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7939B1 -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 - Google Patents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939B1
KR100217939B1 KR1019970009905A KR19970009905A KR100217939B1 KR 100217939 B1 KR100217939 B1 KR 100217939B1 KR 1019970009905 A KR1019970009905 A KR 1019970009905A KR 19970009905 A KR19970009905 A KR 19970009905A KR 100217939 B1 KR100217939 B1 KR 100217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subscriber
data
clock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4201A (ko
Inventor
노경훈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70009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939B1/ko
Publication of KR19980074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4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93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Abstract

프레임 클럭과 마스터 클럭을 이용하여 PCM 클럭을 생성하는 클럭 처리수단과, 어드레스 버스신호를 이용하여 가입자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가입자 선택수단과, 가입자 데이터를 사용자가 설정한 타임슬럿에 동기시키는 다수개의 채널 접속수단과, 사용자가 설정한 트렁크로 데이터를 스위치하여 PCM 데이터열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트렁크 선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프로그램 게이트 어레이를 이용하여 트렁크 선택부를 가입자 보드내에 구현함으로써 트렁크 확장 및 용량 증설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트렁크 스위치 전용칩이 불필요하게 되어 애널로그 데이터에 대한 군지연 특성이 개선되도록 하는,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
이 발명은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프로그램 게이트 어레이를 이용하여 트렁크 선택부를 가입자 보드내에 구현함으로써 트렁크 확장 및 용량 증설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트렁크 스위치 전용칩이 불필요하게 되어 애널로그 데이터에 대한 군지연 특성이 개선되도록 하는,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에 관한 것이다.
전자 교환기에서는 가입자 보드와 트렁크 보드를 필요로 한다. 상기한 가입자 보드는 교환기와 가입자를 중계하는 주요 기능이외에 가입자의 통화 종료시 통화 서비스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한 트렁크 보드는 교환기와 타교환 시스템을 중계하는 주기능외에 타교환 시스템에 의한 과금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가입자 보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가입자 보드의 연결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가입자 보드(100)는 트렁크 보드(300)와 서로 연결되어 접속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트렁크 보드(300)는 트렁크와 타임슬럿을 재배열시키기 위한 트렁크 스위치(320)와, 프레임 비트를 추가시키기 위한 프레임 처리기(350)와, 트렁크로 PCM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라인 드라이버(380)를 포함한다.
도 2는 종래의 가입자 보드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가입자 보드(100)의 구성은, 프레임 클럭과 마스터 클럭을 이용하여 PCM 클럭을 마생성하는 클럭 처리기(200)와, 어드레스 신호로부터 가입자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가입자 선택부(250)와, 가입자 데이터를 정해진 타임슬럿에 동기시켜 하나의 PCM 데이터열로 형성시키는 다수개의 채널 접속부(110, 12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가입자 보드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다수의 가입자로부터 가입자 보드(100)로 입력된 가입자 데이터는, 채널 접속부(110, 120)에서 정해진 타임슬럿에 순차적으로 동기되어 하나의 PCM 데이터열(t-data1)로 만들어진 뒤에 트렁크 보드(300)로 전송된다. 다른 가입자 보드도 동일한 방법으로 PCM 데이터열(t-data2, t-data3)을 만들어 트렁크 보드(300)로 전송한다. 이때, 각각의 PCM 데이터열(t-data1, t-data2, t-data3)은 최대 30개 채널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가입자 보드(100)로부터 트렁크 보드(300)로 입력된 여러개의 PCM 데이터열(t-data1, t-data2, t-data3)은 트렁크 스위치(320)에서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및 마스터 클럭에 의해 트렁크와 타임슬럿이 재배열되며, 프레임 처리기(350)를 통하여 2.048MB/S 의 프레임 비트가 추가된 후, 라인 드라이버(380)에서 트렁크로 PCM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가입자 보드(100)의 클럭 처리기(200)에서는 8KHz의 프레임 클럭과 4.096MHz의 마스터 클럭을 입력받아 2.048MHz의 PCM 클럭을 만들고, 가입자용 타임슬럿(TS1, TS2)을 만든다. 이때 타임 슬럿은 가입자 보드(100)의 실장위치, 가입자 번호에 따라 고정된 타임슬럿이 정해진다.
그리고, 가입자 보드(100)의 가입자 선택부(250)는 어드레스 버스신호를 입력받아 가입자 선택신호(CS1, CS2)를 만들어 출력하며, 타임슬럿 및 가입자 제어용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가입자 보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트렁크 스위치는 전용칩으로 되어 있어서 간단한 회로에는 적용하기가 쉽고 용이하지만, 다수의 트렁크를 수용할 때는 오히려 회로가 복잡해진다. 즉, 8 트렁크용 칩을 사용하여 트렁크를 1~8개 수용시에는 칩이 송신 및 수신용으로 2개가 소요되나, 9~16 트렁크 수용시에는 8개, 17~24 트렁크 수용시에는 18개의 칩이 소요된다. 그리고, 애널로그 데이터와 신호를 동시에 처리할 경우에는 칩이 각각 4개, 16개, 36개 소요된다. 따라서, 트렁크의 확장성이 결여되고 원가상승의 요인이 된다.
둘째, 이들 트렁크 스위치용 칩은 PCM 데이터열(t-data, r-data)을 칩내부의 256바이트 버퍼에 저장한 후에 트렁크나 타임슬럿을 재배열하는 과정에서 애널로그 군지연 특성으로 인하여 막대한 지장을 초래한다.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로그램 게이트 어레이를 이용하여 트렁크 선택부를 가입자 보드내에 구현함으로써 트렁크 확장 및 용량 증설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트렁크 스위치 전용칩이 불필요하게 되어 애널로그 데이터에 대한 군지연 특성이 개선되도록 하는,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입자 보드의 연결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가입자 보드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의 연결 구성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의 트렁크 선택부의 구성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500 : 가입자 보드 200, 600 : 클럭 처리기 250, 650 : 가입자 선택부 300, 700 : 트렁크 보드 320 : 트렁크 스위치 350, 750 : 프레임 처리기 380, 780 : 라인 드라이버 110,120,520,530 : 채널 접속부 680 : 트렁크 선택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프레임 클럭과 마스터 클럭을 이용하여 PCM 클럭을 생성하는 클럭 처리수단과, 어드레스 버스신호를 이용하여 가입자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가입자 선택수단과, 가입자 데이터를 사용자가 설정한 타임슬럿에 동기시키는 다수개의 채널 접속수단과, 사용자가 설정한 트렁크로 데이터를 스위치하여 PCM 데이터열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트렁크 선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의 연결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500)는 트렁크 보드(700)와 서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트렁크 보드(700)는 프레임 비트를 추가시키기 위한 프레임 처리기(750)와, 트렁크로 PCM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라인 드라이버(78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500)의 구성은, 프레임 클럭과 마스터 클럭을 이용하여 PCM 클럭을 생성하는 클럭 처리기(600)와, 어드레스 버스신호를 이용하여 가입자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가입자 선택부(650)와, 가입자 데이터를 사용자가 설정한 타임슬럿에 동기시키는 다수개의 채널 접속부(520, 530)와, 사용자가 설정한 트렁크로 데이터를 스위치하여 PCM 데이터열을 생성하는 트렁크 선택부(680)로 이루어진다.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의 트렁크 선택부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의 트렁크 선택부의 구성은, 사용자가 지정한 트렁크 정보를 일시 저장하는 플립플롭(681)과, 상기한 트렁크 정보로부터 하나의 트렁크 펄스를 검출하는 디코더(682)와, 송신 데이터와 트렁크 펄스를 조합하여 출력하는 트렁크 결합기(683)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다수의 가입자로부터 가입자 보드(500)로 입력된 가입자 데이터는 채널 접속부(520)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타임슬럿(TS1)에 동기시킨다. 이와 함께 각 채널 접속부(520, 530)에서 동기된 가입자 데이터는 트렁크 선택부(680)에 입력된다. 상기한 트렁크 선택부(680)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트렁크로 데이터를 스위치하여 PCM 데이터열(t-data1 ~ t-data4)을 만들어 트렁크 보드(700)로 전송한다.
트렁크 선택부(680)의 플립플롭(681)은 사용자가 지정한 트렁크 정보를 데이터 버스(D0~D7)에서 읽어들인다. 읽혀진 트렁크 정보는 디코더(682)에서 다수의 트렁크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트렁크 펄스를 검출한다. 트렁크 결합기(683)에 입력된 송신 데이터(TxD)와 트렁크 펄스가 조합회로를 통하여 정해진 트렁크로 데이터가 전송된다. 이때 논리합 게이트나 논리곱 게이트를 사용한다. 만일, Q0, Q1, Q2가 1,1,0으로 지정되면 트렁크 데이터는 t-data3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트렁크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 버스를 4비트 사용시 16 트렁크까지 지정가능하며, 5비트 사용시 32 트렁크까지 지정이 가능하다.
수신 데이터는 트렁크 정보(Q0~Q7)에 의해서 sel1, sel2, sel3이 정해지고 r-data1~r-data3중에서 한 트렁크 데이터가 RxD1으로 전송된다. 즉, Q0, Q1, Q2가 1,1,0으로 지정되면 r-data2가 수신 데이터 RxD1으로 보내진다.
트렁크 보드(300)에 입력된 여러개의 PCM 데이터열(t-data1~t-data3)는 프레임 처리기(750)를 통하여 2.048MB/S의 프레임 비트가 추가된 후에 라인 드라이버(780)에서 트렁크로 PCM 데이터를 전송한다.
가입자 보드(500)의 클럭 처리기에서는 8KHz의 프레임 클럭과 4.096MHz의 마스터 클럭을 입력받아 2.048MHz의 PCM 클럭을 만들고, 가입자용 타임슬럿(TS1, TS2)이 만들어진다. 이때 타임 슬럿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가입자 보드(500)의 가입자 선택부(750)는 어드레스 버스신호를 받아 가입자 선택신호(CS1, CS2)를 만들며, 타임슬럿 및 가입자 제어용으로 사용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를 제공할 수가 있다.
첫째, 트렁크 선택기능은 프로그램 게이트 어레이(FPGA)로 구현이 간단하다.따라서, 프로그램 게이트 어레이에 많은 채널분의 트렁크 선택회로를 추가할 수 있기 때문에 트렁크 확장이 용이하다.
둘째, 트렁크 스위치 전용칩처럼 256바이트 버퍼에 일시 저장후 데이터와 타임슬럿을 재배열하는 과정이 생략되어 애널로그 데이터에 대한 군지연특성이 개선된다.
셋째, 트렁크 보드의 트렁크 스위치가 불필요하므로 회로가 간단하고 트렁크 용량의 증설이 용이하다.
이 발명의 이러한 효과는 교환기 가입자 보드 분야에서 이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2)

  1. 프레임 클럭과 마스터 클럭을 이용하여 PCM 클럭을 생성하는 클럭 처리수단과, 어드레스 버스신호를 이용하여 가입자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가입자 선택수단과, 가입자 데이터를 사용자가 설정한 타임슬럿에 동기시키는 다수개의 채널 접속수단과, 사용자가 설정한 트렁크로 데이터를 스위치하여 PCM 데이터열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트렁크 선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트렁크 선택수단은, 사용자가 지정한 트렁크 정보를 일시 저장하는 플립플롭과, 상기한 트렁크 정보로부터 하나의 트렁크 펄스를 검출하는 디코더와, 송신 데이터와 트렁크 펄스를 조합하여 출력하는 트렁크 결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
KR1019970009905A 1997-03-21 1997-03-21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 KR100217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905A KR100217939B1 (ko) 1997-03-21 1997-03-21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905A KR100217939B1 (ko) 1997-03-21 1997-03-21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201A KR19980074201A (ko) 1998-11-05
KR100217939B1 true KR100217939B1 (ko) 1999-09-01

Family

ID=19500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905A KR100217939B1 (ko) 1997-03-21 1997-03-21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79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005A (ko) * 2021-11-29 2023-06-07 고윤열 Lpg탱크 가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005A (ko) * 2021-11-29 2023-06-07 고윤열 Lpg탱크 가접장치
KR102574003B1 (ko) 2021-11-29 2023-09-06 고윤열 Lpg탱크 가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201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2436B2 (en) Multiport-RAM memory device
US5046067A (en) Digital transmission system
US5784369A (en) Methods and system for switching time-division-multiplexed digital signals of different rates
JPH02260993A (ja) 並列時間スロット交換マトリクス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スイッチブロックモジュール
US5014271A (en) Pulse insertion circuit
US4685104A (en) Distributed switching system
US4105869A (en) Time-division multiplex digital transmission system with intermediate stations adapted to transit insert and extract digital channels
KR100217939B1 (ko) 트렁크 지정기능으로 군지연 특성을 개선한 가입자 보드
US5446731A (en) Signaling channel data transmitting/receiving circuit of a primary multiplexer
JPS6018095A (ja) 分岐・插入回路
US4799216A (en) Distributed switching system
US4101737A (en) Control arrangement in a time-space-time (t-s-t) time division multiple (t.d.m.) tele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AU9345498A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switching data frames
US20060002398A1 (en) Switching arrangement including time-slot buses and serveral buffers
KR100200044B1 (ko) 전전자 교환기의 64 서브 하이웨이 다중화 장치 및 방법
KR100366789B1 (ko) 교환시스템의 피씨엠 데이터 다중화 장치
KR0138596B1 (ko) 소용량 전전자 교환기의 중계선 정합장치
CA1215451A (en) Interface arrangement for buffer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between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age of a time-space-time digital switching system
US7002954B1 (en) Method for processing a large amount of intra-calls in a remote control system of a full electronic telephone
KR100251632B1 (ko) 교환기에서 하이웨이 분배장치 및 방법
KR0147507B1 (ko) 개선된 제어메모리 및 유지보수장치
KR0153016B1 (ko) 전전자 교환기용 시공간 분할 스위칭 회로
KR100247416B1 (ko) 반향 제거기의 시험을 위한 채널별 데이터 지연 장치
KR0176388B1 (ko) 룩업테이블을 이용한 휴지신호 생성기능을 갖는 전전자 교환기
JPS6113899A (ja) デイジタルトラ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