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11381A - 비플럭스 땜납 피복 및 이음 - Google Patents

비플럭스 땜납 피복 및 이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11381A
KR910011381A KR1019900021654A KR900021654A KR910011381A KR 910011381 A KR910011381 A KR 910011381A KR 1019900021654 A KR1019900021654 A KR 1019900021654A KR 900021654 A KR900021654 A KR 900021654A KR 910011381 A KR910011381 A KR 910011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reservoir
metal
molten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1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708B1 (ko
Inventor
스테펜 노와타르스키 마스크
Original Assignee
티모티 엔. 비숍
유니온 카바이드 인더스트리얼 개시즈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모티 엔. 비숍, 유니온 카바이드 인더스트리얼 개시즈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티모티 엔. 비숍
Publication of KR910011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7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14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soldering seams
    • B23K1/1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soldering seams circumferential seams, e.g. of sh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19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sold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6Braz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47Lead-in-hol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57Solder materials or compositions; Methods of applic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954Other 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H05K2201/10984Component carrying a connection agent, e.g. solder, adhesiv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1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 H05K2203/0104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for patterning or coating
    • H05K2203/0126Dispenser, e.g. for solder paste, for supplying conductive paste for screen printing or for filling ho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4Soldering or other types of metallurgic bonding
    • H05K2203/044Solder dip coating, i.e. coating printed conductors, e.g. pads by dipping in molten solder or by wave solde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8Treatments involving gases
    • H05K2203/086Using an inert ga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 H05K3/3421Leaded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플럭스 땜납 피복 및 이음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비교적 큰 땜납 볼 저수조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3도는 제어된 네가티브 압력하에 땜납 이음의 형성을 도시한 개략도.

Claims (71)

  1. 용탕을 상기 용탕의 용융점보다 더 높은 용융점을 갖는 하나이상의 고용금속 표면으로 피복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바람직한 상기 용탕 피복의 최종 압력에서 용탕 피복면과 용탕조수조면을 통해 제어된 압력을 이루기 위해 불활성이고 비플럭스 조건하에 피복될 하나이상의 고용금속면을 용탕 저수조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b)상기 저수조를 저수조로부터의 피복전후에 고용금속면에 남아있는 저수조와 금속피복사이에 형성된 출발점에서 용탕저수조 내압력과 동일한 피복내의 용탕압력으로 고용금속면과 접촉시키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피복공정이 유지하는 조작인자에 인지할 수 있는 감지없이 평형조건 부근에서 행해지고 용탕 저수조의 제어된 압력이 이루어질 바람직한 피복체적과 형상을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이 비플럭스 조건하에서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이 거의 비플럭스 조건하에서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어된 포지티브 압력이 출발점에서 용탕 피복면과 저수조를 통해 이루어져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어된 네가티브 압력이 출발점에서 용탕피복면과 저수조를 통해 이루어져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탕 저수조가 용탕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탕 저수조가 세척기에서 고용금속면에 증착된 제어된 용탕의 체적 및 형상을 갖는 용탕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어된 포지티브 압력이 출발점에서 세척기내 용탕체상에 그리고 피복면과 용탕저수조를 통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저수조내에 용탕의 중력을 사용하여 출발점에서 피복과 용탕저수조를 통해 제어된 포지티브 압력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탕 저수조가 세척기에서 고용 금속면에 분리 및 유지된 제어된 용탕의 체적 및 형상을 갖는 용탕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탕피복이 상기 피복을 저수조로부터 분리하기전에 출발점에서 용탕저수조에 가해진 상기 제어된 네가티브 압력을 갖는 제어된 포지티브 압력하에 입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제어된 네가티브 압력을 용탕 저수조가 고용금속면으로부터 분리 될때 세척기에서 용탕저수조에 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공정이 땜납 공정이고 상기 용탕 저수조가 용융 땜납 저수조로 이루어지고 피복될 하나이상의 고용금속면이 땜납성금속면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땜납 저수조가 땜납볼로 이루어지고 상기 땜납볼의 볼록형 곡률반경이 볼내에 제어된 포지티브 압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 피복이 비플럭스 조건하에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 피복이 거의 비플럭스 조건하에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성면이 피복된 땜납을 갖는 기본 금속 도체 패드, 땜납 피복상에 피복되는 산화물 및 다른 바람직하지못한 오염물로 이루어지고 도체 패드상에 소량 무산화물 영역을 남기기위해 제거된 충분양을 갖는 산화물 및 오염물 피복을 땜납볼에 접착시켜 기본금속 도체패드로부터 제거시킴으로써 용융 땜납볼이 땜납피복을 용융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소곡률 반경을 갖는 비교적 작은 땜납볼을 이용하여 더 두꺼운 땜납피복을 얻거나 또는 비교적 큰 땜납볼을 이용하여 더 얇은 피복을 얻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다수의 땜납볼을 회로판에 설치된 도체패드와 접촉하기 위해 회로판을 통해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피복될 하나의 금속면이 용탕 저수조와 접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둘이상의 땜납성 금속면이 피복되어 이음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된 압력이 제어된 네가티브 압력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하나이상의 고용금속면에 위치되는 바람직한 체적 및 형상을 갖는 피복에 있어서, (a)바람직한 용탕피복의 최종압력에서 용탕 피복면과 용탕 저수조면을 통해 제어된 압력을 이루기위해 불활성이고 비플럭스 조건하에 용탕 용융점보다 더 높은 용융점을 갖는 피복될 하나이상의 고용금속면을 용탕저수조에 접촉시키는 단계; 및 (b)1항의 (b)중 상기 저수조를 저수조로부터의 피복전후에 고용금속면에 남아있는 저수조와 금속피복사이에 형성된 출발점에서 용탕저수조 내압력과 동일한 피복내의 용탕압력으로 고용금속면과 접촉시키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피복공정이 피복공정을 유지하는 조작인자에 인지할 수 있는 감지없이 평형조건 부근에서 행해지고 용탕저수조 압력이 바람직한 체적 및 형태로 믿을만하고 재생성인 기본위에 증착될 피복을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피복.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공정이 비플럭스 조건하에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공정이 거의 비플럭스 조건하에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공정이 출발점에서 용탕피복면과 저수조를 통해 이루어져 유지되는 제어된 포지티브 압력에 의해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공정이 출발점에서 용탕피복면과 저수조를 통해 유지되는 제어된 네가티브 압력에 의해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28. 제23항에 있어서, 용탕 저수조가 용탕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이 땜납 피복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피복이 비플럭스 조건하에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피복이 거의 비플럭스 조건하에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32. 비플럭스 조건하에 입혀진 금속 피복을 갖는 하나이상의 고용금속면을 접촉시켜 이음을 형성시키는이음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플럭스 피복의 피복성질이 이음을 이음용 불활성 환경을 이용할 필요도 없고 플럭스도 없이 가능하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둘이상의 고용금속면이 비플럭스 조건하에 피복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이 비플럭스 조건하에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이 거의 비플럭스 조건하에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이 용융형태 및 불활성 환경으로 피복에 의해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공정이 땜납공정이고 상기 고용금속면이 땜납성면이고 상기 금속피복이 땜납 피복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이 비플럭스 조건하에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이 거의 비플럭스 조건하에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이 용융형태 및 불활성 환경으로 피복에 의해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제32항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고용금속면에 입혀진 상기 피복에 있어서 (a)바람직한 상기 용탕 피복의 최종 압력에서 용탕 피복면과 용탕저수조면을 통해 제어된 압력을 이루기 위해 불활성이고 비플럭스 조건하에 피복될 하나이상의 고용금속면을 용탕 저수조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b)상기 저수조를 저수조로부터의 피복전후에 고용금속면에 남아있는 저수조와 출발점에서 저수조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하는 체적 및 형상을 갖는 금속피복사이에 형성된 출발점에서 용탕저수조내 압력과 동일한 피복내의 용탕압력으로 고용금속면과 접촉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고용금속면이 입혀진 상기 피복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이 비플럭스 조건하에 입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이 거의 비플럭스 조건하에 입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공정이 땜납공정이고 상기 고용금속면이 땜납성면이고 상기 금속피복이 땜납피복으로 이루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된 압력이 제어된 포지티브 압력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용탕저수조가 용탕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이 불활성 분위기에서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공정이 땜납 공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면이 다음의 공기피복에 냉각 및 노출되고 상기 냉각면이 이음용 불활성 분위기에서 용융상태로 재가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공정이 땜납 공정이고 둘이상의 표면이 상기 공정에서 땜납피복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될 부분이 불활성 분위기에서 가열된 이음용 고용형태의 피복으로 모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공정이 땜납공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4. 제32항에 있어서, 이음이 용융면상에 산화박 피복의 형성에도 불구하고 형성되도록 상기 이음될 부분이 공기에서 피복이 유지시간이 짧은 공기로 노출되는 조립시간에 용융되는 피복에 의해 모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공정이 땜납 공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6. 비플럭스 조건하에 입혀진 금속피복을 갖는 하나이상의 고용금속면과 접촉하는 것을 구성하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고용금속면사이의 이음에 있어서, 상기 비플럭스 피복의 피복성질이 이음을 이음공정용 불활성 환경의 사용없이 그리고 플럭스없이 행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57. 제56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금속면이 금속면에 입혀진 피복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58.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이 비플럭스 조건하에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59.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이 거의 비플럭스 조건하에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60.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이 용융형태 및 불활성 조건에서 피복에 의해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1.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이 땜납 이음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이 용융형태 및 불활성 조건에서 피복에 의해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63.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피복이 제어된 포지티브 압력조건하에 입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4.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피복이 제어된 네가티브 압력조건하에 입혀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65. 제61항에 있어서 둘이상의 고용금속면이 피복되어 이음을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66.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하나이상의 금속면에 입혀지는 이음에 있어서, (a)바람직한 상기 용탕 피복의 최종 압력에서 용탕 피복면과 용탕 저수조면을 통해 제어된 압력을 이루기 위해 불활성이고 비플럭스 조건하에 피복될 하나이상의 고용금속면을 용탕 저수조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b)저수조를 저수조로부터의 피복의 분리전후에 고용금속면상에 남아있는 금속 피복과 저수조 사이에 형성된 출발점에서 용탕 저수조내의 압력과 동일한 피복내의 용탕압력으로 고용금속면과 접촉하여 제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공정이 땜납 공정이고 상기 고용금속면이 땜납성 표면이고 상기 금속피복이 땜납피복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된 압력이 제어된 포지티브 압력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용탕 저수조가 용탕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70. 제67항에 있어서, 둘이상의 고용금속면이 피복되어 이음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된 압력이 제어된 네가티브 압력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00021654A 1989-12-26 1990-12-24 무플럭스 땜납 피복 및 이음 KR9600137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5672989A 1989-12-26 1989-12-26
US07/456,729 1989-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381A true KR910011381A (ko) 1991-08-07
KR960013708B1 KR960013708B1 (ko) 1996-10-10

Family

ID=23813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1654A KR960013708B1 (ko) 1989-12-26 1990-12-24 무플럭스 땜납 피복 및 이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447677B1 (ko)
JP (1) JPH04220168A (ko)
KR (1) KR960013708B1 (ko)
AT (1) ATE105523T1 (ko)
BR (1) BR9006515A (ko)
CA (1) CA2033134C (ko)
DE (1) DE69008844T2 (ko)
ES (1) ES205215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1115B1 (en) 1990-02-19 2002-10-29 Hitachi, Ltd. Process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circuit devices
US6227436B1 (en) 1990-02-19 2001-05-08 Hitachi, Ltd. Method of fabricating an electronic circuit device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JPH09232742A (ja) * 1996-02-28 1997-09-05 Hitachi Ltd 電子回路装置の製造方法
JPH1070153A (ja) * 1996-08-26 1998-03-10 Hitachi Ltd 電子部品の接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9357A (en) * 1978-03-10 1979-09-17 Hitachi Ltd Solder coating and soldering method for aluminum
US4334646A (en) * 1980-04-17 1982-06-15 Harris Corporation Method of solder reflow assembly
US4821947A (en) * 1988-02-08 1989-04-18 Union Carbide Corporation Fluxless application of a metal-comprising coating
US4921157A (en) * 1989-03-15 1990-05-01 Microelectronics Center Of North Carolina Fluxless soldering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05523T1 (de) 1994-05-15
DE69008844D1 (de) 1994-06-16
EP0447677A3 (en) 1991-12-11
CA2033134C (en) 2000-03-21
KR960013708B1 (ko) 1996-10-10
CA2033134A1 (en) 1991-06-27
JPH04220168A (ja) 1992-08-11
BR9006515A (pt) 1991-10-01
EP0447677B1 (en) 1994-05-11
ES2052152T3 (es) 1994-07-01
EP0447677A2 (en) 1991-09-25
DE69008844T2 (de) 199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1307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printed wiring boards
JPH03166739A (ja) 半田付け方法
US5427303A (en) Fluxless solder coating and joining
US5973406A (en) Electronic device bonding method and electronic circuit apparatus
US5397598A (en) Method for selectively coating a member having a shank by masking a portion of the shank with a washer
JP2003001481A (ja) 鉛フリーはんだボ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044615A (ja) 半田付け方法
WO1990008616A1 (en) Improved bond connection for components
KR910011381A (ko) 비플럭스 땜납 피복 및 이음
KR19990035999A (ko) 프럭스 없이 부품을 접촉시키는 방법
US4986463A (en) Flux effect by microexplosive evaporation
KR950016465A (ko) 납-코팅 방법 및 이 방법에 사용되는 납 페이스트
MY113963A (en) Method of soldering lead terminal to substrate
MY116298A (en) Soldering method and apparatus
JPH09214115A (ja) ファインピッチ部品のはんだコート方法
JPS5937599B2 (ja) フラツト・リ−ド予備半田付け方法
ATE297109T1 (de) Verfahren zur kontaktierung eines bauelements und schaltungsanordnung
CA21572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xing and soldering terminals on a printed circuit board
JPH0738248A (ja) 電子部品の半田塗布方法
JPH0239650Y2 (ko)
JP2534837B2 (ja) 回路基板への部品の半田付け方法
JPH01112721A (ja) 電子部品のリード線取付方法
JPS62142336A (ja) リ−ドレスガラス封止ダイオ−ド
JPH0325997A (ja) プリント配線板のハンダ付方法
TH28193B (th) วิธีการและอุปกรณ์บัดก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