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625B1 - 파일 웨어의 생산을 위한 공정 및 경사 편성기 - Google Patents

파일 웨어의 생산을 위한 공정 및 경사 편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625B1
KR910007625B1 KR1019890011442A KR890011442A KR910007625B1 KR 910007625 B1 KR910007625 B1 KR 910007625B1 KR 1019890011442 A KR1019890011442 A KR 1019890011442A KR 890011442 A KR890011442 A KR 890011442A KR 910007625 B1 KR910007625 B1 KR 910007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thread
base
needl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457A (ko
Inventor
제게르 호르스트
Original Assignee
칼 마이에르 텍스틸마쉬넨파브리크 게엠베하
프릿즈 페. 마이에르·울리히 마이에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마이에르 텍스틸마쉬넨파브리크 게엠베하, 프릿즈 페. 마이에르·울리히 마이에르 filed Critical 칼 마이에르 텍스틸마쉬넨파브리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00003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3/00Flat warp knitting machines
    • D04B23/08Flat warp knitting machines with provision for incorporating pile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6Needle bars; Sinker bars
    • D04B27/08Driv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일 웨어의 생산을 위한 공정 및 경사 편성기
제1도는 본 발명의 녹 오버 위치(knck over positiion)에서의 경사 편성기(warp knitting machine) 작업 범위.
제2도는 제1도의 언더랩 위치(underlap position)에서의 범위.
제3도는 제1도의 오보랩 위치(overlap position)에서의 범위.
제4도는 제2도 우측으로부터의 부분 측면도.
제5도는 제3도 좌측으로부터의 부분 측면도.
제6도는 파일 싱커(pile sinker)의 바람직한 실시예.
제7도는 첫 번째 예에 대한 래핑 다이아그램(lapping diagram).
제8도는 두 번째 예에 대한 래핑 다이아그램.
제9도는 제6도의 파일 싱커 바를 움직이기 위한 구동 메카니즘.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니들 바 3 : 후크
6, 7, 8 : 가이드 9 : 파일 드레드
10 : 제1베이스 드레드 11 : 제2베이스 드레드
12 : 파일 싱커 바 13 : 파일 싱커
16 : 경사표면 17 : 자유단
L1, L2, L3 : 가이드 바
본 발명은 파일 싱커(pile sinker)들이 제공된 단일 베드(single-bedded)의 경사 편성기(warp knitting machine)에 의해 파일 웨어(pile ware)를 생산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베이스 및 파일 드레드(base and pile thread)는 니들(needle)주위에 동시적으로 랩(lap)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일 웨어의 생산을 위한 경사 편성기에 관한 것이며, 이것에는 니들 바(needle bar),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베이스 및 파일 드레드를 위한 가이드 바(guide bar) 및, 니들 갭(needle gap)을 통해 통과될 수 있는 파일 싱커가 제공되고,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없는 파일 싱커 바가 설치되어 있다.
본건 종류의 공정 및 경사 편성기는 Milland Textile Berichte 12/1971, 페이지 1407-1413에 소개되어 있으며 특히 제3도에 잘 설명되어있다. 이 기계에서는 니들 갭내에 파일 싱커가 움직일 수 없게끔 제공되어 있다. 파일 드레드는 트리코트 편조직(tricot stitch)으로서 놓여지며, 선택적으로는 적절한 싱커 다음의 좌측 및 우측으로 편조직을 형성한다. 베이스 드레드(base thread)로서 체인 편조직(chain stitch)이 사용되며, 따라서 안정적인 베이스 직물(base fabric)의 생산 이전에 해당하는 매거진 인래이 장치(magazine inlay arrangement) 뿐만 아니라 우프 드레드 인레이(weft thread inlay)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이드 바는 언더랩 위치로부터 오버랩 위치까지의 스윙동안에, 체인 편조직을 형성하기 위한 처음의 파일 드레드 및 다음의 베이스 드레드가 니들 갭을 통해 유도되도록 제공된다. 그러한 장치에서는 단지 한 종류의 베이스 직물만이 생산되며, 매거진 우프인레이 장치에 대한 필요성에서 볼 때 가격이 비싸다.
파일 웨어는 베이스 드레드가 트리코트 편조직으로서 레이(lay)되고 파일 드레드가 체인 편조직으로서 레이되는 경우에 생산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DE-PS 2435321). 이것은 파일 싱커 바가 하나의 니들 스페이스에 의해 측면상으로 변위될 수 있어야함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조차도 파일 드레드의 래핑(lapping)은 베이스 드레드의 래핑과 밀접하게 연계된다. 베이스 직물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2의 베이스 드레드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며, 따라서 다시 우프 드레드 삽입 장치(weft thread insertion arrangemet)가 예지된다.
파일 웨어를 트윈 베드(twin bed)의 경사 편성기 상에서 생산하는 것이 알려져있다(DE-OS 2832481). 그러한 기계에서는 베이스 및 파일 드레드에 대해 다른 종류의 바인딩(binding)을 함께 콤바인 하는 것이 간단하며, 또한 다른 가이드 바 위로 부가적인 베이스 드레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설비가 이중 베드라는 성격 때문에 커팅기의 제공에 대한 부가적인 필용성이 있고 고가의 투자비용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유리한 점을 나타내는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 편성기상에서 파일 드레드와 베이스 드레드로써 파일 웨어의 제조를 위한 공정이 제공된다. 이 기계는 파일 싱커 및 단일의 니들 바를 지니며, 니들은 니들 백을 지니고 있다. 본 공정은 베이스 드레드와 파일 드레드를 니들 주위에 동시적으로 레이된다. 또한 본 공정은 베이스 및 파일 드레드를 언더랩 위치로부터 오버랩 위치로 스윙하는 단계 및, 처음에는 베이스 드레드를 이후에는 파일 드레드를 니들 백에 레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단계는 니들 백위에 파일 드레드와 베이스 드레드를 그 사이에 분리(separation)를 두고 미끄러뜨리는 것이다. 또다른 단계는 스윙 단계중에 베이스 드레드와 파일 드레드 사이에 형성된 공간내로 파일 싱커를 움직이는 것이다. 파일 싱커는 편조직 녹 오버(stitch knock-over)가 발생될 때까지 이 공간에 잔류한다.
같은 발명의 원칙에 따른, 베이스 및 파일 드레드로부터의 파일 웨어 생산에 대한 관련된 경사편성기에는 니들 바가 제공되며 이것은 니들 백을 지니고 있는 복수개의 니들이 제공된다. 편성기는 또한 베이스 드레드를 위한 왕복 베이스 바 및, 파일 드레드를 위한 왕복 파일 드레드 바를 지닌다. 파일 드레드 바는 최종가이드 바로서 언더랩 위치로부터 오버랩 위치로 스윙하게끔 조작될 수 있다. 또한 편성기는 측면상으로 변위될 수 없는 파일 싱커 바를 지니며 이것은 각 니들사이 갭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파일 싱커를 지닌다. 파일 싱커 바와 니를 바는 상대적으로 왕복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파일 싱커는 휴지 위치를 지니며, 여기서 이것의 자유단은 니들 백을 지나 돌출하지 않는다. 파일 싱커는 파일 형성위치를 지니며 여기서 그 자유단은 니들 백을 지나 돌출한다. 또한 편성기는 파일 및 베이스 드레드 바가 오버랩 위치내에 있거나 근접해 있을 때 파일 싱커 바를 움직이고 파일 싱커의 자유단을 파일 드레드와 베이스 드레드 사이에 삽입시키기 위한 조절 수단을 지닌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베드의 경사 편성기상태에서 파일 웨이를 생산하는 것이며, 여기서 이전보다도 훨씬 많은 수의 베이스 및 파일 드레드 바인딩 콤비네이션(binding combination)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문제는 이전에 설명된 과정에서 해결되며, 이것은 언더랩 위치로부터 오버랩 위치까지의 운동과 관련되어 베이스 드레드를 완전 스윙(through-swing)하고, 파일 드레드를 니들 백 위에 두어 이들 사이의 분리와 함께 이곳으로부터 미끌어져 이탈하는 것을 가능케 하고, 완전 스윙 동안이나 이후에 파일 싱커를 베이스 및 파일 드레드 사이의 분리내로 인도하여 편조직의 녹 오버때까지 그곳에 두는 것등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베이스 및 경사 드레드를 그들이 니들 백을 따라 미끄럼질 때 분리되기 때문에 비록 회피할 수 없는 드레드 크로싱(thread crossing)이 있을지라도, 베이스와 파일 드레드 사이에는 파일 싱커가 용이하게 그 사이에 도입되는 충분한 공간이 있다. 따라서 베이스 및 파일 드레드를 따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러한 방법으로 베이스 직물을 형성하고 또 별도로 파일 루프(pile loop)를 형성할 수 있다. 최선의 결과는 완전 스윙의 끝에서 나타나며 그 이후에 베이스 드레드는 니들 풋(needle foot)의 방향으로 충분히 이동해있고 상대적으로 큰 갭이 형성되며, 특히 오버랩 상태에서는 베이스 및 파일 드레드가 충분히 확정된 갭을 형성하여 이 안으로 파일 싱커가 매우 용이하게 도입될 수 있으므로 가능하다.
이 공정에 의해 섬유를 설계자들은 많은 다른 종류의 파일 웨어를 창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베이스 및 파일 드레드 바인딩의 다른 쌍들이 있게된다. 따라서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실용상의 모든 요구에 대한 베이스 직물 및 파일의 콤비네이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다른 변위 운동으로서 최소한 두 개의 베이스 드레드 시스템을 작업할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우프 드레드 삽입의 도입에 대한 필요성 없이 인열저항(tear resistance)을 충분한 수준으로 지니며 안정적인 베이스 직물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일의 베이스 드레드 시스템을 지니는 베이스 직물(base fabric)이 관련된 경우에, 즉 광학적 교란(optically disturbing)으로 종종 간주될 수 있는 측방향 바이어스(sideward bias)인 트리코트일 경우 이것은 반대 방향에서 제2의 베이스 드레드를 작업시킴으로써 회피될 수 있다.
두 개의 베이스 드레드 시스템의 미분화가능 변위운동(differentiable displacement movement)은 변위가 다른 니들 간격에 걸쳐 발생하게끔 제공될 수 있다. 양측의 베이스 드레드 시스템을 반대되는 래핑 방향에서 작업시키는데서 바람직한 해결을 찾을 수 있다. 이것은 굉장히 정연하고 안정적인 베이스 직물을 가능케 한다.
한 드레스 시스템이 체인 편조직으로서 제공되고 다른 것이 부분적인 우프 삽입으로서 제공되는 미분화 가능 변위의 또 다른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들은 우프 삽입 드레드에 대한 필요성 없이 해당하는 베이스 직물을 가능케 한다.
선행 기술의 경사 편성기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정될 때 여기에서 취해진 문제 해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파일 싱커 및 니들 바는 휴지 위치에서 파일 싱커의 자유단이 니들 백을 지나 돌출하지 않는 방식으로 서로를 향해 배향된다. 파일 형성 위치에서 파일 싱커의 자유단은 니들 백을 지나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앞뒤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파일 드레드 가이드 바는 최종 가이드 바로서 언더랩 위치로부터 오버랩 위치에 이르기까지 완전히 스윙하게끔 배치된다. 조절 장치는 가이드 바가 오버랩 위치내에 있거나 근접해 있을 때 전방향 운동을 일으키도록 제공되고 파일 싱커는 전방향 운동에서 파일 싱커의 자유단이 파일 드레드와 베이스 드레드 사이에 돌출하도록 제공된다.
가이드 바의 장치는 베이스 드레드가 파일 드레드 앞에서 니들 백을 따라 미끄러지게 유도된다. 파일 싱커의 장치 및 파일 싱커 바와 니들 바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은 파일 드레드와 베이스 드레드의 요구되는 분리로 유도된다. 재래의 경사 편성기에서 이것이 필요로 하는 구조 변화는 상대적으로 작다. 앞뒤로의 운동은 지극히 자근 궤적을 필요로 한다.
다른 변위 운동를 위해 제공된 최소한 두 개의 베이스 드레드 바가 적절히 사용된다.
특히 베이스 드레드 바는 반대 방향에서 랩되게끔 변위될 수 있다. 동시에 또한 선택적으로 베이스 드레드 바가 니들 갭의 상이한 수에 걸쳐 변위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베이스 드레드 바가 체인 편조직의 예비로서 장치될 수 있고 다른 베이스 드레드 바가 부분적인 우프 인서트(partial weft insert)의 예비를 위해 장치될 가능성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최종 가이드 바로서 언더랩 위치로부터 오버랩 위치에 이르기까지 완전히 스윙되는 최소한 두 개의 파일 드레드 바가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파일 랩의 경우에 부가적인 콤비네이션이 가능하다는 것도 의미한다.
파일 싱커 자유단에 테이퍼링(tapering)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드레드간의 비교적 작은 스페이수가 분리 기능(separation function)을 수행하기 위한 파일 싱커를 위해 필요함을 의미한다. 자유단이 분리 스페이스내로 들어가자마자 파일 및 베이스 드레드가 파일 싱커에 의해 밀려서 분리된다.
자유단은 파일 싱커의 파일 드레드 측면에 가능한한 가깝게 위치되어야만 한다.
파일 드레드 측면상의 파일 싱커 자유단에 작은 돌출부가 제공된다면 유리하다.이 돌출부는 편조직의 형성중에 파일 드레드의 미끄러짐(slippage)를 억제한다.
가장 단순한 경우에서는 파일 싱커 바가 전 후 운동의 예비를 위해 변위될 수 있다. 따라서 니들 바는 이것의 공간상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파일 싱커 바가 움직일 수 없는 방식으로 장치되고 니들바가 전 후 운동을 제공하도록 변위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거나, 또는 파일 싱커 바 및 니들 바가 모두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일 싱커 바는 니들의 운동 방향에서 싱커 운동의 성분을 제공하도록 장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것이 파일 및 베이스 드레드의 보다 나은 분리발생을 가능케 한다.
휴지 위치는 파일 싱커의 자유단이 근접한 니들의 운동 궤적 사이에 여전히 위치하게끔 선택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것은 각 사이클마다 니들의 후크가 파일 싱커들 사이를 운동하지만 파일 싱커는 니들 샤프트 사이에 돌출할 필요가 없는 결과를 가져온다. 후크는 샤프트보다 작은 폭을 지니므로 이들 사이에 충돌의 위험성은 없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바의 니들 베드 평면상 돌출부가 언더랩 위치로부터 오버랩 위치까지의 완전한 스윙중에 녹 오버 모서리로 전방향 변위된다. 이러한 변위를 통해 베이스 드레드는 니들 백 위에서 특히 낮게 미끄러짐으로써 파일 드레드 및 베이스 드레드 사이의 매우 긴요한 분리가 얻어진다.
니들 바(1)는 해당 후크(hook)(3)가 설치된 복수개의 니들(2)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니들은 라쉘 니들(raschel needl), 탕 니들(tongue needle)일 수 있으며 슬라이더 니들인 것이 바람직스럽다. 바(4)는 클로징 녹 오버 싱커(closing knock-over sinker)(5)를 지닌다. 해당 가이드(6,7,8)를 지닌 3개의 가이드 바(L1,L2,L3)가 제공된다. 가이드(6)는 파일 드레드(9)를 지니며, 가이드(7)는 제1의 베이스 드레드(10)를, 가이드(8)는 제2의 베이스 드레드(11)를 제2도 및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니고 있다.
또한 파일 싱커(13)를 지니는 파일 싱커 바(12)가 제공된다. 여기에는 파일 드레드 사이드(14)를 나타내는 상부 표면 및 앞쪽에 경사표면(tilted surface)(16)을 지니는 저부 표면(15)이 제공된다. 이들 파일 싱커는 제2도에 휴지 위치(at-rest position)에서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자유단(17)은 니들의 후면(back-face; 18)과 전면(front-face; 19)사이에 위치한다. 파일 싱커는 측면방향, 즉 파일 싱커 바(12)의 방향으로 위치를 바꿀수는 없지만,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일 싱커의 평면상에서 휴지 위치로부터 파일 형성 위치로 움직일 수 있으며, 여기서 자유단(17)은 니들 백(18)을 지나 돌출한다. 제3도는 전방향 운동중의 파일 싱커를 도시한다. 제1도는 이 운동중의 파일 싱커를 도시한다. 이러한 운동에서는 파일 싱커가 갭 z를 통해 파일 드레드(9)와 베이스 드레드(10,11) 사이를 통과하며 이것은 제4도 및 5도에서 보다 명확히 설명한다.
개별적인 부분들이 다음의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P1) 내지 (P8)의 조절 배치에 의해 발생되는 운동을 충분히 수행한다. 개개의 사이클마다 니들은 상방향(P1) 및 하방향(P2)으로 움직인다(제1도). 파일 싱커(13)는 앞뒤로(P3 및 P4) 움직인다(제1도). 가이드 바(L1,L2,L3)는 언더랩 위치로부터 오버랩 위치(P5)에 이르기 까지 완전히 스윙하여 움직일 수 있으며, 역전 방향(P6)으로도 움직일 수 있다(제1도). 또한 이것들은 길이방향(제5도)에서 각각 앞뒤로 위치를 바꿀수 있다. 그러한 운동의 조절은 통상적인 방법인 캠, 패턴 체인(pattern chain)등과 같은 것으로 수행된다.
가이드 바(L1,L2,L3)가 언더랩 변위를 이루고 제2도에 도시된 언더랩 위치로부터 제3도에 도시된 오버랩 위치에 이르기까지 완전히 스윙하면, 베이스 드레드(11), 베이스 드레드(10), 마지막으로 파일 드레드(9)가 니들 백(18)위에 레이된다. 완전한 스윙(P5)이 있는 동안 드레드들은 니들 백(18)위에 하방향으로 미끄러지며, 여기에 최소한 파일 드레드(9) 및 베이스 드레드(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있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위치(turn around points)(9a,10a,11a)는 완전 스윙의 최종 단계에서 형성되어 명백히 정의된 위치를 지니며 각각의 완전 스윙 위치 이전에도 정확히 위치된다. 이전에 언급된 분리 때문에, 파일 싱커(13)의 전방향 단부(17)가 전방향 스윙(P3)동안 도입되는 스페이스 Z가 형성된다. 자유 단부(17)의 테이퍼(taper)상태 때문에 스페이스 Z는 상대적으로 작으며, 파일과 베이스 드레드 사이의 안전한 분리가 성취된다. 베이스 드레드는 경사 표면(16)에 의해 하향으로 이끌리며, 반면에 파일 드레드는 상부 측면상에 잔류한다.
최종적으로 편조직이 형성되고 녹 오버될 때 파일 드레드는 파일 싱커(13)의 파일 드레드 측면(14)상에 여전히 잔류하며, 따라서 파일 루프가 얻어진다. 편조직의 형성 이후에 파일 싱커 바(12)는 다시 제2도에 도시된 바(P4)와 같이 휴지 위치로 돌아간다.
제2도 및 3도의 비교예로서 도시되듯이 가이드 바의 돌출부는 언더랩 내지 오버랩 위치로부터 크로징 녹 오버 싱커(5)의 녹 오버 모서리까지 완전히 스윙(P5)하는 니들(2)에 의해 형성된 베드에 의해 생산된 평면상에서 (L1,L2,L3)를 변위시킨다. 따라서 니들 백(18)위의 드레드의 하향 미끄러짐이 더욱 유리하다. 이것은 가이드 바의 스윙 축(swing axis)이 후크 측면상의 이전에 언급된 평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제공됨으로써 성취된다.
제6도에서 볼 수 있듯이 파일 드레드 바(L3) 및 (L4)가 제공됨으로써 한 사람이 이중 파일 드레드시스템에서(two-pile thread system)일할수 있다. 가이드 바(L4)는 가이드 바(L3)와 상이한 변위에서 작업할 수 있다.
제6도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파일 싱커(113)와 함께 파일 싱커 바(112)가 설명되어 있으며, 이것의 자유단부(117)는 파일 측면(114)상에 돌출부(rises; 120)를 지닌다. 운동 궤적에 대한 가이드 배치(P9)가 도시하는 바와같이, 니들의 이동 궤적 방향에서의 운동 성분인 전방향 및 후방향으로의 운동(P3 및 P4)이 제공된다. 이것은 베이스 드레드를 하단 방향으로 프레스하는데 공헌한다.
파일 싱커 바(112)의 수직 및 수평의 조합운동이 제6도에 도시되며 이 운동은 제9도의 구조로써 이루어진다. 캠 디스크(22)가 주축(21)에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디스크(22)는 레버(23)를 왕복시키며, 이것은 축(24) 주위에 피봇되어 푸쉬 로드(25)를 수평운동이 일어나게끔 조작한다.
로드(25)는 이중 암 레버(26)의 한 레버에 연결되어 축(27) 둘레에서 왕복하게끔 한다. 레버(26)의 다른 아암은 중간 이송 요소(28)에 의해 슬라이더(29)에 연결되며 이것은 파일 싱커 바(112)를 유지한다.
슬라이더(29)는 베어링 블록(30)에서 전후 운동 방식으로 미끌어질 수 있다. 이것이 파일 싱커 바의 전후 운동(P3,P5)에 해당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같이, 캠 디스크는 주축(21)에 마찬가지로 장착되어 푸쉬 로드(31)를 왕복운동시키며 이것은 다른 이중 아암 레버(32)의 제1아암을 구동하여 수직 운동을 일으킨다. 이 레버(32)는 축(33)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베어링블록(30)내로 형성된 제2아암을 지닌다. 이것이 파일 싱커 바(112)의 수직 운동을 수행하여 (P9)의 상호 운동에 포함한다.
제7도는 통상적인 포맷(format)에서 베이스 드레드와 파일 드레드가 어떻게 가이드 바에 의해 레이되는 가를 도시한다. 따라서 베이스 드레드(11)는 가이드 바(L1)에 의해 개방 루프 포메이션(open loop formation)과 함께 오포징 트리코트편조직(opposing tricot stitches)으로서 레이되고, 베이스 드레드(10)는 가이드 바(L2)에 의해 개방 루프 포메이션과 함께 저지 편조직(Jersey stitfh ; 1.0-2.3lap)으로서 레이되며 파일 드레드(9)는 가이드 바(L5)에 의해 폐쇄 루프 포메이션(closed loop formation)과 함께 타월링(toweling)으로서 레이된다.
제8도는 베이스 드레드(11)가 가이드 바(L1)에 의해 부분 우프 인서트(partial weft insert)로서 레이된 것과, 베이스 드레드(10)가 가이드 바(L2)에 의해 폐쇄 루프 포메이션과 함께 체인 편조직으로서 레이된 것 및, 파일 드레드(9)가 가이드 바(L5)에 의해 오프(off)/개방 루프 포메이션과 함께 저지 편조직(1.0-2.3lap)으로서 레이된 것을 도시한다.
또한 상기에서 소개된 원칙에 따라 생산될 수 있는 기존의 바인딩(binding) 및 래핑(lapping)의 다수의 다른 콤비네이션이 존재한다. 단지 요구되는 분리가 파일 루프의 완성때까지 유지된다는 것을 확인되기만 하면 된다.
도면은 경사 편성 자동장치(warp knitting automat)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원칙은 Raschel 편성기에도 채용될 수 있다.

Claims (17)

  1. 경사 편성기는 파일 싱커 및, 니들 백을 지닌 니들과 함께 단일의 니들 바를 지니며, 베이스 및 파일 드레드를 언더랩 위치로부터 오버랩 위치로 스윙하는 단계, 처음에 베이스 드레드를 이후에는 파일 드레드를 니들 백 위에 레이잉(laying)하는 단계, 상기의 니들 백위에서 상기의 베이스 및 파일 드레드를 그 사이에 분리를 두고 미끌어뜨리는 단계 및, 스윙 단계중에 상기의 베이스 드레드와 파일 드레드 사이에 형성된 드레드 공간내로 파일 싱커를 움직이는 모든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의 파일 싱커는 편조직의 녹 오버가 발생할때까지 상기의 공간에 잔류하며, 베이스 드레드와 파일 드레드를 니들 주위에 동시적으로 레이잉하는, 상기 경사 편성기에서 파일 드레드 및 베이스 드레드로써 파일 웨어의 제조를 위한 공정.
  2. 제1항에 있어서, 최소한 두 개의 베이스 드레드를 채용하고, 동시적으로 레이잉하는 단계가 상기의 두 베이스 드레드를 두 개의 상이한 패턴으로 레이잉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공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두 개 베이스 드레드가 반대 래핑 방향에서 작업되는 공정.
  4. 제2항에 있어서, 두 개 베이스 드레드중 하나가 체인 편조직으로서 제공되며 다른 하나는 부분적인 우프 삽입 패턴으로 제공되는 공정.
  5. 니를 바, 왕복 베이스 드레드 안내 수단, 왕복 파일 드레드 안내 수단, 측면으로 변위될 수 없는 파일 싱커 바 및 조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니들 바는 각기 니들 백이 있는 복수개의 니들을 지니고, 상기 베이스 드레드 안내 수단은 최소한 하나의 베이스 드레드 바를 지니며 베이스 드레드의 안내를 위한 것이고, 상기 파일 드레드 안내 수단은 최소한 하나의 파일 드레드 바를 지니며 파일 드레드의 안내를 위한 것이고, 또한 언더랩 위치로부터 오버랩 위치로 상기 베이스 드레드 바를 이끌면서 스윙되게끔 조작될 수 있고, 상기 파일 싱커 바는 니들내의 각 갭(gap)과 상호작용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파일 싱커를 지니며, 상기 파일 싱커 바 및 상기 니들 바는 상대적으로 왕복하게끔 장착되며, 상기 파일 싱커는 휴지 위치를 지니고 이 위치에서 이것의 자유단은 니들 백을 지나 돌출하지 않으며, 상기 파일 싱커는 파일 형성 위치를 지니고 이 위치에서 이것의 자유단은 니들 백을 지나 돌출하며, 상기 조절 수단은 파일 및 베이스 드레드 안내 수단이 오버랩 위치안에 있거나 근접해 있을 때 파일 드레드와 베이스 드레드 사이에 파일 싱커의 자유단을 삽입시키고 상기 파일 싱커 바를 움직이기 위한 것인, 베이스 및 드레드로부터 파일 웨어의 생산을 위한 경사 편성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드레드 안내 수단이 상이한 패턴으로 움직이게끔 장착된 최소한 두 개의 독립적인 복수개 베이스 드레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경사 편성기.
  7. 제6항에 있어서, 두 개의 복수개 베이스 드레드 가이드가 반대되는 래핑 방향으로 변위되게끔 조작될 수 있는 경사 편성기.
  8. 제7항에 있어서, 두 개의 복수개 베이스 드레드 가이드가 상이한 수의 니들 공간에 의해 변위될 수 있는 경사 편성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베이스 드레드 가이드중 하나가 체인 편조직을 생산할 수 있고 복수개 베이스 드레드 가이드의 다른 하나는 부분적인 우프 삽입 패턴을 생산하게끔 조작될 수 있는 경사 편성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의 파일 드레드 안내 수단은 최소한 두 개의 독립적인 복수개 파일 드레드 가이드를 포함하고, 이 가이드는 상이한 패턴으로 움직이고 상기의 베이스 드레드 바를 이끌면서 언더랩 위치로부터 오버랩 위치까지 스윙하게끔 장착된 경사 편성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의 파일 싱커는 그 자유단에서 테이퍼져 있는 경사 편성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의 파일 싱커는 상기 파일 드레드 바를 면하는 파일 측면을 그 자유단에 근접하여 지니는 경사 편성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파일 싱커가 그 자유단의 파일 측면에 상당 돌출부를 지니는 경사 편성기.
  14. 제13항에 있어서, 파일 싱커 바가 왕복하게끔 장착된 경사 편성기.
  15. 제14항에 있어서, 파일 싱커 바가 니들의 상방향 운동에 평행한 방향인 운동 성분으로써 조작될 수 있는 경사 편성기.
  16. 제5항에 있어서, 파일 싱커가 휴지 위치를 지니며 이 위치에서 파일 싱커의 자유단은 이웃하는 상기 니들 사이에 놓여지는 경사 편성기.
  17. 제16항에 있어서, 베이스 드레드 및 파일 드레드 바의 니들 평면위로의 돌출이 언더랩 위치로부터 오버랩 위치로까지의 스윙중에 녹 오버방향을 향해 변위되는 경사 편성기.
KR1019890011442A 1988-08-11 1989-08-11 파일 웨어의 생산을 위한 공정 및 경사 편성기 KR910007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827265.2 1988-08-11
JP3827265.2 1988-08-11
DE3827265A DE3827265A1 (de) 1988-08-11 1988-08-11 Verfahren und kettenwirkmaschine zur herstellung von polwa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457A KR900003457A (ko) 1990-03-26
KR910007625B1 true KR910007625B1 (ko) 1991-09-28

Family

ID=6360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442A KR910007625B1 (ko) 1988-08-11 1989-08-11 파일 웨어의 생산을 위한 공정 및 경사 편성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86091A (ko)
JP (1) JPH0274650A (ko)
KR (1) KR910007625B1 (ko)
DE (1) DE3827265A1 (ko)
FR (1) FR26353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1621A1 (de) * 1990-01-20 1991-07-25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ware sowie zugehoerige polware
DE4138255C1 (ko) * 1991-11-21 1993-01-28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6053 Obertshausen, De
DE4235082C2 (de) * 1992-10-17 1994-07-14 Mayer Textilmasch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der Fadenzufuhr bei einer Kettenwirkmaschine
BE1006347A3 (nl) * 1992-11-16 1994-07-26 Picanol Nv Inrichting voor het presenteren van inslagdraden bij weefmachines.
DE4312706C2 (de) * 1993-04-20 1996-07-25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ware mit Pol sowie Verfahren und Kettenwirkmaschine zu deren Herstellung
DE19519410C2 (de) * 1995-05-26 1997-04-10 Mayer Textilmaschf Polbildende Kettenwirkmaschine
DE19647508C1 (de) * 1996-11-16 1998-04-16 Mayer Textilmaschf Verfahren und Kettenwirkmaschine zur Herstellung von Polware
JP3541321B2 (ja) * 2000-04-26 2004-07-07 日本マイヤー株式会社 環状パイル経編地の編成方法
ITBS20050146A1 (it) * 2005-11-23 2007-05-24 Santoni & C Spa Macchina tessile lineare
DE102008046661B4 (de) * 2008-09-10 2011-03-24 Gebr. Auri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mit Henkeln, Schlingen, Ösen od. dgl. versehenen Verschlussteiles eines Klettverschlusses
GR1007649B (el) * 2011-03-10 2012-07-13 Καρατζη Βιομηχανικες Ξενοδοχειακες Επιχειρησεις Α.Ε., Μεθοδος κατασκευης και παραγωγης υπερπλατη ελαστικου ή μη ελαστικου ιστου (διχτυ) για την συσκευασια παντος ειδους βιομηχανικων και γεωργικων προϊοντων
FR2975584B1 (fr) * 2011-05-23 2013-05-31 Mdb Texinov Sa Structure textile tricotee pour la realisation d'implants
ES2681446T3 (es) * 2016-07-28 2018-09-13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Máquina de género de punto por urdimbre y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 género de punto por urdimbre
EP3299501B1 (de) * 2016-09-26 2019-04-24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Kettenwirkmaschine
EP3643823B1 (de) * 2018-10-25 2021-06-30 KARL MAYER STOLL R&D GmbH Kettenwirkmaschinen-schiebernadel
CN111593474B (zh) * 2020-05-19 2021-06-25 江南大学 一种制备经编间隔单面绒织物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350A (en) * 1892-03-22 Warp-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elastic fabrics
US2040326A (en) * 1932-05-02 1936-05-12 Nebel Max Apparatus for making plush fabric
US2192556A (en) * 1935-06-18 1940-03-05 Nebel Max Flat knitting frame
US2452579A (en) * 1945-10-03 1948-11-02 Lambach Fritz Warp knitting machine
US2694301A (en) * 1949-09-14 1954-11-16 American Viscose Corp Warp knitting machine level indicator
US2957327A (en) * 1959-04-07 1960-10-25 Kidde Textile Machinery Corp Warp knitted pile fabric
GB942253A (en) * 1959-06-22 1963-11-20 Courtauld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warp knitting machines
US3710598A (en) * 1970-01-29 1973-01-16 C Wilkens Method of knitting a pile fabric on a warp knitting machine
US3857260A (en) * 1972-06-05 1974-12-31 A Zwingenberger Sinker arrangement for warp knitting and raschel machines
DE2435312C2 (de) * 1974-07-23 1976-09-09 Liba Maschf Kettenwirkmaschine zur Herstellung von Polware
DE2540480A1 (de) * 1975-09-11 1977-03-24 Liba Maschf Kettenwirkmaschine zur herstellung von polware
DE2543714C2 (de) * 1975-10-01 1977-10-13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6053 Obertsha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ettenwirkware
DE2552921A1 (de) * 1975-11-26 1977-06-02 Liba Maschf Kettenwirkmaschine zur herstellung von polware
DE2832481C3 (de) * 1978-07-24 1981-01-22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6053 Obertsha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zwei Florwarenbahnen auf einer Kettenwirkmaschine mit zwei Nadelbarren
US4266411A (en) * 1979-10-15 1981-05-12 Veb Wirkmaschinenbau Karl-Marx-Stadt Method and machine for forming plush-loop warp knit fabric
DE3630821C1 (de) * 1986-09-10 1993-06-24 Liba 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Polplatinenbarre
JPS63145459A (ja) * 1986-11-28 1988-06-17 日本マイヤ−株式会社 両面パイル経編地の編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27265A1 (de) 1990-02-15
JPH0447064B2 (ko) 1992-07-31
KR900003457A (ko) 1990-03-26
FR2635340A1 (fr) 1990-02-16
JPH0274650A (ja) 1990-03-14
DE3827265C2 (ko) 1990-09-13
US4986091A (en) 1991-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625B1 (ko) 파일 웨어의 생산을 위한 공정 및 경사 편성기
US5623840A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weave-knit material
US4723423A (en) Flat-bed knitting machine having an electronic control for the movement of the needle sinker
US5150587A (en) Warp knitting machine process and the pile ware produced thereby
JP4406893B2 (ja) 高低プラッシュ・ニットウェアおよびかかるプラッシュ・ニットウェアを製造する方法と装置
US5033275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piled goods and warp knitting machine adapted therefor
US5894743A (en) Single needle bed machine process for manufacturing of pile warp knit fabric
JP6416341B2 (ja) 経編生地を製造するための経編機及び製造方法
US4034579A (en) Continuous production of fringed textile articles
US4266411A (en) Method and machine for forming plush-loop warp knit fabric
US5231854A (en) Two-bed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needles and sinkers
US4069690A (en) Knitting apparatus
US4389860A (en) Warp knitt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jacquard-patterned pile-knit fabrics
US3074259A (en) Knitting machine provided with independently adjustable thread-guide element
GB2027757A (en) Warp Knitting Machine, more particularly Crochet Galloon Machine for the Manufacture of Jacquard-patterned Pile Loop Knitted Fabrics
US3381502A (en) Fabric constructions
US5440902A (en) Warp knitted fabric and a machine and process for forming same
JP3604199B2 (ja) 編み機のシンカ装置及び編み物成形方法
US3171271A (en) Warp knitting
EP1692333B1 (en) Method and equipment to change the knitting density in the production of warp fabrics and tubular articles by raschel loom and obtained products
JPS5812380B2 (ja) 経編機及びその使用法
US4553412A (en) Flat bed knitting machine having high speed secondary stitch attachment
CA118812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knitting a garment
GB2121841A (en) A knitted sandwich trimming with selvedge edge
US4089191A (en) Patterning apparatus for knitting machines, particularly for manufacturing patterned knitted pile fabrics on crochett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