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002Y1 - 뷰우 파인더의 중심점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뷰우 파인더의 중심점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002Y1
KR910009002Y1 KR2019880009015U KR880009015U KR910009002Y1 KR 910009002 Y1 KR910009002 Y1 KR 910009002Y1 KR 2019880009015 U KR2019880009015 U KR 2019880009015U KR 880009015 U KR880009015 U KR 880009015U KR 910009002 Y1 KR910009002 Y1 KR 9100090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point
output
display signal
gat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90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948U (ko
Inventor
류성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90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002Y1/ko
Priority to NL8901448A priority patent/NL192483C/nl
Priority to GB8913293A priority patent/GB2220541B/en
Priority to JP1989068055U priority patent/JPH0724855Y2/ja
Priority to US07/363,712 priority patent/US5023722A/en
Publication of KR9000019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9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0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0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0Circuit details for pick-up tu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iewfinder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Studio Circuit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뷰우 파인더의 중심점 발생회로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각부 파형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해 화면에 표시되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평 표시 신호 발생부 20 : 수직 표시 신호 발생부
30 : 중심점 표시 신호 합성부 40 : 비데오 신호 합성부
IC1-IC4 : 단안정 멀티 바이브 레이터 IC5 : 8비트 카운터
SW1, SW2 : 아날로그 스위치 C1-4 : 콘덴서
SW1, SW2 : 아날로그 스위치
본 고안은 감시용 모니터 및 카메라의 뷰우 파인더(EVF)등에서 화상의 중심을 잡기 위한 뷰우 파인더의 중심점 발생 회로에 관한 것이다.
뷰우 파인더는 카메라가 포착하는 화상을 감시하는 것으로 화면의 중심이 잡히지 않으면 올바른 화상이 녹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에는 화상의 중심을 잡기 위하여 촬상관의 전면에 중심점 표시가 된 유리판을 부착해 주어 사용하였으나 이는 기구적으로 화면의 중심점을 잡아주게 되어 실질적인 화상의 중심점과는 오차가 발생되는 것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제1도에서와 같이 수평라인 카운터(1)에서 24H(H : 1 수평주기)정도의 수평라인을 출력시켜 그 출력을 10진 카운터(3)의 클럭단자(CK)와 낸드 게이트(N1)의 입력측에 인가시켜 10진 카운터(3)에서 카운트하고 클럭 발생기(2)에서 발생시킨 클럭신호를 10진 카운터(4)의 클럭단자(CK)에 입력시켜 주어 수직라인을 만들게 한후 10진 카운터(3)의 출력이 낸드 게이(N1)를 통하고 낸드 게이트(N2)에서 수직 라인과 합쳐지게 하므로써 화면상의 중심점을 표시해 주도록 하였으나 이와같은 회로는 변도의 카운터가 필요하게 되고 또한 수평 및 수직의 10진 카운터가 필요하게 되므로 구성소가가 많아져 회로가 복잡하고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보다 간단한 회로의 구성으로 화면상의 중심점에 열십자 표시를 할 수있도록 하므로써 화상의 정확한 중심점을 잡아 줄수 있게 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수평 드라이브 펄스를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IC1-IC4)로 구성된 수평 표시 신호 발생부(10)에 인가시켜 주어 수평 중심점 표시신호를 발생시키게 구성하고 수평 드라이브 펄스를 수직 드라이브 펄스로 리셋트 되는 8비트 카운터(IC5)로 카운트 하여 수직 중심점 표시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수직 표시 신호 발생부(20)를 구성하며 상기 수평 표시 신호 발생부(10)와 수직 표시 신호 발생부(20)의 출력을 합성시켜 중심점표시 신호를 출력시키는 중심점 표시 신호 합성부(30)를 구성한후 상기 중심점 표시 신호 합성부(30)의 중심점표시 출력이 비데오 신호와 합성되어 출력되도록 비데오 신호 합성부(40)를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수평 표시 신호 발생부(10)는 수평 드라이브 펄스가 시정수용 가변저항(VR1)과 콘덴서(C1)가 연결된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IC1)를 통한후 시정수용 가변저항(VR2)과 콘덴서(C2)가 연결된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IC2)를 통하여 오아게이트(OR1)의 일측에 인가되게 하고 또한 수평 드라이브 펄스가 시정수용 가변저항(VR3), (VR4)과 콘덴서(C3), (C4)가 연결된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IC3), (IC4)를 통하여 앤드 게이트(A3)의 일측에 인가되게 구성하되 각 단안정 머티 바이브레이터(IC1-IC4)의 입력단자(B)와 리셋트 단자(R)에는 전원(Vcc)이 저항(R1-R8)을 통하여 분배된 전압으로 인가되게 구성한다.
그리고 수직 표시 신호 발생부(20)는 수평드라이브 펄스를 수직 드라이브 펄스가 인가되는 기간동안 8비트카운터(IC5)로 카운트 한후 카운트된 출력이 노아게이토(NOR1)와 낸드게이트(N1)및 앤드게이트(A1), (A2)를 통하여 앤드게이트(A3)와 오아게이트(○R1)의 타측에 인가되게 구성한다.
이때 수직 표시 신호 발생부(20)의 각 게이트는 수평라인이 131번째 일때에만 앤드게이트(A2)의 출력측으로 하이레벨을 출력시키게 하고 수평라인이 128에서 134번째 일때에는 앤드게이트(A1)의 출력측으로 하이레벨을 출력시키게 된다.
또한 중심점 표시 신호 합성부(30)는 수평 표시 신호 발생부(10)와 수직 표시 신호 발생부(20)의 출력을 오아게이토(OR1)와 앤드게이트(A3)를 통하여 합성시킨후 상기 앤드게이트(A3)의 출력으로 구동되는 3-스테이트 버퍼(IC6)를 통하여 오아게이토(OR1)의 출력인 중심점 표시 열십자 신호를 출력시키게 구성한다.
그리고 비데오 신호 합성부(40)는 중심점 표시 신호 합성부(30)의 중심점 표시 아날로그 스위치(SW2)를 통하여 인가되는 비데오 신호와 아날로그 스위치(SW1)에서 합성되어 출력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아날로그 스위치(SW1)에는 중심점 선택용 스위치(SW3)를 연결하여 중심점 표시를 사용자가 임의로 넣거나 없앨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수평 표시 신호 발생부(10)에서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IC1-IC4)의 입력단자(B)와 리셋트 단자(R)에는 전원(Vcc)이 저항(R1-R8)으로 분배되어 입력되므로 두단자는 하이레벨로 고정되게 되며 제3a도에서와 같은 비데오 신호는 본 고안 회로의 전단에서 수평 드라이브 펄스와 수직드라이브 펄스로 분리된후 본 고안회로에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제3b도에서와 같은 펄스폭을 갓는 수평 드라이브 펄수가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IC1)의 입력단자(A)에 인가되게 하고 가변저항(VR1)과 콘덴서(C1)의 시정수를 조절해 주면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ICl)의 출력단자(Q)로는 제3c도에서와 같은 펄스로 고정 출력시키게 되며 이같은 펄스를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IC2)의 입력단자(A)에 인가되게 하고 가변저항(VR2)과 콘덴서(C2)의 시정수를 조절해 주면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IC2)의 출력단자에서는 제3d도에서와 같은 펄스를 출력시켜 오아게이트(OR1)의 일측에 입력시키게 된다.
즉 오아게이토(OR1)의 일측에 입력되는 제3d도에서와 같은 파형은 한화면의 수평 주사기간인 1H에서 525H까지의 각 수평 주사 기간의 중심에서 좌우로 일정기간 하이레벨로 입력되게 되므로써 이를 디스플레이 시킬 경우 화면에는 제4a도에서와 같이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제3b도에서와 같은 수평 드라이브 펄스를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IC4)의 입력단자(A)에 인가되게 하고 가변저항(VR4)과 콘덴서(C4)에 의한 시정수를 조절해 주면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IC4)의 출력단자(Q)에서는 제3e도에서와 같은 펄스를 출력시키게 되며 이를 다시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IC3)의 입력단자(A)에 인가시키고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IC3)에 연결된 가변저항(VR3)과 콘덴서(C3)의 시정수를 조절해 주면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IC3)의 출력단자(Q)로 제3f도에서와 같은 펄스를 출력시켜 앤드게이트(A3)의 일측에 입력시키게 된다.
즉 앤드게이트(A3)의 일측에 입력되는 제3f도에서와 같은 파형은 제3d도에서와 같은 파형과 같으나 이를 디스플레이 시킬경우 화면에 표시되는 두께가 제4d도에서와 같이 제4a도보다는 더 넓게 표시된다.
결국 수평 드라이브 펄스를 가변저항(VR1-VR4)과 콘덴서(C1-C4)로 시정수가 조징되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IC1-IC4)로 구성된 수평 표시 신호 발생부(10)에 인가시키면 오아 게이트(OR1)와 앤드게이트(A3)의 일측에는 제3d도, 제3e도에서와 같은 펄스를 입력시키게 되며 이러한 입력 펄스를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킬 경우 제4a도, 제4d도에서와 같이 표시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제3b도에서와 같은 수평 드라이브 펄스는 8비트 카운터(IC5)의 클럭단자(CK)에 인가되어 리셋트단자(R)에 인가되는 수직 드라이브 펄스의 1주기 동안 8비트 출력으로 카운트 되며 수평 드라이브 펄스를 8비트 출력으로 카운트 하는 8비트 카운터(IC5)의 출력으로 노아게이트(NR1)와 낸드게이트(N1)를 통한후 각각 앤드게이트(1), (A2)의 입력측에 인가된다.
따라서 8비트 카운터(IC5)의 출력측에 연결된 노아게이트(NOR1)와 낸드게이트(N1) 및 앤드게이트(A1), (A2)를 조합해 줌에 따라서 앤드게이트(A2)의 출력측으로는 525 수평라인중 131번째 수평라인에서 하이레벨을 출력시키고 앤드게이트(A1)의 출력측으로는 128번째 수평라인에서부터 134번째 수평라인까지 하이레벨을 출력시켜 각각 오아게이트(OR1)와 앤드게이트(A3)의 입력측에 인가시킨다.
즉 131번째 수평라인일때에는 8비트 카운터(IC5)의 출력이 8비트"100000011"로 출력되므로 앤드게이트(A2)의 입력측에는 모두 하이레벨이 인가되므로써 앤드게이트(A2)의 출력측으로는 131번째 수평라인 일때에만 하이레벨을 출력시키게 된다.
이때 앤드게이트(A2)의 출력을 디스플레이 시킬경우 화면에 제4b도에서와 같이 표시되게 되며 이러한 앤드게이트(A2)의 출력은 오아게이트(○R1)의 타측에 인가되게 한다.
그리고 128번째 수평라인에서 부터 134번째 수평라인까지는 8비트 카운터(IC5)의 출력이 8비트 "1000000"에서부터 "10000110"로 출력되므로 노아게이트(NOR1)와 낸드게이트(N1)의 출력이 인가되는 앤드게이트(A1)에는 모두 하이레벨이 인가되므로 앤드게이트(A1)의 출력측으로는 128번째 수평라인에서 부터 134번째 수평라인까지 하이레벨을 출력시키게 된다.
이때 앤드게이트(A1)의 출력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킬 경우 화면에는 제4e도에서와 같이 표시되게되며 이러한 앤드게이트(A1)의 출력은 앤드게이트(A3)의 타측에 인가되게 된다.
이와같은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IC2)와 앤드게이트(A2)의 출력은 오아게이트(OR1)에서 논리합 되어진 후 3-스테이트 버퍼(IC6)에 인가됨과 동시에 아날로그 스위치(SW2)에 인가되어 비데오 신호 입력을 제어해 주게 되며,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IC3)와 앤드게이트(A1)의 출력은 앤드게이트(A3)에서 논리곱되어진후 3-스테이트 버퍼(IC6)의 제어단에 인가되어 앤드게이트(A3)의 출력이 하이레벨 일때에만 3-스테이트 버퍼(IC6)가 '온'되어 오아게이트(OR1)의 출력을 이날로그 스위치(SW1)에 인가시키게 된다.
즉 오아게이트(OR1)에서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IC2)의 출력과 앤드게이트(A2)의 출력을 논리합시키게 되므로 오아게이토(OR1)의 출력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킬경우 제4c도에서와 같이 표시되고 앤드게이트(A3)에서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IC3)의 출력과 앤드게이트(A1)의 출력을 논리곱시키게 되므로 앤드게이트(A3)의 출력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킬경우 제4d도, 제4e도에서 서로 겹치는 부분만 표시된다.
이때 3-스테이트 버퍼(IC6)는 앤드게이트(A3)의 출력이 하이레벨 일때만 '온'되게 되므로 3-스테이트 버퍼(IC6)의 출력을 디스플레이 시킬경우 제4f도와 같이 표시되어진다.
그리고 3-스테이트버퍼(IC6)의 출력은 아날로그 스위치(SW1)에 인가되게 되며 오아게이트(OR1)의 출력은 아날로그 스위치(SW2)의 제어신호로 인가되게 한다.
여기서 아날로그 스위치(SW2)는 오아게이트(OR1)의 출력이 하이레벨일때 '오픈'되어 비데오 입력을 차단시키고 로우레벨일때는 '온'되어 비데오 입력을 아날로그 스위치(SW1)에 인가시키게 된다.
즉 아날로그 스위치(SW2)는 오아게이트(OR1)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게 되며 3-스테이트 버퍼(IC6)를 통과한 열십자 중심점 표시신호가 표시 신호를 비데오 신호에 실어 주기 위하여 열십자 중심점 위치되는 곳의 비데오 신호는 차단시키고 그 이외의 곳에서는 비데오 신호를 차단시키지 않게 된다.
그리고 3-스테이트 버퍼(IC6)에서 출력된 열십자 중심점 표시신호와 아날로그 스위치(SW2)에 인가된 비데오 신호는 아날로그 스위치(SW2)에 인가되어 스위치(SW3)의 '온''오프'에 따라 출력이 선택되게 된다.
즉 스위치(SW3)를 '오프'시킬 경우 아날로그 스위치(SW1)에서는 3-스테이트 버퍼(IC6)출력과 아날로그스위치(SW2)의 출력을 합성시켜 출력되게 하므로써 뷰우파인더의 화면에는 촬영되는 비데오 신호와 함께 제4f도에서와 같이 화면의 중심부에 열십자의 중심점 표시가 표시되게 되어 사용자는 기구적인 중심점 표시보다 정확하게 화상의 중심을 잡을수 있게 된다.
그러나 스위치(SW3)를 '온'시킬 경우 아날로그 스위치(SW1)에서는 아날로그 스위치(SW2)를 통과한 비데오 신호만을 출력시키게 되므로써 열십자의 중심점 표시가 되지 않은 비데오 신호가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따라서 아날로그 스위치(SW1)에 연결된 스위치(SW3)를 '온''오프'함에 따라서 열십자의 중심점 표시가 '온''오프'되어 필요에 의하여 중심점 표시를 넣거나 뺄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수평표시 신호 발생부와 수직 표시 신호 발생부에 수평 드라이브 펄스를 인가시켜 주어 수평 표시 라인과 수직 표시 라인 신호를 출력시켜 중심점 표시 신호 합성부에서 합성시킨후 합성된 열십자의 중심점 표시 출력은 비데오 신호 합성부에서 비데오 신호와 합성시켜 출력시킴으로써 뷰우 파인더에서는 회로적으로 중심점이 잡힌 화상을 모니터링 할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회로적으로 회상의 중심점을 정확히 잡아 주어 기구적인 중심점 표시보다 정확히 중심점을 맞출수 있어 화상이 틀어지거나 밸런스가 흐트러지는 등의 녹화 에러를 없앨수 있으며 또한 직선성(Iinearity)조정에도 편리하고 열십자의 중심점 표시를 없앨수도 있어 사용상 편리한 것이다.

Claims (2)

  1. 수평 드라이브 펄스가 인가되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IC1-IC4)의 시정수를 가변저항(VR1-VR4)과 콘덴서(C1-C4)로 조정해 주어 열십자 중심점의 수평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평표시 신호 발생부(10)와, 수평 드라이브 펄스를 수직 드라이브 펄스에 의해 리셋트 되는 8비트 카운터(IC5)로 카운트하여 열십자 중심점의 수직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직 표시 신호 발생부(20)와, 상기 수평 표시 신호 발생부(10) 및 수직 표시 신호 발생부(20)의 표시신호 출력을 합성시켜 열십자 중심점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중심점 표시신호 합성부(30)와, 상기 중심점 표시 신호 합성부(30)의 출력신호를 비데오 신호와 합성시켜 출력시키는 비데오신호 합성부(40)로 구성된 뷰우 파인더의 중심점 발생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중심점 표시 신호 합성부(30)는 열십자 중심점의 수평 및 수직 표시 신호를 오아게이트(OR1)에서 논리합시키고 앤드게이트(A3)에서 논리곱시키게 연결하고 상기 앤드게이트(A3)의 출력으로 3-스테이트 버퍼(IC6)의 구동를 제어하여 오아게이트(OR1)의 출력이 3-스테이트 버퍼(IC6)를 통하여 출력되게 연결 구성시킨 뷰우 파인더의 중심점 발생회로.
KR2019880009015U 1988-06-11 1988-06-11 뷰우 파인더의 중심점 발생회로 KR9100090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9015U KR910009002Y1 (ko) 1988-06-11 1988-06-11 뷰우 파인더의 중심점 발생회로
NL8901448A NL192483C (nl) 1988-06-11 1989-06-07 Schakeling voor het opwekken van een lijnenbeeld in een beeldzoeker.
GB8913293A GB2220541B (en) 1988-06-11 1989-06-09 A circuit for generating a center point in a viewfinder
JP1989068055U JPH0724855Y2 (ja) 1988-06-11 1989-06-09 ビューファインダの中心点発生回路
US07/363,712 US5023722A (en) 1988-06-11 1989-06-09 Circuit for generating a center point of a view fi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9015U KR910009002Y1 (ko) 1988-06-11 1988-06-11 뷰우 파인더의 중심점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948U KR900001948U (ko) 1990-01-19
KR910009002Y1 true KR910009002Y1 (ko) 1991-11-18

Family

ID=19276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9015U KR910009002Y1 (ko) 1988-06-11 1988-06-11 뷰우 파인더의 중심점 발생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23722A (ko)
JP (1) JPH0724855Y2 (ko)
KR (1) KR910009002Y1 (ko)
GB (1) GB2220541B (ko)
NL (1) NL19248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7217A (en) * 1992-01-08 1999-02-02 Canon Kabushiki Kaisha Photographing apparatus and lens position contro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58474A (fr) * 1963-02-27 1964-04-17 Thomson Houston Comp Francaise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et procédés de contrôle de la télévision en couleurs
US4190834A (en) * 1978-10-16 1980-02-26 Tektronix, Inc. Circuit and method for producing a full-screen cross-hair cursor on a raster-scan type display
DE3024260A1 (de) * 1980-02-25 1981-09-10 Tektronix, Inc., 97005 Beaverton, Oreg. Schaltung und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fadenkreuz-cursors auf dem gesamten schirm einer anzeige des rastertyps
DE3166147D1 (en) * 1980-06-24 1984-10-25 Link Electronics Ltd A viewfinder for a television camera
US4589031A (en) * 1982-06-30 1986-05-13 Canon Kabushiki Kaisha Video camera
JPS5950671A (ja) * 1982-09-16 1984-03-23 Olympus Optical Co Ltd テレビジヨンカメラ等の焦点情報表示方法
JPS6017068U (ja) * 1983-07-12 1985-02-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焦点表示回路
US4668947A (en) * 1983-08-11 1987-05-26 Clarke Jr Charles J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ursors for a raster graphic display
JPS61260793A (ja) * 1985-05-14 1986-1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装置
JPS633669U (ko) * 1986-06-24 1988-01-11
US4837633A (en) * 1987-06-22 1989-06-06 Parra Jorge M Electronic boundary framing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20541A (en) 1990-01-10
KR900001948U (ko) 1990-01-19
US5023722A (en) 1991-06-11
NL192483C (nl) 1997-08-04
GB8913293D0 (en) 1989-07-26
GB2220541B (en) 1993-01-06
JPH0724855Y2 (ja) 1995-06-05
NL192483B (nl) 1997-04-01
JPH01179673U (ko) 1989-12-22
NL8901448A (nl) 199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002Y1 (ko) 뷰우 파인더의 중심점 발생회로
US4849783A (en) Information setting apparatus for a camera
JPS60226280A (ja) 測距視野選択装置
US3502804A (en) Video monitor indicating means
US4302780A (en) Photometric system
JPH03187580A (ja) Afおよびaeの領域を任意に設定できるカメラ
JPS5814677A (ja) ビデオカメラの絞り制御回路
KR0161400B1 (ko) 디지탈 영상 신호 처리용 안정된 영상 제어 신호 발생 장치
KR910006315Y1 (ko) 모니터의 화면 분할회로
KR900005149Y1 (ko) 비디오 시스템제어 신호의 콘트롤 그래프 표시회로
JPS55150676A (en) Picture synthesizing unit
JPS6468181A (en) Video camera
KR900006420Y1 (ko) 비디오 카메라의 상태 신호 표시회로
DE3743937A1 (de) Vorrichtung zum feststellen eines scharfstellzustandes
JPH01174176A (ja) テレビカメラの焦点調整方法及び装置
GB1416380A (en) Device scope
JPH06160171A (ja) 振動観察装置用ストロボ制御装置
DE4330786C2 (de) Fernsehkamera
SU858766A1 (ru) Телевизионный измеритель зрачковых реакций
JPH0620264B2 (ja) サンプリングエリア設定回路
JPS55109902A (en) Oblique image pickup correction system of subject size measuring instrument
JPH0112400Y2 (ko)
JPH05183799A (ja) 画像入力回路
JPH0748825B2 (ja) 電子望遠付撮像装置
JPH0722919A (ja) 周波数逓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