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875B1 -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 - Google Patents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875B1
KR920000875B1 KR1019890001422A KR890001422A KR920000875B1 KR 920000875 B1 KR920000875 B1 KR 920000875B1 KR 1019890001422 A KR1019890001422 A KR 1019890001422A KR 890001422 A KR890001422 A KR 890001422A KR 920000875 B1 KR920000875 B1 KR 920000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shutter
wire drawing
opening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1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895A (ko
Inventor
이찌로 요시무라
히로아끼 다끼모도
시게루 이또오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덴기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하라 쯔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39686A external-priority patent/JP2808596B2/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덴기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하라 쯔네오 filed Critical 스미도모덴기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2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 C03B37/025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from reheated softened tubes, rods, fibres or filaments, e.g. drawing fibres from preforms
    • C03B37/027Fibres composed of different sorts of glass, e.g. glass optical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 C03B37/025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from reheated softened tubes, rods, fibres or filaments, e.g. drawing fibres from preforms
    • C03B37/029Furna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5/00Fibre drawing or extruding details
    • C03B2205/60Optical fibre draw furnaces
    • C03B2205/62Heating means for drawing
    • C03B2205/63Ohmic resistance heaters, e.g. carbon or graphite resistance hea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5/00Fibre drawing or extruding details
    • C03B2205/60Optical fibre draw furnaces
    • C03B2205/80Means for sealing the preform entry or upper end of the furnace
    • C03B2205/81Means for sealing the preform entry or upper end of the furnace using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5/00Fibre drawing or extruding details
    • C03B2205/60Optical fibre draw furnaces
    • C03B2205/82Means for sealing the fibre exit or lower end of the furnac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5/00Fibre drawing or extruding details
    • C03B2205/60Optical fibre draw furnaces
    • C03B2205/90Manipulating the gas flow through the furnace other than by use of upper or lower seals, e.g. by modification of the core tube shape or by using baff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를 표시한 단면도.
제2도는 동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의 셔터를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의 셔터를 표시한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를 표시한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를 표시한 단면도.
제6도는 종래의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를 표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노본체 1b : 하부개구부
10 : 광파이버용 유리모재 11 : 광파이버
40, 41, 42, 43 : 셔터 40a, 41a, 42a, 43a : 출구
40b : 구멍 42b, 43b : 틈
50 : 그물
본 발명은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에 관한 것이다.
광파이버는 일반적으로, 막대형상의 광파이버용 유리모재를 노속에서 가열 연화시켜서 연신하므로서 와이어드로우잉된다. 이 광파이버의 제조에 사용되는 와이어드로우잉로는, 통상, 상부개구부로부터 광파이버용 유리모재를 삽입하고, 광파이버를 아래쪽으로 인출하는 구멍이며, 노내에는 불활성가스르르 충만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그 하부개구부에는 불활성가스 분위기의 유지를 위한 셔터가 개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의 일례를 제6도에 표시한다. 동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노본체(1)내에는 히이터(2) 및 노심관(3)이 배설되어 있으며, 노본체(1)의 상부개구부(1a)로부터 광파이버용 유리모재(10)을 삽입하고 와이어드로우잉된 광파이버(11)를 하부개구부(1b)로부터 인출하도록 되어있다. 여기서, 노심관(3)내는 불활성가스(12)로 충만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하부개구부(1b)에는, 그 중앙부에 광파이버(11)의 출구(4a)를 가진 셔터(4)가 착설되어 있다.
상기한 와이어드로우잉로에 있어서는, 노상부로부터 불활성가스(12)를 흐르게하면, 불활성가스(12)는, 도시한 바와 같은 비교적 고속의 난류가 되어서 셔터(4)의 출구(4a)로부터 외부로 흘러나가게 된다.
그런데, 노심관(3)내는 약 2000℃의 고온으로서, 노심관(3)에는 카이본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노심관(3)의 내주면 근처에서 광파이버용 유리모재(10)속의 Si와 노심관(3)의 C가 반응하여 SiC가 생성된다. 또, 불활성가스로서 질소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Si3N4등도 생성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SiC와 Si3N4등은 미립자가 되어서 부유하게 되므로 불활성가스와 함께 셔터(4)의 출구(4a)로부터 외부로 흘러나가게 된다.
따라서, SiCsks Si3N4등의 미립자가 셔터(4)의 출구(4a)를 통과할때의 광파이버(11)에 부착하여, 파이버에 상처를 입히고 파이버강도를 저하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부추어, 노심관벽근처 등에서 발생한 SiC 등의 미립자가 광파이버에 부착하지 않도록한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의 구성은, 막대형상의 광파이버용 유리모재를 불활성가스 분위기속에서 가열연화시키면서 연신해서 광파이버로 와이어드로우잉하는 로로서, 노본체의 상부로부터 불활성가스를 도입하는 동시에, 하부개구부에 광파이버의 출구를 가진 셔터를 착설하여 이루어진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에 있어서, 상기 셔터에 가스를 노본체 밖으로 배출하는 개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와이어드로우잉로에 의해서, 노심관의 내벽근처에 유입한 불활성가스는 그대로 벽면을 따라서 흘러서 셔터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외부로 유출하게 되어서, 광파이버 출구에서 고속난류가 발생하지 않게되고, 특히 노본체의 벽면근처에서 생성되는 미립자는 효과적으로 외부에 배출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종래기술과 동일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동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노본체(1)의 하부개구부(1b)에 복수의 구멍(40b)를 가진 원판형상의 셔터(40)를 착설하고 있다. 이 셔터(40)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중앙부에 광파이버(11)을 인출하기 위한 출구(40a)를 가지는 동시에, 그 외연부에 출구(40a)를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상에 8개의 구멍(40b)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셔터(40)는 도면중 좌우로 2개로 분할되어 있으며, 제1도중 좌우방향으로 개폐자재하게 되어 있다. 또한, (1a)는 노본체(1)의 상부개구부, (2)는 히이터, (3)은 노심관, (10)은 광파이버용 유리모재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와이어드로우잉로에 의해, 노본체(1)의 상부로부터 불활성가스(12)를 유입 시키면서 광파이버를 와이어드로우잉하면, 불활성가스(12)는 대체로 광파이버(11)의 축방향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흐르게 되고, 종래와 같이 난류를 발생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노심관(3)의 내벽근처에서 SiC의 미립자가 발생하여도, 이 미립자를 함유하는 가스는 구멍(40b)로부터 효율좋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미립자가 광파이버(11)에 부착하는 것을 극력억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셔터(40)을 사용해도 노본체(1)의 하부개구(1b)의 대부분은 폐색되므로 노안을 충분히, 불활성가스 분위기하에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노심관의 내경을 약 40mm, 셔터(40)의 각 구멍(40b)의 직경을 5mm(각 구멍(40b)는 반경 15mm의 원주상에 형성되어 있다.)로 형성한 와이어드로우잉로에서 제조한광파이버의 700g 스크리이닝에 의한 평균파단 길이는, 종래의 동일조건(노심관(3)의 내경 :40mm)으로 제조된 광피어버의 50km에서 150km로 향상되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셔터(40)에 형성하는 구멍(40b)는 원형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슬릿형상의 것이라도 되며, 즉, 가스를 통과시키는 것이면 된다. 상기한 구멍(40b)는 셔터(40)의 외연부에 형성하는 것은, 노심관(3)의 내벽근처에서 발생한 SiC 등을 효율좋게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서이다. 또 구멍(40b)는, 작은 것을 여러개 형성하는 편이 가스의 흐름을 균일하게 한다고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시예와 같이 동일형상의 구멍을 동심원상에 배설하면, 가스의 흐름을 더욱 균일하게 한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와이어드로우잉로의 셔터(41)를 표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판형상의 셔터(41)에 형성한 광파이버(11)은 출구(41a)를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상에 그물(50)을 배설한 구성이며,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SiC 등의 미립자를 함유하는 가스를 광파이버(11)의 축방향을 따라서 그물(50)으로부터 외부로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와이어드로우잉로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파이버(11)의 출구(42a)를 가진 원판형상의 셔터(42)를 하부개구부(1b)의 아래쪽에 배설하고, 하부개구부(1b)의 하면과 셔터(42)의 상면사이에 틈(42b)를 형성한 구성이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도 SiC 등의 미립자를 함유하는 가스를 광파이버(11)의 축방향을 따라서 틈(42b)로부터 외부로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와이어드로우잉로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개구부(1b)의 내주로부터 소직경으로 형성한 광파이버(11)의 출구(43a)를 가진 원판형상의 셔터(43)을 하부개구부(1b)에 배설하고, 하부개구부(1b)의 내주면과 셔터(43)의 외주면사이에 틈(43b)를 형성한 구성이다. 다른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도 SiC 등의 미립자를 함유하는 가스를 광파이버(11)의 축방향을 따라서 틈(43b)로부터 외부포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와 더불어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에 의하면, 로내벽근처에서 발생한 SiC 등의 미립자는 내벽을 따라서 흘러서 셔터의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또 종래와 같이 난류가 발생하는 것이 없으므로, 미립자가 광파이버에 부착해서 광파이버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Claims (5)

  1. 막대형상의 광파이버용 유리모재를 불활성가스분위기속에서 가열연화시키면서 연신하여 광파이버로 와이어드로우잉하는 로로서, 노본체의 상부로부터 불활성가스를 도입하는 동시에, 하부개구부에 광파이버의 출구를 가진 셔터를 착설하여 이루어진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가스를 노본체밖으로 배출하는 개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광파이버의 출구를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상에 배치한 복수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광파이버의 출구를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상에 배설한 그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노본체의 하부개구부의 하면과 셔터의 상면으로 형성한 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노본체의 하부개구부의 하면과 셔터의 상면으로 형성한 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
KR1019890001422A 1988-02-24 1989-02-08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 KR9200008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39686 1988-02-24
JP63039686A JP2808596B2 (ja) 1987-09-01 1988-02-24 光ファイバ線引き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895A KR890012895A (ko) 1989-09-20
KR920000875B1 true KR920000875B1 (ko) 1992-01-30

Family

ID=12559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1422A KR920000875B1 (ko) 1988-02-24 1989-02-08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329898A3 (ko)
KR (1) KR920000875B1 (ko)
AU (1) AU605656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4499A (en) * 1992-05-01 1994-02-08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rawing optical fibers
DE4339077C2 (de) * 1993-11-16 1997-03-06 Rheydt Kabelwerk Ag Verfahren zum Ziehen einer optischen Faser und Vorrichtung zu dessen Durchführung
CN1207226C (zh) 1999-05-10 2005-06-22 皮雷利·卡维系统有限公司 将大直径预型件拉成光纤的方法和感应炉
NL1013583C2 (nl) * 1999-11-16 2001-05-17 Plasma Optical Fibre Bv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uit een voorvorm trekken van optische vezels.
CN113716858A (zh) * 2020-05-25 2021-11-30 中天科技精密材料有限公司 烧结设备及烧结方法
CN112592048B (zh) * 2020-11-25 2022-08-16 通鼎互联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光纤拉丝炉用石墨件结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8730A (en) * 1976-08-20 1978-03-1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Furnace for glass fiber spinning
JPS5930660B2 (ja) * 1977-01-05 1984-07-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ファイバの線引き方法および装置
JPS58104032A (ja) * 1981-12-10 1983-06-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フアイバ紡糸用加熱炉
JPS58223630A (ja) * 1982-06-21 1983-12-26 Hitachi Cable Ltd 偏波面保存光フアイバの製法
NL8203843A (nl) * 1982-10-04 1984-05-01 Philips N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trekken van een optische vezel uit een vaste voorvorm die in hoofdzaak uit sio2 en gedoteerd sio2 bestaat.
JPS59217641A (ja) * 1983-05-23 1984-12-0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アイバ線引装置の加熱炉
JPS60137841A (ja) * 1983-12-22 1985-07-22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アイバ線引炉
JPH0686304B2 (ja) * 1986-08-07 1994-11-0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ガラス棒延伸用加熱装置
DE3731347A1 (de) * 1987-09-18 1989-03-30 Licentia Gmbh Vorrichtung zum ziehen eines lichtwellenlei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29898A3 (en) 1990-07-04
EP0329898A2 (en) 1989-08-30
KR890012895A (ko) 1989-09-20
AU605656B2 (en) 1991-01-17
AU2659988A (en) 1989-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5004B1 (ko) 광섬유 인발로 및 인발 방법
FI65983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fibrering av smaelt glas
KR100970319B1 (ko) 유리 모재 또는 광섬유 제조용 가열로
KR920000875B1 (ko) 광파이버 와이어드로우잉로
US5545246A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fiber
EP0132887A1 (en) Device for drawing an optical fibre
US46278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ineral fibers
GB1559769A (en) Drawing of light conducting fibres
US5828071A (en) Apparatus for curing by UV radiation
US6474109B1 (en) Device and method for drawing optical fibers from a preform
JP2808596B2 (ja) 光ファイバ線引き炉
JPH0226908Y2 (ko)
JP3141464B2 (ja) 光ファイバ線引炉
JPS62162647A (ja) 光フアイバの線引き装置
JPH04310533A (ja) 光ファイバの線引き方法
JPH0977528A (ja) 光ファイバ線引炉
JP2754551B2 (ja)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US6363754B2 (en) MCVD method and apparatus using an elongated gas feeding device
CN115335337A (zh) 光纤拉丝炉以及光纤制造方法
KR100278147B1 (ko) 광섬유 진동 방지장치
JPH0292838A (ja) 光ファイバ線引用加熱炉
JP2011042515A (ja) 光ファイバ線引炉のシール部材
CN113929280A (zh) 冷却方法、流体引导装置及套筒轴、耐火管和含其的系统
JPS60155540A (ja) 光学系ガラス棒延伸用加熱炉
KR100538847B1 (ko) 광섬유 프리폼 제조를 위한 μcvd 공정용 수트 제거봉및 이를 이용한 수트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