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305B1 - 탄성 마이크로비드(microbead)를 사용한 조절박리 조성물 - Google Patents

탄성 마이크로비드(microbead)를 사용한 조절박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305B1
KR920000305B1 KR1019890006881A KR890006881A KR920000305B1 KR 920000305 B1 KR920000305 B1 KR 920000305B1 KR 1019890006881 A KR1019890006881 A KR 1019890006881A KR 890006881 A KR890006881 A KR 890006881A KR 920000305 B1 KR920000305 B1 KR 920000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polymer
group
insoluble
water
solid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6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576A (ko
Inventor
자넷 잰코우어 로라
월터 쉼플리 래리
Original Assignee
어드밴스드 폴리머 시스템 인코오포레이티드
데이비드 더블유·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드밴스드 폴리머 시스템 인코오포레이티드, 데이비드 더블유·라이트 filed Critical 어드밴스드 폴리머 시스템 인코오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00017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elimination of a liquid phase from a macromolecular composition or article, e.g. drying of coagul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4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elimination of a liquid or solid component, e.g. precipitation, leaching out, evaporation
    • C08J2201/05Elimination by evaporation or heat degradation of a liquid phase
    • C08J2201/0502Elimination by evaporation or heat degradation of a liquid phase the liquid phase being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6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탄성 마이크로비드(microbead)를 사용한 조절박리 조성물
본 발명은 구멍안에 의학, 화장품 및 다른 실용적 및 미학의 다양한 용도의 활성성분으로서 유용한 여러가지 타입의 함침체를 보유하고 있는, 현미경적 디멘젼의 다공성 중합체성 입자를 포함하는 조절박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멍에 보유된 활성 기재와 함께 비활성 고형물질의 다공성 입자로 구성되어 있는 조절박리 조성물은 1987년 9월 1일에 발간된 Won의 미합중국특허 제4,690,825호 및 1987년 8월 31일에 제출된 계류중인 출원일련번호 제91,641호(이것과 함께 공통적으로 지정된)에 설명되어 있다. 상기 활성성분은 일반적으로 용액형택이고 모세관 힘에 의해서 상기 입자의 구멍내부에 유지되어 있다. 상기 구멍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및 상기 입자표면에 개방되어 있어서, 상기 유지된 활성성분의 외부쪽으로 완전히 확산시킨다. 특정경우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입자만으로 구성되고 및 다른 경우에서는, 상기 조성물이 적절한 운반체안의 입자 분산액으로 구성되어 도포약, 켓, 로숀 또는 연고와 같은 통상적인 피부조제물과 비슷하다. 비록 필요에 따라서 박리하는 것은 상기 조성물을 교반하거나 문질러서 수행한다하더라도, 상기 어느 경우에서든지 상기 구멍으로부터 활성성분을 박리하는 것은 확산으로 조절한다.
상기 참조 특허 및 출원건에서 설명된 입자는 일반적으로 견고한 특성을 지니는바, 고압을 사용하지 않는 및 견고한 입자에 의해 야기된 작은 정도의 마찰 및 마멸 문제시되지 않는 적용대상만으로 그것의 유용성을 제한한다.
활성성분으로 함침된 다공성 입자를 포함하는 조절박리 조성물을 상기 입자가 견고하기보다는 탄성 또는 스폰지 특성을 가지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어 왔다. 특히, 마이크로비드 표면의 외부에 개방된 구멍의 상호 연결적인 연속 네트워크(network)와 같이 있는 다공성 마이크로비드를 견고한 물질의 제조방법과 관련하여 설명된 기술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을 이용하여 러버물질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형성된 스폰지, 러버와 같은 마이크로비드는 모세관힘에 의해서 용액함침제를 보유할 수 있을뿐 아니라 고형 또는 반고형 함침제(예를들어 상기 고형물이 용해하고 및 확산되는 액체 또는 유체운반체에 마이크로비드가 분산되는 조성물에 유용한)도 보유할 수 있다. 그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비드는 그것과 견고한 대응물과 동일방법으로 상기 함침제를 조절-박리운반할 수 있고 및 또한 추가로 고온 및 고압하에서의 내구성이라는 장점 및 극저마모 및 고도의 부드러운 촉감이 필요한 시스템 및 조성물을 포함하는 더욱 넓은 범위의 적용대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비드는 경화성 탄성체로 구성된다. 그러한 탄성체는 가교함으로써 경화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예는 이소프렌러버(rubber), 부타디엔러버, 클로로프렌러버, 이소부틸렌-이소프렌러버, 니트릴-부타디엔러버, 스티렌-부타디엔러버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폴리머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군사이에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러버중의 디엔단량체는 직쇄 디올레핀, 시클릭 디엔 및 브릿지링 디엔뿐만 아니라 비시클릭 디엔을 포함하는 넓은 범위의 구조를 가진다. 그러한 디엔의 예는 1,4-헥사디엔 및 더욱 긴 사슬 유사체 및 그것의 동족체,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에틸이덴노르보넨(명백히 5-에틸이덴-2-노르보넨)이다. 마지막 두 화합물 각각은 브릿지링을 포함하고 그것들의 구조식은 하기와 같다 :
Figure kpo00001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러버는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서 경화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예비중합체(Prepolymer)로부터 제조되어진 에틸렌-프로필렌-디엔러버이다. 그러한 예비중합체는 약 1,000 내지 약 30,000, 바람직하게는 약 5,000 내지 약 10,000 범위의 분자량 및 약 5 내지 약 50, 바람직하게는 약 8 내지 약 30 범위의 요오드가(분자에서 불포화 정도를 나타내는)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입자의 크기가 광범위하게 변하지만, 직경으로 약 1 내지 약 200미크론 범위내에 있는 것들이 배합하는데 용이하고 및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할 수 있어 가장좋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면체 안에 있는 구멍 디멘젼은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는 바, 사용된 중합체의 화학적 특성은 물론 내부에 보유된 보조제의 확산특성에 따라서 최적의 디멘젼을 가진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장 좋은 결과는 약 0.01 내지 약 4.0cc/g,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2.0cc/g 범위의 총 구멍부피, 약 1 내지 약 500㎡/g,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200㎡/g 범위의 표면적 및 약 0.001 내지 약 3.0미크론, 바람직하게는 약 0.003 내지 약 1.0미크론 범위의 평균구멍직경을 가짐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구멍크기를 측정하고 및 나타낸 후에, 질소 흡수 등온선 또는 수은관입과 같은 기술에 의해 상기 구멍직경을 측정하고 및 상기 구멍직경은 원통형 모양의 구멍모델에 근거한다.
액체-액체시스템에서 현탁액 중합체화에 의해 상기 입자를 형성시키는 것이 편리하다. 일반적으로 단량체 및 중합체화촉매(만약 사용된다면)을 포함하는, 물과는 섞이지 않는 용액을 형성한다. 상기 용액과는 완전히 섞이지만 물과는 섞이지 않는 비활성 액체를 상기 용액에 포함시킨다. 상기 용액을 일반적으로 표면활성제 및 분산제와 같은 첨가제를 포함하여 현탁현상을 촉진시키는 수용액에 포함한다. 일단 바람직한 크기의 구별된 방울로 상기 현탁액이 만들어지면, 중합화는 효과적이다(전형적으로는 온도를 올리거나 또는 빛을 조사함으로써 반응물을 활성화시켜서). 일단 중합화를 끝내면, 상기 현탁액으로부터 탄성고형입자를 회수함으로써 수득한다. 상기 입자는 고형다공성 구조이고, 상기 중합체는 상기 비활성 액체주위에서 형성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구멍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용액은 포로겐(porogen) 또는 구멍 형성제(pore-forming agent)로서 역활을 하며 및 상기 형성된 비드의 구멍에 자리한다.
특정경우에 있어서, 조절 박리에 의해서 운반되는 활성성분으로서 의도된 종(species)은 상기 포로겐으로서 역할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중합화후 즉시 상기 현탁액으로부터 회수된 상기 다공성 비드는 표면 습기를 제거하고 및 이러한 성격의 더 진전된 가공단계를 거친후에 실질적으로 즉시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마이크로비드 형성 및 상기 활성종을 편입시키는 것은 단일 단계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것은 한단계 공정이라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활성종은 하기 기준에 맞는 것이어야 한다 :
1. 그것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과 완전히 혼합되거나 또는 적은 양의 비수용성 용매를 첨가함으로써 완전히 혼합될 수 있게 되고, 2. 그것은 물과 혼합되지 않거나 또는 기껏해야 조금 용해되고 및 3. 그것은 상기 단량체에 대하여 비활성이고 및 사용되는 모든 중합화촉매와 접촉했을 때 및 중화합를 유도하는데 필요한 모든 조건(온도 및 방사와 같은)에 종속되었을때 안정한 것이다.
이러한 기준에 맞지 않는 활성종에 대하여, 상기 구멍내부에 그것을 정치하는 것은 예비형성된 무수 다공성 중합체비드를 함침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상기 산물은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두단계로 제조되는바, 상기 중합화 과정은 후에 상기 활성종에 의해 제거되고 및 치환되는 대체 포로겐으로 먼저 수행된다. 대체포로겐으로서 적합한 물질은 상기 기준에 맞고 및 더 나아가 일단 중합화가 완성되면 상기 비드의 구멍네트워크로부터 즉시 추출되어질 수 있는 특성을 지닌 액체물질일 것이다. 이것은 광범위한 물질, 명백히 비활성, 비극성, 유기용매를 담당한다. 가장 편리한 몇몇 실례는 알칸, 시클로알칸 및 방향족 화합물이다. 그러한 용매의 예는 5 내지 12탄소원자의 즉 또는 측쇄 알칸, 8탄소원자의 시클로알칸, 벤젠 및 톨루엔 및 크실렌과 같은 알킬-치환벤젠이다. 다른 타입의 포로겐은 C12-C15알콜벤조 에이트, 퍼플루오로폴리에스테르 및 실리콘 오일이다. 실리콘 오일의 예는 폴리디메틸시클로실옥산, 헥사메틸디실옥산, 시클로메티콘, 디메티콘, 아모디메티콘, 트리메틸실릴아모디메티콘, 폴리실옥산-폴리알킬공중합체(스테아릴 디메티콘 및 세틸 디메티콘과 같은), 디알콕시디메틸폴리실옥산(스테아록시디메티콘과 같은), 폴리콰테르늄 21, 디메틸콘 프로필 PG-베타인, 디메티콘 코폴리올 및 세틸 디메티콘 코폴리올이다. 일단 중합화가 완성되면, 상기 포로겐은 용매추출, 증발 또는 유사한 통상적인 작업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두단계 공정을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장점은 상기 활성종으로 함침되기전에 그것은 상기 중합화된 구조물로부터 불필요한(unwanted)종을 제거하게 한다는 것이다. 불필요한 종의 예는 미반응 단량체, 촉매 잔류물 및 표면 활성제 및/또는 상기 구표면상에 남아있는 분산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술의 진전된 장점은 그것이 상기 완성된 비드의 구멍특성을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포로겐의 양 및 타입을 선택하게 한다. 따라서 그것이 상기 비드 자체의 구조에 영향을 끼침에 따라 상기 활성종을 제한하는 것에 의해 더이상 속박되지 않는다. 이것은 또한 활성성분으로 상기 구멍을 완전히 충진시키기보다는 부분적으로 충진시키고 및 더우기 팽창된 및 팽창되지 않는 포로겐중에서 선택함으로써 구멍크기 및 분배에 대하여 조절한다.
두단계 공정에서 상기 포로겐의 추출 및 상기 보조제로 그것을 치환하는 것(예를들어, 건조비드의 함침과 같은)은 상기 포로겐의 화학적 성질 및 존재하는 다른종과 조합된 그것의 양태에 의존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유효화될 수 있다. 상기 비드는 먼저 바람직하게는 진공여과기구(Buechnerfunnel과 같은)를 사용한 여과에 의해 상기 현탁액으로부터 회수된다. 다음 상기 비드를 적절한 용매로 세척하여 상기 수성층으로부터 상기 비드표면에 집적된 표면활성제, 미반응 단량체 및 잔류촉매 및 상기 포로겐 자체를 포함하여, 상기 중합체에 결합되어 있지 않는 유기종을 제거한다. 그러한 용매에 예는 단독 또는 수용액속의 이소프로판올이다. 일단 세척을 다한후, 상기 용매 자체를 바람직하게는 진공속에서 건조하여 제거한다.
특정경우에서, 대안적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포로겐일 경우, 미반응 단량체 및 물은 공비혼합물(azeotrope)을 형성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증기 증류법이 상기 비드로부터 프로겐을 추출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러한 것은 진공하에서 건조한 후 다시 반복될 수 있다.
일단 상기 비드를 건조시키고 및 상기 대체 포로겐 및 다른 불필요한 유기물질이 없게 되면 그것은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서 활성종으로 함침된다. 접촉흡수법이 그러한 기술에서 가장 편리한 것이고 상기 흡수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면 용매에 의해서 보조되어진다.
주위조건에서 고형인 활성종을 먼저 가열하여 용융시킨 다음 상기 접촉흡수과정 동안 용융상태로 지속시킬 수 있다. 일단 함침이 되었다면, 상기 입자는 주위온도로 냉각될 수 있고 및 따라서 상기 용융활성종을 고형형태로 환원시킬 수 있다.
특정 활성종을 또한 공융혼합물로 혼합하여 용융물의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저용융조성물을 생성한다. 용융물 및 공율물은 일반적으로 한단계 또는 두단계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합화 방법 및 포함된 다양한 변수 및 방법을 상기 구멍특성 및 결론적으로 궁극적인 생산물의 능력 및 박리특성을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선택 및 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촉매의 적절한 선택 및 그것의 양과 함께 공통제제(coagent) 및 다른 부가물의 사용 및 포로겐의 양과 타입을 선택하는 것은 상기의 조절수단이다. 온도, 교반정도 및 상기 중합화반응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소를 포함하여, 특정중합화 조건은 또한 그러한 효과에 대하여 변할 수 있다.
EPDM 러버에 대하여, 바람직한 중합화 촉매 또는 경화시스템은 유리라디칼 개시제(initiator), 명백히 페록시드-타입 유리라디칼 개시제이다. 페록시드 개시제의 예는 터트-부틸 퍼벤조 에이트, 터트-부틸 히드록페록시드, 터트-부틸 퍼아세테이트, 2,5-디(벤조일페록시)-2,5-디메틸헥산, 디-터트-부틸 디펙시아젤레이트(disperoxyazelate), 터트-부틸 페록시-2-에틸헥사노 에이트, 터트-아밀 퍼옥토 에이트, 2,5-디(2-에틸헥사노일페록시-2,5-디메틸헥산 및 터트-부틸 페록시네오데카노 에이트이다. 페록시에스테르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반응혼합물에 다중 기능성 활성 올레핀을 부가물로 포함하여 페록시드 가교효율을 향사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그 실례는 디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아연아크릴레이트, N,N′-메타-페닐렌 디말레이미드 및 폴리부타디엔이다. 그러한 올레핀이 디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하여, 금속비누가 가공보조제를 포함될 수 있다. 그 실례는 나트륨, 포타슘, 망간, 납, 알루미늄, 마그네슘, 아연, 칼슘, 바륨, 코발트, 니켈, 구리, 철 및 세슘의 나프테네이트는 물론 마그네규마이크로비드, 아연, 망간, 칼슘, 바륨, 비스무스, 납, 코발트, 철 및 지르코늄의 옥타노 에이트이다. 금속비뉴가 코발트 나프테네이트, 망간나프테네이트 및 비스무스 옥토 에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멍내부에 위치한 활성종을 용매에 용해시켜 상기 구멍으로 흡수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용매는 상기 입자자체에 대하여 비활성이어야 하고 및 상기 입자는 이러한 용매에 불용이어야만 한다. 주어진 시스템에 가장 적절한 용매는 상기 입자로서 사용되는 물질은 물론 상기 활성종에 달려있고, 상기 선택을 잘하는 것은 숙련된 기술자의 능력에 달려있다. 사용되는 시스템에 의존하는바 적절한 유기용매에 실례는 액체페트롤라툼, 석유 에테르, 에탄올(특히 메탄올 및 티몰에 대하여), 고급알콜(특히 캄포르에 대하여),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및 미넬랄 오일이다.
일단 흡수가 일어났다면, 상기 용매를 증발시킬 수 있거나, 또는 필요하다면, 상기 구멍내에 상기 흡수된 물질과 함께 보유할 수 있다. 운반체 또는 보조제등과 같은 다른 배합화물질 또는 존재할 수 있어서 관심활성종 및 존재하는 다른 물질과 함께 비드내 또는 상으로 편입될 것이다.
상기 활성종은 상기 함침된 입자 총중량의 약 5% 및 약 65% 사이를 포함한다.
하기 실시예는 엄격히 설명목적으로 제시된 것이고 어떠한 방법으로든지 본 발명을 제한하거나 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용기를 100g의 톨루엔 및 디엔으로서 디시클로펜타디엔과 함께 에틸렌-프로피렌-디엔탄성체인 20.0g의 TRILENETM65으로 채웠다. 상기 탄성체는 코넥티컷주 미들베리 소재의 Uniroyal Chemical Company의 생산품이고 및 비중 0.84, 분자량(점도평균) 6500, Brookfield 점도는 60℃에서 560,000cps 및 100℃에서 67,000cps, 요오도가 19 및 에틸렌 : 프로필렌 비율은 48 : 52인 용액이다.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여 상기 탄성체가 완전히 용해되도록 하였다. 수득한 용액(중량으로 100부)을 t-부틸 퍼벤조 에이트(5부), 6% 코발트 나프테네이트(1부)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5부)와 혼합하였다.
MarasperseTMN-22(일종의 리그노술포네이트 분산제, 중량으로 5.7부), 아라비아검(5.7부) 및 물(470부)를 혼합하여 분산용액을 제조하고 용해될때까지 교반하였다. 다음 추가로 200부의 물을 첨가하여 수득한 용액을 97.3부의 상기 최초용액과 혼합하였다.
Ross 믹서를 사용하여 상기 혼합된 용액을 분산층으로서 TRILENETM용액 및 연속층으로서 수정용액을 가진 현탁액으로 전환시켰다. 50미크론 이하의 적하방울크기를 상기 믹서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다음, t-부틸 퍼벤조 에이트(7.5부), 6% 코발트 나프테에이트(1부)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7.5부)를 더 첨가하고 반응용기를 온도가 65℃로 상승된 중탕기에 침전시킨 상태에서 계속하여 교반하였다.
65℃에서의 교반 30분후, 상기 중탕기의 온도를 2시간동안 110℃로 올려 톨루엔을 제거하였다. 다음 상기 잔류 혼합물을 여과기로 통과시켜 10미크론 이하의 평균입자 크기를 가지는 섬세한 분말의 경화된 다공성 러버비드 수득하였다.
상기 설명은 본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 및 실시예에 직접 관련한 것이다. 본 기술분하의 숙련된 사람들에게는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이탈함없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개념을 실제적으로 이행하는데 다른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16)

  1. 입자의 외부에 개방된 구멍의 거의 연속적인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고형탄성입자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탄성 에비중합체를 상기 예비중합체에 대하여 비활성이고 물과 거의 불용인 액체종과 혼합하여 물과 거의 불용인 균일한 액체용액을 형성하고, (b) 상기 액체용액을 수용액에 분산시켜 현탁액을 형성하고, (c) 상기 예비중합체를 상기 현탁액에서 중합화시켜 상기 물과 불용인 액체종을 포함하는 고형탄성입자를 형성하고, (d) 상기 고형탄성입자를 상기 현탁액으로부터 회수하고 및 (e) 상기 물과 불용인 액체종을 상기 고형탄성입자로부터 추출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고형탄성입자의 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디엔예비중합체에서의 디엔이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5-에틸이덴-2-노르보넨으로 구성되는 일군으로부터 선택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디엔예비중합체가 약 1,000 내지 약 30,000 범위의 분자량 및 약 5 내지 약 50범위의 요오드가를 가지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단계(c)가 t-부틸 퍼벤조 에이트 및 t-부틸 히드로페록시드로 구성되는 일군으로부터 선택된 페록시드 유리라디칼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상기 예비중합체를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단계(c)가 t-부틸 퍼벤조 에이트 및 t-부틸 히드로페록시드로 구성되는 일군으로부터 선택된 페록시드 유리라디칼 개시제 및 예비중합체의 가교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의 다중 기능성 활성올레핀의 존재하에서 상기 예비중합체를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다중 기능성 활성올레핀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및 디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되는 일군으로부터 선택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단계(a)가 코발트 나프테네이트, 망간 옥토에이트 및 비스무스 옥토 에이트로 구성되는 일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비누와 상기 예비중합체를 혼합하는 것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불용성 액체종이 알칸, 시클로알칸 및 방향족 화합물로 구성되는 일군으로부터 선택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탄성입자가 약 1미크론 내지 약 200미크론의 평균직경, 약 0.01cc/g 내지 약 4.0cc/g의 총 구멍부피, 약 1㎡/g 내지 약 500㎡/g의 표면적 및 약 0.001미크론 내지 약 3.0미크론의 평균구멍직경을 가지는 방법.
  9. 하기입자의 외부에 개방된 구멍의 거의 연속적인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고형탄성 입자를 함유한 활성물질의 조절박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상기 활성물질로 함침되고 및 상기 고형탄성입자가 (a)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탄성 에비중합체를 상기 예비중합체에 대하여 비활성이고 물과 거의 불용인 액체종과 혼합하여 물과 거의 불용인 균일질의 액체용액을 형성시키고, (b) 상기 액체용액을 수용액에 분산시켜 현탁액을 형성시키고, (c) 상기 예비중합체를 상기 현탁액에서 중합화시켜 상기 물과 불용인 액체종을 포함한는 고형탄성입자를 형성하고, (d) 상기 고형탄성입자를 상기 현탁액으로부터 회수하고 및 (e) 상기 물과 불용인 액체종을 상기 고형탄성입자로부터 추출함으로써 형성되는 조절박리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탄성입자가 약 1미크론 내지 약 200미크론의 평균직경, 약 0.01cc/g 내지 약 4.0cc/g의 총 구멍부피, 약 1㎡/g 내지 약 500㎡/g의 표면적 및 약 0.001미크론 내지 약 3.0미크론의 평균구멍직경을 가지는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예비중합체에서의 디엔이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5-에틸이덴-2-노르보넨으로 구성되는 일군으로부터 선택된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예비중합체가 약 1,000 내지 약 30,000 범위의 분자량 및 약 5 내지 약 50범위의 요오드가를 가지는 조성물.
  13. 제9항에 있어서, 단계(c)가 t-부틸 퍼벤조 에이트 및 t-부틸 히드록페록시드로 구성되는 일군으로부터 선택된 페록시드 유리라디칼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상기 예비중합체를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14. 제9항에 있어서, 단계(c)가 t-부틸 퍼벤조 에이트 및 t-부틸 히드록페록시드로 구성되는 일군으로부터 선택된 페록시드 유리라디칼 개시제 및 예비중합체의 가교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의 다중기능성 활성 올레핀의 존재하에서 상기 예비중합체를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다중 기능성 활성 올레핀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및 디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되는 일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5. 제9항에 있어서, 단계(a)가 상기 예비중합체를 코발트 나프테네이트, 망간 옥토 에이트 및 비스무스 옥토 에이트로 구성되는 일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비누와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에 불용인 액체종이 알칸, 시클로알칸 및 방향족 화합물로 구성되는 일군으로부터 선택된 조성물.
KR1019890006881A 1988-05-23 1989-05-23 탄성 마이크로비드(microbead)를 사용한 조절박리 조성물 KR920000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97,375 1988-05-23
US07/197,375 US4873091A (en) 1988-05-23 1988-05-23 Controlled release formulating employing resilient microbeads
US197.375 1988-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576A KR900017576A (ko) 1990-12-19
KR920000305B1 true KR920000305B1 (ko) 1992-01-11

Family

ID=2272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6881A KR920000305B1 (ko) 1988-05-23 1989-05-23 탄성 마이크로비드(microbead)를 사용한 조절박리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73091A (ko)
EP (1) EP0351943B1 (ko)
JP (1) JPH0267213A (ko)
KR (1) KR920000305B1 (ko)
AU (1) AU605089B2 (ko)
DE (1) DE68904132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145B1 (ko) * 2002-04-01 2010-09-28 롬 앤드 하스 캄파니 거대 망상체 활성 중합체의 제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0835A (en) * 1989-10-25 1994-06-14 Avon Products, Inc. Cosmetic formulation having a palette of color shades renewable by mechanical action
US5246972A (en) * 1990-04-06 1993-09-21 Dow Corning Corporation Polish containing highly adsorptive polymer
EP0486117B1 (en) * 1990-06-28 1996-02-07 EDKO Trading and Representation Co., Ltd Multiph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s
US5281413A (en) * 1990-10-05 1994-01-25 Dow Corning Corporation Antiperspirant stick containing a macroporous polymer
US5387411A (en) * 1990-10-05 1995-02-07 Dow Corning Corporation Antiperspirant containing a hydrophobic macroporous polymer as the suspending agent
US5135660A (en) * 1991-01-07 1992-08-04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of recovering oil from the surface of water
US5143662A (en) * 1991-02-12 1992-09-01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particles of bioabsorbable polymer
US5145685A (en) * 1991-04-08 1992-09-08 Dow Corning Corporation Skin treatment method and composition
US5256400A (en) * 1991-12-04 1993-10-26 Advanced Polymer Systems, Inc. Pressurized product delivery systems
WO1993015722A1 (en) * 1992-02-07 1993-08-19 Syntex (Usa) Inc. Controlled delivery of pharmaceuticals from preformed porous microparticles
GB9211708D0 (en) 1992-06-03 1992-07-15 Unilever Plc Cosmetic composition
GB9318641D0 (en) * 1993-09-08 1993-10-27 Edko Trading Representation Compositions
US5583162A (en) * 1994-06-06 1996-12-10 Biopore Corporation Polymeric microbeads and method of preparation
US5437331A (en) * 1994-08-24 1995-08-01 The Western Company Of North America Method for fracturing subterranean formations using controlled release breakers and compositions useful therein
US5830967A (en) * 1994-10-24 1998-11-03 Amcol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n oil and water adsorbent polymer capable of entrapping solid particles and liquids and the product thereof
US6107429A (en) * 1994-10-24 2000-08-22 Amcol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n oil and water adsorbent polymer capable of entrapping solid particles and liquids and the product thereof
US5837790A (en) 1994-10-24 1998-11-17 Amcol International Corporation Precipitation polymerization process for producing an oil adsorbent polymer capable of entrapping solid particles and liquids and the product thereof
US5712358A (en) * 1995-06-07 1998-01-27 Amcol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n oil sorbent copolymer and the product thereof
US6048908A (en) * 1997-06-27 2000-04-11 Biopore Corporation Hydrophilic polymeric material
US5916937A (en) * 1997-09-30 1999-06-29 General Electric Company Heat cured fluorosilicone rubber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compression set
US6228894B1 (en) 1998-04-17 2001-05-08 Enhanced Derm Technologies, Inc. Softgel-compatible composition containing retinol
US5891470A (en) * 1998-04-17 1999-04-06 Advanced Polymer Systems, Inc. Softgel formulation containing retinol
EP1278937A1 (en) * 2000-04-07 2003-01-29 Sofitech N.V. Scale removal
US6670335B2 (en) 2001-03-05 2003-12-30 A. P. Pharma, Inc. Fluorouracil-containing formulation
EP1590009B1 (en) * 2002-10-22 2012-06-06 Allegiance Corporation Coating composition for skin-contacting surface of elastomeric articles and articles containing the same
GB0301577D0 (en) * 2003-01-23 2003-02-26 Edko Pazarlama Tanitim Ltd Sti Topical pharmaceutical and/or cosmetic dispense systems
DE102006026870A1 (de) * 2006-06-09 2007-12-13 Goldschmidt Gmbh Trennmittel und seine Verwendung bei der Herstellung von Polyurethan-Formkörpern
US20080020023A1 (en) 2006-07-20 2008-01-24 Shiping Wang Nonaqueous coating composition for elastomeric articles and articles containing the same
WO2010089763A2 (en) 2008-06-30 2010-08-12 Reliance Life Sciences Pvt. Ltd. Poly(n-vinyl caprolactam-co-acrylamide) microparticles for controlled release applications
US20110223297A1 (en) * 2010-03-12 2011-09-15 Pepsico., Inc. Anti-Caking Agent for Flavored Products
WO2015066717A1 (en) 2013-11-04 2015-05-07 BioPharmX, Inc. Dosage form comprising an active ingredient and a plurality of solid porous microcarriers
KR101734305B1 (ko) * 2015-01-29 2017-05-12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다공성 고분자 재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소재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12983A (en) * 1971-11-30 1975-11-05 Debell & Richardson Method of producing porous plastic materials
US4089800A (en) * 1975-04-04 1978-05-16 Ppg Industries, Inc. Method of preparing microcapsules
US4092381A (en) * 1976-01-05 1978-05-30 University Of Rochester Methods of fabricating microsponge deuterated hydrocarbon polymer targets which emit neutrons when irradiated by high energy beams
US4368280A (en) * 1980-12-31 1983-01-11 Mitsubishi Petrochemical Company, Ltd. Partially cross-linkable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eparing partially cross-linked thermoplastic elastomers
US4357312A (en) * 1981-07-16 1982-11-02 The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Method of making prolonged release body
DE3129745C2 (de) * 1981-07-28 1985-01-17 Hoechst Ag, 6230 Frankfurt Offenporig-mikroporös ausgebildeter Formkörper mit inhärenter latenter Strukturumwandelbarkeit
GB8405680D0 (en) * 1984-03-05 1984-04-11 Unilever Plc Porous polymers
EP0193318B1 (en) * 1985-02-25 1990-12-19 Tonen Corporation Microporous membrane of ultra-high molecular weight alpha-olefin polymer
WO1986006086A1 (en) * 1985-04-16 1986-10-23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Particulate, crosslinked amorphous copolymer,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use thereof
JPH0651796B2 (ja) * 1985-07-18 1994-07-06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微粒状架橋非晶質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法
US4690825A (en) * 1985-10-04 1987-09-01 Advanced Polymer Systems, Inc. Method for delivering an active ingredient by controlled time release utilizing a novel delivery vehicle which can be prepared by a process utilizing the active ingredient as a porogen
US4742086A (en) * 1985-11-02 1988-05-03 Lion Corporation Process for manufacturing porous polym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145B1 (ko) * 2002-04-01 2010-09-28 롬 앤드 하스 캄파니 거대 망상체 활성 중합체의 제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481789A (en) 1989-11-23
KR900017576A (ko) 1990-12-19
DE68904132D1 (de) 1993-02-11
DE68904132T2 (de) 1993-05-27
EP0351943A2 (en) 1990-01-24
AU605089B2 (en) 1991-01-03
EP0351943B1 (en) 1992-12-30
JPH0267213A (ja) 1990-03-07
EP0351943A3 (en) 1990-11-07
US4873091A (en) 198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305B1 (ko) 탄성 마이크로비드(microbead)를 사용한 조절박리 조성물
EP0157504B1 (en) Porous polymers
EP0242478B1 (en) Water absorbent acrylic copolymers
KR960014550B1 (ko) 수경화성 저분자 중합체 및 그 조성물과 복합체
JP2530668B2 (ja) 改良された吸水性樹脂の製造法
JPS5844694B2 (ja) スイブンサンセイジユウゴウタイソセイブツノ セイホウ
KR19990067569A (ko) 내부 상이 많은 에멀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다공성 물질
NO984177D0 (no) Polyolefinbasert middel for minskning av bevegelsesmotstand, og fremgangsmåte til fremstilling av slikt middel
US4834972A (en) Gels of telomer-copolymers of ethylene and a silane
FR2618086A1 (fr) Procede pour la production de resines a capacite elevee d'absorption d'eau
He et al. Formation mechanism of silicone rubber particles with core–shell structure by seeded emulsion polymerization
JPH06184212A (ja) 超吸収剤ポリアクリレートの製造法の改良
JPH06172418A (ja) 残留モノマー含量の少ない超吸収剤ポリアクリレートの製造法
US3551518A (en) Grafted copolymers
JP6357484B2 (ja) パーソナルケア用途におけるシリコン含有ポリオレフィン
EP0207714B1 (en) Improved process for preparing water-absorbing resins
KR850000174B1 (ko) 이소올레핀 중합체 슬러리의 안정화법
JPH04265148A (ja) 高分子量アニオン乳化剤及び低分子量カチオン界面活性剤を含むエマルション
Çaykara et al. Effect of preparation methods on thermal properties of poly (acrylic acid)/silica composites
US2645631A (en) Emulsion copolymerization of sulfur dioxide and unsaturated organic compounds
JPH02199104A (ja) 吸水性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stelvetro et al. Alkoxysilane Functional Acrylic Latexes: Influence of Copolymer Composition on Self‐Curing Behavior and Film Properties
US6387837B1 (en) Polymerization-initiating supported systems
JPS6131450A (ja) 耐塩性水膨潤材
Santra et al. Kinetic investigation on the curing of ethylene methyl acrylate—Polydimethyl siloxane rubber blends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