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108Y1 - 봉투 오프너(opener) - Google Patents
봉투 오프너(ope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9108Y1 KR910009108Y1 KR2019890013207U KR890013207U KR910009108Y1 KR 910009108 Y1 KR910009108 Y1 KR 910009108Y1 KR 2019890013207 U KR2019890013207 U KR 2019890013207U KR 890013207 U KR890013207 U KR 890013207U KR 910009108 Y1 KR910009108 Y1 KR 91000910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velope
- opener
- pair
- sensors
- ba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26B3/08—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cardboard, or 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7/00—Devices for opening envelopes
- B43M7/005—Devices for opening envelopes with at least two cutting dis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38—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means operable by the moving work to initiate the cutting ac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3/00—Cutting
- Y10S83/912—Envelope open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525—Operation controlled by detector means responsive to work
- Y10T83/531—With plural work-sensing me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525—Operation controlled by detector means responsive to work
- Y10T83/541—Actuation of tool controlled in response to work-sensing means
- Y10T83/544—With trip-switch in work-sensing mechanism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768—Rotatable disc tool pair or tool and carrier
- Y10T83/7793—Means to rotate or oscillate tool
- Y10T83/7797—Including means to rotate both elements of tool p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봉투 오프너의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봉투 오프너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A를 따라 나타낸 본 고안의 봉투 오프너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봉투 오프너의 주요부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봉투 오프너의 구동 메카니즘의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의 사시도.
제6도는 비상용중의 본 고안의 봉투 오프너의 부분 확대 정면도로서, 콘택트 어셈블리들, 바아 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들,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들 등과 같은 본 고안의 봉투 오프너의 구성품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때 센서들 및 블레이드들은 중립위치에 위치되어지게 된다.
제7도는 사용주의 본 고안의 봉투 오프너의 부분 확대 정면도로서, 콘택트 어셈블리들, 바아 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들,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들 등과 같은 본 고안의 봉투 오프너의 구성품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때 센서들은 봉투가 오프너의 좌측 입구로 부터 오프너의 가이드 레인(guide lace)으로 삽입 되어 짐에 따라 우측위치로 회전되며 이동되어 지게 된다.
제8도는 사용중의 본 고안의 봉투 오프너의 부분 확대 정면도로서, 콘택트 어셈블리들, 바아 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들,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 등과 같은 본 고안의 봉투 오프너의 구성품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때 센서들은 봉투가 오프너의 우측 입구로 부터 오프너의 가이드 레인으로 삽입되어짐에 따라 좌측 위치로 회전되며 이동되어지게 된다.
제9도는 본 고안의 봉투 오프너에 설치된 역전 가능한(reversible)전기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봉투 1a : 머리부 또는 밀봉부
2 : 분리하우징 3 : 가이드레인
3a : 입구 41, 42: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
5 : 바아타입의 회전가능한 센서 5a : 베어링부
5c : 누름돌출부 61, 62: 콘택트 어셈블리
7 : 링크 9 : 지지핀
10, 10' : 이동 접촉부재 11, 11' : 고정 접촉부재
M : 전기모터 17 : 구동축
18 : 워엄 19 : 워엄기어
본 고안은 봉투 오프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중 입구 헝식(double-entry type)의 봉투 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봉투 오프너의 절단되어질 봉투의 머리부 또는 밀봉부가 통과되어지는 봉투 가이드 레인의 양끝에 각각 입구가 형성되어 있어, 봉투의 밀봉부가 오프너의 가이드 레인을 통과하면서 자동적으로 절단되어지도록 봉투의 머리부가 상기 양쪽 입구를 통하여 오프너의 가이드 레인으로 들어가게 된다.
종래의 봉투 오프너는 단일 입구 형식(single-entrytype)의 오프너로서, 봉투 가이드 레인의 한끝에만 입구가 형성되어 있어, 봉투의 머리부 또는 밀봉부가 오프너의 가이드 레인을 통과하면서 자동적으로 절단되어지도록 봉투의 머리부 또는 밀봉부가 상기 입구를 통하여 오프너의 가이드 레인으로 들어가게 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오프너는 봉투의 머리부 또는 밀봉부가 상기 가이드 레인의 상기 입구를 통하여 오프너의 가이드 레인으로 삽입될수 있도록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들이 전기 모터에 의해 소정의 단일 방향으로 회전 되어짐으로써 봉투의 머리부 또는 밀봉부가 소정의 단일 방향으로 오프너의 가이드 레인을 통과하면서 자동적으로 절단되어지게 되는 구조체로 되어 있다.
종래의 단일 입구 형식의 봉투 오프너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같이 봉투의 머리부 또는 밀봉부가 소정의 단일 방향으로만 오프너의 가이드 레인을 통과하면서 자동적으로 절단되어 지도록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들이 소정의 단일방향으로만 회전되어짐으로써 봉투의 밀봉부가 상기 소정의 단일 방향과의 반대방향으로 통과되도록 하고자 할때 오프너의 단일방향 반대쪽으로 부터 삽입되어지는 것이 불가능하고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봉투 오프너는 사용상의 용이성에 있어서 만족스럽지 못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절단되어질 봉투의 머리부 또는 밀봉부가 통과되어지는 봉투 가이드 레인의 양끝에 각각 입구가 형성 되어있어서 봉투의 밀봉부가 오프너의 가이드 레인을 통과하면서 자동적으로 절단 되어지도록 봉투의 머리부 또는 밀봉부가 상기 양쪽 입구를 통하여 오프너의 가이드 레인으로 들어가게 된 이중 입구 형식의 봉투 오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봉투 오프너에는 역전 가능한 전기모터와 특별한 오작동(misoperation)방지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고 오프너로의 봉투 삽입방향에 따라 회전방향이 자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고 상기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한쌍의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들이 설치되어 있어 따라서 본 고안의 오프너는 봉투의 머리부 또는 밀봉부가 오프너의 양쪽 각입구로 부터 오프너의 가이드 레인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럼으로써 봉투의 머리부가 오프너의 가이드 레인을 통과하면서 자동적으로 절단 되어질 수 있게 된 것이다.
따라서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한 개선된 이중입구 형식의 오프너가 제공되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본 고안의 목적은 봉투의 머리부가 오프너를 통과함에 따라 자동적으로 절단되어지도록 하는데 있어 봉투의 머리부가 오프너의 양쪽으로 부터 삽입될 수 있도록 양쪽에 한쌍의 입구를 형성시킨 이중 입구혁식의 봉투 오프너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되어지게 되며 이러한 이중 입구 형식의 봉투 오프너는 역전 가능한 전기모 봉투 오프너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되어지게 되며 이러한 이중 입구 형식의 봉투 오프너는 역전 가능한 전기모터, 직립되어 설치되고 역전 가능한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한쌍의 로타리 디스크 블이드들, 봉투의 머리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수평하게 뻗어있고 중앙부분이 한쌍의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들로써 가로 막혀있는 가이드 레인, 가이드레인과 교차되도록 가이드 레인상에 설치되고 한쌍의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들의 양쪽에 위치 되어지는 바아 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들, 봉투의 머리부가 가이드 레인을 통과함에 따라 하나의 센서가 회전 되어지면 바아 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스들중의 하나를 다른 하나와 동시에 구동되도록 한쌍의 바아타임의 회전 가능한 센서들을 서로 연결해주는 링크, 한쌍의 바아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들과 결합된 한쌍의 콘택트 어셈 블리들로서 이들중의 하나가 봉투의 머리부가 오프너의 양쪽 각 입구로부터 삽입되어 양쪽 각 방향으로 가이드 레인을 통과하여 바아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스들중의 하나가 회전되어질때 역전 가능한 전기모터 및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들의 회전방향을 설정하도록 바아 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스들중의 하나에 의해 작동되어지고 링크를 통하여 바아타입의 회전가능한 센스들중의 다른 하나와 결합된 다른 하나가 개방되거나 턴오프(turn-off)되어 남게 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된 한쌍의 콘택트 어셈블리등으로 구성되어지게 된다.
본 고안의 이중 입구 형식의 봉투 오프너의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 부품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제4도에서 참조번호"1"은 머리부 또는 밀봉부(1a)가 있는 봉투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이중 입구 형식의 봉투 오프너에는 봉투(1)가 양쪽으로 부터 통과됨에 따라 봉투의 머리부 또는 밀봉부(1a)가 자동적으로 절단되어지도록 하는 수평하게 뻗어있는 봉투 가이즈 레인(3)으로 붕투(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인 양끝쪽에 한쌍의 입구(3a)가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서 확실히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오프너의 양쪽입구(3a)는 봉투(1)를 각 방향으로 통과시키는데 있어 수평하게 안내하는 수평하게 뻗는 가이드 레인(3)의 진입구멍들로서 바깥쪽으로 확장되어진 형태이다.
가이드 레인(3)은 오프너의 분리 하우징(2)의 앞부분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본 고안의 봉투 오프너는 또한 역전 가능한 전기 모터(M), 직립되어 설치되어 있고 역전 가능한 전기 모터(M)에 의해 양쪽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동되는 한쌍의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41), (42), 가이드 레인과 교차하도록 가이드 레인(3)위에 직립되고 대칭적으로 설치되며 봉투가 양쪽 방향으로 가이드 레인(3)을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고 회전되어 지도록 한쌍의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41(42)의 양쪽에 위치되어지게 되어 봉투가 입구로 부터 오프너로 진입함에 따른 모터(M)의 회전방향을 제어하게 되는 한쌍의 바아 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5)들, 봉투(1)가 가이드 레인0을 통과함에 따라 하나의 센서가 회전되어 지면 바아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들의 하나를 다른 하나와 동시에 구동하도록 한쌍의 바아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5)들을 서로 연결해 주는 링크(7) 및 한쌍의 바아 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5)들과 결합된 한쌍의 더블 스로우스위치(double-throw switch)타입의 콘택트 어셈블리(61, 62)로서, 이들중의 하나가 봉투의 머리부 또는 밀봉부(1a)가 오프너의 양쪽 입구(3a)로 부터 진입되어 양쪽 각 방향으로 가이드 레인(3)을 통과하여 바아 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5)들중의 하나가 회전되어질때 각 역전 가능한 전기모터(M) 및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41, 42)의 회전방 향을 설정하도록 바아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5)들 중의 하나에 의해 작동되어지고 링크(7)를 통하여 바아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5)들 중의 다른 하나와 결합된 다른 하나의 콘택트 어셈블리가 개방되거나 턴오프 되어 남게 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된 한쌍의 콘택트 어셈블리동의로 구성되어진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분리 하우징(2)은 플라스틱 제품으로 만들어지고 사용자가 봉투 오프너를 손으로 잡고 휴대할 수 있도록 포어터블 사이즈의 평편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진다.
한편 가이드 레인(3)은 하우징(2)의 앞부분 내부에 수평하게 길게 늘러어진 형태로 형성 되어진다.
즉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이드 레인(3)은 서로 마주보고 평행하게 길게 늘리어진 한쌍의 벽(8)들로서 한정되어 진다.
전술한 바와같이 가이드 레인(3)의 양끝부분 또는 양 입구는 봉투(1)가 오프너의 양쪽으로부터 삽입되는데 용이하도록 바깥쪽으로 확장된 구멍으로 형성되어진다.
봉투(1)의 머리부 또는 밀봉부(1a)가 오프너의 가이드레인(3)으로 삽입되어 바아 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5)들이 회전될때 센서(5)들은 전기 모터(M)의 회전방향을 설정하도록 콘택트 어셈블리(61, 62)를 작동시킨다.
제3도, 제4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바아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5)에는 그 상부끝 부분에 슬리 이브와 같은 베어링부(5a)가 형성되어져 있다.
각 베어링부(5a)에는 가이드 레인(3)으로 부터 간격이 떨어져 있고 가이드 레인(3)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수평으로 뻗어있는 지지핀(9)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각 바아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5)가 가이드 레인(3)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평면내를 회전할 수 있도록 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봉투 오프너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바아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5)들은 가이드 레인(3)의 길이방향 축선과 수직을 이루고 서로가 일정간격이 떨어져 평행하게 배치되어진다.
한편 센서(5)들을 서로 연결해 주는 링크(7)에는 그 양끝부분에 한쌍의 긴 홈(7a)이 나져 있다.
각 홈(7a)에는 각 센서(5)의 아랫쪽의 앞표면에 돌기를 형성하는 축대(axle) (5b)가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되 어진다.
전술한 바와같이 링크(7)는 바아타입의 센서(5)들을 서로 연결해 주는 연결 기구 역할을 한다.
따라서 봉투(1)의 어리부 또는 밀봉부(1a)가 가이드 레인의 양쪽 입구(3a)를 통해 가이드 레인(3)으로 진입 되어 각 센서(5)가 회전하게 되면 다른 센서(5)가 링크(7)를 통하여 먼저 회전된 센서(5)와 일체로 회전되게 되어 먼저 회전된 센서(5)와 결합되어 있는 콘택트 어셈블리(61, 62)중의 하나가 모터(M) 및 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로타러 디스크 블레이드(41, 42)의 회전 방향을 설정하도록 폐쇄 되거나 또는 턴온(turn-on)된다.
이때 먼저 회전된 센서(5)는 또한 링크(7)를 통하여 다른 센서(5)와 결합되어 있는 다른 콘택트 어셈블리(61)또는 (62)가 개방 또는 턴오프되는 위치에 있게 되도록 하는 위치에 다른 콘택트 어셈블리(61또는 62)놓이 도록 한다.
봉투의 머리부(1a)가 오프너의 가이드 레인(3)을 통과한후에는, 바아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5)들이 서로 잎체로 중력에 의해 가이드 레인(3)의 길이 방향 축선에 수직인 중립위치에 귀환 되어지게 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아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5)들과 결합되어 있는 콘택트 어셈블리(61, 62)는 분리 하우징(2)의 내측 앞부분 상단에 설치되어진다.
제6도 내지 제8도로 부터 확실히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각 콘택트 어셈블리(61, 62)는 역전 가능한 전기 모터(M)의 회전방향을 설정해주기 위한 더블 스로우 스위치의 역할을 하고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분리판(27)에 의해 각각 분리되어 있는 이동 접촉부재(10, 10') 및 고정 접촉 부재(11, 11')로 이루어져 있다.
각 콘택트 어셈블리(61, 62)에서, 이동 접촉부재(10, 10') 및 고정 접촉부재(11, 11')는 탄성 및 전기 전도성이 있는 금속편 스프링들로 이루어져 있고,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로 일정 간격이 떨어져 배치된다.
여기서"10", "11"은 양성측을 나타내고 "10", "11'"는 음성측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6도 내지 제8도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이동 접촉부재(10, 10')의 각 끝부분들은 상부 홀딩판(12)과 증강 홀딩판(13)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고, 고정 접촉부재(11, 11')의 각 끝부분들은 중간 홀딩판(13)과 하부 홀딩판(14)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홀딩판(12, 13, 14)은 접촉 부재(10, 10'11, 11')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분리 하우징(2)내부의 앞부분의 고정 설치된다.
각 접촉부재(10, 10', 11, 11')의 다른쪽 끝부분들은 전기 접점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자유단을 형성하게 된다.
분리 하우징(2)에 설치된 분리판(15)이 이동 접촉부재(10, 10')와 고정 접촉부재(11, 11')사이에 끼워진 위치 되어 접촉부재(10, 10', 11, 11')들이 돌발적으로 서로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4도 및 제6도 내지 제8도에 있어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바아 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5)들과 콘택트 어셈블리(61, 62)의 구조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5c"는 각 바아타입 회전 가능한 센서(5)의 상단부에 형성된 누름 돌출부를 나타탠다.
한쌍의 센서(5)들에 있어서,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들의 누름 돌출부(5c)들은 서로에 대해 바깥쪽 또는 반대방향으로 대칭되어 뻗어 있다.
작동면에 있어서, 봉투(1)의 머리부 또는 밀봉부(1a)가 오프너의 가이드 레인(3)으로 진입하여 센서(5)를 회전시키게 되면 다른 센서(5)도 또한 링크(7)를 통해 먼저 회전한 센서(5)와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데, 고러나 다만 먼저 회전된 센서(5)의 누름 돌출부(5c)는 이동 접촉부재(10)를 아랫쪽으로 누르게 되어 해당 고정 접촉 부재(11, 11')와 전기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어, 콘택트 어셈블리(61또는62)가 폐쇄 또는 턴온된다.
제7도의 경우에 있어서, 콘택트 어셈블리(61)는 폐쇄 또는 턴온되고, 다른 콘택크 어셈블리(62)는 개방 또는 턴오프 되어 역전 가능한 전기 모터(M)의 회전방향이 콘택트 어셈블리(61)에 의해 설정되어 진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기 모터(M)는 분리 하우징(2)이 평편한 형상을 이를 수 있도록 분리하우징 내에 옆으로 설치 되어진다.
제1도로부터 명백히 할 수 있는 바와같이 서로 조금 겹쳐져 있는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르(41, 42)가 가이드 레인(3)의 길이방향 축선 또는 중심선에 맞추어 배치 되어진다.
각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41, 42)의 외측 원주부는 톱니부(4a)를 형성하게 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기모터(M)에서 나온 동력은 구동 메카니즘(16)을 통하여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41, 42)로 전달되어지게 된다.
제5도에서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봉투 오프너의 구동 메카니즘(16)은 역전 가능한 모터(M)의 구동축(17)에 고정 설치된 워엄(18), 워험(18)과 맞물린 워엄기어(19), 워엄기어(19)의 축대에 동축으로(coaxially)설치된 첫번째 소기어(20), 첫번째 소기어(20)와 맞물린 첫번째 중간기어(21), 첫번개 중간기어(21)의 축대에 동축으로 설치된 두번째 소기어(22)와 맞물린 두번째 중간기거(23), 두번째 중간기어(23)의 축대에 동축으로 설치된 세번째 소기어(24), 세번째 소기어(24)와 맞물린 세번째 중간기어(25) 및 세번째 중간기어(25)와 맞무린 최종기어(26)로 구성되어 있고 최종기어(26)의 직경은 세번째 중간기어(25)의 직경과 같다.
제4도에서, "28"은 각 콘택트 어셈블리(61, 62)의 앞부분을 덮기 위한 L자형 커버판으로서 분리 하우징(2)에 나사(29)로 부착 설치된다.
제1도에서 "30"은 분리 하우징(2)의 뒷부분에 설치된 배터리 홀더를 나타낸다.
배터리 홀더(30)에는 적할한 다수개의 건전지 또는 저항전지(31)들이 끼워지게 된다.
배터리 홀더(30)는 분리 하우징(2)의 뒷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리드(32)에 의해 밀폐되어진다.
따라서 삽입되어진 봉투(1)의 머리부 또는 밀봉부(1a)가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측 센서(5)를 우측으로 밀게 되면 양 센서(7)가 모드 링크(7)를 통하여 일체로 우측으로 움직여 지지핀(9) 둘레를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좌측 센서(5)의 상부 끝부분의 누름 돌출부(5c)가 좌측 이동 접촉부재(10, 10')를 아랫쪽으로 눌러 좌측 고정 접촉부재(11, 11')와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좌측 콘택트어셈블리(61)가 폐쇄 또는 턴온되어 역전 가능한 전기 모터(M)의 회전방항을 설정하게 된다.
제7도의 경우 모터(M)의 구동축(17)이 시계방향으로 돌게 되어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터(M)의 동력이 구동 메카니즘(16)의 워엄(18), 워엄기어(19), 첫번째 소기어(20), 첫번째 중간기어(91), 두번째 소기어(22), 두번째 중간기어(23), 세번째 소기어(24), 세번째 중간기어(25) 및 최종기어(26)를 통해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트(41, 42)로 전달된다.
세번째 중간기어(25)의 직경이 이와 맛물린 최종기어(26)의 직격과 동일하므로 최종기어(26)는 세번째 중간 기어(25)의 회전방향으이 반대반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5도에서 명백히 알 수 있는 것은 바와같이 상측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42)는 최종기어(26)의 축대에 동축으로 고정 설치되고 하측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42)는 세번째 중간기어(25)의 축대에 동축으로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로타리 디스크블레이드(41, 42)는 봉투(1)의 머리부 또는 밀봉부(1a)가 사용자에 의해 오프너의 가이드레인(3)안으로 삽입되어지면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41, 42)의 절단 작업을 강화시키는 모터(M)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삽입되어진 봉투(1)의 머리부(1a)가 오프너의 가이드 레인(3)을 통과하면서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41, 42)에 의해 적극적이고 계속적으로 절단되어지게 된다.
좌측 센서(5)가 작동중에 링크(7)를 통하여 우측센서(5)와 연결되어지므로 봉투 (1)에 의해 그 자체로는 밀리어 지지 않은 우측센서(5)로 또한 링크(7)를 통하여 좌측센서(5)와 일체로 우측으로 회전되어 그의 누름 돌출부(5c)가 우측 이동 접촉 부재(10)로 부터 윗쪽으로 떨어지도록 되어 우측 콘택트 어셈블리(62)는 개방 또는 턴오프 됨으로써 우측 콘택트 어셈블리(61)가 돌발적으로 폐쇄 또는 턴온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고안의 봉투 오프너의 작동에 있어서, 오프너의 가이드 레인(3)을 통하여 지나가게 되는 봉투(1)의 머리부(1a)가 지속적으로 머리부(1a)가 완전히 모두 절단될때까지 좌측센서(5)를 밀게되기 때문에 본 고안의 오프너는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두께의 봉투들을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봉투 오프너에 있어서,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41, 42)가 전술한 바와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봉투(1)의 머리부 또는 밀봉부(1a)와 마찰접촉을 하게 되므로 이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41, 42)는 봉투(1)의 머리부 또는 밀봉부(1a)를 강력하게 잡아 당기며 절단하게 된다.
또한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봉투 오프너에 있어서 가이드 레인(3)의 뒤벽과 상측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L)의 뒤표면 사이와 수평거리(ℓ)은 봉투(1)의 머리부 또는 밀봉부(1a)의 절단폭(ℓ1)과 일치하게 되는데, 봉투(1)의 머리부(1a)의 절단부(ℓ1)은 상기 수평거리(ℓ)를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절되어질 수 있다.
봉투(1)의 머리부(1a)가 완전히 절단되어지면, 바아 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5)들 및 링크(7)가 중력에 의해 그들의 초기 위치들로 돌아가게 되어 좌측 이동접촉부재(10, 10')가 좌측 고정 접촉부재(11, 11')로 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어서 좌측 이동 접촉부재(10, 10')가 그들의 초기위치들로 탄성력에 의해 되어돌아가게 되어 좌측 콘택트 어셈블리(61)가 턴오프된 상태가 됨으로써 모터(M)의 작동이 정지 되고 이어서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41, 42)의 작동도 또한 정지된다.
걸과적으로 봉투(1)의 머리부(1a)의 절단작업이 종료 된후에는 바아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5)들 및 좌측 콘택트 어셈블리(6)가 그들의 초기 위치들로 되돌아가게 되어 센서(5)들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이드레인(3)을 가로질러 위치되어지게 된다.
이제 제8도의 경우에 있어서 봉투(1)의 머리부 또는 밀봉부(1a)의 절단 작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봉투(1)외 머리부 또는 밀봉부(1a)가 우측 입구(3a)를 통해 오프너의 가이드 레인(3)안으로 삽입되어지면 우측센서(5)가 삽입되어진 봉투(1)의 머리부(1a)에 의해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결국 양 센서(5)가 모두 지지핀들 둘레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래서 우측 센서(5)의 누름 돌출부(5c)가 우축 이동 접촉부재(10, 10')를 아래로 누르게 된다.
그러면 우측 이동접촉부재(10, 10')는 콘택트 어셈블리(62)를 폐쇄 또는 턴온 되도록 우측 고정 접촉부재(11, 11')와 전기 접촉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역전 가능한 전기모터(M)의 회전방향이 설정되어진다.
그 다음 제8도의 경우에 있어서, 모터(M)가 제7도의 경우의 모터(M)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또한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41, 42)와 결합되어진 기어(25, 26)가 제7도의 경우의 기어(25, 26)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어서 봉투(1)의 머리부(1a)는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41, 42)와 마찰 접촉을 하게되고 좌측으로 가이드 레인(3)을 통과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절단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제8도의 경우에 있어서 봉투(1)의 머리부(1a)가 완전히 절단될때까지 우측 센서(5)를 계속 회전시키게 되므러 우측 콘택트 어셈블리(62)는 제8도에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41, 42)들을 계속 회전시키도록 폐쇄 또는 켜진 상태로 지속 되어진다.
한편 이때 좌측센서(5)의 누름 돌출부(5c)는 좌측 이동 접촉부재(10, 10')로 부터 윗쪽으로 분리되어져 있기 때문에, 좌측 이동 접촉부재 (10, 10')가 돌발적으로 좌측 고정접촉부재 (11, 11')와 전기 접촉이 이루어지게되는 위험은 없게 된다.
봉투(1)의 머리부(1a)의 절단작업이 완료되면 우측센서(5)가 봉투(1)의 머리부(1a)로 부터 해제되어지게 되므로 중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되돌아 가게되고 그의 누름 돌출부(5c) 또한 우측센서(5)의 중력 귀환을 강화시 키는 우측 이동 접촉부재(10, 10')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되돌아 가게 된다.
이때 우측센서(5)와 결합된 링크(7) 및 좌측센서(5) 또한, 중력에 의해 그들의 초기위치로 되돌아가게 되어 우측 콘택트 어셈블리(62)는 개방 또는 턴오프되게 되어 모터(M)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로타리 디스크 브레이드(41, 42)또한 작동이 정지하게 된다.
바아 타입의 센서(5)들이 그들의 초기 위치로 되돌아 가게되면 다시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이드 레인(3)을 교차하여 위치되어지게 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이드 레인(3)의 우측입구(3a)를 통하여 오프너의 가이드 레인(3)안으로 삽입되 어진 봉투(1)의 머리부(1a)의 절단작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완료 되어진다.
그런데 본 고안의 봉투 오프너의 상기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에 있어서, 바아 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5) 들의 상단부에 형성되어진 누름 돌출부(5c)위치에 자석체, 마찰제 등과 같은, 돌출부들 및 해당 오목부재들로 이루어진 적합한 맞물림체와 같은 다른 수단을 채택 적용시키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봉투 오프너에 있어서, 필요하다면, 센서(5)의 수를 하나로 할수 있고 센서(5)들이 수평하게 설치되어질 수도 있다.
Claims (1)
- 양쪽에 모두 입구가 형성되어 있어 봉투가 어느쪽으로든 삽입되어질 수 있는 봉투 오프너로서 봉투가 이 오프너를 통과함에 따라 봉투의 머리부가 자동적으로 절단되어지고 역전 가능한 전기모터, 직립되어 설치되고 상기 역전 가능한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한상의 로타리 디스크블레이드, 상기 봉투를 안내하도록 수평 하게 뻗어있고 상기 한쌍의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들에 의해 차단되어져 상기 한쌍의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 들이 이것을 교차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레인, 가이드 레인을 교차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인내에 직립으로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의 양쪽에 위치되어지는 한쌍의 바아타입의 회전가능한 센서, 봉투가 상기 가이드 레인을 통과함에 따라 상기 센서들중의 하나가 회전되어질때 센서들을 일체로 움직히게 하도록 상기 한쌍의 바아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들을 서로 연결해주는 링크, 상기 한쌍의 바아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들과 결합된 한쌍의 콘택트 어셈블리들로서 이들중의 하나가 봉투의 머리부가 상기 오프너의 양쪽 각 입구로 부터 삽입되어 양쪽 각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레인을 통과하여 상기 바아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들중의 하나가 회전되어질때 상기 역전 가능한 전기모터 및 상기 로타리 디스크 블레이드들의 회전방향을 설정하도록 상기 바아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들중의 하나에 의해 작동 되어지고 상기 링크를 통하여 상기 바아타입의 회전 가능한 센서들중의 다른 하나와 결합된 다른 하나가 개방되거나 턴오프 되어 남게 되는 위치로 이동하도 록 된 한쌍의 콘택트 어셈블리 등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입구형식의 봉투 로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15895 | 1988-09-05 | ||
JP1988115895U JPH0346957Y2 (ko) | 1988-09-05 | 1988-09-0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5606U KR910005606U (ko) | 1991-04-22 |
KR910009108Y1 true KR910009108Y1 (ko) | 1991-11-25 |
Family
ID=14673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90013207U KR910009108Y1 (ko) | 1988-09-05 | 1989-09-04 | 봉투 오프너(opener)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4926729A (ko) |
JP (1) | JPH0346957Y2 (ko) |
KR (1) | KR910009108Y1 (ko) |
DE (1) | DE3927322A1 (ko) |
GB (1) | GB222370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17078A (en) * | 1990-01-24 | 1991-05-21 | Molex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ading components from tape carrier packaging |
US5410929A (en) * | 1993-05-19 | 1995-05-02 | Fibercore Recycle Systems, Inc. | Device for recycling a tube such as a core |
US5515800A (en) * | 1994-06-10 | 1996-05-14 | Thompson; Thomas M. | Method for making wearing apparel from envelope portions |
NL9401553A (nl) * | 1994-09-23 | 1996-05-01 | Hadewe Bv |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openen van een enveloppe. |
US5907946A (en) * | 1996-12-11 | 1999-06-01 | Fuji Photo Film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cking a photosensitive tabular printing plate |
US20010047708A1 (en) | 1999-04-01 | 2001-12-06 | Andre A. Lavallee | Paper removal device |
US6196393B1 (en) | 1999-04-02 | 2001-03-06 | Inscerco Mfg., Inc. | Extraction and scanning system |
GB0002024D0 (en) * | 2000-01-29 | 2000-03-22 | Neopost Ltd | Mail opener apparatus |
GB0123438D0 (en) * | 2001-09-28 | 2001-11-21 | Pitney Bowes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envelope flap opening |
US20040016129A1 (en) * | 2002-07-25 | 2004-01-29 | Lammers Anthony J. | Portable handheld powered envelope opener with grip handle |
KR100625187B1 (ko) * | 2005-05-12 | 2006-09-20 |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 봉투 절단기 |
US8443518B2 (en) * | 2007-12-28 | 2013-05-21 | Stephen Fisher | Blister package opener |
DE102018216933A1 (de) * | 2018-10-02 | 2020-04-02 | Festool Gmbh | Elektrowerkzeug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607421A (en) * | 1947-04-18 | 1952-08-19 | American Perforator Company | Perforator control mechanism |
US2672930A (en) * | 1949-07-01 | 1954-03-23 | Frederick C Iffland | Motor-driven envelope opener |
US2656889A (en) * | 1949-10-07 | 1953-10-27 | Ind Molded Products Co Inc | Automatcally operated cutting wheel for opening envelopes |
US3381564A (en) * | 1965-12-08 | 1968-05-07 | Bruce W. Whiteford | Automatic feeding power-operated envelope opener |
US4419915A (en) * | 1982-01-19 | 1983-12-13 | The Staplex Company, Inc. | Envelope opener device |
-
1988
- 1988-09-05 JP JP1988115895U patent/JPH0346957Y2/ja not_active Expired
-
1989
- 1989-08-08 US US07/390,854 patent/US4926729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9-08-18 DE DE3927322A patent/DE3927322A1/de not_active Withdrawn
- 1989-09-01 GB GB8919853A patent/GB2223709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9-09-04 KR KR2019890013207U patent/KR91000910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GB2223709B (en) | 1992-12-09 |
GB2223709A (en) | 1990-04-18 |
JPH0346957Y2 (ko) | 1991-10-04 |
JPH0236495U (ko) | 1990-03-09 |
DE3927322A1 (de) | 1990-03-22 |
KR910005606U (ko) | 1991-04-22 |
US4926729A (en) | 1990-05-22 |
GB8919853D0 (en) | 1989-10-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10009108Y1 (ko) | 봉투 오프너(opener) | |
US4477702A (en) | Closure indicator for the door of a baling press | |
US5146712A (en) | Power sliding window for truck cab | |
KR970027495A (ko) | 세탁기도어 자동개폐장치 | |
US4508242A (en) | Toothpaste extractor | |
GB2327662A (en) | Rotary can opener | |
KR100303815B1 (ko) | 슬라이드도어개폐장치 | |
JPS5894158A (ja) | テ−プ収納筐体の誤插入防止装置 | |
JP2597524Y2 (ja) | サンルーフ装置 | |
JPS5931167Y2 (ja) | 電動式大根おろし器 | |
JPH0242485Y2 (ko) | ||
JPH0639650Y2 (ja) | 封筒開封装置 | |
JPS6142050Y2 (ko) | ||
JPS6141548Y2 (ko) | ||
JPH0330977Y2 (ko) | ||
KR950001883Y1 (ko) | 팬히터의 온풍배출구 개폐장치 | |
JPH0380879U (ko) | ||
KR900003601Y1 (ko) | Cdp의 디스크 클램퍼 구동 장치 | |
JPS61226326A (ja) | 車両の開閉式ル−フにおける駆動装置 | |
JPH0255700B2 (ko) | ||
JPS5911713Y2 (ja) | 電動式大根おろし器 | |
JPH059889B2 (ko) | ||
JPS5856608Y2 (ja) | 調理器 | |
KR0113408Y1 (ko) | 슬라이드 도어형 쇼우케이스의 자동 폐문장치 | |
JPH0730873Y2 (ja) | 電動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角度調節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71022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