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926B1 - 홀소자를 이용한 평균전력 검출회로 - Google Patents

홀소자를 이용한 평균전력 검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926B1
KR910009926B1 KR1019880017793A KR880017793A KR910009926B1 KR 910009926 B1 KR910009926 B1 KR 910009926B1 KR 1019880017793 A KR1019880017793 A KR 1019880017793A KR 880017793 A KR880017793 A KR 880017793A KR 910009926 B1 KR910009926 B1 KR 910009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ll element
voltage
circuit
amplifi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7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406A (ko
Inventor
이영준
Original Assignee
대한전선 주식회사
유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전선 주식회사, 유인영 filed Critical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7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926B1/ko
Publication of KR900010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8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galvanomagnetic-effect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all/Mr Elements (AREA)
  •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홀소자를 이용한 평균전력 검출회로
제1도는 종래의 홀소자를 이용한 전력 검출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등가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홀소자를 이용한 전력 검출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률 보상회로 2 : 온도 보상회로
3 : 저역통과 필터 4 : 계측증폭회로
HA : 홀소자 R1-R6: 저항
T : 트랜스
본 발명은 홀소자를 이용한 평균전력 검출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홀소자를 이용 전력측정회로에서 온도특성에 의한 출력신호의 변화를 최소화시키도록 한 것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종래의 홀소자를 이용한 전력 검출회로는 제1도와 같이 AC 전원을 인가시킨 트랜스(T)의 2차측에 저항(R0)을 거쳐 홀소자(HA)를 연결하고, 이 홀소자(HA)에 차동증폭기(OP1)과 저항(R1-R2)을 연결하여서 된 것으로서, 이를 살펴보면 저항(R0)으로서 홀소자(HA)의 여기전류 IC를 조정하여 홀소자(HA)에서 흘리고 이 홀소자(HA)에 자계 1B를 가했을때 홀소자(HA)의 출력단자에는 홀 기전력이 발생하여 이미 소신호가 차동증폭기(OP1)를 통해 증폭되어 자계 1B의 원인인 전류 LL와 전류 IC의 원인인 전압 μa의 곱에 비례한 출력전압이 차동증폭기(OP1)의 출력단자(out)에서 출력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회로는 홀소자의 내부저항(RIN)(온도함수)와 홀기전력 내부저항(RS)을 무시한 것으로서 홀소자를 이용한 전력 측정회로에서 오차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홀소자의 내부저항(RIN)은 홀소자의 제품마다 약간씩 다른값을 가지고 있고, 온도에 따라서 민감하게 값이 변화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저항값이 변화함에 따라 여기전류 I의 값이 변화하여 홀전압의 비선형(nonlinerity)의 주원인이 되고 차동증폭기(OP1)의 회로에서도 출력전압
Figure kpo00001
가 되므로 홀소자 유기전압mV 정도로 낮기 때문에 증폭율을 크게하기 위해서는 저항(R1)이 작을수록 높은 증폭율을 갖게 되지만, 이때 홀소자의 유기전류의 내부저항이 있으므로 제2b도에서와 같이 VH
Figure kpo00002
Va가 되고, 내부저항 역시 온도함수가 되므로 큰오차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서, 홀소자의 온도특성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홀소자와 증폭기 사이에 저역필터를 연결하고 순수한 평균전력 검출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노이즈 전압을 제거할 수 있게하며, 홀소자 유기전압의 내부저항에 의한 오차분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한것에 목적을 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와 같이 AC 전원은 트랜스(T)를 거쳐 콘덴서(Cn)와 가변 저항(Rn)으로 직렬 구성된 역율 보상회로(1)와 저항(R7)(R8)과 가변저항(VR1)으로 구성된 온도 보상회로(2)를 통해 OP앰프(OP2)의 비반전단자(+)에 인가시키고, 이 OP앰프(OP2)의 출력을 홀소자(HA)의 단자(H1)에 인가시키도록 연결한다. 또한 상기 홀소자(HA)의 단자(H4)인 전압단자(V1)를 상기 OP앰프(OP2)의 반전단자(-)와 저항(RL)에 연결하고, 홀소자(HA)의 출력단자(H2,H3)에서 저역통과필터(3)와 직류계측 증폭회로(4)를 거쳐 차동증폭기(OP3)에 연결한다. 그리고 OP앰프(OP4)를 이용한 잡음제거 회로(5)로서 가변저항(VR)의 잡음신호 제한폭을 설정하고, 출력을 피드백시켜서 이 OP앰프(OP4)의 출력을 직류계측 증폭회로(4)에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교류 전압(AC)에 비례하는 여기전류(IC)를 트랜스(T) 1차측을 통하여 홀소자(HA)에 인가하는 동시에 그 교류 전압(AC)은 트랜스(T)를 거쳐 저항(R3,R4)에 의해 분압된 전압이 역률 보상회로(1)에 입력되는데, 이 역률 보상회로(1)는 전압(VL)이 트랜스(T)를 거치면서 트랜스(T)에 의한 오차를 보상시키기 위한 것이고, 역률 보상회로(1)의 출력은 다시 온도보상회로(2)를 입력되어 홀소자(HA)에 의한 온도특성의 변화에 대한 오차분을 보상한다. 온도보상회로(2)의 출력전압(Va)은 OP앰프(OP2)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되는데, 이것은 OP앰프(OP2)의 저항(RL)에 의해 입력전압(Va)에 정비례하는 전류(여기전류 : IC)가 홀소자(HA)에 인가된다. 이때 흐르는 여기전류(IC)는 온도보상회로(2)의 출력전압(Va)과 저항(RL)에 의해서만 결정되며(여기전류
Figure kpo00003
) 이는 홀소자(HA)의 내부저항(RIN)을 피드백시켜서 OP앰프(OP2)의 반전단자(-)에 인가시키므로서 홀소자(HA)의 내부저항(RIN)이 온도 및 재질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경우에도 오직 입력전압(Va)에 비례하는 전류만 홀소자(HA)에 흐르게 됨에 따라서 홀소자(HA)의 내부 저항 변화로 인한 오차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홀소자(HA)에는 전압(VL)에 비례하는 여기전류(IC)가 흐르게 된다.
또한 부하전류(LL)가 흐를때 이에 유기되는 자계로 인하여 홀소자(HA)에는 전압(VH∝K.VL.IL)의 유기전압이 출력단자(H2,H3)에 나타나는데, 이 출력전압(VH)은 저역통과필터(3)에 인가되는데, 이 출력(VH)은
Figure kpo00004
으로서,
상기식에서 평균전력을 얻기 위해서는 VLILcos(2wt+θ)제거하여야만 하는데 이는 저역통과필터(3)에 의해 평균전력의 정비례분만 출력측에 나타나게 된다.
상기 출력은 직류계측 증폭회로(4)를 증폭한 출력 전압을 출력시키는데, 이는 전압(VH)의 인가전압이 통상의 차동증폭기(OP3)에 입력될 때 전압(VH)의 내부저항분으로 인한 오차효과를 극소화 시키고자한 것이다.
그리고 잡음제거회로(5)는 음궤환(negative feedback) OP앰프(OP4)를 이용하여 입력단자(a)와 출력단자(b)가 동전위가 되도록 하므로서 무자계시 홀소자(HA)의 출력단자(H2,H3)에는 제로전위가 되어 동상전압이 제거되고, 출력에는 자계에 비례하는 전압만이 출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홀소자의 내부저항이 변화한다 할지라도 사용전압에 정비례하는 여기전류가 홀소자에 흐르게 하므로서 홀소자의 문제점인 온도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되고, 가변저항으로서 여기전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저역필터를 이용하여 순수한 평균전력을 얻을 수 있게됨과 동시에 노이즈 성분을 완전히 제거시킬 수 있게된다. 그리고 역을 보상 및 온도보상회로를 이용하고, 홀소자 유기전압의 내부저항이 오차분을 제거하므로서 정밀하게 전력량을 검출할 수가 있다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홀소자(HA)를 이용하여 전력을 검출할 수 있게 한것에 있어서; 저항(R3,R4)에 의해 분압된 전압을 역률보상회로(1)와 온도보상회로(2)를 거쳐 홀소자(HA)측과 부궤환시킨 OP앰프(OP2)에 연결하고, 홀소자(HA)에 유기된 전압단자(H2,H3)에서 저역통과필터(3)와 계측 증폭회로(4)를 거쳐 차동증폭기(OP3)를 연결하여서 평균전력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소자를 이용한 평균전력 검출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잡음신호제한 폭을 설정하고자 가변저항(VR)으로 입력전압을 조정하여 OP앰프(OP4)에 입력시키고 부궤환시킨 출력을 상기 계측증폭회로(4)에 입력시켜서 세팅전압을 설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소자를 이용한 평균전력 검출회로.
KR1019880017793A 1988-12-29 1988-12-29 홀소자를 이용한 평균전력 검출회로 KR910009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7793A KR910009926B1 (ko) 1988-12-29 1988-12-29 홀소자를 이용한 평균전력 검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7793A KR910009926B1 (ko) 1988-12-29 1988-12-29 홀소자를 이용한 평균전력 검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406A KR900010406A (ko) 1990-07-07
KR910009926B1 true KR910009926B1 (ko) 1991-12-05

Family

ID=19280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7793A KR910009926B1 (ko) 1988-12-29 1988-12-29 홀소자를 이용한 평균전력 검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9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346B1 (ko) * 2009-06-08 2012-04-06 산요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오프셋 캔슬 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346B1 (ko) * 2009-06-08 2012-04-06 산요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오프셋 캔슬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406A (ko) 199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79172A (ja) ホ−ル・磁界センサを用いた回路装置
CN111628735B (zh) 一种高精度的线性霍尔传感器读出电路
JP3797149B2 (ja) 電流センサ
US4435653A (en) In-phase voltage elimination circuit for Hall element
CN1073760C (zh) 偏移补偿线性rf检测器
US6160404A (en) Circuit for measuring the electrode current of a ceramic gas sensor
KR910009926B1 (ko) 홀소자를 이용한 평균전력 검출회로
US5488301A (en) Electrostatic voltmeter employing a differential cascode
KR850000359B1 (ko) 호올(Hall)소자의 동상 전압제거 회로
JP3999303B2 (ja) 電流検出装置
JP3516644B2 (ja) 磁気センサ装置および電流センサ装置
JPS5868615A (ja) 磁気式ロ−タリ・エンコ−ダの出力回路
KR850000358B1 (ko) 호올 소자의 동상전압 제거회로
JP3332660B2 (ja) 電気量測定装置
WO2024090239A1 (ja) 差動入力差動出力型の反転増幅回路および測定装置
JP3684691B2 (ja) 温度特性補償回路及び該温度特性補償回路を用いた磁電変換素子の駆動装置
JP2000155139A (ja) 電流検出装置
GB1602296A (en) Current sources
JPH0635540Y2 (ja) 差動増幅器
SU76489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напр жени на сварочных электродах
JP2938657B2 (ja) 電流検出回路
JPH0611625Y2 (ja) ストレンゲージ用増幅器
JPH08233867A (ja) ブリッジ検出回路
JPS5932216Y2 (ja) 直流高電圧発生装置
JPS6361961A (ja) 電流検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3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