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870B1 - 적외선 방사 연소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적외선 방사 연소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870B1
KR910006870B1 KR1019890002921A KR890002921A KR910006870B1 KR 910006870 B1 KR910006870 B1 KR 910006870B1 KR 1019890002921 A KR1019890002921 A KR 1019890002921A KR 890002921 A KR890002921 A KR 890002921A KR 910006870 B1 KR910006870 B1 KR 910006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mbustion
flame
holes
flam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2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962A (ko
Inventor
데쓰오 다테마쓰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90014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12Radiant burners
    • F23D14/14Radiant burners using screens or perforated plates
    • F23D14/145Radiant burners using screens or perforated plates combustion being stabilised at a screen or a perforated pl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34Generating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29/341Generating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time characteristics
    • G01N29/343Generating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time characteristics pulse waves, e.g. particular sequence of pulses, bur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10Flame diffusing means
    • F23D2203/102Flame diffusing means using perforated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적외선 방사 연소플레이트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연소 플레이트의 정면도.
제2도는 그 일부 확대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 단면도.
제4도는 연소플레이트를 구비한 버너의 사시도.
제5도는 연소플레이트의 변형예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
제6도는 제5도의 Ⅵ-Ⅵ선 단면도.
제7도는 다른 연소플레이트의 정면도.
제8도는 구이기에 적용한 경우의 절단정면도.
제9도는 난방기에 적용한 경우의 졀단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적외선방사 연소플레이트 2 : 판체
3 : 불꽃구멍 4 : 볼록부
5 : 오복부 6 : 가스버너본체
8 : 불꽃구멍이 없는 영역
본 발명은 구이기용 버너 또는 난방용 버너에 사용되는 적외선 방사 연소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세라믹을 주재료로 한 판재에, 이 판재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불꽃구멍을 배설한 적외선 방사 연소플레이트는 그 전면(全面)에 불꽃구멍을 설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것은 예를들면 비교적 적은 열량밖에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연소면의 넓이가 넓은 것이 요구되는 후방배기형 구이기의 윗볼용 버너에 설치하는 연소플레이트에 불꽃구멍을 통상의 갯수와 피치간격으로 설치하면 열량이 과다하게 되어 양호한 구이조리를 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공급가스량을 조절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이는 각 불꽃구멍의 불꽃구멍부하가 감소되어 연소플레이트의 온도가 충분하게 상승되지 않고 이에 따라 연소가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적외선 방사열 방출용 구멍을 구비한 대형의 난방기 본체내에 이 구멍에 연소면을 대향시켜 적외선 버너를 설치한 난방기에 있어서는 구멍을 크게 하고 구멍 전체면에서 동일한 적외선을 방사시켜 아늑한 난방감을 얻도록 하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불꽃구멍을 통상의 갯수와 통상의 피치간격으로 설치하면 열량이 너무 크게 되어 부드러운 난방을 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이 없는 적외선 방사 연소플레이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적외선 방사 연소플레이트는, 세라믹을 주재료로 하는 판재에, 이것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불꽃구멍을 배설한 것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표면에 불꽃구멍을 구비한 볼록부와 불꽃구멍이 없는 오목부를 교호로 설치하여서 된다.
상기 연소플레이트에서는 불꽃구멍이 볼록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이 불꽃구멍의 주위 연소용 프레이트의 열용량이 적어서 이 불꽃구멍을 설치한 볼록부에 인접하여 불꽃구멍이 없는 무염구영역이 존재하여도 영향을 받는일이 없고, 불꽃구멍 근방이 빨갛게 달궈진 열로 되어 안정된 불꽃을 유지하며 이 연소면의 단위면적당 연소가스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넓은 연소면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재에 무염구(無炎口 : 불꽃구멍이 없는)영역을 설치하여서 된다.
이러한 적외선 연소플레이트에 의하면 무염구영역의 존재에 의하여 상술한 연소플레이트에 비하여 또 연소면의 단위면적당 연소가스량에 비하여 그 연소가스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보다 넓은 연소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외선 연소플레이트는 구이기본체의 구이실 천정면에서 대략 전체면에 걸치는 연소면으로서 사용한다.
이러한 구이기용 버너에 있어서는 단위면적당 연소가스량이 적고 넓은 연소면을 갖추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피조리물을 가급적 구이조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소플레이트는 난방기용 버너의 연소면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단위면적당 연소가스량이 적고 넓은 연소면을 구비하기 때문에 이것에 대향하는 난방기 본체의 넓은 적외선 방사공으로부터 부드러운 적외선을 방사하면서 난방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연소플레이트(1)는 세라믹을 주재료로 하는 판재(2)에 이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불꽃구멍(3)을 갖추어서 되는 것이다.
상기 판재(2)의 연소면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불꽃구멍(3)이 없는 오목부(5)와, 불꽃구멍(3)이 구비된 볼록부(4)를 교호로 설치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에서는, 사각형 판재(2)의 표면에 오목부(5)로서의 단면이 "U"자형인 오목홈과 볼록부(4)로서의 단면이 "산"형인 돌조를 교호로 설치하고, 이 돌조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2열로 불꽃구멍(3)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적외선 방사 연소플레이트(1)를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버너본체(6)내에 부착하여 연소시킬 때 상기 불꽃구멍(3)을 설치한 부분근방의 판재(2)의 열용량은 비교적 작고 이것에 의하여 불꽃구멍(3) 근방에 불꽃구멍이 없는 부분이 존재하여도 불꽃구멍(3)을 설치한 부분은 이것을 연소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온도로 가열시켜 안정된 연소를 유지한다.
또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제2실시예에서는 사각형 판재(2)의 연소면에, 변에 대하여 약 30도와 210도인 단면이 "U"자형인 오목홈(5a) (5b)을 다수개 설치하여 이들 사이에 마름모형이 볼록부(4)를 다수개 형성하고, 볼록부(4)의 각각에 4개씩의 불꽃구멍(3)을 설치함과 아울러 한쪽의 오목홈(5b)에도 불꽃구멍(3)을 설치하여 오목홈(5a)에만 불꽃구멍(3)이 없는 부분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적외선 연소플레이트를 가스버너본체(6)에 부착하여 연소시킬 때 불꽃구멍(3)을 설치한 각 볼록부(4)는 각각 독립하여 그 열용량을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한쪽의 오목홈(5b)이 불꽃구멍(3)에서의 불꽃에 의하여 상기 볼록부(4)를 가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볼록부(4)의 온도를 안정되게 유지하기에 충분한 온도까지 높힐 수 있다.
제7도에 도시하는 제3실시예에서는 제2실시예의 것에 있어서, 공급가스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연소면의 일부에 전혀 불꽃구멍이 없는 영역(8)을 형성하였다.
이 경우 영역(8)은 연소플레이트(1)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이 대략 균일하게 방사되는 점 및 불꽃구멍(3)을 설치하여 취약부분이 열에 의한 응력의 집중이 생기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 요청된다.
이것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판재(2)에 3개소로 나누어 사각형 불꽃구멍이 없는 영역(8)을 설치하였다.
또 이 영역(8)에도 상기 오목홈(5a) (5b)를 설치하고 불꽃구멍(3)과 대략 같은 직경의 미관통구멍(7)을 설치하면 이 영역(8)을 불꽃구멍(3)을 설치한 부분의 조건에 가깝게 할 수 있어 판재(2)가 왜곡된 열에 의하여 분할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8도는 상기 적외선 방사 연소플레이트(1)를 구비한 가스버너본체(6)에 부착한 것을 후방배기형 연소기(9)의 천장면에 부착하여 윗불버너로서 이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이렇게 할 때는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가지는 연소면에서 비교적 적은 열량으로 피조리물을 그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는 연소기를 얻을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0은 배기구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이기(9)에 제3실시예에 나타낸 연소플레이트(1)를 구비한 가스버너로 연소실험을 행한 결과 Co/Co2의 수치는 다음과 같았다.
Figure kpo00001
이 결과에서도 명확한 바와 같이 JIS규격에 정해진 Co/Co2의 수치 0.01을 충분히 만족하고 양호한 연소를 행하여 얻을 수 있음을 알았다.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도시한 연소플레이트(1)에 대하여는 연소실험을 행하지는 않았으나 이들은 온도가 높게 되기 어려운 불꽃구멍이 없는 영역(8)이 있기 때문에 단위시간당 연소량이 증가하나 제3실시예보다 Co/CO2이 수치가 좋게 되는 것은 당연히 예측할 수 있다.
제9도는 상기 연소플레이트(1)을 구비한 버너본체(6)를 방사열 방출공(11)을 구비한 난방기 본체(12)에 이 방출공(11)에 연소면을 대향시켜 부착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이렇게 할 경우 연소량에 비하여 연소플레이트(1)의 방사면이 넓기 때문에 안락하고 부드러운 난방효과가 있는 난방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청구의 범위 제1항의 적외선 방사 연소플레이트는 세라믹을 주재료로 하는 판재표면에 불꽃구멍이 없는 오목부와, 불꽃구멍을 구비한 볼록부를 교호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불꽃구멍 근방에 불꽃구멍이 없는 부분이 있어도 불꽃구멍 근방은 안정된 연소를 하기에 필요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고, 이 때문에 비교적 넓은 연소면을 유지하고 단위시간당 연소량은 적은 버너를 얻을 수 있으며, 청구의 범위 제2항의 적외선 방사 연소플레이트는, 불꽃구멍이 없는 영역의 존재에 의하여 단위시간당 연소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의 적외선 방사 연소플레이트를 구이기용 버너에 적용한 경우에는 피조리물을 넓고 비교적 적은 열량으로 가열조리할 수 있으며, 피조리물은 가급적 균일하게 가열조리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적외선 방사 연소플레이트를 난방용 버너에 작용하였을 경우에는 넓은 면적을 가지고 유연한 난방을 행할 수 있는 난방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세라믹을 주재료로 하는 판재(2)에, 이것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불꽃구멍(3)을 배설한 것에 있어서, 상기 판재(2)의 표면에 불꽃구멍(3)을 구비한 볼록부(4)와, 불꽃구멍이 없는 오목부(5)를 교호로 설치하여서 되는 적외선 방사 연소플레이트.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2)에 불꽃구멍이 없는 영역(8)을 설치하여서 되는 적외선 방사 연소플레이트.
KR1019890002921A 1988-03-11 1989-03-09 적외선 방사 연소플레이트 KR910006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56359A JPH01234707A (ja) 1988-03-11 1988-03-11 赤外線放射燃焼プレート並びに該燃焼プレートを用いた焼成器用バーナー並びに暖房器用バーナ
JP63-56359 1988-03-11
JP56359 1988-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962A KR890014962A (ko) 1989-10-25
KR910006870B1 true KR910006870B1 (ko) 1991-09-09

Family

ID=13025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2921A KR910006870B1 (ko) 1988-03-11 1989-03-09 적외선 방사 연소플레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1234707A (ko)
KR (1) KR9100068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0754A (ko) * 1996-04-30 1997-11-07 강원석 가스조리기의 세라믹플레이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814A (en) * 1978-07-04 1980-01-22 Ube Ind Ltd Purification of waste gas of nox absorption tower
JPS618731U (ja) * 1984-06-19 1986-01-20 株式会社 成田製陶所 ガス赤外線バ−ナの燃焼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41728B2 (ko) 1991-06-25
JPH01234707A (ja) 1989-09-20
KR890014962A (ko) 198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5388B1 (en) Pizza oven deck
US20050098168A1 (en) Barbecue grill with enlarged firebox
KR910006870B1 (ko) 적외선 방사 연소플레이트
GB2105459A (en) Dual function cooking oven
US5547372A (en) Fuel fired burners
KR920003640Y1 (ko) 연소판
US3044538A (en) Radiating or incandescent gas burner
KR100343985B1 (ko) 가스오븐용그릴의리플렉터
JPH08135930A (ja) 赤外線バーナ並びにそれを用いた焼成調理器
JPS60178208A (ja) 遠赤外線輻射バ−ナ
KR20030059918A (ko) 가스오븐레인지의 버너
JPH0217328A (ja) 焙焼器
KR920004200Y1 (ko) 가스조리기용 세라믹플레이트 버너의 연소공 배치구조
KR100363598B1 (ko) 가스용 그리들 가열장치
JP2523816B2 (ja) 焼成調理器
JP2023100524A (ja) 加熱調理器
JPH0132891B2 (ko)
KR920008200B1 (ko) 구이기
JPH08285238A (ja) 燃焼プレート
KR20030086081A (ko) 가스 오븐조리기의 오븐 버너구조
JPH08110015A (ja) 赤外線バーナ並びにそれを用いた焼成調理器および暖房器
KR910006827Y1 (ko) 버너장치
KR930000639Y1 (ko) 그릴장치
KR200206363Y1 (ko) 열조절판이 구비된 쑥찜질기
KR910008007B1 (ko) 적외선 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