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487B1 - 직선 안내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직선 안내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487B1
KR910008487B1 KR1019880013043A KR880013043A KR910008487B1 KR 910008487 B1 KR910008487 B1 KR 910008487B1 KR 1019880013043 A KR1019880013043 A KR 1019880013043A KR 880013043 A KR880013043 A KR 880013043A KR 910008487 B1 KR910008487 B1 KR 910008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arrel
coarse
guide
linea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090A (ko
Inventor
다까오 마기
대쓰야 하시모도
Original Assignee
오림파스 고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시모야마도시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림파스 고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시모야마도시로 filed Critical 오림파스 고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7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24Base structure
    • G02B21/26Stages; Adjusting mean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24Base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 Y10T74/1967Rack and pin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Instruments For Measurement Of Length By Optical Mea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선 안내 구동장치
제1도는 이 발명에 의한 직선안내 구동장치의 한 실시예로서 측정용 현미경 준초부에 사용한 직선 안내 구동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준초부본체 2 : 현미경본체
3 : 가이드 4 : 경통지지대
5 : 볼 6 : 가이드축
7 : 코일스프링 8 : 지지암
9 : 경통보지판 10 : 경통
11 : 조미동공동축 핸들 13 : 미동핸들
15 : 조동핸들 16 : 구동축
16a : 피니온 20 : 록핸들
22 : 랙 22a : 부재
23 : 광학식 거리계
이 발명은 직선 안내구동장치 특히 측정용 현미경 준초부(準焦部)의 경통(鏡筒)의 상하운동등에 사용되는 직선 안내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측정용 현미경 경통의 상하운동등에 사용되고 있는 직선안내 구동장치는 현미경본체등의 부동부에 설치되어 있어 경통지지부등의 가동부를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부동부에 지지되고 또한 피니온이 있는 구동축과, 상기 가동부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피니온과 맞물리는 랙(rack)을 구비하고 있는데 종래의 것은 안내수단의 한쪽에 피니온과 랙을 배치하기 때문에 피니온에 의하여 랙을 구동하였을 때 회전모멘트가 발생하며 더구나 상승시와 하강시에는 회전모멘트의 방향이 반대가 되므로 가동부는 곧은 운동의 정밀도를 유지하지 못하는 즉, 경통의 중심축이 흔들려 측정오차를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측정용 현미경이 광학식 거리계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는 부동부에 설치된스케일과 가동부에 설치된 일덱스(index)의 간격이 좁아야 하기 때문에 가동부의 곧은 운동의 정밀도가 유지되지 않는다는 것은 극히 중대한 문제였다. 이 발명의 목적은 가동부의 곧은 운동의 정밀도가 높게 유지되도록 한 상기 형식의 직선 안내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발명에 의한 직선 안내 구동장치는 부동부에 설치되어서 가동부를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부동부와 가동부사이에 설치되고 안내수단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한쌍의 구동전달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가동부를 구동하였을 때 구동력전달부에 생기는 회전모멘트는 서로 상쇄하도록 작용하며 그 결과 가동부의 높은 곧은 운동의 정밀도가 확보된다.
다음은 도시한 한 실시예에 기준하여 이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1은 현미경본체(2)에 고정된 준초부본체, 3은 준초부본체 (1)에 고착된 연직방향의 가이드, 4는 가이드(3)에 의하여 연직방향으로 안내되고 또한 가이드(3)와의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볼(5)에 의하여 자기앞쪽(제2도하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경통지지대, 6은 경통지지대(4)의 내측에 설치된 가이드축, 7은 가이드축(6)에 장착되고 경통지지대(4)의 천정부와 준초부 본체(1)에 고착된 지지암(8)간에 설치되어서 경통지지대(4)에 경통(10)의 무게를 경감하기 위한 상방이동습성을 부여하고 있는 코일스프링, 9는 경통지지대(4)에 고정되어서 경통(10)을 지지하는 경통보지판이다.
11은 준초부본체(1)에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하여 설치된 조미동(組微動), 공동축 핸들, 12는 양단에 미동(微動) 핸들(13)이 고착된 미동축, 14는 미동축(1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양단에 조동(組同) 핸들(15)이 고착된 통상의 조동축, 16은 조동축(1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중앙부에 피니온(16a)이 형성된 통상의 구동축, 17은 조동핸들(15)에 설치된 중간기어등을 갖추고 미동핸들(13)과 구동축(16)간에 게재시킨 감속기어기구, 18은 구동축(16)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동축(16)에 장착되고 준초부본체(1)에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중앙부전축(제2도에서 중앙부하측)이 절삭된 핸들통 19는 핸들통(18)에 나사맞춤되고 조동핸들(15)과의 사이에 탄성가업부재(19a)를 개재시킴으로써 조동핸들(15)에 마찰저항을 부여하고 또한 회전하므로서 마찰저항치를 조절할 수 있는 마찰저항 부여핸들, 20은 통상의 조동핸들(15)에 고착된 핀(20a)이 핸들통(18)에 놀수 있게 삽입된 링(20b)에 결합되고 또한 코일스프링(20c)를 통하여 핀(20a)와 연결된 핀(20d)에 접촉하므로서 조동핸들(15)의 회전에 따라서 링(20b)도 회전하게 되어 있지만 임의의 위에서 핸들(20e)을 조여서 링(20b)을 록(lock)하면은 조동핸들(15)을 일단 역전시키고 나서 정회전 시켰을 때 반드시 그 임의의 위치에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는 록 핸들, 21은 미동핸들(13)과 조동핸들(15)간에 개재되어서 양자간에 적당한 마찰저항을 발생시키게 하는 탄성가압부재이다.
그리고 록 핸들(20)의 위치는 제1도와 제2도에서 반대로 되어 있다. 그리고 미동핸들(13)을 돌리면은 감속기어기구(17)을 통하여 구동축(16)이 감속회전되고, 조동핸들(15)을 돌리면은 감속기어기구(17)가 작용하지 않고 직결상태로 구동축(16)이 회전되며 또한 록 핸들(20)을 적의 위치에 조이면은 조동핸들(15)의 회전이 그 위치에서 제한되게 되어 있다.
22는 경통지지대(4)에 고정되어서 가이드레일(3)의 좌우양측에 위치하게 되고 구동축(16)의 피니온(16a)에 맞물리는 2개의 랙(22a)이 있는 랙 부재이다. 23은 준초부본체(1)에 고정된 스케일(24)와 경통지지대(4)에 고정된 헤드(25)와 이 헤드(25)에 지지되고 스케일(24)에 약간의 간격으로 급점배치된 인덱스(26)로 된 광학식거리계로서 이것은 경통지지대(4)의 이동거리 즉 경통(10)의 이동거리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는 상술과 같이 구성되었으므로 조미동공축핸들(11)의 조동핸들(15) 및 미동핸들(13)중, 어느 한쪽을 시계방향(제1도에서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켜 구동축(16)의 피니온(16a)에 의하여 랙 부재(22)를 상승시키도록 구동시켰을 때 좌우의 랙(22a)(22a)에는 가이드레일(3)의 중심축(3a)에 대하여 제1도에서 화살표 M, M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각각 회전모멘트가 생기지만, 이들의 회전모멘트는 서로 역방향이므로 상쇄된다.
조동핸들(15) 또는 미동핸들(13)을 반시계방향(제1도의 화살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는 좌우의 랙(22a)(22a)에는 화살표 M, M와는 반대방향의 회전모멘트가 각각 발생하고 마찬가지로 상쇄된다.
따라서 경통지지대(4)는 상하운동중 좌우로 흔들리는 일 없이 직선운동의 정밀도가 높게 유지되고 경통(10)의 중심축이 흔들려서 측정오차가 생길 염려가 없다. 또 경통지지대(4)의 곧은 정밀도가 높게 유지되므로 광학식 거리계(23)과 인덱스(26)의 간격도 정확히 유지되고 측정 정밀도도 향상된다.
또 종래 하나의 랙에 걸려있던 경통부에 의한 하중이 2개의 랙(22a)(22a)으로 분할되고 랙(22a)의 마모가 감소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이 발명에 의한 직선 안내 구동장치는 상기 실시예와 달리 수평방향 구동식으로 하여도 된다.
또 구동방식으로서는 가동부에 관통하여 나사맞춤하는 좌우 2개의 볼나사를 동기시켜서 구동하는 방식등으로도 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이 발명에 의한 직선안내구동장치는 가동부의 곧음이 정밀도높게 유지되는 실용상 극히 중요한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부동부(1)에 설치되어서 가동부(4), (9), (10)를 안내하는 안내수단(3)과, 상기 부동부(1)와 가동부(4), (9), (10)간에 위치하는 구동력전달부(16a)(22a)를 구비하고 있는 직선안내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부(22a)를 상기 안내수단 (3)의 좌우에 각각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안내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부는 랙-피니온장치 (22a), (16a)로된 직선 안내 구동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4)의 이동거리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부(4)에 고정된 해드(25)와, 이 해드(25)에 지지된 인덱스(26)와, 그리고 부동부(1)에 설치되어서 상기 인덱스(26)와 협동하는 스케일(24)로된 광학식 거리계를 구비하고 있는 직선 안내 구동장치.
KR1019880013043A 1987-10-09 1988-10-06 직선 안내 구동장치 KR9100084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55616 1987-10-09
JP62-255616 1987-10-09
JP62255616A JPH0198751A (ja) 1987-10-09 1987-10-09 直線案内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090A KR890007090A (ko) 1989-06-17
KR910008487B1 true KR910008487B1 (ko) 1991-10-18

Family

ID=17281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043A KR910008487B1 (ko) 1987-10-09 1988-10-06 직선 안내 구동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68118A (ko)
EP (1) EP0311132B1 (ko)
JP (1) JPH0198751A (ko)
KR (1) KR910008487B1 (ko)
DE (1) DE387748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0193B2 (ja) * 1989-09-27 1998-06-25 株式会社ニコン 同軸ハンドル部材の粗微動式駆動装置
DE4434997C2 (de) * 1994-09-30 1997-04-17 Leica Ag Zuschaltbares Rastgesperre
JPH08313786A (ja) * 1995-05-17 1996-11-29 Nikon Corp ハンド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9487A (en) * 1945-02-05 1949-11-29 American Optical Corp Coarse and fine adjustment mechanism for microscopes
US3826559A (en) * 1973-01-03 1974-07-30 Bristoline Inc Adjustable tension control means for microscopes
US4173902A (en) * 1975-09-13 1979-11-13 Nippon Kogaku K. K. Single-axis coarse and fine adjustment device provided with medium adjustment
JPS5940602Y2 (ja) * 1976-06-30 1984-11-1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精密機器の摺動装置
GB2001409B (en) * 1977-06-24 1982-03-17 Cam Gears Ltd Gear assemblies
US4445758A (en) * 1982-06-07 1984-05-01 Bausch & Lomb Incorporated Mechanism for accomplishing coarse and fine adjustments in a microscope
US4676608A (en) * 1985-05-20 1987-06-30 Donald Faubion Measuring microscop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68118A (en) 1990-11-06
DE3877489D1 (de) 1993-02-25
EP0311132B1 (en) 1993-01-13
DE3877489T2 (de) 1993-05-13
EP0311132A2 (en) 1989-04-12
EP0311132A3 (en) 1991-03-20
JPH0198751A (ja) 1989-04-17
KR890007090A (ko) 198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9953A (en) Drive system for mensuration stages or the like
US6518996B1 (en) Compact video inspection apparatus with Y, Z, X compounded measurement axes
US5189805A (en) Coordinate measuring machine
DE68925750T2 (de) Testsystem für einen elektronischen Apparat
KR910008487B1 (ko) 직선 안내 구동장치
US3403448A (en) Gaging device
US4916963A (en) Moving table unit
JPH0345321B2 (ko)
US4383760A (en) Device for positioning an object relative to a carrier means
US5142790A (en) Measuring machine provided with hand grip means for displacement of a measurement head of the machine along three axes
US3485115A (en) Rotary position mechanism
SU1428882A1 (ru) Механизм подачи
KR0175778B1 (ko) 시험측정용 다방향 운동장치
SU129637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становочных перемещений
SU144644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ого исследовани цевочно-зубчатой передачи
SU50220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отклонени от соосности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поверхностей детали относительно оси базовой поверхности
SU1359643A1 (ru) Прибор дл измерени зазоров между шариками и сепаратором подшипника
SU84897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углов
SU84643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шаговых линейныхпЕРЕМЕщЕНий
SU1035405A1 (ru) Накладной прибор дл контрол черв чных изделий
SU49017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юстировки блока магнитных головок
SU83852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пределени износашАРНиРОВ РулЕВыХ Т г
SU172355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мещени приемника излучени
KR930000259Y1 (ko) 제품의 위치 고정 장치
SU1441122A1 (ru) Винтова передач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