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207B1 -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휘도/색도 분리회로 - Google Patents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휘도/색도 분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207B1
KR910007207B1 KR1019880017890A KR880017890A KR910007207B1 KR 910007207 B1 KR910007207 B1 KR 910007207B1 KR 1019880017890 A KR1019880017890 A KR 1019880017890A KR 880017890 A KR880017890 A KR 880017890A KR 910007207 B1 KR910007207 B1 KR 910007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lor video
output
circuit
interpo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7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450A (ko
Inventor
마사히로 야마다
세이지로 야스키
기요시 호시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90011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휘도/색도 분리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적용되는 디지털 컬러 텔레비젼 수상기의 개요를 도시한 블록도.
제2도는 종래의 신호분리기를 도시한 회로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분리기의 1실시예를 도시한 회로구성도.
제5도는 제4도의 회로의 각부에 발생하는 신호파형도.
제6도는 제4도의 각부에 발생하는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도.
제7도는 신호가 제4도의 각부에 발생하는 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도.
제8도는 제4도에 도시한 IPF(31)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9도는 제8도의 각부에 발생하는 신호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5 : 입력단자 26, 29 : 스위치회로
27 : PLL 회로 28 : 프레임 메모리
30, 35 : 가산회로 31 : 계수회로
32 : IPF 33, 36 : 출력단자
34 : 지연회로 323 : 지연소자
326 : 선택회로
본 발명은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휘도신호/색도신호분리기(이하 Y/C 분리기로 호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말하면 디지털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를 서브샘플링하는 기능을 가지는 Y/C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현행의 컬러 텔레비젼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는 송신할 컬러 비디오신호로서 색부반송파에 의하여 평형변조된 색차 신호(반송색 신호, 이하 C 신호로 호칭)를 휘도신호(이하 Y 신호로 호칭)에 중첩한 복합 컬러 비디오 신호가 사용된다. 이 때문에 수신측에 있어서 C 신호를 재생하기 위해 Y/C 분리기가 필요하다. 종래 Y/C 분리기로서 로우패스필터나 밴드패스필터 등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로우패스필터나 밴드패스필터로는 완전한 Y/C 분리를 할 수 없고, 크로스컬러나 도트방해가 발생하여 그로 인해 화질이 열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 후 빗살형 필터가 개발되어 Y/C 분리성능이 개선되었으나 스크린의 비스듬한 방향의 해상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남아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히 고화질화를 위하여 영상 검파단 이하를 디지털화한 디지털비디오시스템 중에서 사용되는 이른바 움직임적응형 Y/C 분리기가 개발되었다. 이 Y/C 분리기는 그림의 모양에 따라 파라미터를 변화시키고, 화상의 움직임에 적응하여 Y/C 분리기를 하는 것으로 문헌 "SWPTE Joumnal May 1984"에 개재된 "A Motion Adaptive high-Definition Converter for NTSC Color TV Signal"에 기재되고 있다. 이 움직임적응형 Y/C 분리기에 있어서는 화상이 정지화인 한 화상의 수평수직방향으로 연산을 하지 아니하므로 화상의 열화가 되지 않는 효율이 양호한 Y/C 분리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움직임 적응형 Y/C 분리기는 복합비디오신호를 1프레임 시간 지연하기 위하여 필요한 메모리 용량이 커지므로 그것에 따라 회로규모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종래의 움직임적응형 Y/C 분리성능과 동일한 정도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메모리 용량을 될 수 있는 한 축소한 Y/C 분리기가 요망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신호분리성능을 유지하면서 복합비디오신호를 1프레임시간 지연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메모리용량을 가능한 한 축소한 신호분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휘도신호성분과 색도신호성분을 포함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 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에서 출력된 복합 디지털 컬러 비디오신호를 1프레임기간 지연시키는 프레임 지연수단, 이 프레임 지연수단에서 출력된 프레임 지연신호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에서 출력된 상기 복합 디지털 컬러 비디오신호를 연산하여 상기 색도신호 성분을 분리하는 제1신호분리수단 및 이 제1신호분리수단으로 얻은 상기 색도신호성분과 상기 복합 디지털 컬러 비디오신호를 연산하여 상기 휘도신호성분을 분리하는 제2신호 분리수단을 갖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신호분리회로에 있어서, 그 신호분리회로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에서 출력된 상기 복합 디지털 컬러 비디오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제1 및 제2의 타이밍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밍신호 발생수단 : 이 타이밍신호 발생수단에 의하여 발생된 상기 제1타이밍신호에 따라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에서 출력된 상기 복합 디지털 컬러 비디오 신호를 서브샘플링하는 서비샘플링 수단 : 이 서브샘플링 수단에서 출력된 서브샘플링 신호를 상기 프레임 지연수단에 의하여 1프레임기간 지연시킨 상기 프레임 지연신호에 대하여 상기 서브샘플링 신호에 의하여 상기 타이밍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2타이밍신호에 따라 신호보간을 실시하고, 그 출력 제1보간신호를 상기 제1소호분리수단에 공급하는 제1보간수단 : 및 상기 제1신호 분리수단에 의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에서 출력된 상기 복합 디지털 컬러 비디오신호와 상기 제1보간신호와의 사이의 연사에 의하여 얻은 제1분리 신호에 소정의 신호를 보간하고, 그 출력 제1보간신호를 상기 제2 신호 분리수단에 공급하는 제2보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는 서브샘플링에 의하여 데이터수가 감소되고 이 서브샘플링에 의하여 발생한 신호의 결락(缺落)은 2종류의 보간처리에 의하여 보충되므로, 종래와 동등한 Y/C 분리성능을 확보하면서 프레임 메모리의 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한 실시예가 적용되는 디지털 컬러 텔레비젼 수상기의 개요를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의 도시와 같이 수상기의 안테나 단자에 가해진 VHF 대나 UHF 대 등의 고주파 텔레비젼 방송신호 중 튜너(101)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가 선택되어 증폭된다. 튜너(101)로부터의 고주파 컬러 텔레비젼 신호는 주파수 변환회로(102)에서 중간 주파신호로 변환된다. 이 중간주와 신호는 영상 중간주파 증폭회로(도시생략)에서 증폭된다. 증폭된 영상 중간 주파신호는 영상검파회로(103)에서 검파되어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가 취출된다. 이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 A/D 변환기(104)에 공급되는 동시에 편향회로(105)에도 공급된다. A/D 변환기(104)에서는 버스트 신호에 동기하는 4.fsc(fsc : 색부반송파 주파수)의 클럭 신호에 의하여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르 샘플링하여, 예를 들명 8비트 14.3 MHz의 복합 디지털 컬러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본 발명에 의한 Y/C 분리기(106)에 공급된다.
이 Y/C 분리기(106)는 이 복합 디지털 비디오신호에서 Y(휘도신호)성분과 C(색 신호)성분을 분리한다. 이중 Y 신호는 휘도신호(Y) 처리회로(108)에서 주로 수평, 수직 윤곽 강조처리 및 Y 비선형 처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C 신호는 색 신호(C) 처리신호(109)에서 주로 밴드 필터 처리, 매트릭스색 복조처리, ACC(Automatic Color Control : 자동색 제어)처리, 컬러 킬러처리가 실시된다. Y처리된 Y 신호 및 C처리된 C 신호는 각각 인터레이스화회로(11)에 공급된다. A/D 변환기(104)로부터의 상기 디지털 컬러 비디오신호는 움직임 검출회로(107)에도 공급된다. 움직임 검출회로(107)는 상기 디지털 컬러 비디오신호 중에서 화상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검출하여 이 검출 신호를 움직임 적응형 Y/C 분리를 하는 상기 Y/C 분리기(106)와 주사선 보간을 하는 상기 인터레이스화회로(110)에 공급한다.
상기 인터레이스화회로(110)는 주사선 보간을 위한 보간신호 발생회로(도시생략) 및 시간축 변환회로(도시생략)를 구비한다. 이 시간축 변환회로는 입력된 현 신호로서의 상기 Y 신호와 C 신호 및 보간신호를 각각 라인메모리에 기입하고, 기업 어드레스의 2배의 속도로 현 신호와 보간신호를 교대로 독출함으로써 시간을 압축한다. 이것에 의하여 수평주사 주파수가 2배(31.468KHz)로 변환되고 메트릭스회로(111)에 입력된다. 메트릭스회로(111)에 있어서 Y 신호 및 C 신호를 R,G,B의 3원색 신호로 변환한다. R,G,B 신호는 변환기(112)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CRT에 공급되고, 이것에 의하여 CRT가 구동된다.
상기와 같이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는 A/D 변환기(104)에 공급되는 동시에 동기 편향회로(105)에도 공급된다. 동기 편향회로(105)는 대체적으로 동기회로와 편향회로(도시생략)로 구성된다. 동기회로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에 동기 신호만을 취출한다. 편향회로는 상기 동기회로로부터의 동기 신호에 의하여 제어된 편향 전류를 CRT의 편향코일에 흘려보낸다.
상기 동기 신호는 또 상기 C처리회로(109)에 공급되고, 상기 C 처리회로(109)에서의 색 복조동작이 4.fsc의 위상과 동기하도록 제어된다. 이로 인해 상기 동기편향회로(105)는 색 동기 신호나 버스트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는 위상 동기 루프(PLL)(도시생략)도 구비한다.
제2도는 종래의 움직임 적응형 Y/C 분리회로 중의 정지화 대응 부분의 회로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정치화 대응부분은 프레임간의 연산에 의하여 Y/C 분리를 실행한다.
제2도에 있어서, 입력단자(11)에 공급된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는 프레임 메모리(12)에서 1프레임분 지연된 후 가산회로(13)에 공급된다. 이 가산회로(13)는 입력단자(11)에 공급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로부터 프레임 메모리(12)에 의하여 1프레임분 지연된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를 감산하여 C(chrominance) 신호를 취출한다. 이 C 신호는 계수회로(14)에 공급되어 그 진폭이 1/2로 감쇠되어 본래의 진폭으로 복귀한다. 계수회로(14)의 출력은 밴드패스필터(이하 BPF로 기재)(15)에 의하여 불필요성분을 제거한 후, 동기검파회로(16)로 동기검파 된다. 이 검파출력은 로우패스필터(이하, LPF로 기재)(17)에 불필요성분이 제거된 후 C 신호의 분리출력으로서 출력단자(18)에 공급된다.
상기 BPF(15)의 출력은 다시 가산회로(19)에 공급되어 입력단자(11)에 공급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를 지연회로(22)를 개재하여 공급되는 신호에서 감산된다. 이것으로 가산회로(19)로부터는 Y 신호가 얻어진다. 이 Y 신호는 Y 신호의 분리출력으로서 출력단자(20)에 공급된다.
또 회로(21)는 상기 입력단자(11)에 공급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에 포함되는 컬러버스트 신호에 동기해서 동기검파회로(16)의 동기검파용의 캐리어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동기 루프회로(이하, PLL 회로로 기재)이다.
이하에 상기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전송되어 오는 NTSC 방식의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를 시간방향(t측)과 수직방향(Y축)으로 본 도면이다. 제3도에 있어서, 세로선은 피일드를 표시하고, 이 세로선 상의 원형심볼은 주사선을 표시한다.
NTSC 방식의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는 라인간 및 프레임간에서 C 신호의 위상이 반전하고 있다. 따라서 지금 전송되어 온 주사선 L1의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가 정극성의 C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Y+C)인 경우, 1프레임전에 전송되어 온 주사선 L2의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는 부극성의 C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Y-C)가 된다. 따라서 완전히 정지한 화상이면 현재의 주사선 L1의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에서 1프레임 전의 주사선 L2의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를 감하여 그 감산 출력의 진폭을 1/2로 함으로써 다음 식으로 표시하는 것과 같이 C 신호를 얻을 수 있다.
Figure kpo00001
이상의 신호처리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메모리(12), 가산회로(13), 계수회로(14)가 사용된다.
BPE(15)는 가산회로(13)의 출력으로부터 C 신호가 중첩되어 있지 않는 대역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한다. 따라서, 이 BPF(15)의 출력을, 가산회로(19)에 의하여 입력단자(11)에 공급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를 지연회로(22)를 사이에 끼고 공급되는 신호로부터 감합으로써, 다음 식에 보이듯이 Y 신호를 얻을 수가 있다.
(Y+C)-C=Y
이상 설명한 정지화용의 Y/C 분리회로는, 프레임간의 연산에 의하여 Y/C 분리를 행한다.
이로부터 화상의 수평, 수직성분을 해치는 일없이, 완전한 Y/C 분리를 행할 수가 있다. 그러나 대용량으로 프레임 메모리(12)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회로 규모가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NTSC 방식의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를 4.5fsc로 샘플링하여, 이것을 8비트로 양자화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프레임 메모리(12)의 용량은, 525×910×8=4M 비트로 되므로 매우 큰 것이 되고 만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이루어진 본 발명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A/D 변환기(104)에 있어서, 4 fsc의 주파수로 샘플링된 NTSC 방식의 복합 디지털 컬러 비디오신호(이하 단지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라고 말한다)는 본 발명의 Y/C 분리기(106)에 공급된다. 이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는 휘도신호 Y, 색차신호 I,Q로부터 되며, 샘플링 펄스가 I,Q 축에 위상동기하고 있으면, Y+I,Y+Q,Y-I,Y-Q,Y+I,Y+Q…와 같은 신호로 되어 있다.
이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는, 스위치회로(26), PLL 회로(27), 지연회로(134)에 공급된다. 스위치회로(26)에 공급된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는, 그 색 부반송파의 반복주기에 따라서 서브샘플링된다. 이에 따라 스위치회로(26)로부터는, Y+I,Y+Q, 무신호부, 무신호부, Y+I,Y+Q…로 되는 서브샘플링 출력이 얻어진다. 그리고, 이 서브샘플링을 위한 샘플링 펄스는, PLL 회로(27)로부터 출력되는 타이밍 펄스 TP1이 사용된다.
이 PLL 회로(27)는, 입력단자(25)에 공급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에 포함되는 컬러버스트 신호에 동기하여, 그 반복주기와 같은 주기를 갖는 듀티 비가 1 : 1인 타이밍 펄스 TP1,TP4를 스위치회로(26), 프레임 메모리(28), 스위치회로(29)에 각각 한다. 스위치회로(26)는 예컨대 타이밍 펄스 TP1이 로우레벨일 때, 온하여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를 프레임 메모리(28)에 공급한다.
또한, 프레임 메모리(28)는, 상기 타이밍 펄스 TP2가 하이레벨일 경우에만 서브샘플링된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를 기입하고 이것을 1프레임기간 유지한다 1프레임기간이 경과한 후, 상기 타이밍 펄스 TP3이 하이레벨일 때 프레임 메모리(28)의 데이터를 스위치회로(29)의 한쪽의 입력단자에 공급한다. 이 스위치회로(29)의 다른 쪽의 입력단자에는, 상기 스위치회로(26)의 서브샘플링출력이 프레임 메모리(28)를 사이에 개입시키지 않고 공급된다. 이 스위치회로(29)는 상기 타이밍 펄스 TP4가 로우레벨일 때에는 스위치(26)의 서브샘플링 출력을 선택하고, 하이레벨일 때에는 프레임 메모리(28)의 독출 출력을 선택한다. 또한, 제7도의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상기 각 신호 S1-S4가 발생되는 타이밍을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4도의 PLL 회로(27)는 소정의 타이밍으로서 TP1-TP4의 타이밍 펄스를 발생한다. 스위치회로(26)는 상기 타이밍펄스 TP1이 로우레벨일 때, 정극성만의 I,Q 신호를 갖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를 출력하고, 하이레벨일 때에는 신호를 출력시키지 않으므로 스위치회로(26)는 S2와 같은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메모리(28)는 상기 타이밍 펄스 TP2가 하이레벨일 때, 서브샘플링된 신호를 데이터로서 기입하고, 기입 어드레스 카운터(도시생략)를 증분하여, 타이밍 펄스 TP3가 하이레벨일 때, 상기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 어드레스 카운터(도시생략)를 증분한다. 따라서 S3과 같은 신호가 상기 프레임 메모리(28)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스위치회로(29)는, 타이밍 펄스 TP4가 로우레벨일 때, 스위치회로(26)의 서브샘플링된 출력신호를 선택하고, 하이레벨일 때, 프레임 메모리(28)의 독출 출력을 선택한다. 이로부터 스위치회로(29)의 출력에는 S4와 같은 신호가 얻어진다.
이 스위치회로(29)의 선택출력은, 프레임간 연산을 행하게끔 가산회로(30)에 공급된다. 이 가산회로(30)는 스위치회로(29)의 선택출력으로부터, 입력단자(25)로부터 지연회로(134)를 사이에 끼고 공급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를 감하여, C 신호를 끄집어 낸다.
이 프레임간 연산에 의하여 가산회로(30)로부터 출력되는 C 신호는, 계수회로(31)에서 진폭이 1/2 감쇠된 후, 보간 필터(이하 IPF로 기재)(32)에 공급되어, 서브샘플링과 스위치회로(29)에 있어서 스위칭, 및 가산회로(30)에 있어서 연산에 의하여 생긴 신호의 결락이 보간된다. 이 보간 출력은 Y/C 분리된 C 신호출력으로서 출력단자(33)에 공급됨과 동시에, 가산회로(35)에 공급된다.
이 가산회로(35)는, 스위치회로(29)를 지연회로(34)를 개재하여 공급되는 스위치회로(29)의 선택출력으로부터 IPF(32)의 보간출력을 감하여, Y 신호를 얻는다. 이 감산출력은, Y/C 분리된 Y 신호출력으로서 출력단자(36)에 공급된다. 또한, 지연회로(34)는, IPF(32)의 출력과 스위치회로(29)의 출력과의 시간축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삽입케되는 것이다.
상기 회로구성에 대하여, 제5도 및 제6도를 참하면서 회로동작을 설명한다. 제5(a)도는 제4도의 각 부의 신호 S1-S7을 도시하고, 제6도는 그들에 대응하는 신호 스팩트럼을 도시한다.
제4도의 입력단자(11)에 공급되는 복합 텔레비젼 신호는 제5도(a)에 도시하는 대로, I 신호와 Q 신호가 1/4 fsc의 주기로 교호로 시간축 다중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그 신호 스펙트럼은, 제6도(a)에 도시하는 바대로, Y 신호의 고역에 C 신호가 주파수 다중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 S1이 스위치회로(26)에 있어서 서브샘플링됨으로서, 제5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 신호로서 예컨대 부극성의 IQ 신호를 포함하는 복합 텔레비젼 신호가 격락하여, 정극성의 I 신호 및 Q 신호만을 포함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 S2가 얻어진다. 이것은 서브샘플링에 의하여 데이터수가 반으로 감소된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가 프레임 메모리(28)에 입력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프레임 메모리(28)로부터는 프레임간에서 신호의 위상이 반전하고 있으므로써, 제5도(C)에 도시하는 대로,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 S2와는 샘플링 위상이 1/2 fsc 주기분 어긋난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 S3이 출력된다.
종래에는 이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 S3이 프레임간 연산용의 1프레임 지연출력으로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 S3은 스위치회로(26)의 서브샘플링에 의하여 결락부분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 S2,S3을 스위치회로(29)로서 교호는 선택함으로써,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 S3의 결락부분을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 S2로 보충하도록 되어 있다. 이 보간에 의하여 얻어진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 S4를 제5도(d)에 도시한다. 이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 S4는, 상기와 같이,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 S3의 결락부분을 이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 S3에 포함되는 C 신호와 반대 위상의 C 신호를 포함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 S2에 의하여 보간됨으로써 얻어진다. 따라서, C 신호의 위상이 예컨대 정극성으로 통일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 S4의 스펙트럼은 제6도(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 신호가 저역에 시프트된 것으로 된다. 이것은 C 신호가 복조된 것을 의미한다.
가산회로(30)에 있어서,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 S4로부터 입력단자(25)에 공급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 S1을 강하면, 제5도(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C 신호 S5을 얻을 수가 있다. 이 C 신호 S5의 스펙트럼은, C 신호 S5가 제6도(b)의 스펙트럼을 갖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 S4로부터 제6(a)에 도시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 S1을 감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제6도(c)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역 뿐만 아니라 고역에도 C신호를 포함하는 것이 되어 있다. 또 이 C 신호 S5는 본래의 2배의 진폭을 가지며, 또한 서브샘플링과 스위치회로(29)에 있어서 스위칭 및 가산회로(30)에 있어서 연산에 의하여 신호의 결락을 갖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이 C 신호 S5를 계수회로(31)에 공급하여, 진폭을 1/2로 감쇠시킴과 동시에 IPF(32)에 공급하며 신호의 결락을 보충한다. 이에 따라서, IPF(32)로부터는, 제5도(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래의 진폭을 가지며 또한 신호의 결락부분이 보간된 C 신호 S6이 얻어진다. 이 C 신호 S6의 스펙트럼을 제6도(d)에 도시한다. C 신호 S6은 보간처리(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에 의하여, 시간 영역에서는 결락부분이 보간되고 주파수 영역에서는 제6도(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선으로 표시하는 주파수 특성에 따라서 그 고역성분이 처리되므로, 고역의 C 신호가 제거된 스펙트럼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C 신호 S6을 가산회로(35)에 의하여 제5도(g)에 도시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 S4로부터 감함으로써, 제5도(g)에 도시하는 대로, Y 신호 S7이 얻어진다. 이 Y 신호 S7의 스펙트럼을 제6도(e)에 도시한다.
이상 1실시예의 전반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다음에 IPF(32)에 의한 보간처리의 1예를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8도에 있어서, 부호(321)는 제4도의 계수회로(31)로부터 출력되는 C 신호가 공급되는 입력단자이다. 이 입력단자(321)에는, 직렬 접속된 복수의 지연회로(322)가 접속되어 잇다. 각 지연회로(322)는 1/(4. fsc)의 지연량을 갖는 지연소자(323)를 4개 직렬로 접속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지연회로(322)는 fsc의 지연량을 가진다. 각 지연회로(322)의 입력 신호 및 출력신호는 대응하는 계수회로(324)에 따라서 진폭이 조정된 후, 가산회로(325)에 공급된다. 이 가산회로(325)는 각 계수회로(324)의 출력을 가산하여, 선택회로(326)에 공급한다.
선택회로(326)는 이 2개의 입력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교호로 선택하고, 출력단자(327)에 공급한다. 이 타이밍 펄스에서 이 선택회로(326)에는 또한 PLL 회로(127)에 의하여 발생된 타이밍 펄스 TP가 지연회로(324)를 개재하여 입력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9도를 참조하여 제8도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제9(a)는 입력단자(321)에 공급되는 C 신호를 나타내며, 동도 (b)는 출력단자(327)에 공급되는 C 신호를 나타낸다. 여기서, I결(缺)은 I 신호의 결락부분을 나타내며, Q결(缺)은 Q 신호의 결락부분을 나타낸다. 또, I'는 I 결을 보간한 신호를 나타내며, Q'는 Q결을 보간한 신호를 나타낸다.
상기 지연회로(322)의 지연량이 1/fsc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다시 말하면 각 지연소자(323)의 지연량이 1/(4. fsc)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각 지연회로(322)이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에는 1/(4. fsc)의 주기로, I 신호, Q 신호, I결, Q결의 어느 것인가 하나가 이 순서로 반복하여 나타난다. 따라서, 가산회로(325)로부터는, 1/(4. fsc)의 주기로, I 신호만의 가산출력, Q 신호만의 가산출력, I 결만의 가산출력, Q 결만의 가산출력이 순서로 반복하여 출력된다. 여기서, I 신호만의 가산출력은 보간신호 I'로 되고, Q 신호만의 가산출력은 보간신호 Q'로 된다.
선택회로(326)는, 가산회로(325)로부터 보간신호 I' 혹은 보간신호 Q'가 출력되어 있을 때에는, 가산회로(325)의 출력을 선택하고, I결 혹은 Q결의 가산출력이 얻어지는 때에는, 입력단자(321)로부터 지연회로(328)를 개재하여 공급되는 신호를 선택한다. 이 지연회로(328)는, 입력단자(321)로부터 공급되는 신호가 선택회로(326)에 입력될 때까지의 지연시간보다도 1/(2. fsc) 만큼 긴 시간 지연한다. 이 경우 선택회로(326)는 PLL 회로(127)로부터 지연회로(234)를 개재하여 전환타이밍이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8도의 IPF는 I결의 보간신호 I'는 I 신호만에서 구하고, Q결의 보간신호 Q'는 Q 신호만으로부터 구하도록 되어 있다. 또, 지연회로(322)를 하나만이 아니고 복수개 설정하여 보간신호 I', Q' 공히, 4개 이상의 샘플링된 I 신호, Q 신호로부터 얻고 있다. 따라서, 매우 이상적인 특성을 갖는 보간 필터에 의하여 보간신호 I',Q'를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제8도의 IPF(32)에서는, 계수회로(324)의 계수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제6도(d)에 파선으로 도시하는 주파수 특성을 얻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를 서브샘플링하여 프레임 메모리(28)에 공급하여 1프레임기간 간직한다.
다음에 이 샘플링에 의하여 신호의 결락이 생긴부분을 서브샘플링 출력으로서 보간한다. 또한 보간된 신호와 복합 텔레비젼 신호와의 사이에서 프레임간 연산을 행한다. 이 프레임간 연산에 의하여 취출한 C 신호에 있어서 서브샘플링과 그 후의 연산에 의하여 신호의 결락이 생기고 있는 부분을 그 근방의 신호로 보간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프레임 메모리(28)는, 서브샘플링에 의해 데이터 수가 반으로 삭감된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 S2를 격납하면 된다. 따라서 그 용량을 종래의 반으로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회로규모를 대폭으로 축소할 수가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서브샘플링에 의한 신호의 결락을 스위치회로(29)에 의한 보간처리 및 IPF(35)에 의한 보간처리에 따라서 보충토록 하였으므로, 서브샘플링에 의하여 데이터 수를 감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와 거의 동등한 Y/C 분리성능을 얻을 수가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메모리(28)의 지연출력에 있어서 서브샘플링에 의하여 신호가 결락된 부분을 서브샘플링 출력으로 보간하도록 하였으므로, 동기 검파회로를 사용하는일 없이 C 신호를 복조할 수가 있다. 또한, 필터로서 제2도에 도시하는 종래의 회로에서는 BPF(15)와 LPF(17)의 2개의 필터가 필요하였음에 대하여, IPF(35)만으로도 가능하므로 IC화에 있어서 IC 내의 회로규모 및 외부 부착부품이 적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NTSC 방식을 변경한 방식의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Y/C 분리에도 적용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C 신호가 Y 신호의 주파수 대역의 일부에 주파수 다중되어, 또한 C 신호가 프레임마다에 반전하고 있도록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Y/C 분리 일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밖에도 발명의 요지에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동등의 Y/C 분리를 유지하면서, 프레임 메모리의 용량을 종래의 반으로 할 수가 있다.

Claims (21)

  1. 제1 신호성분(C)과 제2 신호성분(Y)을 포함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104), 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104)에서 출력된 복합 디지털 컬러 비디오신호(S1)를 1프레임기간 지연시키는 프레임 지연수단(28), 이 프레임 지연수단(28)에서 출력된 프레임 지연신호(S3)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S1)를 연산하여, 상기 제1신호성분(C)를 분리하는 제1신호분리수단(30) 및 이 제1신호분리수단(30)에서 얻은 상기 제1신호성분(C)과 상기 복합 디지털 컬러 비디오신호(S1)를 연산하여 상기 제2신호성분(Y)을 분리하는 제2신호분리수단(35)을 갖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신호분리회로에 있어서, 상기 신호분리회로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104)에서 출력된 상기 복합 디지털 컬러 비디오신호(S1)를 수신하여 적어도 제1 및 제2의 타이밍신호(TP1·TP4)를 발생하는 타 이밍신호 발생수단(27) : 이 타이밍신호 발생수단(27)에 의하여 발생된 상기 제1타이밍신호(TP1)에 따라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104)에서 출력된 상기 복합 디지털 컬러 비디오신호(S1)의 데이터 대역을 압축하는 데이터 대역 압축수단(26) : 이 데이터 대역 압축수단(26)에서 출력된 대역 압축신호(S2)를 상기 프레임 지연수단(28)에 의하여 1프레임기간 지연시킨 상기 프레임 지연신호(S3)에 대하여 상기 타이밍신호 발생수단(27)에 의하여 발생된 상기 제2타이밍신호(TP4)에 따라서 상기 대역 압축신호(S2)에 의하여 신호보간을 실시하고, 그 출력 제1보간신호(S4)를 상기 제1신호분리수단(30)에 공급하는 제1보간수단(29) : 및 상기 제1신호분리수단(30)에 의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104)에서 출력된 상기 복합 디지털 컬러 비디오신호(S1)와 상기 제1보간신호(S4)와의 사이의 연산에 의하여 얻은 제1분리 신호(S5)에 소정의 신호를 보간하고, 그 출력 제2보간신호(S6)를 상기 제2신호분리수단(35)에 공급하는 제2보간수단(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신호분리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신호 발생수단(27)은 위상 동기 루프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신호분리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신호 발생수단(27)은 다시 제3의 타이밍신호(TP3)를 상기 프레임 지연수단(28)에 공급하고, 상기 프레임 지연수단(28)은 상기 제3타이밍신호(TP3)에 따라 상기 대역 압축 신호(S2)의 1프레임 지연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신호분리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104)과 상기 제1신호분리수단(30)과의 사이에,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104)에서 출력된 상기 복합 디지털 컬러 비디오신호(S1)를 소정기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134)를 아울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신호분리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분리수단(30)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제1분리 신호(S5)를 2분의 1배 하는 계수기(31)를 아울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신호분리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간수단(20)과 상기 제2 신호분리수단(35)과의 사이에, 상기 제1보간수단(20)에서 출력된 상기 제1보간신호(S4)를 소정기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34)를 아울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신호분리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연수단은 프레임 메모리(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신호분리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대역 압축수단은 서브샘플링회로(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신호분리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샘플링회로는 스위치회로(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신호분리회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보간수단은 보간필터(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신호분리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간필터(32)는 복수의 지연회로(322)를 포함하고, 이 지연회로(322) 각각이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104)의 샘플링 주파수(4. fsc)에 관하여 1/(4. fsc)의 지연시간을 갖는 4개의 지연소자(323)를 직렬접속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신호분리회로.
  12. 휘도성분 신호(Y)와 색도신호성분(C)을 포함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를 색부반송파 주파수의 4배의 샘플링 주파수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104), 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104)에서 출력된 복합 디지털 컬러 비디오신호(S1)를 1프레임기간 지연시키는 프레임 지연수단(28), 이 프레임 지연수단(28)에서 출력된 프레임 지연신호(S3)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104)에서 출력된 상기 복합 디지털 컬러 비디오신호(S1)를 연산하여 상기 색도 신호성분(C)을 분리하는 제1신호분리수단(30) 및 이 제1신호분리수단(30)에서 얻은 상기 색도 신호성분(C)과 상기 복합 디지털 컬러 비디오신호(S1)를 연산하여 상기 휘도신호성분(Y)을 분리하는 제2신호분리수단(35)을 갖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신호분리회로에 있어서, 상기 신호분리회로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104)에서 출력된 상기 복합 디지털 컬러 비디오신호(S1)를 수신하여 적어도 제1 및 제2의 타이밍신호(TP1·TP4)를 발생하는 타이밍 신호 발생수단(27) : 이 타이밍신호 발생수단(27)에 의하여 발생된 상기 제1타이밍수단(TP1)에 따라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104)에서 출력된 상기 복합 디지털 컬러 비디오신호(S1)를 서브샘플링하는 서브샘플링수단(26) : 이 서브샘플링수단(26)에서 출력된 서브샘플링 신호(S2)를 상기 프레임 지연수단(28)에 의하여 1프레임기간 지연시킨 상기 프레임 지연신호(S3)에 대하여 상기 타이밍신호 발생수단(27)에 의하여 발생된 상기 제2의 타이밍신호(TP4)에 따라 상기 서브샘플링신호(S2)에 의하여 신호보간을 실시하고, 그 출력 제1보간신호(S4)를 상기 제1신호분리수단(30)에 공급하는 제1보간수단(29) 및 상기 제1신호분리수단(30)에 의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104)에서 출력된 상기 복합 디지털 컬러 비디오신호(S1)와 상기 제1보간신호(S4)와의 사이의 연산에 의하여 얻은 제1분리 신호(S5)에 소정의 신호를 보간하고, 그 출력 제2보간신호(S6)를 상기 제2신호분리수단(35)에 공급하는 제2보간수단(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신호분리회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신호 발생수단(27)은 위상 동기 루프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신호분리회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신호 발생수단(27)은 다시 제3의 타이밍신호(TP3)를 상기 프레임 지연수단(28)에 공급하고, 상기 프레임 지연수단(28)은 상기 제3타이밍신호(TP3)에 따라서 상기 서브샘플링신호(S2)의 1프레임 지연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신호분리회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104)과 상기 제1신호분리수단(30)과의 사이에,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104)에서 출력된 상기 복합 디지털 컬러 비디오신호(S1)를 소정기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134)를 아울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신호분리회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분리수단(30)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제1분리 신호(S5)를 2분의 1배하는 계수기(31)를 아울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신호분리회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간수단(29)과 상기 제2신호분리수단(35)과의 사이에, 상기 제1보간수단(29)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보간신호(S4)를 소정기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34)를 아울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신호분리회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연수단은 프레임 메모리(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신호분리회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샘플링회로는 스위치회로(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신호분리회로.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간수단은 보간필터(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신호분리회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간필터(32)는 복수의 지연회로(322)를 포함하고, 이 지연회로(322) 각각이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104)의 샘플링 주파수(4. fsc)에 관해서 1/(4. fsc)의 지연시간을 갖는 4개의 지연소자(323)를 직렬 접속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신호분리회로.
KR1019880017890A 1987-12-28 1988-12-28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휘도/색도 분리회로 KR910007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330076 1987-12-28
JP62330076A JPH01174088A (ja) 1987-12-28 1987-12-28 輝度/色度分離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450A KR890011450A (ko) 1989-08-14
KR910007207B1 true KR910007207B1 (ko) 1991-09-19

Family

ID=18228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7890A KR910007207B1 (ko) 1987-12-28 1988-12-28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휘도/색도 분리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53009A (ko)
JP (1) JPH01174088A (ko)
KR (1) KR910007207B1 (ko)
CA (1) CA1300741C (ko)
DE (1) DE38441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9702B2 (ja) * 1990-03-22 2000-02-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巡回型ノイズ低減装置
JP4553481B2 (ja) * 2000-12-14 2010-09-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走査線補間装置
JP3926376B2 (ja) * 2003-08-29 2007-06-06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回路、映像信号表示装置、及び映像信号記録装置
US7979044B2 (en) * 2007-09-28 2011-07-12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undersampling and/or a digital delay line to remove out-of-band blocker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9515A (en) * 1978-05-17 1979-11-22 Nec Corp Separator circuit for luminance signal and chromaticity signal
US4470069A (en) * 1982-08-04 1984-09-04 Rca Corporation Reduced data rate digital comb filter
US4456922A (en) * 1982-08-04 1984-06-26 Rca Corporation Reduced data rate comb filter system
GB2154093A (en) * 1984-02-03 1985-08-29 Rca Corp Reduced data rate signal separation system
JPS60182289A (ja) * 1984-02-29 1985-09-17 Toshiba Corp デジタルテレビジヨン信号処理回路
JPH06105984B2 (ja) * 1985-12-17 1994-12-2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Y−c分離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174088A (ja) 1989-07-10
KR890011450A (ko) 1989-08-14
DE3844118C2 (ko) 1991-02-07
US4953009A (en) 1990-08-28
DE3844118A1 (de) 1989-07-13
CA1300741C (en) 199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19065B (en) Television display system with reduced line-scan artifacts
US4672445A (en) Progressive scan processor employing interpolation in luminance channel controlled by a motion signal and a vertical detail representative signal
JP2704476B2 (ja) ビデオ雑音低減装置
JP2887771B2 (ja) 順次走査システム
JPS58117788A (ja) カラ−テレビジヨン信号処理回路
EP0546840B1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H0644830B2 (ja) ビデオ信号処理システム
JPS62290283A (ja) 高精細度テレビジヨン信号伝送方法
JPH01305689A (ja) 画像信号処理回路
JPH0832074B2 (ja) テレビジヨン装置
US4851904A (en) Motion detecting circuit for digital video signal
JPH06327030A (ja) 動き検出回路
KR910007207B1 (ko) 복합 컬러 비디오신호의 휘도/색도 분리회로
US5049994A (en) System for converting interlaced video signals to sequential video signals
JP3231309B2 (ja) 動き情報信号検出回路
JP2617622B2 (ja) 動き適応型色信号合成方法及び回路
EP0273967A1 (en) TELEVISION IMPROVEMENTS.
JP2696988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US5126844A (en) Decomposition and recombination of a wide-aspect ratio image
US5187568A (en) Video processor having improved clamping system for color television receivers
JP2573615B2 (ja) 映像信号の雑音低減回路
JP2928597B2 (ja) 帯域圧縮テレビジョン信号の受信装置
JP2517652B2 (ja) 帯域圧縮テレビジョン信号の受信装置
KR930000982B1 (ko)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고립점 제거가 부가된 움직임 검출회로
JP2517651B2 (ja) 帯域圧縮テレビジョン信号の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9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