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195B1 - 급속 난방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급속 난방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195B1
KR910008195B1 KR1019860006962A KR860006962A KR910008195B1 KR 910008195 B1 KR910008195 B1 KR 910008195B1 KR 1019860006962 A KR1019860006962 A KR 1019860006962A KR 860006962 A KR860006962 A KR 860006962A KR 910008195 B1 KR910008195 B1 KR 910008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ignal
rapid
detecting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6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425A (ko
Inventor
히데오 가와무라
Original Assignee
이스즈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도비야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즈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도비야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이스즈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2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F23N5/242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using electron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1/00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 F02B1/02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with positive ignition
    • F02B1/04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with positive ignition with fuel-air mixture admission into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00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 F02B3/06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with compression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41/00Applications
    • F23N2241/14Vehicle heating,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급속 난방기의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급속 난방기의 제어장치의 일실시예의 블록도.
제2a도 및 제2b도는 그 처리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공기 청정기 3 : 흡기관
4 : 급가열 버너 5 : 열 교환기
6 : 기화 장치(기화 플러그) 7 : 바이패스 밸브
8 : 점화 글로우(glow)플러그 9 : 연료 공급장치
10 : 연료 펌프 11 : 공기 유입구
12 : 공기 유출구 13, 16 : 송풍기
15 : 온풍 센서 17 : 증발기
18 : 온수 통로 19 : 콘트롤러
20 : 발전기 23 : 스타트모우터
25 : 난방 포지션 스위치 26 : 점화 플러그 센서
27 : 예열 완료 램프 28 : 전원 밧테리
29 : 키이 스위치 30 : 기화 플러그 센서
31 : 진공센서 32 : 이상 램프
51 : 바이패스 통로 61 : 기화 글로우 플러그
91a, 91b : 연료 통로 93 : 구동원
94 : 연료 압력 센서 191 : 주 제어부
192, 193 : 브리지 회로 194a∼194e : 개폐기
A, B : 연료 밸브
본 발명의 내연기관에 의하여 구동되는 차량의 실내 난방을 급속히 행하는 급속 난방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급속 난방기의 각 작동 부분의 작동 상태를 감시하고, 작동 부분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 그 이상을 검출하여 급속 난방기의 동작의 정지 및 또는 경고를 하는 급속 난방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실내 난방을 위하여 종래부터 내연기관의 냉각수를 온수관에서 취출하여 이를 히터코어나 송풍기등으로 구성되는 히터 본체로 통하게 하거나 공기를 히터 본체로 송입하여 가열함으로서 실내 난방을 하거나, 또는 내연 기관가는 무관하게 따로 버너로서 연료를 연소시켜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실내 난방을 하는 차량용 난방 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종래의 내연기관의 냉각수를 실내 난방에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냉각 수온의 상승에 시간이 걸리므로 급속한 난방에는 부적당하며, 내연기관가는 별개로 연료를 사용하여 연소 가스 그 자체를 난방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난방용 온풍의 제어방법에 문제점이 있었다. 또 후자의 제안으로는 급속히 실내 난방이 가능하며 소망하는 난방 장소에 따른 실내 난방도 가능하지만, 난방 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분에 이상이 있을때에 검출이나 그 지시 방법이 불충분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차량의 실내 난방을 급속히 행하는 난방기의 각 부분의 이상을 검출하여 난방기의 작동을 정지하는 급속 난방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실내 난방을 급속히 행하는 난방기의 각 부분의 이상을 검출하여 이상 경고를 하는 급속 난방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차량의 실내 난방을 급속히 행하는 난방기의 각 부분의 이상을 검출하여 난방기의 작동을 정지함과 동시에, 이상 경고를 하는 급속 난방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화 플러그속에서 연료를 기화시키고 이에 공기를 혼합하며, 점화 플러그에 의하여 점화되어 연소하는 급 가열 버너와 연소한 혼합기로부터 열 교환을 하여 난방기에 열을 공급하는 열 교환기를 형성한 급속 난방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급 가열 버너 및 열 교환기와 관련하여, 이들 부분의 동작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작동 검출장치와 상기 작동 검출장치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하여 급속 난방기의 동작을 정지하는 장치를 갖는 급속 난방기의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디젤엔진 또는 가솔린 엔진으로된 엔진(1)은 난방용으로 연료를 연소시키며 공기 청정기(2)에서 연장되는 공기 도관인 흡기관(3)에 배치된 급가열 버너(4)와 연결된다. 열교환기(5)는 흡기관(3)을 통하여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에 있는 급가열 버너(4)의 하류에서 흡기관(3)에 연결되어 있다. 또 흡기관(3)에는 엔진(1)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바이패스 통로(51)가 형성되어 있다.
급 가열 버너(4)의 내부에는 연료를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기화장치(6), 기화한 연료와 혼합하여 가연성의 혼합기체를 만드는 공기 유입구를 제어하는 바이패스 밸브(7), 이 가연성 혼합기에서 점화하여 연소시키는 점화 글로우 플러스(8)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화 장치(6)에는 연료를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세라믹재의 파이프 상 또는 봉상의 기화 글로우 플러그(61)가 형성되며, 이 기화 글로우 플러그(61)의 중심부에는 정(正)의 온도계수를 갖는 저항선(62)이 매입되며, 이 저항선(62)에의 통전에 의하여 기화 글로우 플러그(61)를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점화 글로우 플러그(8)도 질화규소(Si2NO4) 등의 세라믹 재의 파이프 또는 봉으로서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저항선(81)이 매설되며 저항선(81)에의 통전에 의하여 점화 글로우 플러그(8)를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화장치(6)의 일단에는 기화 글로우 플러그(61)에 의해 가열되어서 기화한 연료를 급 가열 버너(4)의 내부로 분출시키는 분출구멍(63)이 뚫려 있으며, 타단에는 연료 밸브를 갖는 연료 공급장치(9)에 연통하는 연료 유입구(6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화 연료와 혼합하는 공기 유입구의 개폐를 제어하여 혼합하는 공기의 공급 기구가 되는 바이패스 밸브(7)는 후술하는 주 제어부(191)의 지령에 의하여 제어된다. 바이패스 밸브(7)가 다 열리는 경우에는 혼합기용의 공기는 유입되지 않으며, 급 가열 버너(4)를 바이패스하며, 바이패스 밸브(7)의 개도가 "1"인 경우에는 소정 대량의 공기량을 유입하도록 설정되며, 주 제어부(191)의 지령이 없는 경우에는 개도가 "1"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이패스 밸브(7)의 공기 흐름의 하류에는, 바이패스 밸브(7)의 작동에 의한 진공을 검출하는 장치가 되는 진공 센서(31)가 형성되어, 진공신호 BS를 주 제어부(191)에 송출한다.
연료 펌프(10)로부터의 연료를 기화 장치(6)에 공급하는 연료 공급장치(9)에는 연료 통로(19a)와 연료통로(91b)의 2 계통의 연료 통로가 형성되어 각각 개폐하는 연료 밸브(A)와 연료 밸브(B)를 갖고 있으며, 또한 연료 밸브(A)와 연료 밸브(B)는 각각 구동원(93)에 의하여 개폐 작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연료 통로(91a)보다 연료 통로(91b)쪽의 연료의 유량을 크게하고 양쪽의 연료 통로를 같이 개방하여 연료의 유량을 크게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연료 공급장치(9)의 연료 입구에는 연료 유로의 압력을 검출하는 장치가 되는 연료 압력 센서(94)가 형성되어 유압 신호 NS를 주 제어부(191)에 송출한다.
여기서 급 가렬 버너(4)에 관련한 작동을 설명하면, 연료 통로(91a) 또는 연료 통로(91b)로부터 기화 장치(6)에 보내지는 연료는 이 기화 장치(6)를 통과함으로서 기화 글로우 플러그(61)에 의하여 가열되어 분출구멍(63)으로부터 기화 연료로 되어서 급 가열 버너(4)의 내부에 분출된다. 그리하여 공기 청정기(2)로부터 바이패스 밸브(7)를 경유한 공기가 상기 기화 연료가 혼합하여 가연성 혼합기체로 되어 급 가열 버너(4)에 형성된 점화 글로우 플러그(8)에 의하여 점화되어서 화염을 발생하며 고온도의 연소 가스로 되어서 열 교환기(5)에 보내지게 된다.
열 교환기(5)는 난방을 요하는 자동차의 실내에 연통하는 흡입 공기 유입구(11)로부터 신규 공기를 취입하고, 이 신규 공기가 연소 가스로부터 열을 빼앗아 열 교환을 한 후의 온풍을 유출구(12)까지 송풍하는 송풍기(13)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유출구(12)는 실내 난방을 위하여 별도 설치되어 있는 냉각수 히터 코어(14)의 출구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유출 송풍의 온도와 풍량을 검출하는 온풍 센서(15)는 개구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 도시한 송풍기(16), 에어콘용 증발기(17) 및 온수 통로(18)는 냉각수를 이용하는 난방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콘트롤러(19)는, (가)엔진(1)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전기(20)로부터의 발전 신호 GT와, 동작 스위치(21)의 ON·OFF 신호 FS와, 엔진(1)의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 스위치(22)로부터의 수온 신호 WS와 스타트 포지션 신호 ST와, 스타트 모우터(23)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스위치(23a)로부터의 회전 신호 SM과, 악셀 개도 신호 AS와, 급 가열 버너(4)의 상류에 형성된 진공을 검출하는 진공 센서(31)로부터의 진공 신호 BS와, 엔진(1)의 부하 상태를 검출하는 엔진 부하 센서(24)로부터의 부하 신호 EL과, 연료 공급장치(9)의 연료 입구의 연료 유압 압력을 검출하는 연료 압력 센서(94)로부터의 유압 신호 NS 와, 상기 유출구(12)에 형성된 온풍 센서(15)로부터의 온풍 신호 WA 및 풍량 신호 WB와, 운전자가 조작하는 난방포지션 스위치(25)로부터의 난방 신호 WP와, 점화 글로우 플러그(8)의 온도와 그 저항치를 검출하는 점화플러그 센서(26)로부터의 점화 플러그 온도 신호 PS 및 저항 신호 PR 과, 기화 글로우 플러그(61)의 온도와 그 저항치를 검출하는 기화 글로우 플러그 센서(30)로부터의 기화 플러그 온도 신호 QS 및 저항 신호 OR이 입력되는 주 제어부(191).
(나) 상기 기화 장치(6)의 기화 글로우 플러그(61)를 연료의 기화 온도로 제어하는 브리지 회로(192).
(다) 점화 글로우 플러그(8)를 기화 연료와 공기와의 혼합기의 착화 온도로 제어하는 브리지 회로(193) 및 (라) 스위치부(194)로 구성되어 있다.
주 제어부(191)는 처리장치, 메모리, 입출력 인터 페이스를 갖는 컴퓨터 구성 장치이다.
브리지 회로(192)는 기화 글로우 플러그(61)를 가열하는 저항선(62)을 1변으로 하여 휘트스토운 브리지(wheat stone bridge)의 다른 변을 구성하는 3개의 저항체, 이 휘트스토운 브리지의 밸런스 상태를 검출하는 비교기, 이 비교기의 출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릴레이로서 구성되며, 이 릴레이가 저항선(62)의 통전을 ON·OFF함으로서 상기 회로(192)는 연료의 기화 온도가 예를들면 500℃전후로 되도록 기화 글로우 플러그(61)를 제어한다. 또 브리지 회로(193)는 점화 글로우 플러그(8)를 가열하는 저항선(81)을 1변으로 하여 휘트스토운 브리지의 다른 변을 구성하는 3개의 저항체, 이 휘트스토운 브리지의 밸런스 상태를 검출하는 비교기, 이 비교기의 출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릴레이로서 구성되며, 이 릴레이가 저항선(81)의 통전을 ON·OFF함으로서 점화 글로우 플러그(8)가 기화 연료와 공기와의 혼합기의 착화 온도로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부(194)는 송풍기(13)의 ON·OFF제어를 행하는 개폐기(194a), 브리지 회로(192)에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개폐기(194b), 브리지 회로(193)에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개폐기(194c), 예열 완료 램프(27)에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개폐기(194d), 이상 램프(32)에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개폐기(194e)를 갖는다. 또한 전원 밧데리(28), 키이 스위치(29)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 경고를 발하는 수단이 되는 이상램프(32)는 점화 글로우 플러그(8), 기화 장치(6), 송풍기(13), 바이패스 밸브(7), 연료 밸브(A, B)등이 이상시에 점등하여 이상을 경고하는 램프이다.
제2a도 및 제2b도는 본 발명에 관한 급 가열 버너의 제어장치의 처리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다음에 제1도를 참조하면서,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된 처리를 설명한다.
키이 스위치(29)를 ON으로 하면, 콘트롤러(19)의 주 제어부(191)나 다른 부속 회로에 전원이 공급되며, 먼저 수온 스위치(22)로부터의 수온 신호 WS가 주 제어부(191)에서 냉각수 온도가 10℃에 달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a). 만일 냉각수 온도가 10℃이하인 경우에는 엔진의 시동 보조 장치로서 급 가열버너를 사용하므로, 주 제어부(191)는 개폐기(194C)를 ON으로 하여 브리지 회로(193)를 통하여 점화 글로우 플러그(8)에 통전한다. 그리하여 이 통전이 점화 플러그 센서(26)로부터의 저항 신호 PR에 의하여 정상으로 판단되면, 다음의 스텝 c로 전진하여 개폐기(194a)를 OFF하여 송풍기(13)의 통전을 차단하여 연료공급장치(9)의 구동원(93)에 지령하여 연료 밸브(A)를 작동시켜 기화장치(6)에 연료를 공급하며, 또한 개폐기(194b)를 ON으로 하여 브리지 회로(192)를 통하여 기화 글로우 플러그(61)에 통전한다(스텝d). 그리고 스텝 b에 있어, 점화 플러그 센서(26)로부터의 저항 신호 PR에 의하여 이상으로 판단되면, 개폐기(194e)를 ON으로 하여 이상 램프(32)를 점등하여 이상 경고함과 동시에, 급가열 버너(4)를 사용중지하는 각조작이 행해진다.
스텝 d에 의하여 기화 글로우 플러그(61)에 통전시에 기회 플러그 센서(30)로부터의 저항 신호OR이 정상이면 기화 장치(6)는 정상으로 판단하여 스텝 f로 전진하는데, 예를들면 기화 글로우 플러그(61)가 단선시에는 저항 신호 OR이 이상을 나타내므로 개폐기(194e)를 ON으로 하여 이상 램프를 점등함과 동시에, 급 가열 버너(4)를 사용중지하는 각 조작이 행해진다.
스텝 f에서는 키이 스위치(29)로부터의 스타트 포지션 신호 ST를 체크하여 (스텝f) 키이 스위치(29)가 스타트 위치에 있으면 상기 작동을 계속하고, 키이 스위치(29)가 ON의 위치에 있으며 스타트 포지션에 없으면 개폐기(194d)를 수초간 ON으로 하고 예열 완료 램프(27)를 점등하여 운전자에게 예열의 완료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어서 개폐기(194b) 및 (194c)를 OFF로 하여 기화 글로우 플러그(61)와 점화 글로우 플러그(8)에의 통전을 중지한다.
키이 스위치(29)가 스타트 포지션에 있고 스타트 모우터(23)에 통전되고 이 스타트 모우터(23)가 회전하고 있으면, 회전스위치(23a)가 발하는 회전 신호 SM이 주 제어부(191)에 수신되어 이 주 제어부(191)는 점화 글로우 플러그(8)의 온도를 체크한다(스텝g). 즉 점화 글로우 플러그(8)의 온도는 브리지 회로(193)에 의하여 통전시에는 소정 온도, 예를들면 800℃전후로 유지되어 있으나, 급 가열 버너(4)의 내부에서 연료의 연소라 충분히 행해지고 있으면, 소정 온도 보다 고온도로 되므로 정의 온도 계수를 갖는 저항선(81)의 저항치를 체크함으로서 온도의 검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온도 검출의 기능을 갖는 점화 플러그 센서(26)로부터의 플러그 온도 신호 PS가 주 제어부(191)에 입력되어, 점화 글로우 및 플러그(8)의 온도가 800℃이상인 경우에는 연소가 충분히 행해지고 있다고 판단하여 점화 글로우 플러그(8) 및 기화 글로우 플러그(61)에 개폐기(194c) 및 (194b)로 통전을 차단한다. 그리하여 점화 글로우 플러그(8)의 온도가 800℃이하의 경우에는 콘트롤러(19)에 형성한 프로그램 타이머를 셋트하며, 이 타이머가 소정의 ts시간에 달하지 않으면 점화 글로우 플러그(8)에 통전하는 플로우로 되돌아가서 연료의 공급이나 기화 글로우 플러그(61)에 통전하여 연료의 연소를 재차 행하게 하는데, 점화 글로우 플러그(8)가 800℃이하의 상태로 소정의 ts 시간인 경우에는, 급 가열 버너(4)의 사용중지의 조작이 행해진다(스텝h).
다음에, 발전기(20)로부터의 발전 신호 GT의 입력에 의하여 엔진(1)이 자력 운전인지 아닌지를 판정하여(스텝i), 자력 운전이 행해지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연료 유량이 큰 연료 밸브(B92)를 열고 동시에, 바이패스 밸브(7)를 개도 "2"로 하고 공기량도 크게하여 연료의 연소를 증가시켜서 열 풍량을 많게하여 엔진(1)의 시동을 촉진한다. 엔진(1)이 자력 운전인 경우에는, 난방 포지션 스위치(25)로부터의 난방 신호WP의 포지션을 확인하여(스텝j), ON의 경우에는 다시 엔진(1)의 부하를 체크하기 위하여 부하 센서(24)로부터의 부하 신호 EL을 확인하여(스텝K), 엔진 부하가 경 부하로서 1/2 이하이며 또 수온 스위치(22)로부터의 수온 신호 WS가 80℃이하인 경우에는 개폐기(194a)를 통하여 송풍기(13)에 통전하여 열 교환기(5)에 열 교환을 한 온풍을 유출구(12)로부터 취출하여 난방을 개시한다(스텝l). 여기서, 개폐기(194a)를 ON으로 하여 송풍기(13)에 통전하여도 취출구(12)에 형성한 온풍 센서(15)로부터의 풍량 신호 WB가 이상을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에는, 송풍기(13) 계통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이상 램프(32)를 점등하여 이상지시를 함과 동시에, 급 가열 버너(4)를 사용중지하는 각 조작이 행히진다(스텝m). 또 스텝 j, k, l에 있어서, 난방 신호 WP가 OFF이며, 엔진 부하가 크고, 전부하의 1/2이상이며, 냉각수 온도가 80℃이상인 경우에는, 급 가열 버너(4)의 동작을 중지하기 위하여 연료 밸브A와 연료 밸브 B를 모두 폐쇄하고 바이패스 밸브(7)를 열어 공기를 바이패스 시켜서 기화 글로우 플러그(61)와 점화 글로우 플러그(8)의 통전을 차단한다. 그리고, 냉각수 온도가 80℃이상인 경우에는, 종래의 냉각수 히터의 시스템이 사용 가능하므로 송풍기(16)에 통전하여 종래의 난방 장치를 사용한다.
다음에 스텝 l까지의 플로우에 의하여 열 교환기(5)로부터의 온풍 난방을 개시한 후, 난방 포지션 스위치(25)로부터의 난방 신호 WP가 제2포지션인 경우에는(스텝n) 연료의 연소량이 증가하므로 연료 밸브(91)를 닫고 유량이 큰 연료 밸브(92)를 열어, 바이패스 밸브(7)를 개도 "2"로 하여 연소용 공기도 증가시켜서 연소량을 크게한다. 그리고 난방 신호 WP가 제3포지션인 경우에는, 또한 연소량 증대를 위하여 연료 밸브(A91)와 연료 밸브(B92)를 모두 열고 바이패스 밸브(7)를 개도 "3"로 하여서 연료의 연소를 최대로 하여 대량의 열량이 얻어지도록 한다.
다음에 상기의 플로우에서 얻어지고 유출구(12)의 온풍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풍 센서(15)로부터의 온풍 신호 WA가 60℃이상인 경우에는(스텝 o 또는 p), 급 가열 버너(4)의 작동을 중지하므로, 연료 밸브 A와 연료 밸브 B를 패쇄하고 바이패스 밸브(7)를 열어 기화 글로우 플러그(61)와 점화 글로우 플러그(8)의 통전을 차단한다. 그리고 스텝 o 또는 p에 있어서, 온풍 신호 WA가 60℃이하인 경우에는 연소가 계속되어,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스텝 g의 점화 글로우 플러그(8)의 온도 체크로 되돌아가서 급 가열 버너 내에서의 연소 상태가 체크 되어서 각각의 플로우로 전진한다. 그리고, 스텝 a에서 수온 신호 WS가 10℃이상인 경우에는 난방 신호 WP가 체크되며, 이 난방 신호 WP가 난방 포지션에 있을때에는(스텝g), 수온 신호 WS가 체크되며(스텝r), 냉각수 온도가 80℃이하인 경우에는 스텝 a의 YES와 같은 플로우로 전진하여 급 가열 버너(4)를 작동시키는 과정으로 들어간다. 또 스텝 g에 있어서 난방 신호 WP가 난방 포지션에 없고 또 스텝에 있어서 수온 신호 WS가 냉각수 온도 80℃이상이라고 판단되면, 급 가열 버너(4)의 작동은 필요하지 않으므로 급 가열 버너의 연소 중지를 위한 각 조작이 행해진다.
그리하여, 소정 시간의 경과한 후 난방 신호 WP를 검출하는 D점으로 전진하는데, 그 사이에 바이패스 밸브(7)의 작동을 검출하는 스텝s와, 연료 밸브(A, B)의 작동을 검출하는 스텝 t와의 플로우로 전진한다.
스텝s는 진공 센서(31)의 진공 신호 BS에 의하여 바이패스 밸브의 개폐 작동을 판단하는 스텝으로서 주제어부(191)의 지령에 의하여 바이패스 밸브(7)가 정상으로 작동하면, 바이패스 밸브(7)의 열림 정도에 따른 진공 신호 BS가 얻어지게 되며, 진공 신호 BS가 이사이 있는 경우에는, 개폐기(194e)를 ON으로 하여 이상 램프(32)를 점등한다. 또 스텝 t는 연료 공급장치(9)에 형성된 연료 압력 센서(94)로부터의 유압 신호 NS에 의하여 연료 밸브(A) 및 (B)의 작동을 검출하는 스텝으로서, 연료 밸브(A), 연료 밸브(B)가 정상적인 작동을 행하면, 이들 연료 밸브가 열림에 따라서 유압 신호 NS가 얻어지므로 연료 밸브(A) 및 연료 밸브(B)가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따라서, 유압 신호 NS가 이상인 경우에는 이상 램프(32)를 점등하여 이상 경고한다. 그리하여, 스텝 s, 스텝 t에 있어서 모두 정상이면 D점으로 전진하여 난방 포지션 스위치(25)로부터의 난방 신호 WP의 판단을 행하는 스텝 g로 전진한다.
상기 실시예는, 급 가열 버너와 열 교환기를 가솔린 엔진 또는 디젤엔진의 흡기관의 도중에 형성한 것인데, 급속 난방기를 엔진의 흡기관의 도중에서 분리하여 별도로 형성하여, 열 교환기로부터 얻어지는 난기를 차량의 실내로 유도하여 차량의 난방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급속 난방기를 엔진룸 이외의, 예를들면 운전석 하부에 형성하거나, 또는 트레일러견인차의 경우등은 급속 난방기를 트레일러의 바닥 밑에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주된 범위내에서, 예를들면 연료 밸브의 이상 검출 수단으로 기화 글로우 플러그의 온도 변화를 그 수단으로 하는 등,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며, 이들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8)

  1. 기화 플러그(6)에서 연료를 기화시키고 기화된 연료와 공기를 혼합시키며 혼합물를 연소시키기 위하여 점화 플러그98)로 혼합물을 점화하기 위한 급 가열 버너(4)와, 연소된 혼합물에서 난방기로 열공급을 하기 위한 열교환기(5)를 포함하는 급속 난방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검출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급가열 버너(4)와 열교환기(5)의 작동을 검출하기 위한 작동 검출 장치(15, 26, 30, 31, 94)와, 상기 작동 검출 장치에서 검출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급속 난방기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장치(1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난방기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검출 장치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하여 경고를 발하는 장치(194e, 32)를 또한 포함하는 급속 난방기의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검출 장치가 점화 플러그(8)의 이상을 검출하는 장치(26)를 포함하는 급속 난방기의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검출 장치가 기화 플러그(6)의 이상을 검출하는 장치(30)를 포함하는 급속 난방기의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검출 장치가 기화 플러그에 공급하는 연료의 공급 이상을 검출하는 장치(94)를 포함하는 급속 난방기의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검출 장치가 급 가열 버너에 공급되는 공기량의 이상을 검출라는 장치(31)를 포함하는 급속 난방기의 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검출 장치가 열교환기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의 유량 이상을 검출하는 장치(15)를 포함하는 급속 난방기의 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급 가열 버너(4)와 열 교환기(5)가 엔진(1)의 흡기관(3)의 도중에 형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난방기의 제어장치
KR1019860006962A 1985-08-23 1986-08-22 급속 난방기의 제어장치 KR910008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85594A JPS6246708A (ja) 1985-08-23 1985-08-23 急速暖房器の制御装置
JP185594/1985 1985-08-23
JP185594 1985-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425A KR870002425A (ko) 1987-03-31
KR910008195B1 true KR910008195B1 (ko) 1991-10-11

Family

ID=16173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6962A KR910008195B1 (ko) 1985-08-23 1986-08-22 급속 난방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858825A (ko)
EP (1) EP0211694B1 (ko)
JP (1) JPS6246708A (ko)
KR (1) KR910008195B1 (ko)
CN (1) CN1008162B (ko)
CA (1) CA1274891A (ko)
DE (1) DE367863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213B2 (ja) * 1985-12-23 1994-03-16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暖房器の制御装置
US5063513A (en) * 1990-06-15 1991-11-05 Nartron Corporation Vehicle preheater control
US6082625A (en) * 1996-07-29 2000-07-04 Teleflex (Canada) Ltd. Transit vehicle heater
DE29723650U1 (de) * 1997-10-16 1998-11-26 Webasto Thermosysteme Gmbh Vorrichtung zum Abschalten eines Fahrzeugheizgeräts
JP2991187B2 (ja) * 1997-10-20 1999-1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焼式ヒータを有する内燃機関
EP0916823B1 (en) * 1997-11-18 2003-04-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system of combustion heat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658970B2 (ja) * 1997-12-08 2005-06-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焼式ヒータを有する内燃機関
EP0924399B1 (en) 1997-12-19 2003-07-2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lean NOx catalyst
JP3528557B2 (ja) * 1997-12-22 2004-05-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焼式ヒータを有する内燃機関
JP3695187B2 (ja) 1998-01-21 2005-09-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用燃焼式ヒータ
JP3577961B2 (ja) 1998-02-27 2004-10-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焼式ヒータを有する内燃機関
JP3509563B2 (ja) 1998-03-10 2004-03-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焼式ヒータを有する内燃機関
JPH11303696A (ja) * 1998-04-20 1999-11-02 Toyota Motor Corp 燃焼式ヒータの出力制御装置
JP3577946B2 (ja) * 1998-04-27 2004-10-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焼式ヒータを有する圧縮着火式内燃機関
JP3454174B2 (ja) 1998-12-22 2003-10-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輌の排気浄化装置
JP3557928B2 (ja) 1998-12-22 2004-08-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ーンNOx触媒を有する内燃機関
JP4269407B2 (ja) 1998-12-24 2009-05-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焼式ヒータ付内燃機関
JP3630060B2 (ja) 1999-06-30 2005-03-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焼式ヒータを有する内燃機関
JP2003090271A (ja) 2001-07-11 2003-03-28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
DE10200962A1 (de) * 2002-01-12 2003-07-31 Eberspaecher J Gmbh & Co Heizgerät und Gehäuse für ein Heizgerät
US7270098B2 (en) * 2002-07-15 2007-09-18 Teleflex Canada Inc. Vehicle heater and controls therefor
US6772722B2 (en) 2002-07-15 2004-08-10 Teleflex Canada Limited Partnership Heater and burner head assembly and control module therefor
US6766962B2 (en) * 2002-07-15 2004-07-27 Teleflex Canada Limited Partnership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and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DE102006010194B4 (de) * 2005-09-09 2011-06-09 Beru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der Glühkerzen einer selbstzündenden Brennkraftmaschine
US7631625B2 (en) * 2006-12-11 2009-12-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Glow plug learn and control system
US7587893B2 (en) * 2007-05-10 2009-09-15 Deere & Company Particulate filter regenera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403811B2 (en) 2010-04-12 2013-03-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cabin heating
US8731789B2 (en) * 2010-09-28 2014-05-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nsmission fluid heating via heat exchange with engine cylinder walls
US8997707B2 (en) * 2011-02-25 2015-04-07 Joseph Norman Ulrey Vehicle fuel burner
US10183553B2 (en) * 2014-08-13 2019-01-22 Surface Igniter Llc Heat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10361553B1 (en) * 2018-01-25 2019-07-23 Gerald Laughter Battery interrupter
WO2019145744A1 (en) * 2018-01-26 2019-08-01 Carrier Corporation Cooling circuit management for transport refrigeration unit gas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3033A (en) * 1957-03-26 1961-02-28 Hupp Corp Fluid burning heaters
US3362637A (en) * 1964-12-03 1968-01-09 Brunswick Corp Car heater system
US4099488A (en) * 1975-06-09 1978-07-11 Hunter Investment Company Diesel fueled engine coolant heater
DE3031410C2 (de) * 1980-08-20 1985-01-03 Webasto-Werk W. Baier GmbH & Co, 8035 Gauting Steuergerät für Heizvorrichtungen
JPS58172472A (ja) * 1982-04-02 1983-10-11 Nippon Denso Co Ltd 加熱体の断線検出方法
JPS6078819A (ja) * 1983-10-04 1985-05-04 Nippon Denso Co Ltd 燃焼式ヒ−タを備えた車両の暖房装置
JPS60114006U (ja) * 1984-01-11 1985-08-01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温水暖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11694B1 (en) 1991-04-10
KR870002425A (ko) 1987-03-31
CN1008162B (zh) 1990-05-30
CA1274891C (en) 1990-10-02
DE3678638D1 (de) 1991-05-16
CN86105446A (zh) 1987-02-18
EP0211694A1 (en) 1987-02-25
JPH0581445B2 (ko) 1993-11-12
US4858825A (en) 1989-08-22
JPS6246708A (ja) 1987-02-28
CA1274891A (en) 1990-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195B1 (ko) 급속 난방기의 제어장치
US4927077A (en) Heater device for motor vehicle
KR900008900B1 (ko) 난방기의 제어장치
JPS60252018A (ja) 自動車用暖房装置
JPS6371409A (ja) 車両用暖房装置
US4773588A (en) Heater device for motor vehicle
US4892476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bustion in heater
US4778377A (en) Device for controlling fuel combustion in a heater
JPS61188217A (ja) 燃焼器
JPS61157422A (ja) 車両用暖房装置
JPS62157819A (ja) 車両用暖房装置
JPH0584407B2 (ko)
JPH03167026A (ja) 燃焼式ヒータの制御装置
JP2681910B2 (ja) 燃焼器
JPS61157419A (ja) 車両用暖房装置
JPS61207207A (ja) 加熱暖房器の空気量制御装置
JPH06104411B2 (ja) 加熱バ−ナ装置
JPH10267410A (ja) 給湯器
JPS6192913A (ja) エンジンの暖機装置
JPS61160313A (ja) 暖房用燃焼器の燃料供給装置
JPS61157414A (ja) 燃焼バ−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