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381Y1 - 스타터 모터의 방진캡 부착구조 - Google Patents

스타터 모터의 방진캡 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381Y1
KR920000381Y1 KR2019880018132U KR880018132U KR920000381Y1 KR 920000381 Y1 KR920000381 Y1 KR 920000381Y1 KR 2019880018132 U KR2019880018132 U KR 2019880018132U KR 880018132 U KR880018132 U KR 880018132U KR 920000381 Y1 KR920000381 Y1 KR 9200003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ap
hole
starter motor
fixing structure
star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8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862U (ko
Inventor
시게루 시로야마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08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8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3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3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50/00Problems related to engine starting or engine's starting apparatus
    • F02N2250/08Lubrication of starters; Sealing means for sta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타터 모터의 방진캡 부착구조
제1a도, 1b도는 각각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타터 모터의 방진캡 부착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및 측면도.
제2도는 종래의 스타터 모터의 방진캡 부착구조를 적용한 스타터 모터의 부분 측면도.
제3a도, 3b도는 각각 그 스타터 모터의 방진캡 부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출력 회전축 12 : 관통 구멍
13 : 전방 브래킷(기틀) 13a : 소경부
14 : 오일레스 메탈(베어링 장치) 18 : 방진캡
18a : 플랜지부
본 고안은 스타터 모터의 기틀에 설치된 관통 구멍에 부착되는 스타터 모터의 방진캡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2도는 종래의 스타터 모터의 방진캡 부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직류 전동기의 전기자, 2는 전기자 회전축으로, 이 전기자 회전축(2)의 전방에는 유성치차 감속장치(3)가 설치되어 있다. 4는 요우크로 그 내주면에는 계자를 발생시키는 영구자석(5)이 고착되어 있다. 6은 유성치차 감속장치(3)로부터의 출력 회전축으로, 그 외부에는 헵리컬스플라인(7)이 형성되고, 오버런닝클러치(7)이 형성되고, 오버런닝 클러치(8)가 전후 미끄럼 가능하게 스프라인 겹합되어 있다. 오버런닝클러치 (8)에는 피니온(9)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출력 회전축(6)의 축방향 전후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10은 출력 회전축(6)에 설치되고, 피니온(9)의 축방향 이동량을 규제하는 스톱퍼이고, 출력 회전축(6)에 형성된 요부에 끼워진 링(11)에 계합하여 위치 결정되어 있다. 12는 전방브래킷(기틀)(13)의 전단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으로, 이 관통구멍(12)에는 제3a에도 도시한 바와같이 베어링 장치로서의 오일레스 메탈(14)이 압입되고, 출력 회전축(6)의 전방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15는 관통구멍(12) 전방 단부에 부착된 방진캡이고, 전방 브래킷(13)에 대해 코오킹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제3b도중 16은 그 코오킹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또, 17은 피니온(9)의 전진시에 맞물리는 기관의 링기어(플라이 휘일)이다.
이와같이 방진캡(15)은 관통구멍(12)으로부터 클러치 마모분이나 흙등의 분진이 침입하여 오일레스 메탈(14)의 마모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으며, 또 기관의 진동등에 대처하기 위해 코오킹에 의해 확실히 고정되어 있다.
종래의 방진캡 부착구조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방진캡(15)의 고정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는 코오킹량을 많이 잡는 것이 유효하지만, 링기어(17)가 전방 브래킷(13)근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두께 A를 많이 잡을 수가 없고 따라서 코오킹을 많게하면 관통구멍(12)의 직경방향 응력이 커지므로 전방 브래킷(13)의 변형이 생기기 쉽고, 오일레스 메탈(14)의 발압이 저하되어 버리고 또 메탈 발압을 보호하기 위해 오일레스 메탈(14)과 전방 브래킷(13)의 체결력을 높이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동계의 오일레스 메탈의 경우 압환 강도에 한계가 있으며, 체결력을 높이는 것도 곤란하였다.
또, 베어링 장치가 받침 금속을 사용한 소위 스틀 백 메탈이나 개방형 니이들 베어링인 경우 체결력을 높이면 전방 브래킷(13)의 A 부분이 파손, 변형을 일으킬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코오킹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전방 브래킷과 링기어의 간극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스타터 모터의 방진캡 부작 구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관한 스타터 모터의 방진캡 부착구조는 방진캡을 기틀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소경부의 베어링 장치로 협지하고 고정한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방진캡이 기틀과 베어링 장치로 협지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하기 위한 코오킹이 필요치 않게 되며, 또 코오킹에 의한 고정이 아니기때문에 관통구멍의 직경 방향의 응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제1a도, 제1b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타터 모터의 방진캡 부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18은 원형 평판의 중심부가 볼록형으로 돌출하고, 주위에 플랜지부(18a)를 갖는 강판제 방진캡, 13a는 전방 브래킷 (13)은 전방 단부에 그 개구직경이 관통구멍(12)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이 되도록 형성된 소경부로서, 이 소경부(13a) 내측과 관통구멍(12)에 삽입된 오일레스 메탈 (14)의 단부와의 사이에 방진캡(18)을 플랜지부(18a)가 협지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스타터 모터의 방진캡 부착 구조에 있어서 방진캡(18)의 고정은 다음과 같이 행한다. 즉, 전방에 방진캡(18)을 위치시킨 오일레스 메탈(14)을 소경부(13a)의 반대측으로부터 관통구멍(12)내에 삽입하고, 방진캡(18)의 플랜지부 (18a)가 소경부(13a) 내측에 맞닿도록 압입한다. 이로써 방진캡(18)은 소경부(13a)와 오일레스 메탈(14)로 확실히 고정된다. 또 종래의 코오킹과 같이 관통구멍(12)의 직경 방향에의 응력은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전방 브래킷(13)은 관통구멍(12) 부분의 두께를 얇게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방진캡(18)이 중앙부가 블록형으로 돌출하고 외주부에 플랜지부(18a)를 갖는 것이었으나,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들면 원형 평판형의 것이라도 좋다. 또, 베어링 장치도 오일레스 메탈(14) 이외의 개방형 니이들 베어링 등이라도 상기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발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방진캡을 기틀의 소경부와 베어링 장치로 고정하게 하였으므로 종래의 코오킹이 불필요해지며, 따라서 기틀의 변형이 생기는 일도 없고, 기틀의 베어링 부분의 두께의 박육화를 도모할 수 있고, 링기어와의 간극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스타터 모터의 기틀에 형성된 관통 구멍과, 이 관통구멍에 끼워지고 출력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장치와, 상기 관통구멍의 소경부와 상기 베어링 장치 사이에 협지되고 상기 관통구멍을 폐색하는 방진캡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모터의 방진캡 부착구조.
KR2019880018132U 1987-11-19 1988-11-03 스타터 모터의 방진캡 부착구조 KR92000038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77270(U) 1987-11-19
JP1987177270U JPH0180667U (ko) 1987-11-19 1987-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862U KR890010862U (ko) 1989-07-11
KR920000381Y1 true KR920000381Y1 (ko) 1992-01-15

Family

ID=16028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8132U KR920000381Y1 (ko) 1987-11-19 1988-11-03 스타터 모터의 방진캡 부착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180667U (ko)
KR (1) KR92000038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80667U (ko) 1989-05-30
KR890010862U (ko) 198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2120B1 (ko) 유성 기어식 감속 시동기
US20050192106A1 (en) Connecting assembly between a shaft journal and a universal joint
KR930018170A (ko) 트러스트 베어링 조립체
KR20070089229A (ko) 차음 시일이 부착된 밀봉장치
JPS6330218Y2 (ko)
US4922149A (en) Electric motor device
KR920000381Y1 (ko) 스타터 모터의 방진캡 부착구조
US4776225A (en) Planet gear type speed reduction starter
JP2006311654A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3964551B2 (ja) ビスカスダンパ取付構造
JP2006311657A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H0640997Y2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付フライホイール
JP2701470B2 (ja) 内燃機関用始動装置
JPH0724693Y2 (ja) フライホイールの取付部構造
JPH08219232A (ja) トルク変動吸収装置
GB2042124A (en) Reducing end float of shafts
JPH0241348Y2 (ko)
JP2594796Y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H09133066A (ja) スタータ
JPS61142940A (ja) モ−タの防振支持構造
JP3479854B2 (ja) ダンパ
JPH0214992B2 (ko)
JPS602368Y2 (ja) 回転軸の軸支構造
JPS59134376A (ja) スタ−タ
JPH022718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