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906Y1 - 원고이송부 및 광학부를 일체화한 팩시밀리구조 - Google Patents

원고이송부 및 광학부를 일체화한 팩시밀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906Y1
KR920000906Y1 KR2019890007379U KR890007379U KR920000906Y1 KR 920000906 Y1 KR920000906 Y1 KR 920000906Y1 KR 2019890007379 U KR2019890007379 U KR 2019890007379U KR 890007379 U KR890007379 U KR 890007379U KR 920000906 Y1 KR920000906 Y1 KR 9200009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frame
feed roller
mirror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7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21354U (ko
Inventor
최정균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7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906Y1/ko
Publication of KR9000213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213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9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9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49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elements within a scanning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고이송부 및 광학부를 일체화한 팩시밀리구조
제1도는 기존 팩시밀리의 원고이송부 및 광학부를 도시한 내부구조의 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팩시밀리의 내부구조도.
제3a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팩시밀리의 원고이송부 및 광학부의 정면도.
제3b도는 제3a도의 가-가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Frame) 1' : 프레임 고정 브라켓트(Bracket)
2 : 원고 2' : 원고이송 로울러
3 : 원고안내판 3' : 원고이송 보조 텐션판
4 : 투명판 5 : 광원램프(L. E. D)
7 : 제1미러(Mirror) 8 : 제2미러
9 : 제3미러 10 : 렌즈(Lens)
11 : 화상소자(CCD) 17,18,19 : 제1,2 및 제3미러
20,21,22 : 원고이송 로울러 23 : 감열기록지 로울러
24 : 기어(Gear)
본 고안은 팩시밀리의 구조에 관한것으로, 특히 원고이송부 및 광학부를 동일프레임(Frame)에 일체화한 팩시밀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팩시밀리 구성부에서 원고를 송신, 복사하기 위하여 원고를 이송시키는 원고이송부는 원고이송 로울러, 원고안내판등으로 이루어지며, 광학부라함은 원고의 문자 및 그림을 판독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거울(Mirror), 렌즈(Lens), 화상소자(CCD)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의 사용되고 있는 팩시밀리는 상기 광학부와 원고이송부가 각각 별개로 조립된 구조이다.
즉, 제1도는 기존 팩시밀리의 광학부와 원고이송부간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그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팩시밀리를 이용하여 원고를 송신, 복하하기 위해서 원고투입구에 원고를 투입하면 센서에 의해서 원고가 감지되고, 전자회로의 명령에 의해 다수의 원고이송 로울러(20,21 및 22)가 회전하게 되어, 이와 밀착되어 있는 원고(2)는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 때, 원고이송로의 연변에 위치한 광원램프(5)가 ON되면서 원고(2)의 그림 및 문자내용이 제1미러(17),제2미러(18) 및 제3미러(19)에 순차적으로 반사되며, 최종적으로 제3미러(19)에서 반사된 원고의 내용이 렌즈(10)을 통하여 화상소자(11)에 전달되어 원고의 내용을 판독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제1도의 원고이송부(원고이공로울러)와 광학부(렌즈, 화상소자, 제1,2,3 미러)는 각각 별개로 조립되어 있어, 화상조정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다수의 로울러(20, 21 및 22)가 사용되어 제품의 가격상승 및 제품의 대형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각각 조립된 원고이송부와 광학부를 일체로 구성하여, 간단한 구조의 팩시밀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 팩시밀리의 원고이송부에 사용된 다수의 원고이송 로울러의 기능을 한개의 이송로울러로 수행할 수 있으며, 제1,2 및 제3미러를 효과적으로 구성배치하여 제품의 크기를 소형화 할수있다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제1도는 기존 팩시밀리의 원고이송부 및 광학부를 도시한 내부구조의 측단면도로, 명세서 서두의 기존 기술의 설명에서 언급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팩시밀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제1도와는 달리 광학부와 원고이송부가 프레임(1)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프레임(1)의 하부에 원고(2)를 이송시키는 원고이송 로울러(2')를 설치하고, 상부에는 광학부, 즉 렌즈(10) 및 화상소자(11)를 설치함으로서 원고이송부와 광학부가 일체화 된다. 이때, 제1미러(7)는 원고이송 로울러(2')의 좌측에, 제3미러(9)는 원고이송 로울러(2')의 상단부에, 제2미러(8)는 프레임(1) 좌측상단 즉 화상소자(11)의 좌측에 구비한다(전술한 위치 설명중 좌, 우측, 상단은 제2도를 기준으로 설정).
원고이송부와 광학부를 제2도와 같이 일체화 함으로서, 원고수신용 및 원고복사용감열기록지 로을러(23)를 제1도와는 달리 프레임(1) 상단에 구성함으로 팩시밀리 내부의 부재 배치에 여유가 생길뿐아니라 최종적으로 팩시밀리 기기 자체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제2도에 도시된 메인 유니트(Main Unit)와 파워 유니트(Power Unit)는 본고안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메인 유니트는 전체적인 시스템의 동작을 지령하는 전자회로의 집합체이고, 파워 유니트는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자회로의 집합체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는 생략키로 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원고이송부와 광학부를 일체화한 구조를 제3a도 및 3b도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제3a도는 본 고안에 따라 프레임내에 광학부 및 원고이송부를 일체화한 상태의 정면도로서 프레임의 전면부를 제거한 상태이며, 제3b도는 제3a도의 가-가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프레임(1)의 하단에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24)에 의해 회전하는 원고이송 로울러(2')를 수용하고, 원고이송 로울러(2')의 전면부(제3b도에서는 우측면)와 상부면에 걸쳐 원고안내판(3)을 설치한다. 원고이송 로울러(2')의 배면(제3b도에서는 우측면)와 상부면에 걸쳐 원고안내판(3)을 설치한다. 원고이송로울러(2')의 배면(제3b도에서는 좌측)에는 투명판(4)을 원고이송 로울러(2')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원고안내판(3)에 고정 부착하며 (원고안내판(3) 및 투명판(4)는 원고이송 로울러(2')의 전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진다), 원고안내판 (3)의 상부면 2개소에는 원고안내판(3)을 절개하여 홀을 구성한뒤, 원고이송 로울러(2')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의 원고이송 보조 텐션판(3')을 이송로울러(3')의 표면과 볼록면이 접하도록 설치한후 보조텐션판(3')의 단부를 원고안내판(3)에 구성한 홈의 연변에 고착한다. 프레임(1)의 상단에는 렌즈(10) 및 화상소자(11)를 일직선으로 설치하되, 렌즈(10)는 내부로 돌출된 프레임 (1)연장부에, 화상소자(11)는 프레임(1)상단면에 완전고착시킨다.
광학부의 일부인 광원램프(5)(제3a도에는 도시안됨)는 투명판(4)(제3a도에는 도시않됨)의 배면부하부(제3b도에서는 좌측)에, 제1미러(7)는 투명판(4)의 배면부 상부에, 제2미러는(8)는 렌즈(10)및, 화상소자(11)의 배면부(제3b도에서는 좌측)에, 제3미러(9)는 렌즈(10)와 화상소자(11)의 중심에 일치되도록원고이송 로울러(2')상단에 설치한다. 이때 각 미러(7,8 및 9)는 프레임(1)의 내부면 및 연장부에 고착됨을 제3b도를 통하여 알 수 있다.
이와같이 원고이송부 및 광학부를 일체화로 구성한 프레임(1)은 최종적으로 프레임 고정 브라켓트(1')를 이용하여 팩시밀리 기기내에 설치한다.
이상과 같이 일체화로 구성한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송신 또는 복사하고자 하는 원고(2)를 원고투입구에 투입하면 센서 및 공지된 전자회로의 명령에 의해 원고이송로울러(2')가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되며, 원고이송 로울러(2')에 밀착되어 있는 원고이송 보조 텐션판(3')의 하향압력으로 원고(2')가 이송로울러(2')와 밀착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광원램프(4)가 ON되면서 원고(2)의 내용이 투명판(4)을 통해 제1미러(7)에 반사되며 제1미러(7)에 반사된 원고의 내용은 제2, 제3미러(8 및 9)에 반사된다. 제3미러 (9)에 반사된 원고의 내용은 화상축소기능을 구비한 렌즈(10)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화상소자(11)에 수신되어 화상소자(11)가 그 내용을 판독하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을 이루는 각 부재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투명판(4)은 원고이송 보조텐션판(3')과 함께 원고(2)를 원고이송 로울러(2')에 밀착시켜줌과 동시에 원고(2)가 투명판(4)의 일정부분을 이송될때 원고(2)의 내용을 투사시켜 제1미러 (17)에 반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같이 투명판(4)을 원고이송 로울러(2')배면에 구성한 것은, 만일 이 투명판 (4)을 구비하지 않고 원고이송 로울러(2')저면을 제외한 전면을 덮어버린 형태 원고안내판을 설치하여 원고(2)의 폭과 동일한 홈(원고내용을 제1미러 (7)에 전달하기 위한)을 구성한다면, 이송되는 원고가 이홈에 걸리는 걸림현상이 발생할수 있기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1미러(7), 제2미러(8), 제3미러(9)는 각각 평면거울로서 제3a도에 도시한 것처럼 렌즈(10)에 인접한 미러일 수록 그 폭이 점차 작아지게 구성(제1미러 (7)의 규격은 원고이송 로울러(2')의 폭과 거의 동일)하며, 각 미러들(7,8 및 9)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도는 투명판(4)을 투시햐여 반사된 원고 내용의 각 미러들에 대한 입사각 및 반사각이 동일하도록 조정설치한다.
이상과 같이 광학부와 원고이송부를 일체화시킨 본 고안은 화상조정 및 원고이송부의 조정이 용이하며, 그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므로 재료비 및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제품크기를 소형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다수의 미러, 렌즈 및 화상소자로 이루어진 광학부와, 원고이송 로울러등으로 이루어진 원고이송부를 내장한 팩시밀리 구조에 있어서, 프레임고정 브라켓트(1')를 이용하여 팩시밀리 기기내에 고착되고 저면이 개방되어 있는 프레임(1) 하부에 원도안내판 (3) 및 투명판(4)내에 수용되어 치차(24)로서 자전하는 원고이송 로울러 (2')와, 상기 원고이송 로울러(2')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의 상단 연장부 및 프레임(1) 상단에 각각 고착한 렌즈(1) 및 화상소자(11)와, 상기 투명판(4)의 배면 프레임(1), 후면프레임(1) 상단 및 상기 원고이송 안내판(4) 상부의 프레임(1) 연장부상에 각각 고착되어 원고의 내용을 렌즈(10) 및 화상소자(11)에 순차적으로 반사시키는 제1미러 (7),제2미러(8) 및 제3미러(9)와, 상기투명판(4)의 하부에 고착된 광원램프 (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원고이송부 및 광학부를 일체화한 팩시밀리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안내판(3)은 원고이송 로울러(2')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원고이송로울러(2')의 전길이에 걸쳐 양측면과 저면을 제외한 전면, 상면을 에워싼 형태로 프레임(1) 전면에 고착하며, 상면 후미 단부에는 동일한 길이의 일직선 형태의 투명판(4)을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이송부 및 광학부를 일체화한 팩시밀리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안내판(3)의 상부면에는 원고안내판(3)을 절개한 다수의 홀을 구성하여, 상기 원고이송 로울러(2')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의 원고이송 보조텐션판(3')을 상기 홀을 관통하여 이송로울러(3')의 표면과 볼록부가 접하도록 설치하며, 그 단부는 원고안내판(3)의 홀연변에 고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이송부 및 광학부를 일체화한 팩시밀리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미러(7,8 및 9)의 폭은 원고내용의 반사순서에 따라 점차적으로 축소하여 구성, 설치하며, 각 미러들의 고착위치 및 렌즈(10), 투명판(4)의 위치에 따라 원고의 내용이 대응미러 및 렌즈(10)에 정확하게 입사 및 반사되도록 소정의 경사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프레임(1)에 고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이송부 및 광학부를 입체화한 팩시밀리 구조.
KR2019890007379U 1989-05-31 1989-05-31 원고이송부 및 광학부를 일체화한 팩시밀리구조 KR9200009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7379U KR920000906Y1 (ko) 1989-05-31 1989-05-31 원고이송부 및 광학부를 일체화한 팩시밀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7379U KR920000906Y1 (ko) 1989-05-31 1989-05-31 원고이송부 및 광학부를 일체화한 팩시밀리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1354U KR900021354U (ko) 1990-12-15
KR920000906Y1 true KR920000906Y1 (ko) 1992-01-31

Family

ID=19286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7379U KR920000906Y1 (ko) 1989-05-31 1989-05-31 원고이송부 및 광학부를 일체화한 팩시밀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9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1354U (ko) 199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37981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285342A (ja) イメージセンサ及びこれ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
EP11046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eeping a document in focus during noncontact scanning
KR920000906Y1 (ko) 원고이송부 및 광학부를 일체화한 팩시밀리구조
US5783820A (en) Image reading apparatus having optical reinforcing member for lens holder
US4901157A (en) Line scan image scanner for use with reflective originals and transparent films
JP2005191795A (ja)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読み取り装置
JPH10200673A (ja) 読取装置
JPH1093773A (ja) 光学式画像読み取り装置
CN112485990A (zh) 透镜反射镜阵列
JP2683927B2 (ja) 記録装置
JP3715292B2 (ja) ドキュメントフィーダ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
JPH03240361A (ja) 原稿読取装置
JP2005033739A (ja) ドキュメントフィーダ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H0346614Y2 (ko)
KR920000905Y1 (ko) 팩시밀리의 원고이송 및 투시장치
JP2002262023A (ja) シートフィード型スキャナ
JP3135254B2 (ja) 原稿画像読取装置
JP3021059B2 (ja) 原稿画像読取装置
JP2004075368A (ja) 反射型フォトインタラプタとそれを備えた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S5928755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US7654520B2 (en) Sheet-handling apparatus with a detecting device
JPS6197261U (ko)
JPH04291770A (ja) 密着形イメージセンサ
JPS6125364A (ja) 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