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077B1 - 다이나믹 신호 코어링 회로 - Google Patents

다이나믹 신호 코어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077B1
KR920009077B1 KR1019840005082A KR840005082A KR920009077B1 KR 920009077 B1 KR920009077 B1 KR 920009077B1 KR 1019840005082 A KR1019840005082 A KR 1019840005082A KR 840005082 A KR840005082 A KR 840005082A KR 920009077 B1 KR920009077 B1 KR 920009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ring
video signal
control
pe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198A (ko
Inventor
엘리스 할란 웨인
Original Assignee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 · 브르스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 · 브르스틀 filed Critical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50002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9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using demagnetisation or compensation of external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이나믹 신호 코어링 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코어링(coring)장치와, 이 장치와 연관된 코어링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일부에 대한 도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코어링 제어회로의 작동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신호 파형.
제3도는 제1도에 도해된 시스템의 소자에 대한 추가 회로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신호원 13 : 휘도 증폭기
14 : 이득 제어된 신호 전달기 15 : 피킹 신호 발생기
17 : 피킹던 휘도 신호 증폭기 18 : 대역 통과 증폭기
19 : 피크 검출기 20 : 코어링 레벨 제어 전압원
본 발명은 재생 영상의 세부를 개선시키기 위해 텔레비젼 수상기에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은 비디오 신호 피킹(peaking)신호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는 신호 코어링(coring)회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재생 영상의 세부를 세심하게 저하시킴이 없이 재생 영상에 대한 잡음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
신호의 코어링은 축에 가까운 신호의 이탈에 대하여 부동영역을 갖는 특성을 구비하는 변환 회로로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신호의 평균 축에 가까운 코어를 제거하도록 작용을 한다. 신호 코어링은 예를들면, SMPTE저널(SMPTE Journal)의 1978년도 3월호의 134쪽 내지 140쪽에 제이.피.로시(J.P.Rossi)씨는 논문 "텔레비젼 잡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디지털 기술"중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잡음 저감을 위해 종종 이용되는 공지의 신호 처리 기능이다. 미합중국 특히 제4,167,749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나믹 베이스에는 코어링량의 자동 조절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코어링량은 비디오 신호에서 검출된 잡음 레벨의 함수로서 변환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코어링량은 검출 잡음 레벨이 높을 때 비교적 높아서, 신호대 잡음비를 강화한다. 역으로 검출된 잡음 레벨이 낮을 때, 소량의 코어링이 제공되어, 소망의 신호 진폭 변화에 대한 방해를 최소화한다.
1984년 4월 3일자를 허여되고 명칭이 "조절가능한 코어링 회로"로서 엘.에이.하우드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4,441,121호에서, 텔레비젼 수상기용 비디오 신호 수평 피킹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는데, 이 시스템에는 세부 개선을 목적으로 비디오 신호의 휘도 성분에 부가되는 수평 피킹 신호 성분의 가조정 코어링을 행한 장치가 포함된다. 이러한 피킹 신호 성분의 코어링은 배경 잡음의 바라지 않은 강화가 소망의 화상세부 강화에 수반하는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다이나믹 코어링 회로"라는 명칭으로 1984년 3월 13일자로 허여된 엘.코크란의 미합중국 특허 제4,437,124호에는 상기 하우드 등의 특허에서 공개된 형태의 시스템에 있어서의 수평 피킹 성분의 코어링에 대한 선형 제어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코크란에 의해 제안된 방법에 따라 코어링량(즉, 코어링 심도)의 변화는 흑영상 한계와 백영상 한계 사이에서 피킹될 휘도 신호의 저주파 성분의 레벨의 함수로서 선형으로 조절된다. 코크란에 의해 제안된 산형 다이나믹 제어는 최대 코어링이 블랙 영상 한계에서 영향을 받고 최소 코어량이 백영상 한계에서 영향을 받도록 조절된다.
본 명세서에 공개된 다이나믹 코어링 제어 시스템은 더 큰 코어링량이 제생될 장면의 밝은 부분과 관련되는 것이 아니라 어두운 부분과 관련되도록 조절되는 코크란 시스템을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공개된 코어링 제어시스템은 비선형 제어 특성을 나타낸다. 공개된 시스템은 흑영상 방향으로 백영상 한계와 임계 레벨 사이의 제1비디오 신호 레벨 범위를 통한 하나의 코어링 제어 특성을 나타낸다. 흑한계에 접근할 때 발생되는 코어링량을 제안하기 위하여 임계 레벨과 흑영상 한계사이의 제2범위를 통한 서로 다른 제어 특성이 나타내진다. 공개된 시스템을 통합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의해 재생된 비교적 어두운 장면은 개선된 영상 세부를 할 때 시청자에 의해 감지된다.
제1도에서, 휘도신호원(11)으로부터의 휘도 신호는 피킹 시스템 입력단자 I를 거쳐 지연라인(12)의 입력단자 L에 결합된다. 지연라인(12)의 단자 L에 나타나는 신호와 단자 L'에 나타나는 신호는 가령, 엘.에이.하우드 등에 의해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4,441,121호에 설명된 형태의 장치를 포함하는 조절할 수 있게 코어링된 파킹 신호 발생기(15)에 입력으로 공급된다.
지연라인(12)의 입력단부가 지연라인의 특성 임피던스를 실제적으로 매칭하는 임피던스로 종단되고 지연라인(12)의 출력단부가 잘못 종단되어 반사 효과를 얻게될 때 피킹 발생기(15)의 신호 입력은 한번 지연된 휘도신호(단자 L'로 부터의 신호)와, 지연되지 않은 휘도신호와 두 번 지연된 휘도신호(단자 L로부터의 신호)의 합을 포함한다. 지연라인(12)에 의해 전달되는 지연정도가 휘도신호에 의해 점유된 스펙트럼의 고주파수 부분내의 선택된 주파수에서 1/2주기와 동일하게 선택될 때 단자 L과 L'에 나타나는 각 신호사이의 차는 수평 영향 세부를 강화하기 위해 휘도신호에 부가하기 위한 적절한 수평 피킹 신호와 대응한다. 휘도 신호의 피킹 성분은 휘도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나타낸다. 피킹 신호 발생기(15)는 이러한 신호차와 대응하는 고주파 성분을 나타낸다. 그러나, 피킹신호 발생기(15)의 제어 입력에 공급된 코어링 심도 제어전압 CC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심도로 축에 가까운 코어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코어링 제어 전압 CC는 앞으로 설명될 코어링 레벨 제어 전압원(20)에서 공급된다.
피킹신호 발생기(15)는 유사한 코어링된 파킹 신호 출력을 푸시풀(상호 반전된)형태로 이득 제어된 신호 변환회로(14)에 제공한다. 변환기(14)는 피킹 제어 전압 PC에 의해 겨정된 이득(혹은 감쇠)를 갖는 코어링 된 피킹 신호를 변환한다. 이득 변환기(14)로 부터의 푸시풀 신호 출력은 결합기(16)에서 휘도 증폭기(13)의 푸시풀 신호 출력과 합산된다. 증폭기(13)는 단자 L'로부터의 지연된 휘도 신호에 응답한다. 결합기(16)로부터의 피킹된 휘도신호의 푸시풀 버전은 피킹된 휘도 신호 증폭기(17)에 인가된따. 증폭기(17)는 출력단자 To에서 푸시풀 피킹 휘도신호 입력을 단일.종단 형태로 변환한다. 단자 To로 부터의 신호는 칼라 영상 재생 키네스코프에 적용하기 위해 다수의 칼라 영상 표시 신호와 결합하기 위하여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의 메트릭스 회로에 전달된다.
증폭기(17)로 부터의 출력신호는 자동 피킹 제어를 위해 대역 통과 증폭기(18)의 입력에도 인가된다. 증폭기(18)는 약 2MHz의 주파수 근방에 중심을 둔 1MHz의 대역폭을 나타내며, 이 대역폭의 피킹된 휘도 신호 성분을 피크 검출기(19)에 전한다. 피크 검출기(19)는 전달된 성분의 진폭의 변화에 역행하는 점에서 결합기(16)에 공급된 피킹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해 전달된 대역 통과 성분의 진폭에 비례하는 피킹 제어 전압 PC를 발생한다. 이러한 자동 피킹 제어 시스템의 작동과, 소자(13,14,16, 17,18 ,19)의 기능을 실행 하기 위한 회로의 에는 1983년 8월 16일자로 허여된 엘.에미.하우드에 의한 미합중국 특허 제4,399,460호에 설명되어 있다.
단자 I에 나타나는 휘도신호는 개략적 회로의 형태로 도시된 코어링 레벨 제어 전압원(20)의 한 입력에도 또한 인가된다. 파형으로 나타내진 바와 같이, 이러한 입력 휘도신호는 백으로 향하는 방향로 정방향 영상 표시 계단식 성분을 수반하는 부방향 동기 펄스 성분을 포함한다. 피킹 신호 발생기(15)의 피킹 신호 출력의 코어링 심도는 코어링 레벨 제어 전압원(20)의 출력에서 코어링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코어링 레밸 제어 전압원(20)에 의해 처리된 후 휘도 신호원(11)으로 부터의 휘도 신호중 저주파 성분의 크기에 따라 제어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코어링 레벨 제어 전압원(20)은 앞으로 설명될 저역 통과 반전 증폭기를 포함한다. 피킹 신호 발생기(15)로부터의 피킹 신호의 다이나믹 코어링 제어의 경우 코어링 레벨 제어 전압원(20)으로 부터의 저역 통과 여파된 출력신호 CC는 전압원(20)의 출력이 흑방향으로 변화함으로써 코어링 심도를 증가시키고 전압원(20)의 출력이 백방향으로 변화함으로써 코어링 심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코어링 레벨 제어 전압원(20)은 휘도신호가 흑방향으로 백영상 진폭 한계와 임계진폭 레벨사이의 휘도신호에 대한 한 신호 이득으로, 그리고 임계 진폭 레베과 흑영상 진폭 한계 사이의 휘도 신호에 대해 다른 신호 이득으로 처리되는 비선형 전달 특성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코어링 레벨 제어 전압원(20)으로 부터의 제어신호 CC는 이와 대응하는 비선형 특성을 나타낸다.
코어링 레벨 제어 전압원(20)으로 향하는 입력은 파형으로 나타내진 바와 같은 극성을 나타내는 휘도신호를 포함하며 이 신호중 더심한 흑편향 동기 펄스 성분이 부방향으로 연장되게 된다. 이러한 신호는 직류 저지(blocking)커패시터(31) 및 직렬저항 (32)을 통과하여 공통 에미터 반전 증폭기 형태로 배열된 트랜지스터(33)의 베이스 입력에 결합된다. 출력 부하 저항(34)은 트랜지스터(33)의 콜랙터 입력에 결합되고, 바이어스 저항(39)은 트랜지스터(33)의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의 선로를 분로한다. 트랜지스터(33)의 콜렉터와 베이스 전극 사이의 귀환은 직렬저항(35),(36), 커패시터(37) 및 트랜지스터(33)의 콜렉터와 베이스 사이의 기생 커패시터 Cp로 형성되는 브리지(bridge) T필터를 통해 제공된다. 필터 회로망은 약 1.0MHz의 -3db차단 주파수를 구비하는 증폭기 트랜지스터(33)에 대한 저역 통과 필터 특성을 형성한다. 이러한 저역 통과 특성은 코어링 제어회로 CC에서 링잉(ringing)방해를 방지한다.
트랜지스터(33)의 콜렉터와 베이스 사이의 회로에서 귀환 저항(35)의 양단간에 결합된 다이오드(37)는 백영상 한계와 흑영상 한계사이에 트랜지스터(33)를 포함하는 변환 회로의 비선형 이득 특성을 설정하는데 돕는다. 저항(38)은 바이어스 전류를 귀환 저항(33,36)의 접합부에 제공하는 다이오드(37)로 향하는 임계 바이어스 전압을 설정한다. 다이오드(37)는 트랜지스터(33)의 저역 통과 여파된 콜렉터 출력신호가 백영상 한계와 흑영상 한계사이의 임계 레벨과 백영상 한계 사이의 레벨을 나타낼 때 비도통으로 바이어스된다(즉, 역바이어스된다). 다이오드(37)는 임계 레벨과 흑한계 사이의 트랜지스터(33)의 콜렉터 출력신호 레벨에 응답하여 점증적으로 순방향 바이어스되어 도통상태로 되고, 이에 의해 트랜지스터(33)의 이득을 변경한다. 다이오드(37)에 의해 발생된 효과는 제2도에 도시된 파형에서 알 수 있다.
제2도의 파형은 트랜지스터(33)의 신호 반전 콜렉터 출력에 나타나는 휘도 신호의 한 수평 영상 라인과 대응한다. 설명된 휘도 신호는 영상 귀선 소거 간격동안 발생하는 정의 동기 펄스 성분과, 흑(좀더 큰 정의 값) 영상 한계와 백(좀더 작은 정의 값) 영상 한계 사이에 계단식 신호를 포함하는 수반된 영상 간격 성분을 포함한다. 제1도의 다이오드(37)는 백 한계 레벨과 임계 레벨사이의 신호 레벨의 제1범위를 통해 비도통으로 유지되는데, 여기서 이 신호레벨은 약 30IRE의 단위 휘도 신호 레벨과 대응한다. 이러한 신호 레벨범위를 통하여 트랜지스터(33)는 저항(35)과 저항(36)의 값의 합대 저항(32)의 값의 비에 의해 결정되는 제1의 비교적 선형인 이득 특성을 나타낸다.
다이오드(37)는 임계 레벨과 흑영상 한계 사이의 제2신호 레밸 범위를 통해 도통하도록 점증적으로 순방향 바이어스되어 귀한 임피던스의 값을 변경하고 이와 대응하여 트랜지스터(33)의 이득을 변경한다. 그런다음, 귀환 저항(35)을 분로하는 다이오드 (37)의 도통으로 인하여 트랜지스터(33)의 신호 이득은 감소되고 출력 휘도 신호는 억압된다 다이오드(37)는 임계 레벨과 흑한계 사이의 대부분의 휘도 신호 레벨에 대한 비선형 굴곡(knee)영역에서 도통 상태이며, 그동안 다이오드(37)는 0.0V와 약 +0.5V 사이의 오프셋 전압을 나타낸다.
정의 동기 펄스로 둘러싸인 좀더 심한 흑영역에 있는 신호 레벨의 경우 다이오드(37)는 좀더 선형인 영역에서 전도하고, 동기 펄스의 진폭을 제한하는 클리핑 (clipping)작용에 영향을 미친다.
제2범위의 신호 레벨에 걸치 신호 억압 작용에 따라 출력 코어링 제어신호 CC는 이러한 억압없이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비교적 큰 양의 흑영역 코어링과 비교해볼 때 흑영상 한계가 임계 레벨에서부터 접근 할 때 피킹 발생기(15)로 부터의 신호에 전해진 코어링 양을 점증적으로 제한한다. 코어링 레벨 제어 전압원(20)의 상기 동작에 따라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면, 재생되는 영상은 특히 약 30IRE 단위이하의 어두운 장면에 대해 개선된 영상 세부 묘사를하는 것으로 감지된다. 저레벨 장면에 대한 신호 코어링의 제한량으로 인해 나타나는 잡음의 영향에 대해서는 대응할 수 없으며, 저레벨 장면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신호 코어링이 제한될 때 화상 세부에 있어서의 감지된 증분만큼 어둡게(overshadow)된다. 상기의 비선형 신호 코어링 장치는 저레벨 장면에 대한 잡음 및 화상 세부 묘사에 대해 양호한 시청감도를 보여준다.
제1도의 코어링 레벨 제어 전압원(20)은 "동적으로 제어된 수평 피킹 시스템"이라는 명칭으로 1984년 3월 13일자로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437,123호에 상세히 설명된 직류 재생 입력 클램핑 회로를 포함하는 PNP트랜지스터(40)도 포함한다. 간단히 말하면, 트랜지스터(40)의 에미터 입력 및 콜렉터 출력 전극은 트랜지스터(33)의 콜렉터 출력과 입력 직류 저지 커패시터(31)에 각각 결합된다. 트랜지스터(40)에 대한 기준 바이어스 전압은 저항(41,43)을 포함하는 전압 분압 회로망에서 트랜지스터(40)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커패시터(31)는 코어링 레벨 제어 전압원(20)을 포함하는 회로망을 입력단자 I에서의 직류 레벨의 변화의 영향에서 벗어나게 한다. 클램핑 회로망(40)은 트랜지스터(33)의 콜렉터 회로에 나타나는 정의 동기 펄스에 의해 전도 상태로 주기적으로 구동된다. 커패시터(31)의 전하는 이러한 전도 주기동안 재조절되어 제어 전압원(20)의 출력에 나타는 것과 같은 동기 펄스 진폭 피크는 분압기 저항(41,43)에 의해 결정되는 기준전위와 연관된 전위로 클램핑 된다. 기준전위는 흑레벨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전압원(20)으로부터의 출력제어 신호 CC가 소망의 코어링 심도(예를 들면 6%)를 유지하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클램핑 작용은 흑 장면에 소망의 코어링 심도를 설정하는데 돕는다.
클램프 트랜지스터(40)가 도통하게 하는 동기 펄스의 진폭은 다양한 이유에 대해 예상할 수 없게 변할 수 있어서 클램프 트랜지스터(40)의 전도 레벨을 변화시키고 트랜지스터(40)의 클램핑 작용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동기 펄스 진폭 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클램핑 에러는 상기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33)를 포함하는 귀환 증폭기의 신호 억압작용에 의해 생기는 동기 펄스 제한 작용에 의해 상당히 감소된다. 따라서 흑영역 및 제한 기능은 좀더 정확한 클램핑 및 직류 회복을 증강하고 코어링 에러를 저감시키는데 돕는다.
코어링량의 동적 변호에 대한 최적 타이밍을 위하여 제어 전압원(20)을 포함하는 제어 선로는 제어 전압원(20)의 저역 통과 필터 회로에 대한 적절한 지연 특성을 선택함으로써 한번 지연된 입력신호의 지연을 피킹 신호 발생기(15)에 매칭시켜야 한다.
제3도는 상기 하우드 등에 의한 미합중국 특허 제4,441,121호에서 공개된 형태의 제1도의 조절할 수 있게 코어링 된 피킹 신호 발생기(15)에 대한 개략적 회로 선도를 지연라인(12) 및 제어 전압원(20)과 함께 도해한 것이다. 입력단자 I로부터의 휘도신호는 직류 저지 커패시터(45) 및 저항(48)을 통하여 지연라인(12)의 입력단자 I에 인가된다. 설명해보면, 지연라인(12)은 휘도신호에 의해 점유되는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4.0MHz로 연장함)에 걸쳐 선형 위상 특성을 보이는 광대역 장치이며, 약 140ns의 신호 지연을 제공한다. 단자 L에서의 지연라인(12)의 입력단부는 특성 임피던스를 매칭하는 임피던스에서 종단되는 반면(예를 들면, 저항(48)의 도움으로), 지연라인 출력단부(단자 L'에서)반사 효과를 얻기 위해 종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지연라인(12)의 각 단부애 나타나는 신호는 단자 L'에 나타나는 한번 지연된 휘도신호와, 단자 L에 나타나는 두 번 지연된 휘도신호와 지연되지 않은 휘도신호와의 합이다.
단자 L과 L'에 나타나는 각각의 신호 사이의 차는 약 3.5MHz에서 최대 부스트 (boost)가 발생하는 고주파 휘도성분을 효과적으로 승압 시킴으로서 수평 세부를 강화하도록 휘도 신호에 부가하기 의한 적절한 수평 피킹 신호와 대응한다.
수평 피킹 신호는 에미터 플로워 트랜지스터(54,55)를 통해 지연라인 단자 L' 및 L로 부터의 베이스 입력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에미스터 결합된 트랜지스터(51,53)을 포함하는 차등 증폭기(50)에 의해 선형으로 증폭된다. 트랜지스터(51,53)의 각각의 콜렉터 전극은 앞으로 설명될 제한 증폭기단의 출력에 의해 공유되는 각각의 부하(도시안됨)를 통하여 동작 전위원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51,53)의 각각의 콜렉터 전류는 피킹 신호의 역으로 위상 조절된 성분에 따라 변한다.
수평 피킹 신호는 에미터 플로워 트랜지스터(54,55)를 통해 지연라인 단자 L' 및 L로부터의 베이스 입력 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에미터 결합된 트랜지스터(61,63)를 포함하는 클램핑 차동 증폭기(60)에 의해 비선형으로 증폭된다. 트랜지스터(65)는 트랜지스터(61,63)을 정류원으로 이용된다. 차등 증폭기(60)는 피킹 신호에 대한 제한 증폭기의 입력단으로 작용한다. 최대의 이탈이 예정된 임계 레벨이외로 클리핑되는 역으로 위상 조절된 피킹 신호는 각각 부하 저항(67,69)양단에 나타난다.
에미터 결합된 트랜지스터(71,73)를 포함하는 차동 증폭기(70)는 제한 증폭기의 출력단으로 작용하고 피킹 신호를 더욱 클리핑시킨다. 트랜지스터(71,73)의 베이스 입력 전극은 입력단의 트랜지스터(61,63)의 콜렉터 출력에 각각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75)는 트랜지스터(71,73)에 이용되는 전류원으로 작용한다. 제한기 출력단의 트랜지스터(71,73)의 콜렉터 출력 전류는 선형 증폭기의 트랜지스터(51,53)의 콜렉터 출력 전류와 각각 결합되어 역으로 위상 조절된 코어링된 피킹신호 전류 Ip 및 Ip'를 발생한다.
직렬 결합된 순방향 바이어스된 다이오드(77,78)에 나타나는 전압은 전류원 트랜지스터(76,65)의 직렬결합된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의 선로 양단에 인가된다. 제어 트랜지스터(81)의 콜렉터는 전류원 트랜지스터(65)의 베이스에 연결되며, 전류원 트랜지스터(65)의 베이스와 에미터간의 선로를 분로하는 콜렉터와 에미터 사이의 전류선도를 구비한다.
코어링 레벨 제어 전압원(20)으로부터의 코어링 제어신호 CC는 에미터 플로워 트랜지스터(85)와 저항(83)을 통하여 제어 트랜지스터(81)의 베이스 입력에 인가되며, 트랜지스터(81)의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의 접합은 다이오드(82)로 분로된다. 정의 코어링 제어 신호 CC의 레벨의 변화는 트랜지스터(81)의 콜랙터와 에미터간 선로의 전도를 변화시킨다. 가변 제어신호 CC는 PNP제어 트랜지스터(79)의 베이스 입력에 인가되고, 트랜지스터(79)에 에미터 출력은 전류원 트랜지스터(75)의 베이스 입력에 결합된다. 제어 트랜지스터(79)의 베이스와 에미터간의 접합은 코어링 제어신호 CC의 실제 변화 범위부분에 걸쳐 역바이어스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제어트랜지스터(79)는 조절할 수 있는 코어링 회로의 작동애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이 코어링 회로는 상기 하우드 등에 의한 미합중국 특허 제4,441,121호에 설명되고 아래의 요약되는 방색으로 기능을 수행한다.
트랜지스터(75)의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의 선로는 전류원 트랜지스터(65)의 베이스와 에미터간의 선로와 제어트랜지스터(81)의 콜렉터와 에미터간의 선로의 병렬조합으로 분압기를 형성하여 직렬 다이오드(77,78)에 나타나는 바이어스 전압 분할에 영향을 미친다. 분압비는 제어 트랜지스터(81)의 도통에 따라 변한다. 정의 제어신호 CC가 증감함으로써 제어 트랜지스터(81)에 의해 나타나는 분로 임피던스가 감소할 때 전류원 트랜지스터(65)의 베이스와 에미터간 전압이 감소하고 이와 보상관계로 전류원 트랜지스터(75)의 베이스와 에미터간의 전압의 증가한다. 역으로, 트랜지스터(65,75)의베이스와 에미터간의 접합은 코어링 제어신호 CC와 레벨이 감소할 때 보상 방식으로 각각 증감한다.
따라서 코어링 제어신호 CC의 변화는 종속 연결된 차등 증폭단(60,70)의 동작 전류를 상보적으로 변화하게 하고 제한 증폭기의 두 종속단의 각각의 이득을 상기의 변화와 관련하여 상보적으로 변화시킨다. 제어 트랜지스터(81)에 의해 나타나는 직류 임피던스의 변화가 다이오드(77,78)에 나타나는 바이어스 전압에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영향을 미칠 때 증폭단(60,70)의 동작 전류의 크기의 곱에 비례하는 제한 증폭기의 전체 이득은 증폭단(60,70)사이의 이득의 분포 변함에 따라 악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확히 코어링 하기 위하여 방해받지 않은 전체 이득 크기는 증폭기(50)를 포함하는 선형 증폭 채널의 이득과, 제한 증폭단(60,70)을 포함하는 비선형 증폭 채널의 이득이 실제로 동일하도록 설정된다.
코어링량은 코어링 제어신호 CC의 레벨의 감소에 응답하여 감소되어 입력단(60)의 이득을 증가시키고 출력단(70)의 신호가 신호축에 더 가까이 클리핑된다. 역으로, 코어링의 량은 제어신호 CC의 레벨의 증가에 응답하여 증가되어 입력단(6 0)에 이득을 감소시키고 출력단(70)의 신호축에서 벗어나 클리핑되다.
PNP제어 트랜지스터(79)에 의해 수행되는 역할은 "코어링 소멸을 혀용하는 조절할 수 있는 코어링 회로"라는 명칭으로 1984년 3월 20일자로 허여된 알.엘.샨리에 의한 미합중국 특허 제4,438,454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최소 코어링 레벨과 관련된 코어링 제어 범위의 한계로 한정된다. 코어링 제어 신호 CC의 크기가 접지 전위와 가깝게 강하할 때 PNP제어 트랜지스터(79)의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의 접합이 바이어스는 트랜지스터(79)가 순방향 바이어스 되어 도통 상태로 되도록 변한다. 약 +0.7V이하의 제어신호 CC의 레벨의 경우 트랜지스터(79)는 도통 상태로되고, 약 +0.5V이하의 제어신호 CC의 레벨의 경우 트랜지스터(79)는 전류원 트랜지스터(75,76)를 차단 상태로 만들 정도로 충분히 도통되어 제한 증폭단을 비동작 상태로 만들고 코어링 작용을 완전히 멈추게 한다. 조절할 수 있는 코어링 회로는 코어링 제어범위의 한 극한값에 대해 0코오링 레벨을 갖는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할 수 있게 코어링된 피킹 신호 발생기(15)의 작동과 관련된 또다른 정보는 엘.코크란의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4,437,124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Claims (5)

  1. 명암 양 한계값간의 영상 내용을 나타내는 비디오 신호원(11)을 구비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상기 비디오 신호원(11)에 결합되고, 코어링 성분 발샹 수단의 제어 입력에 인가된 코어링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비디오 신호의 고주파수 성분을 나타내는 신호의 코어링 된 성분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15)과, 상기 비디오 신호원에 결합된 입력과 사익 코어링 성분 발생수단(15)의 제어 입력(CC)에 결합된 출력을 갖고, 상기 비디오 신호원으로부터의 비디오 신호 크기에 따라서 명영상 내용을 나타내는 비디오 신호에 대해서보다 암영상 내용을 나타내는 비디오 신호에 대해서 보다 큰 코어링량을 상기 코어링 성분 발생수단이 발생시키는 것을 감지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코어링 성분 발생 수단의 제어입력에 제공하기 위한제어 수단(20)을 포함하는 다이나믹 신호 코어링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비디오 신호원으로부터의 비디오 신호에 응답하고, 명영상 한계와 암영상 한계 방향의 임계 레벨간의 제1비디오 신호 레벨 범위를 통한 하나의 제어 특성과 상기 암영상 한계에 접근할 때 발생되는 코어링량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암영상 한계와 상기 임계 레벨간의 제2비디오 신호 레벨 범위를 레벨 범위를 통한 상이한 제어 특성을 가진 제어 신호를 출력에 발생시키는 비선형 제어 특성을 나타내는 신호 변환 수단(33,35,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신호 코어링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은 상기 제2범위를 통한 상기 출력 제어 신호의 진폭을 억압하기 위한 수단(35,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신호 코어링 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33,35,36)은 저역 통과 전달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신호 코어링 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은 증폭기의 이득을 결정하기 위해 그와 결합된 귀환 회로(35,36)를 갖춘 증푹기(33)를 포함하고, 임계 도통 소자(37)는 상기 귀환 회로에 결합되는데, 상기 제1비디오 신호 레벨 범위를 통한 하나의 증폭기 이득을 발생시키기 위해 하나의 도통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제2비디오 신호 레벨 범위를 통한 상이한 증폭기 이득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이한 도통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신호 코어링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신호 처리 회로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배열되고, 상기 비디오 신호원은 명암 양영상 한계값의 영상의 휘도 변화를 나타내며, 상기 신호 코어링 회로는 동적으로 제어된 수평 영상 피킹 시스템이며, 상기 코어링 성분 발생 수단(15)은 조절적으로 코어링된 수평 피킹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코어링 제어 신호의 크기 여하에 따른 양만큼 상기 수평 피킹 신호의 코어링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암영상 내용을 구비한 휘도 신호 대해 상기 피킹 신호를 크게 코어링하고 명영상 내용을 구비한 휘도신호에 대해 비교적 작게 코어링시키기 위해 제어 특성을 지닌 저역 통과 전달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신호 코어링 회로.
KR1019840005082A 1983-08-23 1984-08-22 다이나믹 신호 코어링 회로 KR920009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525,682 US4536796A (en) 1983-08-23 1983-08-23 Non-linear dynamic coring circuit for video signals
US525,682 1983-08-23
US525682 1983-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198A KR850002198A (ko) 1985-05-06
KR920009077B1 true KR920009077B1 (ko) 1992-10-13

Family

ID=24094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082A KR920009077B1 (ko) 1983-08-23 1984-08-22 다이나믹 신호 코어링 회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536796A (ko)
JP (1) JPS6069965A (ko)
KR (1) KR920009077B1 (ko)
AT (1) AT389409B (ko)
CA (1) CA1216665A (ko)
DE (1) DE3430933A1 (ko)
FR (1) FR2551289B1 (ko)
GB (1) GB2145601B (ko)
HK (1) HK25193A (ko)
IT (1) IT11756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08737A1 (de) * 1987-06-24 1989-01-05 Philips Patentverwaltung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m vermindern von stoerungen
JP2543567B2 (ja) * 1988-04-07 1996-10-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ダイナミックノイズリダクション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910006373B1 (ko) * 1988-06-11 1991-08-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잡음 제거 레벨 자동 조정 회로
KR920010938B1 (ko) * 1990-05-21 1992-12-24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면 밝기에 따른 수직 윤곽조정 회로
US5031042A (en) * 1990-07-09 1991-07-09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Noise coring and peaking circuit
US5134482A (en) * 1990-11-26 1992-07-28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Adjustable video sharpness circuit
GB2250886B (en) * 1990-12-13 1995-06-14 Rank Cintel Ltd Noise reduction in video signals
UA27117C2 (uk) * 1993-01-15 2000-02-28 Олександр Олександрович Антонов Пристрій регеhерації відеосигhалів для кольорового телебачеhhя
DE4318057C1 (de) * 1993-05-29 1994-07-07 Mb Video Gmbh Schaltungsanordnung zur Verbesserung der Qualität von Videosignalen
US5446503A (en) * 1994-04-11 1995-08-29 Mitsubishi Semiconductor America, Inc. Vertical detail enhancement with stepped return coring
FR2729524B1 (fr) * 1995-01-13 1997-06-06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Circuit de suppression et circuit d'accentuation
FR2729525B1 (fr) * 1995-01-13 1997-06-06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Circuit de reglage du seuil de suppression d'un signal
EP0731601B2 (en) * 1995-03-06 2006-10-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signal noise reduction apparatus
KR100230391B1 (ko) * 1996-11-29 1999-11-15 윤종용 휘도신호의 윤곽성분을 적응적으로 보정하는방법 및 회로
US7440633B2 (en) * 2003-12-19 2008-10-2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Enhancing the quality of decoded quantized images
US7424168B2 (en) * 2003-12-24 2008-09-0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Enhancing the quality of decoded quantized images
US7424166B2 (en) * 2003-12-24 2008-09-0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Enhancing the quality of decoded quantized images
US7400779B2 (en) * 2004-01-08 2008-07-15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Enhancing the quality of decoded quantized images
US9083969B2 (en) * 2005-08-12 2015-07-1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ndependent view adjustment in multiple-view displays
US8004511B2 (en) 2004-12-02 2011-08-2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tortion-related source light management
US7961199B2 (en) * 2004-12-02 2011-06-1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mage-specific tone scale adjustment and light-source control
US7768496B2 (en) * 2004-12-02 2010-08-0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mage tonescale adjustment to compensate for a reduced source light power level
US7982707B2 (en) * 2004-12-02 2011-07-1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nd applying image tone scale adjustments
US8111265B2 (en) * 2004-12-02 2012-02-0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rightness preservation using a smoothed gain image
US7515160B2 (en) * 2006-07-28 2009-04-0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lor preservation with image tone scale corrections
US7800577B2 (en) * 2004-12-02 2010-09-2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display characteristics
US7782405B2 (en) * 2004-12-02 2010-08-2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 display source light illumination level
US8120570B2 (en) * 2004-12-02 2012-02-2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one curve generation, selection and application
US7924261B2 (en) * 2004-12-02 2011-04-1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a display light source adjustment
US8922594B2 (en) * 2005-06-15 2014-12-3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display characteristics with high frequency contrast enhancement
US8947465B2 (en) 2004-12-02 2015-02-0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mode-dependent brightness preservation
US8913089B2 (en) 2005-06-15 2014-12-1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display characteristics with frequency-specific gain
US7839406B2 (en) * 2006-03-08 2010-11-2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display characteristics with ambient illumination input
US7826681B2 (en) * 2007-02-28 2010-11-0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urround-specific display modeling
US8416179B2 (en) 2008-07-10 2013-04-0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lor preservation with a color-modulated backlight
US9330630B2 (en) 2008-08-30 2016-05-0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 source light management with rate change control
US8165724B2 (en) 2009-06-17 2012-04-2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ower-controlling display devices
US20110074803A1 (en) * 2009-09-29 2011-03-31 Louis Joseph Kerofsky Methods and Systems for Ambient-Illumination-Selective Display Backlight Modification and Image Enhancemen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29674C3 (de) * 1972-06-19 1979-02-15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chaltungsanordnung zur Kontrasterhöhung
US3984865A (en) * 1975-03-26 1976-10-05 Rca Corporation Transient suppression in television video systems
US4167749A (en) * 1977-05-26 1979-09-11 Rca Corporation Noise reduction apparatus
US4399460A (en) * 1981-10-09 1983-08-16 Rca Corporation Video signal peaking control system with provision for automatic and manual control
GB2118396B (en) * 1982-03-31 1985-09-25 Rca Corp Video signal peaking system
US4441121A (en) * 1982-03-31 1984-04-03 Rca Corporation Adjustable coring circuit
US4437124A (en) * 1982-04-30 1984-03-13 Rca Corporation Dynamic coring circuit
US4437123A (en) * 1982-04-30 1984-03-13 Rca Corporation Dynamically controlled horizontal pea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430933A1 (de) 1985-03-14
DE3430933C2 (ko) 1987-09-10
JPH0342830B2 (ko) 1991-06-28
GB8420739D0 (en) 1984-09-19
IT1175608B (it) 1987-07-15
US4536796A (en) 1985-08-20
CA1216665A (en) 1987-01-13
ATA270384A (de) 1989-04-15
AT389409B (de) 1989-12-11
GB2145601A (en) 1985-03-27
HK25193A (en) 1993-03-26
IT8422351A0 (it) 1984-08-17
KR850002198A (ko) 1985-05-06
FR2551289A1 (fr) 1985-03-01
JPS6069965A (ja) 1985-04-20
GB2145601B (en) 1987-06-17
FR2551289B1 (fr) 199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9077B1 (ko) 다이나믹 신호 코어링 회로
US4651210A (en) Adjustable gamma controller
US4926261A (en) Video noise reduction circuit
US4200889A (en) Complementary pre-emphasis and de-emphasis circuits for a video signal transfer channel
CA1197609A (en) Dynamic coring circuit
US4399460A (en) Video signal peaking control system with provision for automatic and manual control
FI63311C (fi) Anordning foer undertryckning av transientbrustoppar i televisionsvideosignaler
US4437123A (en) Dynamically controlled horizontal peaking system
US2672505A (en) Black level shift compensating amplifier
KR0163764B1 (ko) 신호처리장치
US4839725A (en) Contour compensating circuit
FR2561051A1 (fr) Systeme de traitement de signaux video avec limiteur automatique des courants des faisceaux
US4509080A (en) Video signal peaking system
KR920000980B1 (ko) 비데오 신호 피킹장치
US4281346A (en) Complementary pre-emphasis and de-emphasis circuits for a video signal transfer channel
GB1587627A (en) Video amplifier including capacitive coupled stages
US4523233A (en) Automatic bias control system with compensated sense point
US4276566A (en) Circuit for inhibiting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in a television receiver
CA1212461A (en) Signal sampling circuit
US4931857A (en) Voltage controlled comb filter
US4388648A (en) Frequency selective DC coupled video signal control system insensitive to video signal DC components
JPS61152166A (ja) ビデオ信号の白圧縮回路
US4388647A (en) Predictably biased DC coupled video signal peaking control system
KR910009426B1 (ko) 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스 제어장치용 신호처리회로
JPH045442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