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038B1 - 전자카드 - Google Patents

전자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038B1
KR910007038B1 KR1019870010224A KR870010224A KR910007038B1 KR 910007038 B1 KR910007038 B1 KR 910007038B1 KR 1019870010224 A KR1019870010224 A KR 1019870010224A KR 870010224 A KR870010224 A KR 870010224A KR 910007038 B1 KR910007038 B1 KR 910007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re member
magnetic stripe
key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0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625A (ko
Inventor
다까노리 이노우에
가즈야 하라
히로야스 비도오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기가이샤
가시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23574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8939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76633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8305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810898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9775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82800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89153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86130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91129U/ja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기가이샤, 가시오 다다오 filed Critical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6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카드
제1도는 카드와 카드 반송용 롤러와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카드 이면측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카드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IV-IV선 절단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상부 판낼의 지지판의 평면도.
제6도는 키 접점용 개구와 간격과의 관계 표시도.
제7도 내지 제9도는 상부 판넬의 지지판의 각각 기타 실시평면도.
제10도는 카드 반송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전자카드의 전체의 이면측 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전자카드의 분해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전자카드의 종단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코아부재 121 : 모듈수납부(수납개구)
122 : 엠보스 형성용 두터운부 130a : 유연성 시트
130b : 경질 지지판넬 132 : 키 조작면
136 : 개구 152 : 집적회로 (LSI)칩
160 : 액정 표시판넬 180 : 계산기 모듈.
본 발명은, 일면에 키 입력부를 가지며. 내부에 입력/출력 모듈(Module)을 수납하며, 본체의 일측 가장 자리를 따라 엠보스(Emboss)문자가 형성된 전자(電子)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입력/출력 기능을 가진 전자카드(예를들면 일반적으로 카드 전자식 탁상계산기라 불리우는 카드형 소형 전자식 계산기)를 전자 카드로서 뿐 아니라, 크레딧트 카드로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생각되고 있다. 예컨대 카드 전자식 탁상계산기의 일면에 자기 스트라이프(Stripe)를 갖는 전자 카드가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카드 전자식 탁상계산기의 일면에 자기 스트라이프를 형성한 것뿐인 전자 카드에서는, 크레딧트 카드로서의 기능은 완전히 달성되지 못한다. 통상의 크레딧트 카드는 자기 스트라이프외에 소유자명, 구좌 번호등을 표시하는 엠보스 문자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것은 ISO 규격으로 규정되어 있다. 엠보스 문자는, 소유자 정보를 영원히 변경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엠보스 문자는 그 엠보스 문자를 사용하여 영수증을 인쇄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따라서, 전자 기기로서의 강도를 가짐과 동시에, 엠보스 문자를 갖는 전자 카드를 구형하는 것이 종래의 과제이었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로서의 강도를 가지며, 또 기기 본체를 파괴함이 없이 변경할 수 없는 엠보스 문자를 갖는 전자 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카드는 입력정보에 의거하여 연산을 실행하는 집적회로칩 및 입력정보와 연산결과를 표시 하는 액정 표시판넬을 가진 계산기 모듈을, 코아부재에 형성된 모듈수납부에 수납하고, 키 조작면을 구비한 유연성 시트로 일면을 피복한 전자카드에 있어서, 상기 코아부재에 엠보스 형성용 두터운 부를 일체화하여 형성하고, 이 두터운부에 대향하는 개구가 형성된 경질 지지판넬을 상기 유연성 시트와 상기 코아부재의 사이에 개재시켜 일체적으로 접착하여 되며, 상기 코아부재의 상기 두터운부에, 이 두터운부의 일면에서 몰입되고 타면에서 돌출하는 엠보스 문자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코아부재가 경질 지지판넬에 의하여 보강되어 있다. 따라서 카드 본체의 절곡에 대한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전자 기기로서 필요한 기능을 부여할 수가 있다. 또 코아부재의 두터운부에 그 일면에서 몰입하고 타면에서 돌출하는 엠보스 문자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전자기기를 파괴하지 않고 는 엠보스 문자를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는 크레딧트 카드로서의 완전한 기능도 갖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카드형 소형 전자식 계산기에 자기 스트라이프와 엠보스 문자를 형성한 전자 카드를 예로 하여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제 1발명의 실시예를 제 1도-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전자 카드는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외관을 갖는다. 도면중(110) 은 카드 본체이고, 그 표면에는 표시부(111) 와 키 입력부(112)가 형성된다. 카드본체(110)의 이면에는 그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자기 스트라이프(113) 가 형성된다. 카드본체 (110) 의 이면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엠보스 문자 (114)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카드 본체(110)는 ISO 규격에 준한 85.5mm(길이 x 54mm (폭) x 0.8mm (두께) 의 크기를 갖는다. 또 자기 스트라이프(113) 및 엠보스 문자(114) 는 JIS 또는 ISO 의 규격의 규정에 의거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0도는 카드의 자기 스트라이프와 엠보스 문자 및 바 코드의 형성 영역을 표시하고 있다. 카드 (101)는 길이(L) 가 약 85.5mm, 폭(W) 이 약 54mm 의 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자기 스트라이프와 엠보스 문자의 성형위치는 JIS의 B9560 또는 ISO의 2849로 규정되어 있으며, 자기 스트라이프는 카드 (101) 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JIS 의 B9560 과 ISO 2849 의 규격은 동일하지 않다. 또, 자기 스트라이프의 폭도 JIS의 B9561에 규정되어 있는 바와같이 2 종류의 폭이 있다. 그러나, 어떤 규정에 의한 경우 이거나, 자기 스트라이프는 카드 (101)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약 16mm의 폭 (H) 의 영역(102)내에 수납되어 있으며, 엠보스 문자는 카드 (101) 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약 24mm의 폭 (I)의 영역 (103) 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 제 10도에 있어서, (104)는 바 코드의 형성 영역을 표시하고 있다. 바 코드 형성영역은 JSM의 B9552 또는 ISO 의 3554 규정 (동일규정) 에 의거하여, 카드 (101) 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27.9mm 의 간격을 갖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바 코드의 폭 (L)은 3.4mm로 되어 있다.
자기 스트라이프 형성영역(102) 과 바코드 형성영역 (104) 과의 사이에는 약 4.9mm의 간격 (M)이 있으며, 엠보스 문자의 형성 영역(103) 과 바코드 형성영역(104) 과의 사이에는 5.7mm의 간격 (N) 이 있다. 카드 판독장치내에서 상술한 모두의 규정에 따르는 카드가 자기 스트라이프나 엠보스 문자 및 바 코드부를 피해서 반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 카드 반송 롤러로 상기 간격 (M 또는 N) 의 어느 부분을 찝어서 카드를 반송하면 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는, 상기 간격 (M,N) 중 폭이 넓고, 또 카드 (101) 의중앙부에 가까운 폭, 즉 엠보스 문자 형성 영역 (103)과 바 코드 형성 영역 (104)과의 사이 부분을 카드 (101)의 피복반송영역 (d)으로 한다. 그리고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카드 판독 장치의 상하 카드 반송 롤러 (190,190) 를 상기 피복 반송 영역(d)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이 카드 반송 롤러(190.190)의 폭1축방향 길이)은 상기 엠보스 문자 형성영역 (103) 과 바코드 형성영역 (104) 과의 간격 (N)(약 5.7mm) 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또 카드 판독장치의 판독헤드 (191) 는, 카드 (101)의 자기스트라이프 형성영역 (102) 의 전폭에 걸친 판독폭을 갖고 있으며, 자기 스트라이프 (113) 가 자기 스트라이프 형성영역(102) 내에 어느 위치에 존재해도 자기 스트라이프의 기록 정보를 판독할 수가 있다. 바코드를 판독하는 광학 판독부는 카드 (101 ) 의 바코드 형성영역(104)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전자 카드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102)은 카드본체 (110) 의 코아부재, (130)은 상부 카버, (140)은 하부카버이다. 카드 본체 (110) 는 상기 코아부재 (120)의 상하면에 상부 카버 (130) 와 하부카버 (140)를 접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코아부재 (120)는 카드본체 (110)의 주측면이 되는 외주부를 제외하고 대면적의 계산기 모듈수납개구(수납부)(121)가 형성된 틀 모양의 것이다. 코아부재 (120)의 상측 가장자리의 엠보스 문자 형성 영역에는 엠보스 문자 (114)를 형성하기 위한 두터운 부 (112)가 코아부재 상하면에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코아부재 (120)는 엠보스 문자 (114)를 양호하게 돌출하여 형성할 수 있는 재질(예를 들면 경질 염화비닐등의 열 가소성 고분자 수지 또는 알루미늄등의연질 금속)의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카드 본체 (110)내에는 배선기판 (150)과, 배선기판 (150)에 접속된 액정 표시판넬(160)과 종이형상의 1차 전지 (170)로 구성되는 계산기 모듈(180)이 수납되어 있다. 상기 배선기판 (150)은 그 상면에 다수의 고정키 접점(151)이 종횡으로 배열되어 있다. 배선기판 (150)에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고정키접접 (151)의 형성 부분을 피하여 집적회로 (LSI) 칩(152)이 취부되어 있다. 이 접적회로 칩 (152)은 배선기판 (150)에 형성된 개구 (153)내에 삽입되며, 배선기판 (150)에 형성된 배선과 접속되어 있다. LSI칩 (152)의 취부부는 에폭시수지 등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다. 상기 액정 표시판넬 (160)은 배선기판 (150)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도려낸부내에 수납되도록 배선기판 (150)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액정표시판넬 (160)은 히트시일(Heat-Seal) 콘넥터(160) 에 의하여 배선기판 (150)의 하면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종이형상의 1차 전지(170)는 배선기판 (150)의 측방에 배선기판 (150)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종이형상의 1차전지 (170)는, 리튬 금속박층, 이산화망간 인쇄층 및 전해액이 함침된 분리층으로 구성된 발전 유니트와, 발전 유니트의 상하면에 밀착된 상하 전극박을 연출하여 형성한 단자부 (171,171)를 갖고 있다. 단자부(171,171)는 배선기판 (150)의 하면에 납땜하여, 배선기판 (150)에 접속되어 있다. 계산기 모듈(180)은 코아부재 (120) 의 계산기 모듈 수납개구 (수납부)(121)내에, 개구 (121)의 주벽면에 의하여 위치결정되어 수납되어 있다. 고정키 접점(151)은 그 모두가, 전자카드의 피복반송 영역(카드 판독장치의 카드 반송롤러 (190,190)에 의하여 눌려지는 영역)(d)(제1도 및 제4도)을 피하여 피복반송 영역 (d) 보다도 카드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접적회로 (LSI)칩 (152)은 상기 피복반송 영역((d) 을 피하여 피복반송영역(d)보다도 카드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액정 표시판넬(160)은 그 액정 충진부(표시 영역부분)가 상기 피복반송 영역(d)과 중첩되지 않도록 피복 반송 영역(d)에서 카드 상측 가장자리측에 벗어나 배치되어 있다. 이 액정 표시판넬 (160)은 상기 히트 시일 콘넥터(161)가 접속된 단자 배열부만이 피복반송 영역(d)에, 피복반송영역(d)의 폭의 대개 반 정도 들어가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카드 본체 (110) 의 상부 커버 (130)는 카드 본체(110)의 표면을 형성할 유연성 시트(130a)와, 이 유연성 시트 (130a)의 이면에 박판으로 유연성 시트(130a)를 그 이면측에서 지지하는 경질 지지판넬(130b)로 되어 있다. 상기 유연성 시트(130a)는 액정 표시판넬(160)의 표시 영역과 대응한 부분에 투명한 표시창 (131)을 갖는다. 또 유연성 시트 (130a)의 배선기판 (50)에 형성된 각 고정키 접점 (151)과 각각 대응한 부분은 키 조작면(132) 으로 되어 있다. 이 유연성 시트 (130a)는 경질 염화 비닐 수지로된 투명 수지시트에 상기 표시창(131)부분을 제외하고 눈가림용의 화장인쇄를 함과 동시에, 각 키 조작면(132)에 키 표시를 인쇄하여 형성하고 있다. 각 키 조작면 (132)의 이면에는 키 조작면 (1320의 압압 조작으로 상기 고정키 접점(151)에 접촉될 가동키 접점(135)이 카본 잉크등의 인쇄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질 지지판넬 (130b)은 스텐레스등의 금속박판으로 되어 있다. 이 경질 지지판넬((130b)의 상기 유연성 시트 (130a)의 표시창 (131) 및 각 키 조작면 (132)과 대응한 부분에, 각각 표시용 개구(134) 및 키 조작용 개구(135)가 형성되어 있다. 각 키 조작용 개구 (135)는, 고정키 접점(151)(횡방향의 줄)의 전 길이에 걸쳐 가로 길이의 것이다. 키 조작용 개구 (135)중 전원키용 키 접점, 즉, 온 (ON)표시에 대향한 개구 (135a)의 폭(W2)(제6a도) 은 타의 키용 개구폭(W1)(제6b도) 보다 작은 폭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휴대시나, 판독용 터미널의 장착시에 전원키가 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개구폭(W2)은, 고정키 접점(151)과 가동키 접점(133)과의 간격을 S로 하면, W2= (10~50) x S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서, 간격 S = 0.08mm로 했을 때 W2= 1~4mm로 된다. 단, W2의 최대치는 4.0mm를 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 키조작용 개구 (135)는 전체적으로 제 5도에서와 같이 전자카드의 피복반송영역 (d)에서 벗어난 위치에 있다. 표시용 개구 (134)도 그 가장자리부만 피복반송영역(d)에 그 폭의 반정도 들어가게 된다. 이 경질 지지판넬(130b)에는 상기 코어부재 (120)의 엠보스 문자 형성용 두터운부 (122)에 끼워 맞출 개구(1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질 지지판넬(130b)의 이면에는 상기 배선기판 (150)에 취부된 집적회로(lsi) 칩(152)의 배선기판 (150)위에 돌출하는 상면부를 수용할 요부 (137)와, 종이형상의 1차전지 (170)의 상면부를 수용할 요부(138) 등이 반 에칭(Etching)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부 카버 (130) 는 상기 경질 지지판넬 (130b)의 각 개구 (134,135,136) 및 각 요부 (137,138) 와 대응한 부분에 각각 개구를 형성한 양면 접착시트 (139)에 의하여 코아부재 (120) 및 배선기판 (150)의 상면에 접착되어 있다. 각 키 조작면(132) 아래에 형성된 가동 키 접점 (133)은 상기 경질 지지판넬(130b) 및 양면 접착시트(139)를 스페이서로 하여 배선기판(150)면의 고정키 접점(151)과 떨어져 대향하고 있다(제4도).
카드 본체(110) 의 하부 카버 (140)는 카드본체(110)의 이면을 형성한 연질 염화비닐 수지등으로된 외장시트(140a)와, 이 외장시트(140a)의 이면에 박판으로 외장시트(140a)를 그 이면측에서 지지한 스텐레스 박판등의 경질 지지판넬(140b)로 되어 있다. 상기 외장시트(140a)의 외면에는 자기 스트라이프 (1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질 지지판넬 (140b)은 자기 스트라이프 (133)에 기록될 자기 정보 기입 및 판독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비자성의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외장시트(140a)에는 상기 코아부재 (120)의 엠보스문자 형성용 두터운부 (122)에 끼워질 개구 (14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경질 지지판넬(140b)의 이면에는 액정 표시판넬(160)의 하면부를 수용한 요부(142)와, 상기 LSI 칩 (152)의 배설기판(150) 아래에 돌출한 하면부를 수용할 요부 (142)와, 종이형상의 1차전지(170)의 하면부를 수용할 요부 (144)등이 반 에칭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질 지지판넬(140b)과 외장 시트 (140a)는 이하에서와 같이 박판으로 되어 있다. 경질 지지판넬(140b)의 외면 또는 외장 시트(140a)의 내면에 접착제 (140c)를 도포(이 실시예에서는 외장시크(140a)측에 도포)한 다음에 경질 지지판넬(140b)과 외장 시트(140a)를 중첩하여 가압 롤러등에 의하여 가압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착제 (140c)를 스크린 인쇄법등에 의하여 외장시트(140a)의 자기 스트라이프(113)의 기록영역(자기 스트라이프 양단의 기입 및 판독에는 관여하지 않는 더미(dummy) 영역이외의 영역)을 제외하고, 제3도에서와 같이 외장시트(140a)에 도포하고 있다. 그리고, 경질 지지판넬(140b)과 외장시트(140a)를, 상기 자기 스트라이프(113)의 기록 영역과 대응한 부분 이외에 있어서만 접착하고 있다.
또 크레딧트 카드에 있어서, 자기 스트라이프의 양단에 기입 및 판독에는 관여하지 않는 더미(dummy)영역을 확보하는 것은 JIS 및 ISO 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JIS에서는 자기스트라이프 양단의 더미 영역의 길이(l)(제3도 참조)를 5mm 이상, ISO에서는 6.93mm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자기스트라이프 양단의 더미 영역과 대응한 부분에는 접착제(140C)를 도포하여 경질 지지판넬(140b)과 외장 시트(140a)를 접착함으로써, 자기 스트라이프(113)와 대응한 부분에 있어서의 경질 지지판넬(140b)과 외장시트(140a) 와의 결합강도도 충분히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접착제(140c)를 상기 자기스트라이프(113)의 기록 영역과 대응한 부분을 제외하여 도포하고, 카드본체 (110)의 이면 (경질 지지판넬(140b)과 외장시트 (140a)를 자기 스크라이프(113)의 기록 영역과 대응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만 접착하므로서, 접착제(140c)는 도포두께가 불균일하거나, 접착제층중의 기포가 팽창해도, 자기 스트라이프(113)의 기록영역에는 요부나 돌기가 생기는 일이 없다. 따라서 자기 스트라이프(113)의 기록 영역은 그 전면에 걸쳐서 완전하 평탄면이 된다. 자기 스트라이프(113)의기록 영역 전역에 있어서의 자기판독헤드(191)의 접촉압은 일정하며, 자기 정보의 판독 및 기입을 정확하게 할 수가 있다.
또, (140d)는 외장시트(140a)와 경질 지지판넬(140b) 사이의 공기를 카드 본체(110) 측방에 도출하기 위한 공기도 피흠이다. 자기 헤드가 자기스트라이프(113)에 접촉했을 때, 공기가 공기 도피홈(140d)을 통과하여 본체(110)밖으로 도피하고, 외장 시트(140a)는 경질 지지판넬(140b)에 밀착하므로, 자기 스트라이프(113)에서의 자기 정보의 판독정도는 한층 정확해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하부 카버(140)는 상기 경질 지지판넬(140b)의 개구 (141) 및 각 요부 (142,143,144)와 대응한 부분에 각각 개구를 갖는 양면 접착시트(145)에 의하여 코아부재(120) 및 배선기판 (150)의 하면에 접착되어 있다.
유연성 시트(130a) 및 외장시트(140a)는 상기 엠보스 문자 형성용 두터운부(122)의 상하면에 밀착하고 있다. 소유자 정보를 표시한 엠보스 문자(114)는 유연성 시트(130a), 코아부재(120) 및 외장시트(140a)를 밀착 적층한 상태, 즉 전자 카드 본체의 조립이 끝난 상태에서, 유연서 시트 (130a) 및 외장시트(140a)의 위에서 열 프레스 하고, 유연성 시트(130a), 엠보스 문자 형성용 두터운 부 (122) 및 외장시트(140a)를 열변형하여 형성한다. 그러므로, 소유자 정보는 전자카드 본체를 파괴함이 없이 변경할 수가 없다. 또 카드 본체(110)내의 배선기판 (150)은 상기 양면 접착시트 (139,145)에 의하여 상부 카버(130) 및 하부카버(140)에 접착 고정되어 있다. 액정 표시판넬(160)은 상부 카버 (130)의 유연성 시트(130a)와 하부카버 (140)의 지지판으로 형성한 요부(142)의 전면과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종이형상의 1차전지(170)는 상부카버 (130) 및 하부카버(140) 의 경질 지지판넬(130b,140b) 에 형성한 요부(138,144) 의 전면 사이에 끼워 고정되어 있다.
또 전자 카드를 조합하는 경우, 코아부재(120)에 엠보스의 돌출면측의 카버(이 실시예에서는 하부카버(140)를 접착해두고, 이 상태에서 엠보스 가공을 한 다음, 전자부품을 수납하고 상부 카버(130)를 접착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조립 방법의 경우에는 상부카버(130)의 경질 지지판넬(130b)에는 엠보스용 개구(136)를 형성할 필요는 없다.
이 실시예의 전자 카드에 있어서는, 경질 지지판넬(130b)에 형성한 키 조작용 개구(135)가 상기 피복반송 영역(d)과 중첩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카드 표면에 접하는 상측의 롤러(190)는 유연성 시트(130a) 의 키 조작편(132)을 요부상으로 변형시키고 키조작용 개구 (135)에 빠지는 일도 없게 된다. 위의 롤러 (190)가 표시부 (111)를 통과할때에도, 이 위의 롤러(190)는 그 일단이 유연성시트(130a)를 통하여 경질 지지판넬(130b)에 지지되므로, 위의 롤러(190)은 유연성 시트(130a)를 요부상으로 변형시키고 표시용 개구(134)에 빠지지도 않는다. 또 상부 카버(130) 및 하부카버(140) 및 코아부재(120) 또 는 배선기판(150)은 적층구조를 형상하고 있으므로 상하의 롤러(190,190)에 의해 가해진 압압력은 어느 시트상 부재도 변형시키는 일없이 확실하게 흡수된다. 따라서 이 전자 카드의 반송 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되어, 종래의 전자 카드에 있어서 발생한 반송 속도의 변동이 없고, 카드 판독 장치의 판독헤드(191)(제1도 참조) 는 자기 스트라이프(113)의 기록 정보를 바르게 판독할 수 있다. 또 카드 반송시에 위의 롤러(190)에 의하여 키 조작면(132)이 눌리워져 키가 온되거나, 위의 롤러(190)의압압력으로 액정 표시판넬(160)이 파괴될 걱정도 없다.
또 이 실시예의 전자 카드에서는, 종이형상의 1차전지 (170)의 수납부가 피복 반송영역(d)과 중첩되어 있으나, 카드 반송 롤러(190,190) 가 전지 수납위치를 통과할때도, 상부 카버(130) 및 하부카버(140)에 걸리는 압압력은 종이형상의 1차전지(170)에 흡수된다. 종이형상의 전지(170) 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고 있으므로, 롤러 (190,190)의 압압력에 의해 종이형상의 전지(170)는 과괴되지 않는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키 입력부(112)를 피복반송영역(d)에서 카드 하측에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 키 입력부(112)는 피복반송영역(d)을 걸쳐서 그 양단에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는 카드본체내의 키접점을 피복반송영역(d)을 피하여 그 양측에 배열하고, 상부 카버의 경질 지지판넬(130b)에, 제7도에서와 같이 키 조작용 개구(135)를 형성한다. 또 제8도에서와 같이, 상기 경질 지지판넬(130b)의 키 조작용 개구(135) 중, 피복반송영역(d)과 중첩된 키 조작용 기구(135)를 상기 피복반송영역(d)의 대체로 중앙부에 형성하고, 이 키 조작용 개구(135)의 폭을 상기 피복반송영역(d)폭 보다도 작게 해도 무방하다. 제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기 경질 지지판넬(130b)의 키 조작용 개구(135)중, 피복 반송 영역(d)과 중첩될 키 조작용 개구(135)를 그 일측을 상기 피복반송영역(d)과 중첩하여 형성하며, 또 이 키 조작용 개구(135)의 피복반송 영역(d)과 중첩되는 부분의 촉을 피복반송 영역(d) 의 폭보다 작게 할 수도 있다.
또, 제7도 내지 제9도에 있어서, (136)은 엠보스 문자 형성용 두터운 부(122)에 끼워 맞출 개구이다.
이 실시예의 전자 카드에 있어서는, 그 카드 본체(110) 의 양면이 상부 카버(130) 및 하부 카버(140)의 경질 지지판넬(130b,140b) 에 의하여 보강되고 있다. 따라서 코아부재(120)를 엠보스 문자(114)의 형성이 가능한 재료(경질 염화비닐등의 열가소성 수지나, 알루미늄등의 연질금속) 로 형성해도, 카드본체(110)의 절곡에 대한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전자 카드에 굽힘력을 가했을 때에 카드 본체 (110)가 휘어서 내부의 계산기 모듈(180)을 파손할 걱정은 없다. 이 전자 카드에서는 상기 코아부재(120) 의 엠보스 문자 형성용 두터운 부 (122) 를 상기 경질 지지판넬(130b,140b)의 두터운부 노출용 개구(136,141)에 삽입하고, 이 엠보스 문자형성용 두터운부(122) 에 소유자 정보를 표시하는 엠보스 문자를 형성한다. 따라서, 카드본체(110)를 파괴함이 없이는 소유자 정보를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크레딧트 카드로서의 완전한 기능을 갖는 것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카드본체(110)의 양면을 경질 지지판넬(130b,140b) 로 보강하고 있다. 상기 경질 지지판넬은 카드본체(110)의 일면에만 형성해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경질 지지판넬(130b,140b)에 형성할 두터운부 삽입용 요부를 창 형태의개구로 하고 있다. 이 요부는 경질 지지판넬(130b,140b) 의 일측 가장자리측을 절단하여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카드형 소형 전자식 계산기에 자기 스트라이프(113)와 엠보스 문자 (114)를 형성한 전자카드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상기 자기 스트라이프(113)는 없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카드형 소형 전자식 계산기에 한하지 않고, 예를들면 키 입력부를 구비한 IC 카드등, 일면에 키 입력부를 형성하며, 내부에 입출력 모듈을, 수납한 카드 본체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엠보스 문자를 형성한 전자 카드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제11도 내지 제13도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코아부재(120)의 주연부에 돌출형상의 연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카버(130)와 하부카버(140)의 주연부(상부카버(130)와 코아부재 (120)와의 접합부 및 하부카버(140)와 코아 부재(120)와의 접합부) 는 돌출형상의 연부(123)로 둘러싸여 있다. 즉 카드본체(110)의 가장자리가 코아부재(120)의 돌출형상의 연부(123)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전자카드의 가장자리에 충돌할 외부의 부재는 코아부재(120)의 돌출 형상의 연부(123)에 충돌하고, 코아부재(120)와 카버(130,140)와의 접합부에 직접 충돌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부카버(130) 와 하부카버(140) 가 외부의 부재의 충돌에 의하여 코아부재(1200에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항상 코아부재(120) 와 각 카버(130,140) 를 견고하게 접합된 상태로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코아부재(120) 돌출형상의 연부(123) 의 상하 외주능선부 및 각 부에는 경사부(12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부재가 돌출형상의 연부(123)의 각 각부에 닿았을 경우에, 타부재는 경사부(126)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진다. 그러므로 돌출형상의 연부(123)의 능부나 각부에 외부의 부재는 걸리고, 돌출형상의 연부(123) 는 변형, 파손되지 않는다. 이점에서 코아부재(120)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카드에서는, 카드본체(110)의 외면을 형성할 외장시트로서 열에 대한 크기 안정성이 좋은 수지(즉, 열팽창율이 작은 주기, 예를들면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외장시트(130a140a) 를 이용함이 가능케 된다. 외장시트(130a.140a)로서, 유리-에스폭시등으로된 배선기판(150) 이나 스텐레스강으로된 경질 지지판넬(130b,140b) 등의 외부 환경의 변화에 대한 크기 안정성이 좋은 재료와 근사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카드의 안정을 유지하는데 극히 중요하다. 카드를 고온다습이나, 열충격을 받는 환경에서 사용할 경우에도, 카드본체(110)에 열의 영향에 따라 이그러짐이 발생하지 않고, 평탄한 형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외관 품질상 및 자기 스트라이프(113)의 자기 정보의 판독을 하는 경우에 자기 헤드가 자기 스트라이프(113)에 정상으로 접촉하고 정확하게 자기정보를 판독하는데서도 필요하다. 유연성 시트(130a), 외장시트(140a)를 형성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는, 크기 안정성뿐 아니고, 내환경성등의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서 상기 조건에 적합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엠보스 문자(114)의 위에 장식층(1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외장시트 (140a)를 형성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는 열연화 온도가 높으므로 장식층(115)을 형성할 때의 장식용 재로의 열전사가 양호하지 못하고, 장식층 형성용 재료는 외장시트(140a)에 견고하게 접착되지 않는다는 난점이 있다. 이 대책으로서, 이 실시예는 외장시트(140a)의 외면의 엠보스 문자 형성 영역에 염화비닐등의 열연화 온도가 낮은 투명수지(장식용 재료가 용이하게 열전사되는 투명수지)층(147)을 피복한다. 그리고 투명수지(147)의 표면에 장식층(115)을 열전사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이어서, 장식용 재료를 수명수지층(147)의 표면에 확실하게 고정하여 엠보스문자(114)의 정상면에 견고한 장식층(115)을 형성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즉, 배경모양이 인쇄된 폴리에스테르로된 외장시트(140a)의 외면에 염화비닐등의 투명수지층(147)을 인쇄하고, 유연성 시트(130a), 코아부재(120) 및 상기 외장시트(140a)를 적층하고(즉, 전자 카드의 조립이 완료한 상태에서) 엠보스 문자를 형성하고, 이 엠보스 문자의 정면에 인쇄된 투명수지층(147)에 장식층(115)이 열전사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코아부재(120)의 돌출형상의 연부(123)가 공기 도피홈(140d)에 대향한 연통공(127,128) 을 구비하고 있다.
연통공(128)은 키 조작부의 누름 또는 복귀시에 양면 접착시트(139)에 형성된 공기 유통로(139a)를 통하여 키 조작용 개구(135)를 외부와 연통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타 부분은 제1실시예와 같으며, 대응한 참조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2실시예의 전자 카드에 있어서도, 그 카드 본체(110)의 양면을 상부카버(130) 및 하부카버(140)의 경질 지지판넬(130b,140b)에 의하여 보강하고 있으며, 코아부재(120)를 엠보스 문자(114)의 돌출 형성이 가능한 재료로 형성하여, 카드본체(110)의 절곡에 대한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고, 전자카드본체(110)가 휘어 재부의 계산기 모듈(180)을 파손할 걱정은 없다. 이 전자카드에서는, 상기 코아부재(120)의 엠보스 문자 형성용 두터운부(122)를 상기 경질 지지판넬(130b,140b)에 도려내어 형성한 두터운부 노출개구(136,141)에 삽입하여, 엠보스 문자 형성용 두터운부(122)에 소유정보를 표시하는 엠보스 문자를 형성한다. 따라서 전자 기기를 파괴하지 않고서는 소유자 정보를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크레딧트카드로서의 완전하 기능을 갖는다.

Claims (1)

  1. 입력정보에 의거하여 연산을 실행하는 집적회로 칩(152) 및 입력정보와 연산결과를 표시하는 액정표시 판넬(160)을 가진 계산기 모듈(180)을 코아부재(120)에 형성된 모듈수납부(121)에 수납하고, 키 조작면(132)을 구비한 유연성시트(130a)로 일면을 피복한 전자카드에 있어서, 상기 코아부재(120)에 엠보스 형성용 두터운부(122)를 일체화하여 형성하고, 이 두터운부(122)에 대향하는 개구(136)가 형성된 경질 지지판넬(130b)을 상기 유연성 시트(130a)와 상기 코아부재(120)의 사이에 개재시켜 일체적으로 접착하여 되며, 상기 코아부재(120) 의 상기 두터운부(122)에, 이 두터운부(122)의 일면에서 몰입되고 타면에서 돌출하는 엠보스 문자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드.
KR1019870010224A 1986-10-03 1987-09-15 전자카드 KR910007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35745A JPS6389394A (ja) 1986-10-03 1986-10-03 電子カ−ド
JP235745 1986-10-03
JP1986176633U JPH0628305Y2 (ja) 1986-11-19 1986-11-19 電子カ−ド
JP176633 1986-11-19
JP18108986U JPH0629775Y2 (ja) 1986-11-27 1986-11-27 磁気ストライプ付きカ−ド
JP181089 1986-11-27
JP1986182800U JPS6389153U (ko) 1986-11-29 1986-11-29
JP182800 1986-11-29
JP1986186130U JPS6391129U (ko) 1986-12-04 1986-12-04
JP186130 1986-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625A KR880006625A (ko) 1988-07-23
KR910007038B1 true KR910007038B1 (ko) 1991-09-16

Family

ID=2752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0224A KR910007038B1 (ko) 1986-10-03 1987-09-15 전자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0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625A (ko) 198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6441A (en) Card-like electronic apparatus
US6776347B2 (en) Sheet-framed IC carrier,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IC carrier case
EP0317201B1 (en) Portable storage medium
US4754418A (en) Combined electronic calculator and credit card
GB2166589A (en) Ic card
JP2002123805A (ja) 非接触icタグ付きラベル
JP2002236901A (ja) 電子情報記録媒体、および、電子情報読み取り・書込み装置
KR910007038B1 (ko) 전자카드
JPH07276870A (ja) 板状枠体付きicキャリア、その製造方法およびicキャリアケース
JPH0516694Y2 (ko)
JPH0628306Y2 (ja) 電子カ−ド
JP4028223B2 (ja) カードケース
JP4826040B2 (ja) 非接触icカード、非接触icカード送付媒体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4882187B2 (ja) 非接触icカード及び非接触icカード送付媒体
JPH0628305Y2 (ja) 電子カ−ド
US20080117059A1 (en)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RFID Tag
JPH0629775Y2 (ja) 磁気ストライプ付きカ−ド
CN214027861U (zh) 便携型标签打印机
JP2642458B2 (ja) 携帯可能媒体
JP3686358B2 (ja) 板状枠体付きicキャリ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31657B2 (ja) カード型電子機器
JPH0731658B2 (ja) カード型電子機器
JPS6389394A (ja) 電子カ−ド
JPS62275792A (ja) 多用途電子カ−ド
JPS62271165A (ja) 小型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