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083B1 - 아조 안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조 안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083B1
KR910007083B1 KR1019860000884A KR860000884A KR910007083B1 KR 910007083 B1 KR910007083 B1 KR 910007083B1 KR 1019860000884 A KR1019860000884 A KR 1019860000884A KR 860000884 A KR860000884 A KR 860000884A KR 910007083 B1 KR910007083 B1 KR 910007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dinaphthylmethane
dihydroxy
carbon atoms
hydr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0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154A (ko
Inventor
류조 우에노
시게루 이또오
신 후지모또
유미꼬 고마쯔
히로아끼 쯔찌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우에노 세이야꾸 오오요껭뀨죠
류조 우에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02184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81864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7913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3856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7913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38561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우에노 세이야꾸 오오요껭뀨죠, 류조 우에노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우에노 세이야꾸 오오요껭뀨죠
Publication of KR870006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0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33Blends of pigments; Mixtured crystals; Solid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33Blends of pigments; Mixtured crystals; Solid solutions
    • C09B67/0046Mixtures of two or more azo dyes
    • C09B67/0051Mixtures of two or more azo dyes mixture of two or more monoazo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9/0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29/1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coupling components containing hydroxy as the only directing group
    • C09B29/103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coupling components containing hydroxy as the only directing group of the naphthalene s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아조 안료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방향족 디아조늄 화합물과 3-히드록시-2-나프토산을 커플링시킴으로써 아조 안료를 제조하는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톤(tone)을 준 아조 안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토닝(toning)"은 어떤 의미에서는, 예컨대, 색조, 명도, 투명도 및 은폐력과 같은 성질 또는 특성을 조절한 "안료를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커플링 성분으로서 3-히드록시-2-나프토산을 사용하여 얻은 아조 안료는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서, 브릴리언트카르민 6B(Brilliant Carmine 6B, 적색 안료 48) 및 와충 레드(Watchung Red, 적색 안료 57)는, 각각 6-아미노-m-톨루엔술폰산 및 6-아미노-4-클로로-m-톨루엔술폰산의 디아조늄염을 3-히드록시-2-나프토산과 커플링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이 아조 안료는, 주로 프린팅 잉크, 페인트, 유성 및 수성 물감, 플라스틱 및 화장품을 포함한 대단히 다양한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이와 같은 적용 분야에서, 성능 범위를 넓히기 위해서는 안료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서, 명도 및 투명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프린팅 잉크용 안료가 필요하며, 내구력과 은폐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페인트용 안료가 필요한 반면에, 내열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플라스틱용 안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동일한 화학 구조의 안료를 제조할 경우에도, 소기의 적용 분야에 잘 맞는 성질 또는 특성을 나타내는 안료를 제조할 필요가 있다.
안료의 색 및 다른 성질들은 원칙적으로 안료의 화학적 구조에 의해 좌우되지만, 명도, 투명도 및 은폐력과 같은 특성은 안료 입자의 분말도, 형태 및 모양 및 표면상태와 같은 물리적 요인에 따라 변한다. 예를 들어, 제조단계 또는 목재로진과 같은 첨가제의 활용방식을 변화시킴으로써, 안료의 특성을 어느 정도는 조절 또는 조정할 수 있지만 만족스러운 정도는 아니다. 한편, 커플링 성분인 3-히드록시-2-나프토산의 일부를 적당량의 토닝화합물로 치환시킴으로써 안료의 색 및 물리적 성질을 조정하는 방법도 공지되어 있으며, 일본 특허 공개 제116753/1981 및 42662/1983호 명세서에서는 몇가지 토닝제 화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토닝제는 토닝 효과가 불만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대로 안료에 조정된 색조를 제공할 수 있는 토닝 화합물을 발견한 결과, 원하는 톤을 준 아조 안료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목적은 3-히드록시-2-나프토산의 일부를 특정한 비스-나프틸메탄으로 치환시킴으로써 성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향족 디아조늄 화합물을 3-히드록시-2-나프토산 및 최소한 한가지 비스-나프틸메탄과 커플링시키고, 생성물을 레이킹(laking)시킴으로써 톤을 준 아조 안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달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방향족 아민을 디아조화시키고, 생성된 방향족 디아조늄 화합물을 전술한 커플링 성분(3-히드록시-2-나프토산+특정한 비스-나프틸메탄)과 커플링시킴으로써 실시한다. 토닝제로 사용된 비스-나프틸메탄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너무 많은 양을 사용하면 생성된 안료의 색이 원래의 색과 차이가 나며, 안료의 중요한 작용중의 하나로 간주되는 물에 대한 내성이 감소 또는 열화(劣化)된다. 이 사실을 경제성 등과 연관시켜 고려해 볼때, 일반적으로 이 비스-나프틸메탄은 0.1∼10중량%, 특히, 0.2∼2.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아조화 반응 및 커플링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방향족 아민의 예를 들면, 6-아미노-4-클로로-m-톨루엔술폰산, 2-아미노-5-클로로-p-톨루엔술폰산, 2-아미노-4-클로로벤조산, 6-아미노-m-톨루엔술폰산, 5-아미노-2-클로로벤젠술폰산, 2-아미노나프탈렌-1-술폰산 및 아닐린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된 방향족 아민 및 비스-나프틸메탄의 형태 및 양에 따라서 적색 안료 48, 적색 안료 52, 적색 안료 55, 적색 안료 57, 적색 안료 58, 적색 안료 63 및 적색 안료 64와 같은 각종의 톤을 준 아조 안료를 얻는다.
레이킹제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예를 들면, 칼슘염, 바륨염, 스트론튬염 및 망간염이다. 레이킹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비스-나프틸메탄으로는 하기 일반식(Ⅰ)의 기본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kpo00001
상기 일반식에서, R1, R2및 R2'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 5개 이하를 갖는 알킬기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일반식(Ⅰ)의 기본 골격을 갖는 비스-나프틸메탄은 대략 두 군으로 나누어진다. 그 첫째 군은 하기 일반식(Ⅱ)∼(Ⅶ)로 표시한 화합물들이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상기 일반식에서, R1, R2및 R2'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 5개 이하를 갖는 알킬기이고 ; R3및 R3'는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탄소원자 5개 이하를 갖는 알킬기, 알킬 부분이 탄소원자 5개 이하를 갖는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니트로기, 술폰기 또는 -CONH-R6기[식중, R5
Figure kpo00008
기 또는
Figure kpo00009
기(R7, R8및 R9는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탄소원자 5개 이하를 갖는 알킬기, 알킬부분이 탄소원자 5개 이하를 갖는 알콕시 및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니트로기 또는 술폰기임)이다] 이며 ; R4, R4', R5및 R5'는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탄소원자 5개 이하를 갖는 알킬기, 알킬 부분이 탄소원자 5개를 갖는 알콕시 및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니트로기 또는 술폰기이다.
본 발명의 한가지 구체적인 제조방법에 따르면, 이 기들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하나의 화합물을 토닝제로 사용한다.
R3는 R3'가 -CONH-R4기외의 다른 원자 또는 기인 일반식(Ⅱ)∼(Ⅶ)의 비스-나프틸메탄은 나프톨과 알데히드를 축합시킴으로써 얻는다. 나프톨의 예를 들면, 1-나프톨, 2-나프톨, 메틸-1-나프톨, 메틸-2-나프톨, 클로로-1-나프톨, 클로로-2-나프톨, 브로모-1-나프톨, 브로모-2-나프톨, 1-나프톨술폰산, 2-나프톨술폰산, 니트로-1-나프톨, 니트로-2-나프톨, 1-메톡시나프탈렌, 2-메톡시나프탈렌, 1-메톡시-2-나프토산, 2-메톡시-1-나프토산, 2-메톡시-3-나프토산, 2-메톡시-6-나프토산, 1-히드록시-2-나프토산, 2-히드록시-1-나프토산, 2-히드록시-3-나프토산, 2-히드록시-6-나프토산, 1-히드록시-2-나프토산에스테르, 2-히드록시-1-나프토산에스테르, 2-히드록시-3-나프토산에스테르 및 2-히드록시-6-나프토산에스테르가 있다. 알데히드의 예를 들면,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 알데히드 및 부티르알데히드가 있다. 포름알데히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나프톨과 알데히드의 축합에 의해서 얻은 비스-나프틸메탄의 예를 들면, 4,4'-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 4,4'-디히드록시-3-클로로-1,1'-디나프틸메탄, 4,4'-디히드록시-3-메틸-1,1'-디나프틸메탄, 4,4'-디히드록시-6-메틸-1,1'-디나프틸메탄, 4,4'-디히드록시-7-메틸-1,1'-디나프틸메탄, 4,4'-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카르복실산, 1,1'-디히드록시-2,2'-디나프틸메탄, 1,1'-디히드록시-2,2'-디나프틸메탄-4,4'-디카르복실산, 1,1'-디히드록시-4,4'-디클로로-2,2'-디나프틸메탄, 1,4'-디히드록시-2,1'-디나프틸메탄, 4,1'-디히드록시-1,2'-디나프틸메탄-3-카르복실산,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카르복실산,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6,6'-디카르복실산,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6'-디카르복실산, 2,2' -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카르복실산,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6-카르복실산, 2,2'-디히드록시-3-클로로-1,1 '-디나프틸메탄, 2-2'-디히드록시-3-니트로-1,1'-디나프틸메탄, 2,2' -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술폰산, 2,2'-디히드록시-3-메틸-1,1'-디나프틸메탄, 2,2'-디히드록시-6-메틸-1,1'-디나프틸메탄, 2,2'-디히드록시-7-메틸-1,1'-디나프틸메탄, 메틸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카르복실레이트, 2,2' -디메톡시 -1,1'-디나프틸메탄-3,3'-디카르복실산, 2-히드록시-2'-메톡시-1,1'-디나프틸메탄-3-카르복실산, 2,2'-디히드록시-3-클로로-1,1'-디나프틸메탄, 2,4'-디히드록시-3-메틸-1,1'-디나프틸메탄, 2,4'-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 3-카르복실산, 2,4'-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6-카르복실산, 1,2'-디히드록시-2,1'-디나프틸메탄, 2,1'-디히드록시-1,2'-디나프틸메탄-3-카르복실산, 2,1'-디히드록시-1,2'-디나프틸메탄-6-카르복실산 및 2,1'-디히드록시-3-클로로-1,2'-디나프틸메탄이 있다.
R3및 R3'가 각각 -CONH-R6기인 일반식(Ⅱ)∼(Ⅶ)의 비스-나프틸메탄은 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를 알데히드와 축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의 예를 들면, 3-히드록시-N-페닐-2-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 1-히드록시-N-페닐-2-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 3-히드록시-N-(2-메틸페닐)-2-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 3-히드록시-N-(4-메틸페닐)-2-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 3-히드록시-N-(2-메톡시페닐)-2-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 3-히드록시-N-(2-에톡시페닐)-2-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 3-히드록시-N-(4-메톡시페닐)-2-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 3-히드록시-N-(4-클로로페닐)-2-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 3-히드록시-N-(4-브로모페닐)-2-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 3-히드록시-N-(3-니트로페닐)-2-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 3-히드록시-N-(4-니트로페닐)2-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 3-히드록시-N-(4-술포페닐)-2-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 3-히드록시-N-(2-메틸-4-클로로페닐)-2-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 3-히드록시-N-(2-메틸-4-메톡시페닐)-2-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 3-히드록시-N-(2,5-디메톡시페닐)-2-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 3-히드록시-N-(2,5-디메톡시-4-클로로페닐)-2-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 3-히드록시-N-(3-클로로-4,6-디메톡시페닐)-2 -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 3-히드록시-N-1-나프탈레닐-2-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 3-히드록시-N-2-나프탈레닐-2-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 및 3-메톡시-N-페닐-2-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가 있다.
알데히드의 예를 들면, 상술한 대로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및 부티르알데히드가 있다. 포름알데히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와 알데히드를 축합시켜서 얻은 비스-나프틸메탄의 예를들면,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N-페닐카르복사미드,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N-(2-메틸페닐)카르복사미드,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N-(2-에톡시페닐)카르복사미드,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N-(4-클로로페닐)카르복사미드,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N-(2-메틸-4-클로로페닐)카르복사미드,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N-(3-니트로페닐)카르복사미드-3'-N-(4-니트로페닐)카르복사미드,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N-(2-메틸-4-클로로페닐)카르복사미드,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N-(2,5-디메톡시-4-클로로페닐)카르복사미드,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N-1-나프탈레닐카르복사미드,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N-2-나프탈레닐카르복사미드,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N-1-나프탈레닐카르복사미드-3'-N-2-나프탈레닐카르복사미드,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6-메틸-3,3'-디-N-페닐카르복사미드, 2,2'-메톡시-1,1'-디나프틸메탄-7-클로로-3,3'-디-N-페닐카르복사키드, 1,1'-디히드록시-2,2'-디나프틸메탄-4,4'-디-N-페닐카르복사미드, 2,1' - 디나프틸메탄-3,4'-디-N-페닐카르복사미드 및 4,4' - 디메톡시 - 1,1'-디나프틸메탄-3,3'-디-N-페닐카르복사미드.
일반식(Ⅰ)의 기본 골격을 갖는 제2군의 비스-나프틸메탄은 방향족 디아조늄 화합물을 일반식(Ⅱ)∼(Ⅶ)의 화합물과 통상의 방법으로 커플링시켜서 얻은 아조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제조방법에 따르면, 이 제2군에서 선택된 최소한 한가지 아조 화합물을 토닝제로서 사용한다.
이 방법에서, 톤을 준 아조 안료은 방향족 디아조늄 화합물을 3-히드록시-2-나프토산 및 최소한 한가지의 상기 아조 화합물로 커플링시키고, 그 생성물을 임의로 레이킹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생성되는 아조 안료의 색에 원하는 만큼 효과적으로 톤을 줄 수 있다.
아조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된 방향족 디아조늄 화합물은 방향족 아민을 통상의 방법으로 디아조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방향족 아민의 예를 들면 앞서 예를 든 것과 유사한 화합물들, 예컨대 6-아미노-4-클로로-m-톨루엔술폰산, 2-아미노-5-클로로-p-톨루엔술폰산, 2-아미노-4-클로로벤조산, 6-아미노-m-톨루엔술폰산, 5-아미노-2-클로로벤젠술폰산, 2-아미노나프탈렌-1-술폰산 및 아닐린이 있다.
다른 톤을 준 아조 안료는 다른 방향족 디아조늄 화합물을 2-히드록시-3-나프토산 및 비스-나프틸메탄과 반응시켜 유사하게 제조할 수 있다. 칼슘염, 바륨염, 스트론튬염, 망간염, 마그네슘염, 아연염, 카드뮴염 및 철염과 같은 통상적인 레이킹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레이킹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커플링 성분으로서 3-히드록시-2-나프토산 및 상기 비스-나프틸메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는 달리 설명하자면, 지금까지 커플링 성분으로서 공지된 3-히드록시-2-나프토산의 일부를 토닝성을 갖는 커플링 성분인 상기 비스-나프틸메탄으로 치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안료를 합성하는 동안 결정의 성장에 바람직한 효과를 줌으로써 천연의 또는 원래의 색, 농담, 또는 투명도를 변화시킨다. 이 토닝 효과는 사용된 디아조늄 화합물의 종류 또는 사용된 비스-나프틸메탄의 종류 및 양에 따라서 광범의하게 변한다.
예를 들어서,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카르복실산,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N-페닐카르복사미드, 또는 6-아미노-m-톨루엔술폰산올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과 커플링시켜서 얻은 아조 화합물을 프린팅 잉크용 적색 안료로서 대단히 중요한 브릴리언트 카르민 6B(적색 안료 57)에 사용하면, 매스(mass)톤이 어두워지고, 색조가 푸른색을 띠며, 채도가 밝아지고 투명도가 증대되는 현저한 토닝 효과를 나타낸다.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 2,2' -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6,6'-디카르복실산,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6'-디카르복실산, 4,4'-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 1,1'-디히드록시-2,2'-디나프틸메탄, 4,4'-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카르복실산 등을 사용하여도 역시 유사한 토닝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유사하게 프린팅 잉크용 한가지 중요한 적색 안료인 와층 레드(적색 안료 48)를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현저한 토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적색 프린팅 잉크에 관해서, 명도 및 투명도 뿐만 아니라 적색 색조는 잉크의 평가에 중요한 인자가 되며, 강화된 명도 및 증가된 투명도를 갖는 적색 프린팅 잉크가 강력히 요구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안료는 이와 같은 요구 사항을 완전히 만족시킬 수 있다.
다른 안료, 예컨대, 와충 레드(적색 안료 48)에 관해서,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 3,3'-디카르복실산,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N-페닐카르복사미드 또는 6-아미노-m-톨루엔술폰산을 2,2' - 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과 커플링시켜서 얻은 아조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원래의 색이 밝아지고 반사 색조가 황색을 띠게 된다는 기대하지 못했던 토닝 효과를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종류의 안료들은 예를 들면, 프린트용으로 적합하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상이한 톤을 준 아조 안료를 제조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공지의 방법에 의한 토닝 효과보다 떠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색조에 관한 다양한 요구를 총족시켜줄 수 있어서 산업성면에서 볼 때 매우 가치 있다.
[참고예 1]
[비스-나프틸메탄의 제조]
[Ⅰ] 수산화나트륨 4.1g을 함유하는 물 60g에 2-나프톨 14.6g을 가하고, 이 혼합물을 90℃로 가열하여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에 포름알데히드 4.1g을 가하고, 혼합물을 95℃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후에, 반응 혼합물을 묽은 황산으로 침전시키고 침전물을 냉각시키고, 물로 세척한 후, 건조시켜서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 15.4g(순도 : 98.7%)을 얻었다.
[Ⅱ] 수산화나트륨 6.7g을 함유하는 물 60g에 3-히드록시-2-나프토산 10.0g 및 6-히드록시-2-나프토산 10.0g을 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90℃로 가열하어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에 포름알데히드 5.8g을 가하고, 혼합물을 95℃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후에, 반응 혼합물을 묽은 황산으로 침전시키고, 침전물을 냉각시키고, 물로 세척한 후, 건조시켜서 백색 결정 23.7g을 얻었다. 이 결정은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카르복실산 30.6%,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6,6'-디카르복실산 22.1% 및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6'-디카르복실산 44.9%를 함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1]
(a) 수산화나트륨 2.8g을 함유하는 물 200ml 중에 6-아미노-m-톨루엔술폰산 12g을 용해시켰다. 용액에 35% 염산 15g을 가하여 침전을 얻었다. 온도를 0℃로 유지시키면서 물 20ml 중의 니트릴나트륨 4.4g의 용액을 적가시킨 다음에,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디아조화시켜서 디아조늄염 용액을 얻었다. 이와는 별개로, 3-히드록시-2-나프토산 12.2g을 수산화나트륨 7.3g을 함유하는 물 150ml 중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의 온도를 0℃로 유지시켰다. 제조된 디아조늄염 용액을 이 용액에 서서히 가하고, 이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시킴으로써 커플링시켰다. 반응 후에, 물 70ml를 가하고, 10% 초산 수용액으로 이 용액의 pH를 8.0∼8.5로 조정하였다. 그런 후, 이 용액을 18℃로 유지시키면서 물 40ml에 용해시킨 염화칼슘 9.1g의 용액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90℃로 가열하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시켰다. 침전을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서 브릴리언트 카르민 6B의 칼슘염을 얻었다.
(b) 3-히드록시-2-나프토산 대신에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카르복실산(토닝제A) 1 또는 2중량%를 함유하는 3-히드록시-2-나프토산을 사용하여 상기 방법(a)를 반복하여 본 발명의 톤을 준 안료를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c) 3-히드록시-2-나프토산 대신에 2,2'-디히드록시-3,3'-디카르복시-1,1'-디나프틸(토닝제 B; 일본국 특허 공개 제116,753/1981호) 2중량%를 함유하는 3-히드록시-2-나프토산을 사용하여 상기 방법(a)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톤을 준 안료를 비교용으로 제조하였다.
후버(Hoover) 반죽기에서, 앞서 제조한 안료들 각각을 문헌(Japanese Industrial Standard)의 명세서에 규정된 양의 4번 니스와 함께 반죽하여, 토닝제를 함유하는 안료 시료 및 표준 시료를 나란히 발라 놓고 토닝 효과를 평가하였다. 얻어진 각각의 안료들에 대해서 우세파장 (λd), 밝기(Y) 및 여기(excitation) 순도(Pe)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를 하기 표1에 기재하였다.
[표 1]
Figure kpo00010
[실시예 2]
실시예 1을 반복하되 레이킹제로 염화바륨을 이용하여 브릴리언트 카르민 6B의 바륨염을 제조하였다.
3-히드록시-2-나프토산 대신에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카르복실산 1 또는 2중량%을 이용하여 상술한 안료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톤을 준 안료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안료의 토닝 효과를 실시예 1과 같이 평가하고, 이들의 우세파장, 밝기 및 여기 순도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를 하기 표2에 기재하였다.
[표 2]
Figure kpo00011
[실시예 3]
실시예 1, (a)와 동일한 방법으로 6-아미노-4-클로로-m-톨루엔술폰산의 디아조늄염을 3-히드록시-2-나프토산과 커플링시켜서 와충 레드의 칼슘염을 제조하였다.
3-히드록시-2-나프토산 대신에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카르복실산 1 또는 2중량%을 사용하여 상술한 안료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톤을 준 안료를 제조하였다.
생성된 안료의 토닝 효과는 실시예 1과 같이 평가하고, 또한 이들의 우세파장, 밝기 및 여기 순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표 3]
Figure kpo00012
[실시예 4]
실시예 1, (a)와 동일한 방법으로 브릴리언트 카르민 6B의 칼슘염을 얻었다.
3-히드록시-2-나프토산 대신에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 2 또는 10중량%를 사용하여 상기 안료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톤을 준 안료를 제조하였다.
생성된 안료의 토닝 효과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표 4]
Figure kpo00013
[실시예 5]
실시예 1, (a)와 동일한 방법으로 6-아미노-4-클로로-m-톨루엔술폰산의 디아조늄염을 3-히드록시-2-나프토산과 커플링시킴으로써 와충 레드의 칼슘염을 제조하였다.
3-히드록시-2-나프토산 대신에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 2 또는 10중량%를 사용하여 상술한 안료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톤을 준 안료를 제조하였다.
생성된 안료의 토닝 효과를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
[표 5]
Figure kpo00014
[실시예 6]
실시예 1, (a)와 동일한 방법으로 브릴리언트 카르민 6B의 칼슘염을 제조하였다.
3-히드록시-2-나프토산 대신에 하기 토닝제 A,C 또는 D 1 또는 2중량%를 사용하여 상술한 안료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톤을 준 안료를 제조하였다.
토닝제 A :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카르복실산
토닝제 C :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
토닝제 D :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6,6'-디카르복실산
생성된 안료의 토닝 효과를 실시예 1과 같이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a에 기재하였다.
[표 6a]
Figure kpo00015
1,2 및 3회 실시하여 얻은 안료들의 우세파장, 밝기 및 여기 순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b에 기재하였다.
[표 6b]
Figure kpo00016
[실시예 7]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와충 레드의 칼슘염을 제조하였다.
3-히드록시-2-나프토산 대신에 실시예 6에 제시한 토닝제 1 또는 2중량%를 사용하여 상술한 안료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톤을 준 안료를 제조하였다.
생성된 안료의 토닝효과를 실시예 1과 같이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a에 기재하였다.
[표 7a]
Figure kpo00017
1,2 및 3회 실시하여 얻은 안료의 우세파장, 밝기 및 여기 순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b에 기재하였다.
[표 7b]
Figure kpo00018
[실시예 8]
실시예 1, (a)와 동일한 방법으로 브릴리언트 카르민 6B의 칼슘염을 제조하였다.
3-히드록시-2-나프토산 대신에 4,4'-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 1,1'-디히드록시-2,2'-디나프틸메탄 및 1,4'-디히드록시-2,1'-디나프틸메탄 혼합물 2중량%를 사용하여 상술한 안료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톤을 준 안료를 제조하였다.
생성된 안료의 토닝 효과를 실시예 1과 같이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기재하였다.
[표 8]
Figure kpo00019
[참고예 2]
[비스-나프틸메탄의 제조 : ]
[Ⅰ] 수산화나트륨 8.2g을 함유하는 물 1,300g에 3-히드록시-N-페닐-2-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 26.3g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90℃로 가열하여 용액을 얻었다. 용액에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4.1g을 가하여, 혼합물을 90℃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후에, 분리된 결정을 열 여과로 수집하고, 물로 세척한 후, 건조시켜서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N-페닐카르복사미드(순도 99.8%) 16.2g을 얻었다.
[Ⅱ] 3-히드록시-N-(2-메틸페닐)-2-나프탈렌카르복사미드 27.7g을 수산화나트륨 8.2g을 함유하는 물 280g에 가하였다. 혼합물을 90℃로 가열하여 용액을 제조한다. 이 용액에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4.1g을 가하여 얻은 혼합물을 90℃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후에, 분리된 결정을 열 여과로 수집하고 물로 세척한 후, 건조시켜서 2,2' -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N-(2-메틸페닐)카르복사미드(순도 : 98.2%) 25.0g을 얻었다.
[실시예 9]
(a) 수산화나트륨 2.8g을 함유하는 물 200ml 중에 6-아미노톨루엔술폰산 12g을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35% 염산 15g를 가하여 침전을 형성시켰다. 용액을 0℃로 유지하면서 물 20ml 내에 용해시킨 아질산나트륨 4.4g의 용액을 이 용액에 적가시킨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여 6-아미노-m-톨루엔술폰산을 디아조화시켜서, 디아조늄염 용액을 얻었다.
이와는 별개로 수산화나트륨 7.3g을 함유하는 물 150ml 중에 3-히드록시-2-나프토산 12.2g을 용해시켰다. 용액을 0℃로 유지하면서 상기 디아조늄염 용액을 용액에 서서히 가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커플링을 성취하였다. 반응 후에, 물 70ml를 이 반응 혼합물에 가하고, 10% 초산 수용액을 가하여 혼합물의 pH를 8.0∼8.5로 조정하였다. 그런 후 용액의 온도를 18℃로 유지시키고, 여기에 물 40ml 내에 용해시킨 염화칼슘 9.1g 용액을 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90℃로 가열하고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그런 후,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물로 세척한 후, 건조시켜서 브릴리언트 카르민 6B의 칼슘염을 얻었다.
(b) 3-히드록시-2-나프토산 대신에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N-페닐카르복사미드(토닝제 E)를 함유하는 3-히드록시-2-나프토산 2중량%를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a)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톤을 준 안료를 제조하였다.
(c) 3-히드록시-2-나프토산 대신에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N-(2-메틸페닐)카르복사미드(토닝제 F) 2중량%를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a)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톤을 준 안료를 제조하였다.
이 안료들의 토닝 효과를 실시예 1과 같이 평가하였다. 이 안료들의 우세파장, 밝기 및 여기 순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기재하였다.
[표 9]
Figure kpo00020
[실시예 10]
6-아미노-4-클로로-m-톨루엔술폰산의 디아조늄염과 3-히드록시-2-나프토산을 실시예 1, (a)와 동일한 방법으로 커플링시켜서 완충 레드의 칼슘염을 제조하였다.
3-히드록시-2-나프토산 대신에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N-페닐카르복사미드 2중량%를 사용하여 상술한 안료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톤을 준 안료를 제조하였다.
안료의 토닝 효과를 실시예 1과 같이 평가하여, 안료의 우세파장, 밝기 및 여기 순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0에 기재하였다.
[표 10]
Figure kpo00021
[참고예 3]
[비스-나프틸메탄의 제조 : ]
[Ⅰ] 수산화나트륨 2.8g을 함유하는 물 200ml 중에 6-아미노-m-톨루엔술폰산 12g을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35% 염산 15g을 가하여 침전을 형성시켰다. 온도를 0℃로 유지시키면서, 물 20ml 내에 용해시킨 아질산나트륨 4.4g 용액을 이 용액에 적가시켰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여 6-아미노-m-톨루엔술폰산을 디아조화시켜 디아조늄염 용액을 얻었다. 이와는 별개로,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 8.6g을 수산화나트륨 7.3g을 함유하는 물 150ml 중에 용해시켰다. 온도를 0℃로 유지하면서 이 용액에 위에서 얻은 디아조늄염 용액을 서서히 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커플링을 성취시켰다. 반응 후에, 이 반응용액에 물 70ml을 가하고, 10% 초산 수용액으로 이 용액의 pH 8.0∼8.5로 조정하였다. 그런 후, 온도를 18℃로 유지하면서 이 용액에 물 40ml 내에 용해시킨 염화칼슘 9.1g의 용액을 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90℃로 가열하고,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침전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한 후, 건조시켜서 6-아미노-m-톨루엔술폰산과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의 커플링 생성물(아조 화합물) 19.4g을 얻었다.
[Ⅱ]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 18.6g 대신에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카르복실산 10.3g을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Ⅰ]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6-아미노-m-톨루엔술폰산 및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카르복실산의 커플링 생성물(아조화합물) 18.0g을 제조하였다.
[Ⅲ] 6-아미노-m-톨루엔술폰산 대신에 6-아미노-4-클로로-m-톨루엔술폰산을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Ⅰ]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6-아미노-4-클로로-m-톨루엔술폰산 및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의 커플링 생성물(아조 화합물) 20.3g을 제조하였다.
[Ⅳ] 6-아미노-m-톨루엔술폰산 대신에 6-아미노-4-클로로-m-톨루엔술폰산을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Ⅱ]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6-아미노-4-클로로-m-톨루엔술폰산과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카르복실산(아조 화합물)의 커플링 생성물(아조 화합물) 18.9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a) 수산화나트륨 2.8g을 함유하는 물 200ml 중에 6-아미노-m-톨루엔술폰산 12g을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35% 염산 15g을 가하여 침전을 형성시켰다. 온도를 0℃로 유지시키면서 이 용액에 물 20ml 내에 용해시킨 아질산나트륨 4.4g의 용액을 적하시켰다. 이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여 6-아미노-m-톨루엔술폰산을 디아조화시켜서, 디아조늄염 용액을 얻어다. 이와는 별개로, 수산화나트륨 7.3g을 함유하는 물 150ml 중에 3-히드록시-2-나프토산 12.2g을 용해시켰다. 이 용액의 온도를 0℃로 유지시키면서 위에서 얻은 디아조늄염 용액을 서서히 가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커플링을 성취시켰다. 반응 후에, 반응 혼합물에 물 70ml를 가하고, 10% 초산 수용액으로 이 용액의 pH를 8.0∼8.5로 조정하였다. 그런 후, 용액의 온도를 18℃로 유지시키면서 물 40ml 내에 용해시킨 염화칼슘 9.1g의 용액을 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90℃에서 가열하고, 30분간 교반시켰다. 생성된 침전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서 브릴리언트 카르민 6B의 칼슘염을 얻었다.
(b) 3-히드록시-2-나프토산 2중량% 대신에 6-아미노-m-톨루엔술폰산 및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토닝제 G)의 커플링 생성물을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a)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톤을 준 안료를 제조하였다.
(c) 3-히드록시-2-나프토산 2중량% 대신에 6-아미노-m-톨루엔술폰산 및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카르복실산(토닝제 H)의 커플링 생성물을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a)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톤을 준 안료를 제조하였다.
(d) 생성된 안료들의 토닝효과를 실시예 1과 같이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기재하였다.
[표 11]
Figure kpo00022
[실시예 12]
(a) 수산화나트륨 2.8g을 함유하는 물 200ml 중에 6-아미노-4-클로로-m-톨루엔술폰산 12g을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35% 염산 15g을 가하여 침전을 형성시켰다. 이 용액에 온도를 0℃로 유지시키면서 물 20ml 내에 용해시킨 아질산나트륨 4.4g의 용액을 적가시켰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여 6-아미노-m-톨루엔술폰산을 디아조화시켜서, 디아조늄염 용액을 얻었다. 이와는 별개로, 수산화나트륨 7.3g을 함유하는 물 150ml 중에 3-히드록시-2-나프토산 12.2g을 용해시켰다. 이 용액의 온도를 0℃로 유지시키면서, 위에서 얻은 디아조늄염 용액을 서서히 가하였다. 반응 후에, 반응 용액에 물 70ml를 가하고, 10% 초산 수용액으로 pH를 8.0∼8.5로 조정하였다. 그런 후, 이 용액의 온도를 18℃로 유지시키고, 물 40ml 내에 용해시킨 염화칼슘 9.1g 용액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90℃로 가열하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물로 세척한 후, 건조시켜서 와충 레드의 칼슘염을 얻었다.
(b) 3-히드록시-2-나프토산 대신에 6-아미노-4-클로로-m-톨루엔술폰산 및 2,2'-디히드록시-1,1'-디나프틸메탄-3,3'-디카르복실산(토닝제 J)의 커플링 생성물 2중량%를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a)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톤을 준생성물을 제조하였다.
(d) 생성된 안료들의 토닝 효과를 실시예 1과 같이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2에 기재하였다.
[표 12]
Figure kpo00023

Claims (4)

  1. 방향족 디아조늄 화합물을 3-히드록시-2-나프토산 및 최소한 한가지 비스-나프틸메탄과 커플링시키고, 새성된 안료를 임의로 레이킹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아조 안료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비스-나프틸메탄이 하기 일반식(Ⅰ)의 기본 골격을 갖는 방법.
    Figure kpo00024
    상기 일반식에서, R1, R2및 R2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 5개 이하를 갖는 알킬기임.
  3. 제2항에 있어서, 일반식(Ⅰ)의 기본 골격을 갖는 비스-나프틸메탄이 하기 일반식(Ⅱ)∼(Ⅶ)의 화합물들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한가지 화합물인 방법.
    Figure kpo00025
    Figure kpo00026
    Figure kpo00027
    Figure kpo00028
    Figure kpo00029
    Figure kpo00030
    상기 일반식에서, R1, R2및 R2'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 5개 이하를 갖는 알킬기이며, R3및 R3'는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탄소원자 5개 이하를 갖는 알킬기, 알킬 부분이 탄소원자 5개 이하를 갖는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니트로기, 술폰기 또는 -CONH-R6[식중, R6
    Figure kpo00031
    기 또는
    Figure kpo00032
    기(R7, R8및 R9는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탄소원자 5개 이하를 갖는 알킬기, 일킬 부분이 탄소원자 5개 이하를 갖는 알콕시 및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니트로기 또는 술폰기임)이다] 이고, R4, R4', R5및 R5'는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탄소원자 5개 이하를 갖는 알킬기, 알킬 부분이 탄소원자 5개 이하를 갖는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니트로기 또는 술폰기임.
  4. 제2항에 있어서, 일반식(Ⅰ)의 기본 골격을 갖는 비스-나프틸메탄이 하기 일반식(Ⅱ)∼(Ⅶ)의 화합물들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한가지 화합물과 디아조늄 화합물을 커플링시켜서 얻은 아조 화합물인 방법.
    Figure kpo00033
    Figure kpo00034
    Figure kpo00035
    Figure kpo00036
    Figure kpo00037
    Figure kpo00038
    상기 일반식에서, R1, R2및 R2' 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 5개 이하를 갖는 알킬기이며, R3및 R3'는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탄소원자 5개 이하를 갖는 알킬기, 알킬 부분이 탄소원자, 5개 이하를 갖는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니트로기, 술폰기 또는 -CONH-R6[식중, R6
    Figure kpo00039
    기 또는
    Figure kpo00040
    기(R7, R8및 R9는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탄소원자 5개 이하를 갖는 알킬기, 알킬 부분이 탄소원자 5개 이하를 갖는 알콕시 및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니트로기 또는 술폰기임)이다 ] 이고, R4, R4', R5및 R5'는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탄소원자 5개 이하를 갖는 알킬기, 알킬부분이 탄소원자 5개 이하를 갖는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니트로기 또는 술폰기임.
KR1019860000884A 1985-02-08 1986-02-08 아조 안료 제조방법 KR910007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845/85 1985-02-08
JP21845 1985-02-08
JP60021845A JPS61181864A (ja) 1985-02-08 1985-02-08 アゾ顔料の製造法
JP279137 1985-12-13
JP60279136A JPS62138560A (ja) 1985-12-13 1985-12-13 アゾ顔料の製造法
JP279136/85 1985-12-13
JP279136 1985-12-13
JP279137/85 1985-12-13
JP60279137A JPS62138561A (ja) 1985-12-13 1985-12-13 アゾ顔料の製造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154A KR870006154A (ko) 1987-07-09
KR910007083B1 true KR910007083B1 (ko) 1991-09-16

Family

ID=27283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0884A KR910007083B1 (ko) 1985-02-08 1986-02-08 아조 안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55844A (ko)
EP (1) EP0190947B1 (ko)
KR (1) KR910007083B1 (ko)
CA (1) CA1236093A (ko)
DE (1) DE3668639D1 (ko)
ES (1) ES88011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59608A (en) * 1986-08-04 1989-09-19 Ryuzo Ueno Process for producing azo pigment
GB9004495D0 (en) * 1990-02-28 1990-04-25 Ciba Geigy Production of pigments
WO2000023526A1 (fr) 1998-10-16 2000-04-27 Kabushiki Kaisha Ueno Seiyaku Oyo Kenkyujo Agent de type toner
JP4192520B2 (ja) * 2002-08-07 2008-12-10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モノアゾレーキ顔料組成物及びそれを使用したグラビアインキ
CN103739497B (zh) * 2014-01-13 2015-06-17 河南省科学院化学研究所有限公司 3-羟基-2-萘甲酸(1,n-烷二醇)二酯偶合剂及其合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86117A (en) * 1975-02-12 1977-09-21 Ciba Geigy Ag Organic pigment compositions
GB1570292A (en) * 1976-10-28 1980-06-25 Ciba Geigy Ag Automatic control of azo pigments
DE2854974A1 (de) * 1978-12-20 1980-07-10 Hoechst Ag Rekristallisationsstabile farbstarke monoazopigmentgemisch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4217273A (en) * 1979-01-05 1980-08-12 American Cyanamid Company Process for azo pigments
US4224221A (en) * 1979-01-05 1980-09-23 American Cyanamid Company Modifier composition for azo pigments based on 2-hydroxy-3-naphthoic acid
FR2508430B1 (ko) * 1981-06-25 1985-12-13 Ici Francolor
JPS5842662A (ja) * 1981-09-08 1983-03-12 Ueno Seiyaku Oyo Kenkyusho:Kk 調色されたアゾ顔料の製法
GB2112797B (en) * 1981-10-05 1985-06-19 Koege Kemisk Vaerk Azopig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8801176A1 (es) 1987-12-16
CA1236093A (en) 1988-05-03
ES551740A0 (es) 1987-12-16
DE3668639D1 (de) 1990-03-08
EP0190947A2 (en) 1986-08-13
EP0190947A3 (en) 1988-01-27
KR870006154A (ko) 1987-07-09
US4655844A (en) 1987-04-07
EP0190947B1 (en) 1990-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6750A (en) Azo pigment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KR910007083B1 (ko) 아조 안료 제조방법
KR100361942B1 (ko) 안료조성물
CH639410A5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igmentzusammensetzungen.
EP0074117B1 (en) Process for producing azo pigments
KR930010509B1 (ko) 아조안료의 제조방법
US4014866A (en) Barium laked phenylazonaphthalene dye containing sulfonic acid groups
US4224221A (en) Modifier composition for azo pigments based on 2-hydroxy-3-naphthoic acid
JPH0546867B2 (ko)
CA2037135C (en) Production of pigments
US2237768A (en) Production of azo colors
KR20010033054A (ko) 조색제
US3317331A (en) Modified azo pigments
JPH0546869B2 (ko)
US6913640B2 (en) Single-phase mixed crystals of laked monoazo dyes
US6387170B1 (en) Heat stable orange laked monoazo pigment
JPH0546868B2 (ko)
JP4536912B2 (ja) ジスアゾ顔料組成物及び印刷インキ組成物
CA1124960A (en) Modifier composition for azo pigments based on 2-hydroxy-3-naphthoic acid
BE1000314A4 (fr) Nouveaux composes azoiques,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comme pigments.
JPH02302471A (ja) アゾ化合物およびその製法
SU804674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моноазопигментовАцЕТОАцЕТАНилидНОгО Р дА
EP1343847A2 (de) Transparente grünstichig gelbe pyrazolonazopigmente
JP2002528623A (ja) モノアゾ顔料の固溶体
JPS6036223B2 (ja) アゾ顔料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1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