수와 중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압축 정제의 체적 장전율을 증대시켜 가스발생물질의 양에 비해 연소실의 치수를 소규모로 제작해야 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3, 901, 530호, 제4, 131, 300호의 운전자 보호용 팽창식 완충장치에서는 분리된 디스크상의 불꽃 점화물질과, 이물질을 신속하고도 균일하게 연소시키기 위해 상기 디스크들 사이에 설치된 분리수단을 구비한 팽창수단을 이용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 158, 696호의 승객 보호용 팽창식 완충장치에서는 웨이퍼(wafer)내에 추진제를 가압시키고, 각 웨이퍼는 충격이나 진동으로 부터 상기 웨이퍼를 보호할 수 있도록 웨이퍼 사이에 추진제 분말을 균일하게 설치할 수 있고 모든 웨이퍼가 동시에 점화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게 형성되어 있다.
위와같은 적층식 웨이퍼를 사용하면 장전체적을 상승시킬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필터의 막힘이 감소되게 하고 깨끗한 팽창가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상술한 바와같이 연소 표면의 중성화를 향상시키도록 고체입자를 양호하게 여과시킬 수 있는 형태로 상기 웨이퍼를 적층시켜야 한다. 또한 웨이퍼 사이에 추진제 분말을 설치하면 연소개시가 급격히 발생하여 초기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게 되고, 연소 표면의 중성화를 감소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다.
고체가스발생제는 통상 단단하지만 웨이퍼나 펠리트내에 가압되는 경우 깨지기 쉽고, 완충장치의 연소실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방치되면 파괴될 우려가 있다. 설치된 가스발생제를 수년간 안전하게 보존하려면 가스발생제가 움직이지 않아, 파괴되지 않도록 그리고 다른 가스발생제 웨이퍼나 경질의 가스발생장치의 표면에 의해 마모되지 않도록 적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활한 팽창작용을 위해 연소표면의 중성화가 개선된 형태의 가스발생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필터의 막힘이 감소되고 깨끗한 팽창가스를 제공할 수 있는 형태의 가스발생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자동차내에 본 팽창식 완충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수년동안 쉽게 파괴되지 않는 형태의 가스발생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연소실의 치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높은 체적장전율을 가지는 형태의 가스발생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견고하고, 신뢰성 있고 비용이 저렴한 팽창식 완충장치용 가스발생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원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의 가스발생장치(10)는 자동차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팽창식 완충백(protection bag)을 팽창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 가스발생장치(10)에는 기다란 원통형 하우징부재(12)와 원통 하우징부재(12)의 일단부를 폐쇄하는 일체로된 단부캡(14)이 구비되어 있다. 이 단부캡(14)에는 본 가스발생장치(10)를 장착브래킷(도시되지 않음)에 부착시키는데 사용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핀(1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부재(12, 14, 16)들은 경금속인 알루미늄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외의 재료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원통형 하우징부재(12)내에는 이 하우징부재(12)와 동심으로 점화관(18)이 설치된다. 점화관(18)의 일단부는 압축성 발포재와 같은 적절한 재료로 플러그부재(20)에 의해 폐쇄되며, 이같이 폐쇄된 점화관(18)의 폐쇄단부는 단부캡(14)에 끼워져 있는 판형부재(24)의 공동부(22)내에 설치된다. 공동부(22)의 치수는 점화관(18)의 폐쇄단부의 외경과 동일치수로 되어 있다.
단부캡(28)은 용접부(26)나 기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원통형 하우징부재(12)에 부착된다. 단부캡(28)의 중심부에는 점화관(18)과 일치하는 공동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점화관(18)의 개방단부(32)는 외측을 향해 확대되어 있다. 점화조립체(36)의 금속 하우징부재로 구성된 점화 하우징(34)는 나사결합 또는 기타 적절한 결합 방법으로 단부 캡의 공동부(30)에 결합되며, 점화 하우징(34)의 원통형 연장부(38)은 미끄럼결합 또는 기타 적절한 결합방법으로 점화관(18)의 확대 개방단부(32)에 결합된다. 공동부(30)의 출구에는 견부(40)가 형성되어 있으며, 견부(40)에는 점화 하우징(34)의 외측확대부(41)가 밀착결합된다.
원통형 연장부(38)내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는 기폭관(squib)(42)이 설치되어 있다. 기폭관(42)은 점화 하우징(34)의 개구(46)을 통해 외부로 연장한 전기도선(44)에 연결된다. 확대 개방단부(32)에 인접한 점화관(18)내에는 플러그(48)가 끼워져 있다. 상기 기폭관(42)에 의해 점화되는 퓨우즈(40)는 플러그(48)를 관통하고, 점화관(18)의 전장에 걸쳐 연장하고 플러그(20)에 삽입된다. 상기 양 플러그(20) 및 (48) 사이의 점화관(18) 내에는 불꽃 점화물질(52)이 채워져 있다. 불꽃 점화물질(52)은 신속하게 점화될 수 있고 독성이 없는 다양한 종류의 조성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상 25중량%의 붕소화 75중량%의 질산 칼륨의 입자상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불꽃 점화물질(52)은 퓨우즈(50)에 의해 점화된다. 상기 양 플러그(20) 및 (48)은 예로써, 압축성 발포재와 같은 적절한 재료로 제작된 것으로서, 이는 불꽃 점화물질(52)를 점화관(18)내에 유지시켜 주는 작용을 한다.
점화관(18)에는 다수의 개공(54)이 형성되어 있으며, 불꽃 점화물질(52)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점화 가스는 상기 개공(54)을 통해 기다란 연소실(56)내로 들어간다. 이와같이 다수의 개공이 형성되어 있는 점화관(18)의 외면에는 알루미늄 포일(foil)(58)이나 기타 적절히 파열될 수 있는 재료로된 박판이 둘러싸여 있어서 상기 불꽃 점화물질(52)을 점화관(18)내에 유지시키게 하며, 점화시 점화 압력에 의해 상기 알루미늄 포일(58)이 파열되면 점화가스가 연소실(56)의 내부로 들어가서 연소실(56)내에 수용되어 있는 가연성 가스 발생물질을 점화시키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에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연소실(56)은 그 전장에 걸쳐서 강철이나 기타 적절한 재료로 구성된 다공의 금속 바스켓(basket)(60)으로 둘러싸여 있다. 연소실(56)으로부터 방출된 가스는 다공의 금속 바스켓(60)의 개공(61)을 통해 이 다공 금속 바스켓(60)과 원통형 하우징부재(12)의 벽 사이의 공간으로 안내되며 이 공간내에는 가스여과조립체(6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다공의 금속 바스켓(60)의 인접 둘레에는 스크린(screen)층과 세라믹 여과지(filter paper)층이 교대로 적층된 필터팩(filter pack)(6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필터팩(64)의 둘레에는
Figure kpo00001
의 거친 스크린층, 즉 8메쉬 스크린층을 포함한 스크린팩(66)이 둘러싸여 있다. 그러나 이밖에도 여러가지 형태로 가스여과조립체(62)를 구성할 수 있다.
원통형 하우징부재(12)에는 연소실(56)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가스백(bag)(도시되지 않음)내로 유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개공(68)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부재(12)의 내벽에는 본 가스발생장치를 밀폐시키기 위한 알루미늄 포일(foil)(70)이나 기타 적절한 재료의 층이 씌워져 있으며, 이 밀폐층은 연소실(56)내에서 발생되는 가스에 의해 파열되게 된다. 하우징부재(12)상의 개공(68)은 하우징부재(12)의 원주 표면의 절반에 해당하는 부분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스크린팩(66)의
Figure kpo00002
스크린층은 상기 개공(68)의 전방에 감겨져서 2중의 스크린층을 형성한다.
이상은 전형적인 승객 보호용 팽창식 완충장치의 점화조립체 및 가스발생장치 하우징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역시 사용할 수 있는 가스발생장치 하우징 및 점화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상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4, 005, 876호를 들 수 있다.
종래의 가스발생장치는 외경이 통상 0.375in이고, 두께가 0.15in인 펠리트(pellets)와 같은 되는대로 충진시킨 압축된 정제(tablets) 형태의 가스발생제를 사용하는데, 최대 표면적 즉 최소 표면적 대 평균 표면적의 비가 통상 1.79로서, 이는 초기의 가스백 충전속도가 매우 높고, 그후에는 점차로 감소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되는대로 충진된 펠리트의 최종 표면적대 최초의 표면적의 비는 약 0.18로서, 이는 연소 표면의 중성화가 낮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연소 표면의 중성화는 가스발생제의 표면적의 연소과정 전체에 걸쳐 균일한 정도를 나타낸다. 연소 과정상의 서로 다른 두시점에서 표면적의 비가 1에 접근하는 경우, 연소 표면의 중성화가 증가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보다 부드러운 팽창의 개시, 보다 균일한 가스백의 팽창속도 및 가스발생물질의 보다 양호한 활용을 위해 연소 표면의 중성화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되는대로 충진시킨 펠리트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체적장전율은 펠리트사이의 입자간 공간에 의한 체적 손실에 기인되어 통상 55-57%의 범위가 된다. 체적 장전 밀도는 연소실내의 가스발생제의 체적대 연소실의 체적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가스발생장치의 치수와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체적장전밀도를 증가시키는 것, 즉 주어진 가스발생제의 체적에 대한 연소실의 치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발생장치(10)내의 가스발생제의 체적장전율을 증가시켜주기 위해서 뿐아니라 연소 표면의 중성화을 향상시켜주기 위해서는 연소실(56)내에 입자(72)를 배치시키는데 이 입자(72)는 가연성 가스발생제로 구성된 다수의 웨이퍼(74)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웨이퍼는 나란히, 그리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가스발생제는 요구에 부합되는 연소 속도와 화염의 온도를 가진 비독성인 임의의 조성물중의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써 미합중국 특허 제4, 203, 787호 및 제4, 369, 079호에 기재되어 있는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기 웨이퍼(74)는 그 내경 및 외경이 각각 제2도에 도시한 연소실(56)의 내경 및 외경과 동일한 와셔(washer)형태로 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점화관(18)은 웨이퍼(74)의 중앙구멍을 관통한다. 웨이퍼(74)는 통상 두께가 0.2in, 외경(76)이 연소실의 외경(77)보다 약간 작은 1.3-2in, 중앙구멍의 직경(82)이 점화관(18)의 외경(84)보다 약간 큰 0.25-0.5in로서, 이 웨이퍼(74)는 점화관(18)로부터 반경방향 외부로 연장하여 연소실(56)을 채우고 있다. 적층된 웨이퍼 입자(72)의 체적 장전율은 웨이퍼의 두께 및 각 웨이퍼간의 이격 거리에 의해 좌우된다. 만일 웨이퍼의 두께가 0.15in이고, 그 이격거리가 0.055in라면 체적 장전 밀도는 약 73%가 될 것이다. 실제로 적층된 웨이퍼 입자의 체적 장전 밀도는 65-80%의 범위로 한다.
고체의 가스발생제는 웨이퍼 형태로 압축가공한 경우 단단하나 취약하므로 이것을 연소실내에 움직일 수 있게 설치하면 파괴되거나 손상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자동차내에서 수년간 안정하게 보존하려면 이 가스발생제가 움직이거나, 파손되거나, 다른 가스발생제 또는 단단한 가스발생장치의 표면에 마모되어 소모되지 않도록 충진시켜야 한다. 또한, 필터의 막힘을 감소시켜 주고, 가스백에 깨끗한 가스를 공급해 주기 위해서는 연소실(56)내에 다량의 고체 잔유물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연소실(56)내에 다량의 고체를 잔류시키고, 여과 성능을 개선하고, 뿐만아니라 자동차내에서 수년동안 웨이퍼(74)가 파손되거나 마모되지 않도록 하고, 웨이퍼의 연소 표면의 중성화를 향상시키고, 체적 장전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압축가능한 다수의 완충부재(78)가 각 웨이퍼(74) 사이의 설치되어 웨이퍼(74) 사이에서 압축된다. 웨이퍼(74)와 마찬가지로 완충부재(78)에도 점화관(18)이 관통되어지는 중앙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완충부재(78)의 내경 및 외경은 웨이퍼(74)의 내경 및 외경과 동일하다. 완충부재(78)는 가스유동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이나 기타의 적절한 구멍이 있는 재료를 형성함으로써 중앙의 불꽃 점화물질(52)로부터 웨이퍼의 표면 전체에 점화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완충부재(78)는 연소생성물이 가스발생제의 표면으로부터 주위의 가스 여과조립체(62)를 통해 가스백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완충부재(78)는 약 20-50메시의 와이어 스크린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같은 완충부재는 연소실(56)내의 고체 연소생성물을 농축 및 수집하는 냉각표면역할을 함으로써 가스 여과조립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완충부재를 구성하는 스크린(86)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파형으로 프레스 가공하여 연소가스의 유동면적을 증가시켜줌과 동시에 스프링효과 즉 완충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된 스크린 완충부재(78)의 두께(88)는 프레스 가공하지 않은 스크린의 두께(90)의 약 1.5-5배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호 교대로 설치된 웨이퍼(74)와 완충부재(78)는 디스크 유지부재(80)에 의해 연소실(56)내에 가압 지지된다. 즉, 개개의 웨이퍼(74)는 인접한 완충부재(78) 사이에 압축 유지됨으로써 움직이거나 다른 웨이퍼와 마찰되거나 가스발생장치의 경질 표면에 마찰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연소실(56)내에 가압유지되는 완충부재(78)는 그 두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65-80% 범위의 향상된 체적 장전율을 얻을 수 있다. 웨이퍼의 두께가 0.15in이고, 완충부재의 두께가 0.055in인 경우 체적 장전 밀도는 약 73%가 되는데, 이 수치는 되는대로 충진시킨 압축된 정제의 체적 장전 밀도인 55-57%와 대조되는 수치이다.
웨이퍼의 외경(76)이 1.5in, 내경이 0.4in, 두께가 0.15in이고, 완충부재의 두께가 0.055in인 경우 최대 표면적, 즉 최초의 표면적 대 평균 표면적의 비율은 통상 1.27이 되는데, 이는 외경이 0.375in, 두께가 0.15in인 되는대로 적층된 압축펠리트의 비율인 1.79에 비해 연소 표면 중성화가 상당히 향상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적층된 웨이퍼 입자의 최종 표면적 대 초기 표면적의 비율은 통상 0.57이 되는데, 이 수치 역시 상기 압축 펠리트이 0.18에 대비되는 것으로 연소 표면의 중성화가 개선되었음을 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층 웨이퍼 입자(72)에 의하면 연소 표면의 중성화가 개선됨으로써 가스의 흐름이 보다 균일해지고 가스발생제를 보다 잘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펠리트 대신 웨이퍼 입자(72)와 유사한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바와같은 잇점을 얻을 수 있다.
본 가스발생장치(10)는 충돌감지장치(도시되지 않음)로 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도선(44)을 통해 기폭관(42)에 전달됨으로써 작동 개시한다. 기폭관(42)가 발화하여 퓨우즈(50)를 연소시키면 이에따라 불꽃 점화물질(52)이 연소된다. 이 불꽃 점화물질(52)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가스는 점화관(18)의 개공(54)을 통해 알루미늄 포일(58)을 뚫고 분출하여 연소실(56)내의 다수의 웨이퍼(74)를 점화시킨다. 웨이퍼(74)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가스는 스크린상의 완충부재(여기에서 입자형의 잔유물이 냉각 및 제거된다)를 경유하여 다공성 금속바스켓(60)을 통해 연소실(56)밖으로 유동한다. 이어서, 필터팩(64) 및 스크린팩(66)을 통해 유동하여 이 스크린팩(66)은 입자상의 잔유물을 더욱 냉각시켜 제거한다. 다음에 가스는 알루미늄 포일(70)을 파열시키고 하우징부재(12)의 개공(68)을 통해 가스백(도시되지 않음)내로 공급된다.
이상을 요약하면, 적층된 웨이퍼 입자(72)에 의하면 연소 표면의 중성화가 향상됨으로써 생성 가스의 유동이 보다 균일해지고, 가스발생제를 보다 양호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다량의 고체 잔유물을 연소실내에 유지시키도록 여과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청정도가 우수한 가스를 공급할 수 있으며, 높은 체적 장전율에 의해 가스발생장치의 치수와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본 가스발생장치가 자동차내에 설치되어 있는 수년간에 걸쳐서 개개의 웨이퍼가 부서지거나 손상되지 않는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은 본원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Claims (20)

  1. 연소실, 상기 연소실내에 나란히 설치된 가연성의 가스발생물질로 구성된 다수의 웨이퍼(74) 상기 웨이퍼(74) 사이에 교대로 설치되고 상기 웨이퍼(74) 사이에서 가압되는 다수의 완충부재(78), 상기 웨이퍼를 점화시키는 점화수단 및 상기 연소실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가스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이 기다란 형상이고 내경부를 가지며 상기 점화수단이 상기 연소실을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연소실과 동심 배치되고 외경부를 가지는 점화관(18)으로 구성되며 상기 웨이퍼(74)와 완충부재(78)는 상기 점화관이 관통하는 와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웨이퍼(74)는 상기 연소실 내경부와 동일한 외경부(76)를 가지고 상기 점화관의 외경부와 동일한 중앙구멍 직경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74)와 완충부재(78)는 상기 연소실의 체적 장전 밀도가 적어도 약 65%가 되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78)는 스크린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와이어가 약 20 내지 50메쉬 범위의 치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78)가 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78)가 파형이 아닌 스크린 와이어 두께의 약 1.5 내지 5배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78) 사이에 상기 웨이퍼(74)를 구조상으로 유지시키도록 상기 웨이퍼와 완충부재를 가압하는 유지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이 기다란 형상이고 내경부를 가지며 상기 점화수단이 상기 연소실을 종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연소실과 동심 배치되고 외경부를 가지는 점화관(18)으로 구성되며 상기 웨이퍼(74)와 완충부재(78)는 상기 점화관(18)이 관통하는 와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웨이퍼(74)는 상기 연소실의 내경부와 동일한 외경부(76)를 가지고 상기 점화관의 외경부와 동일한 중앙 개구 직경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74)와 완충부재(78)는 상기 연소실의 체적 장전 밀도가 적어도 약 65%가 되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 승객 보호용 가스백의 팽창장치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장치.
  12. 가스발생장치(10)의 연소실내에 가연성 가스발생물질로 구성된 다수의 웨이퍼(74)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연소실내에 다수의 웨이퍼(74)를 나란히 설치하는 단계와, (b) 상기 웨이퍼(74) 사이에 스크린 형태의 완충부재(78)를 교대로 설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웨이퍼(74)와 완충부재(78)를 압축하여 상기 웨이퍼가 상기 완충부재 사이에 구조상으로 유지되게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가스발생물질의 웨이퍼 조립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이 기다란 형상이고 점화관(18)이 상기 연소실을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연소실과 동심이며, 상기 웨이퍼(74)와 완충부재(78)를 와셔 형태로 형성시키고, 상기 웨이퍼와 완충부재를 상기 연소실내에 설치하여 상기 점화관(18)이 그들을 관통하게 하며, 상기 웨이퍼(74)가 상기 연소실의 내경부와 동일한 외경부(76)를 가지고 상기 점화관(18)의 외경부와 동일한 중앙구멍 직경부를 가지게 상기 웨이퍼를 만드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가스발생물질의 웨이퍼 조립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74)와 완충부재(78)가 적어도 약 65%의 연소실 체적장전 밀도를 제공하게 만드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가스발생물질의 웨이퍼 조립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78)를 약 20 내지 50메쉬 범위의 치수를 가지는 스크린 와이어로 만드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가스발생물질의 웨이퍼 조립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78)를 스크린 와이어로 만드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가스발생물질의 웨이퍼 조립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78)의 두께가 성형되지 않은 스크린 와이어 두께의 약 1.5 내지 5배가 되도록 스크린 와이어를 파형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가스발생물질의 웨이퍼 조립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와이어를 파형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가스발생물질의 웨이퍼 조립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이 기다란 형상이고 점화관(18)이 상기 연소실을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연소실과 동심이며, 상기 웨이퍼(74)와 완충부재(78)를 와셔 형태로 형성시키고, 상기 웨이퍼와 완충부재를 상기 연소실내에 설치하여 상기 점화관(18)이 그들을 관통하게 하며, 상기 웨이퍼(74)가 상기 연소실의 내경부와 동일한 외경부(76)를 가지며 상기 점화관(18)의 외경부와 동일한 중앙구멍 직경부를 가지게 상기 웨이퍼를 만드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가스발생물질의 웨이퍼 조립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74)와 완충부재(78)가 적어도 약 65%의 연소실 체적 장전 밀도를 제공하게 만드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가스발생물질의 웨이퍼 조립방법.
KR1019880014322A 1988-01-13 1988-11-01 가스발생장치 및 가스발생물질의 조립방법 KR920001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908 1988-01-13
US07/143,908 US4890860A (en) 1988-01-13 1988-01-13 Wafer grain gas generator
US143,908 1988-0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733A KR890011733A (ko) 1989-08-22
KR920001348B1 true KR920001348B1 (ko) 1992-02-11

Family

ID=22506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4322A KR920001348B1 (ko) 1988-01-13 1988-11-01 가스발생장치 및 가스발생물질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890860A (ko)
EP (1) EP0324639B1 (ko)
JP (3) JPH0637159B2 (ko)
KR (1) KR920001348B1 (ko)
CA (1) CA1303090C (ko)
DE (1) DE68901383D1 (ko)
MX (1) MX1643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3390A (en) * 1989-11-13 1991-07-23 Morton International, Inc. Trilevel performance gas generator
DE4009551A1 (de) * 1990-03-24 1991-09-26 Bayern Chemie Gmbh Flugchemie Beifahrer gasgenerator
US5116080A (en) * 1990-09-05 1992-05-2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infla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219178A (en) * 1990-10-08 1993-06-15 Nippon Koki Co., Ltd. Air bag inflation gas generator
US5109772A (en) * 1991-01-22 1992-05-05 Morton International, Inc. Flash ignition system
US5197756A (en) * 1991-04-12 1993-03-3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inflator and method of assembly
DE4231356B4 (de) * 1991-09-18 2008-02-14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Lyndhurst Vorrichtung zum Aufblasen einer aufblasbaren Einrichtung
DE4316614A1 (de) * 1992-05-18 1993-11-25 Trw Vehicle Safety Systems Aufblas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luftsackanordn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US5403035A (en) * 1992-06-01 1995-04-04 Oea, Inc. Preparing air bag vehicle restraint device having cellulose containing sheet propellant
US5345873A (en) * 1992-08-24 1994-09-13 Morton International, Inc. Gas bag inflator containing inhibited generant
CA2094888A1 (en) * 1992-08-24 1994-02-25 Bradley W. Smith Gas generant body having pressed-on burn inhibitor layer
AU5091493A (en) * 1992-12-28 1994-07-19 Atlantic Research Corporation Inflating crash bags
US5368329A (en) * 1993-03-03 1994-11-29 Morton International, Inc. Dual stage inflator
JPH06344854A (ja) * 1993-06-08 1994-12-20 Takata Kk エアバッグ装置のインフレータ
US5350193A (en) * 1993-06-22 1994-09-27 Nippon Koki Co., Ltd. Air bag inflation gas generator
JPH079940A (ja) * 1993-06-22 1995-01-13 Nippon Koki Kk エアバッグ展開用ガス発生装置のガス発生剤パック
US5472647A (en) * 1993-08-02 1995-12-05 Thiokol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ing anhydrous tetrazole gas generant compositions
US5682014A (en) * 1993-08-02 1997-10-28 Thiokol Corporation Bitetrazoleamine gas generant compositions
US5401340A (en) * 1993-08-10 1995-03-28 Thiokol Corporation Borohydride fuels in gas generant compositions
US5439537A (en) * 1993-08-10 1995-08-08 Thiokol Corporation Thermite compositions for use as gas generants
US5429691A (en) * 1993-08-10 1995-07-04 Thiokol Corporation Thermite compositions for use as gas generants comprising basic metal carbonates and/or basic metal nitrates
US5380039A (en) * 1993-09-29 1995-01-1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inflator
US5427030A (en) * 1993-10-12 1995-06-27 Morton International, Inc. Ignition granule retention disc
ZA948566B (en) * 1993-11-18 1995-05-18 Ici America Inc Airbag ignit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50067074A1 (en) 1994-01-19 2005-03-31 Hinshaw Jerald C. Metal complexes for use as gas generants
US5725699A (en) 1994-01-19 1998-03-10 Thiokol Corporation Metal complexes for use as gas generants
KR100361250B1 (ko) 1994-01-19 2003-02-11 앨리언트 테크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기체발생체로서사용하기위한금속착물
JPH07215162A (ja) * 1994-01-27 1995-08-15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US5387008A (en) * 1994-03-14 1995-02-07 Morton International, Inc. Generant preload and tolerance takeup assembly for vehicular airbag installation
US5466420B1 (en) * 1994-07-26 1998-10-06 Morton Int Inc Air bag inflator
US5458364A (en) * 1994-08-22 1995-10-17 Morton International, Inc. Inflator secured in diffuser housing of airbag module assembly by locking end cap
US5464249A (en) * 1994-11-09 1995-11-07 Morton International, Inc. Generant loaded filter assembly and method for its use
US5533754A (en) * 1995-05-31 1996-07-0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inflator
EP0778181A3 (en) 1995-12-04 1999-04-14 Morton International, Inc. Igniter for gas bag inflator
EP0785110A3 (en) * 1996-01-16 1998-03-18 Morton International, Inc. Wrapped gas generant cartridge
US6234521B1 (en) 1996-04-08 2001-05-22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Airbag inflator and an airbag apparatus
JPH1071922A (ja) * 1996-06-26 1998-03-17 Nissan Motor Co Ltd ガス発生器
US5845933A (en) * 1996-12-24 1998-12-08 Autoliv Asp, Inc. Airbag inflator with consumable igniter tube
US6562161B1 (en) 1997-03-24 2003-05-13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ing compositions for air bag
JP2963086B1 (ja) 1997-12-26 1999-10-12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6053110A (en) * 1998-01-16 2000-04-25 Autoliv Asp, Inc. Airbag generant wafer design with I-beam construction
CZ299231B6 (cs) * 1999-08-23 2008-05-21 Nippon Kayaku Kabushiki-Kaisha Vyvíjec plynu pro ovládání zadržovacího systému pasažéru automobilu
WO2004024503A2 (en) * 2002-09-13 2004-03-25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Inflator
US7192055B2 (en) * 2003-11-13 2007-03-20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Pyrotechnic linear inflator
US7243946B2 (en) * 2003-11-18 2007-07-17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Peroxide linear inflator
US20050115721A1 (en) * 2003-12-02 2005-06-02 Blau Reed J. Man-rated fire suppression system
US7337856B2 (en) * 2003-12-02 2008-03-04 Alliant Tech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ression of fires
US7080854B2 (en) 2004-01-13 2006-07-25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Pyrotechnic linear inflator
US20050200103A1 (en) * 2004-02-27 2005-09-15 Burns Sean P. Pyrotechnic linear inflator with structural enhancement
US7789018B2 (en) * 2004-04-02 2010-09-07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or assembly
US7293798B2 (en) * 2004-04-05 2007-11-13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Pyrotechnic linear inflator
US8622419B2 (en) 2004-07-27 2014-01-07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Vehicle component with integral inflator
DE112006000259T5 (de) 2005-01-20 2007-12-13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Armada Flexibler Gaserzeuger
US20070046006A1 (en) * 2005-08-29 2007-03-01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JP2007062435A (ja) * 2005-08-29 2007-03-15 Daicel Chem Ind Ltd ガス発生器
AU2007339414A1 (en) * 2006-02-13 2008-07-10 Halkey-Robert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tetrazine-based energetic material
US7758709B2 (en) 2006-06-21 2010-07-20 Autoliv Asp, Inc. Monolithic gas generant grains
US9193639B2 (en) 2007-03-27 2015-11-24 Autoliv Asp, Inc. Methods of manufacturing monolithic generant grains
US8057611B2 (en) 2007-08-13 2011-11-15 Autoliv Asp, Inc. Multi-composition pyrotechnic grain
US8815029B2 (en) 2008-04-10 2014-08-26 Autoliv Asp, Inc. High performance gas generating compositions
US8808476B2 (en) 2008-11-12 2014-08-19 Autoliv Asp, Inc. Gas generating compositions having glass fibers
US8672348B2 (en) * 2009-06-04 2014-03-18 Alliant Techsystems Inc. Gas-generating devices with grain-retention structure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US8939225B2 (en) 2010-10-07 2015-01-27 Alliant Techsystems Inc. Inflator-based fire suppression
US8967284B2 (en) 2011-10-06 2015-03-03 Alliant Techsystems Inc. Liquid-augmented, generated-gas fire suppress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8616128B2 (en) 2011-10-06 2013-12-31 Alliant Techsystems Inc. Gas generator
US9051223B2 (en) 2013-03-15 2015-06-09 Autoliv Asp, Inc. Generant grain assembly formed of multiple symmetric piec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6842A (en) * 1963-03-19 1967-05-02 Union Carbide Corp Propulsion product
DE2224201A1 (de) * 1972-05-18 1973-11-29 Bayern Chemie Gmbh Flugchemie Feststoffgasgenerator
US3877882A (en) * 1972-07-27 1975-04-15 Talley Industries Gas generating device
JPS5048637A (ko) * 1973-07-05 1975-04-30
US3901530A (en) * 1973-08-08 1975-08-26 Allied Chem Multiple mini hybrid with direct bag connection
DE2364268C3 (de) * 1973-12-22 1980-07-03 Rudolf 8025 Unterhaching Reiter Feststoffgasgenerator, inbesondere zum Aufblasen eines dem Schütze von Fahrzeuginsassen dienenden Gassacks
US3898048A (en) * 1974-03-21 1975-08-05 Us Navy Light-weight rocket deployable gas generator
GB1518806A (en) * 1974-11-29 1978-07-26 Eaton Corp Fluid supply source for inflating an expandable confinement of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US4005876A (en) * 1975-04-10 1977-02-01 Thiokol Corporation Gas generator for automobile safety cushions
JPS52121242A (en) * 1976-04-05 1977-10-12 Daicel Chem Ind Ltd Gas generator for gas bag
US4158696A (en) * 1977-09-28 1979-06-19 Talley Industries Of Arizona, Inc. Air cushion restraint inflator assembly
US4203787A (en) * 1978-12-18 1980-05-20 Thiokol Corporation Pelletizable, rapid and cool burning solid nitrogen gas generant
JPS55119436A (en) * 1979-03-06 1980-09-13 Daicel Chem Ind Ltd Gas generator
US4369079A (en) * 1980-12-31 1983-01-18 Thiokol Corporation Solid non-azide nitrogen gas generant compositions
US4600123A (en) * 1982-12-16 1986-07-15 Rocket Research Company, A Division Of Rockor, Inc. Propellant augmented pressurized gas dispensing device
US4547342A (en) * 1984-04-02 1985-10-15 Morton Thiokol, Inc. Light weight welded aluminum inf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303090C (en) 1992-06-09
US4890860A (en) 1990-01-02
EP0324639A2 (en) 1989-07-19
KR890011733A (ko) 1989-08-22
JPH0637159B2 (ja) 1994-05-18
EP0324639A3 (en) 1989-09-20
JPH10262U (ja) 1998-11-13
DE68901383D1 (de) 1992-06-11
EP0324639B1 (en) 1992-05-06
MX164322B (es) 1992-08-03
JPH01182144A (ja) 1989-07-20
JPH08192714A (ja) 1996-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348B1 (ko) 가스발생장치 및 가스발생물질의 조립방법
US5623115A (en) Inflator for a vehicle airbag system and a pyrogen igniter used therein
US5772243A (en) Igniter for gas bag inflator
US6409214B2 (en) Airbag inflator and an airbag apparatus
US5845933A (en) Airbag inflator with consumable igniter tube
JP3022961B2 (ja) 車両安全用の高温ガス発生器
US5005486A (en) Igniter for airbag propellant grains
US438034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peeding the response of an air bag inflator at low temperatures
KR900008585B1 (ko) 가스발생기용 하우징(housing) 구조물
EP2426015B1 (en) Gas generator
US4998751A (en) Two-stage automotive gas bag inflator using igniter material to delay second stage ignition
EP0586045B1 (en) Gas bag inflator containing inhibited generant
US5351989A (en) Inflator assembly
US20120048137A1 (en) Gas generator
EP0592254A1 (en) Gas generator for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US5876062A (en) Airbag inflator with direct electrical ignition for small sized gas generant bodies
JPH0357747A (ja) 乗物用膨張可能衝撃保護バッグの膨張装置
JPH11509154A (ja) 二室型非アジド系気体発生器
US7520530B2 (en) Gas generator for air bag
CN102292244B (zh) 安全气囊装置用气体发生器
US5585597A (en) Air bag inflator
US20070108751A1 (en) Gas generating system
JPH0796814A (ja) 車両の乗員拘束装置を膨張させるための装置、エアバッグ用混成型膨張装置および膨張ガス生成方法
JP6489722B2 (ja) ガス発生器
JPH0752745A (ja) ガス発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