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933B1 - 굴조개즙(汁)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굴조개즙(汁)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933B1
KR910006933B1 KR1019890000170A KR890000170A KR910006933B1 KR 910006933 B1 KR910006933 B1 KR 910006933B1 KR 1019890000170 A KR1019890000170 A KR 1019890000170A KR 890000170 A KR890000170 A KR 890000170A KR 910006933 B1 KR910006933 B1 KR 910006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d
kiln
oyster
water
ju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0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904A (ko
Inventor
에이쬬 야마사끼
Original Assignee
야마에이 스이산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사끼 에이죠
아남수산 주식회사
이남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에이 스이산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사끼 에이죠, 아남수산 주식회사, 이남섭 filed Critical 야마에이 스이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5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20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40Shell-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굴조개즙(汁)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 굴조개즙의 제조장치 중 원료공급에서 1차 가열까지의 예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2차 가열에서 수세공정까지의 예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농축 마감 공정장치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생굴조개 1a : 1차 삶은 굴조개
1b : 2차 삶은 굴조개 3 : 탈수 콘베이어
11 : 나선식 가열가마 12 : 회전반송체
13 : 회전축 14 : 회전날개
15 : 다공통체 16 : 다공 바스켓트
17 : 가마통 18 : 삶은 굴조개받이부재
25 : 평가마 26 : 평가마통
27 : 순환 콘베이어 41, 42 : 농축가마
43 : 마감조정가마 44, 45, 46 : 스팀코일
본 발명은 굴조개즙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중국요리에 "하오"유(油)라고 하는 조미료가 사용되었다. 이 "하오"유는 "샤아"유와 함께 중국요리의 독특한 조미에 손꼽히고 있다. 이들의 조미료는 고온가열에 강하여 100℃이상의 가열에도 그 맛을 잃지 않는다. 상기한 "하오"유는 생굴조개에서 얻어진다. 굴조개의 즙을 농축하여 중국에 수출하고 있으나 이 즙은 중국의 비방(비전)에 의하여 "하오"유로 제조되었다.
또한 굴조개즙은 비타민 B1다우링 및 글리코겐이나 혈량을 하강하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또한 간장에 좋다고 하여 골조개의 즙을 농축한 굴 엑기스가 건강식품으로서 시판되고 있다. 종래 일반적으로 농축방법으로는 진공농축이나 한계격막등의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진공농축은 저온 비등(끓음)이 일어나 가열정도가 적게 되어 생냄새와 향미가 좋지 않는 동시 굴조개즙의 고유색상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계격막법에서는 굴조개즙의 특유한 향미, 색상, 광택등이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어느 경우던간에 굴조개즙의 제조에 바람직스럽지 않다.
본 발명은 누른냄새 없이 향미와 광택이 우수한 극히 고농축의 굴조개즙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히 개발한 바 있다(일본특허 공보 공고번호 62-1706호 참조).
상기 공보에서 굴조개 농축 엑기스의 제조하는 전단계의 굴조개즙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이에 따르면 굴조개의 삶는 장치로서 평가마통과 평가마통내를 이송하는 순환 콘베이어로 된 평가마로 되어 있다. 그러나 평가마만으로 생굴조개를 삶는 경우 생굴조개는 순환 콘베이어에 올려진 상태에서 평가마통내를 이송하기 때문에 균일한 가열이 어렵고 굴조개 엑기스의 충분한 추출이 어려운 난점이 있어 다시금 개량할 여지가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기본적인 목적은 껍질을 깐 생굴조개를 사용하여 다른 일체의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고 즙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굴조개즙 엑기스를 충분히 추출하여 굴조개즙의 특유의 색상, 광택, 향미를 가진즙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껍질이 벗겨진 생굴조개가 탈수 콘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되는 중에 자연탈수되어 자연탈수액이 펌프에 의하여 라인을 거쳐 회수탱크로 보내지고, 가마통의 내부 탕수에 일부가 잠기도록 설치된 회전반송체에 의하여 상기 생굴조개가 교반하면서 이동되는 동안 70-85℃의 온도로 균일하게 삶아지면서 원료조개즙이 추출되고 가마통내의 삶은 물은 증가하여 오버 후로워를 통해 회수탱크에 회수되며, 공급통에 공급된 1차 삶은 굴조개가 회수탱크로부터 공급된 열액의 흐름에 의해 평가마에 공급되어 평가마통내의 탕수중에 순환 콘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면서 85-98℃의 온도로 가열하여 삶아지며 이로부터 얻어지는 굴조개의 엑기스를 포함하는 삶은 열액이 라인을 통해 회수되고, 그리고 평가마에서 삶아진 2차 삶은 굴조개가 순환 콘베이어의 이송 종점에서 공급닥터로 낙하하며 콘베이어위에 공급되어 수세 순환수에 의해 세척되고 이 세척수가 점차 진하게 되어 라인을 통해 농축가마로 보내지며, 이상에서 얻어진 자연탈수액, 굴조개 추출물 포함의 1,2차 회수액 및 세척액이 스팀 파이프가 들어 있는 다수개의 농축탱크에서 단계적으로 모아진 용액을 농축시키어 굴조개즙을 얻어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굴조개즙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방법에 있어서, 굴즙 엑기스를 충분히 추출할 수 있도록 생굴조개를 삶기 위하여 회전축 주위에 나선상의 회전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 이 회전 날개의 선단부 주위에 다공통체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회전 날개에 의한 송출구측의 다공동체 내면에 회전방향쪽으로 개구부를 가진 복수의 다공 바스켓트가 형성된 회전반송체를 회전날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마통의 탕수에 잠길 수 있게 가마통상부에 설치하며 또한 상기 가마통 상부에서 상부의 다공성 바스켓트의 하방위치에 삶은 굴조개의 받이부재를 배치하여서 된 굴조개를 삶는 이선식 가열가마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구동되는 다공밸트를 가진 탈수 콘베이어와 회전축 주위에 나선상으로 회전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 이 회전날개의 선단부 주위에 다공통체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한 회전날개에 의한 송출쪽의 다공통체 내면에 회전방향쪽으로 개구부를 가진 복수의 바스켓트가 형성된 회전반송체를 가마통내에 상기 회전날개의 일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잠길 수 있게 가마통 상부에 설치하며 또한 가마통 상부에 상부 다공 바스켓트의 하방위치에 삶은 굴조개 받이의 부재를 배치하여서 된 굴조개를 삶는 나선식 가열가마와, 평가마통 및 평가마통의 내부를 이송하게 배치된 순환 콘베이어로 된 평가마, 그리고 상기 나선식 가열가마 및 평가마의 삶은 열액을 받아 들이는 회수탱크 및 내부에 스팀코일이 배설된 바의 농축가마로 구성되는 굴조개즙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굴조개를 물에서 건져내어 껍질을 까고 18ι의 통조림으로 집하(集荷)하여 원료운반차(냉동차)에 의하여 공장에 운반된다. 이동안 껍질이 벗겨진 굴조개 알몸은 그 형태상 맑은 바다물에 움추리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으며 굴조개의 세포는 아직 살아 있다. 그러기 위하여는 체내에 축적된 글리코겐등의 양분을 소비하면서 선도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때문에 여하히 굴조개 자신의 영양분 소비를 적게 하느냐가 선도유지와 가공에 대한 영양가의 높은 즙의 제조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은 원료운반 및 보관, 가공 이 일관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원료 입하의 단계부터 설명한다.
원료 입하 : 원료운반에는 냉장차를 사용하고 원료의 품질온도는 10℃이하로 하기 위하여 공장에서 받아들일 때에도 잘게 부순 얼음을 사용하며 원료의 선도유지에 노력한다.
품질 검사 : 1말들이 통조림으로 된 원료는 산지별 생산자별로 저울로 내용물의 검량을 하고 오감각의 판정으로 색상과 광택, 냄새등을 보아 선도를 판정하며 제1도에 표현한 원료공급 홉퍼(2)에 옮겨 넣는다.
탈수 : 홉퍼(2)에 옮겨 넣은 생굴조개(1)는 홉퍼의 하부개구에서 그 아래에 배치된 탈수 콘베이어(3)위에 낙하되어 이 탈수 콘베이어(3)에 의하여 이송되는 중에 자연 탈수되어(이 탈수된 액을 즙 A라 한다) 1차 가열기에 이송된다. 탈스 콘베이어(3)는 구동로울러(5)와 종동 로울러(6)사이에 그물 벨트등의 다공벨트(4)가 인장되어 있고 그 하부에 회수조(7)가 배치되어 있다. 즙 A는 회수조(7)를 통하여 탱크(8)에 수집된다. 펌프(9)에 의하여 라인(ι1)을 거쳐 농축 가마(제3도 참조)로 이송된다(원료의 이송방향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한 탈수 콘베이어(3)에 의하여 자연탈수되면서 이송된 생굴조개(1)는 다음의 이송종점에서 1차 가열가마 공급통(10)을 통하여 1차 가열기인 나선식 가열가마(11)중에 낙하된다.
1차 가열 : 1차 가열기로서 나선식 가열가마(11)를 사용하며 탄의 온도 70-85℃로 저으면서 이송하여 통상 3-10분간 삶는다.
나선식 가열가마(11)는 회전축(13) 주위에 나선상의 날개(14)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 회전날개(14)의 선단주위에 금망등으로 구성된 다공통체(15)가 형성되어있었고 또한 상기 회전날개(14)에 의한 송출측(도면의 상좌측)의 다공통체(15)내면에 회전방향쪽에 개구부를 가진 복수의 다공 바스켓트(16)가 형성된 회전반송체(12)를 가진다. 이 회전반송체(12)는 상기 회전날개(4)의 하부가 가마통(17)의 내부 탕수에 잠길 수 있도록 그 회전축(13)이 가마통(17)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다공통체(15)의 송출쪽 단부에는 회전날개 주위부보다 직경길이가 크며 그 내면에는 일정한 원주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다공 바스켓트(16)중 상부 다공 바스켓트의 하방위치에는 다공 바스켓트의 개구부에서 낙하되는 1차 삶은 굴조개(1a)를 받는 부재(18)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19 및 20은 상기 다공통체(15)의 양단부에 고정된 중앙개구를 가진 측판겸 지지판이다.
또한 도면부호 50은 회전축(13)에 부착된 확대부이며 다공통체(15)의 대경(大經) 송출측단부에 있어 1차 삶은 굴조개(1a)가 용이하게 가공 바스켓트(16)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전축(13)을 구동장치(도면에 표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회전시키면 회전날개(14), 다공통체(15) 및 다공 바스켓트(16)도 함께 회전하여 가마통(17)내에 이송된 생굴조개(1)는 다공통체(15)내를 회전날개(14)에 의하여 이송되어 송출측에 있어 하방으로 회전하여 온 다공 비스켓트(16)에 의하여 수집되어서 상방으로 옮겨지며 그 개구부가 약간 하방을 향하여 기울 때에 그중의 1차 삶은 굴조개(1a)가 굴조개 받이부재(18)위에 낙하하여 삶은 굴조개 공급통(21)에 보내진다.
이와 같이 생굴조개(1)가 회전반송체(12)에 의하여 교반하면서 이동되는 동안 생굴조개(1)는 균일하게 삶아지면서 물기가 추출되어 그로 인하여 가마통(17)내의 삶은 물은 증가하며 가마통 상부의 오버 후로워(22)로 넘쳐 흐르고(이 삶은 액을 즙 B라 한다) 라인(ι2)을 거쳐 회수탱크(23)(제2도 참조)에 회수된다.
2차 가열 : 상기한 삶은 굴조개 공급통(21)에 공급된 1차 삶은 굴조개(1a)는 회수탱크(23)에서 펌프(24)에 의하여 라인(ι3)을 통하여 삶은 굴조개 공급통(21)에 흐르는 삶은 열액의 흐름에 의하여 평가마(25)에 공급되어 평가마통(26)내의 탕수중에 순환 콘베이어(27)에 의하여 이송되면서 85-98℃, 바람직하게는 93-98℃로 보통 7-10분간 가열하여 삶는다.
순환 콘베이어(27)는 막대가 붙은 그물벨트(28)가 구동 로울러(29)와 종동 로울러(30)간에 걸어 설치되어 있고 인장 로울러(31)(32)(33)(34)에 의하여 인장되며 막대가 붙은 그물벨트(28)의 위쪽에는 인장로울러(31)(32)에 의하여 평가마통(26)내에 담긴 열량수중으로 통과할 수 있게 하고 그 아래쪽에는 인장로울러(33)(34)에 의하여 평가마통(26)의 아래쪽을 통과할 수 있도록 인장되어 있다. 그물벨트(28)의 표면에는 일정한 폭과 높이의 막대부재(35)가 고정되어 있고 순환콘베이어(27)위의 1차 삶은 굴조개(1a)는 막대부재(35)에 의하여 열쪽으로 이탈됨을 방지하면서 일정한 속도로 평가마통(26)속을 이송하며 이때의 이송속도에 따라 일정시간 삶아진다.
이와 같이 평가마(25)에서 삶아지고 탈수된 굴조개의 엑기스를 포함한 삶은 열액으로 오버 후로워에서 넘쳐 흘러 회수탱크(23)에 수집되며(넘쳐 흐르는 라인은 도면에 표시되지 않음), 회수탱크(23)에서 펌프(40)에 의하여 라인(ι5)을 거쳐 점차 농축가마(41)(42)에 보내진다(제3도 참조).
또한 가열종료후에는 평가마통(26)내의 삶은 열액 모두를 라인(ι4)을 통하여 회수탱크(23)로 회수하여(이를 즙 C라 한다) 농축가마에 보내진다.
수세 : 평가마(25)에서 삶아진 2차 삶은 굴조개(1b)는 순환 콘베이어(27)의 이송종점에 있어 공급닥터(36)로 낙하하여 공급닥터(36)에 의하여 그물 콘베이어(37)위에 공급되며 다음 공정의 선별전에 굴조개의 표면에 부착된 엑기스분을 물탱크(38)내의 수세순환수를 펌프(39)에 의하여 라인(ι7)을 거쳐 순환되는 순환식 "샤워"물로 세척하고 그물 콘베이어(37)에 의하여 반송되어 로울러 선별기(도면에 표시되지 않음)에 걸러져서 그후 가공되어 통조림으로 된다. 수세탱크(38)내의 수세수는 진하게 되어 점차 라인(ι6)을 통하여 농축가마에 보내진다.
회수액의 브릭스(Brix) 농도조정 : 탈수공정에서 회수된 즙 A는 브릭스농도 2°전후이며 라인(ι1)을 통하여 농축가마(41)(42)에 보내진다. 한편 나선식 가열가마(11)에서 즙 B, 평가마(25)에서 즙 C, 수세 물탱크(38)에서의 즙 D는 어느 것이나 브릭스농도 약 3°-5°의 범위이며 각 통의 삶은 열액 및 수세순환수의 농도는 브릭스 3.5°를 넘으면 점차 맑은 물을 공급하여 삶은 액은 3.5°-4.0°으로 순환하여 오버 후로워 액은 회수된다.
농축 : 즙 A,B,C,D는 우선 라인(ι8)을 통하여 농축가마(41)에 공급되어 가열가능한 액량에 이르면 증기라인(ι9)을 통하여 스팀코일(44)에 증기를 통과시키어 가열하여 농축을 개시한다.
가열종료후에 전량을 회수하여 농축가마(41)(42)에 분배하여 넣고 다시 라인(ι9)(ι10)을 통하여 스팀코일(44)(45)에 가열증기를 통과시키어 가열농축하면 4-5시간후 브릭스농도17-20°에 달한다. 이 단계에서 농축가마(42)내의 즙은 펌프(47)에 의하여 농축가마(41)에 옮겨 넣고 다시 브릭스농도 37°까지 농축하며 마감액의 농도 및 수위(용량)을 특정하여 기록한다. 이대로 하룻밤 방치하면 너머지 열에 의하여 탈수도어 다시 농도가 약간 상승한다.
마감조정 : 다음 아침 작업개시할 때 마감액의 농도수위(용량)을 측정하여 기록하고 37-39°정도의 농도에서 마감조정가마(43)에 옮겨 라인(ι11)을 통하여 스팀코일(46)에 가열증기를 통과시키며 또한 라인(ι12)을 통하여 일부 증기를 마감 조정 가마(43)에 도입하여 80-90℃의 온도로 37-38°정도의 브릭스농도로 조정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굴조개즙은 눌치 않고 비교적 단시간에 굴조개즙의 농축, 마감조정을 도모할 수 있으나 농축가마와 마감조정가마의 용량, 기수 및 농축, 마감 수순등은 처리량의 대소에 응하여 적절히 변경 및 수정할 수 있다. 그러나 그의 기본적 양태는 내부에 스팀코일이 배치된 농축, 마감조정가마를 사용하여 굴조개즙은 눌지 않고 농축 및 마감조정을 할 수 있다.
충전검사 : 소정의 농도와 온도로 조정한 굴조개즙(굴엑기스)는 예컨대 18ι에 1통씩 소정의 중량으로 충전한다.
이와 같이 얻어진 굴조개즙은 그대로 출하할 수 있고 또한 일본특허 공보 공고번호 제62-170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기류건조법에 의하여 브릭스농도 75°정도로 농축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양태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각종의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원료공급 홉퍼(2)로서 외벽 통체에 유공판 또는 금망등으로 내벽통체로 된 이중구조를 쓸 수도 있고 또는 다시 진동을 가하여 여기를 통과하는 단계에서도 굴조개즙의 회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특허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탈수 콘베이어(3)를 2기 설치하고 그 사이에 복수의 격판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껍질제거 통을 경사지게 배치하여 굴조개몸에 약간씩 붙은 조개껍질 조각등을 제거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생굴조개의 가열이 교반이송간에 삶아질 수 있는 나선식 가열가마 및 이송하면서 삶아지는 평가마에 의하여 2단계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생굴조개의 균일한 가열이 이루어지는 동시 엑기스가 충분하게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삶은 열액 이외에 다른 수세공정에 사용한 순환수세물과 탈수공정에서 얻어진 탈수액등을 이용함에 따라 굴조개의 삶는 공정 및 통조림 제조와 병행하여 보다 유효하게 굴조개즙을 회수 및 농축할 수 있고 동시에 나선식 가열가마 및 평가마를 사용하여 굴조개를 2단계로 삶으며 또한 굴조개즙의 농축마감 조정에 스팀코일이 배치된 농축가마 및 마감조정가마로 단계적으로 하기 때문에 종래의 진공농축이나 한계격막법에서 할 수 없는 살균공정을 겸하는 농축방법이며 굴조개즙은 누른내가 없이 굴조개즙의 독특한 색상, 광택과 고유의 향미를 가진 우수한 품질의 굴조개즙을 얻게 된다.

Claims (3)

  1. 껍질이 벗겨진 생굴조개(1)가 탈수 콘베이어(3)에 의하여 이송되는 중에 자연탈수되어 자연탈수액이 펌프(9)에 의하여 라인(ι1)을 거쳐 회수탱크(23)(제3도)로 보내지고, 가마통(17)의 내부 탕수에 일부가 잠기도록 설치된 회전반송체(12)에 의하여 상기 생굴조개(1)가 교반하면서 이동되는 동안 70-85℃의 온도로 균일하게 삶아지면서 원료조개즙이 추출되고 가마통(17)내의 삶은 물은 증가하여 오버 후로워(22)를 통해 회수탱크(23)에 회수되며(1차 용액), 공급통(21)(제2도)에 공급된 1차 삶은 굴조개(1a)가 회수탱크(23)로부터 공급된 열액의 흐름에 의해 평가마(25)에 공급되어 평가마통(26)내의 탕수중에 순환 콘베이어(27)에 의해 이송되면서 85-89℃의 온도로 가열하여 삶아지며 이로부터 얻어지는 굴조개의 엑기스를 포함하는 삶은 열액이 라인(ι4)을 통해 회수되고 (2차 용액), 그리고 평가마(25)에서 삶아진 2차 삶은 굴조개(1b)가 순환 콘베이어(27)의 이송종점에서 공급닥터(36)로 낙하하며 콘베이어(37)위에 공급되어 수세(세척) 순환수에 의해 세척되고 이 세척수가 점차 전하게 되어 라인(ι6)을 통해 농축가마(41)(42)로 보내지며, 이상에서 얻어진 자연탈수액, 굴조개 추출물 포함의 1,2차 회수액 및 세척액이 스팀 파이프가 들어 있는 다수계의 농축탱크(41)(42)에서 단계적으로 모아진 용액을 농축시키어 굴조개즙을 얻어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굴조개즙 제조방법.
  2. 회전축(13) 주위에 나선식 회전날개(14)가 형성되고 회전날개(14)의 선단부 주위에 다공통체(15)가 형성되어 회전날개(14)에 의한 송출구측의 다공통체(15) 내면에 회전방향쪽으로 개구부를 가진 복수의 다공 바스켓트(16)가 형성된 회전반송체(12)를 회전날개(14)의 일부가 가마통(17)의 탕수에 일부 잠길 수 있게 상부에 설치하고 가마통(17) 상부측에서 다공 바스켓트(16)의 하방위치에 삶은 굴조개받이의 부재(18)를 배치하여서 된 굴을 섦는 나선식 가마(11).
  3. 회전되는 그물 다공벨트(4)를 가진 탈수 콘베이어(3)와, 회전체에 나선상의 회전날개(14)와 회전날개의 다공통체(15)가 형성되고 회전날개(14)에 의한 송출구측(제1도 좌상측)의 다공통체 내면에 회전방향으로 개구부를 가진 복수의 다공 바스켓트(16)가 형성된 회전반송체(12)를 회전날개의 일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마통(17)내의 탕수에 잠길 수 있게 가마통의 상부에 배치하고 가마통(17)상부에서 다공 바스켓트(16)의 하방위치까지 삶은 굴조개 받이의 부재(18)를 배치하여서 된 나선식 가마(11)와, 평가마통(26)과 평가마통내의 탕수중에 이송하도록 배치한 순환 콘베이어(27)로 구성되는 평가마(25)와, 상기 나선식 가마(11) 및 평가마통(26)의 삶은 열액을 받아들이는 회수탱크(23) 및 내부에 스팀코일이 설치된 복수개의 농축가마(41)(4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조개즙의 제조장치.
KR1019890000170A 1988-10-06 1989-01-09 굴조개즙(汁)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910006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50781A JPH02100656A (ja) 1988-10-06 1988-10-06 かきジュース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63-250781 1988-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904A KR900005904A (ko) 1990-05-07
KR910006933B1 true KR910006933B1 (ko) 1991-09-14

Family

ID=17212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0170A KR910006933B1 (ko) 1988-10-06 1989-01-09 굴조개즙(汁)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2100656A (ko)
KR (1) KR9100069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4293A (zh) * 2013-09-24 2014-01-08 兰欣 一种海产贝类饮料的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051C (zh) * 1992-07-01 1997-02-19 天津医科大学 牡蛎口服液制备方法
KR100426446B1 (ko) * 2001-07-28 2004-04-13 홍국선 직선형 다공성 골 충진재 및 그 제조 방법
CN111264799A (zh) * 2020-03-04 2020-06-12 姚后聚 一种牡蛎料理的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602B2 (ja) * 1985-06-27 1990-06-25 Seisan Kaihatsu Kagaku Kenkyusho Horiasechirennoseizoh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4293A (zh) * 2013-09-24 2014-01-08 兰欣 一种海产贝类饮料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904A (ko) 1990-05-07
JPH02100656A (ja) 1990-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11081B2 (en) Cooking apparatus
US3194664A (en) Method for continuously producing nixtamal
US3722401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edible foodstuffs
KR910006933B1 (ko) 굴조개즙(汁)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H10511555A (ja) 脱水エンドウ豆スープを調製する方法及び装置
CA1134197A (en) Cheese manufacture
RU257375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усирования сушеных орехов посредством диффузии посредством соления, сахаризации или ароматизации
FI57981B (fi) Saett och anordning foer impregnering av fibermaterial foere kokning medelst pulsering av tryck mellan kokartryck och ett laegre tryck
US4566376A (en) System for producing crisp fruit chips
US263989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ixing food products
JP2004195048A (ja) ボトル詰茶飲料の製造機
KR101164314B1 (ko) 기능성 김 제조장치
CN108477484A (zh) 用于加工炒米的连续自动化生产线
US3760716A (en) Rehydration apparatus
FI74623C (fi) Motstroemsextraktionsanordning.
CN109846352A (zh) 一种炒饭装置
US2169362A (en) Means for the preparation of glace fruit
CN220607188U (zh) 一种鲍鱼清洗蒸煮一体化设备
KR101790099B1 (ko) 김치양념 조성물로 이용하기 위한 굴액기스 생산시스템
US4801467A (en) Method for preparing potato chips
SU130336A1 (ru) Вакуум-аппарат дл тепловой обработки м са, рыбы, овощей и т.п. продуктов
CN219762432U (zh) 一种即食海蛏加工用高温蒸煮设备
US2181514A (en) Means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glace fruit
CN219939656U (zh) 一种用于带汁卤蛋加工的调味装置
CN209807082U (zh) 一种带皮花生清洗腌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