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915B1 - 자동선곡기능 부착 레코드플레이어 - Google Patents
자동선곡기능 부착 레코드플레이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7915B1 KR910007915B1 KR1019840001400A KR840001400A KR910007915B1 KR 910007915 B1 KR910007915 B1 KR 910007915B1 KR 1019840001400 A KR1019840001400 A KR 1019840001400A KR 840001400 A KR840001400 A KR 840001400A KR 910007915 B1 KR910007915 B1 KR 9100079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e arm
- record
- turntable
- signal
- flo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4—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movement or position of head, e.g. means moving in correspondence with head movemen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35—Positioning by moving the loading stati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4—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sensing features on the record carrier other than the transducing track ; sensing signals or marks recorded by another method than the main recording
- G11B27/26—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sensing features on the record carrier other than the transducing track ; sensing signals or marks recorded by another method than the main recording by photoelectric detection, e.g. of sprocket hol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3/02—Arrangements of heads
- G11B3/08—Raising, lowering, traversing otherwise than for transducing, arresting, or holding-up heads against record carriers
- G11B3/095—Raising, lowering, traversing otherwise than for transducing, arresting, or holding-up heads against record carriers for repeating a part of the record; for beginning or stopping at a desired point of the record
- G11B3/0952—Raising, lowering, traversing otherwise than for transducing, arresting, or holding-up heads against record carriers for repeating a part of the record; for beginning or stopping at a desired point of the record using automatic means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Moving Of The Head To Find And Align With The Track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선곡기능 부착 레코드플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1도 및 제2도는 턴테이블본체의 수납 및 인출된 상태의 개략사시도.
제3도 및 제4도는 각각 턴테이블 본체의 수납된 상태의 개략평면도 및 개략종단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각각 제어회로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턴테이블 4 : 톤암
22 : 레코드 39 : 곡간검지체
74 : 시프트 레지스터 76, 80 : 플립플롭
본 발명은 턴테이블상에 재치되는 레코드의 곡간검지수단에 의한 곡간검지방향과 톤암의 이동방향이 소정의 각도로 구성되는 자동선곡기능 부착 레코드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자동선곡기능 부착 레코드 플레이어는, 턴테이블본체를 수납하는 로딩시에 턴테이블상에 재치되는 레코드의 곡간을 검출하여, 로딩 종료후 그 곡간 데이터를 기초로 톤암을 이동시키고, 턴테이블과 함께 회전하는 레코드로서의 지정된 곡의 첫위치에 톤암의 바늘을 내려놓으므로서 자동선곡이 행하여지겠금 되어 있다.
그렇지만, 곡간검지수단에 의한 곡간검출방향과 톤암이 이동방향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레코드의 편심이나 구멍의 모양 등이 있는 다하면 예를들면 상기 바늘이 소정의 곡의 첫 위치로부터 빗나가버리고, 곡중간등에 내려버리게 되어버리는 일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선곡동작을 하였을 경우, 톤암(톤암의 바늘)을 레코드상에서의 곡간검지수단에 의하여 곡간검출된 위치에 내려놓을 수가 없고, 따라서 레코드의 편심이나 구멍의 모양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늘 소정의 위치에 톤암을 내려놓을 수가 있는 자동선곡기능부착 레코드플레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서두에 기술한 것에 있어서, 턴테이블의 회전중, 레코드상에서의 상기 곡간검지수단에 의하여 곡간검지된 위치를 기억하여 두는 기억수단과, 이 기억수단의 기억내용에 기인하여 상기 곡간검지된 위치에 상기 톤암을 내려놓겠금 상기 톤암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레코드의 편심이나 구멍의 모양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늘 소정의 위치에 톤암을 내려놓는 일이 가능케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구체적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전체사시도이고, 제3도는 평면도, 제4도는 종단면도이다.
편평한 평형의 케이스체(1)에 대하여, 그 케이스체(1)내에 수납가능케, 또 그 케이스체(1)에 설치된 전면개구부(2)에 의하여 케이스체(1)의 내외에 수평방향에 진퇴이동 가능케, 턴테이블(3) 및 톤암(4)등을 가지는 턴 테이블본체(5)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제1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턴테이블본체(5)가 케이스체(1)내에 수납되는 상태와, 제2도에 표시한 것같이 턴테이블체(5)가 케이스체(1)내로부터 인출되어서 턴테이블(3)의 센터 스핀들(6)이 전면 개구부(2) 위치에 임하고 상태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진퇴이동가능케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제3도 및 제4도에 가리키는 것과 같이 턴테이블본체(5)에는, 그 턴테이블본체(5)를 구성하는 샤시프레임(7)에서의 턴테이블본체(5)의 상기 수평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수납방향측으로 되는 단부(7a)의 수납방향에 대한 좌측부에서, 샤시프레임(7)에 수직형으로 설치되는 지점축(8)의 둘레에 회동자재인 웜(9)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체(1)의 상기 수납방향에 대한 좌측판내면에는, 턴테이블본체(5)의 상기 수평 이동방향에 따라서 그 수평이동 거리에 상응한 길이로서 가이드트랙(10)이 설치되고 있고, 이 가이드트랙(10)은 상기 웜(9)에 항상 맞물려 있다. 그리고 웜(10)에는, 샤시프레임(7)에 수평형으로 설치되는 중간축(11)에 고착되어서 그 중간축(11)을 중심에 회동하게되는 웜기어(12)가 늘 맞물려 있다. 그리하여, 이중간축(11)의 일단측에 고착되는 풀리(13)과, 샤시프레임(7)에 부착된 구동모터(14)의 구동축(15)의 선단에 고착되는 폴리(16)사이에는, 벨트(17)가 감겨 걸려져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14)의 정역전구동에 의하여, 웜기어(12)를 통하여 웜(9)이 회전구동되어, 턴테이블본체(5)가 케이스체(1)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진퇴이동하겠금 된다.
그리고, 케이스체(1)와 턴테이블본체(5)사이에는, 턴테이블본체(5)의 진퇴이동시의 원활한 이동을 도모하기 위하여 전동로울러등의 수단이 개장되어 있다. 더욱이, 케이스체(1)와 턴테이블본체(5) 사이에는, 턴테이블본체(5)의 케이스(1)에 대한 인출완료를 검출하고 인출완료 검출스위치(도면표시않음) 및 수납완료를 검출하는 수납완료 검출스위치(도면표시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검출스위치는, 구동모터(14)를 구동정지시킴과 동시에, 수납완료검출 스위치에 의한 수납완료의 검출결과는, 후술하는 제5도의 마이크로컴퓨터(μ-COM)에 주어진다. 또, 샤시프레임(7)에는, 센터스핀들(6)에 부착되는 턴테이블(3)을 정속으로 회전구동시켜서, 그 센터스핀들(6)을 구동축으로 하는 스핀들모터(18)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하여 샤시프레임(7)에 지지되는 플레이어보드(19)상에는, 선단에 픽업카트릿지(20)가 부착되는 톤암(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톤암(4)은, 플레이어보드(19)의 상기 수평이동방향의 수납방향측으로 되는 단부(19a)상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1)에, 그 기단부(4a)가 삽통지지되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레일(21)에 안내됨에 의하여, 톤암(4)이 수평면내에서 턴테이블본체(5)의 상기 수평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리니어로 이동구동된다. 즉 톤암(4)의 선단에 부착되는 픽업카트릿지(20)의 바늘이, 센터스핀들(6)을 지나서 상기 수평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서 이동궤적을 그리는 것과 같이, 픽업 카트릿지(20)가 암레노트위치와 턴테이블(3)상에 재치되는 레코드(22)의 최내주위치 사이에 리니어로 이동되겠금 구성되어 있다.
이 톤암(4)의 이동구동은, 샤시프레임(7)에 부착되는 톤암구동모터(23)에 의하여 행하여지고, 이 톤암(4)의 구동계는 제3도에 가리키는 것과 같이 구성되어져 있다.
즉, 톤암구동모터(23)의 구동축(24)의 선단에 고착되는 폴리(25)와, 샤시프레임(7)에 수평형에 설치되는 중간축(26)의 일단에 고착되는 폴리(27)사이에 벨트(28)가 검겨 걸려져 있다. 이 중간축(26)에는, 그 중간축(26)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웜기어(29)가 고착되어 있다. 또, 샤시프레임(7)에 수직형으로 설치되는 지점축(30)의 둘레에 회동자재로 회전체(31)가 부착되어 있다. 이 회전체(31)의 상하에는, 실걸이 다이알풀리(31A)와 웜(31B)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웜(31B)은 상기 웜기어(29)에 늘 맞물리게 되고 있다.
그리고, 회전체(31)의 설걸이 다이알풀리(31A)와, 가이드레일(21)의 양단근방에 설치되는 한쌍의 실걸이 폴리(32)(33) 사이에, 가이드로울러(34)(35)(36)에 의하여 주행안내되는 다이알실(37)이 감겨 걸러져 있다. 또, 감겨걸려지는 다이알실(37)에서의 한쌍의 실걸이 풀리(32)(33)사이에 전장(展張)위치 되는 중도부는 , 톤암(4)의 기단부(4a)측에 설치되는 계지돌기(38a)(38b)에 계지되어 있다.
그리하여, 톤암(4)은, 톤암구동모터(23)의 정역전구동에 의하여, 웜기어(29) 및 실걸이 다이알 폴리(31A)등을 통하여 다이알실(37)이 정역방향에 주행하게 됨에 의하여, 리니어로 이동구동하여, 리드인 및 리드아우트등의 조작이 하게 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체(1)의 상판상면의 중앙부에는, 턴테이블본체(5)에 설치되고, 또한, 그 턴테이블본체(5)와 더불어 상기 수평이동방향으로 이동하는 센터스핀들(6)의 이동궤적상에 임하겠금하여, 곡간검지체(39)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곡간 검지체(39)는, 발광소자(39a) 및 수광소자(39b)등으로부터 구성되어 있고, 발광소자(39a)로부터 방사되는 빛에 의한 턴테이블(3)면 혹은 턴테이블(3)상에 재치되는 레코드(22)면 등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소자(39b)로 수광함에 의하여, 예를 들면 레코드(22)의 곡을 수록한 음흠부의 사이 요컨대 곡간 및 레코드(22)의 최외주에 형성되는 엣지등을 검지하고 있다. 이것은 레코드(22)의 곡간 및 엣지는, 홈이 거의 형성되지 않고 광반사율이 높고, 수광소자(39b)의 수광량이 큰것임에 의한 것이다.
그리고 턴테이블본체(5)의 상기 수평이동방향의 수납방향측 상면에는, 알미늄박등의 반사체로부터 이루는 마커(40)가 센터스핀들(6)로부터 소정거리 x를 사이를 두고, 센터스핀들(6)의 상기 이동궤적상에 첩설되어 있다. 따라서, 턴테이블(3)상에 레코드(22)가 재치되는 상태에서 케이스체(1)내에 턴테이블본체(5)가 수납되는 경우에는, 통상곡간검지체(39) 요컨대, 수광소자(39b)로부터 순차, 마커(40), 레코드(22)의 엣지, 곡간, 곡간...라고 하는 것과 같이 상대응하는 펄스가 발생하겠금 된다. 그런데 상대응하는 펄스보다 많이 혹은 적게 펄스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곡간 검지체(39)의 감도를 절환하는 감도절환 스위치(도면 표시않음)가 설치되고 있고 감도절환에 의하여 올바른 펄스수가 형성되겠금 수동으로 조정된다.
그리하여, 케이스체(1)에 대하여 턴테이블본체(5)를 수평방향에 진퇴이동시키는 구동모터(14)에 의하여 회전구동되는 웜기어(2)가 고착되는 중간축(11)의 타단측에는, 제4도에 표시되는 것과 같이 반사형으로 또한 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슬리트(41)가 첨선되는 회전원판(42)이 고착되어있다. 이 횐전원판(42)의 슬리트부분을 끼겠금하여서 서로 대향케하여 발광소자(43) 및 수광소자(4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회전원판(42), 발광소자(43) 및 수광소자(44) 등에 의하여, 케이스(1)에 대한 턴테이블본체(5)의 이동을 검지하는 턴테이블본체이동검지체(45)가 구성되어 있다. 이 턴테이블본체이동검지체(45)는, 턴테이블본체(5)를 케이스체(1)에 대하여 수평이동시키는데 구동모터(14)를 회전구동시킴에 의하여, 중간축(11)에 고착된 회전원판(42)이 회전됨에 있어서 슬리트(41)를 통하여 간헐적으로 발광소자(43)로부터의 방사되는 빛이 수광소자(44)로 수광되어서 펄스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 펄스는, 회전원판(42)에 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첨설되는 슬리트(41)에 기인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펄스수를 세는데에 의하여, 턴테이블본체(5)의 이동거리가 스스로 판명하는 것이 된다.
또, 톤암(4)을 이동구동시키는 구동원인 톤암 구동모터(23)에 의하여 회전구동 하겠금되는 웜기어(29)가 고착되는 중간축(26)의 타단측에도, 상술과 똑같이 제3도 및 제4도에 가리키는 것과 같이 방사형으로 또한 주방향으로 균일간격으로 슬리트(46)간 첨설되는 회전원판(47)이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원판(47)의 슬리트(46)부분을 끼우는 것과 같이 서로 대향케하여 발광소자(48) 및 수광소자(49)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회전원판(47), 발광소자(48) 및 수광소자(49) 등에 의하여 암이동검지체(50)가 구성되어 있다.
이 암이동검지체(50)는, 톤암(4)을 이동시키는데 톤암 구동모터(23)를 회전구동시킴에 의하여 상술과 똑같이하여 펄스가 발생케 된다. 또, 이 펄스수를 세는데 의하여, 톤암(4)의 이동거리가 판명된다.
그리고, 턴테이블본체 이동 검지체(45)에 의하여 발생되는 펄스에 상응하는 턴테이블본체(5) 요컨대 턴테이블(3)에 재치되는 레코드(22)의 이동거리와, 암이동검지체(50)에 의하여 발생되는 펄스에 상응하는 톤암(4) 요컨대 톤암(4)에 부착되는 픽업카트릿지(20)의 바늘의 이동거리와는 동등하게 되겠금 구성되고 있다. 즉 구동모터(14) 및 톤암구동모터(23) 각각에 관련되는 웜기어(12)(29)의 회전수마다의 턴테이블본체(5) 및 톤암(4)의 이동량이 상이하는 경우에는 각 기의 회전원판(42)(47)에 첨설되는 슬리트(41)(46)의 수가 조정되어서, 1펄스에 상응하는 각기의 이동량이 일치되어 있다.
또, 턴테이블본체(5)의 전면측에는, 턴테이블본체(5)의 케이스체(1)에 대한 인출 또는 수납조작의 지령을 내는 인출지령 스위치 버턴(51A), 수납지령 스위치 버턴(51B)이나 선곡용 프로그램 스위치군(51C)등이 설치되고, 조작부(51)와 액정등으로 이루어진 표시부(52)로 구성되는 전면 판넬블록(53)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제5도에 가리키는 블록회로를 설명한다. 곡간검지체(39)에서 발생되는 펄스는, 파형정형회로(61)에 의하여 파형이 정형된 후에, 곡간펄스신호로서 마이크로컴퓨터(μ-COM)의 계수제어부(62)에 주어진다. 이 파형정형회로(61)에서는 곡간검지체(39)로부터의 마커(40)에 서로 대응하여 발생되는 펄스가 그 마커(40)에 의한 광반사율이 높기 때문에 크게 되고, 그대로 레코드(22)의 엣지, 곡간에 서로 대응하여 발생되는 펄스와 똑같이하여 정형한다면 펄스폭이 넓게 되고, 마커(40)위치를 정확히 잡어낼 수 없는 일로 말미암아, 펄스정형의 임계레벨을 상이하게 함에 의하여 펄스폭을 좁게하고 있다. 그리고 곡간 검지체(39)가 턴테이블본체(5)상의 마커(40)를 검출하여 파형정형회로(61)를 통하여 발생되는 펄스신호에 의하여 마이크로 컴퓨터(μ-COM)의 계수제어부(62)의 카운트치가 0으로 리셋트되어, 계수메모리부(63)에 영(0번지)이 기억된다.
또, 동일하게 턴테이블본체 이동검지체(45) 및 암이동검지체(50)에서 발생되는 펄스는, 각기 파형 정형회로(65)(64)에 의하여 파형정형된 후에, 로딩펄스신호 및 암 이동펄스신호로서 각각 마이크로컴퓨터(μ-COM)의 계수제어부(62) 및 계수부(66)에 주어진다. 계수제어부(62)는 파형정형회로(64)로부터의 로딩펄스신호를 카운트하고 있고, 그 카운트치(번지)를 상기 곡간 검지체(39)에 의하여 얻어지는 펄스열의 펄스신호에 의하여 계수 메모리부(63)에 순차 기억된다.
턴테이블본체(5)가 케이스체(1)내에 완전히 수납된 상태로서, 도시치 않는 수납완료 검출스위치가 동작하여, 수납완료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μ-COM)에 주어진다. 이에 의하여 마이크로컴퓨터(μ-COM)는 암구동신호를 출력시킨다.
톤암(4)이 기준 포인트에 대한 소정위치에 톤암(4)의 바늘끝이 왔을 때 펄스신호가 파형정형회로(65)로부터 계수부(66)에 주어져, 번지를 카운트 시작한다. 그리고, 이 카운트한 번전신호와 프로그램 스위치군(51C)으로 지정한 곡의 번지신호(계수메모리부(63)에 사전 메모리된 번지)와가 연산부(70)로 비교되어, 이들의 신호가 일치하였을 때 연산부(70)는 출력을 송출하고, 이에 기인하여 마이크로컴퓨터(μ-COM)는 톤암(4)을 하강시키기 위한 플런져에 하강시키기 위한 구동신호(이하, 소멀킥신호)와 홀드신호(톤암(4))을 하강시킨 위치에 유지시켜두는 신호)를, 각각 출력단자 O3및 O2로부터 출력한다.
다시 제6도에 의하여 턴테이블(3)상에 재치되는 레코드(22)의 편심이나 구멍의 모양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톤암(4)를 늘 소정의 곡의 첫위치에 내리는 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겠다.
제4도에서 가리키는 스핀들모터(18)는 8극의 마그네트를 이용한 것이고, 각 극은 등간격(45°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핀들모터(18)와 대향하여 홀센서(71)가, 소정의 위치, 여기서는 곡간검지방향의 안쪽에 고정되어 있다. 홀센서(71)로부터의 검출출력은 증폭기(72)로 증폭되고, 파형정형회로(73)로서 파형정형된다. 파형정형회로(73)의 출력을 클럭신호로서 8진의 시프트레지스터(74)에 주어진다. 시프트 레지스터(74)의 각 레지스터의 출력단은 각각 Q1내지 Q8에 대응하고 있다. 시프트 레지스터(74)에 클럭신호가 주어질때마다 시프트 레지스터(74)에 클럭신호가 주어질때마다 시프트 레지스터(74)의 내용 "1"이 순차자리 이동해간다. 절환스위치(75)는 레코드(22)의 예를들면 33회전 및 45회전 스피드에 응하여, 출력단자 Q5내지 Q7의 출력을 선택할 수 있겠금 되어있고, 여기서는 예를들면 LP 레코드가 33회전으로 하고, 출력단자 Q6측에 절환스위치(75)를 절환하여 있다. 플립플롭(76)의 리셋트단자 R은 시프트레지스터(74)의 출력단 Q3에 접속되어, 플립플롭(76)의 셋트단자 S는 저항(77), 절환스위치(75)를 통하여 시프트 레지스터(74)의 출력단 Q6에 접속되어 있다. 또 플립플롭(76)의 셋트단자 S는 다이오드(78)를 통하여 마이크로컴퓨터(μ-COM)의 출력단자 O2에 접속되어 있다. 또 플립플롭(76)의 출력단은 다이오드(79)를 통하여 플립플롭(80)의 셋트단자 S에 접속되어 있다. 또 플립플롭(80)의 출력단은 다이오드(81)를 통하여 플립플롭(80)의 셋트단자 S에 접속되어 있다. 또 플립플롭(80)의 리세트단자 R은 인버터(82)를 통하여 마이크로컴퓨터(μ-COM)의 출력단자 O2에 접속되어 있다. 또 플립플롭(83)의 리셋트단자 R은 미분회로를 구성하는 저항(84), 콘덴서(85)를 통하여 인버터(82)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 플립플롭(83)의 리세트측 출력단(86)은 다이오드(87)를 통하여 마이크로컴퓨터(μ-COM)의 출력단자(O2)에 접속되어 있다. 또 출력단자 O3은 다이오드(88)를 통하여 출력단자 OUT에 접속되어 있다. 또 플립플롭(76)의 출력단은 저항(89), 다이오드(90)를 통하여 출력단자 OUT에 접속되어 있다. 또 플립플롭(83)의 셋트단자 S는 마이크로컴퓨터(μ-COM)의 출력단자 O4에 접속되어 있고, 플립플롭(83)의 셋트축 출력단(91)는 다이오드(92)를 통하여 저항(89)과 다이오드(90)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플립플롭(76)은 출력으로서 톤암(4)을 하강시키는 플런져를 구동시키는 구동신호(이하, 자동 킥신호라함)를 만드는 회로이다. 또 플립플롭(80)은 마이크로 컴퓨터(μ-COM)의 출력단자 O2로부터 홀드신호가 "H"로 되고나서, 최초의 1회뿐만 시프트레지스터(74)의 출력단 Q6의 출력으로서 플립플롭(76)을 셋트시키기 위한 회로이다. 플립플롭(83)은, 수동조작의 경우 톤암(4)의 올리고 내리는 것을 행해야 할 업 다운키가 눌려져 있을 때, 상기 플롭플롭(76)의 출력신호인 자동 킥신호대신 마이크로컴퓨터(μ-COM)로서 사전 설정된 노말킥신호를 출력단자 OUT로부터 송출시키기 위한 회로이다. 그리고 시프트레지스터(74)는 수납완료신호에 기인한 마이크로컴퓨터(μ-COM)의 출력단자 O1으로부터의 로딩종료신호에 의하여 리셋트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레코드플레이어의 자동선곡동작을 제5도, 제6도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우선 턴테이블본체(5)가 케이스체(1)로부터 인출되어 있고, 제2도의 상태에 있을 때, 턴테이블(3)상에 레코드(22)를 재치하고, 듣고 싶은 곡의 곡번을, 프로그램 스위치군(51C)속에서 선정하여 조작 지정한다. 이어서 연주를 시작해야할 수납지령 스위치 버턴(51B)을 켜게하고, 턴테이블본체(5)를 구동모터(14)에 의하여 케이스체(1)내에 수납한다. 이 수납동작의 과정에 있어서, 곡간검지체(39)는 마커(40)를 검지하고 파형정형회로(61)로부터의 펄스신호로서 계수제어부(62)의 카운트치를 영으로 리셋트하고, 이 카운트치 영(0번지)이 계수메모리부(63)에 기억된다. 이어서, 곡간검지체(39)는 마커(40)를 검지하고 파형정형회로(61)로부터의 펄스신호로서 계수제어부(62)의 카운트치를 영으로 리셋트하고, 이 카운트치 영(0번지)이 계수메모리부(63)에 기억된다. 이어서, 곡간검지체(39)가 레코드(22)의 엣지, 곡간, 곡간, ... 과 같이 순차검지하고, 파형정형회로(61)로부터 펄스신호가 순차인출되어, 이 펄스열은 계수제어부(62)에 주어진다. 이 턴테이블본체(5)의 케이스체(1)로 끌어들이는 동작중, 구동모터(14)가 구동됨에 따라서 턴테이블본체 이동검지체(45)로부터 발생되는 펄스는 파형정형회로(62)로 파형 정형된후, 이 정형펄스를 계수제어부(62)로 순차카운트하고, 그 카운트치(번지)를 곡간검지체(39)의 출력에 기인한 파형정형회로(61)로부터의 펄스열의 펄스신호에 의하여 추출하여 계수메모리부(63)에 순차 기억된다.
그리고, 턴테이블본체(5)가 완전히 수납되어서, 수납완료검출스위치(도면 표시치않음)가 동작한 시점에서, 수납완료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μ-COM)에 주어지어, 마이크로컴퓨터(μ-COM)로부터 톤암(4)을 구동시키기 위한 암구동신호가 출력되어, 톤암구동모터(23)가 회전구동되어 톤암(4)이 수평이동한다. 한편, 시프트레지스터(74)는 마이크로컴퓨터(μ-COM)로부터의 로딩종료신호에 의거하여 Q1, Q2, ... Q8이 1, 0, ...0로 되겠금 리셋트된다. 따라서 자리이동 레지스터(74)의 Q1이 "1"의 상태가 레코드(22)상에서의 곡간이 검지된 위치를 가리키고 있다. 그리고 스핀들모터(18)의회전에 수반하여, 파형정형회로(73)의 클럭에 의하여 시프트레지스터(74)의 Q1의 내용 "1"을 Q1→Q2→Q3→…Q6→Q7→Q8→Q1→Q2→…으로 순차 자리이동을 시킴에 의하여, 턴테이블(3)의 회전중, 레코드(22)상의 곡간검지체(39)에 의하여 곡간검지된 위치가 시프트 레지스터(74)에 기억된다. 암 이동검지체(50)는, 기준포인트에 대한 소정위치에 톤암(4)의 바늘끝이 왔을 때 펄스신호를 출력하고, 이것을 파형정형회로(65)로 정형하여 계수부(66)에 의하여 번지를 카운트 시작한다. 그리고 이 카운트한 번지신호와 프로그램 스위치군(51C)으로서 지정한 곡의 번지신호가 연산부(70)에서 비교되고, 이들의 신호가 일치하였을 때, 연산부(70)로부터의 일치출력에 기초하여, 톤암구동모터(23)를 정지시킨다. 이 톤암구동모터(23)의 정지에 의거하여 마이크로컴퓨터(μ-COM)는 출력단자 O3및 O2보다 각각 소말킥신호 및 홀드신호를 송출한다. 그러나, 업다운키는 조작하고 있기 때문에, 플립플롭(83)의 셋트단자S는 "L"레벨이고, 또 인버터(82)에 의하여 플립플롭(83)의 리셋트 단자 R가 "L"레벨로 된다. 이 때문에 플립플롭(83)의 출력단(86)는 "L"레벨로 되기 때문에, 노말킥 신호는 다이오드(88)를 통하여 출력단자 OUT로부터 출력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본체(5)가 케이스체(1)내에 완전히 수납되어, 도시치 않은 수납완료검출 스위치의 동작에 의하여 톤암(4)이 수평이동함과 동시에 스핀들 모터(18)가 회전하고 구동된다. 지금, 스핀들모터(18)가 회전시작하는 위치에서는 홀센서(71)에 대향하여 스핀들모터(18)의 8극의 마그네트중의 어떤 한 개의 극의 마그네트가 있는 것으로서 이하 설명하겠다. 따라서 스핀들모커(18)가 회전함에 따라서, 스핀들모터(18)의 극이 차례로 홀센서(71)의 대향개소를 지나가기 때문에, 그때마다 홀센서(71)는 출력을 증폭기(72), 파형정형회로(73)를 통하여 클럭으로서 시프트레지스터(74)에 주어져 Q1의 "1"가 Q2→Q3→…→Q5→Q6→Q7→Q8→Q1→Q2→Q3→Q4→…라고 하는 것과 같이 순환적으로 순차 자리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홀드신호가 출력단자 O2로부터 출력되고 나서, 자리이동레지스터(74)의 Qn(n=1,2,…,8) 여기서는 Q6(이때가 톤암(4)을 하강시키면, 톤암(4)의 바늘이 레코드(22)상의 곡간 검지된 위치에 내리는 포인트로 한다.) 이 "1"로 되었을때 비로소, 플립플롭(76)의 셋트단자 S에 논리 "1"이 주어지고, 플립플롭(76)이 셋트된다. 그리고, 플립플롭(76)으로부터 자동 킥신호가 만들어져, 출력단자 OUT로부터 인출되어, 프런져를 구동하여 톤암(4)을 하강시킨다. 그리고, 플립플롭(76)은 톤암(4)의 하강동작상태로 된 최초의 1회뿐만 셋트됨에 따라서, 이 플립플롭(76)의 출력인 킥신호(자동킥신호)로서 플립플롭(80)을 셋트하고, 이 플립플롭(80)이 리세트 되기까지는 플립플롭(80)의 출력으로서 플립플롭(76)은 다시 셋트되지 않는다. 이 플립플롭(80)의 리셋트는 업신호(톤암(4)을 올리는 신호), 즉 홀드신호("L"레벨)로 행한다. 또 턴테이블(3)이 회전하여도 홀드신호("H"레벨)가 마이크로컴퓨터(μ-COM)이 출력단자 O2로부터 출력되지 않은 사이는, 플립플롭(76)의 셋트단자 S는 "L"레벨이 있기 때문에, 시프트레지스터(74)의 Q6로부터 "1"("H"레벨) 출력이 나와도 플립플롭(76)은 홀드신호가 출력되고 나서가 아니면 셋트되는 일은 없다.
스핀들모터(18)의 회전에 따라서, 홀센서(71)로부터 차례차례로 송출되는 출력에 기인하여 시프트레지스터(74)가 순차 자리이동되어, Qn+a(Qn으로부터 a회 자리이동 시킨 위치의 레지스터출력), 여기서는 Q3이 "1"로 되었을 때 플립플롭(76)을 리셋트한다. 이에 의하여 플립플롭(76)으로부터의 자동 킥신호는 송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하여 톤암(4)의 바늘은 레코드(22)상의 곡간 검지체(39)에 의하여 곡간검지된 위치에서, 더욱이 소정의 곡의 첫위치에 내리고, 이 톤암(4)의 상태가 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자동선곡이 가능케된다.
그리고, 상기 톤암(4)을 하강 지지시키는 플런져의 구동신호는, 킥신호(자동킥신호 또는 수종조작의 경우의 노멀킥 신호)와 홀드신호의 둘을 사용하여, 톤암(4)의 하강구동을 킥신호로 상기 플런저에 높은 전압을 가하여 상기 플런저를 동작시켜, 톤암(4)의 바늘이 레코드(22)의 곡간검지 위치에 내린 후에는, 상기 홀드신호에 기인한 낮은 전압으로서, 상기 플런져를 그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또 킥신호는 시프트레지스터(74)의 Q6으로부터 Q3으로 가는동안(이동안에 5회 자리이동하고 있다) 출력되었기 때문에, 그 시간은 (턴테이블 3)의 1회전에 요하는 시간)×이다.
이상의 본 실시예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로딩시에 레코드(22)상의 곡간검지체(39)에 의하여 곡간검지된 위치에 톤암(4)의 바늘이 내려가겠금 하기 위하여, 그 톤암(4)이 하강에 필요한 시간에 회전하는 거리를, 톤암(4)의 바늘이 내리는 레코드(22)상의 위치(곡간 검지위치)로부터 끄른 위치가, 턴테이블(3), 즉 레코드(22)의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조사하고, 그 위치에 레코드(22)상에서의 곡간검지된 위치가 회전하여 왔을때에, 톤암(4)을 하강동작시킨다. 이에 의하여, 톤암(4)의 바늘이 내려진 레코드(22)상의 위치는 곡간을 검지한 위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시프트 레지스터(74)로, 레코드(22)상에서의 곡간검지된 위치를 레코드(22)의 회전중 기억해 둔다. 요컨대 "1"이 Q1내지 Q8의 어디에 현재 있는가로서 레코드(22)의 회전중에 있어서의 곡간검지된 위치를 안다. "1"이 Q1으로부터 순차 Q2, Q3, …,Q8으로 자리이동하여, 다시 Q1에 왔을 때, 레코드(22)도 1회전하도록, 예를들면 8극의 스핀들모터(18)와 8진의 시프트 레지스터(74)를 사용함에 의하여, 대응시키고 있다. 따라서, 레코드(22)의 소정의 곡의 첫위치에서 톤암(4)의 수평이동을 정지시켜, 톤암(4)을 내리는 경우, Q6에 "1"이 왔을 때 자동킥신호에 기초하여 톤암(4)에 하강 동작을 개시시킨다. 그리고, 자동킥신호는 Q3에 "1"이 왔을 때 플립플롭(76)이 리셋트 되기 때문에 송출되지 않는다. 또 톤암(4)의 바늘은 레코드(22)상의 곡간 검지된 곡의 첫위치에 내리겠금, 사전톤암(4)의 하강에 요하는 시간과 스핀들모터(18)의 회전속도(턴테이블(3)의 회전속도)를 알고 있기 때문에, 예를들면 플립플롭(76)의 셋트신호를 Q6으로부터, 리셋트신호를 Q3으로부터 취하겠금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레코드(22)의 회전속도가 변하면, 예를들면 매분 45회전되는 것이 되면, 그것에 맞춰 스핀들모터(18)의 속도도 변하여 오기 때문에, 턴테이블(3)이 1회전에 요하는 시간이 변하여 온다. 이 때문에 제6도의 절환스위치(75)를 예를 들면 Q6으로부터 Q5로 절환하는 등으로 Q5으로부터 Q3로 가기까지의 시간과 톤암(4)의 하강에 요하는 시간과 일치하도록 조정하여준다.
또 수동조작으로 톤암(4)을 곡의 첫위치에 하강시킬 경우에는, 제6도에서 업다운키를 눌러서 얻어지는 출력단자 Q4로부터의 키신호("H" 레벨)에 의하여, 플립플롭(83)이 셋트되어, 출력단(91)이 "L"레벨로 되기 때문에 상술의 플립플롭(76)의 출력인 자동킥신호는 다이오드(92)를 켜기위하여 출력단자 OUT로부터 출력되지 않는다. 이에 대신하여 소멀킥신호가 다이오드(88)를 통하여 출력단자 OUT로부터 인출된다. 그리고 이 마이크로컴퓨터(μ-COM)로부터의 노멀킥신호와 홀드신호로서, 톤암(4)을 하강지지시키는 플런져를 구동제어하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핀들모터(18)의 극을 홀센서(71)로 검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일이 없고, 예를들면 스핀들모터(18)와 동기하여 회전하고 있는 회전체 예를들면 턴테이블(3)등의 주연부에 따라서 등간격으로 자석을 배치하여, 이것을 홀센서(71)로 회전검출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홀센서(71)과 8극 사용의 스핀들모터(18)의 한 개의 극과 회전개시시 대향배치에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일반적으로 레코드(22)상에서의 곡간검지위치와 톤암(4)의 바늘이 내리는 위치의 편차는 (턴테이블(3)의 1회전에 요하는 시간) ×의 범위내에 수습되는 것이며, 이 범위내이라면 레코드(22)의 편심이나 구멍의 모양이 있어도 실제상 문제로 되지 않는다. 다시 스핀들모터(18)의 극수를 늘리든가 하여서 n극으로 하고, 이것에 맞춰 n진의 시프트 레지스터(74)로 한다면 한층 상기 편차를 적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일없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응용 및 변형이 생각된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이, 선곡동작을 행하는 경우, 톤암(톤암의 바늘)을 레코드상의 곡간검지수단에 의하여 곡간검출된 위치에 내려놓을 수가 있고, 따라서 레코드의 편심이나 구멍의 모양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소정의 위치, 예를들면 곡의 첫위치에 톤암을 내려놓을 수가 있는 등의 효과를 이룬다.
Claims (1)
- 턴테이블상에 재치되는 레코드의 곡간검지수단에 의한 곡간검지 방향과 톤암의 이동방향이 소정의 각도로 되도록 구성되는 자동선곡기능 부착레코드 플레이어에 있어서, 턴테이블의 회전중, 레코드상에서 상기 곡간검지수단에 의하여 곡간검지된 위치를 기억해두는 기억수단과, 이 기억수단의 기억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곡간검지된 위치에 상기 톤암을 내려놓겠금 상기 톤암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선곡기능 부착 레코드플레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46874 | 1983-03-19 | ||
JP83-46874 | 1983-03-19 | ||
JP58046874A JP2578738B2 (ja) | 1983-03-19 | 1983-03-19 | 自動選曲機能付レコ−ドプレ−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40008890A KR840008890A (ko) | 1984-12-19 |
KR910007915B1 true KR910007915B1 (ko) | 1991-10-04 |
Family
ID=12759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40001400A KR910007915B1 (ko) | 1983-03-19 | 1984-03-19 | 자동선곡기능 부착 레코드플레이어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4528653A (ko) |
JP (1) | JP2578738B2 (ko) |
KR (1) | KR910007915B1 (ko) |
CA (1) | CA1204389A (ko) |
DE (1) | DE3410031A1 (ko) |
FR (1) | FR2542905B1 (ko) |
GB (1) | GB214804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3266A (ja) * | 1986-07-16 | 1988-01-30 | Pioneer Electronic Corp | デイスク検出装置 |
USD385883S (en) * | 1995-04-17 | 1997-11-04 | Sony Corporation | Unit for digital audio disk player |
JP2009026358A (ja) * | 2007-07-17 | 2009-02-05 | Funai Electric Co Ltd | ディスク再生装置 |
US8406112B2 (en) * | 2010-01-04 | 2013-03-26 | George Earnest Merrill | Turntable |
US10141012B1 (en) * | 2017-03-13 | 2018-11-27 | Thomas G. Lavoie | Manual to automatic turntable player conversion |
TWM590726U (zh) * | 2019-08-19 | 2020-02-11 | 安譜國際股份有限公司 | 點讀唱片系統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064851B2 (de) * | 1970-12-30 | 1979-03-15 | Watanabe, Katsumi, Kawasaki, Kanagawa (Japan) | Spielzeugplattenspieler mit Platte |
US4094013A (en) * | 1975-05-22 | 1978-06-06 | U.S. Philips Corporation | Optical storage disk system with disk track guide sectors |
DE2731666C3 (de) * | 1977-07-13 | 1982-02-04 | Gerätewerk Lahr GmbH, 7630 Lahr | Anordnung zum Konstanthalten der Drehzahl eines rotierenden Elements, insbesondere eines Plattentellers eines Plattenspielers |
JPS5525815A (en) * | 1978-08-09 | 1980-02-23 | Mitsubishi Electric Corp | Record player |
JPS5573964A (en) * | 1978-11-28 | 1980-06-04 | Nippon Gakki Seizo Kk | Controller for trace arm of player |
JPS611585Y2 (ko) * | 1979-03-20 | 1986-01-20 | ||
JPS56105365A (en) * | 1980-01-22 | 1981-08-21 | Sony Corp | Record player |
GB2077985A (en) * | 1980-06-13 | 1981-12-23 | Bsr Ltd | Transducer positioning arrangement |
US4375092A (en) * | 1980-07-17 | 1983-02-22 |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 Automatic music selecting device |
EP0048161A1 (en) * | 1980-09-15 | 1982-03-24 | Mattel, Inc. | Phonograph |
JPS6232329Y2 (ko) * | 1980-12-27 | 1987-08-19 | ||
DE3201150A1 (de) * | 1981-01-17 | 1982-10-07 | Pioneer Electronic Corp., Tokyo | Antriebseinrichtung fuer den tonarm eines plattenspielers |
JPS57158065A (en) * | 1981-03-25 | 1982-09-29 | Ozen Corp | Simple acoustic reproducing device driven by spring motor |
US4443869A (en) * | 1981-09-28 | 1984-04-17 | Rca Corporation | Track jump servo system for disc player |
US4485465A (en) * | 1983-02-22 | 1984-11-27 | Rca Corporation | Video disc player having turntable brake mechanism |
-
1983
- 1983-03-19 JP JP58046874A patent/JP2578738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4
- 1984-03-13 US US06/588,928 patent/US4528653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4-03-16 CA CA000449829A patent/CA1204389A/en not_active Expired
- 1984-03-19 DE DE19843410031 patent/DE3410031A1/de active Granted
- 1984-03-19 GB GB08407045A patent/GB2148042B/en not_active Expired
- 1984-03-19 FR FR8404214A patent/FR2542905B1/fr not_active Expired
- 1984-03-19 KR KR1019840001400A patent/KR91000791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FR2542905A1 (fr) | 1984-09-21 |
DE3410031A1 (de) | 1984-09-20 |
GB8407045D0 (en) | 1984-04-26 |
GB2148042B (en) | 1986-06-18 |
JP2578738B2 (ja) | 1997-02-05 |
US4528653A (en) | 1985-07-09 |
GB2148042A (en) | 1985-05-22 |
CA1204389A (en) | 1986-05-13 |
DE3410031C2 (ko) | 1993-04-08 |
JPS59172179A (ja) | 1984-09-28 |
KR840008890A (ko) | 1984-12-19 |
FR2542905B1 (fr) | 1987-05-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55978A (en) | Disc player | |
US3937903A (en) | Sound track selector system for phonograph record players | |
KR910007915B1 (ko) | 자동선곡기능 부착 레코드플레이어 | |
US4230323A (en) | Automatic record player | |
US4365326A (en) | Record player | |
US4085940A (en) | Phonograph record player | |
JPS6232329Y2 (ko) | ||
JPH06302096A (ja) | 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駆動装置 | |
JPH0233282Y2 (ko) | ||
JPH0233283Y2 (ko) | ||
JPH0679413B2 (ja) | デイスクチエンジヤ−装置 | |
US5872752A (en) |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isk-like recording medium | |
JPS6318244B2 (ko) | ||
JPS5923027B2 (ja) | レコ−ドプレ−ヤ− | |
JPS637921Y2 (ko) | ||
JPH0388170A (ja) |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ーヤ | |
JPS6280859A (ja) | デイスク自動交換装置 | |
JPS6127802B2 (ko) | ||
JPH0252355B2 (ko) | ||
JPS58122647A (ja) | ピツクアツプア−ムの駆動装置 | |
JPS58122648A (ja) | ピツクアツプア−ムの駆動方法 | |
JPS592259A (ja) | 自動選曲式のレコ−ドプレ−ヤ | |
JPS63288478A (ja) | 光ディスク装置 | |
JPH0421934A (ja) | ディスクの誤装着検出装置 | |
EP0164175A1 (en) | Equipment which enables the words inscribed on a compact disc to be read while the disc is being playe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40930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