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15330A - 기체의 탈수방법 및 이를 위한 투과성 복합막 - Google Patents

기체의 탈수방법 및 이를 위한 투과성 복합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15330A
KR910015330A KR1019910002260A KR910002260A KR910015330A KR 910015330 A KR910015330 A KR 910015330A KR 1019910002260 A KR1019910002260 A KR 1019910002260A KR 910002260 A KR910002260 A KR 910002260A KR 910015330 A KR910015330 A KR 910015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gas
composite membrane
water
water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2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149B1 (ko
Inventor
빅슨 벤쟈민
기글리아 살바토레
카츠 넬슨 조이스
Original Assignee
티모티 엔. 비숍
유니온 카바이드 인더스트리얼 개시즈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모티 엔. 비숍, 유니온 카바이드 인더스트리얼 개시즈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티모티 엔. 비숍
Publication of KR910015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1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8Drying gases or vapours by diff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21Manufactur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2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66Polymers having sulfur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8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체의 탈수방법 및 이를 위한 투과성 복합막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퍼어미터의 개략도.

Claims (56)

  1. 하기 단위를 갖는 술폰화된 폴리술폰 또는 술폰화된 폴리에테르케톤의 그룹에서 선택된 평균 분자량이 10,000이상이고 술폰화도 -Sm이 0.2 내지 2인 술폰화된 방향족 중합체의 분리벽의 초박막 및 다공성 지지체로 이루어진 복합막의 한면과 수증기함유 공급기체를 접촉시키고, 상기 공급기체에 함유된 수증기를 상기 복합막에 투과시키고 수증기 감소된 비투과물 기체흐름 및 수분 강화된 흐름을 회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기체탈수방법 :
    -(-Ar-Y-)-
    상기식에서, Ar은 2가의 페닐렌 또는 2가의 비페닐렌이고,Y는또는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분리벽이 중합체 분자사슬내에 하기 단위를 갖는 술폰화된 방향족 폴리술폰으로 이루어진 기체탈수방법:
    -(-Ar-So2-)-
    상기식에서, Ar은 제1항에 기재된 바와 같다.
  3. 제1항에 있어서, 분리벽이 중합체 분자사슬내에 하기 단위를 갖는 술폰화된 방향족 폴리술폰으로 이루어진 기체탈수방법:
    상기식에서, Ar은 제1항에 기재된 바와같다.
  4. 제2항에 있어서, 분리벽이 중합체 분자 내에 하기(Ⅰ)의 반복단위를 갖는 술폰화된 방향족 폴리술폰으로 이루어진 기체탈수방법 :
    상기식에서, A, B, D 및 E는 제1항에 기재된 바와같은 2가의 Ar그룹이고 ;
    R및R'는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알킬 또는 할로겐화된 알킬기이고; c, d, 및 e는 0내지 6의 정수이고; n은 중합체 분자의 평균 분자량이 25,000내지 80,000범위내에서 반복단위(Ⅰ)의 수이고; -Sm은 0.2 내지 2의 평균 술폰화도이다.
  5. 제2항에 있어서, 술폰화된 폴리술폰이 중합체 분자사슬내에 하기의 반복단위(Ⅱ)를 갖는 기체탈수방법 :
    상기식에서, Ar은 2가의 페닐렌기이다.
  6. 제2항에 있어서, 술폰화된 폴리술폰이 중합체 분자사슬내에 하기 반복단위(Ⅲ)을 갖는 기체탈수방법 :
    상기식에서, Ar은 2가의 페닐렌기이다.
  7. 제2항에 있어서, 술폰화된 폴리술폰이 중합체 분자사슬내에 하기 반복단위(Ⅳ)를 갖는 기체탈수방법 :
    상기식에서, Ar은 2가의 페닐렌기이다.
  8. 제3항에 있어서, 술폰화된 폴리에테르 케톤의 중합체 분자 사슬내에 하기의 반복단위를 갖는 기체탈수방법 :
    상기식에서, Ar은 2가의 페닐렌기이고, n은 평균분자량이 25,000 내지 80,000인 범위내에서 반복단위의 수이다.
  9. 제1항에 있어서, 다공성 지지체는 중공섬유인 기체탈수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다공성 지지체는 중공섬유인 기체탈수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다공성 지지체는 중공섬유인 기체탈수방법.
  12. 제4항에 있어서, 다공성 지지체는 중공섬유인 기체탈수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다공성 지지체는 중공섬유인 기체탈수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다공성 지지체는 중공섬유인 기체탈수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는 수증기 함유 공기흐름으로 이루어진 기체탈수방법.
  16. 제4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는 수증기 함유 공기흐름으로 이루어진 기체탈수방법.
  17. 제7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는 수증기 함유 공기흐름으로 이루어진 기체탈수방법.
  18. 제8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는 수증기 함유 공기흐름으로 이루어진 기체탈수방법.
  19. 제9항에 있어서, 분리벽은 25,000 내지 80,000의 평균분자량 및 0.4 내지 1.5의 평균 술폰화도 -Sm을 갖는 술폰화된 방향족 중합체인 기체탈수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분리벽은 25,000 내지 80,000의 평균분자량 및 0.4 내지 1.5의 평균 술폰화도 -Sm을 갖는 술폰화된 방향족 중합체인 기체탈수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분리벽은 25,000 내지 80,000의 평균분자량 및 0.4 내지 1.5의 평균 술폰화도 -Sm을 갖는 술폰화된 방향족 중합체인 기체탈수방법.
  22. 제14항에 있어서, 분리벽은 25,000 내지 80,000의 평균분자량 및 0.4 내지 1.5의 평균 술폰화도 -Sm을 갖는 술폰화된 방향족 중합체인 기체탈수방법.
  23. 제4항에 있어서, R및 R'가 메틸기인 기체탈수방법.
  24. 제12항에 있어서, R및 R'가 메틸기인 기체탈수방법.
  25. 제16항에 있어서, R및 R'가 메틸기인 기체탈수방법.
  26. 제20항에 있어서, R및 R'가 메틸기인 기체탈수방법.
  27. 제19항에 있어서, 복합막의 분리벽의 초박막은 50wt%이상의 술폰화된 방향족 중합체로 구성되며 두께가 10,000Å이하인 얇은 피복물로 이루어지는 기체탈수방법.
  28. 제20항에 있어서, 복합막의 분리벽의 초박막은 50wt%이상의 술폰화된 방향족 폴리술폰으로 구성되며 두께가 10,000Å 이하인 얇은 피복물로 이루어지는 기체탈수방법.
  29. 제21항에 있어서, 복합막의 분리벽의 초박막은 50wt%이상의 술폰화된 방향족 폴리술폰으로 구성되며 두께가 10,000Å이하인 얇은 피복물로 이루어지는 기체탈수방법.
  30. 제22항에 있어서, 복합막의 분리벽의 초박막은 50wt%이상의 술폰화된 방향족 폴리에테르 케톤으로 구성되며 두께가 10,000Å이하인 얇은 피복물로 이루어지는 기체탈수방법.
  31. 제1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내의 수증기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 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를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대류로 흐르게 하며;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32. 제2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내의 수증기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 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흐르게 하며;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33. 제3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내의 수증기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 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대류로 흐르게 하며;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34. 제4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내의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 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흐르게 하며;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35. 제7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내의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 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흐르게 하며;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36. 제8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내의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 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흐르게 하며;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37. 제9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내의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 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흐르게 하며;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38. 제12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내의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 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흐르게 하며;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39. 제13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내의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 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대류로 흐르게 하며;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40. 제14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내의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 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흐르게 하며;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41. 제15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내의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 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흐르게 하며 ;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42. 제16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내의 수증기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 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흐르게 하며 ;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43. 제17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내의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 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흐르게 하며;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44. 제18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내의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 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흐르게 하며;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45. 제19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내의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 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흐르게 하며;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46. 제20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내의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 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흐르게 하며;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47. 제21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내의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 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흐르게 하며;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48. 제22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내의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 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흐르게 하며;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49. 제23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내의 수증기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대류로 흐르게 하며;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50. 제24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내의 수증기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대류로 흐르게 하며;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51. 제25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내의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 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흐르게 하며;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52. 제26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내의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 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흐르게 하며;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53. 제27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내의 수증기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 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흐르게 하며;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54. 제28항에 있어서, 공급기체내의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 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흐르게 하며;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55. 제29항에 있어서, 공급기체 내의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 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흐르게 하며;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56. 제30항에 있어서, 공급기체 내의 농도보다 더 낮은 수증기 함량을 갖는 세척유체를 복합막의 한면에서 수분강화된 투과기체흐름과 접촉혼합시켜 병류로 흐르게 하고 복합막의 다른면에서는 비투과되고 수분감소된 탈수기체흐름에 대해 흐르게 하며; 상기 세척흐름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퍼어미터에서 수증기 강화된 투과기체흐름의 제거를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탈수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10002260A 1990-02-12 1991-02-11 기체의 탈수방법 및 이를 위한 투과성 복합막 KR9600031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7868190A 1990-02-12 1990-02-12
US478,681/90 1990-02-12
US07/478,681 1990-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330A true KR910015330A (ko) 1991-09-30
KR960003149B1 KR960003149B1 (ko) 1996-03-05

Family

ID=23900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2260A KR960003149B1 (ko) 1990-02-12 1991-02-11 기체의 탈수방법 및 이를 위한 투과성 복합막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442677B1 (ko)
JP (1) JP2687188B2 (ko)
KR (1) KR960003149B1 (ko)
CN (1) CN1025415C (ko)
AT (1) ATE127705T1 (ko)
BR (1) BR9100570A (ko)
CA (1) CA2036122A1 (ko)
DE (1) DE69112862T2 (ko)
RU (1) RU2050954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6479A (en) * 1990-02-13 1991-06-25 Union Carbide Industrial Gases Technology Corporation Fluid separation device
US5364454A (en) * 1993-06-30 1994-11-15 Praxair Technology, Inc. Fluid separation composite membranes prepared from sulfonated aromatic polymers in lithium salt form
WO2002072242A1 (en) * 2001-03-13 2002-09-19 Dais-Analytic Corporation Heat and moisture exchange device
US6841601B2 (en) * 2001-03-13 2005-01-11 Dais-Analytic Corporation Crosslinke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heat and moisture exchange devices
AU2005326486B2 (en) * 2005-02-04 2011-01-27 Mentus Holding Ag Ambient air dehumidifying device
JP5010109B2 (ja) * 2005-04-28 2012-08-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水素製造装置および水素製造方法
RU2489197C2 (ru) * 2008-05-12 2013-08-10 Мембране Текнолоджи Энд Ресерч, Инк. Способ разделения газов с применением мембран с продувкой пермеата для удаления co2 из продуктов сжигания
RU2534075C1 (ru) * 2010-09-13 2014-11-27 Мембране Текнолоджи Энд Ресерч, Инк Способ отделения диоксида углерода из отработанного газ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тадий мембранного разделения на основе продувки и абсорбции
WO2015192238A1 (en) * 2014-06-16 2015-12-23 Dpoint Technologies Inc. Blended membranes for water vapor transport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MX2019010335A (es) * 2017-05-12 2020-02-05 Jgc Corp Dispositivo de separacion de gases.
CN113603058A (zh) * 2021-09-06 2021-11-05 瓮福(集团)有限责任公司 利用真空膜分离技术分离浓缩含氟水蒸气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5559A (en) * 1972-02-02 1973-05-29 Gen Electric Sulfonated polyxylylene oxide as a permselective membrane for water vapor transport
GB8512764D0 (en) * 1985-05-21 1985-06-26 Ici Plc Gas separation
FR2593721B1 (fr) * 1986-02-05 1988-05-20 Rhone Poulenc Rech Fibre creuse composite pour enlever de la vapeur d'eau a de l'air ou a du gaz carbonique
US4783201A (en) * 1987-12-28 1988-11-08 Rice Arthur W Gas dehydration membrane apparatus
DE68915554T2 (de) * 1988-01-26 1995-01-12 Asahi Glass Co Ltd Für Dampf permselektive Membr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36122A1 (en) 1991-08-13
BR9100570A (pt) 1991-10-29
CN1025415C (zh) 1994-07-13
JP2687188B2 (ja) 1997-12-08
JPH04215818A (ja) 1992-08-06
EP0442677A2 (en) 1991-08-21
ATE127705T1 (de) 1995-09-15
KR960003149B1 (ko) 1996-03-05
DE69112862D1 (de) 1995-10-19
DE69112862T2 (de) 1996-04-18
CN1056441A (zh) 1991-11-27
RU2050954C1 (ru) 1995-12-27
EP0442677A3 (en) 1992-04-15
EP0442677B1 (en) 1995-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0656B1 (ko) 기체 탈수막 장치
Liu et al. Preparation of hollow fiber poly (ether block amide)/polysulfone composite membranes for separation of carbon dioxide from nitrogen
US4718921A (en) Method for removing water vapor from water vapor-containing gas
EP0753337B1 (en) Hollow fiber vapor permeation membranes and modules
NO167498B (no) Behandlet, halvgjennomtrengelig polymermembran, 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derav og anvendelse av membranen.
KR910015330A (ko) 기체의 탈수방법 및 이를 위한 투과성 복합막
Leger et al.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surface modified ceramic membranes. Part II. Gas and liquid permeabilities of 5 nm alumina membranes modified by a monolayer of bound polydimethylsiloxane (PDMS) silicone oil
KR920011571A (ko) 특정 술폰화 치환된 폴리술폰 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반투과성 막
Chabot et al. Development of poly (vinylidene fluoride) hollow‐fiber membranes for the treatment of water/organic vapor mixtures
JPH03186329A (ja) 芳香族ポリイミドガス分離膜の界面活性剤処理
KR920017705A (ko) 복합반투막의 제조방법
US4717395A (en) Gas separations using membranes comprising sulphonated polyether sulphone
JPH0446173B2 (ko)
JP2016503448A (ja) フッ素化エチレン‐プロピレンポリマーを含有するガス分離のためのブレンドポリマー膜
US5409525A (en) Hydrous gel membranes for gas separation
US5131927A (en) Reactive treatment of composite gas separation membranes
JPS60156505A (ja) ポリホスフアゼン気体分離膜
US5096468A (en) Cellulose acetate butyrate gas separation membranes
JPS60183025A (ja) 水蒸気分離法
US5151183A (en) Reduction of membrane fouling by surface fluorination
KR900702310A (ko) 물에 젖은 폴리카보네이트막을 건조시키는 방법
JP3020120B2 (ja) テトラハロビスフェノールから誘導したポリカーボネートを主体とする半透膜を用いてガス混合物から水素を分離する方法
Strathman et al. Development of synthetic membranes for gas and vapor separation
JPS6051524A (ja) アンモニウム塩を有する重合体膜
AU607998B2 (en) Reactive posttreatment for gas separation membra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