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471B1 - 테이프 레코더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471B1
KR910009471B1 KR1019830003538A KR830003538A KR910009471B1 KR 910009471 B1 KR910009471 B1 KR 910009471B1 KR 1019830003538 A KR1019830003538 A KR 1019830003538A KR 830003538 A KR830003538 A KR 830003538A KR 910009471 B1 KR910009471 B1 KR 910009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reel
supply reel
bearing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3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8882A (ko
Inventor
미쯔루 이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8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8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Landscapes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장치
제1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테이프 레코더 장치의 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도는 평면도.
제2도는 권취릴 돌기측의 단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공급릴 돌기측의 단면도 및 분해사시도.
제5도는 구동전달계의 사시도.
제6a도, 제6b도 및 제6c도는 구동전달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7도는 공급릴 돌기측의 변형에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캡스턴 22 : 공급릴대
M : 모터
본 발명은 예를들면 오디오나 비디오의 테이프 레코더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캡스턴을 회전구동하는 모터의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 레코더 장치에 있어서 콤팩트화, 특히 박형화에 의한 콤팩트화를 꾀하는데는 캡스턴을 회전구동하는 모터의 로터 및 스테이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의 크기가 중요한 문제가 된다. 그러나 종래 모터의 로터등의 직경을 작게 하여 회전축선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체부의 소형화를 꾀한 원통형의 모터를 사용한 예는 있으나 캡스턴에 대한 배치관계나 출력토오크등의 문제가 있어 그 소형화에는 제한이 있다. 이 때문에 회전축선 방향의 본체부의 두께를 없애고 편평형 모터로 하는 것이 생각되었다. 그렇지만 한편 그 편평으로 되는 모터의 본체부는 장치내의 어떠한 개소에 어떻게 넣느냐에 대하여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편평형 모터를 사용하여 장치의 콤팩트화를 꾀할 수 있는 테이프 레코더 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테이프 레코더 장치는 캡스턴을 회전구동시키는 모터를 편평형 모터로 구성함과 함께 그 편평형 모터의 로터를 공급릴대와 동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편평형 모터를 사용하여 이 모터를 슬립기구가 없는 공급릴대측에 더구나 모터의 로터와 릴대가 동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므로서 일단은 장치의 콤팩트화가 꾀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테이프 레코더 장치를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 장치에 적용한 경우의 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따라 설명한다.
먼저, 제1도에 있어서 (1)은 콤팩트 카셋트인 테이프 카셋트이고 (2)는 메카기판이다. 이 메카기판(2)상에는 캡스턴(3), 이것에 대향된 핀치롤러(4), 가이드핀(4), 가이드핀(5), 재생헤드(6)등이 각기 적절하게 배치되어서 부착되어있다. 또한 메카기판(2)에는 한쌍의 개구(7)(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개구(7)의 중심부에는 테이프 카셋트(1)의 권취릴 허브(1A)에 결합하는 권취릴돌기(9)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권취릴돌기(9)는 제2도에 도시되는 것같이 상하 2단 겹치는 내외 이중구조의 하단내측에 배치되어 합성수지로 된 권취릴대(10)위에, 그 중앙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서 위쪽에 돌출하는 관상돌부(10a)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11)으로 감착되므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단 외측에 배치되어 반대 접시형상이 되는 회전륜체(12)는 원형상의 금속판(12a)의 외주에 감착하여 톱니가 그 둘레방향으로 설치된 합성수지로된 톱니 링부재(12b)와 금속판(12a)의 외주에 감착하여 톱니가 그 둘레방향으로 설치된 합성수지로된 링체(12d)로 구성되어 있고 그 링체(12d)의 중공부에 상기 관상돌부(10a)가 삽통되어서 권취릴대(10)와 회전륜체(12)는 상대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있다. 그리고 권취릴대(10)와 회전륜체(12)사이에서 회전륜체(12)의 하면에는 링형상의 펠트등으로된 마찰판(13)이 동심형으로 감착 설치되어있는 것과 함께 회전륜체(12)는 관상돌부(10a)에 감착되어 권취릴돌기(9)와 회전륜체(12)사이에 장치된 코일스프링(14)에 의한 탄성 작용력에 의해서 권취릴대(10)측으로 압압작용되어 있다. 또한 권취릴돌기(9)를 포함한 권취릴대(10) 및 회전륜체(12)는 지지축(15)에 의해 회전지지되어 있다. 그런데 이 지지지축(15)의 상단부(15a)는 관상돌부(10a)의 관통구멍(16)에 삽통되어 하단부(15b)는 모터기판(17)에 설치되는 구멍(18)에 조여 멈춤등에 의해서 고착된 관상체(19)의 구멍(20)에 압입고착되어있다. 또한 (21)은 후기하는 제1중간 회전체이고, (E1)은 권취릴대(10)등의 빠짐방지를 하는 지지축(15)의 홈에 감착된 E링이다.
한편, 다른쪽의 개구(8)의 중앙부에는 제3도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반대 접시형상으로 되는 공급릴대(22)위의 중앙에 고착되어 테이프 카셋트(1)의 공급릴허브(1B)에 결합하는 합성수지로된 공급릴돌기(23)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공급릴대(22)는 전기회전륜체(12)와 같이 금속판(22a)과 틉니링부재(22b)로 구성되어 있어 그 중앙 즉 금속판(22a)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24)에 공급릴돌기(23)가 성형수단으로써 고착설치되어있다. 또한 공급릴돌기(23)내부는 공동으로 되어있어 공급릴대(22) 밑과 연통하는 중공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공급릴대(22)밑에는 제3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모터기판(17)에 부착된 1개의 캡스턴 구동용모터(M)가 설치되어 있다. 이 모터(M)는 로터 및 스테이터등으로 구성되는 본체부가 그 회전축선방향에서의 두께가 없고 편형이 되는 편평형 무브러시 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캡스턴 구동용 모터(M)에 대해서 제3도 및 제4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모터기판(17)이 그 원형상이 되는 팽출부(17a)의 반대접시형상의 공급릴대(22)내에 아래쪽으로부터 끼워 넣도록하여 위치하고 있다. 이 팽출부(17a)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25)에는 상하방향으로 뻗음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관통구멍(26)이 설치된 원통형상의 베어링눌림 투관(27)이 조여 멈추어져 모터기판(17)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베어링 눌림투관(27)의 상단부(27a)측은 공급릴돌기(23)와 동심형이 되도록 그 중공부(23a)에 수납위치되어있다.
또한 베어링 눌림투관(27)의 관통구멍(26)상단에는 원통형상의 함유동계 소결합금으로된 베어링(28)이 압입고착되고 또한 하단에는 원통형상의 볼베어링(29)이 압입고착되어서 베어링부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어링 눌림 투관(27)의 상단부(27a)에는 코일스프링(30)이 끼워 장치됨과 함께 이 코일스프링(30)의 탄성력에 버티어 베어링 눌림 투관(27)의 상단으로부터 그 상단부(27a)의 상단측을 피복토록하여 유저원통형상의 드러스트 받이가 되는 회전축위치조정부재(3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위치조정부재(31)의 저부에는 중앙구멍(32)이 설치되어있고 또한 그 중앙구멍(32)의 대향하는 공급릴 돌기(23)의 정상부 위치에도 구멍(33)이 설치되어있다.
한편 모터기판(17)의 팽출부(17a)밑에는 자성재 예를들면 BMC(bulk mold compound)로된 원형상의 회전링(3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링(34)의 외주부(34a)는 팽출부(17a)내에 끼워들어있음과 함께 그 중앙측은 아래측으로 향하게 돌출하는 편평형상의 단이 있는 통상부(34b)에 형성되어 있다. 이 단이 있는 통상부(34b)의 상면에 형성되는 요부(35)에는 베어링 눌림투관(27)의 하단부(27b)가 끼워들어가 있다. 그리고 이 단이 있는 통상부(34b)의 하단에는 벨트(36)가 감길 모터 풀리(MP)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링(34)의 중앙 즉 단이 있는 통상부(34b)의 중앙에 설치되는 구멍(37)에는 다소 수직 윗쪽으로 뻗는 회전축(38)의 하단부(38a)가 압입고착되어서 회전축(38)이 회전링(34)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38)의 상단부(38b)는 베어링(28) 및 볼베어링(29)이 압입고착되는 베어링 눌림투관(27)의 관통구멍(26), 회전축위치조정부재(31)의 중앙구멍(32) 및 공급릴돌기(23)의 구멍(33)에 대하여 삽통위치되어 있다. 이 회전축(38)의 상단측에 형성된 홈의 각기에는 E링(E2)(E3)이 끼워져 고착되어있다. 그리고 아래측의 E링(E2)은 회전 베어링 조정부재(31)의 상단면(31a)에 접촉하고 있고 회전베어링 조정부재(31)의 결합의 의한 상하이동에 따라 회전축(38)을 상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측의 E링(E3)은 공급릴돌기(23) 즉 공급릴대(22)의 빠짐방지를 꾀하고 있다.
그리고 공급릴돌기(23) 즉 공급릴대(22)는 공급릴돌기(23)의 구멍(33)에 있어서 회전축(38)에, 또한 공급릴돌기(23)의 하단부(23C)에 있어서 베어링 눌림투관(27)에 가이드 되므로서 회전 지지되고 있다.
그러나 회전링(34)의 외주부(34a)의 하면에는 그 둘레방향에서 NS극 상호 번갈아 착자되는 링형의 영구자석(41)이 회전링(34)에 동심형으로 접착되어 있다.
이 회전링(34)의 하면측, 즉 영구자석(41)의 하면에 대향시켜서 환형상의 편평인 진기자코일 조립체(42)가 그 중공부(42a)에 단이 있는 통상부(34b)를 끼우도록 하여 모터기판(17)에 나사등에 의해 고착 설치되어있다.
이 전기자 코일 조립체(42)는 한쌍의 코일 단체로써 한조로 되는 6조의 코일체(43a) 내지 (43f)와 이들 6조의 코일체(43a) 내지 (43f) 각기의 리드단자를 부착되는 프린트기판(44)의 링형인 리드부착부(44a)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린트기판(44)에는 이 리드부착부(44a)에 연속해서 구동회로부(44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기자 코일 조립체(42)는 다음과 같이 하여 제작된다.
링 형상의 리드부착부(44a)에 대하여 한조를 구성하는 한쌍의 코일단체를 리드부착부(44a)가 샌드위치형-상으로 끼워넣어지도록 서로 맞보도록 배치하는 한편 6조의 코일체(43a) 내지 (43f)를 링형상의 리드부착부(44a)에 따르게 환형상으로 배치한다. 그리고 리드단자를 부착한 뒤에 이들 리드부착부(44a) 및 6조의 코일(43a) 내지 (43f)을 합성수지로 샌드위치형으로 끼워넣어 일체화 한다.
이로 인하여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공부(42a)가 있는 육각형인 환형의 전기자 코일 조립체(42)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 코일 조립체(42)의 하면에는 대향케하여 원형상의 히스테리시스판(45)이 설치되어 있다. 이 히스테리시스판(45)은 그 중앙구멍(46)을 단이 있는 통형상부(34b)에 끼워넣어짐으로서 중심내기를 함과 함께 제3도에 도시되는 자기회로에 의한 자력에 의해 윗쪽측에 흡인되게끔 된다. 그리고 단이 있는 통형상부(34b)의 단부(34c)에 지지되므로서 부착되어 있다.
연이나 회전링(34), 영구자석(41) 및 히스테리시스판(45)에 의해 로터가 구성되어 전기자 코일 조립체(42)등에 의해 스테이터가 구성되어서 모터(M)의 본체부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로터는 공급릴대(22)와 동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상에 의하여 베어링(28) 및 볼베어링(29)에 의해 구성되는 베어링부를 공급릴돌기(23)내부의 중공부(23a)내에 동심형으로 설치하므로서 제3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충분한 베어링길이(l)를 취할수 있게 되어 모터(M)를 편평형 무브러시 모터에 의해 구성하여도 소비전류 및 와우플러터등의 악화를 방지할수 있다.
또한 이 모터(M)를 회전륜체(12) 및 마찰판(13)등으로 된 슬립기구가 없는 공급릴대(22)측에, 그리고 로터를 공급릴대(22)에 동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일단 모터(M)의 회전축선 방향에서의, 즉 회전축(38)의 축선방향에서의 두께가 없어져 엷어져 콤팩트화를 꾀할 수 있다.
다음에 구동전달계에 대하여 제5도에 의해 설명한다.
캡스턴 구동용모터(M)의 모터풀리(MP)와 캡스턴(3)의 풀리겸용 캡스턴플라이휠(3F)사이에는 벨트(36)가 감기어, 모터(M)에 위해 벨트(36)는 화살표(A)방향으로 주행되고 있다. 그리고 벨트(36)의 이완측은 권취릴대(10) 및 회전륜체(12)와 공급릴대(22)사이에서 요동하는 아이들러(47)의 아이들러 풀리(47P)에 압착하고 있다. 이로인하여 모터(M)가 캡스턴(3) 및 아이들러(47)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구동토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아이들러(47)는 아이들러풀리(47P)외에 아이들러풀리(47P)의 상부측에 작은 직경으로써 주행(PLAY)시에 회전륜체(12)의 외톱니(12A)에 맞물리는 상부 기어(47A)와 큰 직경으로써 급송(FF)시에 후기하는 제1중간 회전체(21)의 하부기어(21B)에 또한 되감기(REW)시에 같이 후기하는 제2중간회전체(48)의 하부기어(48B)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하부기어(47B)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권취릴대(10)밑의 아이들러(47)가까이에는 상기 제1중간회전체(21)가 모터기판(17)에 지지축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 제1중간 회전체(21)는 상하양단에 대소의 직경이 다른 기어를 일체적으로 갖고있고 상부기어(21A)은 항시 권취릴대(10)의 내부톱니가 되는 릴대기어(10A)에 맞물리고 있음과 함께 하부기어(21B)는 급송(FF)시에 아이들러(47)의 하부기어(47B)와 맞물린다.
또한 공급릴대(22)의 측부에서 아이들러(47)가까이에는 상기 제2중간회전체(48)가 모터기판(17)(도시않음)에 지지축을 거쳐 설치되어있다. 이 제2중간회전체(48)도 같이 상하양단에 대소 직경이 다른 기어를 일체적으로 갖고 상부기어(48A)는 항상 공급릴대(22)의 릴대기어(22A)에 맞물리고 있음과 함께 하부기어(48B)는 되감기시에 아이들러(47)의 하부기어(47B)와 맞물린다.
다음에 주행, 급송 및 되감기시의 동작에 대하여 제6a도, 제6b도 및 제6c도에 의해 설명한다.
[주행(PLAY)시 (제6a도)]
주행(PLAY)버튼(도시않음)의 압압조작에 의해 아이들러(47)는 화살표(XP)방향으로 요동하여, 상부기어(47A)는 회전륜체(12)의 기어(12A)에 맞물린다. 이로 인하여 회전륜체(1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마찰판(13)을 거쳐 권취릴대(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급송(FF시)시 (제6b도)]
급송(FF)버튼(도시않음)의 압압조작에 의해 아이들러(47)는 화살표(XF)방향으로 요동하여, 하부기어(47B)는 제1중간회전체(21)의 하부기어(21B)에 맞물린다. 이로 인하여 제1중간회전체(2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권취릴대(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되감기(REW)시 (제6c도)]
되감기(REW)버튼(도시않음)의 압압조작에 의해 아이들러(47)는 화살표(Xa)방향으로 요동하여, 하부기어(47B)는 제2중간회전체(48)의 하부기어(48B)에 맞물린다. 이로 인하여 제2중간회전체(48)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공급릴대(2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에 제7도에 의해 변형예를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유저원통형에 베어링 눌림투관(27)이 형성되어있고 그 상단에 돌출하는 원주상돌기부(27C)가 공급릴돌기(23)의 구멍(33)에 삽통위치되어있다. 이 원주상돌기(27C)에 형성된 홈에는 E링(E2)(E3)이 끼워져 고착되어 있고 공급릴돌기(23)의 상하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그리고 공급릴돌기(23) 즉 공급릴대(22)는 공급릴돌기(23)의 구멍(33) 및 하단부(23C)에 있어서 베어링 눌림투관(27)의 원주상 돌기부(27C)등에 가이드되는 것으로 인하여 회전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자성재로된 모터기판(17)으로 하고, 모터기판(17)과 히스테리시스판(45)사이에 흡인력을 발생시켜 히스테리시스판(45)을 거쳐 회전링(34), 즉 회전축(38)을 윗쪽으로 들어 올리고 있다. 그리고 이 들어올림에 의해 회전링(34)은 본 변형예의 경우 베어링 눌림투관(27)에 압입고착된 볼베어링(29)은 그 볼베어링(29)의 베어링에 예압이 걸리도록하여 접촉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전기실시예와 같은 회전축 위치조정부재(31) 즉 드러스트 받이가 불필요하게 되어 그 몫의 회전축(38)의 출선 방향에서의 두께가 엷어져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캡스턴을 회전구동시키는 모터에 편평형 모터를 사용하여 이 모터를 주행시에 테이프를 느슨함이 없이 적당한 텐션으로써 시종 권취하기 위한 슬립기구를 그 상측 또는 하측에 없는 공급릴측에, 더구나 모터의 로터와 릴대가 동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서 박형화가 가능하게 되어 일단 장치의 콤팩트화를 꾀할 수 있다.

Claims (1)

  1. 캡스턴을 회전구동시키는 모터를 편평형 모터로 구성함과 함께 그 편평형모터의 로터를, 공급릴대와 동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 장치.
KR1019830003538A 1983-02-10 1983-07-29 테이프 레코더장치 KR910009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205 1983-02-10
JP58021205A JPS59146469A (ja) 1983-02-10 1983-02-10 テ−プレコ−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882A KR840008882A (ko) 1984-12-19
KR910009471B1 true KR910009471B1 (ko) 1991-11-16

Family

ID=12048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538A KR910009471B1 (ko) 1983-02-10 1983-07-29 테이프 레코더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146469A (ko)
KR (1) KR9100094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6042B2 (ja) * 1987-07-24 1997-09-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H01235091A (ja) * 1988-03-15 1989-09-20 Mitsubishi Electric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44743B2 (ko) 1993-07-07
KR840008882A (ko) 1984-12-19
JPS59146469A (ja) 1984-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506B1 (ko) 테이프 레코더
US4352036A (en) Electrical rotary machine
KR910009471B1 (ko) 테이프 레코더장치
US4423359A (en) Electric motor
US20020060884A1 (en) Actuator assembly
US6155511A (en) Capstan motor with hysteresis plate and drive system
KR0130207Y1 (ko) 모터
JP3232994B2 (ja) モータのスラスト軸受
JP2789838B2 (ja) ローディングポスト保持装置
JPH0621060Y2 (ja) 回転駆動装置
KR940004322Y1 (ko) 헤드폰 스테레오의 모터
JPS6141125Y2 (ko)
JPH0341298Y2 (ko)
JPH066698Y2 (ja) 偏平モ−タの動力伝達装置
KR19990041725A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캡스턴모우터조립체
JPH0227405Y2 (ko)
JPH10201207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KR930004771B1 (ko) Vcr의 헤드드럼 모우터
KR100312720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드럼모터를이용한테이프가이드장치
JPH06282901A (ja) キャプスタン装置
JPS5921097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00003391Y1 (ko) 원심력을 이용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클러치 절환장치
KR900000079Y1 (ko) 브이씨알의 캡스턴 브레이크 장치
KR0128996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캡스턴 모터
KR940005805Y1 (ko) 브이씨알의 권취릴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