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201Y1 - 음성 다중용 헤드폰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다중용 헤드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201Y1
KR910006201Y1 KR2019880009449U KR880009449U KR910006201Y1 KR 910006201 Y1 KR910006201 Y1 KR 910006201Y1 KR 2019880009449 U KR2019880009449 U KR 2019880009449U KR 880009449 U KR880009449 U KR 880009449U KR 910006201 Y1 KR910006201 Y1 KR 9100062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ignal
signal input
input terminal
head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9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125U (ko
Inventor
라광우
한광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9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201Y1/ko
Publication of KR9000021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1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2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201Y1/ko

Links

Landscapes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성 다중용 헤드폰 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시스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제 1, 2 신호 입력단 VR1, VR2 : 제 1, 2 가변저항
10 : 헤드폰 스피커 SW1∼SW6 : 제1-제6스위치
본 고안은 헤드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다중용 텔레비젼(Television) 및 라디오(Radio)에 사용되는 헤드폰(HEAD-PHONE)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성다중 방송은 외국어 또는 모국어와 같이 서로다른 2개국어를 동시에 전송하고, 이를 수신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음성다중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탤레비젼이나 라디오와 같은 수신장비는 소정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서로다른 2개국어를 동시에 또는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만일 헤드폰으로 상기 음성다중 방송을 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헤드폰을 착용한뒤 상기 수신 시스템에 부착된 스위치를 선택하여야 한다
한편 헤드폰의 코드는 수m 이상되고, 상기 청취자는 헤드폰으로 방송을 청취할 경우 대부분 안락한 자세로 방송을 청취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에서 수m 떨어져서 청취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청취하는 언어를 다른 나라의 언어로 바꾸고자 할 경우 상기 청취자는 부득이 리모콘이 없는한 상기 시스템 가까이로 접근하여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는 때에 따라 대단히 수고스럽고 불편하며, 보다 편리함을 추구하는 일반 사용자에게는 많은 불만의 요소가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성다중 방송을 청취함에 있어 자체에서 서로 다른 2개국어를 모두 또는 어느하나를 선택적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된 헤드폰 장치를 재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헤드폰으로 음성 다중 방송을 청취할 시 헤드폰 자체에서 음성다중의 상태를 제어할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제 1-6 스위치 (SWl-SW6)를 헤드폰 신호 입력단인 제 1, 제 2 신호 입력단(1, 2)과 헤드폰의 음량조절 볼륨인 제 1, 2 가변저항(VR1, VR2) 사이에 소정의 배열로 설치하여, 사용자가 스테레오, 외국어모노, 모국어모노의 3단계로 조작할 시 상기 제 1, 2 신호입력단(1,2)을 통해 입력된 신호를 상기 제 1, 2 가변저항(VR1, VR2)에 다이랙트로 또는 외국어 공통 또는 모국어 공통의 형태로 공급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도로서, 본체로 부터 2 채널의 신호를 받기위한 제 1, 2 신호입력단(1,2)과 상기 2채널의 신호를 받을시 가청음으로 변환 출력하는 헤드폰 스피커(10) 및 상기 신호 입력단(1, 2)을 통해 입력된 신호가 상기 헤드폰 스피커(10)로 공급될시 그 레벨을 조절하는 두개의 제 1, 2가변저항(VR1, VR2)을 갖는 헤드폰 제어회로에, 상기 제 1 신호 인력단(1)과 상기 제 1 가변저항(VR1)의 입력단 사이에 접속된 제 1 스위치 (SW1)와, 상기 제 2 신호 입력단(2)과 상기 제 2 가변저항(VR1)의 입력단간에 접속된 제 4 스위치(SW4)와, 상기 제 1 신호 입력단(1)과 상기 제 2 가변저항(VR2)의 입력단 간에 접속된 제 2 스위치 (SW2)와, 상기 제 2 신호 입력단(2)과 상기 제 1 가변저항(VR1)의 입력단 간에 접속 제 3 스위치(SW3)와, 상기 제 1, 2 가변저항(VR1, VR2)의 입력단 간에 접속된 제 5, 6 스위치(SW5, SW6)를 추가하여 구성하였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제 1, 2신호 입력단(1, 2)을 통해 각기 모국어와 외국어가 공급된다고 가정하고 가정한다.
이때 상기 모국어와 외국어를 스테레오 상태로 헤드폰 스피커 (10)에 공급하는 동작을 살펴본다. 설명에 앞서 제 1-6 스위치 (SWl-SW6)들은 제 2 도의 표와 같은 상태로 연동하여 스위칭함을 밝여둔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에서 "0"는 스위치 온 상태이고 "X"스위치 오프 상태이다.
상기 제 2 도와 같은 스위칭 상태를 갖는 것은 본 고안이 4개의 모드 즉, 스테레오, 외국어모노, 모국어모노모드를 갖기 때문이며, 이들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상기 제 1, 2 신호 입력단(1, 2)으로 입력된 신호를 상기헤드폰 스피커 (10)에 공급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6 스위치 (SW1-SW6)가 상기와 같은 4개의 모드를 동작하기 위해 연동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슬라이드 스위치로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전자적으로 프로그래머블하게 스위칭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어떠한 경우든 각 모드마다 상기 제 2 도의 표와 같은 상태만 갖으면 된다.
스테레오 동작시 상기 제 1 - 제 6 스위치(SWl-SW6)는 상기 제 4 도의 ST에 대응되는 상태를 갖으며, 제 1 스위치(SWl)와 제 4 스위치(SW4)만 스위치온하고 나머지는 모두 턴오프 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 1, 2 신호입력단(1,2)은 제 1, 2 가변저항(VR1, VR2)의 중간 단자에 각기 대응하여 다이랙트로 접속된다. 상기 제 1, 2 가변저항(VR1, VR2)은 상기 헤드폰 스피커(10)의 두폰에 각기 대응하여 접속되어 있고, 입력되는 신호는 사용자가 가변저항 (VR1, VR2)을 가변 조작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로 감쇄시켜 상기 두폰에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입력단을 통해 공급되는 모국어와 외국어는 상기 헤드폰 스피커(10)의 두폰에 각기 공급되어 가청신호로 변환된다.
다음 상기 제 1, 2 신호 입력단으로 입력된 외국어 신호와 모국어 신호를 외국어 모노 상태로 하여 상기 헤드폰 스피커 (10)에 전달하는 동작을 살펴본다.
외국어모노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 1 - 제 6 스위치(SW1-SW6)의 스위칭 상태는 상기 제 2 도의 M1에 대응되는상태를 갖는다. 즉 제 2, 5 스위치만 스위치 온 상태로 되고 나지는 모두 스위치 오프한 상태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 1 신호 입력단(1)을 통해 외국어가 공급될시, 이는 제 2 스위치(SW2)를 거쳐 제 5 스위치(SW5)에서 상기 제 1, 2 가변저항(VR1, VR2)에 동시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2 가변저항(VR1, VR2)에 공급된 외국어 신호는 상기 헤드폰 스피커(10)의 두폰에 같은 신호로서 동시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청취자는 외국어 모노 상태로 듣게된다.
이번에는 상기 제 1, 2 신호입력단(1,2)을 통해 입력된 외국어신호와 모국어신호를 모국어 모노 상태로 상기 헤드폰 스피커(10)에 공급하는 동작을 살펴본다.
모국어 모노 모드 상태에서의 상기 제 1-6스위치(SW1-SW6)는 상기 제 2 도의 M2에 대응하는 상태를 갖는다. 즉, 제 3, 6 스위치만 스위치온한 상태가 되고 나머지는 모두 스위치 오프한 상태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 2 신호 입력단(2)을 통해 외국어가 입력될시 이는 스위치 온된 제 3 스위치(SW3)를 거쳐 제 6 스위치(SW6)에서 상기 제 1, 2 가변저항(VR1, VR2)에 동시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상기 헤드폰 스피커(10)의 두폰에는 동일한 모국어 신호가 공급되므로써 청취자는 모국어 모노 상태로 청취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소정 음성다중 시스템으로부터 외국어 또는 모국어의 음성다중 신호가 입력될시 자체에서 외국어+모국어의 스테레오 모드나 외국어 모노 모드 또는 모국어 모노 모드를 조절하여 청취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본체로부터 2채널의 신호를 받기위한 제 1, 2 신호입력단(1,2)과 이를 받을시 가청음으로 변환 출력하는 헤드폰 스피커(10) 및 상기 신호 입력단(1,2)을 통해 입력된 신호가 상기 헤드폰 스피커(10)로 공급될시 그 레벨을 조절하는 두 개의 제 1, 2 가변저항(VR1, VR2)을 갖는 헤드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입력단(1)과 상기 제 1가변저항(VR1)의 입력단 사이에 접속된 제 1 스위치(SW1)와, 상기 제 2 신호 입력단(2)과 상기 제 2 가변저항(VR2)의 입력단간에 접속된 제 4 스위치(SW4)와, 상기 제 1 신호 입력단(2)과 상기 제 2 가변저항(VR2)의 입력단간에 접속된 제 2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신호 입력단(2)과 상기 제 1 가변저항(VR1)의 입력단 간에 접속 제 3 스위치(SW3)와, 상기 제 1, 2 가변저항(VR1, VR2)의 입력단 간에 접속된 제 5, 6 스위치(SW5, SW6)를 구성 요소로 하여 상기 제 1, 2 신호 입력단으로부터 소정 제 1, 2 신호가 입력될 때 그를 스테레오나 제 1 신호 모노 또는 제 2 신호 모노로하여 상기 헤드폰 스피커(10)에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다중용 헤드폰 장치.
KR2019880009449U 1988-06-21 1988-06-21 음성 다중용 헤드폰 장치 KR9100062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9449U KR910006201Y1 (ko) 1988-06-21 1988-06-21 음성 다중용 헤드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9449U KR910006201Y1 (ko) 1988-06-21 1988-06-21 음성 다중용 헤드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125U KR900002125U (ko) 1990-01-19
KR910006201Y1 true KR910006201Y1 (ko) 1991-08-19

Family

ID=1927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9449U KR910006201Y1 (ko) 1988-06-21 1988-06-21 음성 다중용 헤드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2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125U (ko) 1990-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19431Y2 (ja) ステレオ・モノラル自動切換装置
JP2840691B2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
KR20020073292A (ko) 오디오 서라운드 사운드 파워 관리 스위칭
JPS589270A (ja) 自動車用ラジオ・カセツト装置
US7664273B2 (en) Approach for controlling audio signals in remote location
US6711268B2 (en) Automatic stereo/monaural headphone
US6567655B1 (en) Car radio system
GB2385762A (en) Audio routing for an automobile
CA2122268A1 (en) Multi-channel sound simulation system
KR20040024453A (ko)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및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
US7986792B2 (en) Adapter connectable between audio amplifier and transmitter for cordless speaker
KR910006201Y1 (ko) 음성 다중용 헤드폰 장치
GB2276519A (en) Monitor matrix for audio mixer
KR20030019814A (ko) 무선 서라운드 스피커를 갖는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음향출력장치
KR200161700Y1 (ko) 써라운드 헤드폰 및 이어폰
JPH0937381A (ja) 出力レベル切り換え回路
KR0138977Y1 (ko) 모노/스테레오 자동 절환식 스테레오 음성출력장치
JP2005045533A (ja) 音声再生装置
JPH0362699A (ja) 車載用多元再生システム
JPH0737398Y2 (ja) 通話切替機能付きオーディオ出力装置
JPS6325822Y2 (ko)
JPH066727A (ja) 音声切換装置と音声切換方法
JPS6223181Y2 (ko)
JPS6040052Y2 (ja) テレビジョン音声多重信号受信機
KR20020087776A (ko) 음성 다중 신호 출력이 가능한 방송 수신장치 및 음성다중 신호 출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