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992B1 - 디지탈전기통신 교환시스템용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전기통신 교환시스템용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992B1
KR910009992B1 KR1019860002505A KR860002505A KR910009992B1 KR 910009992 B1 KR910009992 B1 KR 910009992B1 KR 1019860002505 A KR1019860002505 A KR 1019860002505A KR 860002505 A KR860002505 A KR 860002505A KR 910009992 B1 KR910009992 B1 KR 910009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ec
data
group
high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693A (ko
Inventor
존 린다 마아틴
스티븐 그리핀 캐빈
Original Assignee
시멘스 플리세이 일렉트로닉 시스템드 리미티드
로날드 니콜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멘스 플리세이 일렉트로닉 시스템드 리미티드, 로날드 니콜슨 filed Critical 시멘스 플리세이 일렉트로닉 시스템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60008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22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sources have different rates or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Oscillators With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탈전기통신 교환시스템용 교환장치
제1도는 다수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프로그램가능 범용 버스셀택터(PUBS)의 개략다이아그램.
제2도는 PUBS에 적용된 멀티플렉서의 브럭다이아그램.
제3도는 PUBS의 개략 블럭다이아그램.
제4도는 PUBS 제어영역의 개략 블럭다이아그램.
제5도는 PUBS 트래픽영역의 개략 블럭다이아그램.
제6도는 PUBS 그룹인터페이스 영역의 개략 블럭다이아그램.
제7도는 PUBS 타이밍 영역의 개략 블럭다이아그램.
제8도는 제어인터페이스의 어드레스 구성을 보인 도표(1).
제9도는 제어인터페이스의 비트할당을 보인 도표(2).
제10도는 PUBS 루우프라운드 모우드의 개략 다이아그램.
제11도는 32KHz 비-옵셋트 모우드접속에 관련된 데이타 스트림의 다이아그램.
제12도는 64KHz 비-옵셋트 모우드접속에 관련된 데이타 스트림의 다이아그램.
제13도는 1MHz 모우드접속에 관련된 데이타 스트림의 다이아그램.
제14도는 제어타이밍에 관련된 파형다이아그램.
제15도는 타이밍 기준에 관련된 여러 파형을 보인 다이아그램.
본 발명은 지역가입자 엑세스를 위한 디지탈전기통신 교환시스템용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용성이 확인된 형태의 전기통신교환장치는 각각 여러 가입자와 신호형태를 만족시킬 수 있는 일련의 멀티플렉서와 집신기의 구성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들 구성은 이용자교환장치의 조건에 부합되도록 매우 다양한 범위의 구성에 포함될 수 있다.
디지탈전기통신 교환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환장치는 다수의 시분할다중 하이웨이 그룹과 다수의 채널디지탈트래픽통신로 사이를 접속하도록 배열된 선택수단으로 구성되고, 여기에서 선택수단은 시분할다중 하이웨이 그룹과 채널디지탈트래픽통신로내에서 채널디지탈트래픽통신로와 시분할 다중하이웨이 그룹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상이한 교환접속 모우드를 실행하고 특정접속 모우드의 동작입력 및 출력데이타속도가 양립성이거나 양립성이 아닐 때에도 상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어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선택수단은 4개의 1Mbit/sec 시분할다중 그룹 TDM 및 GOT과 3Kbit/sec, 64Kbit/sec 또는 1Mbit/sec의 상이한 3개의 채널속도중의 어느 하나에서 동작되는 최대 6개까지의 가입자채널속도 인터페이스 CIN 및 COT 사이의 범용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가능범용버스셀렉터 PUBS이다.
이 PUBS는 여러 접속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들 구성이 16개의 7-비트레지스터에 의하여 판독되도록 사용된 마이크로프로세서 인터페이스 MF1에 의하여 제어된다.
데이타와 신호는 PUBS를 이용하여 전환되므로 가입자 다중화 및 공통채널의 신호전송에서는 상당히 실용성이 있다.
PUBS는 40-핀형 이중정렬 케이스내에 포장되며 제1도는 여러 인터페이스의 개략 다이아그램을 보이고 있다.
제1도에서, 1MHz 신호는 전기통신교환시스템의 마스터 클럭(도시하지 않았음)으로부터 된 것이며,
Figure kpo00001
는 프레밍신호,
Figure kpo00002
는 리셋트신호,
Figure kpo00003
는 그룹의 어느 특별한 구성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 VS는 전원,
Figure kpo00004
는 칩가능신호,
Figure kpo00005
는 판독가능신호이고,
Figure kpo00006
는 기록가능신호를 나타낸다. 이들 신호의 의미에 대하여서는 이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ADDR/DATA 버스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PUBS사이의 어드레스와 데이타용 통신호이다. 그룹 GOS는 시분할다중 하이웨이 TDMH에 대한 시분할다중 통신에 관련된 것인 반면에, 그룹 GIN은 시분할다중 하이웨이 TDMH로부터의 시분할다중 통신에 관련된 것이다.
PUBS측으로의 트래픽은 채널속도로 통신로 CIN에 인입되고, PUBS로부터의 트래픽은 채널속도로 통신로 COT로부터 송출된다.
제2도의 개략 블럭다이아그램을 참조하는 것은 PUBS의 멀티플렉서 적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장치에 대한 가입자트랙픽은 루우프모뎀 LM에서 끝나는 가입자트래픽 인터페이스 STI에서 처리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 인터페이스 MCI는 제어하이웨이 CH와, 신호인터페이스 SI 및 PUBS에 직접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PUBS는 4개의 시분할다중 하이웨이 TDMH에 직접 연결되고, 신호와 트래픽은 PUBS에 대한 6쌍의 입력/출력신호선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적당히 선택될 수 있다. 다수의 라인모듈이 구비되어 있으며 두 LM1과 LM2로 도시되어 있다.
PUBS의 개략 블럭다이아그램이 제3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4개의 주영역인 타이밍영역 TIA, 제어영역 CA, 트래픽영역 TRA 및 그룹인터페이스영역 GIA로 구성됨을 보이고 있다.
타이밍영역 TIA은 PUBS에 클럭타이밍신호 T를 공급함과 동시에 타이밍발생기 TG로부터 시분할다중 어드레스 TA를 공급하며 타이밍발생기 TG에는 1MHz 마스터클럭신호와 트래밍신호
Figure kpo00007
가 공급된다. 타이밍영역 TIA의 보다 상세한 블럭다이아그램이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어영역 CA는 제어 및 상태레지스터 CTR을 포함하고 버스 ADDR/DATA에 연결되고 다른 제어신호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 및
Figure kpo00012
에 접속된다. 제어영역은 제어인터페이스 CI와 상태인터페이스 SI로서 작용한다. 제어영역 CA의 보다 상세한 블럭다이아그램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그룹인터페이스 영역은 시분할다중 하이웨이 TDMH의 연결에 관련된다(제2도).
두 하이웨이 그룹, 즉, 하이웨이 입력 GIN과 하이웨이 출력 GOT는 각각 4개의 별도 신호선 G0-G3로 구성된다. 유니트 GLS는 그룹루우프라운드 셀렉터수단을 나타내는 반면에, 유니트 GOSR은 그룹출력 셀렉터와 리타이밍 수단을 나타낸다. 그룹인터페이스 영역 GIA의 보다 상세한 블럭다이아그램이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트래픽 영역 TRA는 채널트래픽에 대한 연결에 관련된다. 착신채널 CIN과 발신채널 COT는 각각 6개의 별도 신호선 C0-C5로 구성된다. 유니트 TOB는 다수의 출력버퍼로 표시되고 반면에 유니트 TR은 트래픽 리타이밍수단으로 구성된다. 트래픽 입력샘플링은 유니트 TIS에 의하여 처리되고 루우프라운드 다중화수단이 유니트 LM1과 LM2로 표시되어 있다. 트래픽 영역 TRA의 보다 상세한 블럭다이아드램이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개요]
PUBS장치는 6개의 ′채널종료단′ C0-C5를 4개의 ′그룹종료단′ G0-G3에 접속토록 구성되어 있다. 채널트래픽의 전송속도는 32Kbit/sec, 64Kbit/sec 또는 1Mbit/sec일 수 있다. 각 그룹은 프레임을 구성하는 32개 다중화 채널 타임슬로트로 구성되고, 그룹 주파수는 1MHz이며, 프레임 주파수는 32KHz이다. 상기 주파수들은 통상적으로 모두 1MHz인 마스터클럭신호의 주파수에 관련된다.
그룹의 타임슬로트 할당은 프레임펄스
Figure kpo00013
에 의하여 결정되고, 이 프레밍펄스
Figure kpo00014
는 PUBS를 동기화시키기 위하여 단 1회만 발생되는 것이 필요하나 모든 프레임 또는 모든 다른 프레임마다 발생될 수 있다.
[프로그램가능제어가능]
타임슬로트에 대한 채널의 선택은 제어인터페이스 CI를 통하여 PUBS를 프로그래밍하므로서 결정된다. 이 PUBS는 14개의 프로그램가능 레지스터와 두 판독전용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이를 위하여 4개의 어드레스 라인이 제공된다.
제어정보는 판독가능신호
Figure kpo00015
, 기록가능신호
Figure kpo00016
및 칩가능신호
Figure kpo00017
의 제어하에 7개의 양방향 데이타라인을 통하여 로우드되거나 판독된다.
제어인터페이스 CI의 어드레스 할당이 제8도의 표 1에 표시되어 있다. 비트 할당은 제9도의 표 2에 표시되어 있다.
6개 채널처리영역의 주변에서 제어가 이루어지고, 이들 영역은 표 1에서 BYTE1과 BYTE2로 보인 바와같이, 각각 어드레스 구조에서 두개의 연속제어바이트가 할당되어 있다. 이들 바이트의 제어기능은 다음과 같다.
[그룹출력선택]
4-비트 필드가 출력드룹의 모든 조합내에 있는 채널데이타를 인에이블한다. 만약 그룹이 선택되지 않으면 그룹출력은 턴-오프된다(1은 선택)
[그룹입력선택]
2-비트 필드가 그룹입력의 하나를 이용하여 출력채널데이타를 유도하도록 선택한다(그룹 0이면 부호가 00이고, 채널 1이면 01이다).
[채널가능]
채널속도 출력을 인에이블한다. 이 출력은 오픈-드레인이며, 선택되지 않을 때에 오프된다(선택되면 1이다).
[타이슬로트 선택]
5-비트 필드를 이용하여 그룹입력과 출력에 사용될 타이슬로트를 선택한다. 동작모우드가 64Kbit/sec일 때에 하위 4비트만이 사용된다. 1Mbit/sec 모우드가 선택될 때에 이 필드는 사용되지 않는다.
[32/64Kbit/sec 모우드]
이 제어에 의하여“로우”일 때에 32Kbit/sec 모우드로 셋트되고 “하이”일 때에 64Kbit/sec 모우드로 셋트된다.
[1Mbit/sec 모우드]
이 제어에 의하여 하이일 때에 1Mbit/sec 모우드로 셋트되고 로우일 때에 32 또는 64Kbit/sec로 셋트된다.
어드레스 12와 13에는 다음과 같은 진단 및 초기설정기능이 설정된다. 제10도는 여러 루우프라운드 접속과 함께 정상접속모우드를 보이고 있다.
[채널과 그룹 루우프라운드]
바이트 12에 각 채널을 위한′채널과 그룹루우프라운드′ 제어가 설정된다. 셋트시에 채널입력에서 채널출력으로 역순환하며 또한 그룹입력에서 그룹출력으로 순환한다. 이러한 루우프라운드 모우드는 진단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룹정보루우프라운드의 수와 타임슬로트는 설정모우드에 따른다.
[채널진단 루우프라운드]
이 명령은 PUBS내에서 모든 그룹출력을 그룹입력으로 역순환시키며 PUBS가 채널접속으로부터 진단될 수 있도록 한다(루우프라운드인 경우 1).
[오프셋트]
오프셋트 기능이 모든 채널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 기능은 장치의 그룹 인터페이스라인카드에서 일어나는 1타임슬로트 지연을 보상한다. 오프셋트가 셋트될 때에 데이타는 1타임슬로트 후에 표본추출되고 타임슬로트 선택필드에 지정된 것보다 1타임슬로트 빠르게 송출된다.
[리셋트]
리셋트 명령은 그 자체이외의 모든 레지스터가 클리어되도록 한다. 이 기능을 이용하여 파우어-업 또는 시스템 고장 후 PUBS 초기화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임의의 타임슬로트 선택으로 그룹타임슬로트 경쟁을 피할 수 있다. 셋트되었을 때에 이 명령은 정상운영이 가능하게 되기전에 클리어되어야 한다(1은 RESET).
[채널 모니터]
[채널입력모니터]
이는 판독전용 어드레스로서, 제어프로세서가 6개 채널입력라인의 각각에 데이타가 입력되는 것을 모니터한다. 제어프로세서의 클럭신호는 트래픽 클럭신호에 비동기이므로 데이타의 각 비트를 동시에 모니터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데이타패턴은 제어프로세서의 펌웨어에서 표본추출 및 디코우드 방법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이 필드의 비트 6은 항상 0이다.
[하이웨이 제어기능]
다음과 같이 두개의 하이웨이 제어라인이 제공된다.
[리셋트]
이 라인이 로우이면 전체 PUBS가 리셋트된다. 통상적으로 이 라인은 파우어-업 리셋트 또는 수동리셋트 회로에 연결될 것이다.
[LOCK]
이 기능은 모든 채널에 그룹루우프라운드가 셋트되도록 하여 장치 제어-링 시스템이 실행되도록 한다.
[프로그래밍 제어]
PUBS를 프로그래밍하거나 모니터하는 동안에 사용된 제어신호는 다음과 같다.
[칩 가능 신호(
Figure kpo00018
)]
이 신호는 판독 또는 기록동작이 일어나도록 로우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 신호가 셋트되지 않을때에 모든 어드레스와 데이타라인은 불가능하게 되고 다른 장치가 제어버스에 연결될 때에 칩에 의하여 사용된 전력이 최소가 되도록 할 것이다.
[판독 신호(
Figure kpo00019
)]
이 신호와 칩가능 신호(
Figure kpo00020
)가 로우로 유지되어 있을 때, 어드레스레지스터에 수용된 데이타는 3-상태 데이타인터페이스로 입력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기록 신호(
Figure kpo00021
)]
3-상태 데이타버스의 데이타 입력은 기록신호(
Figure kpo00022
) 또는 칩가능 신호(
Figure kpo00023
)의 논리합이 로우상태에서 하이상태로 변화할 때에 어드레스 지정된 레지스터에 클럭구동으로 입력된다.
[모우드의 설명]
[개요]
이 장치는 다음설명의 동작모우드에 관련된다.
a. 32Kbit/sec 채널-1Mbit/sec 그룹 모우드
b. 64Kbit/sec 채널-1Mbit/sec 그룹 모우드
c. 1Mbit/sec 채널-1Mbit/sec 그룹 모우드
d. 채널과 그룹루우프라운드 모우드
e. 채널진단 루우프라운드 모우드
f. LOCK 루우프라운드 모우드
[32Kbit/sec 채널-1Mbit/sec 그룹 모우드]
[발신 방향]
이 방향에서 32Mbit/sec 그룹의 한 채널이 선택되고 제11도에서 보인 바와같은 채널출력에서 32Kbit/sec 데이타스트림으로서 출력된다.
만약′오프셋트′가 셋트되지 않으면, 데이타는 선택된 채널의 중심에서 1Mbit 클럭의 후단에서 표본추출될 것이다. 만약 ′오프셋트′가 셋트되면, 데이타는 1MHz 클럭의 1주기 후에 표본추출될 것이다.
채널인터페이스의 데이타는 그룹 프레임주기의 초기에 송출된다.
한 프레임에서 표본추출된 데이타는 1프레임 후에 나타나는 오프셋트 모우드의 채널 31을 제외하고 다음 프로그렘중에 채널출력에서 항상 나타나게 될 것이다.
[착신 방향]
이 방향에서, 채널인터페이스상의 데이타는 제11도에서 보인 바와같은 1Mbit/sec 그룹의 한 채널로 다중화된다. 데이타는 프레임 중심앞의 1MHz 반주기에서 표본추출된다.
만약 ′오프셋트′모우드가 셋트되지 않으면 데이타는 선택된 타임슬로트내로 삽입되고 1MHz 클럭의 선단으로 송출될 것이다. 채널 16-31을 위하여 요구된 데이타는 지연되지 않을 것이나 채널 0-15를 위한 데이타는 최대 1/2프레임 지연이 있게 될 것이다.
만약 ′오프셋트′ 모우드가 셋트되면, 데이타는 선택된 타임슬로트 직전의 타임슬로트에 삽입된다. 채널 17-31을 위하여 요구된 데이타는 지연되지 않을 것이나 채널 0-16을 위한 데이타는 1/2프레임 지연될 것이다.
[64Kbit/sec 채널-1Mbit/sec 그룹 모우드]
[발신방향]
이 방향에서, 32채널 1Mbit/sec 그룹의 두 채널이 선택되고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채널 출력상에 64Kbit/sec 데이타스트림으로서 출력된다. 사용된 두개의 1Mbit/sec 채널은 1MHz의 16주기만큼 떨어져 있어야 한다.
만약“오프셋트” 모우드가 셋트되지 않으면, 데이타는 선택된 타임슬로트와 1MHz의 16주기만큼 오프셋트된 것이 삽입된다. 데이타는 1MHz 클럭의 후단에서 표본추출된다.
만약 ′오프셋트′ 모우드가 셋트되면, 데이타는 하나의 1MHz 주기 후에 선택된다.
채널인터페이스상의 데이타는 프레임주기를 통하여 초기와 중간에서 송출될 것이다. 1/2프레임에서 표본추출된 데이타는 1프레임후에 나타나는 오프셋트 모우드의 채널 16을 제외하고는 항상 다음의 1/2프레임중에 채널 출력에서 나타나게 될 것이다.
[착신방향]
이 방향에서, 채널인터페이스상의 데이타는 제12도에서 보인 바와같은 1Mbit/sec 그룹의 두 채널내로 다중화된다. 데이타는 프레임을 통하여 1MHz 주기의 1/4과 3/4전에 반이 표본추출된다.
만약 ′오프셋트′ 모우드가 셋트되지 않으면, 데이타는 선택된 타임슬로트와 1MHz 클럭의 16주기만큼 오프셋트된 것에 삽입되며, 이는 1MHz 클럭의 선단에서 송출된다. 채널 8-15내의 데이타는 지연되지 않으나 채널 0-7내의 데이타는 1/4 프레임만큼 지연될 것이다.
만약 ′오프셋트′ 모우드가 셋트되면 데이타는 선택된 타임슬로트 직전의 타임슬로트내에 삽입된다. 채널 9-15에 대한 데이타는 지연되지 않을 것이나 채널 0-8의 데이타 1/4 프레임만큼 지연될 것이다.
[1Mbit/sec 채널-1Mbit/sec 그룹 모우드]
[발신방향]
이 방향에서, 그룹인터페이스상의 모든 1Mbit/sec 그룹은 제13도에서 보인 바와같은 채널출력에 접속된다.
데이타는 1MHz 클럭의 후단에서 표본추출되고, 클럭의 선단에서 송출된다. 데이타는 MHz 클럭의 1주기만큼 지연될 것이다.
이 모우드에서 오프셋트 모우드는 동작치 않는다.
[채널과 그룹 루우프라운드모우드]
이 모우드가 동작될 때에 채널입력이 채널출력으로 순환되고 그룹 입력이 그룹출력으로 순환된다.
[채널루우프라운드]
데이타가 다음의 시점에서 표본추출된다.
a. 32Kbit/sec 모우드의 타임슬로트 15에서 1MHz 클럭의 후단.
b. 64Kbit/sec 모우드의 타임슬로트 7과 23에서 1MHz 클럭의 후단.
c. 1Mbit/sec 모우드에서 각 1MHz 클럭의 후단.
데이타가 다음의 시점에서 송출된다.
a. 32Kbit/sec 모우드에서 프레임의 시작.
b. 64Kbit/sec 모우드에서 타임슬로트 0과 16의 시작.
c. 1Mbit/sec 모우드에서 각 1MHz 클럭의 선단.
오프셋트 모우드는 채널루우프라운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데이타는 어느 클럭이 선택되든지간에 1주기 만큼 지연된다.
[그룹루우프라운드]
데이타는 다음의 시점에서 표본추출된다.
a. 32Kbit/sec 모우드중에, 비-오프셋트 모우드의 선택된 타임슬로트에서 1MHz 클럭의 후단에서, 또는 오프셋트 모우드에서 1타임슬로트후.
b. 64Kbit/sec 모우드중에, 선택된 타임슬로트와 비-오프셋트 모우드중 선택된 타임슬로트로부터 16타임슬로트 만큼 떨어져 있는 타임슬로트에서 1MHz 클럭의 후단. 오프셋트 모우드가 셋트되었을 때에 데이타는 1타임슬로트 후에 표본추출된다.
c. 1Mbit/sec 모우드중에, 각 1MHz 클럭의 후단.
데이타는 다음의 시점에서 송출된다.
a. 32Kbit/sec 모우드에서, 비-오프셋트 모우드중 선택된 타임슬로트의 시작에서, 그리고 오프셋트 모우드의 1타임슬로트전.
b. 64Kbit/sec 모우드에서, 선택된 타임슬로트와 비-오프셋트 모우드중에 선택된 타임슬로트로부터 16타임슬로트 만큼 떨어진 타임슬로트의 선단. 오프셋트 모우드에서, 데이타는 1타임슬로트전에 송출된다.
c. 1Mbit/sec 모우드에서, 각 1MHz 클럭의 선단.
[개요]
이 모우드는 두 게이트를 제외하고 PUBS가 그룹과 채널인터페이스로부터 충분히 진단되도록 한다.
[채널진단루우프라운드 모우드]
이 모우드에서, 전체 PUBS의 그룹 출력은 그룹입력으로 순환되므로 다른 모우드에서와 같이 선택적인 루우프라운드를 허용하지 않는다.
이 모우드는 PUBS의 트래픽 신호선이 채널연결로부터 진단되도록 한다. 오프셋트 모우드 테스트는 이 모우드가 동작될 때에 두 채널만을 이용하여 허용될 수 있다.
데이타 지연은 다음과 같다.
a. 32Kbit/sec 모우드
만약 타임슬로트 16-31이 선택되면 데이타는 32KHz의 1주기 만큼 지연된다. 만약 타임슬로트 0-15가 선택되면 데이타는 32KHz의 두 주기만큼 지연된다.
b. 64Kbit/sec 모우드
만약 타임슬로트 8-15 또는 24-31이 선택되면 데이타는 64KHz의 주기만큼 지연된다. 만약 타임슬로트 0-7 또는 16-23이 선택되면 데이타는 64KHz의 두 주기만큼 지연된다.
c. 1Mbit/sec 모우드
데이타는 항상 1MHz의 두 주기만큼 지연된다.
[LOCK 루우프라운드 모우드]
이 모우드는 PUBS의
Figure kpo00024
핀을 로우어링(lowering)하여 동작될 수 있다. 이는 착신그룹의 루우프라운드를 제공하나 그룹으로부터 채널로 정상적인 동작을 허용한다. 채널입력을 사용되지 않는다.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선택가능한 그룹과 채널루우프라운드 모우드는 LOCK 기능을 무시한다.
[인터페이스의 설명(타이밍)]
이 설명에서 주어진 타이밍은 허용된 동작범위와 -55℃∼+125℃의 동작온도 범위에서 최악의 지연 경우를 나타낸다.
[제어타이밍]
[개요]
다음의 타이밍 수치는 프로그램가능 범용 버스셀렉터 PUBS의 제어인터페이스에 적용된다. 데이타 버스에는 50pF의 부하가 가하여진 것으로 가정되었다. 제14도를 참조 바란다.
[판독싸이클]
데이타 버스제어에 대한 판독 가능(
Figure kpo00025
로우)
가능데이타버스에 대한
Figure kpo00026
로우(데이타=0)(REDE)=최대 66mS.
가능데이타버스에 대한
Figure kpo00027
로우(데이타=1)(REDE)=최대 90mS.
불능데이타버스에 대한
Figure kpo00028
하이(데이타=0)(REDE)=최대 38mS.
불능데이타버스에 대한
Figure kpo00029
하이(데이타=1)(REDE)=최대 46mS.
데이타버스제어에 대한 칩가능(
Figure kpo00030
=0)
가능데이타버스에 대한
Figure kpo00031
로우(데이타=0)(CEDE)=최대 70mS.
가능데이타버스에 대한
Figure kpo00032
로우(데이타=1)(CEDE)=최대 92mS.
불능데이타버스에 대한
Figure kpo00033
로우(데이타=0)(CEDE)=최대 40mS.
불능데이타버스에 대한
Figure kpo00034
하이(데이타=1)(CEDE)=최대 48mS.
데이타유효에 대한 어드레스변경(
Figure kpo00035
Figure kpo00036
로우)(ADV)
데이타유효에 대한 어드레스안정(데이타=0)=최대 125nS.
데이타유효에 대한 어드레스안정(데이타=1)=최대 200nS.
데이타유효에 대한 칩가능(
Figure kpo00037
로우)(
Figure kpo00038
)
데이타유효에 대한
Figure kpo00039
로우(데이타=0)=최대 125nS.
데이타유효에 대한
Figure kpo00040
로우(데이타=1)=최대 200nS.
[판독싸이클]
(
Figure kpo00041
)의 상승단전 데이타 설정 DWES
(데이타=0)=최소 50nS.
(데이타=1)=최소 71nS.
(
Figure kpo00042
)의 상승단후 데이타고정DWEH
(데이타=0)=최소 30nS.
(데이타=1)=최소 32nS.
(
Figure kpo00043
)의 하강단전 어드레스 설정 AWES
Figure kpo00044
설정=최소 21ns.
(
Figure kpo00045
)의 상승단후 어드레스 고정 AWEH
고정=최소 13nS.
(
Figure kpo00046
)의 상승단전 상승전 CE 설정(CEWES)
Figure kpo00047
설정=최소 80nS.
(
Figure kpo00048
)의 상승단전
Figure kpo00049
설정(CEWES)
Figure kpo00050
설정=최소 80nS.
(
Figure kpo00051
)의 상승단후
Figure kpo00052
고정(CEWEH)
Figure kpo00053
설정=최소 33nS.
Figure kpo00054
펄스 폭(WEP)
Figure kpo00055
펄스 폭=최소 64nS.
RESET 펄스 폭
RESET 펄스=최소 60nS.
[트래픽 영역 타이밍]
[개요]
다음 타이밍 수치는 프로그램가능 범용 버스셀렉터 PUBS의 트래픽 영역에 적용된다. 제15도를 참조 바란다.
[그룹인터페이스 타이밍]
하이에서 로우로 전이토록 그룹출력에 400pF의 부하가 가하여진 것으로 가정된다. 그룹버스의 상승시간은 사용된 풀업저항의 저항값에 의하여 결정될 것이며 주어진 수치에 가산되어야 한다.
[그룹출력]
그룹출력에 대한 1MHz 클럭 하이(데이타=0)=최대 100nS.
그룹출력에 대한 1MHz 클럭 하이(데이타=1)=최대 58nS.
[그룹입력]
1MHz 하강단전에 그룹입력 설정
32 또는 64Kbit/sec 모우드(데이타=0)=최소 32nS.
32 또는 64Kbit/sec 모우드(데이타=1)=최소 28nS.
1Mbit/sec 모우드(데이타=0)=최소 39nS.
1Mbit/sec 모우드(데이타=1)=최소 35nS.
1MHz 하강단후에 그룹입력고정시간
32 또는 64Kbit/sec 모우드(데이타=0)=최소 70nS.
32 또는 64Kbit/sec 모우드(데이타=1)=최소 70nS.
1Mbit/sec 모우드(데이타=0)=최소 40nS.
1Mbit/sec 모우드(데이타=1)=최소 40nS.
[채널인터페이스 타이밍]
하이에서 로우로 전이토록 그룹출력에 50pF의 부하가 가하여졌다고 가정된다. 그룹버스에서의 상승시간은 사용된 풀업저항의 저항값에 의하여 결정될 것이며 주어진 수치에 가산되어야 한다.
[그룹출력]
1MHz 클럭의 상승단으로부터 채널출력유효점
A 32Kbit/sec 모우드(데이타=0)=최대 94nS.
A 32Kbit/sec 모우드(데이타=1)=최대 80nS.
B 64Kbit/sec 모우드(데이타=0)=최대 94nS.
B 64Kbit/sec 모우드(데이타=1)=최대 80nS.
1Mbit/sec 모우드(데이타=0)=최대 72nS.
1Mbit/sec 모우드(데이타=1)=최대 58nS.
[채널입력]
1MHz 클럭의 하강단전에 채널입력 설정시간.
C 32Kbit/sec 모우드(데이타=0)=최소 0nS.
C 32Kbit/sec 모우드(데이타=1)=최소 -8nS.
D 64Kbit/sec 모우드(데이타=0)=최소 0nS.
D 64Kbit/sec 모우드(데이타=1)=최소 -8nS.
1 Mbit/sec 모우드(데이타=1)=최소 14nS.
1 Mbit/sec 모우드(데이타=1)=최소 6nS.
1MHz 클럭의 하강단후에 채널입력 고정시간.
C 32Kbit/sec 모우드(데이타=0)=최소 142nS.
C 32Kbit/sec 모우드(데이타=0)=최소 140nS.
D 64Kbit/sec 모우드(데이타=0)=최소 142nS.
D 64Kbit/sec 모우드(데이타=0)=최소 140nS.
1 Mbit/sec 모우드(데이타=0)=최소 48nS.
1 Mbit/sec 모우드(데이타=0)=최소 45nS.
[프레밍]
프레밍 펄스의 하강단에 대한 1MHz 클럭의 하강단=최소 72nS.
1MHz 클럭의 하아간에 대한 프레밍 펄스의 상승단=최소 21nS.
프레밍펄스의 최소폭=45nS.

Claims (14)

  1. 다수의 시분할다중 하이웨이 그룹과 다수의 디지탈트래픽통신로 사이를 접속하도록 배열된 선택수단으로 구성된 디지탈전기통신 교환시스템용 교환장치에 있어서, 선택수단이 시분할다중 하이웨이 그룹과 채널 디지탈트래픽통신로내에서 다수의 상이한 교환접속모우드로 채널디지탈 트래픽통신로와 시분할다중 하이웨이 그룹사이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특정 접속모우드의 동작입력과 출력데이타 속도가 양립성의 유무에 관계없이 상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어된 마이크로프로세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전기통신 교환시스템용 교환장치.
  2.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선택수단이 이 선택수단의 내부타이밍신호를 제공하도록 마스터클럭신호로부터 구동되는 클럭타이밍수단과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의 프로그래밍 제어를 위하여 구성된 제1 및 제2레지스터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장치.
  3. 청구범위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지스터수단이 다수의 채널디지탈 트래픽통신로의 각각을 위하여 제공되고, 제2레지스터수단이 상기 모든 트랙픽통신로에 공통으로 제공되며, 제어영역에 배치된 루우프라운드 제어레지스터수단이 그룹인터페이스와 트래픽 영역에 연결되어 트래픽통신로의 접속과 하이웨이 그룹의 접속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제어영역에 배치된 오프셋트 제어레지스터수단이 그룹인터페이스 영역에 연결되어 하이웨이 그룹으로부터 판독되고 하이웨이 그룹에 기록되는 타임슬로트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제어영역에 배치된 채널모니터 제어레지스터가 트랙픽 영역에 연결되어 입력 및 출력 채널트래픽통신로를 모니터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장치.
  4. 청구범위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지스터수단이 독립된 두개의 바이트로 구성되고, 제1바이트는 채널데이타가 하이웨이 그룹에 대한 출력에 조합되게 하는 4-비트필드, 하이웨이 그룹으로부터의 입력이 출력채널 데이타를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되도록 선택하기 위한 2-비트필드와 채널속도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1-비트필드로 구성되고, 제2바이트는 하이웨이 입력 및 출력그룹에 사용되도록 타임슬로트를 선택하기 위한 5-비트필드, 독립된 두 데이타속도 동작모우드를 제어하기 위한 1-비트필드와, 다른 데이타속도 동작모우드를 제어하기 위한 다른 1-비트필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장치.
  5. 청구범위 3항에 있어서, 루우프라운드 레지스터수단이 다수의 채널트래픽통신로의 각각의 위한 1-비트필드와 진단접속 목적을 위한 1-비트필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오프셋트 제어레지스터수단이 다수의 채널트래픽통신로의 각각을 위한 1-비트필드와 레지스터 리셋트제어를 위한 1-비트필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채널모니터 제어레지스터수단이 채널트래픽통신로의 각각을 위한 1-비트필드를 포함하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장치.
  6. 청구범위 5항에 있어서, 선택수단이 채널트래픽통신로 비트가 셋트되었을때에 관련된 채널입력이 해당 채널출력으로 역순환하고 입력하이웨이 그룹이 해당 출력하이웨이 그룹으로 역순환하도록 배설된 다중화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장치.
  7. 청구범위 5항에 있어서, 선택수단이 진단접속비트가 셋트되었을때의 선택수단이 채널트래픽통신로로부터 진단되도록 하는 선택수단내에서 모든 출력하이웨이 그룹이 해당 입력하이웨이 그룹으로 역순환하도록 배설된 루우프라운드 셀렉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장치.
  8. 청구범위 5항에 있어서, 오프셋트 비트가 셋트되었을때에 1타임슬로트 지연의 보상이 하이웨이 그룹 인터페이스장치가 초기화될 때 이루어지고, 이에 의하여 데이타가 1타임슬로트 후에 표본추출되고 데이타가 상기 제2바이트의 타임슬로트 선택필드내에 지정된 것보다 1타임슬로트전에 송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장치.
  9. 청구범위 5항에 있어서, 채널모니터 레지스터수단이 판독전용장치이고, 채널모니터비트가 셋트되었을때에 제어마이크로 프로세서가 각 채널트래픽 입력로 또는 출력로에서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모니터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장치.
  10. 청구범위 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이 셋트되었을 때에 모든 채널트래픽통신로에서 하이웨이 그룹 루우프라운드 접속이 셋트되도록 하는 로크제어가 셀렉터 수단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장치.
  11.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채널트랙픽 데이타속도가 32Kbit/sec 64Kbit/sec 또는 1Mbit/sec이고, 각 시분할다중 하이웨이 그룹이 1프레임내에 32개의 다중화 채널타임슬로트로 구성되며 시분할다중 하이웨이 그룹의 주파수가 1MHz이고 프레임반복속도가 32KHz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장치.
  12. 청구범위 11항에 있어서, 한 동작모우드가 발신방향에서 32채널 1Mbit/sec 하이웨이 그룹의 한 채널이 선택되고 채널출력에서 32Kbit/sec 데이타 스트림으로서 출력되는 반면에 착신방향에서 채널인터페이스의 데이타가 1Mbit/sec 하이웨이 그룹의 한 채널에 다중화되는 1Mbit/sec 하이웨이 그룹에 대한 32Kbit/sec 채널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장치.
  13. 청구범위 11항에 있어서, 다른 동작모우드가 발신방향에서 32채널 1Mbit/sec 하이웨이 그룹의 두 채널이 선택되고 채널출력에서 64Kbit/sec 데이타 스트림으로서 출력되는 반면에 착신방향에서는 채널인터페이스의 데이타가 1Mbit/sec 하이웨이 그룹의 두 채널에 다중화되는 1Mbit/sec 하이웨이 그룹에 대한 64Kbit/sec 채널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장치.
  14. 청구범위 11항에 있어서, 또다른 동작모우드가 발신방향에서 그룹인터페이스의 모든 1Mbit/sec 하이웨이 그룹이 채널출력에 연결되는 반면에 착신방향에서 채널인터페이스의 모든 1Mbit/sec 그룹 데이타가 하이웨이 그룹출력에 연결되는 1Mbit/sec 하이웨이 그룹 모우드에 대한 1Mbit/sec 채널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장치.
KR1019860002505A 1985-04-03 1986-04-02 디지탈전기통신 교환시스템용 교환장치 KR9100099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58508740A GB8508740D0 (en) 1985-04-03 1985-04-03 Switching arrangements
GB8508740 1985-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693A KR860008693A (ko) 1986-11-17
KR910009992B1 true KR910009992B1 (ko) 1991-12-09

Family

ID=10577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2505A KR910009992B1 (ko) 1985-04-03 1986-04-02 디지탈전기통신 교환시스템용 교환장치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4815072A (ko)
EP (1) EP0197695B1 (ko)
JP (1) JPS61292496A (ko)
KR (1) KR910009992B1 (ko)
AR (1) AR242688A1 (ko)
AT (1) ATE78966T1 (ko)
AU (1) AU580663B2 (ko)
BR (1) BR8601497A (ko)
CA (1) CA1261443A (ko)
DE (1) DE3686192T2 (ko)
DK (1) DK149286A (ko)
EG (1) EG17961A (ko)
ES (1) ES8707636A1 (ko)
GB (2) GB8508740D0 (ko)
IL (1) IL78254A0 (ko)
IN (1) IN167186B (ko)
NO (1) NO169929C (ko)
YU (1) YU46522B (ko)
ZA (1) ZA8622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26054B1 (de) * 1985-11-18 1990-01-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Digitalsignalverteiler
JPH06245239A (ja) * 1993-02-12 1994-09-02 Fujitsu Ltd 時分割スイッチに接続される回線収容ユニット並びにこれを用いたディジタル交換機及び通信システム
JPH1032888A (ja) * 1996-07-15 1998-02-03 Nec Corp ディジタル交換機の時分割多重化方式
KR100459700B1 (ko) * 2002-02-15 2004-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1890A (en) * 1978-03-17 1980-05-06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Multiport digital switching element
FR2467523A1 (fr) * 1979-10-12 1981-04-17 Thomson Csf Systeme de controle d'un reseau de connexion
GB2120045B (en) * 1982-04-22 1985-12-04 Int Standard Electric Corp Circuit for interfacing a processor to a line circuit
US4504944A (en) * 1982-05-13 1985-03-12 At&T Bell Laboratories Bridging channel port module
GB2128450B (en) * 1982-10-04 1986-01-29 Hitachi Ltd Time-division switching unit
US4566094A (en) * 1983-05-11 1986-01-21 At&T Bell Laboratories Channel selection in a switching system having clustered remote switching modules
US4511969A (en) * 1983-05-20 1985-04-16 At&T Information Systems Inc. Control channel interface circuit
US4547877A (en) * 1983-06-09 1985-10-15 At&T Bell Laboratories System for switching multirate digitized voice and data
FR2551939B1 (fr) * 1983-09-14 1985-10-11 Cit Alcatel Dispositif de transfert et de traitement de voies de donnees ou de signalisation d'un ensemble de lignes multiplex
JPH0632522B2 (ja) * 1983-12-29 1994-04-27 富士通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伝送方法
NL189591C (nl) * 1984-02-24 1993-05-17 Nederland Ptt Digitaal schakelnetwerk voor het doorschakelen van tijdmultiplexkanalen die per kanaal van bitsnelheid kunnen verschillen.
GB8407102D0 (en) * 1984-03-19 1984-04-26 Int Computers Ltd Interconnection of communications networks
EP0185936B1 (de) * 1984-12-14 1993-01-13 Alcatel N.V. Schnittstellenbaustein zur Verbindung von Datenquellen mit Datensenken und Vermittlungssysteme mit solchen Schnittstellenbaustei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686192D1 (de) 1992-09-03
EG17961A (en) 1991-06-30
ATE78966T1 (de) 1992-08-15
IL78254A0 (en) 1986-07-31
KR860008693A (ko) 1986-11-17
EP0197695A3 (en) 1989-04-26
IN167186B (ko) 1990-09-15
NO169929B (no) 1992-05-11
CA1261443A (en) 1989-09-26
YU46522B (sh) 1993-11-16
ES8707636A1 (es) 1987-08-01
US4815072A (en) 1989-03-21
DE3686192T2 (de) 1992-12-17
GB2179224A (en) 1987-02-25
AU5528186A (en) 1986-10-09
AU580663B2 (en) 1989-01-27
JPS61292496A (ja) 1986-12-23
GB8606129D0 (en) 1986-04-16
DK149286A (da) 1986-10-04
DK149286D0 (da) 1986-04-02
AR242688A1 (es) 1993-04-30
ES553707A0 (es) 1987-08-01
ZA862244B (en) 1986-11-26
GB2179224B (ko) 1989-07-05
EP0197695B1 (en) 1992-07-29
NO861296L (no) 1986-10-06
JPH0230237B2 (ko) 1990-07-05
BR8601497A (pt) 1986-12-09
EP0197695A2 (en) 1986-10-15
GB8508740D0 (en) 1985-05-09
YU50086A (en) 1989-02-28
NO169929C (no) 1992-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49049A (en) Control information communication arrangement for a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CA1150805A (en)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control arrangement
CA1237188A (en)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control arrangement and method
JPH0441560B2 (ko)
JPS61290838A (ja) 電気通信交換装置
EP0114822B1 (en) Communication arrangements for distributed control systems
EP0255290B1 (en) Time-slot assigner multiplexer
US4581732A (en) Time-space-time switching network using a closed-loop link
KR910009992B1 (ko) 디지탈전기통신 교환시스템용 교환장치
US4805171A (en) Unitary PCM rate converter and multiframe buffer
US5214638A (en) Digital communication electrical/optical access node having buffer memory matrix for switchable multi-channel bidirectional transmission
US4539678A (en) Synchronization system for a closed-loop multiplex communication network
US4737954A (en) Subscriber line signalling device for use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GB2120044A (en) Auto adjustment of transmission parameters
US5910953A (en) ATM interface apparatus for time-division multiplex highways
US6192047B1 (en) Time division multiple equipment
KR100252835B1 (ko) 시분할 신호의 다중화/역다중화 및 속도 변환 장치
JPH0759135A (ja) 構内交換機及び該交換機に使用するラインカード
KR100217939B1 (ko)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
JPS63294155A (ja) 複合交換方式
JPS5851461B2 (ja) 時分割多重制御方式
JPS6130799B2 (ko)
KR100358386B1 (ko) 전송장비에서의 서비스 대역폭 가변 할당장치
JPH01270484A (ja) ディジタル構内交換機
KR100251632B1 (ko) 교환기에서 하이웨이 분배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