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075B1 - 점화코일 - Google Patents

점화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075B1
KR910008075B1 KR1019880012198A KR880012198A KR910008075B1 KR 910008075 B1 KR910008075 B1 KR 910008075B1 KR 1019880012198 A KR1019880012198 A KR 1019880012198A KR 880012198 A KR880012198 A KR 880012198A KR 910008075 B1 KR910008075 B1 KR 910008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pressure
cord
coil
contactor
secondary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2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941A (ko
Inventor
겐지 후꾸다
가쯔오 무라가미
가쯔노리 소또기
시게노부 사사모도
Original Assignee
고꾸산덴기 가부시기가이샤
마쯔무라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4502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25221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02898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1707Y2/ja
Application filed by 고꾸산덴기 가부시기가이샤, 마쯔무라 가즈오 filed Critical 고꾸산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5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20Sparking plug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lectrodes or insulation

Landscapes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점화코일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일부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동 실시예에 사용하는 2차코일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제3도는 동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4도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압코오드유지부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코압코오드의 심선과 도전판과의 접촉부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7a도 및 제7b도는 각각 제6도의 실시예에서 접촉자로서 사용하는 단자금구의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단자금구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10도는 접촉자를 고압코오드유지부에 설치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실시예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12도는 종래의 점화코일을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 케이스 10e, 10'e : 고압코오드유지부
11 : 고압코오드 11a : 심선
11a1: 되접힌심선의 선단부(접촉자) 12 : 철심
13 : 1차코일 14 : 2차코일
15 : 2차보빈 17 : 도전판
18 : 절연통 19 : 접촉자
20 : 캡형상의 단자금구(접촉자) 22 : 접촉편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점화장치에 사용하는 점화코일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용점화장치에 사용하는 점화코일은, 철심과 이 철심을 둘러싸도록 형성한 1차 및 2차코일을 가지며, 양코일은 대부분의 경우 절연재료로된 케이스내에 수납된다.
제12도는 종래의 이런 종류의 점화코일을 도시한 것으로서, 동도면에 있어서 (1)은 철심, (2) 및 (3)은 각각 1차코일 및 2차코일이고, 1차코일(2) 및 2차코일(3)은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케이스(4)내에 수납되어 있다. 케이스(4)에는 고압코오드(6)를 받아들여서 유지하는 통형상의 고압코오드유지부(4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압코오드유지부(4a)의 바닥부에 나사못형상의 고압코오드 접속용단자금구(5)가 고정되고, 이 단자금구(5)에 2차코일(3)의 감기종료단부(3a)가 감겨져서 납땜되어 있다. 2차코일(3)의 감기 시작단부는 1차코일(2)의 감기종료단부와 함께 외부도출 리이드선(7)에 접속되고, 1차코일(2)의 감기 시작단부는 외부도출리이드선(8)에 접속되어 있다. 케이스(4)내에는 절연수지(9)가 채워져 교화되고, 이 절연수지에 의해 1차코일 및 2차코일이 절연되어 있다.
상기한 점화코일을 조립할 경우에, 단자금구(5)를 케이스에 고정해두고 케이스내의 단자금구(5)와 2차코일의 감기종료단부(3a)를 납땜한 후에 2차코일을 케이스내에 삽입하는 방법을 취하면, 2차코일의 감기종료 단말부를 상당히 길게 해둘 필요가 있기 때문에, 2차코일(3)을 케이스내에 삽입하였을 때에 2차코일의 감기종료단말부가 이완되어, 케이스내에 수지를 채워서 고화시켰을 때에 2차코일의 감기종료단말부가 다른 부분에 접촉하여 절연의 약점이 될 염려가 있었다.
또 먼저 단자금구(5)를 2차코일(3)의 단말부에 납땜해두고, 나중에 단자금구(5)를 고압코오드유지부의 구멍에 삽입함과 동시에, 2차코일을 케이스내에 삽입하는 방법을 취하는것도 생각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2차코일을 구성하는 도체(일반적으로 매우 가는선으로 이루어짐)가 단선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작업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게 되고, 작업능률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2차코일의 감기종료단부와 고압코오드와의 접속을, 절연의 약점을 발생시키는 일없이 간단히 행할 수 있도록한 점화코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고압코오드유지부를 가진 케이스에 1차코일과 2차코일을 수납하여, 고압코오드유지부에 유지된 고압코오드의 심선과 2차코일의 감기종료단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한 구조의 점화코일을 대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2차코일은 1차코일의 바깥쪽에 형성되고, 고압코오드유지는 고압코오드를 받아들여서 이 고압코오드를 위치결정 구속한 상태에서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압코오드유지부에 유지된 고압코오드의 선단부 부근에 2차코일의 감기종료단부가 납땜된 도전판을 설치하고, 이 도전판을 2차코일의 외주면에 고정한다. 그리고 또 고압코오드유지부에 유지된 고압코오드의 선단부 부근에 고압코오드의 심선에 접속되는 접촉자를 설치한다. 고압코오드의 선산부 부근이면, 고압코오드의 선단부 또는 케이스의 고압코오드유지부와 어느쪽에 접촉자를 고정해도 된다. 그리고 1차코일 및 2차코일이 케이스내에 수납되어서 고압코오드가 고압코오드유지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접촉자를 도전판에 접촉시키고 있다.
접촉자를 고압코오드의 선단부에 설치할 경우에 고압코오드의 뽑아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고압코오드의 선단부에, 이 고압코오드의 뽑아냄이 가능한 상태에서 절연통을 끼워맞춘다. 그리고, 접촉자를 이 절연통을 관통시켜서 고압코오드의 심선까지 연장하도록 구성한다.
또, 접촉자의 강도를 높여서, 도전판과의 접촉을 확실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고압코오드의 선단부에, 심선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한 캡형상의 단자금구를 끼워맞추고, 이단자금구를 접촉자로서 사용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하게 접촉자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고압코오드의 심선의 선단부를 도전판쪽으로 되접어서 심선의 선단부를 접촉자로 할 수도 있다.
또 접촉자를 고압코오드유지부에 고정할 경우에는, 고압코오드가 고압코오드유지부에 삽입되어서 유지되었을 때에, 고압코오드의 심선에 접속되도록 접촉자를 구성해 두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접촉자와 도전판을 접촉시키는 구조를 사용해서 고압코오드의 심선과 2차코일의 감기종료단부를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고압코오드를 케이스의 고압코오드유지부에 유지시켰을 때에 2차코일의 감기 종료단부와 고압코오드의 심선과의 전기적 접속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고, 2차코일의 단말부와 고압코오드를 접속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필요로 했던 납땜작업을 생략하여 점화코일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2차코일의 단말부에 이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2차코일의 단말부의 이완이 다른 부분에 접촉하여 절연의 약점이 발생하는 염려를 없앨 수 있다. 고압코오드의 선단부에 고압코오드의 뽑아냄이 가능한 절연통을 끼워맞추고, 접촉자를 상기 절연통을 관통시켜서 고압코오드의 심선에 접속하도록하면, 절연수지처리를 실시한 후에도, 고압코오드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또 금속구를 접촉자로서 사용하면, 접촉자의 장착이 용이한 외에, 접촉자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10)은 절연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케이스로서, 이 케이스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부는 바닥부(10a)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케이스(10)의 외주부의 일부를 팽출시키므로서 단면이 원호형상을 나타내는 팽출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출부(10b)의 내면에는 점화코일의 축선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뻗는 복수의 가이드돌기(10c),(10c)…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10)의 안쪽으로 임하는 팽출부(10b)의 개구단부에는, 단면이 원호형상을 나타내는 1쌍의 가이드판(10d), (10d)이 배설되고, 가이드판(10d), (10d)의 사이에는 점화코일의 축선방향으로 뻗는 슬릿 S이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10b)와 가이드돌기(10c)와 가이드판(10d)에 의해 고압코오드유지부(10e)가 구성된다.
케이스(10)의 중앙부에는 바닥부(10a)로부터 기립해서 이 케이스의 축선방향으로 뻗는 철심끼워 맞춤용 통형상부(10f)가 형성되고, 이 철심끼워맞춤용통형상부(10f)내에 강철판의 적층체로 이루어진 철심(12)이 끼워맞추어져 있다. 철심끼워맞춤용통형상부(10f)의 바깥둘레에 1차코일(13)이 끼워장착되고, 이 1차코일의 감기시작단부 및 감기 종료단부로부터는 각각 리이드선(13a) 및 (13b)이 도출되고, 이들 리이드선중, 감기 종료단부로부터의 리이드선(13b)은 철심끼워맞춤용통형상부(10f)내에 끼워맞추어진 철심(12)에 적당한 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접지된다.
상기 1차코일(13)의 바깥쪽에 2차코일(14)이 끼워장착된다. 2차코일(14)은 원통형상의 2차보빈(15)에 코일도체를 복수층 감은 것으로 이루어지고, 이 2차코일의 층간 및 최외주부는 절연지에 의해 절연되어 있다. 2차보빈(15)의 내주부의 일단에는 도전재료로 이루어진 대판(帶板)형상의 접지판(16)의 일단부가 아일릿(Egelet) 등에 의해 고정되고, 이 접지판(16)에 2차코일(14)의 감기시작단부(14a)(제3도참조)가 납땜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코일(14)의 최외주부를 절연하는 절연지의 위에는, 구리박, 알루미늄박등으로 이루어진 도전판(17)이 고정되고, 이 도전판(170에 2차코일(14)의 감기종료단부(14b)가 납땜되어 있다. 이 감기종료단부(14b)의 납땜시에는, 이 감기종료단부에 이완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감기종료단부(14b)와 도전판(17)을 최단거리로 접속하도록 배려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코일(14)을 케이스(10)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도전판(17)이 고압코오드유지부(10e)에 유지된 고압코오드(11)의 선단부 부근에 위치하도록, 도전판(17)의 장착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내에 절연수지를 충전하였을 경우에도, 고압코오드(11)을 교환할 수 있도록 고압코오드(11)의 선단부에 절연수지제의 절연통(18)이 끼워맞추어져 있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통(18)의 바닥부(18a)에는 관통구멍(18a1)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18a1)에는 나사형상의 고압코오드 접속용고압단자 고정구(19b)가 나사박음되어 있다. 이 고정구(19b)는, 탄성을 가진 도전성 금속판으로부터 형성한 접촉자편(19a)을 절연통(18)에 고정하는 동시에 고압코오드(11)의 심선(11a)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접촉자편(19a)은, 관통구멍(18a1)에 정합되게 되는 장착구멍을 갖춘 평탄부(19a1)와 절연통(18)쪽으로 되접어져서 만족하는 만곡부(19a2)로 이루어진다. 접촉자편(19a)의 만곡부(19a2)길이 및 만곡의 정도는, 2차코일(14)이 케이스(10)내에 삽입되었을때에, 만곡부(19a2)가 도전판(17)에 강하게 압압되어서 접촉하도록 정해져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자(19)는 접촉자편(19a)과 고압단자 고정구(19b)로 구성된다.
선단부에 절연통(18)이 끼워맞추어진 고압코오드(11)을, 고압코오드유지부(10b)에 삽입할 경우에는, 접촉자(19)의 접촉자편(19a)을 가이드판(10d), (10d)의 사이에 형성한 슬릿 S내를 통해서 삽입하여, 접촉자편(19a)을 도전판(17)과 접촉시킨다.
절연통(18)은 케이스의 팽출부(10b)의 높이치수보다도 긴 길이의 치수를 가지고 있으며, 그 외경은 고압코오드유지부(10e)에 의해서 구속가능한 치수로 정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케이스(10)내에 절연수지를 충전한후에, 고압코오드에 불량이있었다는 것이 발견된 경우에도, 고압코오드를 교환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수율이 향상된다.
접지판(16)은, 제3도에 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의 철심끼워맞춤용통형상부(10f)내에 철심(12)을 끼워맞출 때에 철심(12)과 통형상부(10f)의 내주와의 사이에 끼워 넣어져서 상기 철심(12)(접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한 점화코일을 조립할 때에는, 먼저 케이스(10)내에 1차코일(13) 및 2차코일(14)을 삽입한다. 그후 선단부에 접촉자를 가진 절연통(18)이 끼워진 고압코오드(11)의 접촉자편(19a)을 가이드판(10d), (10d)사이의 슬릿 S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압코오드(11)과 함께 절연통(18)을 가이드판(10d), (10d) 및 가이드돌기(10c),(10c),…의 안쪽에 걸어넣는다. 절연통(18)의 선단부에 고정한 고정구(19b)의 선단부가 팽출부(10b)의 바닥부(10b1)에 당접할때까지 걸어넣으면, 접촉자편(19a)이 도전판(17)에 접촉한 상태로 되어, 고압코오드(11)의 심선(11a)과 2차코일(14)의 감기종료단부가 도전판(17)을 개재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해서 고압코오드를 정착한후, 케이스내에 열경화성의 절연수지를 채워서 고화하여, 이 절연수지를 가열경화시켜서 1차코일(13) 및 2차코일(14)과 고압코오드(11)를 게이스내에 고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2차코일의 단말부와 도전판(17)을 최단거리로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2차코일의 감기종료단말부에 이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2차코일의 단말부의 이완이 다른 부분에 접촉하여 절연의 약점이 발생할 염려를 없앨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케이스(10)가 철심끼워맞춤용통형상부(10f)를 가지고 있으나, 이 통형상부(10f)는 생략할 수도 있다.
또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접지판(16)을 철심(12)에 접촉시키므로서 1차코일 및 2차코일의 일단부를 접지 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들 코일의 일단부의 접지방법은 임의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절연통(18)을 사용해서 그 선단부에 접촉자(19)를 고정하는 구조를 채용하였으나,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압코오드(11)의 선단부에 이 고압코오드의 심선(11a)에 연결되는 단자금구(20)를 고정하고, 이 단자금구를 접촉자로서 도전판(17)에 접촉시키도록 해도 된다.
제6도의 실시예에서 사용되고 있는 단자금구(20)는 제7a도, 7b도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전체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둘레벽부의 일부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20a)는 원통의 축선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뻗는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폭치수 W는 고압코오드유지부(10e)의 안내판(10d), (10d)사이의 슬릿 S에 끼워맞출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 단자금구(20)의 단부벽의 일부를 안쪽으로 잘라 일으키므로서, 끝이 뽀족한 단자부(20b)가 형성되고, 고압코오드(11)를 이 단자금구내에 삽입하였을 때에 단자부(20b)가 고압코오드의 심선(11a)내로 걸려들어와서 단자금구(20)와 고압코오드(1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되어있다. 이 단자금구(20)는 그 둘레벽부의 일부를 고압코오드의 절연 피복에 대하여 코오킹하므로서 고압코오드(11)에 고정된다.
또한 단자부(20b)는 반드시 단자금구의 일부를 잘라일으키므로서 형성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핀형상의 단자부를 납땜 등에 의해 단자금구에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금구(20)의 단부벽에 구멍(50c)을 형성해두고, 고압코오드의 심선의 선단부를 이 구멍(20c)에 삽입하여, 이 심선을 구멍(20c)의 주변부에 납땜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한 이에서는 단자금구(20)를 원통형상 또는 캡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이 단자금구는 반드시 원통형상 또는 캡형상으로 형성할 필요는 없고, 코오킹 등에 의해 고압코오드에 고정되는 부분과 고압코오드의 심선에 접속되는 부분과, 도전판(17)에 접촉하는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의 것이라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촉자를 고압코오드(11)와는 별도로 형성하고 있으나,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압코오드(11)의 심선(11a)를 고압코오드(11)쪽으로 절곡해서 이 선단부(11a1)를 접촉자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가이드돌기(10c), (10c), … 및 가이드판(10d), (10d)의 안쪽으로 고압코오드(11)을 걸어넣었을때에 각 가이드돌기(10c) 및 가이드판(10d)이 고압코오드(11)의 절연피복에 압접해서, 이 고압코오드(11)를 점화코일의 축선방향과 평행시킨 상태로 위치결정하여,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구속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와 같이 구성하면, 고압코오드(11)를 케이스의 고압코오드유지부(10e)에 걸어넣었을 때에 고압코오드의 심선을 도전판(170에 자동적으로 접촉시켜서 2차코일의 감기종료단부와 고압코오드의 심선을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극히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접촉자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점화코일이 조립작업을 간단히 행할 수 있어, 점화코일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3개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압코오드(11)에 도전판(17)과 접촉하는 접촉자를 고정하고 있었으나, 제10도 및 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자(21), (22)를 케이스(10')의 고안코오드유지부(10'e)에 고정하도록 해도된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케이스의 개구부쪽으로부터 고압코오드를 삽입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수지를 충전한후에도 고압코오드의 빼고 꽂음을 자유록게 행할 수 있도록, 고압코오드유지부(10'e)는 케이스(10')의 바닥부(10'a)쪽에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10'g)는, 바닥부(10'a)로부터 위로세워져 뻗는 접지격리판이다.
케이스(10')의 고압코오드유지부(10'e)에는 고압코오드접속용 고정금구(21)와 접촉편(22)이 장착되어 있다. 고정금구는 나사못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유지부(10'e)의 바닥부(10'e1)를 관통시켜서 정착되어 있다.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편(22)는 기부(基部)(22a)와 이 기부에 대하여 거의 직각인 방향으로 뻗는 접점부(22b)를 가지고 있으며, 그 기부(22a)가 고압코오드접속용고정금구(21)의 두부(21a)와 고압코오드유지부(10'e)와의 사이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접촉편(22)의 접점부(22b)는 2차코일의 축선과 거의 평행되도록 배치되고, 2차코일(14)이 케이스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접점부(22b)가 도전판(17)에 접촉하도록, 접촉편(22)의 위치 및 도전판(17)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접점부(22b)에 탄성을 가지게 하고 도전판(17)과의 접촉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접점부(22b)는 물결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접촉자와 도전판을 접촉시키는 구조를 사용해서 고압코오드의 심선과 2차코일의 감기종료단부를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고압코오드를 케이스의 고압코오드유지부에 유지시켰을 때에 2차코일의 감기 종료단부와 고압코오드의 심신과의 전기적접속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고, 2차코일의 단말부와 고압코오드를 접속하기 위하여 종래 필요로 랬던 납땜작업을 생략하여 점화코일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2차코일의 단말부에 이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2차코일의 단말부의 이완이 다른 부분에 접촉하여 절연의 약점이 발생하는 염려를 없앨수 있다.
또 고압코오드의 선단부에 고압코오드이 빼내기가 가능한 절연통을 끼워맞추고, 접촉자를 상기 절연통을 관통시켜서 고압코오드의 심선에 접속하도록 하며, 절연수지처리를 실시한 후에도, 고압코오드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또 금속금구를 접촉자로서 사용하면, 접촉자의 장착이 용이한 외에, 접촉자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6)

1차코일과, 상기 1차코일의 바깥쪽에 이 1차코일과 동심적으로 배치된 2차코일과, 상기 1차코일 및 2차코일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고압코오드를 받아들여서 유지하는 고압코오드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압코오드유지부에 유지된 고압코오드의 심선에 상기 2차코일의 감기종료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점화코일에 있어서, 상기 고압코오드유지부에 유지된 고압코오드의 선단부 부근에 상기 2차코일의 감기종료단부가 납땜된 도전판이 설치되어서 이 도전판이 상기 2차코일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고압코오드유지부에 유지된 상기 고압코오드의 선단부 부근에 상기 고압코오드의 심선에 접속되는 접촉자가 설치되고, 상기 1차코일 및 2차코일이 상기 케이스내에 수납되고 또한 상기 고압코오드가 상기 고압코오드유지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자가 상기 도전판에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는 상기 고압코오드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코오드의 선단부에는, 이 고압코오드의 빼내기가 가능한 상태에서 절염통이 끼워맞추어지고, 상기 접촉자는 상기 절염통을 관통해서 상기 고압코오드의 심선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코오드의 선단부에는, 상기 심선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한 캡형상의 단자금구가 끼워맞추어지고, 이 단자금구의 일부가 상기 접촉자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코오드의 심선의 선단부가 상기 도전판쪽으로 되접어져서 상기 접촉자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는 상기 고압코오드유지부에 고정되고, 이 접촉자는 상기 고압코오드가 상기 고압코오드유지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고압코오드의 심선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
KR1019880012198A 1987-09-22 1988-09-21 점화코일 KR9100080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U.62-145028 1987-09-22
JP62-145028 1987-09-22
JP1987145028U JPH0525221Y2 (ko) 1987-09-22 1987-09-22
JP10287888 1988-08-03
JPU.63-102878 1988-08-03
JPU.63-120289 1988-09-13
JP12028988U JPH0631707Y2 (ja) 1988-08-03 1988-09-13 点火コイ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941A KR890005941A (ko) 1989-05-17
KR910008075B1 true KR910008075B1 (ko) 1991-10-07

Family

ID=2730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198A KR910008075B1 (ko) 1987-09-22 1988-09-21 점화코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0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941A (ko) 198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5116B1 (ko) 내연기관용 점화코일
JP5018319B2 (ja) 点火コイル
EP2887366A1 (en) Ignition coil and method of assembly
JPS62165887A (ja) スパ−クプラグコネクタ
US9897064B2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8053204A (ja) 点火コイル
JPS5831727B2 (ja) 過圧安全装置を具える巻形コンデンサ
JP2001115938A (ja) ペンシル型点火コイル組立体モジュール
KR910008075B1 (ko) 점화코일
KR850008033A (ko) 솔레노이드의 단자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4876474A (en) Commutator
JP2009038198A (ja) 点火コイル
US5781092A (en) Ignition coi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983871A (en) Commutator with base alignment interlock
JP3655870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5703945B2 (ja) 点火コイル及び点火コイルの製造方法
US1854401A (en) Ignition coil
JPH0631707Y2 (ja) 点火コイル
JPH0525221Y2 (ko)
EP1457671B1 (en) Ignition coil assembly
JP2689484B2 (ja) 点火コイル
JP3888491B2 (ja) 点火コイル
JPH06325954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6483410B2 (en) Ignition coil for motor vehicles
JPS6037037Y2 (ja) 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0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