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108B1 - 전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108B1
KR920000108B1 KR1019880009277A KR880009277A KR920000108B1 KR 920000108 B1 KR920000108 B1 KR 920000108B1 KR 1019880009277 A KR1019880009277 A KR 1019880009277A KR 880009277 A KR880009277 A KR 880009277A KR 920000108 B1 KR920000108 B1 KR 920000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signal
line
call
p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155A (ko
Inventor
신고 노자끼
유다까 가또오
요시노리 스즈끼
쇼오조오 다나까
히도시 후까가와
요시하루 스즈끼
기요다까 다께하라
요시유끼 고모다
아끼히꼬 하마다
Original Assignee
마쓰시다 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미요시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시다 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미요시 도시오 filed Critical 마쓰시다 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9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화 시스템의 전체개략도.
제2도는 본 시스템의 주장치의 회로도.
제3a도는 장착브라켓에 지지된 것이 표시된 주장치의 전면도.
제3b도는 주장치의 단면도.
제3c도는 주장치의 일부절단 배면도.
제3d도는 주장치의 단면도.
제4도는 주장치의 장착을 설명하는 단면도.
제5도는 일 응용예의 주장치의 단면도.
제6도는 주장치에 사용되는 커버판넬의 사시도.
제7도는 시스템에 이용되는 전화단자의 회로도.
제8a도 및 제8b도는 각각 장착브라켓에 지지된 전화단자의 전면도 및 배면도.
제9 내지 제14도는 각각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제15, 16 및 17도는 각각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챠트.
제18 내지 21도는 각각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제22도는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챠트.
제23도는 시스템의 보류회로의 회로도.
제24도 내지 28도는 각각 보류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임챠트.
제29도는 전화단자의 페이징부를 구동하기 위해 주장치에 구비된 페이지 드라이버 및 전화단자 인터페이스의 상세회로도.
제30도는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압레벨 검출회로의 상세회로도.
제31도는 전화단자의 페이지부를 구동하기 위한 다른 페이지 구동회로의 상세회로도.
제32도는 시스템에 사용되는 다른 전압레벨 검출회로의 상세회로도.
제3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화 시스템의 전체 개략도.
제34도는 상기 전화 시스템의 주장치의 상세회로도.
제35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화 시스템의 주장치의 회로도.
제36도는 상기 주장치의 상세회로도.
제37 및 38도는 각각 상기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제39도 및 43도는 각각 상기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임챠트.
제44도 및 45도는 각각 상기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제46 및 47도는 각각 상기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임챠트.
본 발명은 전화 시스템, 특히 가입자의 가정에 있는 국부전화로서 일세트의 종래의 키 없는 전화기를 이용하는 내선 전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위 홈 전화 시스템으로 알려진 내선 전화 시스템이 구비될지라도 국부전화기로서 특별 설계된 키 전화기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시스템은 현존 전화기를 포함하는 각종 전화기중 좋아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또한 도어폰이 주장치에 접속되어 있고 주장치는 1쌍의 리드로 구성되는 내선을 통하여 각각의 국부전화기에 접속되는 도어폰이 결합된 전화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2도체 내선에 의한 배선을 갖는 경우, 국부전화기는 중앙국선(즉, 외선)을 통한 착신 또는 도어폰으로부터의 호출 중 하나의 수신에 응하여 동일하게 벨이 울려지므로 따라서 호출형태를 상호간에 판별할 수가 없었다. 더욱기 상기한 종래 시스템은 사용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어떤 수단도 포함하지 않으며, 이는 원격전화기의 사용자가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인식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졌으며 그 목적은 각 국부전화기의 사용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국부전화기로서 현존하는 키없는 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는 전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현존 전화기와 접속하여 도어폰을 사용할 수 있는 전화 시스템의 제2변형, 가정에 설치된 종래의 배선함내에 주전화기를 설치할 수 있는 전화 시스템의 제3변형, 및 국부전화기들 사이에 통화가 가능한 전화 시스템내의 제4변형을 제공한다.
[제1 실시예]
제1도에 대해 설명하면 도어폰이 결합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화 시스템이 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중앙국선(2), 도어폰(3)이 끝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폰선(4), 및 다수세트의 내선(5)과 제어선(6)에 접속된 주장치(1)를 포함하며, 각 세트는 전화 단자(terminal)(101내지 10n)중 하나에 접속되도록 고객의 가정에 배정된다.
제2도는 주장치(1)의 회로블록도를 나타내며 주장치(1)는 착신호출 검출기(7), 보류회로(8) 및 푸시버튼 다이알신호를 추출하는 결합 트랜스포머(9)로 구성되며 이 모두는 리드(L1과 L2)로 된 중앙국선(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주장치(1)에는 후크상태 및 다이알펄스 검출기(301내지 30n)과 4국선 절환릴레이(Ry11내지 Ry1n)가 포함되며 이들은 4전화단자(101내지 10n)와 대응하여 구비되어 각각 통상적으로 폐쇄된 b 접점을 갖는다.
각 전화단자(101내지 10n)는 각 b 접점과 후크/다이알펄스 검출기(301내지 30n) 각각을 경유하여 중앙국선(2)에 연결된다.
또한 주장치(1)는 각각의 도어폰(31과 32)이 접속된 도어폰 선(4)과 접속하기 위해 다수의 단자세트(121내지 122)를 구비한다.
각각 단자세트(121내지 122)에는 도어호출신호검출기(141와 142)와 백-토운 송신기(151및 152)가 연결된다. 도어폰 통화회로(13)가 도어폰 절환릴레이(Ry2)의 절환 접점(16)을 통하여 단자세트(121과 122)에 또한 연결되어 있다. 도어폰 통화회로(13)는 또한 각각 도어폰 접속릴레이(Ry3)의 접점(17), 전화단자(101내지 10n)에 대응하여 구비된 내선 접속릴레이(Ry411내지 Ry41n)의 접점(1811, 1812내지 18n1, 18n2)을 통하여 그리고 직류 차단 콘덴서(191내지 19n)을 통하여 국선 절환릴레이(Ry11내지 Ry1n)의 상시 개방 a 접점에 연결된다.
음원발생기(23)는 그 출력이 다른 내선접속 릴레이(Rt51)의 접점(211)과 직류 차단 콘덴서(22)를 통하여 릴레이 접점(17)과 릴레이 접점(1811내지 18n1) 사이의 접속점에 연결된다.
또한 음원발생기(23)의 출력은 백-토운 송신기(511및 512)와 음성증폭기 및 전화단자 인터페이스(24)에 연결되며, 또한 내선 접속 릴레이(Ry522)의 접점(212)과 접점(1812내지 18n2)을 통하여 각각 릴레이 접점(1811)과 콘덴서(191) 사이 그리고 릴레이 접점(18n1)과 콘덴서(19n) 사이의 접속점에 연결된다.
음성증폭기 및 전화단자 인터페이스(24)의 출력은 직류차단 콘덴서(26)와, 각 전화단자(101내지 10n)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내선호출릴레이(Ry61내지 Ry6n)의 접점(251내지 25n)을 통하여 각 전화단자(101내지 10n)에 유도되는 각 제어선(6)의 리드(L3)에 대응하는 접속단자에 연결된다. 페이지 드라이버 및 전화단자 인터페이스(28)는 음성증폭기(24)로부터의 음성신호가 페이지 드라이버(28)에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각각의 음성신호 차단코일(271내지 27n)을 통하여 각 리드(L3)에 접속된다.
제어회로(11)는 중앙처리장치(CPU)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한 릴레이용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어 ; 음원발생기(23)에서 발생된 음의 선택; 백-토운 송신기(151및 152)의 제어 ; 보류회로(8) 및 보류음 발생기(29)의 제어; 착신 호출 검출기(7)의 착신 호출검출신호의 판정; 호출 신호 검출기(141및 142)의 호출 검출 신호의 판정; 및 후크상태 및 다이알펄스 신호검출기(301내지 30n)와 푸쉬버튼 다이알 신호수신기(31)의 검출신호의 판정을 행한다.
도면에서 I1내지 In은 내선용 전원을 표시한다.
제3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 구성의 주장치(1)는 상기한 전자회로와 릴레이를 그 위에 형성하는 인쇄회로기판(200a 및 200b)을 그내에 수용하는 중앙부를 갖는 장치본체(33)내에 설치된다. 장치본체(33)의 배면 일끝에는 중앙 국선, 내선 및 도어폰선을 포함하는 소 세력선을 접속하기 위한 소 세력선 단자(32a)를 노출 설치하고, 다른쪽 끝에는 저압전원선을 접속하기 위한 저 전압단자(32b)가 설치된다. 장치본체(33)는 그 중앙 돌출부(33a)가 배면으로부터 장착브라켓(35)의 중앙 개구(34)에 결합되며 나사로 고정된다.
장착브라켓(35)은 다수의 모듈형 현존 배선장치를 수용하는 모듈형 브라켓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4련 모듈형 배선 장치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설정되어 있으며 각각의 열을 복수의 모듈형 배선장치를 수용한다.
장착브라켓(35)으로부터 측정한 장치 본체(33)의 크기는 제4도에 표시한 기존 스위치 박스(36)내에 충분히 수용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장착브라켓(35)은 또한 기존 브라켓과 같은 다른 구조, 예를 들어 배선장치의 고정수단 스위치 박스(36)에 대한 설치구멍 및 클램프용 구멍등이 형성되어 있다.
제4도는 벽면형성재(37)의 싱크구멍(38)에 매입되는 스위치박스(36)내에 설치된 주장치(1)를 보여준다.
이 상태에서 스위치 박스(36)의 밑에서 뻗어있는 절면 분리기(39)가 저세력선 단자(32a)와 저전압단자(32b) 사이에 형성된 홈(40)에 결합되어 저압 전원선(41)과, 중앙국선과 내선을 포함하는 저세력선(42) 사이에 배선이 섞이는 것을 방지한다. 장착브라켓(35)은 나사에 의해 벽면(37) 또는 스위치박스(36)에 고정되며 면판(43)이 그 위에 부착될수 있다.
제5도는 다른 배선장치와 연결시 장착브라켓(35)에 다른 장착브라켓(35′)이 부착되어 있는 일예를 보여준다.
제6도는 사시도로서 장치본체(33)의 중앙돌출부(33a)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44)과 배선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부가구멍(44′)이 형성되어 있는 본 응용에 사용된 면판(43′)을 보여준다.
제7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각 전화단자(101내지 10n)는 내선(5)의 리드(L1과 L2)에 연결되는 모듈형잭(45); 제어선(6)의 리드(L3과 L4) 사이에 접속되어 리드(L3과 L4) 양단에 나타나는 직류전압에 응하여 온 및 오프되도록 구동되는 전압레벨 검출기회로(46a와 46b); 콘덴서(47), 스피커(48) 및 슬라이더형 볼륨 제어 가변저항(49)의 직렬회로; 중앙국서의 통화중일 나타내기 위해 전압레벨 검출기회로(46a)와 리드(L3) 사이에 접속되는 C.O.L. BSY 발광 다이오드(LEDa), 및 내선이 통화중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 전압 레벨 검출기회로(46b)와 리드(L3) 사이에 연결된 INT.L. BSY 발광 다이오드(LEDb)로 구성된다. 전압레벨 검출기회로(46a와 46b)는 주장치(1)로부터 전압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대응하는 선이 통화중인 것을 표시하기 위해 각각 적색의 C.O.L. BSY 발광 다이오드(LEDa)와 녹색의 INT.L. BSY 발광다이오드(LEDb)를 온 동작시킨다.
스피커(48)는 주장치(1)로부터 중첩방식으로 리드(L3과 L4)를 통해 공급되는 음성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페이징(paging: 표시) 수단을 구성하여 도어폰(31, 32)과 다른 위치로부터 내선(5)을 통한 착신호출의 페이징을 행한다.
제8a 및 8b도는 전화단자(101)의 전체 외관을 표시하는 것으로 배선장치의 3모듈을 포함하는 하우징(50)에 회로 부품을 내장하고 있다.
하우징(50)의 배면에는 내선(5)과 제어선(6) 접속용 단자부(51)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모듈형잭(45)과 발광다이오드(LEDa와 LEDb)에 대한 창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6)의 전면에는 볼륨 제어 가변 저항기(49)의 슬라이더(52)와 스피커(48)의 음출 슬로트(53)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50)의 지지브라켓(54)은 기존 매입형 박스(표시되지 않음)에 고정되는 통상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를 전화단자(101)를 통상의 배선장치와 동일하게 취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화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9도에 대해 언급하면, 주장치(1)의 제어 프로그램은 크게 3주처리, 즉 시스템의 전원공급시 초기화 처리, 입력처리 및 출력처리로 나뉘어져서 표시되어 있으며, 주처리의 플로우챠트가 제10도에 표시되어 있다.
초기화 처리는 I/O 및 메모리 초기화 처리와 인터럽션 및 타이머 초기화 처리로 나누어진다. I/O 및 메모리 초기화 처리에 있어서 제어회로(11)의내부 메모리에 초기치를 설정한다.
내부 메모리는 각 전화단자(101내지 10n)에 접속되는 각 전화기(T)를 표시하는 상태변수를 기억하기 위한 제어회로(11)에 의해 사용되며 제어회로(11)는 각 전화기(T)를 이에 의해 관리한다. 즉 상태변수를 메모리 초기화시에 초기치로서 설정한다. I/O 초기화는 착신 호출 페이징, 통화중표시 및 각 릴레이의 제어를 초기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터럽션 및 타이머 초기화시에 제어회로(11)는 입력신호의 정규 억세스와 타이밍 요소의 제어를 위한 주기적 인터럽션이 사용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입력처리는 각종입력 정보에 따라서 제어회로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태변수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것이며, 그것의 플로우챠트를 제11도에 표시한다. 이 입력처리로서는 제12a도의 오프훅 처리, 제12b도의 온훅처리, 제13도의 다이알 입력처리, 제14a도의 착신호출 처리 및 제14b도의 도어폰 호출 처리로 분류된다.
우선 입력처리에 있어서, 각 후크 상태 및 다이알펄스 검출기(301내지 30n)(또는 푸시버튼 다이알 펄스 수신기(31)는 대응하는 키이 없는 전화기(T)가 오프훅 또는 온훅 상태에 있는지를 조사한다.
제15a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어회로(11)는 검출신호의 최초의 상승이 일어나면 오프훅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판정하여 이에 의해 제12도의 오프훅 처리 루틴으로 이동한다. 이 처리에 있어서는 중앙국선(2)로부터의 착신호출 중인지를 판정하여 착신호출중인 것 일때는 중앙국선(2)의 통화중의 처리를 행한다.
착신호출중이 아닐 때 도어폰(31또는 32)이 호출중인지를 판정하여 호출중일 때 도어폰과의 통화중의 처리를 행한다. 호출중이 아니면 내선(5)이 어떤 전화기에서 다른 전화기로 호출하기 위해 사용중에 있는지를 판정하여 내선이 호출중일 때 내선(5)의 통화중 처리를 행한다.
내선(5)에 도어폰 호출이 없으면 중앙국선의 사용가능 여부를 판정하여 중앙국선(2)이 사용 가능하다면 중앙국선(2)의 통화중 처리를 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전화기 사이의 인터폰이 가능한 내선통화중 처리를 행한다. 따라서 착신호출, 도어폰 호출, 내선호출 중 어느것도 검출되지 않을 때 소정 전화기의 오프훅 상태에 응하여 시스템은 중앙국선(2)과 전화기(T)가 접속된 내선(5) 사이의 접속을 하도록 동작한다.
그래서 검출신호에 최종 펄스 하강 또는 하강에지가 검출될 때 그것은 온훅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온훅 상태가 검출될 때 시스템은 제12b도의 플로우챠트에 따라 진행한다.
우선 제어회로(11)는 중앙국선(2)이 사용중에 있는지를 검사하여 사용중에 있으면 중앙국선(2)을 접속된 상태로 유지한다. 중앙국선(2)이 사용중에 있지 않을 때 처리는 내선(5)이 인터폰으로 사용중에 있는지를 검사하도록 진행하여 사용중일때는 내선(5)을 접속된 상태로 유지한다.
내선(5)이 사용중이 아닐 때 처리는 또한 도어폰(31또는 32)이 사용중에 있는지를 검사하도록 진행하여 사용중에 있을 때 도어폰선(4)을 접속된 상태로 유지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어회로(11)는 대응전화기(T)가 휴지상태에 있는 것으로 처리한다.
제15a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오프훅과 온훅 상태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다이알링 동작의 결과로서 다이알펄스(P)가 검출되며, 제어회로(11)는 다이알 펄스(P)로부터 제15c도에 표시된 다이알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 다이알 데이터에 가하여 도어폰의 보류 또는 호출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13도의 플로우챠트에 표시된 바와 같이 다이알 데이터로부터 중앙국선(2)에 대한 발신인지를 검사하여 중앙국선(2)에 대한 발신인 경우 시스템은 다이알 호출이 중앙국선(2)으로 발신되도록 한다.
다이알링이 중앙국선(2)에 대한 발신이 아니면 다이알 데이터로부터 내선 호출, 보류, 보류해제 또는 도어폰 호출인가를 검사한다.
제15b도는 온훅과 오프훅 상태 사이 기간동안 다이알 펄스 검출이 이루어진 것을 보여준다.
다음에 상기 다이알 입력처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회로(11)는 제1다이알 조작에서 제2다이알 조작가지의 간격시간을 계수하여 제1다이알 조작으로부터 일정시간내에 제2다이알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다이알링이 중앙국선으로 발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여 그 다이알 데이터에 기하여 시스템이 처리를 행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1”에서 “5”까지의 디지트가 주장치(1)에 접속되는 각 전화단자(101내지 10n)에 각각 1대 1로 할당된다.
디지트 “7”는 도어폰 호출용으로 할당되며, 디지트 “0”는 보류회로(8)가 선이 통화중에 있는 것을 검출할때의 상태의 보류 및 선이 보류중에 있는 상태하에서 보류해제를 위해 선택적으로 할당된다. 제어회로(11)는 이러한 할당에 따라서 입력처리를 행한다.
어떠한 다이알 입력도 검출되지 않고 매 3초간에 1초동안 벨을 울리는 착신 호출 신호가 착신 호출 검출기(7)에서 검출될 때 제어회로(11)는 착신호출 처리를 행한다. 이 착신처리에 있어서 제14a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착신호출 표시용 플래그가 설정된다.
즉 이 플래그는 제16a도에 표시된 착신호출 검출기(7)로부터 공급된 제16a도의 착신 호출 검출신호의 상승시에 설정되고, 최후 착신 호출 검출신호의 하강으로부터 일정시간의 오프-딜레이 타임의 경과후 리세트된다.
만약 이러한 착신 호출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시스템은 도어폰(31또는 32)으로부터 도어폰 호출이 있는가를 검사하도록 진행하여 그러한 호출이 검출될때는 제14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도어폰 호출중 표시용 플래그를 설정한다.
즉, 제17a도의 검출신호가 도어폰(31또는 32)의 푸시버튼을 누를 때 발생되는 도어폰 호출신호에 응하여 도어 호출 신호 검출기(141와 142)의 출력에 나타날 때 제어회로(11)는 이에 응하여 검출신호의 상승시에 도어 호출 플래그를 세트하고 제17c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대응전화기(T)의 오프훅 상태가 검출될 때 플래그를 리세트한다. 만약 오프훅 상태가 소정시간의 경과후 조차 검출되지 않을 경우 또한 플래그를 리세트시킨다. 상기 입력처리는 제11도의 처리에 따라 이루어진다.
제18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출력처리는 접속처리, 착신 호출 페이징 제어와 통화중 상태 페이징 제어를 포함한다.
제19도의 접속처리에 있어서는 중앙국선이 통화중에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통화중이 아닐 경우 국선 스위칭 릴레이(Ry11)는 그것의 접점(201)을 a 접점으로 절환시켜 중앙국선(2)과 대응하는 내선(5)을 분리시킨다. 그렇지 않으면 릴레이(Ry11)는 그것의 접점(201)을 b 접점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며 중앙국선(2)에 접속된 대응하는 내선(5)을 접속한다.
다음에 각 내선(5)이 통화중인지를 검사한다.
통화중이 아니면 대응 내선 릴레이(Ry411내지 Ry41n)가 접점(1811내지 181n)을 개방하도록 처리가 진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대응 릴레이(Ry411내지 Ry41n)는 주장치(1)의 내선과 대응하는 내선(5)을 접속시키기 위한 접점(1811내지 18n1)을 폐쇄하도록 절환된다.
그후 더욱이 도어폰(31또는 32)이 통화중에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통화중에 있을 않을 때 도어폰 접속릴레이(Ry3)는 그것의 접점(17)을 개방하도록 절환된다.
만약 그렇지 않은 경우는 릴레이(Ry3)는 절환되어 그것의 접점(17)을 폐쇄시켜 도어폰회로(13)를 주장치(1)의 내부회로 및 내선(5)에 접속 가능하다.
도어폰(31또는 32)이 통화중일 때 처리는 진행되어 도어폰(31또는 32)이 통화중인 것을 검사하여 그후 도어폰(31)이 사용중일 때, 도어폰 절환 릴레이(Ry2)의 접점(16)이 b 접점으로 절환되도록 하고, 다른 도어폰(32)이 사용중일 때는 a 접점으로 절환되도록 한다.
중앙국선(2)이 통화중인 경우에 처리는 보류요구가 있는지를 검사한다. 보류요구가 있는 경우 보류회로는 온상태로 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오프상태로 유지된다.
착신호출 페이징 제어처리는 제2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제어회로(11)는 중앙국선(2)으로부터의 착신호출신호의 검출에 따라 착신호출 표시음 발생모드를 세트하고, 내선 호출 릴레이(Ry61내지 Ry6n)의 접점(251내지 25n)을 개방하고 내선 접속릴레이(Ry51내지 Ry5n)의 접점(211내지 21n)을 폐쇄시키는 초기화 처리를 행한다. 착신호출 신호가 없을때는 도어폰(31또는 32)으로부터 호출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호출이 있을때는 도어호출 표시음 발생모드가 세트되어 내선 호출 릴레이(Ry61내지 Ry6n)의 접점(251내지 25n)을 폐쇄하고 내선 접속 릴레이(Ry51내지 Ry5n)의 접점(211내지 21n)을 개방하는 초기화 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도어폰 호출이 없을때는 내선호출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만약 호출이 있을때는 내선호출음 발생모드가 세트되며 이 호출에 의해 지정되는 내선호출 릴레이 내선 호출 릴레이(Ry61내지 Ry6n)가 작동되어 대응하는 접점(251내지 25n)을 폐쇄하고 내선 접속릴레이(Ry511내지 Ry51n)의 접점(211내지 21n)을 개방시킨다.
내선 호출이 없을때는 보류상태중에 있는지를 검사한다. 보류상태에 있을 때에는 시스템은 보류 표시음 발생모드로 세트되어 내선 호출 릴레이(Ry61내지 Ry6n)의 접점의 폐쇄하고 내선 접속릴레이(Ry51내지 Ry5n)의 접점(211내지 21n)을 개방한다.
보류 상태에 있지 않을 때 무음 발생모드가 세트되어 내선호출 릴레이(Ry61내지 Ry6n)의 접점을 개방하고 동시에 내선 접속릴레이(Ry51내지 Ry5n)의 접점(211내지 21n)을 개방한다.
상기한 처리에 있어서 제어회로(11)는 각종 상태를 검출하고 음원발생기(23)로부터의 페이징음의 선택과 페이징음이 전화기(T)에 송출되는 모드의 선택을 맡는다.
제21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통화중 페이징 제어처리가 표시되며, 우선 중앙국선(2)이 통화중인지를 검사하여 통화중인 경우는 발광 다이오드(LEDa)를 온시킨다. 통화중이 아닐때에는 보류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보류중일때는 발광 다이오드(LEDb)를 온시킨다. 보류상태에 있지 않을 때 시스템은 LEDa를 오프시키며 도어폰(31또는 32)이 통화중에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통화중일때는 대응하는 LEDb를 온시킨다. 인터폰(31또는 32)이 통화중일 때, 배선이 인터폰으로 통화중에 있는지를 검사하여 통화중에 있으면 LEDb를 온시키고 만약 그렇지 않으면 오프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페이징 루틴은 검출된 상태에 따라서 LEDa와 LEDb를 제어한다.
동작시에 중앙국선(2)으로부터 착신호출이 수신되며 제어회로(11)는 착신호출 검출기(7)로부터의 착신호출 검출신호에 의해 착신을 판정하고 이에 응해 착신호출음 발생모드를 설정하여, 이에 의해 내선 호출 릴레이(Ry61내지 Ry6n)의 접점(251내지 25n)을 개방하고 내선 접속 릴레이(Ry51내지 Ry5n)의 접점(211내지 21n)을 폐쇄한다. 이때 중앙국선 절환릴레이(Ry11내지 Ry1n)는 접점(201내지 20n)을 b접점으로 절환시켜, 그 결과 중앙국선으로부터의 착신호출은 전화단자(101내지 10n)에 각각 접속되는 키이없는 전화기(T)에 벨이 울릴 때 검출된다. 동시에 페이지 드라이버 및 전화기단자 인터페이스(28)의 dc 출력전압이 LEDa를 제어하는 전압레벨 검출기회로(46a)에서 검출되도록 제어를 행한다. 이 결과에 따라 전압레벨 검출기회로(46a)는 온동작되어 중앙국선(2)이 통화중임을 표시하기 위한 LEDa를 온시킨다.
어떤 키이없는 전화기(T)의 송수화기를 들거나 또는 착신호출에 응하여 오프훅할 때 이러한 오프훅상태가 후크상태 및 다이알 펄스검출기(30)에 의해 검출되어 제어회로(11)는 이 검출에 기하여 중앙국선(2)에 대하여 통화상태 준비가 된 것을 판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중앙국선(2)에서 분리된 예를 들어 전화단자(101)에 접속된 다른 전화기(T)에 오프훅이 일어나면 대응 후크상태 및 다이알 펄스검출기(301)는 전화기의 오프훅 상태를 검출한다. 이러한 검출이 있고 나머지 전화기(T)사이의 내선이 통화 가능한 상태에 있으면 제어회로(11)는 이에 응하여 국선절환 릴레이(Ry11)의 접점(201)을 내선측의 a접점으로 절환함과 동시에 대응 내선 접속 릴레이(Ry412)의 접점(1812)을 폐쇄시켜 소정 전화기(T)가 중앙국선(2)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조차도 내선(5) 통화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속음을 송부한다. 이 단속음은 다른 내선접속 릴레이(Ry51)의 접점(211)과 접점(201)을 통하여 대응하는 내선(5)에 송부되어 전화기(T)를 단속음으로 울린다.
예컨대 도어폰(31)이 프레스버턴을 조작함으로써 작동될 때 도어호출 신호검출기(141)는 제어회로(11)가 도어폰(31)으로부터 호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도어호출 신호를 검출한다. 이것이 검출될 때 제어회로(11)는 도어폰 접속 릴레이(Ry3)의 접점(17)을 닫도록 작용하며, 동시에 호출된 도어폰(31)과 접속하도록 도어폰절환 릴레이(Ry2)의 접점(16)을 스위칭하도록 작용한다. 동시에 제어회로(11)는 내선호출 릴레이(Ry611내지 Ry61n)의 접점을 닫아 음성증폭기 및 전화단자 인터페이스(24)의 출력을 제어선(6)과 접속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제어회로(11)는 페이지 드라이버 및 전화단자 인터페이스(28)에 내선통화중 페이지 발광다이오드(LEDb)가 여자화되는 전압레벨 검출기(46b)를 작동하는 레벨에서 출력전압신호를 제공한다.
더욱이 제어회로(11)는 상위한 톤이나 멜로디의 음성신호를 발생하는 방식으로 음성발생기를 제어하며, 상위한 음성신호는 이들 신호를 상호 구별하는 각 도어폰(31, 32)에 선택적으로 할당된다. 이런 방식으로 각 전화단자(101내지 10n)의 확성기(48)는 도어폰(31또는 32)으로부터의 호출을 나타내는 페이징 음성을 발하도록 여자화되며, 한편 LEDb는 내선이 통화중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온된다. 한편 배음송신기(151, 152)가 제어회로(11)에 의하여 작동되어 음성신호를 음성발생기(23)로부터 내부에 장착된 확성기(도시안됨)를 여자화되도록 호출하는 도어폰(31, 32)으로 전달한다.
전화기(T)의 수신기를 도어호출 페이징에 답하려고 들었을 때 제어회로(11)는 대응하는 전화기(T)가 접속되는 전화단자(101)에 대응하는 국선절환 릴레이(Ry11)의 접점(201)을 스위칭하는 동작상태에 있으며, 음원발생기(23)를 탈자화한 다음에 대응내선(5)과 호출도어폰(31, 32)을 접속한다. 전화기(T)중 어느 하나도 도어폰 호출발생 30초내에 응답하지 않을 때, 도어호출 페이징과 LEDb에 의한 표시는 자동으로 종료한다.
도어폰과 통신하는 전화단자에 접속된 것 이외의 전화기(T)중 하나를 들었을 때, 제어회로(11)는 임의의 다른 전화기(T)가 중심국선(2)상에서 통신하는지를 검사한다. 통신하는 것이 검출될 때, 제어회로(11)는 국선접속 릴레이(Ry11)가 배선과 스위칭하도록 하는 동시에 선택된 전화기(T)에 대응하는 내선 접속 릴레이(Ry412)의 접점(1812)을 닫는다. 이 시점에서 음원발생기(23)는 대응내선(5)에 접속되지만 음원발생기(23)가 비작동 된다는 사실로 인하여 전화기(T)에서 음성이 들리지 않는다.
따라서 훅을 들었을 때 전화기(T)는 국선(2)이 통화중인 것을 안다. 국선(2)의 통화중 상태는 LEDa가 온 됨으로써 알 수 있다. 국선(2)이 통화중이 아닐 때, 제어회로(11)는 국선(2)에 대응하는 국선절환 릴레이(Ry11)의 접점(201)을 스위칭하도록 응답하여, 외부 호출음성이 국선(2)상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확인함으로써 전화기(T)에 들을 수 있게 한다. 이 상태에서 LEDa는 국선이 이용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오프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동작은 시스템이 도어폰(31, 32)으로부터 호출을 받았다는 가정하에서 설명된다.
한편 전화기(T)로부터 도어폰(31, 32)으로의 후술은 소정 디지트(예컨대, 도어폰(31, 32)에 할당된 ”7“)를 다이얼한 다음에 전화기(T)의 수화기를 먼저 들어올림으로써 이루어진다. 다이알 데이터에 따라, 제어회로(11)는 호출된 도어폰(31, 32)을 전화기(T)가 접속되는 대응 전화단자(101내지 10n)와 상호 접속하도록 하며, 다음에 최종 호출된 도어폰(31, 32)와 접속하도록 도어폰절환 릴레이(Ry2)의 접점(16)을 스위칭함으로써 이들 사이에서 상호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전화기(T)사이의 내선상의 통신은 주어진 전화기(T)의 수화기를 들고 목적하는 전화기(T)를 지정하는 디지털을 다이알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어회로(11)는 다음에 내선호출의 다이얼 데이터만이 수화기의 오프훅으로부터 시작하는 소정 기간내에 검출될 때 요구되는지 판단하여, 전화기(T)가 접속되는 전화단자(101)에 대응하는 예컨대 국선절환 릴레이(Ry11)의 접점(201)을 스위칭하고 동시에 내선접속 릴레이(Ry412)의 접점(1812)을 닫는다. 내선 호출 릴레이(Ry61내지 Ry6n)의 이것이 발생할 때, 제어회로(11)는 또한 접점(251내지 25n)을 닫고 음원발생기(23)가 특정종류 음성신호를 발신하도록 작용을 한다. 따라서 음성신호는 확성기(48)을 구동하는 호출된 전화단자(101내지 10n)에 송신되는 음성증폭기 및 전화단자 인터페이스(24)에서 증폭되며, 확성기는 버저를 발신함으로써 내선호출 페이징을 실행한다.
유사하게 제어회로(11)는 페이지 드라이버 및 전화단자 인터페이스(28)를 제어하여 그의 직류 출력전압을 전압레벨 검출기회로(46b)를 온시키는 레벨에 설정하여 내선통화중 표시를 위하여 각 전화단자(101내지 10n)의 LEDb를 온시킨다. 전화단자(101내지 10n)에 접속되며 호출되는 내선번호를 갖는 전화기(T)의 수화기가 오프훅인때, 제어회로(11)는 대응 국선절환 릴레이(Ry11내지 Ry1n)의 접점(201내지 20n)을 내선과 접속하는 접점(a)에 스위칭하며, 동시에 대응내선접속 릴레이(Ry412 내지 Ry4n2)의 접점(1812내지 18n2)을 닫아 내선(5)에 의하여 호출하고 호출되는 전화기(T)의 상호접속을 행한다.
이것이 발생할 때 내선호출 릴레이(Ry61내지 Ry6n)는 구동되어 접점(251, 25n)을 열고, 음원발생기(23)는 신호가 접점(251, 25n)을 통하여 내선(5)에 송신되는 내선통화중을 표시하는 음성신호를 발신하도록 제어된다. 중심선국이 통화중이 아니고 사용되는 것 이외의 전화기(T)중 하나가 내선(5)상에서 통신을 위하여 사용될 때 제어회로(11)는 중심국선과 접속하도록 오프훅 전화기(T)에 대응하는 국선 릴레이(Ry11내지 Ry1n)의 접점(201내지 20n)을 스위칭하도록 반응하여 국선 다이알 톤이 상기 전화기의 수화기에서 들리도록 한다. 동일 상태이지만 국선이 통화중에 있음이 발견될 때, 제어회로(11)는 내선(5)과 접속하는 대응국선스위칭 릴레이(Ry11)의 접점(201내지 20n)을 스위칭하고 동시에 내선접속릴레이(Ry41내지 Ry4n)중 대응하는 것의 접점(181내지 18n)을 닫도록 응답하여, 음성신호를 음성발생기(23)로부터 전화기(T)로 발송하여 내선통화중 음성을 발신할 수 있게 한다.
국선호출은 전화단자(101내지 10n)중 어느 하나에 접속된 전화기의 수화기를 들어올리고 다이알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오프훅 상태를 검출할 때, 제어회로(11)는 중앙국선(2)을 접속하는 국선 스위칭 릴레이(Ry11내지 Ry1n)중 대응하는 것의 접점(201내지 20n)을 스위칭한다. 제1다이알 데이터를 후크상태 및 다이알 펄스검출기(301내지 30n)중 대응하는 것으로부터의 수신에 따라 제어회로(11)는 다음 다이알 데이터를 대기한다. 다음 다이알 데이터가 제2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 예컨대 3초 동안에 수신하지 못할 때 제어회로(11)는 상기 방법으로 호출이 내선(5)상에서 또는 도어폰(31또는 32)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동작한다. 다음 다이알 데이터가 소정 간격내에 또는 제2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초내에 수신될 때, 제어회로(11)는 호출이 중앙국선을 위한 것으로 판단하여 중앙국선(2)과 대응전화기(T)사이에 접속을 유지한다.
상기 오프훅상태가 제어회로(11)에서 처리되어 페이지구동 및 전화단자 인터페이스(28)를 전압레벨 검출회로(46a)를 여자화하는 출력전압신호를 발생하여 국선(2)이 통화중인 것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전화단자(101내지 10n)의 LEDa를 온한다.
중앙국선(2)의 보류는 동작이 수반하는 보류회로(8)에 의하여 실행된다. 주어진 전화기(T)의 수화기가 중앙국선 호출에 응답하여 들어올려지고 다음 다이알의 또다른 전화기(T)를 호출하기 위하여 내부적으로 이루어질 때, 전류가 발생하여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L2)에 삽입된 후크상태 및 다이알 펄스검출기(30)에 제공되는 포토커플러(PH1)의 발광다이오드(LED1)를 통하여 흐름으로써, 제2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다이알 펄스를 반사하는 선 전류를 발생한다. 이 시점에서 제2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리드(L1)에 삽입된 포토커플러(PH2)의 발광다이오드(LED2)를 통하여 흐른다.
이같은 인식에 따라, 제어회로(11)는 전화기(T)중 하나가 호출중이라고 판단한다. 이 시점에서 호출된 전화기의 오프훅은 중앙국선(2)의 극성을 역전하여, 리드(L1)가 로우레벨로 되어 포토커플러(PH1)의 LED2를 통한 전류를 발생시키지 않는데, 이것은 호출된 전화기(T)가 중앙국선과 통신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중앙국선상에 도래 호출을 수신할 때, 도래 호출신호는 제25a도와 제2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1와 LED2를 통하여 전류를 반복적으로 흐르게 한다. 도래 호출신호는 18㎐의 주파수를 가지며, 2초 간격으로 1초동안 반복적으로 발신되어 LED1과 LED2는 교대로 도통과 비도통을 반복한다. 일단 전화기(T)의 송수화기를 상기한 반복주기 경과후 들면선(L1과 L2)은 각각 하이와 로우로 되며 이에 의해 전류는 LED1을 통하여 흐르고, LED2를 통하여는 흐르지 않으며 이는 들려진 전화기(T)가 통화 가능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착신호출 또는 발신호출의 양 경우에 있어서 제어회로(11)는 제26a 및 27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포토커플러(PH1또는 PH2)가 5msec 이상 고레벨 출력은 발생하는 것이 응답하여 선 통화중 판정목적용 플래그를 세트한다. 플래그의 유효시간은 3초로 설정한다. 포토커플러(PH1또는 PH2)가 3초 유효시간내에 1초 이상, 상기 플래그를 설정시키는 것과 극성이 반대인 고 레벨 출력을 발생할 때, 제어회로(11)는 제26c 및 27c도에 표시된 바와 같은 통화중 상태로 판단한다. 외선의 리드(L1과 L2)가 역으로 접속될 때에도 동일하게 통화중 판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통화중 상태(제28a도에 표시됨)동안의 보류조작은 예를 들어 전화기(T)에 ”0”의 보류표시 디지트를 다이얼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이알조작이 행하여지는 리드(L2)의 전압레벨은 제28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로우가 되며 이것은 대응하는 후크상태 및 다이알 펄스검출기(301내지 30n)의 포토커플러에서 검출되어 제어회로(11)에 의해 다이알 데이터로서 수신된다. 다이알 데이터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어회로(11)는 보류조작이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접점(55)을 폐쇄하도록 릴레이(Ry7)를 구동하기 위한 트랜지스터(Q1)를 온시켜 보류를 실행하는 리드(L1과 L2)사이에 저항(R)을 접속시킨다.
이러한 보류상태에 있어서 전화기(T)를 오프훅하면 포토커플러(PH1)는 로우레벨 출력을 발행한다. 이 전화기(T)를 다시 온훅하면 포토커플러(PH1)는 하이레벨 출력을 발생한다. 보류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디지트 “0”를 다이얼하면 제어회로(11)는 후크상태 및 다이알 펄스검출기(301내지 30n)를 통하여 다이알된 디지트 “0”를 나타내는 다이알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에 응답하여 보류해제가 요구되는 것을 판정한다.
그후 제어회로(11)는 트랜지스터(Q1)를 오프하도록 제어하여 릴레이(Ry7)를 복귀시켜 접점(55)을 개방하여 따라서 리드(L1과 L2)로부터 저항(R)을 분리시킨다. 이때 전화기(T)는 중앙국선(2)에 접속되어서 통화를 다시 시작할 준비를 한다. 제28c 및 28d도는 각각 포토커플러(PH2)의 출력과 하이레벨에 있는 보류 상태를 나타낸다.
보류가 설정될 때 보류신호발생기(28)로부터 중앙국선(2)을 통하여 보조전화기에 보류신호가 발신된다. 이때 제어회로(11)는 페이지 드라이브 및 전화단자 인터페이스(28)를 제어하며 LEDa를 간헐 동작시키기 위한 레벨의 출력전압신호를 발생하여 중앙국선이 보류중인 것을 표시한다.
중앙국선(2)과의 통화중에 도어폰(31또는 32)으로부터 호출이 있을 때, 통화중에 있는 전화기는 호출 도어폰에 할당된 디지트, 예를 들어 디지트 “7”를 다이함에 의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다이알신호는 후크상태 및 다이알펄스 검출기(301내지 30n)에서 검출되어 이 다이얼 데이터가 제어회로(11)에 제공되며 제어회로(11)는 보류회로(8)를 동작시켜 보류상태로 되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전화기를 호출 도어폰(31또는 32)에 연결시킨다. 따라서 단일 다이알조작으로 도어폰과의 통화가 충분하다.
페이지 드라이브 및 전화단자 인터페이스(28)와 전압레벨 검출기회로(46a와 46b)는 각각 제29 및 30도에 표시된 회로로 구성된다. 페이지 드라이브 및 단자 인터페이스(28)는 4전압레벨의 4전압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Qa)가 온일 때 증폭기(AP)의 입력은 정지되어 증폭기(AP)의 출력은 대응하여 출력트랜지스터(Qe와 Qf)를 바이어스하여 리드(L3과 L4) 양단에 0볼트 출력전압을 얻는다. 트랜지스터(Qb)가 온되면, 증폭기(AP)는 입력전압으로서 저항(R1)과 (R2)로 분할된 소스전압을 받아들여 대응하는 출력전압을 발생하며 이는 출력트랜지스터(Qe와 Qf)에 바이어스를 가하여 예를들어 리드(L3과 L4) 양단에 5V 출력전압을 발생한다.
유사하게 트랜지스터(Qc)가 온되면 증폭기(AP)에 R1과 R2에 의해 결정되는 입력전압이 인가되어 이에 의해 예를들어 리드(L3과 L4) 양단에 10V의 출력전압을 발생한다. 또한 트랜지스터(Qd)가 온되면 증폭기(AP)에 R1과 R4에 의해 결정되는 입력전압이 인가되며 이에 의해, 예를들어 리드(L3과 L4) 양단에 15V의 출력전압이 발생된다.
전압레벨 검출기회로(46a)는 트랜지스터(Q2와 Q3)의 병렬 결합으로 구성되며, 트랜지스터(Q2)는 15V 또는 13V 이상의 전압신호입력으로 온되며, 트랜지스터(Q3)는 5V 또는 3V 이상의 전압신호 입력으로 온된다. 이 병렬 결합은 LEDa와 다이오드 브리지(DB)를 통하여 리드(L3과 L4)사이에 접속된다. 또한 이 회로에는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전류를 바이패스시키기 위하여 10V 또는 8V 이상의 전압신호 입력으로 동작되는 트랜지스터(Q4)가 포함되어 있다. 전압레벨 검출기회로(46b)는 10V 또는 8V 이상의 전압신호 입력으로 동작되는 트랜지스터(Q5)로 구성된다. 트랜지스터(Q5)는 LEDb와 다이오드 브리지(DB)를 통하여 리드(L3과 L4)사이에 접속된다.
따라서 0V 전압신호일 때 트랜지스터(Q2내지 Q5)는 오프되어 LEDa와 LEDb를 오프시킨다. 5V 전압신호일때에는 단지 트랜지스터(Q3)만이 온되어 LEDa를 동작시키며 이는 중앙국선이 통화중임을 표시한다. 10V 전압신호일 때 트랜지스터(Q4)가 온이 되며 이에 의해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되고 LEDa가 오프되며, 한편 트랜지스터(Q5)가 온이 되어 LEDb를 동작시키며 이는 내선이 통화중인 것을 나타낸다. 15전압 신호일 때 트랜지스터(Q2)는 온이 되어 LEDa를 동작시키며, 한편 LEDb는 온상태로 유지되며, 이느 중앙국선과 내선 모두가 통화중인 것을 나타낸다.
제31도는 5개 전압레벨의 dc 전압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페이지 드라이브 및 전화단자 인터페이스(28)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이 회로는 기본적으로 15V에서 동작되는 트랜지스터회로(Qd)에 부가하여 20V에서 동작하는 트랜지스터(Qg)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29도의 회로와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다.
이 회로구성에 대응하여 전압레벨 검출기회로(46a와 46b)가 제32도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전압레벨 검출기(46a)는 3V와 13V사이의, 예를들어 5V 또는 10V의 입력전압신호에 응답하여 LEDa를 동작시키는 트랜지스터(Qb)만이 온되며 13V 이상 예를들어, 15V 이상 또는 20V의 입력전압신호에 응답하여 트랜지스터(Q7)를 온시켜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 전류를 바이패스시키며 이에 의해 트랜지스터(Q6)를 오프시키고 LEDa를 오프시킨다. 전압레벨 검출기회로(46b)는 8V와 18V사이 예를 들어 10V 또는 15V의 입력전압에 응답하여 트랜지스터(Q8)를 온시켜 LEDb를 동작시키며, 그리고 18V 이상 예를들어 20V의 입력전압신호에 응답하여 트랜지스터(Q9)를 온시키며 이에 의해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 전류를 바이패스시켜 트랜지스터(Q8)를 오프시키고 LEDb를 오프시킨다. 이 회로를 구비할 경우 0V 또는 20V의 입력전압신호에서 회로내의 LEDa와 LEDb가 모두 오프되며; 5V 입력전압신호에서는 LEDa가 온되고, LEDb가 오프되며, 10V 입력전압신호에서는 양 LEDa와 LEDb가 모두 온되며; 15V 입력전압 신호에서는 LEDa가 오프되고 LEDb는 온이 된다.
따라서 0V 신호와 5V 신호를 교대로 인가하면 LEDb는 오프인 상태로 유지되고 LEDa는 온, 오프를 반복하며; 10V 신호와 15V 신호를 교대로 인가하면 LEDb는 온상태로 유지되고 LEDa는 온과 오프를 반복하며; 15V 신호와 20V 신호를 교대로 인가하면 LEDa는 오프 상태로 유지되고 LEDb는 온과 오프상태를 반복하며; 5V 신호와 10V 신호를 교대로 인가하면 LEDa는 온상태로 유지되고 LEDb는 온과 오프를 반복한다.
그러므로 보류상태는 LEDb가 온 또는 오프인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LEDa를 반복하여, 온 및 오프시키기 위해 페이지 드라이브 및 전화단자 인터페이스(28)에 0V와 5V, 또는 10V와 15V 전압신호를 교대로 발생함에 의해 표시가능하다.
[제2 실시예]
중앙국선상에 착신호출이 전화기의 벨을 울리고 LEDa를 온 및 오프시킴에 의해 표시되는 제1 실시예와 대조하여, 도어폰 또는 다른 전화기로부터의 내선호출은 전화단자(101내지 10n)내의 스피커를 동작시키거나 LEDb를 온 및 오프시킴에 의해 표시되며 상호간의 내선호출의 구별은 스피커에 상이한 페이징 톤을 발생하여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단지 스피커에 음을 발생시키고 전화기 벨을 울림에 의해 페이징을 실행하여 한편 LEDa와 LEDb에 의한 페이징을 제거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주장치(1)는 페이지 드라이브 및 전화단자 인터페이스(28)를 구비하지 않으며 뿐만 아니라 음성신호 인터럽팅 코일(27)이 필요하지 않으며, 한편 각 전화단자(101내지 10n)는 전압레벨 검출기회로(46a와 46b) 및 발광다이오드(LEDa와 LEDb)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차임음등을 발생하는 스피커(48)에 의해 음원신호를 발생하는데 이용되는 음원발생기(23)대신에 음성합성기와 같은 음성데이타 발생기를 포함한다. 음성데이타 발생기는 제어회로(11)의 음원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중앙국선호출, 내선호출 및 도어폰호출을 표시하는데 적합한 음성메시지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음성페이징은 통화중 LEDa와 LEDb를 구비하거나 또는 구비하는 것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제1, 제2 및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도어폰호출 및 내선호출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전화단자(101내지 10n)에 스피커(48)없이 단지 LEDa와 LEDb에 의해 페이징을 실행한다. 결국 음원중폭기 및 전화단자 인터페이스(24) 및 내선호출 릴레이(Ry61내지 Ry6n)는 각 전화단자(101내지 10n)의 스피커와 함께 불요하다.
[제5 실시예]
제33도를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제1 및 제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주장치(1)가 다수의 내선(2)에 접속되며 각 내선은 내선(2)과 통화를 위한 전화단자(101내지 10n)를 구비하는 제1 내지 4실시예와 달리 단일 내선(5)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인터폰용 관련 릴레이와 제어기능이 생략될 수 있다. 전화단자(101내지 10n)는 상호간에 병렬로 단일내선(2)에 접속된다.
제34도는 제2도에서와 같은 문자와 수자로 지정된 부품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장치(1)의 회로도를 표시한다. 착신호출 검출기(7)는 리드(L1과 L2), 저항(R1) 및 다이오드 브리지(DB)를 통하여 공급되는 착신호출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포토커플러(PC2)로 구성되어 1칩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진 제어회로(11)에 착신호출 검출신호를 보낸다. 보류회로(8)는 제어회로(11)의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포토커플러(PC1)로 이루어지며 트랜지스터(Q11)를 구동하여 저항(R2)과 제너다이오드(ZD11)의 병렬 결합을 다이오드 브리지(DB)의 출력단 양단에 트랜지스터(Q11)와 함께 접속시켜 리드(L1과 L2)를 폐쇄하며 이에 의해 보류를 실행한다.
보류음발생기(29)는 보류상태에 제너다이오드(ZD11)의 양단에 나타나는 전압의 수신에 응하여 중앙국선(2)에 송부될 보류음신호로서 발진출력을 발생하는 발진회로(IC1)로 구성된다.
착신호출 검출기(14)는 트랜지스터(Q12)로 구성되며 도어폰에 의해 실행되는 단자(12)사이의 도통이 일어날 때 도어폰 호출 검출신호를 제어회로(11)에 전송하기 위한 트랜지스터(Q12)를 오프시킨다.
백-토운 송신기(15)는 트랜지스터(Q13)로 구성되며 인터폰호출이 검출시 제어회로(11)의 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Q13)를 온시켜 음원발생기(23)에서 발생된 음원신호를 단자(12)에 송신한다.
도어폰 통화회로(13)는 제어회로(1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Q14와 Q15)를 온시킨 결과 소스전압이 공급될 때 증폭기(AP1)에서 도어폰에서 공급된 음원신호를 증폭하고 증폭기(AP2)에서 내선으로부터의 음원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음원발생기(23)는 1칩 IC로 구성되며 제어회로(11)의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음성신호의 종류를 선택한다. 음성신호는 증폭기(AP3)를 통하여 백-토운 송신기(13), 트랜지스터(Q16)를 통하여 내선, 또는 트랜지스터(Q17)를 통하여 페이징회로(110)에 선택적으로 전달된다. 트랜지스터(Q16과 Q17)는 제어회로(11)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내선호출 페이징 및 경보 페이징의 필요에 따라 내선 또는 페이징회로(110)에 대해 선택적으로 음성신호를 분배한다. 페이징회로(110)는 음성증폭기 및 전화단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음성신호를 증폭기(AP4)에서 증폭하고 이 증폭신호에 의해 내장스피커(111)를 동작시키며 동시에 증폭신호를 제어선의 리드(L3과 L4)에 송부한다. 경보단자(122)는 도난 또는 화재센서를 구비하며, 제어회로(11)와의 접속을 위해 제공되며 제어회로(11)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음원발생기(23)와 트랜지스터(Q17)를 제어하여 페이징회로 및 각 전화단자(101내지 10n)에 페이징을 실행한다.
페이지 드라이브 및 전화단자 인터페이스(28)는 제어회로(11)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전압증폭기회로(113)를 포함하며 제어선 리드(L3와 L4)에 인가된 신호전압을 조정한다.
후크상태 및 다이알 펄스 검출기(30)는 양방향 포토커플러(PC3)로 구성되며 제어회로(11)에 다이알 펄스와 루프 폐쇄 검출신호를 공급한다.
트랜지스터(Q18)는 제어회로(11)에 의해 제어되어 국선 절환 릴레이(Ry11)가 온될 때 그것의 접점(201)을 전환하기 위한 국선 절환 릴레이(Ry11)를 동작시킨다.
도면에서 번호 114는 전압원을 표시하며 문자 I1과 X는 각각 전류원과 수정 발진기를 표시한다.
제어회로(11)는 한 전화단자(101내지 10n)에 접속된 소정 전화기(T)로부터의 소정 다이알 디지트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어회로(11)를 레지스터 모드로 설정하는 모닝 호출 능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시스템이 등록동작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인에이블 신호를 소정 전화기(T)에 송부한다. 인에이블 신호를 송부한 후 제어회로(11)는 설정 시간과 지정된 전화기(T)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내부 메모리에 전화기(T)로부터 송신된 다이알 디지트를 기억한다. 이 결과 제어회로(11)는 클록을 포함하며 설정시간에 음원 발생기(23)를 동작시키고 동시에 대응하는 전화단자(101내지 10n)에 연결된 지정된 전화기(T)와 그 내에 내장된 스피커(48)를 동작시켜 모닝호출 동작을 실행한다. 이와 관련하여 음원 발생기(23)는 편안한 기상호출을 유도하는 멜로디 음성 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제어회로(11)의 내부 메모리에 큰 용량이 주어진 때 각 전화기(T)에 대해 모닝 호출을 등록할 수 있으며 모닝호출의 개별적인 설정이 가능하다.
[제6 실시예]
제1실시예와 유사한 본 실시예는 제35도에 개략적으로, 제36도에 상세히 표시된 회로구성을 갖는 주장치(1)를 포함한다.
제35도에 있어서 유사한 부분은 제2도에서와 같이 유사한 표시로 표시된다. 제35도의 회로는 푸쉬버튼 다이알 신호 수신기(311및 312)가 중앙국선(2)과 내선(5)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 중앙국선(2)에 접속신호를 반송하기 위해 루프 폐쇄를 실행하기 위한 루프 폐쇄회로(101); 대응하는 내선(5)과 전화단자(10)를 통하여 중앙국선(2)에 접속된 소정 전화기(T)의 조작에 의해 착신호출에 대한 답신으로 야기되는 루프 폐쇄시에 나타나는 호출 전류를 검출하는 호출전류 검출기; 외부 침입 또는 화재 센서와 접속하기 위한 보안신호 입력단자(103); 보안신호 입력단자(103)에 공급된 저주파 신호의 보안 신호를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보안신호 검출기; 통화로를 설정하는 아날로그 스위치로 구성되는 크로스포인트 스위치(105); 외선 발신음 검출기(106); 비상 스위치 버튼과 접속용 단자(107); 및 중앙국선에 대한 발신 호출을 실행하기 위한 푸쉬버튼 다이알러(108) 및 다이알링 릴레이(Ryd)를 구비하는 점에서 제2도와 상이하다.
이 회로에 있어서 통화로의 절환은 크로스 포인트 스위치(105)에서 전자적으로 실행되며 이들 이외의 스위칭 접속은 도어폰(31또는 32)과 도어폰 통화회로(13)사이에 국선절환 릴레이(11)에 의해 스위칭소자(S1및 S2)에서 이루어진다. 더욱이, 외신라인 호출은 접점(rd)을 통하여 다이알 릴레이(Ryd)에 의하거나 푸시버튼 다이알리(108)에 의해 만들어진다. 음성 증폭기 및 전화단자 인터페이스는 증폭기(A1내지 A2)로 구성된다. 도면에서, D1내지 D3는 게이트를 나타낸다.
제37도 내지 제47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제37도에서 도시된 바대로, 동작준비를 하기 위해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진 제어회로(11)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제1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온될시에 시스템은 시작할 것이다. 따라서, 제어회로(11)는 온-후크 혹은 오프-후크상태를 판정하며, 중앙국선을 통하여 착신호출의 존재를 판정하여 관련 스위칭 동작을 하게 하며, 도어폰 호출의 존재를 판정하여 관련스위칭 동작을 하게 하며, 내선호출을 판정하여 관련 스위칭 동작을 하게 한다.
본 실시예의 괄목할만한 특징은 외신호출용 루프폐쇄 전화세트(T)에 의해서 보다는 루프 폐쇄회로(101)에 의해 실행된다는 것에 있다. 제38도 및 제39도는 발신호출이 주어진 전화세트(T)로부터 행해질 때의 절차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제39a도에 상태가 도시된 주어진 전화세트(T)의 송수화기를 들 때, 국선 절환릴레이(Ry11)는 제39i도에 도시된 바대로, 크로스 포인트 스위치(105)와 접속하기 위한 접점(a)에 스위치되는 접점(201)을 가지므로, 후크상태 및 다이알 펄스 검출기(301내지 30n)는 오프후크 상태를 검출하여 제어회로(11)에 결과의 검출신호를 공급한다. 제어회로(11)는 응답하여 크로스 포인트 스위치(105)를 제39f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Xs19에서 전도가능하게 하며, 이것에 의하여 400Hz 주파수의 슈도 호출신호를 제39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내선(5)을 통하여 크로스포인트 스위치(105) 및 대응 전화단자(101)에 발신한다. 동시에, 제어회로(11)는 페이지 드라이브 및 전화 단자 인터페이스(28)를 제어하여, 제39g도에 도시된 바대로 국선이 통화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발광다이오드(La)를 온시키기 위한 전압신호를 발한다. 이때, 내선의 통화중임을 나타내기 위한 발광다이오드(Lb)는 제39h도에 도시된 것처럼 오프된다.
슈도 호출 신호의 발신은 다이알 신호의 입력때까지 계속된다. 제1다이알 신호(1)가 후크 상태 및 다이알 펄스 검출기(301)(혹은 푸시버턴 다이알 신호용 푸시버턴 다이알 신호 수신기)에서 검출될 때, 제어회로(11)는 슈도 호출 신호의 발신을 중지하며, 내부 버퍼 메모리로 다이알 데이터를 기억하며, 내부 타이머를 3초 타이밍 간격으로 동작하게 한다. 제2다이알 신호가 타이머의 타이밍 기간내에 수신될 때, 중앙국선을 위한 발신 호출이 지정된다. 제2다이알 신호가 3초간격내에 수신되지 않을 때, 제어회로(11)는 내부 호출이 주어진 전화기(T)로부터 요구되었다고 판정하여, 내선호출을 처리하도록 응답한다. 발신 국선 호출이 요구될 때, 제어회로(11)는 다이알 데이터와 같은 연속 다이알 신호를 버퍼 메모리에 기억하며, 루프 폐쇄회로(101)을 동작하게 하는 제39c도의 신호를 발신한다.
국선 발신 호출 음원검출기(106)가 루프폐쇄로 인한 발신 국선호출을 검출하여, 제39d도의 제어회로(11)에 결과의 검출신호를 발신할 때, 제어회로(11)는 응답하여 연속순서로 기억된 다이알 데이터를 버퍼메모리로부터 판독하며, 이것에 의하여 다이알 신호를 제39e도에 도시된 중앙국선에 송신하기 위한 스위칭소자(S3) 및 푸시버턴 다이알러(108) 혹은 다이알 릴레이(Ryd)를 동작하게 한다. 버퍼 메모리는 중앙국선(2)으로 다이알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전화기(T)로부터 공급된 다이알 데이터를 계속 기억한다. 모든 다이알 데이터가 해제될 때, 시스템은 소정시간격(예를 들면, 5초 타이밍 간격으로 타이머를 사용함에 의해 얻어진 5초)동안 대기하며, 그 시간격이 경과한 후에 중앙국선에서의 통화를 시작한다. 이때 루프 폐쇄는 중앙국선(2)으로의 다이알 신호의 전송동안 인터럽트됨을 주의하자. 푸시버턴 다이알러(108) 및 다이알 릴레이(Ryd)는 라인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트랜스포머(9), 뮤팅 스위칭 소자(S4), 크로스 포인트 스위치(105), 스위칭 접점(201) 및 내선(5)을 통하여 통화할 수 있다.
내선 호출이 지정될 때, 시스템은 제40도의 타임챠트와 같이 진행하며, 그 동작을 이후 설명될 것이다. 대응 전화단자(101)에 접속된 주어진 전화기(T)에 제40a도의 다이알 신호가 입력되며 이것에 의하여 제49b도의 슈도 호출 신호를 발신하고 3초시간격내에 후속 다이알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제어회로(11)는 다이알 데이터가 특정 전화 단자(예를 들어, 전화 단자(102))를 번호지정한다고 판정하며 오프후크상태로 인하여 도전상태인 크로스포인트 스위치(105)가 Xs10(제40d도)에서 도전되지 않게 하며, 이것에 의하여 중앙국선(2)을 단절시키며 내선(5)과의 통화 경로를 설정하기 위하여 Xs17에서 크로스포인트 스위치(105)가 도전되게 한다. 이때, 제40f도에 도시된 오프후크 상태로 인하여 온상태인 전화단자(101내지 10n)의 각각에서 발광다이오드(La)를 오프시키며, 동시에 페이지 드라이브 및 전화단자 인터페이스(28)는 제40g도에 도시된 대로 내선이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발광다이오드(Lb)를 온시키기 위한 전압신호를 발신하게 한다. 더욱이, 제어회로(11)는 음성발생기(23)가 내선호출을 나타내기 위해 제40i도에 도시된 음성신호를 발신하게 한다. 제40i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과의 음성신호는 내선(5)을 통하여 송신되며, 제40k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적된 전화 단자(102)를 위하여s05의 크로스포인트 스위치(105)를 통하여 제어선(6)에 송신된다. 내선(6) 및 제어선(6)을 통한 이러한 송신은 선택적으로 행해진다. 그러한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전화기(102)에서, 확성기(48)는 페이징 음성을 발생하도록 구동된다. 페이징 음성에 응하여 지정된 전화단자(102)에 접속된 전화기(T)의 송수화기를 들 때, 후크상태 및 다이알 펄스 검출기(302)는 오프후크 상태를 검출하고 이것에 의하여 제40l도의 결과의 검출신호를 제어회로(11)에 송신한다. 오프후크 상태에 응하여, 제어회로(11)는 음성신호발생을 중단하며, 전화단자(101)의 내선(5)과 전화단자(102)사이의 통화를 확립하기 위하여 제40m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포인트 스위치(105)가 XS27에서 도전되게 한다.
이러한 결과로써, 전화 단자(101)에 접속된 전화기(T)는 전화단자(102)에 접속된 전화기(T)와 통화하는 것이 허용된다. 이 상태에서, 국선 절환 릴레이(Rs11)는 접점(201)이 제40h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a)에 접속되게 한다. 중앙국선(2)으로부터 착신호출의 수신시에, 착신호출 검출기(7)는 결과의 검출신호를 제41a도에 도시된 제어회로(11)에 송신한다. 제어회로(11)는 응답하여 중앙국선 절환 릴레이(R11내지 R1n)의 동작을 중단시키며, 각 접점(201내지 20n)을 제 41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6)에 스위치한다. 계속하여 전화단자(101내지 10n)에 접속된 각 전화기(T)는 내선(5)을 통하여 중앙국선(2)과 접속하며, 이것에 의하여 합체된 벨을 울리게 한다. 예를 들어 제4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이 울리는 것에 응답하여 전화단자(101)에 접속된 주어진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들면 호출전류가 라인을 통해 흐른다. 호출전류는 제어회로(11)가 어떤 전화기(T)가 요구되는지를 검출하는 호출 전류 검출기(102)에 의해 제4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되며, 접점(201)을 접점(a)으로 스위치하기 위해 국선 절환 릴레이(Ry11)의 동작과 동시에 제41g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폐쇄회로(101)을 온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후크상태 및 다이알 펄스 검출기(301)는 오프후크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에이블되며, 따라서 제어회로(11)는 제41e도에 도시된 것처럼, 주어진 전화기(T)를 들면 나타나는 오프 후크 항태를 검출한다. 그러한 검출과 동시에, 제어회로(11)는 크로스포인트 스위치(105)가 제41f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XS10에서 전도되게 하며, 이것에 의하여 중앙국선(2)과 전화단자(101)로 인도되는 내선(5)을 접속하게 하며, 중앙국선(2)과의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도중에, 정전이 일어날 때, 다이알 펄스 검출기(301)는 제42a도에 도시된 것처럼 검출신호를 발신하기 않으며, 루프폐쇄회로(101)는 제4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된다. 동시에, 국선절환 릴레이(Ry11)는 작동하지 않으며 제4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201)을 접점(b)으로 스위치하며, 따라서 제42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폐쇄가 유지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중앙국선과의 통화를 허여한다. 일단, 정전이 해제되면, 회로의 각부재는 중앙국선과의 통화를 재개하도록 회복된다.
제4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전화기(T)의 오프 후크 동안 정전이 일어날 때, 국선 절환 릴레이(Ry11내지 Ry1n)는 접점(201내지 20n)이 접점(b)으로 스위치되게 하여서, 중앙국선(2)이 직접 내선(5)에 접속되는 서수 보류 상태가 된다. 일단 정전이 해제되면, 국선 절환 릴레이(Ry11내지 Ry1n)는 제어회로(11)의 제어하에 동작되어 제4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201내지 20n)을 접점(a)에 스위치한다. 동시에, 루프폐쇄회로(101)는 보류상태를 재개하기전에 제43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폐쇄하기 위하여 제4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간적으로 온된다.
중앙국선과의 통화중에 다른 전화기나 도어폰에 대한 내부 호출에 대한 보류동작이 제44도의 플로우챠트에 도시된 것처럼 행해진다. 중앙국선과의 통화에서 보류된 전화기(T)의 오프후크상태동안 내선 호출을 요구하는 다이알 디지트 예를 들어 디지트 “0”을 수신함에 응답하여 제어회로(11)는 내부 호출 요구를 확인하여 제45도의 보류처리로 진행한다. 즉, 크로스포인트 스위치(105)가 Xs11및 Xs17에서 도전되는 동안 Xs10에서 도전되지 않게 된다. 동시에, 보류음발생기(29)는 동작되어 결합 트랜스포머(9_)를 통하여 중앙국선(2)에 멜로디 보류음을 내며, 반면에, 루프폐쇄회로(101)는 온되어서 시스템이 페이징 처리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 보류가 행해진 후에, 시스템은 내선호출이 요구되며 다이알 데이터가 도어폰 호출을 나타내는 디지트 “7”외의 디지트로 식벽될 때, 전술한 내선접속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인정한다. 보류상태가 소정시간격이상 지속될 때, 보류음발생기(23)는 제어선(6)을 통하여 각 전화단자(101내지 10n)에 전송된 계속되는 보류를 경보하는 음성신호를 발하게 되며 각 확성기(48)에서 경보음을 발생한다. 보류의 해제는 어느 오프후크 전화기(T)의 송수화기를 들고 디지트 “0”을 다이알함에 의하여 행해진다. 그러나 다이알 데이터를 수신할 때, 제어회로(11)는 보류음발생기(29)의 발생을 중단하고, 이것에 의하여 중앙국선과의 통화를 재개하기 위하여 회로의 대응부를 제어한다.
도어폰은 지정하는 다이알 데이터의 수신시에, 제어회로(11)는 도어폰 통화시퀀스로 진행한다. 제46도는 보류 상태를 통하여 라인통화상태로부터 도어폰 통화상태까지의 타임시퀀스를 나타내는 타임챠트를 도시한 것이다. 제4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알 디지트 “0”가 입력될 때, 크로스 포인트 스위치(105)는 제46b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국선에 대응하는 Xs10에서 비전도되며, 뿐만아니라 제46c 및 제46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선에 대응하는 Xs12및 Xs11에서 비전도되며, 반면에 보류음 발생기(29)는 제46g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류음 신호를 발신하도록 동작된다.
동시에, 페이지 드라이브 및 전화 단자 인터페이스(28)는 발광 다이오드(La)에 부가하여 제46i 및 제46j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선이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발광 다이오드(Lb)를 동작하게 하기 위하여 제어선(6)에 공급되는 전압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것은 보류 처리를 종료시킨다. 다이알 디지트 “7”을 수신시에, 제어회로(11)는 도어폰이 요구된다고 판정하여, 크로스 포인트 스위치(105)가 Xs11에서 비도전되게 함과 동시에 제46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폰선으로 인도되는 Xs13에서 도전되게 하며, 이것에 의하여 내부통화준비를 위해 도어폰(31)과 도어폰선(13)간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제46h도에 도시된 스위칭 소자(S1)를 온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루프폐쇄회로(101)는 제46f도에 도시된 바대로 온으로 되어 루프폐쇄를 유지한다. 더욱이, 국선 절환 릴레이(Ry11)는 제46k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201)이 접점(a)에 접속되게 한다.
도어폰과의 상기 내부통화가 맨처음에 디지트 “0”을 다이알하여 이루어지지만, 중앙국선과 통화중인 전화기(T)에서 디지트 “7”를 다이알하여서만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보류동작을 자동적으로 시작된다. 즉, 제4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알된 디지트 “7”의 검출시에, 제어회로(11)는 크로스 포인트 스위치(105)가 Xs10에서는 비전도되게 하는 반면에 제47b 및 제4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Xs17및 Xs13에서는 도전되게 한다. 그리고 동시에 그것은 보류음발생기(29)를 동작하게 하여 제47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국선(2)에 멜로디 보류신호를 송신하는 동시에 제47g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소자(S1)를 온시켜서 도어폰(31)을 도어폰선(13)에 접속되게 하여 도어폰과의 내부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때, 페이지 드라이브 및 전화 단자 인터페이스(28)는 발광 다이오드(La)이외에, 내선이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발광 다이오드(Lb)를 동작하게 하기 위하여 제47h 및 제47i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선(6)에 공급되는 전압신호를 발신한다. 이때 제47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폐쇄회로(101)는 루프폐쇄를 유지하기 위해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온됨을 유의하자.
상술된 통화처리에 부가하여, 제어회로(11)는 긴급스위치 버턴이 눌러졌음을 나타내는 보안신호 혹은 경보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음원발생기(23)가 경보음신호를 발신하게 하고 대응 확성기(48)에서 경보음을 발생하게 하기 위하여 크로스포인트 스위치(105) 및 제어선(6)을 통하여 각 전화단자(101내지 10n))에 그러한 신호를 전송하게 하도록 동작한다.
제36도에서, 제34 및 35도에서 사용된 동일부호에 의해 표시되는 부재 및 회로는 동일하게 동작하며, 릴레이(Ryx) 및 릴레이 접점(rx)은 루프폐쇄회로(101)를 구성한다. 또한, 제36도에서, ICa및 ICb는 각각 래치 및 타이머 IC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전화 시스템은 고객의 구내내에 배선된 적어도 일 내선 및 일 제어선 뿐만 아니라 중앙국선에도 접속되며 중앙국선을 통하여 수신된 착신호출신호의 검출시에 제어선을 통하여 착신호출 정보 페이징 신호를 보내는 주장치; 및 내선 및 제어선에 각각 접속되어, 각각 키없는 전화기와 분리가능한 접속을 위한 접속부 및 주장치로부터 상기 착신 호출 정보 페이징 신호의 수신시에 페이징하는 페이징 수단이 구비된 다수의 전화기로 구성된다. 전화단자에서의 페이징을 허용하는 이러한 구성으로서, 시스템은 키없는 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가 정상적인 전화기의 광범위한 선택으로부터 기호에 맞는 것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부가하면, 착신 페이징은 전화기 벨에 의전함이 없이도 신뢰성있게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취지에서, 전화기는 고객의 구내내에 배선된 적어도 일 내선 및 일 제어선 뿐만 아니라 중앙국선에도 접속되고 또한, 고객의 가옥의 대문에 위치된 도어응답폰의 적어도 일 도어폰선에 접속되어, 중앙국선이나 도어폰선을 통하여 착신호출 신호의 검출시에 착신 호출 정보 페이징 신호를 제어선을 통하여 보내며 상기 내선을 상기 중앙국선 및 상기 도어폰선과 선택적으로 내부접속할 수 있는 주장치; 및 내선 및 제어선에 접속되고, 각각에 키없는 전화기와 분리가능한 접속을 위한 접속부 및 주장치로부터의 상기 착신 호출 정보 페이징 신호의 수신시에 페이징하는 페이징 수단이 구비된 다수의 전화단자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써, 소유하는 키없는 전화기는 도어응답폰과의 내부통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취지에서, 전화시스템은 고객의 구내내에서 배선된 적어도 일내선 및 일 제어선 뿐만 아니라 중앙국선에도 접속되고 중앙국선을 통해 수신된 착신 호출 신호의 검출시에 착신 호출 정보 페이징 신호를 제어선을 통하여 보내는 주장치; 내선 및 제어선에 접속되고, 각각에 키없는 전화기와 분리가능한 접속을 위한 접속부 및 주장치로부터의 상기 착신 호출 정보 페이징 신호의 수신시에 페이징하는 페이징 수단이 구비된 다수의 전화단자; 및 상기 주장치의 하우징을 지탱하며, 구내의 벽에 존재하는 배선상자에 끼워질 수 있으며 하나이상의 배선 모듈을 그안에 장착하기 위한 크기의 개구가 구비된 모듈 장착 브라켓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장치의 하우징은 상기 개구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를 가지므로 주장치는 종래의 모듈 장착 브라켓을 사용하여 기존의 배선 상자에 개장될 수 있다. 따라서 주장치는 기존의 배선상자를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화단자의 위치는 종래 배선 장치의 배치를 설계함과 동시에 결정될 수 있으므로 안전면과 미학적인 면을 위하여 시스템의 비밀배선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배선 장치와의 조합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4취지에서, 전화시스템은 고객의 구내내에서 배선된 적어도 일 내선 및 적어도 일 제어선 뿐만 아니라 중앙국선에 접속되어, 중앙국선으로부터 수신된 착신 호출 정보 페이징 신호를 제어선을 통하여 보내는 주장치; 내선 및 제어선에 접속되며, 각각에 키없는 전화기와 분리가능한 접속을 위한 접속부 및 주장치로부터의 상기 착신 호출 정보 페이징 신호의 수신시에 페이징하는 페이징 수단이 구비된 다수의 전화단자로 구성되며, 더욱이 상기 주장치는 국부 전화기로부터의 외신 다이알 신호가 중앙 국선을 통한 통화용 외부호출인지 내선을 통한 내부통화용 내부 호출인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포함하며, 판정수단에 의한 내부 호출의 판정에 응하여는 상기 다이알 신호에 의해 지정된 전화기에 제어선을 통하여 내부 페이지 신호를 보냄과 동시에 호출하는 전화기와 호출되는 전화기간에 내선을 통하여 내부접속하는 교환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써, 시스템은 기존의 키없는 전화기를 사용하여 내선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Claims (9)

  1. 고객의 구내에 배선된 적어도 일내선(5) 및 적어도 일 제어선(6) 뿐만 아니라 중앙국선(2)에도 접속되며, 중앙국선(2)을 통해 수신된 착신 호출 신호의 검출시에 착신 호출 정보 페이징 신호를 제어선(6)을 통해 보내는 주장치(1); 및 내선(5) 및 제어선(6)에 각각 접속되며, 각각에 키없는 전화기(T)와 분리가능한 접속용 접속부(45) 및 주장치(1)로부터의 상기 착신 호출 정보 페이징 신호의 수신시에 페이징하는 페이징 수단(La, Lb, 48)이 구비된 다수의 전화단자(101내지 10n)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수단(La, Lb, 48)은 음성 표시기 수단(48) 및 광표시기 수단(La, L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수단은 음성 표시기 수단(48) 및 발광 표시기 수단(La, Lb)중 하나만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수단은 음성 표시 수단(4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1)는 다이알 신호 검출 수단(301내지 30n), 다이알 신호 기억 수단(11)(버퍼메모리) 및 다이알 신호 송신 수단(S3, 108, Ryd)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이알 신호 검출 수단(301내지 30n)은 대응 전화단자(101내지 10n)에 접속된 전화기의 송수화기의 오프후크 상태를 알아낸 후에 전화기(T)로부터의 일련의 외신 다이알 신호를 검출하며, 상기 일련의 외신 다이알 신호는 상기 다이알 신호 송신수단(S3, 108, Ryd)을 통하여 전송되기 전에 상기 다이알 신호 기억수단(11)(버퍼)에 기억되며; 상기 주장치(1)는 그 일련의 발신 다이알 신호가 중앙국선(2)을 통한 통화용 외부 호출 인지를 판정하며, 상기 일련의 발신 다이알 신호의 제2다이알 신호가 소정시간내에 제1다이알 신호뒤에 올 때 다이알 신호 기억수단(11)(버퍼)으로부터 상기 다이알 신호 송신 수단(S3, 108, Ryd)을 통하여 일련의 다이알 신호를 송신함에 의하여 그 통화를 허여하며, 제2다이알 신호가 상기 소정시간내에 제1다이알 신호를 뒤따르지 않을 때 외신 신호는 상기 구내내의 내선(5)을 통한 내부 통화용이라고 판정하는 판정수단(1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
  6. 고객의 구내내에서 배선된 적어도 일내선(5) 및 적어도 일제어선(6) 뿐만 아니라 중앙국선(2)에도 접속되며, 고객의 가옥의 대문에 위치한 도어 응답폰(3)의 적어도 일 도어폰선(4)에도 접속되며, 중앙국선(2)이나 도어폰선(4)을 통하여 착신 호출 신호의 검출시에 착신 호출 정보 페이징 신호를 제어선(6)을 통하여 보내며, 상기 내선(5)을 상기 중앙국선(2) 및 상기 도어폰선(4)과 선택적으로 내부접속할 수 있는 주장치(1); 및 내선(5) 및 제어선(6)에 접속되고, 각각에 키없는 전화기(T)와 분리가능한 접속용 접속부(45) 및 주장치(1)로부터의 상기 착신 호출 정보 페이징 신호의 수신시에 페이징하는 페이징 수단(La, Lb, 48)이 구비된 다수의 전화단자(101내지 10n)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1)는 중앙국선(2)을 통해 외부통화를 보류하기 위해 사용자가 전화기(T)를 동작시키는지 혹은 도어폰선(4)을 통하여 통화하기 위하여 전화기(T)를 동작시키는지를 소정의 다이알 신호로부터 지정하며, 이 지정에 응하여 내선(5)과 중앙국선(2)간의 내부접속을 보류하며, 내선(5)과 도어폰선(4)간의 내부접속을 확립하는 교환수단(11, 10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
  8. 고객의 구내내에 배선된 적어도 일내선(5)과 적어도 일제어선(6)뿐만 아니라 중앙국선(2)에도 접속되며, 중앙 국선을 통해 수신된 착신 호출 신호의 검출시에 착신호출정보 페이징 신호를 제어선(6)을 통해 보내는 주장치; 내선(5) 및 제어선(6)에 접속되며, 각각에 키없는 전화기(T)와 분리가능한 접속용 접속부(45) 및 주장치(1)로부터의 상기 착신 호출 정보 페이징 신호의 수신시에 페이징하는 페이징 수단(La, Lb)이 구비된 다수의 전화단자; 및 주장치가 종래의 모듈 장착 브라켓을 사용하여 기존의 배선 상자에 개장될 수 있도록 개구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주장치(1)의 하우징(33)을 지탱하기 위한 것이며, 구내의 벽에 있는 기존의 배선 상자에 끼워질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그안에 하나이상의 배선모듈을 장착할 수 있는 크기의 개구(34)가 구비된 모듈장착 브라켓(3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
  9. 고객의 구내내에 배선된 적어도 일내선(5) 및 적어도 일제어선(6) 뿐만 아니라 중앙국선(2)에도 접속되며, 중앙국선(2)을 통하여 수신된 착신 호출 신호의 검출시에 착신호출정보 페이징 신호를 제어선(6)을 통해 보내는 주장치(1); 및 내선(5) 및 제어선(6)에 접속되며, 각각에 키없는 전화기(T)와 분리가능한 접속용 접속부(45) 및 주장치(1)로부터의 상기 착신 호출 정보 페이징 신호의 수신시에 페이징하는 페이징 수단(La, Lb, 48)이 구비된 다수의 전화단자(101내지 10n)로 구성되며; 상기 주장치(1)는 국부 전화기(G)로부터의 발신 다이알 신호가 중앙국선(2)을 통한 통화용 외부호출인지 혹은 내선(5)을 통한 내부통화용 내부 호출인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11)을 더 포함하며, 판정수단에 의한 내부 호출의 판정에 응하여 제어선(6)을 통하여 상기 다이알 신호에 의해 지정된 전화기(T)에 내부페이지 신호를 보냄과 동시에 내선(5)을 통하여 호출하는 전화기(T)와 호출되는 전화기(T)간을 내부접속하는 교환 수단(11, 10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
KR1019880009277A 1987-11-26 1988-07-23 전화 시스템 KR920000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98719 1987-11-26
JP62298719A JP2575426B2 (ja) 1987-11-26 1987-11-26 電話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155A KR890009155A (ko) 1989-07-15
KR920000108B1 true KR920000108B1 (ko) 1992-01-09

Family

ID=17863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277A KR920000108B1 (ko) 1987-11-26 1988-07-23 전화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75426B2 (ko)
KR (1) KR9200001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8094A (ja) * 1989-11-15 1991-07-08 Sekisui Chem Co Ltd 電話装置
JPH03235493A (ja) * 1990-02-10 1991-10-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話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9744A (ja) * 1986-04-11 1987-10-20 San Terehon Kk ホ−ムテレホ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138844A (ja) 1989-05-31
KR890009155A (ko) 1989-07-15
JP2575426B2 (ja) 1997-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108B1 (ko) 전화 시스템
JPS63238795A (ja) 電話システム
KR200254219Y1 (ko) 전화기의 발신자 전화번호 표시 장치
JP2637085B2 (ja) 電話システム
JP2731527B2 (ja) 電話交換システムの増設用子器
JP2776422B2 (ja) 電話交換装置
JP2607262B2 (ja) 電話交換システムの増設ユニット
JPH0731658Y2 (ja) 電話交換機
JP2947476B2 (ja) 電話交換システム
JP2804495B2 (ja) 電話システム
JP2692924B2 (ja) 電話システム
JPH034655A (ja) ドアホン
EP1895753A1 (en) Door entryphone system
JPH06104986A (ja) 内線呼出し機能を備えた通信システム
JPH0259676B2 (ko)
JPH02223261A (ja) 電話交換装置
JP2642726B2 (ja) ハンドフリー通話装置
JP2637084B2 (ja) 情報システム
JP2000092219A (ja) 応答制御装置
JPH0746330A (ja) ハンズフリー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ハンズフリー通話器
JP2000278421A (ja) 集合住宅システム
JPH0636625B2 (ja) 電話交換システム
JPH01168145A (ja) 電話交換システムの報知ユニット
JPS6328555B2 (ko)
JPH11284750A (ja) 来訪者表示機能付きインターホ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6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