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426B1 - 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스 제어장치용 신호처리회로 - Google Patents

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스 제어장치용 신호처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426B1
KR910009426B1 KR1019830004815A KR830004815A KR910009426B1 KR 910009426 B1 KR910009426 B1 KR 910009426B1 KR 1019830004815 A KR1019830004815 A KR 1019830004815A KR 830004815 A KR830004815 A KR 830004815A KR 910009426 B1 KR910009426 B1 KR 910009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mplifier
input
clamping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4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583A (ko
Inventor
프레스톤 파커 로버트
챨스 톨런트 2세 제임스
헤티져 제임스
Original Assignee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 브리스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434,314 external-priority patent/US4484228A/en
Priority claimed from US06/434,329 external-priority patent/US4484227A/en
Application filed by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 브리스틀 filed Critical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40006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2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reinsertion of DC and slowly varying components of colou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스 제어장치용 신호처리회로
제1도는 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스(AKB) 시스템 및 신호 샘플링 회로를 포함하는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의 부분적 도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시스템 동작과 관련된 신호 파형.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신호 파형의 다른 버전(version).
제4도는 제1도의 샘플링 회로에 대한 상세도.
제5도는 제1도와 관련된 타이밍신호 발진기에 대한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텔레비젼 신호처리회로 12 : 휘도 및 색도 프로세서
14a, 14b, 14c : 비데오 출력신호 프로세서 40 : 타이밍신호 발진기
50 : 바이어스 제어전압 처리회로 52 : 입력 샘플링 증폭기
90 : 카운터 92 : 결합 논리배열
93, 96 : 지연회로 95, 99 : 레벨 이동기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의 키네스코프와 같은 비데오 신호 영상 표시장치에 의해 전도되는 블랙 영상표시 전류의 레벨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도록 시스템에 사용되는 신호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블랙 전류 표시 신호가 파생되는 감지점에서 임피던스 변화에 보상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따라서 이와같은 변화는 감지점이 결합되는 제어회로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텔레비젼 수상기는 키네스코프의 각 전자총에 쓰이는 적절한 블랙 영상표시 전류의 레벨을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스(AKB) 제어시스템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와같은 작동의 결과로 키네스코프에 의해 재생된 화상은 키네스코프 작동 파라미터의 변화에 의해(에이징 및 온도 효과로 인하여) 역으로 영향을 받는 것이 방지된다. 한가지 형태의 AKB 시스템은 워너 힌의 “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싱 시스템”이라고 하는 미합중국 특허원 제4,263,622호에 공개된다.
AKB 시스템은 영상 귀선 소거 간격동안 동작하며 이때 키네스코프는 블랙 비데오 신호 정보를 나타내는 기준전압에 응답하여 소량의 블랙 레벨 표시용 귀선 소거 전류를 전도한다. 이 전류는 감지된 블랙 전류 레벨과 예상된 블랙 전류 레벨사이의 차를 나타내는 키네스코프 바이어스 수정 전압을 발생시키는 AKB 시스템에 의해 감시된다. 수정 전압은 차를 감소시키도록 키네스코프의 전단에 있는 비데오 신호처리회로를 경유하여 키네스코프에 인가된다. 전형적으로 수정 전압은 키네스코프의 캐소드 강도 제어 전극을 직접 구동시키기에 적합한 레벨을 갖는 비데오 출력신호를 공급하는 직류 결합형 키네스코프 증폭기의 바이어스 제어입력에 인가된다. 수정 전압은 구동기 증폭기의 출력 바이어스 전압을 수정하여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이 수정되고 결국 예상된 캐소드 블랙 전류 레벨로 된다.
상기한 힌의 특허에 기술된 형태의 AKB 시스템에서 제어회로는 캐소드 블랙 전류 레벨을 나타내는 크기를 갖는 주기적으로 파생된 신호에 응답한다. 파생된 신호는 블랙 전류 레벨이 정확할 때 0과 다른 상기 레벨을 나타내며 블랙 전류 레벨이 너무 높거나 너무 낮을 때 다른 레벨(예를들면, 대략 양의 값을 갖는 레벨)을 나타낸다. 파생된 신호는 파생된 신호의 크기에 따라 키네스코프 바이어스 수정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클램핑 및 샘플링 회로를 포함하는 제어회로에 연결된 감지점에서 발생된다. 예를들면, 파생된 신호는 파생된 신호의 레벨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를 충방전시키는 샘플링 증폭기에 의해 샘플링된다. 바이어스 수정신호는 정확한 블랙 전류 레벨을 유지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한다.
감지점이 결합되는 제어회로는 블랙 전류 표시신호가 파생되는 감지점이 키네스코프구동기 바이어스 레벨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임피던스 변화를 나타낼 때 역으로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이와같은 임피던스 변화로 인하여 제어회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공개된다. 공개된 신호는 제어회로와 조합된 클램핑 회로의 마진을 유리하게 증가시켜 바이어스 수정신호를 왜곡시키거나 불명확하게 할 수도 있는 국부 발생 혼신을 포함한 기생 신호로 된다.
바이어스 수정 신호가 저장 커패시터에서 파생될 때 이 신호는 바이어스 수정 전압 형태를 취한다.
저장 커패시터로부터 파생된 바이어스 수정 전압은 전압펄스의 형태인 파생된 신호의 레벨이 정확한 블랙 전류 레벨을 나타낼 때 방전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비방전된 상태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전압펄스의 레벨이 정확한 블랙 전류 레벨을 나타낼 때 저장 커패시터가 샘플링 증폭기의 출력 전류에 의해 충전되거나 방전되지 말아야 한다. 특히, 힌의 특허에 기술된 형태의 AKB 시스템에서 비방전된 상태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정확한 키네스코프 블랙 레벨 전류가 0이 아닌 예정 크기를 갖는 표시 전압 펄스에 의해 나타내질 때 샘플링 증폭기가 저장 커패시터에 아무런 전류도 공급하지 말아야 한다. 이와같은 것은 증폭기의 적절한 바이어스 제어점에 결합된 프리셋 수동 전위차계와 같은 샘플링 증폭기의 오프셋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수동 초기 조전 설정은 다른 자동신호 제어시스템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한 시간낭비이며 조합된 전위차계는 시스템의 원가를 불필요하게 더해준다.
어떤 AKB 시스템에 사용된 신호처리 기술은 개별 키네스코프 전자총의 차단 전압 및 신호 이득이 키네스코프 제조 공차로 인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오프셋 에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같은 경우에 AKB 시스템에 의해 설정된 블랙 전류 레벨은 프리셋 수동조정에 의해 보상될 수 있는 에러를 나타낼 수 있다. 공개된 장치는 이와같은 오프셋 에러를 보상하기 위해 수동으로 조정가능한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AKB 신호처리회로의 설계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은 비데오 신호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 표시장치에 의해 전도되는 블랙 전류 레벨을 나타내는 파생된 신호는 블랙 전류 레벨이 정확할 때 0이 아닌 주어진 진폭을 갖는다. 파생된 표시신호는 입력신호 결합 선로를 경유하여 파생된 신호의 진폭에 따라 전하저장장치를 충방전시키기 위해 출력 전류를 공급하는 샘플링 증폭기에 인가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부신호는 파생된 신호의 진폭이 정확한 블랙 전류 레벨을 나타낼 때 증폭기 입력에서 파생된 신호의 진폭을 제거하도록 어떤 크기의 감지력을 가지고서, 입력신호 결합 선로에 인가된다. 마찬가지로, 파생된 전류 진폭이 정확한 블랙 전류 레벨과 일치할 때 샘플링 증폭기의 전도상태는 변하지 않은채 유지되고 저장 장치의 전압은 불변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특성에 따라서 부신호의 크기는 AKB 간격동안 발생된 키네스코프 캐소드의 차단 전위 크기에 비례한다.
본 발명의 특성에 따라서 샘플링 증폭기의 입력은 신호 샘플링 간격 전단계의 클램핑 간격동안 기준 전압으로 클램핑된다. 블랙 레벨 표시용 파생신호는 클램핑 간격동안 발생되어 증폭기 입력이 클램핑 간격동안 클램핑되는 기준 전압은 파생된 신호의 크기를 나타내며, 부 신호는 다음 샘플링 간격동안 발생된다. 부 신호는 파생된 신호의 크기가 정확한 블랙 전류 레벨과 일치할 때 증폭기 입력전압이 변하지 않은 채로 유지되도록 크기와 감지력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성에 따라서 증폭기 입력은 클램핑 간격동안 기준 전압으로 클램핑되고, 파생된 신호 및 부신호는 샘플링 간격동안 모두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스 제어장치는 키네스코프 블랙 전류 레벨을 나타내는 파생된 신호와 상기 크기 및 감지력을 구비한 부 신호를 샘플링 증폭기의 입력에 결합하기 위한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파생된 신호원은 키네스코프 바이어스 레벨의 크기에 비례하는 가변 출력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파생된 표시신호는 파생된 신호원의 가변 임피던스 출력에서 결합 임피던스를 거쳐 커패시터에 제공된다. 결합 임피더스는 파생된 신호원의 출력원으로부터 파생된 부 신호원의 임피던스의 변화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가변 출력 임피던스에 비해 크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성은 결합 커패시터가 클램핑 회로에 포함되는 것이다. 결합 임피던스는 기생신호에 대한 클램핑 회로 응답 마진을 추가로 증가시킨다.
제1도에서 텔레비젼 신호처리회로(10)는 합성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 중 분리된 휘도(Y) 및 색도(C) 성분을 휘도 및 색도 신호처리회로(12)에 제공한다. 프로세서(12)는 휘도 및 색도 이득 제어회로와 직류 레벨 설정회로(예를들면, 키형블랙 레벨 클램핑 회로를 포함)와, r-y, g-y 및 b-y 색차를 신호를 발생시키는 색 복조기와 처리된 휘도 신호를 구비하는 색차신호를 코우밍(combing)하기 위한 행렬식 증폭기를 구비하여 저레벨 색영상 표시신호 r, g 및 b를 제공한다. 이와같은 신호는 비데오 출력신호처리회로(14a), (14b), (14c)내에서 회로에 의해 각각 증폭되거나 처리되어 고레벨의 증폭된 색 영상 신호 R, G, B를 키네스코프(15)의 표시용 캐소드 강도 제어 전극(16a), (16b), (16c)에 공급한다. 회로(14a), (14b), (14c)는 아래 기술된 AKB 작동과 연관된 기능을 수행한다. 키네스코프(15)는 캐소드 전극(16a), (16b), (16c)을 포함하는 각각의 전자총과 조합된 공통에너지화 그리드(18)를 구비한 자동 접속 인라인 형태로 구성된다.
출력처리 프로세서(14a), (14b), (14c)가 본 실시예에서는 유사하므로 프로세서(14a)의 작동에 대한 아래 기술 사항은 프로세서(14b), (14c)에 적용된다.
프로세서(14a)는 프로세서(12)로부터의 비데오 신호 r를 입력저항(21)을 경유하여 수신하는 입력공통 에미터 트랜지스터(20)와 함께 캐스코드 비데오 구동기 증폭기를 형성하는 출력 고전압 공통 베이스 트랜지스터(22)를 포함하는 키네스코프 구동기 단을 포함한다. 키네스코프 캐소드(16)를 구동시키기에 적합한 고레벨의 비데어 신호 R는 트랜지스터(22)의 콜렉터 출력회로에서 부하저항(24)에 나타난다. 증폭기(20), (22)용 동작원 전압은 직류 고전압원 B+(예를들면, +230V)에 의해 재공된다. 캐소드 증폭기(20), (22)의 신호 이득은 궤환저항(25)값대 입력저항(21)값의 비에 의해 우선 결정된다. 궤환회로는 적절히 낮은 증폭기 출력 임피던스를 제공하며, 증폭기 출력에서 직류 동작레벨을 안정화시키도록 돕는다.
트랜지스터(20), (22)의 콜렉터 에미터 선로사이에서 직렬로 직류 결합된 감지저항(30)은 키네스코프 귀선 소거 간격동안 전도되는 키네스코프 캐소드 블랙 전류의 레벨을 나타내는 비교적 낮은 전압 노드 A에서 전압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된다. 저항(30)을 텔레비젼 수상기의 AKB 시스템과 관련하여 작동하며, 이는 아래에 기술될 것이다.
논리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타이밍신호 발생기(40)는 주기적 AKB 간격동안 AKB 동작기능을 제어하는 타이밍신호 VB, VS, VC, VP및 VG를 발생시키기 위해 수상기의 편향 회로로부터 파생된 주기적 수평동기율 신호(H) 및 주기적 수직 동기율 신호(V)에 응답한다. 각각의 AKB 간격은 수직 귀선소거 간격내에서 수직 귀선 간격이 끝난직후 시작하고, 수직 귀선 소거 간격동안과 비데오 영상 정보가 없을 동안 여러 수평라인 간격을 포함한다. 이와같은 타이밍신호는 제2도의 파형으로 기술된다.
제2도에 있어서, 비데오 귀선 소거 신호인 타이밍신호 VB는 신호파형 V으로 나타내진 바와같이 시간 T1에서 수직 귀선 간격이 끝난 직후에 발생되는 정의 펄스를 포함한다. 귀선 소거 신호 VB는 AKB 간격 지속기간동안 나타나며, 휘도 및 색도 프로세서의 귀선 소거 제어용 입력단자에 인가되어 프로세서(12)의 r, g 및 b출력이 블랙영상 표시용 직류 기준 레벨을 나타낸다. 이와같은 것은 신호 VB에 응답하여 프로세서(12)의 이득 제어회로를 경유하여 프로세서(12)의 신호 이득을 실제로 0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이루어지며, 프로세서(12)의 출력에서 블랙영상 표시용 기준 레벨을 발생시키는 프로세서(12)의 직류레벨을 수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정의 그리드 펄스인 타이밍신호 VG는 수직 귀선 소거 간격내에 세 개의 수평라인 간격을 포함한다. 타이밍신호 VC는 AKB 시스템의 신호 샘플링 간격과 관련된 클램핑 회로의 작동을 제어한다. 샘플링 제어신호인 타이밍신호 VS는 신호 VC다음에 발생되며, 샘플작동을 계시하고, 키네스코프 블랙 전류 레벨을 제어하기 위해 직류 바이어스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를 보유하도록 사용된다. 신호 VS는 하나의 샘플링 간격을 포함하는데 신호 VS의 시작은 신호 VC에 의해 포함되는 클램핑 간격의 끝에 비해 약간 지연되고, 신호 VS의 끝은 AKB 간격의 끝과 실제로 일치한다. 부방향 부펄스 VP의 기능은 이후에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제2도에 표시된 신호의 타이밍 지연 TD은 200ns 정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AKB 간격동안 정의 펄스 VG(예를들면 +10V 정도)는 키네스코프의 그리드(18)를 순방향 바이어스시켜 캐소드(16a) 및 그리드(18)를 포함하는 전자총이 전도를 증가시키게 한다. 정의 그리드 펄스 VG에 응답하여 유사한 위상을 갖는 양전류 펄스는 그리드 펄스 간격동안 캐소드(16a)에 나타난다. 이렇게 발생된 캐소드 출력 전류 펄스의 진폭은 캐소드 블랙 전류 전도레벨(전형적으로 2-3㎂)에 비례한다.
유도된 정의 캐소드 출력 펄스는 트랜지스터(22)의 콜렉터에 나타나고, 저항(25)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20)의 베이스 입력에 결합되어 캐소드 펄스가 나타날 동안 트랜지스터(20)의 전류가 비례로 증가하게 한다. 트랜지스터(20)에 의해 전도되는 증가된 전류는 전압이 감지 저항(30)에 나타나게 한다. 이 전압은 감지 노드 A에 나타나면서 블랙 전류 표시용 캐소드 출력 펄스의 크기에 비례하는 부방향 전압 변화 형태를 갖는다. 노드 A의 전압크기는 저항(30)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의 크기와 저항(30)의 값을 곱함으로써 결정된다.
노드 A에서 전압 변화는 소형저항(31)을 경유하여 노드 A에서의 전압 변화와 동일한 전압 변화가 일어나는 노드 B에 결합된다. 노드 B는 바이어스 제어전압 처리회로(50)에 결합된다. 회로(50)는 입력 결합 커패시터(50)와, 클램핑 타이밍신호 VC에 응답하는 조합된 궤환 스위치(54)를 구비한 입력 클램핑 및 샘플링용 연산 증폭기(52)(예를들면, 연산 전도 증폭기)와, 샘플링 타이밍신호 VS에 응답하는 조합된 스위치(55)를 구비한 전하 저항 커패시터(56)를 포함한다. 커패시터(56)에 나타나는 전압은 키네스코프 바이어스 수정신호를 회로(58), 저항 회로(60), (62), (64) 및 트랜지스터(20) 베이스의 바이어스 제어 입력을 경유하여 키네스코프 구동기에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회로(58)는 트랜지스터(20)의 방어의 제어 입력 요구에 따라서 적절한 레벨의 저 임피던스에서 바이어스 제어 전압을 공급하도록 신호 전송형 버퍼회로를 구비한다.
제1도의 시스템의 작동은 제2도의 파형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부신호 VP는 다이오드와, 가령 220KΩ과 270KΩ의 값을 갖는 저항(32), (34)을 포함하는 전송 임피던스 회로를 경유하여 제1도의 회로노드 B에 인가된다. 신호 VP는 정상 직류 바이어스 전압이 노드 B에서 발생되도록 다이오드(35)를 전도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AKB 샘플링 간격을 제외한 모든 시간에 약 +8.0V의 정의 직류 레벨을 나타낸다. 신호 VP의 정의 직류성분이 나타날 때 저항(32), (34)의 전압은 다이오드(35)에서 전압 강하의 음의 값인 신호 VP중 정의 직류 성분과 동일한 전압으로 클램프된다. 신호 VP는 AKB 샘플링 간격동안은 부방향의 고정된 진폭 펄스이다. 다이오드(35)는 부의 퍼스 VP에 응답하여 비전도성으로 되며 이로 인하여 저항(32), (34)이 노드 B와 접지사이에 결합된다. 레지스터(31)는 저항(31)의 값(200Ω 가량임)이 저항(32), (34)의 값에 비해 작으므로 노드 B에 발생되는 같은 전압 변화(V1)에 비해 노드 A에 발생되는 전압 변화가 심하게 감쇄되게 한다.
AKB 간격동안 클램핑 간격 이전에 노드 B에 나타나는 선재(先在) 명목 직류 전압(VNOM)은 커패시터(51)의 정단자를 충전시킨다. 클램핑 간격동안 그리드 구동펄스 VG가 발생되면 노드의 전압은 펄스 VG에 응답하여 블랙 전류 레벨을 나타내는 크기만큼 감소한다. 이로인하여 노드 B의 전압은 레벨이 VNOM-V1과 실제로 동일해 지도록 감소한다. 또한, 클램핑 간격동안 타이밍신호 VC는 클램핑 스위치(54)가 단락되게 하며(예를들면, 전도상태)이로 인하여 증폭기(52)의 반전(-)신호 입력이 증폭기(52)의 출력에 연결되고 따라서 증폭기(52)가 단위 이득 플로워 증폭기로 구성된다. 이때 저장 커패시터(56)가 비전도성 스위치(55)를 경유하여 증폭기(52)로부터 결합 해체된다. 그 결과로 증폭기(52)의 비반전 입력(+)에 인가된 고정 직류기준 전압원 VREF(예를들면, +5V임)은 궤환작용에 의해 증폭기(52)의 출력과 전도성 스위치(54)를 경유하여 증폭기(52)의 반전신호 입력에 인가된다.
따라서, 클램핑 간격동안 커패시터(51)의 전압 V3은 커패시터(51)의 부단자에서 전압 VREF에 의해 결정되는 기준 셋업(setup)전압과, 클램핑 간격동안 노드 B의 상기 선재 명목 직류 레벨(VNOM)과 노드 B에 나타나는 전압 변화 V1사이의 차와 일치하는 커패시터(51)의 정단자 전압의 함수이다. 따라서 클램핑 기준 간격동안 커패시터(51)에 나타나는 전압 V2은 변할 수도 있는 블랙 전류 표시용 전압 변화 레벨의 함수이다. 전압 V3은 (VNOM-V1)-VREF로 표시될 수 있다.
바로 다음 샘플링 간격동안 정의 그리드 구동펄스 VG는 나타나지 않고, 이로인하여 노드 B의 전압이 클램핑 간격 이전에 나타난 선재 명목 직류 레벨 VNOM로 증가하게 한다. 동시에 부의 펄스 VP가 나타나서 다이오드(35)를 역바이어스시키고 저항(32), (34)의 정상 전압 전송 및 결합작용을 방해하여(즉, 순간적으로 변화시킴) 제2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드, B의 전압이 크기 V2만큼 감소된다. 동시에 클램핑 스위치(54)는 신호 VS에 응답하여 비전도성 샘플링 스위치(55)가 단락되게(전도된다)하며 이에 의해 전하저장 커패시터(56)가 증폭기(52)의 출력에 결합된다.
따라서, 샘플링 간격동안 증폭기(52)의 반전 신호 입력(-)에 인가된 입력 전압은 노드 B의 전압과 입력 커패시터에 나타나는 전압 V3사이의 차와 동일하다. 증폭기(52)에 인가된 입력 전압은 전압 변화량 V1의 함수이며 전압 변화량은 키네스코프의 블랙 전류 레벨에 있어서의 변화에 따라 변한다.
출력 저장 커패시터(56)의 전압은 클램핑 간격동안 발생된 전압 변화량 V1이 정확한 키네스코프 블랙 전류 레벨을 나타내는 샘플링 간격동안 발생된 전압 변화량 V2의 크기와 동일할 때 샘플링 간격동안 바뀌지 않은채 유지된다. 이 결과로 샘플링 간격동안 그리드 구동 펄스가 제거될 때 노드 B의 전압 변화 V1가 정의방향으로 증가하며, 전압 변화 V2는 동시에 노드 B에서 부방향 전압 방해를 야기시킨다. 키네스코프 바이어스가 정확한 정방향 전압 변화 V1이고, 부방향 전압 변화 V2가 이와 동일한 값을 나타낼 때 이와같은 전압 변화는 샘플링 간격동안 제거되어 노드 B의 전압을 불변상태로 되게 한다.
전압 변화량 V1이 전압 변화량 V2이하일 때, 증폭기(52)는 캐소드 블랙 전류 전도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저장 커패시터(56)를 충전시킨다. 역으로 증폭기(52)는 전압 변화량 V1이 전압 변화량 V2보다 클 때 캐소드 블랙 전류 전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저장 커패시터(56)를 비례하게 방전시킨다.
제2도의 파형으로 상세히 도시된 바와같이 캐소드 블랙 전류 레벨이 정확할 때 전압변화 V1이 진폭 A은 약 3mV로 추정되며, 키네스코프의 동작 매개변수가 변함에 따라 캐소드 블랙 전류 레벨이 정확한 레벨에 비하여 증가하거나 감소함으로써 2-3mV(±Δ)의 범위 이상으로 변한다. 따라서, 커패시터(51)에 나타나는 클램핑 간격 셋업 기준 전압 V3은 캐소드 블랙 전류 레벨이 변함에 따라 전압 V1의 크기가 변함으로써 변한다. 노드 B의 전압 변화 V2는 약 3mA의 진폭 A를 나타내며 이 값은 블랙 전류 레벨이 정확할 때 전압 변화 V1와 관련된 진폭 A과 동일하다.
제2도에서 파형된 VCOR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증폭기(52)의 반전 입력전압은 전압 V1, V2이 진폭 A를 가질 때 샘플링 간격동안 불변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파형 VH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증폭기(52)의 입력 전압은 전압 변화 V1가 진폭 A+Δ를 나타낼 때 크기 Δ만큼 증가하며 크기 A+Δ는 높은 블랙 전류 레벨과 일치한다. 이때 증폭기는 출력저장 커패시터(56)를 방전시켜 트랜지스터(20)의 베이스에 인가된 바이어서, 제어전압이 트랜지스터(22)의 콜렉터 전압을 증가시키게 하며 이에 블랙 전류는 정확한 레벨 방향으로 감소한다.
역으로, 파형 V2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증폭기(52)의 입력 전압은 전압 변화 V1가 낮은 블랙 전류 레벨과 일치하는 진폭 A-Δ을 나타낼 때 샘플링 간격동안 크기 Δ만큼 감소된다. 이와같은 경우 증폭기(52)는 출력 저장 커패시터(56)를 방전하여 트랜지스터(22)의 콜렉터 전압이 감소하게 하며 이로인하여 캐소드 블랙 전류는 정확한 전을 얻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샘플링 간격이 필요할 것이다.
AKB 클램핑 및 샘플링 간격동안 노드 B에 발생된 전압은 저항(31), (32), (33)의 값과 노드 A에 나타나는 출력 임피던스 ZO의 값의 함수이다. 클램핑 간격동안 신호 VP가 양의 직류 레벨(+8V)일 때, 저항(32), (34)의 접합부에는 클램핑된 전압이 나타나며 저항(31)에 의해 노드 A에서 노드 B로 전도되는 전류는 ZO및 저항(31), (34)값의 함수이다. 그 다음 샘플링 간격동안 간격동안 신호 VP의 부방향 펄스 성분이 있을 때 다이오드(35)는 비 전도성이며 저항(32), (34)의 접합부는 클램핑되지 않는다. 이때 다른 전류는 저항(32), ZO및 저항(31), (34)값의 함수로서 노드 A에서 노드 B로 전도된다. 신호 VP의 부방향 펄스 성분에 응답하여 노드 B에 나타나는 전압 변화 V2는 이와같은 전류의 차에 비례한다.
노드 A에 임피던스 ZO는 예상된 정확한 캐소드 블랙 전류 레벨과 관련된 키네스코프 캐소드 바이어스 레벨(즉, 캐소드 차단 전압 레벨)의 함수로서 바람직하지 못하게 변할 수도 있다. 저항(31)은 임피던스 ZO값의 변화를 보상하며 수평 비율 혼신과 같은 국부발생 불필요 신호에 대해 회로(50)의 클램핑 및 샘플링회로의 마진을 증가시키는데 있다.
노드 A는 상기 임피던스 ZO와 직렬로 연결된 전압원으로 쓰일 수 있다. 임피던스 ZO의 값은 트랜지스터(20)의 동작점에 함수의 제어루프 이득계수로 나누어진 감지정항(30) 값의 함수이다. 트랜지스터(20)의 동작점은 AKB 간격동안 캐소드 차단 전압에 비례한다. 실제로, 임피던스 ZO는 정확한 블랙 전류 조건하에서 최소 30Ω에 최대 50Ω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지점 A에서의 값 ZO는 최소값에서 67%만큼 변할 수 있다.
저항(31)은 임피던스의 변화로 인해 신호원 VP, 다이오드(35) 및 저항(32), (34)을 포함하는 부펄스 회로의 기대동작을 수행하도록 노드 A의 임피던스 변화를 보상한다. 이 예에서 임계치가 아닌 저항(31)의 값은 200Ω가량이다. 따라서, 노드 B에서 노드 A까지의 전체 임피던스는 저항(31)과 임피던스 ZO를 포함하며 노드 A에서 임피던스의 변화에 따라 230Ω에서 250Ω까지 변한다. 마찬가지로, 노드 B는 저항(31)이 없을 때 67% 이하의 임피던스 변화를 나타내는 정확한 블랙 전류 조건하에서 10% 이하의 허용 가능한 소량의 임피던스 변화를 나타낸다. 그렇지 않을 경우 노드 B의 임피던스 ZO의 경우 40Ω의 명목 값에 대해 약 ±4%만큼 변한다.
저항(31)은 저항 커패시터(56)에 나타나는 바이어스 제어 전압을 왜곡시킬 수 있는 불필요 신호에 대해 클램핑 및 샘플링 회로(50)의 마진을 증가시킨다. 우선, 래스터 링이라고 불리는 국부 발진형 교류 혼신과 같은 주기적 불요 신호가 있다. 국부 발진형 교류 혼신은 수형 라인 비율(약 15,734Hz)로 주기적으로 발생하며 평균 0 값을 갖는 댐핑된 발진 펄스신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신호는 수평영상 귀선소거 간격(즉, AKB 시스템이 작동할 때의 간격을 포함) 동안 수신기의 편향회로에 의해 발생되며 전력원 연결부 및 휘도 및 색도 신호 처리회로를 경유하여 AKB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불요 신호는 이 신호가 AKB 시스템에 의해 처리된 작은 신호(즉, 2-3㎶ 정도임)에 비해 훨씬 큰 크기를 나타내므로 AKB 시스템에서 특히 문제가 된다. 불요 신호의 영향은 분리식 여파 및 차폐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감소되지만 더욱 복잡해지고 원가가 비싸진다.
클램핑 간격동안 클램핑 커패시터(51)(0.12㎌)에 나타나는 전압은 래스터 링과 같은 불요 신호에 의해 심각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래스터 링은 0이 아닌 진폭을 나타내고 클램핑 간격의 끝(즉, 궤환 스위치(54)가 개방된 때와 비슷함)에서 발생한다. 저항(31)이 없을 경우 커패시터(51)는 불요 래스터 링 신호의 피크진폭의 67%와 같은 전압으로 충전하여 커패시터(51)에 나타나는 클램핑 기준 전압이 유사한 에러를 나타낸다. 이 에러는 아래와 같이 저항(31)이 있으므로 감소된다.
클램핑 간격동안 직류 성분 및 교류 래지스터 링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는 노드 A 및 저항(31)에서 임피던스 ZO를 직렬 결합한 것과 같은 임피던스 ZB(약 240Ω)를 경유하여 커패시터(51)의 정단자에 인가된다. 기준 전압 VREF은 증폭기(52)의 출력 저임피던스와 일치하는 저임피던스 ZA를 경유하여 커패시터(51)의 부단자에 공급되며 여기서 증폭기(52)는 클램핑 간격동안 전압 폴로워로 작용한다. 임피던스 ZA는 임피던스 ZA보다 훨씬 작다. 수평 비율 래스터 링 신호가 없을 때 커패시터(51)에 의해 나타내진 리액티브 임피던스 ZC의 크기는 약 84Ω이다. 커패시터(51)를 통과하는 불요 신호의 교류 전류 성분은 임피던스 ZA, ZB및 ZC의 합이 임피던스 ZC의 비율로 감쇄되어 커패시터(51)는 래스터 링 신호의 피크 진폭의 약 25%와 동일한 전압으로 충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클램프 저항(51)은 노드 A로부터의 신호 평균치에 근접하게 응답하며 불요 신호의 진폭 피크는 커패시터(51)에 의해 발생된 클램핑 기준 신호에 영향을 조금 미친다.
공개된 시스템은 전압 변화 V1의 0이 아닌 진폭이 정확한 블랙 전류 레벨과 일치할 때 저장 커패시터(56)로 향하는 0증폭기 출력전류를 발생시킨다. 마찬가지로, 수동 프리셋 바이어스 제어를 할 경우 샘플된 신호가 정확한 바이어스 상태에서 크기가 0이 아닐 때 저장 커패시터로 흐르는 0 증폭기 출력전류를 발생시키는 샘플링 증폭기 상태 응답을 오프세팅할 필요가 없다.
부의 펄스 VP를 사용하는 상기 샘플링 증폭기 입력 신호 결합 장치는 샘플링 증폭기(52)가 제4도와 관련된 기술될 에미터 결합 차동 증폭기와 같은 차동 입력 증폭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유용하게 쓰인다. 이와 같은 형태의 차동 증폭기 동작 범위를 초과한 비선형 대칭 입력 대 출력 신호 전송 응답을 나타낸다. 차동 증폭기의 다른 대칭 동작 영역은 증폭기의 바이어스가 수동 조정 가능한 프리셋 바이어스 제어에 의해 오프셋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증폭기는 오프셋 대칭 증폭기 응답이 증폭기의 비선형 동작 영역에서 잡음을 정류할 수 있으므로 잡음 및 이와 유사한 불요 신호가 포함되는 출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그 결과로 출력 신호 샘플과 출력 충전 저장 장치에 나타나는 일치하는 전압은 정류된 잡음 효과에 의해 왜곡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된 펄스 샘플링 장치는 상호 다른 상태(이득) 특성과, 키네스코프 제조상의 공차로 인한 키네스코프 전자총의 다른 차단 전압을 보상하기 위한 편리한 장치를 제공한다. 공개된 장치의 양상은 1982년 10월 14일 출원된 “키네스코프 전자총 상태의 차이점 보상용 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스 제어 시스템”이라는 명치의 미합중국 특허원 제434,328호에 상세한 설명되며 아래에 간단히 기술된다.
키네스코프 전자총이 동일하고 이에 따라 동일한 전도 특성을 나타낼 때 전자총을 동일한 블랙 전류 레벨를 전도하며 동일한 차단 전압(즉, 그리도에서 캐소드까지의 전압)을 나타낸다. 그러나 실제로 전자총은 서류 다른 상태 특성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전자총에 의해 전도되는 다른 전류는 정확한 블랙 레벨로 간주하며 이에 따라 AKB 시스템은 전자총이 서로 다른 블랙 전류 레벨과 서로 다른 관련된 차단 전압을 나타낼지라도 정동작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며 키네스코프 바이어스를 변경시켜야 한다.
노드 B에 나타나는 전압 변화 V2의 크기는 노드 A에 나타나는 직류 전압 성분에 선형으로 비례하므로 상기의 결과는 공개된 장치로 얻어진다. 이 직류 전압 성분은 AKB 간격동안(정의 그리드 구동 펄스 VG에 응답하여 발생된 유도형 캐소드 출력전류 펄스의 영향을 무시함) 캐소드 전압과 일치하는 구동 트랜지스터(22) 출력의 직류 전압 성분으로 나타나는 캐소드 차단 전압에 비례한다. 따라서, 세 개의 키네스코프 전자총이 최초의 블랙 레벨 셋업 상태와 일치하는 서로 다른 전류 및 차단 전압을 나타내면 신호 프로세서(14a), (14b), (14c)와 각각 관련된 전압 변화 V2는 변화 값이 공통 신호 VP에서 파생된 것일지라도 다른 크기를 나타낸다. 전압 변화 V2의 다른 크기는 노드 A에 나타나는 다른 크기의 직류 성분으로 나타나는 다른 차단 전압의 함수이다. 전압 변화 V2의 다른 크기는 관련된 AKB 제어루프가 정동작 상태로 되게 값을 갖는다. AKB 제어루프는 키네스코프에이징이나 온도 효과 때문에 키네스코프의 동작 매개 변수가 변함으로써 초기 설정된 블랙 레벨 전자총 전류가 변할때까지 정동작 상태로 유지된다.
AKB 시스템에서 상기된 바와 같이 선재 클램핑 레벨이 아닌 샘플링 간격 동안 블랙 전류 표시 전압 변화 V1가 나타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다른 시스템에서 그리드 구동 펄스 VG는 샘플링 간격동안 발생하도록 시간 지정되며 제3도의 파형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 타이밍 관계가 이용된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 신호 V, H, VG, VS, VC의 타이밍은 불변 상태로 유지된다.
다른 시스템에 있어서의 파형은 제3도에 도시된다. 양의 그리도 구동 펄스 VG'와 양의 부펄스 VP'는 샘플링 간격동안 일치한다. 초기 클램핑 간격동안 셋업 기준 레벨은 직류 전압의 함수이며 노드 A 및 B에 나타난다. 후속 샘플링 간격동안 전압 변화 V1'는 블랙 전류 레벨이 정확할 때 진폭 A을 나타내고, 블랙 전류 레벨이 낮을 때 진폭 A+Δ을 나타내며 블랙 전류 레벨이 높을 때 진폭 A-Δ을 나타낸다. 전압 변화 V1'는 샘플링 간격동안 진폭 A을 갖는 전압 변화 A2'와 합산된다. 따라서 블랙 전류 레벨이 정확할 때 전압 변화 V1'와 전압 변화 V2'가 서로 동일한 진폭 A을 나타내며 다른 극성을 가지므로 2전압변화 V1'는 전압 변화 V2'로 빼진다. 이때 노드 B로부터 클램프 커패시터(51)에 인가되는 전압은 선재 클램핑 간격동안 노드 B로부터 인가되는 기준 레벨과 동일하며 이에 의해 증폭기(52)의 입력 전압은 샘플링 간격동안 변하지 않으며 수정 전류 상태에서 신호 파형 VCOR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저장 커패시터(56)는 증폭기(52)의 출력전류에 의해 충방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다른 시스템의 경우에 전압 변화 V2'는 양의 펄스의 전압 분배형 버전(version) VP'을 샘플링 간격동안 노드 B에 선택적으로 게이팅 함으로써 나타내질 수 있다.
높거나 낮은 블랙 전류 상태에서 클램핑 간격동안 발생된 클램핑 기준 레벨은 블랙 전류 레벨이 정확할 때 나타나는 클램핑 기준 레벨과 동일하다. 그러나, 높은 블랙 전류의 경우에 전압 변화 V1', V2'는 샘플링 간격동안 완전히 제거되지 않으며, 증폭기(52)의 입력 전압은 샘플링 간격동안 크기 Δ동안 증가한다(파형 VH). 역으로 블랙 전류 상태가 불완전하게 제거되어 증폭기(52)의 입력 전압은 샘플링 간격동안 크기 Δ만큼 감소한다(파형 V2).
제4도는 제1도의 신호 클램핑 및 샘플링 회로(50)의 상세한 회로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같은 소자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제4도에서 증폭기(52)는 상호 콘덕턴스형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며 여기에서 출력전류는 증폭기의 입력 전압과 증폭기의 상호 콘덕턴스(gm)의 곱의 함수로 나타내진다. 증폭기(52)는 입력단의 차동 증폭기 구조로 배열된 에미터 결합형 트랜지스터(66), (68)와,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68)의 콜렉터 회로에 도시된 것으로서 다이오드 연결된 트랜지스터(71) 및 트랜지스터(74)를 포함하는 전류 리피터(미러(mirror))회로를 포함한다. 순방향 바이어스 트랜지스터(75)와 저항 2R을 포함하는 제2정전류원은 트랜지스터(74)에 동작 전류 I/2를 제공한다. 직류 기준 전압원 VREF은 트랜지스터(68)의 베이스에 있는 증폭기(52)의 비반전 입력에 인가된다. 입력 신호는 입력 커패시터(51)를 경유하여 트랜지스터(66)의 베이스에 있는 증폭기(52)의 반전 입력에 인가된다.
AKB 클램핑 간격동안 트랜지스터(68)의 콜렉터는 다이오드 연결형 트랜지스터(71), 트랜지스터(74) 및 부궤환 전류 선로를 형성하는 전도성 스위치(54)를 경유하여 입력 커패시터(51)에 연결된다. 이때 저장 커패시터(56)는 비반전 스위치(55)를 경유하여 증폭기(52)로부터 결합 해체된다. 입력 커패시터(51)는 트랜지스터(68), (71), (74)에 의해 전도되는 전류를 경유하여 VREF와, 제1도의 노드 B에 커패시터(51)의 입력에 인가된 전위의 함수로 충전된다. 트랜지스터(66), (68)의 베이스 전압이 실제로 동일해질때까지(즉, 증폭기(52)의 차동 입력 전압이 0일 때) 이와 같이 충전이 계속된다. 트랜지스터(69)에 의해 비롯된 전류 I는 트랜지스터(66)와 트랜지스터(68) 사이에서 동일하게 나누어지며 이에 의해 트랜지스터(68), (74)의 콜렉터 전류는 트랜지스터(75)에 의해 전도되는 콜렉터 전류(I/2)와 동일하다. 따라서 트랜지스터(68), (74)의 콜렉터 전류는 트랜지스터(75)에 의해 전도되는 콜렉터 전류(I/2)와 동일하다. 따라서 트랜지스터(74)에 의해 전도되는 콜렉터 전류는 트랜지스터(75)에서 콜렉터 전류로 흐른다. 상기 전류 궤환 선로는 클램핑 간격이 끝나기전에 0 전류 상태로 조정되며, 이때 트랜지스터(75)는 트랜지스터(74)의 전체 콜렉터 전류를 줄여버리고 0 궤환 전류는 트랜지스터(66)의 베이스 입력으로 흐른다.
후속의 AKB 샘플링 간격을 없을 동안 스위치(54)는 비 전도성으로 되며, 스위치(55)는 전도상태로 되어 저장 커패시터(56)을 증폭기(52)의 입력에 연결된다. 커패시터(51)에 인가된 입력 신호가 앞선 클램핑 간격동안 설정된 트랜지스터(66), (68)의 평형 베이스 바이어스를 변경시킬만큼 충분하지 않다면 커패시터(56)의 선재 전하는 불변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전압 변화 V1가 정확한 블랙 전류 레벨상태와 일치하는 진폭 A을 나타낼 때 제2도의 파형 VCOR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66)의 입력전압은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트랜지스터(66), (68)의 평형 입력 바이어스와 출력 저장 커패시터(56)의 전하는 불변상태로 유지된다. 블랙 전류 레벨이 부정확하다면 제2도의 파형 VH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66)의 입력 전압이 증가하게 되고 트랜지스터(68), (71), (74)에 의해 전도된 감소하게 된다. 저장 커패시터(56)는 증가된 입력 전압에 응답하여 트랜지스터(74)의 감소된 전도량에 비례하는 크기만큼 트랜지스터(75)를 경유하여 방전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트랜지스터(75)는 방전 저장 커패시터(56)에 대하여 전류 싱크(sink)로서 작용한다. 마찬가지로 트랜지스터(66)에 인가된 입력 전압(제2도의 파형 V2로 도시됨)의 감소로 인하여 트랜지스터(74)의 콜렉터 전류가 동일하게 증가하게 된다. 저장 커패시터(56)는 이와 같이 증가된 전류 상태에 응답하여 트랜지스터(74)를 경유하여 충전하며 이에 의해 커패시터(56)의 전압이 증가하게 된다.
제5도는 제1도의 타이밍 신호 발진기(40)에 쓰이는 논리장치에 대한 블록선도를 도시한다. 2진 카운터(90)는 수평 신호 H 및 수직 신호 V에 각각 응답하는 클럭 입력 및 리세트 입력과, 쌍안정 입력과, 2진 출력 Q1-Q4을 포함한다. 카운터(90)는 수직 귀선 간격동안 발생하는 신호 V(제2도 참조)의 정의 펄스 부분에 응답하여 리세트된다. 따라서 출력 Q1-Q4은 리세트 입력이 수직 귀선 간격동안 정의 값이면 로(low) 논리 레벨(0000)을 나타낸다. 이 동안 카운터(90)는 수평 비율 클럭펄스 H에 응답하지 않는다.
결합 논리 배열(92)은(예를들면, 다수의 논리 게이트를 포함함) 입력 A-D을 경우하여 카운터(90)의 Q1-Q4출력의 2진 상태를 감시한다. 수직 귀선 간격의 끝인 시간 T1에서 카운터(90)가 동작하도록 인에이블된다. 카운터(90)의 출력이 논리상태는 수직 귀선 간격이 끝난 이후에 발생되는 클럭펄스 H의 수와 일치하는 2진수를 나타내도록 바뀐다.
배열(92)의 논리출력 F은 귀선 간격동안 예상된 카운터 출력 Q1-Q4의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두 번째 클럭펄스 H에서 여덟 번째 클럭펄스 H를 포함하는 간격동안 하이(1) 논리 레벨을 나타낸다. 이 신호는 지연 TD을 발생시키는 지연회로(93)에 의해 지연되며 이에 의해 AKB 타이밍 신호 VB는 지연회로(93)의 출력에 나타난다. 회로(93)에 의해 생긴 지연은 각각 주어진 지연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직렬 결합형 논리 게이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타이밍 신호 VC는 수직 귀선 간격의 끝에서 세 번째 클럭펄스 H 내지 다섯 번째 클럭펄스 H를 포함하는 간격동안 배열(92)의 출력 G에 나타난다. 이 신호는 회로(94)를 경유하여 크기 TD만큼 지연되고 회로(95)를 경유하여 레벨 이동되어 그리드 구동 펄스 VG를 나타낸다. 레벨 이동 회로(95)(예를들면, 전압 트랜지스터)는 키네스코프의 그리드 전극을 구동시키기에 적합한 진폭을 갖는 신호 VG를 발생시키는데 이용된다.
배열(92)의 논리출력 H은 수직 귀선 간격의 끝에서 여섯 번째 클럭펄스 H에서 여덟 번째 클럭펄스 H를 포함하는 간격동안 하이(1) 논리 레벨을 나타낸다. 회로(96)는 크기 TD만큼 신호를 지연시켜 타이밍 신호 VS를 발생시킨다. 부펄스 VP는 신호 반전기(98)과 레벨 이동기(99)에 의해 신호 VS로부터 파생되며 레벨이동기(99)는 제1도의 저항 회로(32), (34)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펄스 진폭을 발생시키는 데 이용된다. 배열(92)의 출력 E은 AKB 간격이 끝난후(즉, 아홉번째 클럭펄스 H에서) 카운터(90)의 쌍안정 입력에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카운팅처리를 금지한다.

Claims (15)

  1. 블랙 전류 레벨을 나타내고 상기 블랙 전류 레벨이 정확할시에 0이 아닌 펄스 크기를 갖는 파생 신호펄스를 제공하는 비데오 신호영상 귀선소거 간격동안 강도제어 전극(16a)에 의해 전도된 블랙 전류 레벨에 응답하고 상기 강도제어 전극에 결합된 감지저항(30), 전하저장 커패시터(56), 소형저항(31),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파생된 신호 펄스에 결합된 신호입력 및 상기 커패시터(56)에 결합된 신호 출력을 갖는 증폭기(52), 정확한 블랙 전류 레벨을 유지하기 위해, 영상 재생장치에 대해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바이어스 지점(트랜지스터(20)의 베이스)으로 파생된 바이어스 수정전압을 공급하는 회로(58) 및 부신호(V2)의 소스(32, 34, 35)를 포함하는 강도제어 전극(16a)에 인가된 비데오 신호에 응답하는 영상 재생장치의 자동 바이어스 제어를 위한 회로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신호 소스(35, 32, 34)는 후자의 크기가 정확한 블랙 전류 레벨을 나타낼시에 파생신호 펄스에 대해 실제로 보상하기 위해 관련 신호펄스의 크기를 제공하고 상기 증폭기 입력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바이어스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임피던스 수단(32, 34)은 상기 파생된 신호가 있을 때 상기 입력신호 결합수단에 바이어스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신호 결합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부신호(VP, VG2)는 상기 제거된 증폭기 응답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감지력을 구비한 상기 설정된 바이어스를 수정하기 위한 상기 임피던스 수단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바이어스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신호(VP, V2)는 상기 입력신호 선로에서 상기 파생된 선로를 제거하여 상기 파생된 선로를 제거하여 상기 무효화된 증폭기 응답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바이어스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생신호(V1)와 부신호(V2)는 상기 파생신호가 정확한 블랙 전류 레벨을 나타낼 때 서로 반대되는 극성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동기 펄스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바이어스 자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신호(V2)는 상기 귀선소거 기간동안 상기 강도제어 전극에 의해 분명히 나타나는 직류 전압성분에 비례하는 크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바이어스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클램핑 수단(51)은 상기 증폭기 입력에서 상기 입력신호 결합수단에 연결되고, 스위칭 수단(54), (55)은 상기 증폭기 입력과 상기 클램핑 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연결되며, 수단(92)은 상기 클램핑 간격동안 상기 증폭기 입력에 결합된 기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증폭기 입력을 기준전압으로 클램핑하고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증폭기 출력을 결합 해체하기 위하여 초기 클램핑 간격동안 상기 스위칭 수단이 작동하게 되고 상기 증폭기 입력을 클램핑시키지 않고 상기 기억수단에 상기 증폭기 입력을 연결하기 위하여 다음 샘플링 간격동안 스위치 수단이 작동하게 하며, 상기 파생된 블랙 전류 표시신호는 상기 클램핑 간격동안 발생되고 상기 클램핑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폭기 입력이 클램프되는 상기 기준전압이 상기 파생신호의 함수가 되며, 상기 부신호(VP)는 상기 후속 샘플링 간격동안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바이어스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재생장치는 그리드 전극(18)과 조합된 캐소드 강도제어 전극(16a)을 포함하는 전자총을 구비한 키네스코프(15)이며, 상기 자동 바이어스 제어장치는 캐소드 블랙 전류 레벨에 비례하는 크기를 갖는 캐소드 출력신호를 유도하는 상기 클램핑 간격동안 상기 키네스코프 전자총을 바이어스하기 위한 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파생수단(30)은 상기 유도된 캐소드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주기적 표시신호를 파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바이어스 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클램핑 수단(51)은 상기 증폭기 입력에서 상기 입력신호 결합수단에 결합되고, 스위칭 수단(54), (55)은 상기 증폭기 출력과 상기 클램핑 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결합되며, 수단(92)은 상기 클램핑 간격동안 상기 증폭기 입력에 결합된 기준전원에 응답하여 상기 증폭기 입력을 기준전압으로 클램핑하고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증폭기 출력을 결합 해체하기 위하여 초기 클램핑 간격동안 상기 스위칭 수단이 작동하게 하고 상기 증폭기 입력을 클램핑시키지 않고 상기 증폭기 출력을 기억수단에 클램핑 하기 위하여 후속 샘플링 간격동안 상기 스위칭 수단이 작동하게 하며, 상기 파생 블랙 전류 표시신호와 상기 부신호는 모두 상기 클램핑 간격동안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바이어스 제어장치.
  9.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은 신호를 상기 입력결합수단에서 상기 증폭기 입력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커패시터(51)를 포함하며, 상기 부신호(VP, V2)는 상기 파생된 신호의 크기가 정확한 블랙 전류 레벨을 나타낼 때 상기 증폭입력에서 전압이 불변상태로 유지되도록 크기 및 감지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바이어스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재생장치는 그리드 전극과 조합된 캐소드 강도전극을 포함하는 전자총을 구비한 키네스코프이고, 상기 자동 바이어스 제어장치는 캐소드 블랙 전류 레벨에 비례하는 크기를 갖는 캐소드 출력신호를 유도하는 상기 샘플링 간격동안 상기 키네스코프 전자총을 바이어스하기 위한 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파생수단(30)은 상기 유도된 캐소드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주기적 표시신호를 파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바이어스 제어장치.
  11. 전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 수단(52)은 차동 입력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바이어스 제어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AC 결합 커패시터(51)는 증폭기 수단의 입력에 결합되고, 상기 입력신호 결합수단은 커패시터의 전하를 변화시키기위해 상기 커패시터에 상기 파생된 신호를 결합시키며, 상기 주기적 부신호는 전하를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커패시터에 결합되며, 상기 주기적 신호는 상기 파생된 신호의 크기가 정확한 블랙 전류 레벨을 나타낼시에 상기 파생된 신호에 응답하여 증가된 상기 커패시터의 변화전하를 실제로 제거하는 크기 및 감지력을 갖는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바이어스 제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신호는 상기 귀선소거 간격동안 상기 강도제어 전극에 의해 명백히 나타나는 직류 전압 성분의 함수로서 크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바이어스 제어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신호 파생용 상기 수단은 상기 강도제어 전극의 바이어스와 관련된 가변출력 임피던스를 나타내며, 상기 입력신호 결합수단은 상기 파생된 표시신호를 상기 파생수단의 상기 출력에서 상기 정보기억수단에 결합하는 임피던스(31)를 포함하며 상기 임피던스는 상기 파생수단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주기적 부신호 제공수단으로 전해지는 임피던스 변화를 심하게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변출력 임피던스에 비해 큰 임피던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바이어스 제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파생된 신호는 상기 파생수단의 상기 입력과 일치하는 제1회로지점(A)에서 발생되고, 상기 주기적 부신호는 제2회로지점(B)에서 상기 커패시터에 연결되며, 상기 임피던스(31)는 상기 제1회로지점(A)에서 상기 제2회로지점(B)으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바이어스 제어장치.
KR1019830004815A 1982-10-14 1983-10-12 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스 제어장치용 신호처리회로 KR910009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434,314 US4484228A (en) 1982-10-14 1982-10-14 Signal processing network for an automatic kinescope bias control system
US434314 1982-10-14
US06/434,329 US4484227A (en) 1982-10-14 1982-10-14 Automatic kinescope bias control system compensated for sense point impedance variations
US434329 1982-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583A KR840006583A (ko) 1984-11-30
KR910009426B1 true KR910009426B1 (ko) 1991-11-15

Family

ID=27030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815A KR910009426B1 (ko) 1982-10-14 1983-10-12 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스 제어장치용 신호처리회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KR (1) KR910009426B1 (ko)
AT (1) AT387484B (ko)
AU (1) AU564933B2 (ko)
DE (1) DE3337298C2 (ko)
DK (1) DK163779C (ko)
ES (1) ES526334A0 (ko)
FI (1) FI76232C (ko)
FR (1) FR2534763B1 (ko)
GB (1) GB2128444B (ko)
HK (1) HK18287A (ko)
IT (1) IT1167580B (ko)
NZ (1) NZ205953A (ko)
PT (1) PT77461B (ko)
SE (1) SE4532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24196D0 (en) * 1985-10-01 1985-11-06 Rca Corp Hold circuit
US5278476A (en) * 1991-11-13 1994-01-11 U.S. Philips Corporation Display device including a black level setting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7592A (en) * 1978-10-13 1980-06-10 Rca Corporation Automatic kinescope bias control circuit
US4263622A (en) * 1979-01-30 1981-04-21 Rca Corporation Automatic kinescope biasing system
US4331982A (en) * 1980-09-25 1982-05-25 Rca Corporation Sample and hold circuit particularly for small signals
US4484226A (en) * 1982-10-14 1984-11-20 Rca Corporation Automatic kinescope bias control system compensated for kinescope electron gun conduction dissimilar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76232C (fi) 1988-09-09
AT387484B (de) 1989-01-25
FR2534763A1 (fr) 1984-04-20
FI833653A (fi) 1984-04-15
ES8406826A1 (es) 1984-08-01
AU564933B2 (en) 1987-09-03
NZ205953A (en) 1987-03-31
ES526334A0 (es) 1984-08-01
FR2534763B1 (fr) 1989-10-13
DK163779C (da) 1992-08-31
GB2128444B (en) 1986-09-17
DK474083D0 (da) 1983-10-13
HK18287A (en) 1987-03-06
DK163779B (da) 1992-03-30
KR840006583A (ko) 1984-11-30
FI76232B (fi) 1988-05-31
SE453242B (sv) 1988-01-18
DK474083A (da) 1984-04-15
ATA367383A (de) 1988-06-15
FI833653A0 (fi) 1983-10-07
AU1998283A (en) 1984-04-19
SE8305540L (sv) 1984-04-15
DE3337298C3 (ko) 1990-01-04
GB8327413D0 (en) 1983-11-16
IT8323251A0 (it) 1983-10-11
IT1167580B (it) 1987-05-13
IT8323251A1 (it) 1985-04-11
PT77461A (en) 1983-11-01
DE3337298A1 (de) 1984-04-19
GB2128444A (en) 1984-04-26
PT77461B (en) 1986-03-18
SE8305540D0 (sv) 1983-10-07
DE3337298C2 (de) 1985-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9077B1 (ko) 다이나믹 신호 코어링 회로
US4331981A (en) Linear high gain sampling amplifier
US4331982A (en) Sample and hold circuit particularly for small signals
JPS6031427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US4484229A (en) Automatic kinescope bias control system with selectively disabled signal processor
DK163778B (da) Styrekreds for billedroersstraalestroem
GB1586092A (en) Brightness control apparatus
US4414577A (en) Manually gain presettable kinescope driver in an automatic kinescope bias control system
JPH0532948B2 (ko)
US4536800A (en) Additive pulse sampling circuit
US4295161A (en) Keyed noise filter in a television receiver
KR910009426B1 (ko) 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스 제어장치용 신호처리회로
KR920003724B1 (ko) 자동 영상관 바이어스 제어장치
GB1598591A (en) Brightness control circuit with predictable brightness control range
CS248706B2 (en) Apparatus for sensing the current level of the black in the colour picture tube
US4502079A (en) Signal sampling network with reduced offset error
KR910006855B1 (ko) 신호 샘플링 회로
EP0074081A2 (en) Signal processing unit
US4523233A (en) Automatic bias control system with compensated sense point
US4513322A (en) Switching network with suppressed switching transients
US4482921A (en) Level shifter for an automatic kinescope bias sampling system
US4484227A (en) Automatic kinescope bias control system compensated for sense point impedance vari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