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853B1 - 텔레비젼 브라운관 고정용틀의 고정구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텔레비젼 브라운관 고정용틀의 고정구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853B1
KR910009853B1 KR1019880015521A KR880015521A KR910009853B1 KR 910009853 B1 KR910009853 B1 KR 910009853B1 KR 1019880015521 A KR1019880015521 A KR 1019880015521A KR 880015521 A KR880015521 A KR 880015521A KR 910009853 B1 KR910009853 B1 KR 910009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rt
cam
gri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5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865A (ko
Inventor
조휘남
Original Assignee
조휘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휘남 filed Critical 조휘남
Priority to KR1019880015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853B1/ko
Publication of KR900008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텔레비젼 브라운관 고정용틀의 고정구 부착장치
제1도는 고정구가 부착된 텔레비젼 브라운관 고정용 틀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요부발췌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장치의 저면일부 발췌도로서 캠이 구동장치도.
제4도는 캠에 의한 모서리틀의 작동상태 단면도.
제5도는 브라운관 고정용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누름장치의 발췌 단면도.
제6도는 용접장치의 발췌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라운관틀 2 : 고정구
3 : 파지구 4 : 로울러
5 : 캠 6 : 스프링
7 : 캠축 8 : 피니언
9 : 실린더 10 : 래크
11 : 안내턱 12 : 실린더
13 : 피스톤 14 : 실린더
15 : 하향피스톤 16 : 누르개
17 : 실린더 18 : 양극봉
19 : 삽착부 20 : 실린더
21 : 피스톤 22 : 실린더
본 발명은 텔레비젼 브라운관 고정용틀의 고정구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리로 되어 있는 브라운관을 텔레비젼의 몸체에 부착시키는 일은 용이치 아니하여 통상 브라운관의 외주에 금속밴드로된 고정용틀을 밀착시키고 고정용틀에 고정구를 용착하여 고정구에 의해 텔레비젼 몸체에 고정시켜 왔다. 그런데 금속밴드로 된 고정용틀에 고정구를 부착하는 작업은 불편할뿐 아니라 소정위치에 정확히 부착하는 일이 용이치 아니하여 생산작업이 비능률적이었고 불량품의 발생이 다대한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브라운관 고정용틀의 소정위치에 고정구를 자동으로 부착하는 장치를 제공하므로서 종래와 같은 비능률을 해소하고 불량품 발생량을 감소시키며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창출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브라운관 고정용틀(이하 “브라운관틀”이라 함)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게 설치하는 수단과 고정되게 설치된 브라운관틀에 고정구를 용착시키는 용접장치로 구성되며, 브라운관틀을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설치장치는 브라운관틀의 착탈을 용이케하기 위한 수축장치와 설치된 상태에서 이탈방지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브라운관틀에의 고정구 부착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장치의 일실시예의 요부만을 발췌한 평면도인바, 브라운관틀(1)의 네모서리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밀어 브라운관틀(1)을 파지하는 파지구(3)가 설치된다. 파지구(3)는 그 선단이 브라운관틀(1)의 모서리 내측의 만곡정도에 대응하도록 만곡되어져야 하는바, 그 만곡정도에 대응하는 로울러(4)를 부착하여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이 파지구(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진퇴가 자재로와야 한다.
즉, 로울러(4)를 부착시켜 로울러(4)로 브라운관틀을 파지케 한다면 로울러(4)자체를 캠으로 형성시켜 로울러(4)의 회전에 따라 로울러(4)의 산과 골짜기가 내외로 진퇴되게 구성시킬수도 있으나, 대각선 방향의 레일(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상에 파지구(3)를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파지구(3)를 진퇴시키기 위한 진퇴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지구(3)를 대각선 방향으로 진퇴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첨부된 도면에는 캠(5)과 스프링(6)이 도시되어 있다. 즉 스프링(6)이 파지구(3)를 당기고 있는 상태에서 캠(5)을 회전시켜 캠(5)의 언덕이 파지구(3)에 접하여지게 하면 파지구(3)가 외방으로 밀려나가고 캠(5)의 골짜기가 파지구(3)에 접하여지게 하면 골짜기의 깊이만큼 파지구(3)가 스프링(6)에 의해 내측으로 당겨져 브라운관틀(1)이 해탈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캠(5)은 각개의 파지구(3) 마다 하나씩 설치할 수도 있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커다란 캠에 네개의 골짜기와 언덕을 형성시켜 구성시킬 수 있다. 캠(5)의 회동은 제3도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축(7)에 피니언(8)을 고착시키고, 피니언(8)을 실린더(9)에 의해 작동되는 래크(10)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브라운관틀(1)은 각개의 파지구(3)에 의하여 정형(대략 직사각형)을 유지하여야 할뿐 아니라 파지구(3)의 바닥면(3′)에 밀착되어 그 높이가 일정하여야 고정구(2)가 일정한 높이에 용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는 파지구(3)가 브라운관틀(1)을 밀어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브라운관틀(1)이 상방으로 튕겨지는 등의 일을 방지하는 누름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누름장치는, 제4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구(2)의 선단에 장치한 로울러(4)에 안내턱(11)을 형성시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제2도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누름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작용의 확실성을 위해 바람직한 일이다.
즉, 실린더(12)에 의해 작동되는 피스톤(13)선단에 수직방향으로 실린더(14)를 고착하고 실린더(14)이 하향피스톤(15) 선단에 누르개(16)를 부착하여 누름장치를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용접장치는 공지의 스포트용접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스포트 용접장치는 제2도와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브라운관틀(1)의 모서리방향으로 실린더(17)에 의해 진퇴되는 양극봉(18)과 파지구(3)선단의 음극단자로 구성되는데 파지구(3) 선단의 로울러(4)에 음극선을 연결시켜 로울러(4) 자체가 음극단자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극봉(18)의 선단에는 삽착부(19)를 형성시키고 이 삽착부(19)에 고정구(2)를 끼워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삽착부(19)에 끼운 고정구(2)가 양극봉(18)의 이동중에 소정의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에는 고정구(2)의 누름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즉, 양극봉(18)에 실린더(20)와 실린더(20)에 의하여 작동되는 피스톤(21)을 고정되게 설치하고, 피스톤(21)의 선단에 실린더(22)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누름대(23)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파지구(3)의 내단이 캠(5)의 골짜기에 위치하여 파지구(3)가 내측으로 위축되고,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누름장치가 사용될 경우 이 누름장치가 후퇴되어 있으며,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접장치가 후퇴되고, 용접장치의 누름대(23)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업이 시작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운관틀(1)을 네개의 파지구(3) 외방에 위치하도록 재치하고,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봉(18)의 삽착부(19)에 고정구(2)를 끼워 넣은후, 캠(5)을 회동시켜 파지구(3)가 외방으로 밀려나가 브라운관틀(1)을 파지함과 동시에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장치를 브라운관틀(1)의 상부로 이동시킨 후 하향피스톤(15)을 내려 누르개(16)로 브라운관틀(1)을 눌러 고정시킨다. 그리고 용접장치의 양극봉(18)에 설치된 실린더(20)로 피스톤(21)을 밀어내어 누름대(23)가 고정구(2)의 직상부에 위치되게 하고, 실린더(20)로 누름대(23)를 내려 고정구(2)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양극봉(18)에 고정구(2)를 고정시킨후 실린더(17)로 양극봉(18)을 밀어 고정구(2)를 브라운관틀(1)에 밀착시키면 양극봉(18)과 음극단자인 로울러(4) 사이에 용접회로가 도통되어 브라운관틀(1)과 고정구(2) 사이에 스포트용접이 이루어진다. 용접이 이루어지면 실린더(20)로 누름대(23)를 올림과 동시에 실린더(17)로 양극봉(18)을 후퇴시키고, 실린더(14)로 하향피스톤(15)을 올리고 실린더(12)로 피스톤(13)을 후퇴시켜 누름장치를 후퇴시킴과 동시에 캠(5)을 회동시켜 파지구(3)의 내단이 캠(5)의 골짜기에 위치되게 하므로서 파지구(3)들을 내측으로 위축시킨다. 그리하면 각 모서리에 고정구(2)가 용착된 브라운관틀(1)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각개의 실린더(9)(12)(14)(17)(20)(22)를 압축공기나 유압장치에 의해 작동시키고 또 순차작동장치에 의해 순차적으로 작동시킬 경우 일련의 공정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 많은 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고정구(2)를 소정의 위치에 정확히, 또 비교적 빠르게 용착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뿐 아니라 불량품의 발생량을 격감시키고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파지구(3)를 캠(5)에 탄접 설치하여서 된 것을 요소로 하는 브라운관틀(1)의 고정설치장치와, 실린더(20)에 설치된 양극봉(18)의 선단에 고정구(2)의 삽착부(19)를 형성시키고 파지구(3)를 음극단자로 하여서 된 용접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고정용틀의 고정구 부착장치.
  2. 제1항의 것에 있어서, 파지구(3)는 4개로 구성되고 각 파지구(3)는 스프링(6)으로 캠(5)의 외면에 탄접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고정용틀의 고정구 부착장치.
  3. 제1항의 것에 있어서, 인접하는 파지구(3)를 하나로 결합시켜 이 대향되는 2개의 파지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고정용틀의 고정구 부착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의 것에 있어서, 실린더(12)의 피스톤(13)에 누르개(16)를 가진 이탈방지장치를 설치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부착장치.
KR1019880015521A 1988-11-24 1988-11-24 텔레비젼 브라운관 고정용틀의 고정구 부착장치 KR910009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5521A KR910009853B1 (ko) 1988-11-24 1988-11-24 텔레비젼 브라운관 고정용틀의 고정구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5521A KR910009853B1 (ko) 1988-11-24 1988-11-24 텔레비젼 브라운관 고정용틀의 고정구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865A KR900008865A (ko) 1990-06-03
KR910009853B1 true KR910009853B1 (ko) 1991-11-30

Family

ID=19279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5521A KR910009853B1 (ko) 1988-11-24 1988-11-24 텔레비젼 브라운관 고정용틀의 고정구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85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865A (ko) 199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853B1 (ko) 텔레비젼 브라운관 고정용틀의 고정구 부착장치
JP4773893B2 (ja) キャップ取着方法
CN208359505U (zh) 一种窗帘布卷边焊接装置
CN211639971U (zh) 一种夹持工件用开合及顶升工装
CN205043142U (zh) 智能化转盘金属铸件水口分离一体机
KR200142906Y1 (ko) 브라운관 고정용틀의 고정구 부착장치
CN215003251U (zh) 一种电子雷管脚线线夹自动组装装置
JPH06277889A (ja) 二重容器の重合口元部自動溶接装置
CN205932511U (zh) 篮子夹紧装置
CN212495817U (zh) 一种开式花兰体全自动整型攻丝机
CN215280458U (zh) 一种双胆工件夹紧装置
CN205496430U (zh) 圆锥滚子轴承保持架冲窗自动上排料装置
CN105215216A (zh) 一种双回转自动上帽机
CN215992192U (zh) 一种全自动食用菌菌包搔菌处理设备
JPH05138765A (ja) チユーブローラ製造装置
CN217399035U (zh) 一种内撑型阳极挂具及设备
JP3273006B2 (ja) 抵抗溶接装置
CN211490392U (zh) 一种车灯调光用螺杆和橡胶圈的自动装配工装
CN215397182U (zh) 一种专用自动脱模设备
CN218903202U (zh) 一种弯管成型冲压装置
CN218395456U (zh) 一种汽车天窗导轨生产用压弧模具
JPS61176422A (ja) 曲げ加工装置
CN220312424U (zh) 一种用于动脉血气针推杆的自动化组装装置
CN211102042U (zh) 电路板焊锡治具
JP3595000B2 (ja) シールキャップ装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