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10079B1 - 벤즈이미다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벤즈이미다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10079B1
KR910010079B1 KR1019880000637A KR880000637A KR910010079B1 KR 910010079 B1 KR910010079 B1 KR 910010079B1 KR 1019880000637 A KR1019880000637 A KR 1019880000637A KR 880000637 A KR880000637 A KR 880000637A KR 910010079 B1 KR910010079 B1 KR 910010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reaction
methoxy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0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874A (ko
Inventor
문순구
이관순
이재호
문영호
Original Assignee
한미약품공업 주식회사
임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약품공업 주식회사, 임성기 filed Critical 한미약품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00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10079B1/ko
Publication of KR890011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10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079B1/ko
Priority to KR1019920010695A priority patent/KR9200072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28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or sulphur atoms
    • C07D213/30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89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벤즈이미다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벤즈이미다졸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항궤양제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다음 구조식(I)의 벤즈이미다졸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구조식에서, R1및 R3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2및 R4는 수소 또는 메톡시기를 의미한다.
상기 구조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중에서, R1및 R3가 메틸기이고, R2및 R4가 메톡시기인 화합물은 오메프라졸이라는 일반명으로 명명된 화합물로서, 위궤양 치료에 특히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에도 상기 구조식(I)으로 표시되는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로 소개되어 있는 바, 예를들면 영국특허 제 1,500,043호 및 2,134,523호, 일본특허 공개 소57-053,406호 및 57-039,622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방법들을 대별해보면 다음의 세가지로 요약된다.
(방법 A) : 다음 구조식(A)의 피리딘 유도체와 다음 구조식(B)의 치환된 벤즈이미다졸-2-티올올 반응시켜 다음 구조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02
상기 구조식에서 R1,R2,R3및 R4는 전술한 바와 같고, X는 클로로, 브로모, 요오드, 파라톨루엔설포닐옥시 및 메탄설포닐옥시 등의 이탈기를 의미한다.
상기 방법 A는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방법이긴하지만, 중간체인 구조식(A)화합물이 불안정하여 쉽게 분해되기 때문에 반응의 수율이 저조한 단점이 있다.
(방법 B) : 다음 구조식(C)의 치환된 2-피리딜메틸치오포름산과 다음 구조식(D)의 치환된 페닐렌디아민을 환화반응시켜 다음 구조식(I′)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03
상기 구조식에서, R1,R2,R3및 R4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방법 B에서는 구조식(C)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매우 까다로우며, 또한 구조식(C) 화합물 자체가 불안정하므로 목적화합물인 구조식(I′) 화합물의 수율이 극히 저조한 단점이 있다.
(방법 C) : 다음 구조식(E)의 치환된 2-클로로피리딘과 다음 구조식(F)의 치환된 2-리튬메틸설피닐) 벤즈이미다졸을 반응시켜 다음 구조식(I)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04
상기 구조식에서, R1,R2,R3및 R4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방법 C에서도 구조식(F) 화합물의 제조가 까다로우며, 또한 그 화합물 자체가 매우 불안정하기 때문에 구조식(I) 화합물의 수율이 저조한 단점이 있다.
이와같이, 종래에 사용되어온 방법들은 그 반응 출발물질의 제조가 몹시 까다롭거나, 또는 그 중간에 화합물이 매우 불안정하기 때문에 목적화합물의 제조수율이 극히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는바, 이에 대한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항궤양제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상기 구조식(I)의 벤즈이미다졸 유도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종래방법에 비하여 일련의 제조공정이 보다 용이하면서도 목적 화합물의 수율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새로운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벤조이미다졸 유도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다음 구조식(Ⅱ)의 피리딘유도체와 치오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키거나, 또는 다음 구조식(Ⅲ)의 치환된 2-피리딘 메탄치올과 다음 구조식(Ⅳ)의 할로시아노겐을 반응시켜서 다음 구조식(Ⅴ)화합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구조식(Ⅴ)화합물을 알코올용매 중에서 다음 구조식(Ⅵ)의 치환된 페닐렌 디아민 염산염과 반응시켜 다음 구조식(Ⅰ′) 화합물을 제조한 다음, 이 구조식(Ⅰ′)화합물을 산화시켜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구조식(Ⅰ)로 표시되는 벤즈이미다졸 유도체의 제조방법인 것이다.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상기 구조식에서 R1및 R3는 수소 및 메틸기, R2및 R4는 수소 또는 메톡시기이고, x는 1 내지 2인 임의의 수를 의미하며, x는 클로로,브로모, 요오드, 파라톨루엔설포닐옥시, 또는 메탄설포닐옥시기이고, Y는 클로로 또는 브로모 등의 할로겐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응중간체인 상기 구조식(Ⅴ)화합물은 각각 서로다른 출발물질을 사용하는 두가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는바, 그 첫 번째 방법은 상기 구조식(Ⅱ)의 피리딘 유도체와 치오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키는 방법이고,
Figure kpo00012
두 번째 방법은 다음 구조식(Ⅲ)의 치환된 2-피리딘 메탄치올과 구조식(Ⅳ)의 할로시아노겐을 반응시키는 방법이다.
Figure kpo00013
상기 구조식에서 R1,R2,R3,R4및 X는 진술한 바와 같고, Y는 클로로, 브로모 등의 할로겐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첫 번째 방법에서는 반응용매로서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부탄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중에서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좋고, 또한 치오시아네이트로서는 소듐 치오시아네이트나 포타슘 치오시아네이트, 또는 암모니움 치오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중에서 암모니움 치오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첫 번째 방법은 반응온도는 통상적으로 용매의 환류온도 정도로 하는 것이 좋고, 반응시간은 2 내지 6시간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두 번째 방법에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을 용매로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식(Ⅲ) 화합물의 치올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등의 강염기를 같이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두 번째 방법의 반응온도는 0 내지 40℃에서 실시하는 것이 좋으나,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15℃ 정도가 좋으며, 2 내지 4시간 이면 반응이 완결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반응출발물질중의 하나인 구조식(Ⅲ)의 2-피리딘 메탄치올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우선, 다음 구조식(1)의 치환된 피리딘 N-옥사이드를 POCI3와 반응시켜 다음 구조식(2) 화합물을 제조하고, 여기에 H202및 클라이센 염기를 반응시켜 다음 구조식(3) 화합물을 제조한 다음, 여기에 N-페닐로다닌을 반응시켜 다음 구조식(4) 화합물을 제조하고, 이렇게 하여 얻어진 구조식(4) 화합물을 가수분해 시키게 되면 다음 구조식(Ⅲ)의 2-피리딘 메탄치올이 얻어지게 된다.
Figure kpo00014
상기 구조식에서 R1,R2,R3및 R4는 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공정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구조식(1) 화합물 1당량에 대하여 POC131 내지 4당량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1.5 내지 2당량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는 상기 구조식(2) 화합물로부터 구조식(3)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 있어서, 우선 1단계 산화반응에서는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 질산, 메타클로로 퍼옥시벤조익산, 디니트로겐 테트라옥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중에서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2단계인 할로겐 치환반응에서는 소듐 알콕사이드 또는, 포타슘 알콕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중에서 포타슘알콕사이드(클라이센 염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조식(3) 화합물과 N-페닐로다닌의 반응에서는 용매로서 빙초산, 무수초산 또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소듐아세테이트와 같은 약염기를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반응의 반응온도는 80 내지 100℃가 적합하며 반응이 완결되려면 3 내지 5시간이 소요된다. 이어서, 상기 구조식(4)화합물을 가수분해 시키기 위하여 48% HBr 수용액을 사용하며, 환류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이면 반응이 완결된다.
이와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응중간체 화합물인 구조식(Ⅴ) 화합물을 제조한 다음에는 상기 구조식(Ⅴ) 화합물과 함께 반응시키게 될 다음 구조식(Ⅵ)으로 표시되는 페닐렌 디아민염산염을 제조한다. 상기 구조식(Ⅵ)의 치환된 페닐렌 디아민 염산염은 다음 구조식(가)의 치환된 페닐렌 디아민에 염화수소기체를 통과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15
상기 구조식에서 x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에서는 디클로로메탄이나 클로로포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 에탄올 등을 용매로 사용할 수 있으며, 용매중의 pH가 2.0정도가 유지도리때까지 염화수소 기체를 통과시킨다. 이때 상기 구조식(가)화합물은 산소나 빛 등에 의해 쉽게 분해되는 단점이 있으나 상기 구조식(Ⅵ)화합물은 상당히 안전하다.
이와같이 하여 구조식(Ⅴ)의 치환된 2-피리딘메틸 치오시아네이트와 구조식(Ⅵ)의 치환된 페닐렌디아민 염산염을 제조하고 난 후에는 상기 두 화합물을 알코올 용매중에서 반응시키면 다음 구조식(Ⅰ′)화합물이 얻어진다.
Figure kpo00016
상기 구조식에서, R1,R2,R3및 R4는 전술한 바와 같고, x는 1 내지 2의 임의의 수치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알코올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중에서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온도는 각 용매의 환류온도에서 진행하는 것이 좋으나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에서 진행하는 것이 좋다. 반응시간은 1 내지 5시간이 적합하며, 반응이 완결되면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시키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용액을 pH를 7.0으로 조절하여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면 상기 구조식(I′)화합물을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하여 제조된 상기 구조식(I′) 화합물을 과산화제를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산화시키면 본 발명의 목적화합물인 구조식(I)의 벤즈이미다졸 유도체가 얻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마지막 산화공정을 실시하기 이전 화합물인 상기 구조식(I′) 화합물은 구조식(I) 화합물에 비하여 다소 그 효력이 떨어지기는 하지만, 역시 항궤양제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방법들과 비교하여 볼 때. 비교적 안전한 반응물질을 사용하여 반응을 시키므로 수율이 매우 높고, 또한 반응과정이 매우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본 발명은 반드시 다음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4-클로로-3,5-디메틸 피리딘〈구조식(2) 화합물〉의 제조
상기 구조식(1)의 3,5-디메틸피리딘 N-옥사이드 12.3g을 250ml 플라스크에 넣고, 그 온도를 60℃로 조절하여 완전히 용융시킨 후, 여기에다 POC1320ml를 30분간 걸쳐서 서서히 가한다. 반응이 진행되면서 생성되는 HCI 기체는 NaOH 트랩을 사용하여 제거하고, 반응액의 온도를 80~90℃로 유지시키면서 약 1시간동안 반응시킨다. 용액의 온도를 5℃ 이하로 냉각시키고 포화탄산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 7.0으로 조절한다. 디클로로메탄 150ml, 100ml를 각각 사용하여 생성물을 추출해내고. 증류수 200ml 및 포화소금물 200ml로 디클로로메탄층을 세척하여 MgSO4상에서 건조시켜 용매를 증발시키면 목적하는 무색오일상의 4-클로로-3,5-디메틸피리딘이 얻어진다.
수율 : 11.7g(82%)
1H NMR(CDCl3/TMS) ppm(δ), 2.30(6H,s), 8.21(2H, s)
[제조예 2]
3,5-디메틸-4-메톡시피리딘 N-옥사이드〈구조식(3) 화합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4-클로로-3,5-디메틸 피리딘 7.0g(0.049M)을 빙초산 15ml에 녹이고, 이를 서서히 가열하여 60℃로 조절한다. 여기에 30% 과산화수소용액 5.3ml를 3시간에 걸쳐 서서히 가한후, 동일한 온도에서 3시간 더 반응시킨다. 미반응물질과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제거하고, 10M-NaOH를 가하여 pH를 10.0으로 조절한다. 전사에 CH3CN 30ml를 가하고 생성되는 염을 여과하여 제거한후, CH3CH을 증류하여 제거한다. 이어서 CH2Cl250ml로 2회 추출하고, MgSO2상에서 건조하여 용매를 감압증발시키면, 오일상의 4-클로로-3,5-디메틸피리딘 N-옥사이드 7.75g(100%)가 얻어진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MeOH 50ml에 녹이고, 클라이센염기(KOH 35.2g을 증류수 25.2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MeOH를 가하여 100ml로 한 용액) 30ml를 환류온도에서 2시간 동안 적가한다. 계속해서 환류 온도에서 2시간 더 반응을 시키고 20℃로 냉각시킨 후, 35% HCl을 사용하여 pH 9.0으로 조절한다. 감압하에 MeOH를 증류시키고, 디클로로메탄 100ml로 잔사를 2회 추출한 후, 활성탄을 탈색하고 여과하여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시키면 목적하는 3,5-디메틸-4-메톡시피리딘 N-옥사이드가 흰색의 결정성 고체로 얻어진다.
수율 : 5.9g(78%)
mp : 79-80℃
1H NMR(CDCl3/TMS) : ppm(δ), 2.23(6H,s), 3.81(3H,s), 7.94(2H,s)
[제조예 3]
3-페닐-5-[2-(3′,5′-디메틸-4′-메톡시)피리딜]로다닌〈구조식(4) 화합물〉의 제조
N-페닐로다닌 0.60g(3mM) 및 NaOAc 0.09g(2.5mM)을 무수초산 3ml에 혼탁시키고, 이를 90℃로 가열한다음, 여기에다 상기 제조예(2)에서 얻어진 3,5-디메틸-4-메톡시피리딘 N-옥사이드 0.39g(2.5mM)을 무수초산 1ml에 녹인 용액을 10분간 걸쳐서 적가한다.
90℃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용액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증류수 20ml를 가하면 결정이 석출된다. 계속해서, 0 내지 5℃로 조절하여 1시간 교반하고, 여과하여 증류수 2회 세척한 다음, 건조하면 노란색 결정의 목적화합물인 3-페닐-5-[2-(3′,5′-디메틸-4′-메톡시)피리딜]로다닌이 이어진다.
수율 : 0.58(67%)
mp : 296~300℃(분해)
IR(KBr) :
Figure kpo00017
(cm-1),1630(C=0)
[제조예 4]
(3,5-디메틸-4-메톡시)피리딘-2-메탄치올〈구조식(III) 화합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3)에서 얻어진 3-페닐-5-[2-3′,5′-디메틸-4′메톡시)피리딜]로다닌 0.345g(1mM)을 48% HBr 10ml에 혼탁시키고, 이를 95℃로 조절하면서 8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 용액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포화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pH 7.0으로 조절후, 디클로로메탄 25ml로 2회 추출하여 MgSO4상에서 탈수후 감압증류시키면 미색 결정의 목적하는 (3,5-디메틸-4-메톡시)피리딘-2-메탄치올이 얻어진다.
수율 : 0.14g(75%)
mp : 86`87℃
1H NMR(CDCl3/TMS) : ppm(δ), 2.18(3H,s), 2.22(3H,s), 3.70(3H,s), 3.98(2H,s), 8.12(1H,s)
IR(KBr) :
Figure kpo00018
(cm-1), 994.7(vs), 1066(vs), 1266(vs) 1466(vs), 1563(vs), 2932(s)
[제조예 5]
4-메톡시-1,2-페닐렌디아민 염산염〈구조식(VI) 화합물〉의 제조
상기 구조식(가)의 4-메톡시-1,2-페닐렌디아민 6.9g(0.05M)을 디클로로메탄 200ml에 혼탁시키고 0℃로 조절해 준다. 여기에다, 건조된 HCl 기체를 서서히 통과시켜 주면 결정이 석출되기 시작한다. 계속하여 용액의 pH가 2.0이 유지되도록 HCl 기체를 통과시키고, 0℃로 냉각하여 1시간동안 교반해준 다음,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면 목적하는 4-메톡시-1,2-페닐렌디아민 염산염의 백색 결정을 얻는다.
수율 : 7.64g(87.5%)
mp : 195~199℃(분해)
IR(KBr) :
Figure kpo00019
(cm-1), 3405(s), 3345(m), 2600~3200(borad s), 1510(vs), 1221(vs)
[실시예 1]
3,5-디메틸-4-메톡시-2-치오시아네이토메틸피리딘〈구조식(V) 화합물〉의 제조
암모니움 치오시아네이트 1.8g(0.024M)을 에탄올 20ml에 혼탁시키고, 용액의 온도를 60℃로 조절한 후 구조식(II)의 2-클로로메틸-3,5-디메틸-4-메톡시피리딘 염산염 5.3g(0.024M)을 에탄올 20ml에 녹인 용액을 30분 동안 적가한다. 반응용액을 1시간동안 가열환류시킨후 0 내지 5℃로 냉각시켜 여과하면 노란색 결정의 목적하는 3,5-디메틸-4-메톡시-2-치오시아네이토메틸피리딘을 얻는다.
수율 : 4.98g(85%)
mp : 160~165℃(분해)
1H NMR(CMSO-d6/TMS) : ppm(δ). 2.34(3H,s), 2.42(3H,s), 3.78(3H,s), 4.15(2H,s), 8.20(1H,s)
IR(KBr) :
Figure kpo00020
(cm-1), 2040(-C
Figure kpo00021
N)
[실시예 2]
3,5-디메틸-4-메톡시-2-치오시아네이토메틸피리딘〈구조식(V) 화합물〉의 제조
구조식(III)의 (3,5-디메틸-4-메톡시)피리딘-2-메탄치올 1.83g(0.01M)을 에탄올 15ml에 혼탁시키고, 여기에다 NaOH 0.48g을 가한다. 반응액의 온도를 10℃로 유지시키고 브로모시아노겐 1.06g(0.012M)을 10분간에 걸쳐 적가한 다음, 15 내지 20℃에서 2시간 교반시키고 용액의 pH를 7.0으로 조절하면 결정이 석출된다. 0℃로 냉각시켜서 여과하면 미황색의 목적하는 3,5-디메틸-4-메톡시-2-치오시아네이토메틸 피리딘을 얻는다.
수율 : 1.91g(92%)
융점과1H NMR 및 IR 스펙트럼은 실시예 1과 동일함.
[실시예 3]
2-[2-3,5-디메틸-4-메톡시)피리딜 메틸치오]-5-메톡시 벤즈이미다졸〈구조식(I′) 화합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3,5-디메틸-4-메톡시-2-치오시아네이토메틸피리딘 1.22g(5mM)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25ml에 혼탁시키고, 여기에서 구조식(VI)의 4-메톡시-1,2-페닐렌 디아민 염산염 0.87g(5mM)을 가한다.
반응용액을 65~70℃로 조절하여 교반하면 투명한 용액이 된다. 같은 온도에서 3시간 반응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킨다. 잔사에 증류수 50ml 및 초산에틸 50ml를 가하고, 포화중조액을 사용하여 pH 7.0으로 조절한후, 초산에틸층을 분리한다. 초산에틸층을 MgSO4상에서 탈수시키고 여과하여 증발시키면 오일상의 목적화합물 2-[2-(3,5-디메틸-4-메톡시]피리딜메틸치오]-5-메톡시 벤즈이미다졸이 얻어진다.
수율 : 1.33g(81%)
1H NMR(CDCl3/TMS) ppm(δ), 2.22(3H,s), 2.30(3H,s), 3.78(3H,s), 3.82(3H,s), 4.38(2H,s), 6.80~7.60(3H,m), 8.20(1H,s)
IR(NaCl) :
Figure kpo00022
(cm-1), 2600~3400(broad s), 1402(vs), 1154(vs)
[실시예 4]
2-2[-(3,5-디메틸-4-메톡시)피리딜 메틸치오]-5-메톡시 벤즈이미다졸〈구조식(I′) 화합물〉의 제조
이소프로필 알코올 대신에 에탄올 25ml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오일상의 목적화합물 2-2[(3,5-디메틸-4-메톡시)피리딜 메틸치오]-5-메톡시 벤즈이미다졸을 얻는다.
수율 : 1.23g(75%)
1H NMR 및 IR 스펙트럼은 실시예 3과 동일함.
[실시예 5]
2-[2-(3,5-디메틸-4-메톡시)피리딜 메틸설피닐]-5-메톡시 벤즈이미다졸〈구조식(I) 화합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2-2[-(3,5-디메틸-4-메톡시)피리딜) 메틸치오]-5-메톡시 벤즈이이다졸 0.83g(2.52mM)을 클로로포름 10ml에 녹이고 용액의 온도를 -30℃로 조절한다. 상기 용액에 85% 메타클로로 퍼옥시벤조익산 0.52g(2.52mM)을 클로로포름 5ml에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45분동안 적가한다.
반응용액의 온도를 0℃로 올려서 1시간동안 교반하고, 포화탄산나트륨용액으로 세척하여 클로로포름층을 MgSO4로 탈수시키고 여과하여 감압하에 증발시킨다. 잔사에 디에틸에테르 20ml를 가하여 결정화시켜 여과하면 백색 결정의 목적화합물 2-[2-(3,5-디메틸-4-메톡시)피리딜 메틸설피닐]-5-메톡시 벤즈이미다졸이 얻어진다.
수율 : 0.76g(88%)
mp : 156~158℃
1H NMR(CDCl3/TMS) : ppm(δ), 2.17(3H,s), 2.20(3H,s), 3.60(3H,s), 3.93(3H,s), 4.81(2H,s), 6.80~7.80(3H,m), 8.20(1H,s)
IR(KBr) :
Figure kpo00023
(cm-1), 2600~3200(broad s), 1610(s), 1000(vs)

Claims (4)

  1. 벤즈이미아졸 유도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다음 구조식(Ⅴ)의 화합물을 알코올 용매중에서 다음 구조식(Ⅵ)의 치환된 페닐렌디아민 염산과 반응시켜 다음 구조식(Ⅰ′)의 화합물을 제조한 다음, 이 구조식(I′)의 화합물을 산화시켜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구조식(Ⅰ)로 표시되는 벤즈이미다졸 제조방법.
    Figure kpo00024
    상기 구조식에서는 x는 1 내지 2인 임의의 수를 의미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알코올 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식(Ⅴ)의 화합물은 다음 구조식(II)의 피리딘 유도체와 티오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kpo00025
    상기 구조식에서는 X는 클로로, 브로모, 요오드, 파라톨루엔설포닐옥시, 또는 메탄설포닐옥시기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식(V)의 화합물은 다음 구조식(Ⅲ)의 치환된 2-피리딘메탄티올과 다음 구조식(Ⅳ)의 할로시아노겐을 반응시켜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kpo00026
    상기 구조식에서 Y는 클로로 또는 브로모이다.
KR1019880000637A 1988-01-27 1988-01-27 벤즈이미다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KR910010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0637A KR910010079B1 (ko) 1988-01-27 1988-01-27 벤즈이미다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920010695A KR920007270B1 (ko) 1988-01-27 1992-06-19 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0637A KR910010079B1 (ko) 1988-01-27 1988-01-27 벤즈이미다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0695A Division KR920007270B1 (ko) 1988-01-27 1992-06-19 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874A KR890011874A (ko) 1989-08-23
KR910010079B1 true KR910010079B1 (ko) 1991-12-14

Family

ID=192717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0637A KR910010079B1 (ko) 1988-01-27 1988-01-27 벤즈이미다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920010695A KR920007270B1 (ko) 1988-01-27 1992-06-19 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0695A KR920007270B1 (ko) 1988-01-27 1992-06-19 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1001007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874A (ko) 1989-08-23
KR920007270B1 (ko) 199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276354A (zh) 1-氨基苯并[4,5]咪唑并[1,2-a]吡嗪-3-甲酰胺类化合物及其制备和应用
KR0142815B1 (ko) 신규한 5-피롤릴-6-할로게노-2피리딜메틸설피닐벤즈이미다졸 유도체
KR910010079B1 (ko) 벤즈이미다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699396B2 (ja) 新規オキサゾロピリジン誘導体
US3201406A (en) Pyridylcoumarins
KR100430575B1 (ko) 란소프라졸 및 그 중간체의 제조방법
US6673926B2 (en) Process of preparing 3S-3-amino-3-aryl proprion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CN110734398B (zh) 一种新的2-氯代烟酸的制备方法
KR940005019B1 (ko) 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US2953572A (en) Pyridinecarboxylic acid 1-oxides
US4033975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2-amino-3-hydroxypyridine derivatives
KR910006983B1 (ko) 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JP2864653B2 (ja) 2―ヒドロキシニコチン酸誘導体の製造方法
SU471711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роизводных -аминоакриловой кислоты
HUT54363A (en) Process for producing pyridyl-methyl-quinolin derivatives
KR910009956B1 (ko) 벤즈이미다졸 유도체의 신규한 제조방법
JPH07304726A (ja) 2−アリール−エタン−スルホン酸類の製造方法
EP0791583B1 (en) Process for producing 3-(aminomethyl)-6-chloropyridines
KR920000695B1 (ko) 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KR910009816B1 (ko) 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JPS62187467A (ja) 4−アセチルイソキノリノン化合物の新規製造法
JPH05125050A (ja) N−フルオロピリジニウム塩の製造方法
JP4824850B2 (ja) ハロゲノピリジンカルボキサミドの製造方法
SU589913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роизводных нитрохиназолинона
JPS5840939B2 (ja) シクロヘキサンジオン誘導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0201000816;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