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309B1 - 데이타 서비스 모듈의 통신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타 서비스 모듈의 통신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309B1
KR910006309B1 KR1019880006493A KR880006493A KR910006309B1 KR 910006309 B1 KR910006309 B1 KR 910006309B1 KR 1019880006493 A KR1019880006493 A KR 1019880006493A KR 880006493 A KR880006493 A KR 880006493A KR 910006309 B1 KR910006309 B1 KR 910006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dem
subscriber
messa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6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908A (ko
Inventor
강성봉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06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309B1/ko
Publication of KR890017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데이터 서비스 모듈의 통신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종래의 모뎀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데이터 서비스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CPU 2 : 제1롬
3 : 제1램 4 : 국선회로
5 : 스위치회로 6 : 가입자회로
10 : 제2CPU 20 : 제2롬
30 : 제2램 40 : 모뎀
50 : 제1입출력장치 60 : 제2입출력장치
70 : 레벨 변환부 80 : 피포
100 : 교환기 200 : 데이터 서비스 모듈
본 발명은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의 통신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내에 모뎀을 실장하여 원거리 데이터 가입자와 데이터 통신로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에서 데이터 단말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는 제1도와 같이 수행하고 있다.
먼저 데이터 단말장치(Data Terminal Equipment : 이하 "DTE"라 칭함)를 전용으로 서비스하는 데이터 서비스 모듈(Data Service Module)을 교환기(100)내부에 실장한다. 이때 상기 교환기(100)내의 실장된 데이터 서비스 모듈(110)은 해당 교환기(100)내에 가입된 데이터 가입자(115)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한다. 그러므로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모듈(110)에 가입된 데이터 가입자(115)는 모뎀을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원거리가 데이터 가입자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원거리 데이터 가입자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모듈(110)이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원거리가 데이터 가입자와 통신을 수행하고 하는 데이터 가입자(105)들은 별도의 모뎀(104)을 사용하여야 한다. 즉, 원거리가 데이터 통신시 각각의 데이터 가입자(105)와 모뎀(10.4)을 1:1로 연결하여 통신을 수행해야 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에서는 원거리가 통신용 데이터 가입자와 13:1 모뎀을 연결시켜야 하므로 모뎀 구입 비용이 증대되었으며, 또한 상기 모뎀이 비사용 중이더라도 다른 데이터 가입자가 해당 모뎀을 이용할 수 없어 데이터 통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서비스 모듈내에 모뎀을 실장하며, 데이터 서비스 모듈내에 연결된 데이터 가입자 비사용중인 상기 실장된 모뎀중에서 비사용중인 모뎀을 선택하여 원거리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제1CPU(1), 제1롬(2), 제1램(3)으로 이루어지는 교환기 제어부와 국선회로(4), 스위칭회로(5), 가입자회로(6)로 이루어지는 통화부로 구비하는 교환기(100)부에 데이터 가입자(DTE1-DTEn)의 통신로 형성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서비스 모듈(200)을 실장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버스 모듈(200)의 구성은, 데이터 서비스 모듈(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2CPU(10)와, 본 발명의 프로그램 및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제2롬(20)과, 상기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제2램(30)과, 상기 가입자회로(6)를 통한 원거리 데이터 가입자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고, 내선측 데이터 가입자(3)의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모뎀(40)과, 듀얼 포트로 입출력을 실행하며, A포트를 통해 상기 모뎀(40)과 접속하고 B포트를 통해 상기 스위칭회로(5)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입출력장치(50)와, 듀얼 포트로 입출력을 실행하며, B포트를 상기 스위칭회로(5)와 접속하고, A포트를 데이터 가입자측과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입출력장치(60)와, 상기 제2입출력장치(60)의 A포트 측과 데이터 가입자(DTE1-DTEn) 사이에 접속되어 데이터의 레벨을 변환하는 레벨 변환부(70)와, 상기 교환기(100)의 제1CPU(1)와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모듈(200)의 제2CPU(10)간에 메시지의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피포(FIFO)(80)로 구성된다.
상기 제2도의 구성에서 모뎀(40)과 제1입출력장치(50)는 동수로 연결하며, 제2입출력장치(60)는 데이터 가입자(DTE1-DTEn)의 수와 동수료 연결한다. 따라서 모뎀(40)이 K개(MD1-MDk)로 구성되고, 데이터 가입자(DTE1-DTEn)가 N개로 구성된다면, 제1입출력장치(50)는 K개(SIOn-SIOk)가 필요하고 제2입출력장치(60)는 n개(IO1-IOn)가 필요하다. 여기서 SIO1-SIOn와 IO1-IOn은 동일 특성을 갖는 입출력 장치이며, 구분을 위해 명칭을 달리 표현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로서, 원거리 데이터 가입자로부터 통신 요구신호수신기 제1제어부가 비사용중인 모뎀을 선택하여 통신로를 형성하고, 상기 모뎀을 통해 수신되는 인커밍 데이터를 제2제어부가 분석하여 해당 착신 데이터 가입자와 통신로를 형성하며, 상기 발신 데이터 가입자 측으로 확인용 메시지를 송출하는 인커밍 과정과, 내선 데이터 가입자로부터 통신요구 신호수신시 상기 제2제어부가 수신요구 신호를 분석하여 제1제어부로 출력하며, 상기 제1제어부가 비사용중인 모뎀을 선택하여 통신로를 형성하는 아웃고잉 과정과, 상기 인커밍 또는 아웃고밍 과정 수행후 모뎀을 경유한 통신로를 통해 발신 및 착신 가입자간에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통신 서비스 과정에서 절단요구 신호발생시 모뎀의 통신로를 절단하고 모뎀을 초기화 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통신 서비스 과정에서 모뎀 캐리어 손실신호 검출시 모뎀의 통신로를 절단하고 모뎀을 초기화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교환기(100)는 국선회로(4), 스위칭회로(5) 및 가입자회로(6)로 구성되어 국선측과 내선측의 음성 전화교환을 수행하는 사설교환기(PABX)로서 상기 교환기(100)내에는 상기 교환기(100)를 이용하여 국선측의 원리가 데이터 가입자와 내선측의 데이터 가입자(DTE1-DTEn)의 데이터 통신로를 제어하는 데이터 서비스 모듈(Data Service Module)(200)을 실장한다.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모듈(200)은 모뎀(40) 및 제1-제2입출력장치(50,60)를 실장하고 있는데, 상기 모뎀(40)은 상기 가입자회로(6) 및 제1입출력장치(50)와 접속되어 가입자회로(6)를 통한 인커밍(incoming)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제1입출력장치(50)를 통한 아웃고잉(outgoing)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1-제2입출력장치(50,60)는 입출력 포트가 듀얼포트(dual port)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중 제1입출력장치(50)는 A포트를 상기 모뎀(40)에 연결하고, B포트를 상기 스위칭회로(5)에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2입출력장치(60)는 A포트를 데이터 가입자(DTE1-DTEn)에 연결하고, B포트를 상기 스위칭회로(5)에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모뎀(40), 제1 및 제2입출력장치(50,60)는 필요에 따라 증설 및 감축할 수 있다.
먼저 국선측의 데이터 가입자가 데이터 서비스를 요구했을 시의 과정을 설명한다. 국선에서 데이터 서비스 요구가 발생하면, 교환기(100)의 제1CPU가 이를 인지하고, 스위칭회로(5)를 제어하여 비사용중인 모뎀(40)과 연결된 가입자회로(6)와 해당 국선회로(4)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모뎀(40)은 인커밍 신호("CONNECT")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1입출력장치(50)의 A포트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모뎀(40)과 A포트를 접속하고 있는 해당 제1입출력장치(50)가 상기 인커밍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2CPU(10)로 인가한다. 이때 상기 제2CPU(10)는 상기 인커밍 메시지를 분석한 후 피포(80)를 통해 제1CPU(1)로 임의 데이터 가입자로 인커밍 됐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1CPU(1)는 연결 가능한 데이터 가입자(DTE1-DTEn)중에서 비사용중인 데이터 가입자를 선정한 후, 스위칭회로(5)를 제어하여 제1입출력장치(50)의 B포트의 제2입출력장치(60)의 B포트를 연결시켜 통신로를 형성한다. 이후 상기 제1CPU(1)는 램(3)에 해당 입출력장치(50,60)의 상태를 사용중으로 저장하고, 피포(80)를 통해 제2CPU(10)로 원거리가 데이터 가입자 측으로 통신로 형성이 완료되어 통신이 가능함을 알리는 확인용 메시지를 출력하고, 데이터 가입자 측으로는 외부로부터 호출됐으므로 통신할 준비를 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2CPU(10)는 제1입출력장치(50)를 통해 확인용 메시지를 출력하고, 제2입출력장치(60)를 통해 통신준비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후 상기 제1 및 제2입출력장치(50,60)는 통신 상태로 천이된다. 두번째 데이터 서비스 모듈(200)에 연결된 데이터 가입자(DTE1-DTEn)중 특정 데이터 가입자가 원거리 데이터 가입자와 통신을 요구하는 경우를 살펴본다.(outgoing service)
상기 데이터 가입자 데이터 서비스 요구를 위한 지정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면, 제2CPU(10)는 해당 데이터 가입자와 연결된 제2입출력장치(60)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 요구를 인지한다. 이후 상기 제2CPU(10)가 다른 데이터 가입자와 통신을 요구하는가를 묻는 메시지를 상기 제2입출력장치(60)로 출력하면, 상기 제2입출력장치(60)는 A포트를 통해 해당 데이터 가입자 측으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가입자가 원거리 데이터 가입자와 서비스를 위한 모뎀사용 요구 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제2CPU(1)와 약속된 형태의 메시지를 발생하여 상기 피포(8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1CPU(1)는 피포(8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램(3)의 테이블을 이용하여 비사용중인 모뎀(40)을 선택한 후 스위칭회로(5)를 제어하여 해당 모뎀(40)에 연결된 제1입출력장치(50)와 해당 데이터 가입자(300)에 연결된 제2입력출력장치(60)를 연결하고, 램(3)에 해당 모뎀(40)을 사용중 상태로 지정한다.
상기와 같이 통신로를 형성한 후, 상기 제1CPU(1)는 피포(80)를 통해 제2CPU(10)로 통신로의 형성완료 및 모뎀(40)의 서비스 시작을 메시지화 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2CPU(10)는 제2입출력장치(60)로 통신로가 형성되었으며 서비스 시작을 알 수 있다는 메시지를 출력한 후 통신상태로 천이시킨다. 또한 제1입출력장치(50)도 통신상태로 천이시킨다.
상기와 같이 원거리가 데이터 가입자에 의해 인커밍 서비스 요구가 발생되거나, 데이터 가입자(DTE1-DTEn)에 의해 아웃고잉 서비스 요구가 발생된 후, 통신 가능 상태에서 상기 제1입출력장치(50)는 A포트를 통해 모뎀(40)과 통신하고 B포트를 통해 제2입출력장치(60)와 통신하게 되며, 상기 제2입출력장치(60)는 A포트를 통해 데이터 가입자와 통신하고 B포트를 통해 제1입출력장치(50)와 통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 수행 과정중에 절단요구 신호가 발생되면, 제2CPU(10)가 이를 인지하여 피포(80)를 통해 제1CPU(1)로 통신 절단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1CPU(1)는 제1입출력장치(50) 및 제2입출력장치(60)의 통신로를 절단하고, 램(3)의 테이블에서 해당 제1 및 제2입출력장치(50,60)의 상태를 사용 중 상태에서 비사용 상태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1CPU(1)는 피포(80)를 통해 통신로의 절단완료에 따라 비통신 상태로 천이라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2CPU(10)는 상기 제1 및 제2입출력장치(50,60)를 비통신 상태로 천이시키고, 사용중이던 모뎀(40)의 통신 변수를 초기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데이터 서비스 모듈(200)에 모뎀(40)을 설정하는 경우, 모뎀(40)의 각 MD1-MDk 아날로그 입출력 부분은 각각 가입자회로(6)의 각 SLC1-SLCk와 1:1로 연결하여야 한다. 여기서 상기 가입자회로(6)의 SLC1-SLCk는 각각 가입자 포트가 된다. 또한 상기 모뎀(40)의 각 MD1-MDk의 디지털 입출력 부분은 제1입출력장치(50)의 제2입출력장치 각 SIO1-SIOk의 B포트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입출력장치 SIO1-SIOk와 제2입출력장치 IO1-IOn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집적회로로서, B포트는 동일한 전송속도를 갖도록 초기화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모듈(200)은 제2입출력장치 SIO1-SICk 및 제1입출력장치 IO1-IOn의 A포트에서 발생되는 이벤트(event:통신로 형성요구, 절단요구, 모뎀사용요구 메시지…)를 피포(80)를 통해 교환기(100)의 제1CPU(1)로 전달한다. 상기 교환기(100)의 제1CPU(1)는 제1입출력장치 SIO1-SIOk와 제2입출력장치 IO1-IOn의 상태를 램(3)의 특정 영역에 저정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모듈(200)에서 제2입출력장치 IO1-IOn의 A포트는 데이터 가입자 DTE1-DTEn과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해당 데이터 가입자와 전송속도를 일치시킨다. 또한 데이터 서비스 모듈(200)과 데이터 가입자 DTE1-DTEn은 RS-232C 케이블 또는 RS-422 케이블을 통해 ±12V레벨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이격거리는 케이블 특성에 따라 50m 전후로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가입자 DTE1-DTEn을 데이터 서비스 모듈(200)과 약 50m 전후에 위치되어 데이터 서비스 모듈(200)내에 실장된 비사용 모뎀들을 선택하여 교환기(100)의 외부에 있는 원거리 데이터 가입자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데이터 통신 과정을 제3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데이터 통신 과정은 원거리가 데이터 가입자의 요구에 의해 데이터 가입자 DTE1-DTEn과 데이터 서비스가 수행하는 인커밍 서비스 과정과, 데이터 가입자 DTE1-DTEn의 요구에 의해 원거리 데이터 가입자와 데이터 서비스가 수행되는 아웃고잉 서비스가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원거리 데이터 가입자와 데이터 가입자 DTEn간에 모뎀 MDk를 사용하여 인커밍 및 아웃고잉 서비스가 수행된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인커밍 데이터 서비스의 과정을 살펴본다. 국선회로(4)를 통해 원거리 데이터 가입자가 데이터 서비스 모듈(200)을 호출한 경우, 상기 교환기(100)의 제1CPU(1)는 램(3)을 통해 모뎀 MDk가 비사용중인 상태임을 인지하고 스위칭회로(5)를 연결한다. 따라서 외부의 원거리 데이터 가입자와 비사용중인 모뎀 MDk간에는 통신로가 형성된 상태이며, 외부 모뎀에서 전송되는 캐리어(carrier)를 검출하는 상기 모뎀 MDk는 디지털 입출력부에 통해 인커밍 신호 "CONNECT"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발상하여 제1입출력장치 SIOk의 A포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모듈(200)의 제2CPU(10)는 (A) 및 (B)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제1입출력장치 SIOk를 통해 인커밍 신호가 수신됐음을 인지하고, (C)단계에서 원거리 데이터 가입자와 데이터 가입자(300)간의 통신로 형성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로 형성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제2CPU(10)는 상기 인커밍 신호수신시, 모뎀 인커밍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피포(80)를 통해 제1CPU(1)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1CPU(1)는 연결 가능한 데이터 가입자 DTE1-DTEn중에서 데이터 가입자 DTEn을 선정한 후, 스위칭회로(5)를 제어하여 제1입출력장치 SIOk의 B포트와 제2입출력장치 IOn의 B포트를 연결한다. 이후 상기 제1CPU(1)는 상기 제1입출력장치 SIOk와 제2입출력장치 IOn의 상태를 사용중 상태로 제1램(3)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1CPU(1)는 상기 원리가 데이터 가입자 측으로 확인용 메시지를 송출하고, 데이터 가입자 DTEn측으로 통신 준비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도록 피포(80)을 통해 제2CPU(10)로 메시지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2CPU(10)는 제1입출력장치 SIOk로 원거리 데이터 가입자에게 통신로 형성이 완료되어 통신이 가능함을 알려주기 위하여 확인용 메시지를 출력하고, 제2입출력장치 IOn으로 외부로부터 통신 요구에 의해 통신을 준비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1입출력장치 SIOk는 A포트 상기 확인용 메시지(ex:WELCOME TO DATA PABX SYSTEM)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확인용 메시지를 모뎀 MDk가 수신하여 ±12V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가입자회로 SLCk로 출력하며, 이 신호는 스위칭회로(5) 및 국선회로(4)를 통해 원거리 데이터 가입자 측으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제2입출력장치 IOn은 A포트로 통신 준비 메시지를 출력하고, 레벨 변환기 LCn이 이를 수신하여 데이터 가입자 DTEn으로 출력한다.
이후 상기 제1입출력장치 SIOk와 제2입출력장치 IOn은 통신 상태로 천이되며, 제2CPU(10)는 (D)단계에서 데이터 서비스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 상태에서 데이터 가입자 DTEn이 ±12V레벨의 메시지를 발생하면, 레벨 변화기 LCn은 상기 제2입출력장치 IOn이 수신할 수 있도록 5V레벨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A포트로 인가하며, 상기 제2입출력장치 IOn은 수신 데이터를 B포트를 통해 스위칭회로(5)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는 상기 통신로 형성과정에 의해 설정된 경로를 통해 제1입출력장치 SIOk의 B포트로 인가되며, 상기 제1입출력장치 SIOk는 A포트를 통해 수신 데이터를 모뎀 MDk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모뎀 MDk는 수신 데이터를 ±12V레벨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가입자회로 SLCk로 전송하며, 이는 다시 스위칭회로(5)에 의해 형성된 통신로를 경유하여 국선회로(4)를 통해 원거리가 데이터 가입자로 송출된다.
상기 원거리 데이터 가입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는 상기 통신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되어 데이터 가입자 DTEn으로 인가된다.
상기와 같이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중에 데이터 가입자 절단요구 데이터를 발생하거나 모뎀의 캐리어 손실이 발생하면, 형성된 통신로를 절단하게 된다.
먼저 가입자 DTEn 또는 원거리 데이터 가입자가 모뎀 MDk와의 통신 절단을 요구하는, 특수 문자열 데이터(DISCONNECT 메시지)를 발생하면, 상기 제2CPU(10)는 (E)단계에서 통신로 절단 과정을 수행한다. 이 경우 먼저 상기 제2CPU(10)는 피포(80)를 통해 상기 제1CPU(1)로 통신로 절단요구 메시지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1CPU(1)는 스위칭회로(5)를 제어하여 제2입출력장치 IOn과 제1입출력장치 SIOk와 형성된 통신로를 절단하고, 상기 제1램(3)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2입출력장치 IOn과 제1입출력장치 SIOk의 상태를 사용중 상태에서 비사용 상태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1CPU(1)는 피포(80)를 통해 상기 제2CPU(10)는 통신료 절단이 완료되었으며 비통신 상태로 천이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2CPU(10)는 상기 제1입출력장치 SIOk 및 제2입출력장치 IOn으로 비통신 상태로 천이하라는 메시지를 송출하고, 모뎀 MDk의 통신 변수를 초기와 함으로서 임의의 다른 데이터 가입자 DTE2-DTEn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한 후 비통신 상태로 천이한다.
또한 모뎀 MDk에 연결된 제1입출력장치 SIOk는 통신 상태에서 선로의 불량 또는 절단시에 캐리어가 검출되지 않으면 제2CPU(10)로 이를 알린다. 그러면 상기 제2CPU(10)는 역기 (F)단계를 수행하여 통신로 절단과정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2CPU(10)는 피포(80)를 통해 통신로 절단 메시지를 제1CPU(1)로 전송하며, 상기 제1CPU(1)는 스위칭회로(5)를 제어하여야 제1입출력장치 SIOk와 제2입출력장치 IOn의 통신로 및 국선회로(4)와 가입자회로 SLCk의 통신로를 단절하고, 제1램(3)에 제1입출력장치 SIOk 및 제2입출력장치 IOn을 비사용 상태로 저장한다. 또한 제2CPU(10)는 제1입출력장치 SIOk 및 제2입출력장치 IOn을 비통신 상태로 천이시키고, 모뎀 MDk의 통신 변수를 초기화시킨다.
두번째로 아웃고잉 데이터 서비스의 수행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데이터 가입자 DTEn이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지정된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면, 레벨 변환기 LCn은 상기 데이터 가입자 DTEn을 출력하는 ±12V레벨의 데이터를 5V의 데이터 레벨로 변환하여 제2입출력장치 IOn의 A포트로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제2CPU(10)는 (H)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가입자 DTEn의 아웃고잉 데이터 서비스 요구를 인지하고, (I)단계에서 아웃고잉 서비스 수행을 위한 데이터 통신로를 형성한다.
먼저 상기 제2CPU(10)는 데이터 가입자 DTEn의 데이터 서비스요구 신호를 수신한 후, 제2입출력장치 IOn으로 통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가입자를 묻는 메시지를 송출한다. 그러면 상기 레벨 변환기 LCn은 수신되는 메시지를 ±12V레벨로 변환환 후 데이터 가입자 DTEn으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가입자 DTEn은 모뎀의 통신로를 형성하여 원거리 데이터 가입자와의 통신을 요구하기 위하여 모뎀 사용요구 또는 모뎀에 해당되는 내선 번호를 입력한다. 이때 상기 제1입출력장치 IOn을 통해 상기 모뎀사용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2CPU(10)는 피포(80)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제1CPU(1)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제1CPU(1)는 모뎀사용 요구 또는 모뎀 내선 전화번호에 따라 모뎀을 선택하여 통신로를 형성한다. 이때 전자의 경우에는 램(3)에 제1입출력장치 SIO1-SIOn4의 사용상태 여부를 확인하여 비사용중인 모뎀을 선택하게 되며, 후자의 경우는 모뎀 내선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제1입출력장치의 상태를 분석하여 모뎀을 선택한다. 이때 해당 내선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모뎀이 사용중이면, 상기 제2CPU(10)는 사용중임을 통보하고 다른 모뎀 선택을 요구한다. 여기서 모뎀 MDK를 선택하였다고 가정한다. 상기와 비사용중인 모뎀 MDk를 선택한 후, 상기 제1CPU(1)는 제1램(3)에 해당 제1입출력장치 SIOk를 사용중 상태로 저장한다. 그리고 스위칭회로(5)를 제어하여 제1입출력장치 SIOk와 제2입출력장치 IOn의 B포트를 연결하여 통신로를 형성하고, 가입자회로 SLCk와 국선회로를 연결하여 외부측으로 통신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CPU(1)는 피포(80)를 통해 제2CPU(10)으로 통신로 형성 완료 및 모뎀 서비스 시작을 알리는 동시에 모뎀 MDk와 연결된 제1입출력장치 SIOk를 비통신 상태에서 통신 상태로 천이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2CPU(10)는 상기 두개의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2입출력장치 IOn으로 통신로가 형성되어 서비스 가능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송출하는 동시에 제2입출력장치 IOn을 통신 상태로 천이시키며, 제1입출력장치 SIOk를 통신 상태로 천이시킨다. 이후 데이터 가입자 DTE1은 제1입출력장치 SIOn를 통해 모뎀 MDk와 통신할 수 있는 준비가 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아웃고잉 데이터 서비스 통신로가 형성되면, 제2CPU(10)는 (D)단계로 진행하여 상기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의 수순은 인커밍 데이터 서비스시의 수행과정과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서비스 모듈내에 실장시키므로 교환기를 통하여 근거리 및 원거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모뎀 풀(MODEM POOL) 기능을 수행하여 교환기의 데이터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원거리 데이터 통신시 각 데이터 가입자마다 별도의 제품화된 모뎀을 사용하지 않고 교환기의 스위칭 기능에 의해 비사용중인 모뎀을 선택할 수 있어 모뎀에 따른 비용 및 설치조건이 양호하며 원거리 데이터 통신이 증대될 경우 모뎀 증설이 간편한 잇점등이 있다.

Claims (5)

  1. 교환기의 내부에 데이터 서비스 모듈이 실장되며, 상기 교환기의 가입자회로의 각 포트에 각각 접속되는 모뎀과 상기 모뎀들과 각각 제1포트가 연결되고 상기 교환기의 스위칭회로에 제2포트가 연결되는 제1입출력장치와, 내선 데이터 가입자들과 각각 제1포트가 연결되고 상기 교환기의 스위칭회로에 제2포트가 연결되는 제2입출력장치로 구성되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모듈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의 원거리 데이터 가입자로부터 인커밍 신호수신시 상기 교환기 제어부가 비사용중인 모뎀과 연결된 가입자 포트를 선택하여 국선회로와 연결하며,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모듈의 제어부가 상기 선택된 모뎀을 통해 수신되는 인커밍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교환기 제어부로 연결 가능한 내선 데이터 가입자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교환기 제어부가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원리가 데이터 가입자와 연결된 상기 제1입출력장치와 해당 내선 데이터 가입자와 연결된 상기 제2입출력장치의 제2포트를 연결하여 통신로를 형성하는 과정과, 내선 데이터 가입자로부터 아웃고잉 신호수신기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모듈의 제어부가 모뎀사용 요구 메시지를 상기 교환기 제어부로 출력하며, 상기 교환기 제어부가 비사용중인 모뎀을 선택하여 상기 내선 데이터 가입자와 연결된 제2입출력장치와 상기 모뎀과 연결된 제1입출력 장치의 통신로를 형성하고, 상기 모뎀과 연결된 가입자 포트와 국선회로를 연결하여 통신로를 형성하는 과정(308-309)과, 상기 인커밍 또는 아웃고잉 통신로 형성과정 수행후, 형성된 통신로를 통해 원리가 데이터 가입자와 내선 데이터 가입자간에 데이터를 서비스하는 과정(304)과, 상기 데이터 서비스 과정에서 데이터 가입자로부터 절단요구 신호수신시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모듈이 감지하여 상기 교환기 제어부로 출력하며, 상기 교환기 제어부가 통신로를 단절하고 종료하는 과정(305-306)과, 상기 데이터 서비스 과정에서 상기 제1입출력장치가 상기 모뎀으로부터 캐리어 손실 신호검출시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모듈이 감지하여 상기 교환기 제어부로 출력하며, 상기 교환기 제어부가 통신로를 단절하고 종료후는 과정(307-306)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의 모뎀 통신방법.
  2. 제1제어부에 의해 국선회로, 스위칭회로 및 가입자회로의 통화로부를 제어하는 교환기의 내부에 실장되는 데이터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 가입자회로의 각 포트에 1:1로 아날로그 입출력 부분이 연결되는 모뎀(40)과, 상기 모뎀(40)의 디지털 입출력부분의 각각에 제1포트가 연결되고 상기 교환기 스위칭회로에 제2포트가 연결되어 제1입출력장치(50)와, 내선 데이터 가입자들과 1:1로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서비스 장치와 상기 내선 데이터 가입자간에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는 레벨 변환부(70)와, 상기 교환기 스위칭회로에 제2포트가 연결되고 상기 레벨 변환부(70)의 각 출력단에 제1포트가 1:1로 연결되는 제2입출력장치(60)와, 상기 제1 및 제2입출력장치(50,60)의 제1포트 상태를 분석하며 상태 변화시 상기 제2제어부로 통신로 제어를 위한 메시지를 송출하는 제2제어부(10)와, 상기 제1제어부와 제2제어부(10)간에 발생되는 상기 메시지의 입출력기능을 수행하는 피포(80)로 구성되어, 데이터 통신 서비스 수행시 상기 제2제어부(10)의 메시지 출력에 의해 상기 제1제어부가 비사용중인 모뎀(40)을 선택하여 제1 및 제2입출력장치(50,60)간의 데이터 통신로를 형성 및 절단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서비스 장치.
  3. 제1제어부에 의해 국선회로, 스위칭회로 및 가입자회로의 통화로부를 제어하는 교환기 내부에 데이터 서비스 모듈이 실장되며, 상기 데이터 서비스 모듈이 상기 가입자회로에 1:1로 연결되는 모뎀과, 상기 모뎀에 제1포트가 연결되고 제2포트가 상기 스위칭회로에 연결되는 제1입출력장치와 내선 데이터 가입자와 제1포트가 연결되고 제2포트가 상기 스위칭회로에 연결되는 제2입출력장치와, 상기 제1 및 제2입출력장치의 제1포트의 출력상태를 분석하여 상기 제1제어부로 메시지를 발생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하는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외부 데이터 가입자로부터 인커밍 메시지 수신시 비사용중인 모뎀을 선택하여 내부 데이터 가입자와 인커밍 서비스 통신로를 형성하는 과정과(301-303)과, 내부 데이터 가입자로부터 아웃고잉 메시지 수신시 비사용중인 모뎀을 선택하여 외부 데이터 가입자와 아웃고잉 서비스 통신로를 형성하는 과정(308,309)과, 상기 데이터 서비스 통신로 형성후 내부 데이터 가입자와 외부 데이터 가입자간에 데이터를 서비스하는 과정(304)과, 상기 데이터 서비스 과정에서 절단요구 신호발생시 형성된 통신로를 절단하고 사용중인 모뎀을 초기화하는 과정(305-307)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의 통신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인커밍 서비스 통신로 형성과정이 외부 데이터 가입자로부터 인커밍 메시지 수신시 상기 제1제어부가 상기 스위칭회로를 제어하여 비사용중인 모뎀과 연결된 가입자회로와 국선회로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 모뎀과 연결된 제1입출력장치의 제1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인커밍 메시지를 상기 제2제어부가 분석한 후, 통신 가능한 내선 데이터 가입자를 설정하여 수신 인커밍 메시지를 상기 제1제어부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인커밍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제어부가 스위칭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 모뎀과 연결된 제1입출력장치와 상기 내선 데이터 가입자와 연결된 제2입출력장치간의 통신로를 형성한 후 통신로 완료 메시지를 상기 제2제어부로 출력하는 과정, 상기 통신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제어부가 상기 제1입출력장치로 확인용 메시지를 출력하고 제2입출력장치 통신준비 메시지를 출력하며, 상기 국선 및 내선 데이터 가입자를 통신상태로 천이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아웃고잉 서비스 통신로 형성과정이 상기 내선 데이터 가입자로부터 아웃고잉 서비스 메시지 수신시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제1제어부로 모뎀 통신요구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제2제어부의 모뎀 통신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제어부가 비사용중인 모뎀을 선택하며, 스위칭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모뎀과 연결된 제1입출력장치와 상기 내선 데이터 가입자와 연결된 제2입출력장치간의 통신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모뎀과 연결된 가입자회로 국선회로의 통신로를 형성하고, 통신로 완료 메시지를 상기 제2제어부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제어부가 상기 내선 데이터 가입자로 통신 준비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및 제2입출력장치를 통신 상태로 천이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의 통신방법.
KR1019880006493A 1988-05-31 1988-05-31 데이타 서비스 모듈의 통신방법 및 장치 KR910006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6493A KR910006309B1 (ko) 1988-05-31 1988-05-31 데이타 서비스 모듈의 통신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6493A KR910006309B1 (ko) 1988-05-31 1988-05-31 데이타 서비스 모듈의 통신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908A KR890017908A (ko) 1989-12-18
KR910006309B1 true KR910006309B1 (ko) 1991-08-19

Family

ID=19274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6493A KR910006309B1 (ko) 1988-05-31 1988-05-31 데이타 서비스 모듈의 통신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3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457B1 (ko) * 2000-11-20 2008-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소프트웨어 초기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908A (ko) 198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43338A (en) A portable tele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mode of an incoming call and activating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eans
US5666398A (en) Switching equipment and method for radiotelephone system of the local or private branch exchange type
MXPA04007666A (es) Sistema de telefonia celular con cable.
JPH07235968A (ja) 無線電話器用アダプター
JPS5925417B2 (ja) 回線切換装置
KR910006309B1 (ko) 데이타 서비스 모듈의 통신방법 및 장치
JPH06132998A (ja) デジタル伝送・アナログ伝送切換装置
US6285747B1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JPH03274953A (ja) 電話システム
US6914981B2 (en) Communication device
KR100352851B1 (ko) 에프엘씨 전송시스템의 음성가입자유니트
JP3075508B2 (ja) デジタル移動ファクシミリ通信システム
JP3332113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装置、移動通信装置
JP3093666B2 (ja) コンピュータ通信方式
JP2594190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848414B2 (ja) データ通信機械器接続装置
JPH07154496A (ja) 無線通信機能付き電話機
JPS63316557A (ja) デ−タ端末装置
JPH02164166A (ja) オーダーワイヤ装置を備えた通信方式
JPH10308777A (ja)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端末の音声交換システム
JPS61200769A (ja) 2回線連動制御方法
JPS63127648A (ja) 打合せ電話装置
JPH01290396A (ja) 通信システムの端末収容方式
JPH10190831A (ja) 打合わせ電話システム
JPH0583371A (ja) 交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