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4453A -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및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및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4453A
KR20040024453A KR1020030057829A KR20030057829A KR20040024453A KR 20040024453 A KR20040024453 A KR 20040024453A KR 1020030057829 A KR1020030057829 A KR 1020030057829A KR 20030057829 A KR20030057829 A KR 20030057829A KR 20040024453 A KR20040024453 A KR 20040024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ignal
sound
switch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9919B1 (ko
Inventor
우민환
김덕규
강일선
이일형
백성흠
강상규
Original Assignee
우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민환 filed Critical 우민환
Publication of KR20040024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9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3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receiving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음향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혼합하여 동시에 출력되도록 하고, 다중 또는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 발생부, 사운드 신호를 외부 음향기기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외부 음향기기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의 경로 제어를 하는 사운드 신호 제어부, 상기 오디오 신호 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상기 사운드 신호 제어부를 개재하여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혼합하여 혼합 사운드 신호를 형성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로부터 입력되는 혼합 사운드 신호를 증폭하는 오디오 증폭부, 및 상기 오디오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혼합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및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An Stereophonic Apparatus Having Multiple Switching Function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Sound Signal}
본 발명은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및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음향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혼합하여 동시에 출력되도록 하고, 다중 또는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및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 내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핸즈프리 폰(hands-free phone)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핸즈프리 폰은 차량 내부의 일측에 부착하는 외장형과 내부에 장착되는 내장형이 있다. 내장형 핸즈프리 폰은 기존 외장형 핸즈프리 폰의 구성 부품 중에서 스피커를 제외한 일체형을 자동차의 조립 공정에서 자동차 내부에 고정 부착하고 스피커는 차량용 오디오의 스피커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오디오 장치를 이용한 내장형 핸즈프리 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의 내장형 핸즈프리 폰 장치는 오디오 증폭기(122) 및 스피커(110)를 구비한 차량용 오디오 장치(104)에 마이크(108)와 전화 인터페이스(114)를 추가함과 동시에 통상의 핸즈프리 폰 키트(kit)와 연결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커넥터(미도시)와 전화 인터페이스(114)를 어댑터 케이블(102)에 의해 연결하여 구성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오디오 스위치(116)는 스위칭 제어부(124)에 의해 스위칭 되어 미디어 재생부(118), 라디오 수신부(120) 및 전화 인터페이스(114)의 오디오 송신단의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증폭기(122)에 선택적으로 인가한다. 오디오 증폭기(122)는 오디오 스위치(116)를 개재하여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10)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한 스위칭 제어부(124)는 미디어 재생부(118), 라디오 수신부(120), 오디오 증폭기(122), 이동통신 단말기(100) 중 사용되는 부분에 대응되도록 전원 스위치(128)와 오디오 스위치(116)를 스위칭 한다. 즉, 미디어 재생부(118)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미디어 재생부(118)와 오디오 증폭기(122)에 전원부(126)의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미디어 재생부(118)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증폭기(122)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미디어 재생부(118)에서 재생된 오디오 신호에 따른 오디오가 스피커(110)를 통해 출력된다. 라디오 수신부(120)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라디오 수신부(120)와 오디오 증폭기(122)에 전원부(126)의 전원을 공급함과동시에 라디오 수신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증폭기(122)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라디오 수신부(120)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따른 오디오가 스피커(110)를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전화 인터페이스(140)와 오디오 증폭기(122)에 전원부(126)의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화 인터페이스(140)를 개재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오디오 증폭기(122)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따른 오디오가 스피커(110)를 통해 출력된다.
그러나, 종래의 내장형 핸즈프리 폰 장치에 의하는 경우에는, 라디오나 미디어 재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만이 선택적으로 출력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오디오 신호에 의한 음악, 뉴스 등을 들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오디오 스위치 및 스위치 제어부의 구성이 별도로 추가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제조비가 높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내장형 핸즈프리 폰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미디어 재생부 또는 라디오 수신부의 오디오 신호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를 다중 수신 또는 선택 수신할 수 있는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음향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혼합하여 동시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미약한 신호가 거의 들리지 않게 되는 뮤트 현상이 일어나서 신호 레벨이 높은 사운드 신호만 들리도록 할 수 있는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및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음향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다중 또는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및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오디오 장치를 이용한 핸즈프리 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사운드 신호 제어부의 일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210 : 오디오 신호 발생부
210-1 : 라디오 수신부 210-2 : 미디어(media) 재생부
220 : 혼합부
230 : 오디오 증폭부 240 : 출력부
250-2, 250-3,250-4,250-5 : 사운드(sound) 신호 제어부
251 : 마이크부(microphone part)
253 :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 255 : 비밀통화 출력부
257 : 비밀통화 스위치 258 : 다중선택 스위치
259 : 핸즈프리 폰 및 사운드 링커(sound linker) 선택 스위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로서,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 발생부, 사운드 신호를 외부 음향기기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외부 음향기기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의 경로 제어를 하는 사운드 신호 제어부, 상기 오디오 신호 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상기 사운드 신호 제어부를 개재하여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혼합하여 혼합 사운드 신호를 형성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로부터 입력되는 혼합 사운드 신호를 증폭하는 오디오 증폭부, 및 상기 오디오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혼합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음향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혼합하여 동시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미약한 신호가 거의 들리지 않게 되는 뮤트(mute) 현상이 일어나서, 신호 레벨이 높은 사운드 신호만 들리도록 할 수 있는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음향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다중 또는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하는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향기기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여 제어하는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로서, 일단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접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음성을 사운드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으로 출력하는 마이크부, 일단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접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통화 모드 또는 통화대기 모드로 스위칭 하는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상기 음향기기의 혼합부 또는 비밀통화 출력부로 스위칭 하는 비밀 통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음향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혼합하여 동시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미약한 신호가 거의 들리지 않게 되는 뮤트 현상이 일어나서, 신호 레벨이 높은 사운드 신호만 들리도록 할 수 있는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음향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다중 또는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는, 오디오 신호 발생부(210), 혼합부(220), 오디오 증폭부(230), 일반적으로 스피커에 해당하는 출력부(240), 사운드 신호 제어부(250-2), 사운드 신호 입력단(265-1) 및 사운드 신호 출력단(265-2)을 갖는 외부 음향기기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260)로 구성된다.
오디오 신호 발생부(210)는 안테나를 통하여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라디오 수신부(210-1), 및 CD, 테이프, DVD 등과 같이 사운드가 기록된 매체를 재생하여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미디어 재생부(210-2)로 구성된다.
혼합부(220)는 오디오 신호 발생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사운드 신호 제어부(250-2)로부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혼합하여 오디오 증폭부(230)에 입력한다.
오디오 증폭부(230)는 혼합부(220)로부터 입력되는 혼합 사운드 신호를 증폭하여 일반적으로 스피커에 해당하는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한다.
사운드 신호 제어부(250-2)는 후술될 마이크에 의해 음성을 사운드 신호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265-1)으로 출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265-2)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혼합부(220) 또는 후술될 비밀통화 출력부로 경로 제어를 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걸려온 전화를 받기 위하여 후술될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를 스위칭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60)를 통화 모드로 하면, 혼합부(220)는 오디오 신호 발생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audio) 신호와 이동통신 단말기(260)에서 한번 증폭이 이루진 후에 사운드 신호 출력단(265-2)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혼합한다. 혼합부(220)에서 혼합된 혼합 사운드 신호는 오디오 증폭부(230-2)에 입력된다. 여기서, 오디오 신호의 직류 성분과 사운드 신호의 직류 성분은 거의 같은 전력 레벨을 같지만 오디오 신호의 교류 성분은 사운드 신호의 교류 성분에 비해 5 내지 10배 낮은 전력 레벨을 갖는다.
그리고, 혼합부(220)에 의해 혼합되어 오디오 증폭부(230)로 입력되는 혼합 사운드 신호는 혼합 사운드 신호의 전력 레벨(level)에 맞는 증폭율로 조정된 오디오 증폭부(230)에 의해 증폭된다. 그러므로, 오디오 신호 발생부(210)로부터 출력된 전력 레벨이 낮은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증폭부(230)에 의해 증폭되어도 여전히 전력 레벨이 낮으므로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되어도 뮤트(mute)가 일어난 것처럼 사용자에게 거의 들리지 않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265-2)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력 레벨이 높은 사운드 신호는 오디오 증폭부(230)에 의해 증폭되면 보다 전력 레벨이 높아지게 되므로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되면 일반적인 오디오 청취와 같이 사용자에 들려지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오디오 장치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볼륨 조정부 및 증폭 제어부에 의해 오디오 증폭부의 출력 전력의 크기가 제어되기 때문이다. 즉, 증폭 제어부는 오디오 증폭부에 입력되는 신호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고이 신호의 전력 레벨이 볼륨(volum) 조정부에 의해 미리 설정된 레벨과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오디오 증폭부의 증폭율을 조정하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운드 신호 제어부(250-3)는, 마이크부(251),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253), 비밀통화 스위치(257), 및 비밀통화 출력부(2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이크부(251)는 일단이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265-1)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접지(GND : ground))에 연결되어 있다. 이 마이크부(251)는 사용자의 음성을 사운드 신호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265-1)으로 출력한다.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253)는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265-1)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접지(GND)에 연결되어 있다.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253)는 사용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동작 상태를 통화 모드 또는 통화대기 모드로 스위칭 한다. 이때,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253)의 스위칭에 의한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60) 내의 마이크로프로세스(미도시)가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동작 상태를 통화 모드 또는 통화대기 모드로 스위칭 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동작 상태가 통화대기 모드인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용자가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253)를 스위칭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60) 내의 마이크로프로세스에 미리 설정된 회수로 스위칭 신호를이동통신 단말기(260) 내의 마이크로프로세스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260)에 입력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동작 상태를 통화대기 모드로부터 재발신 모드로 스위칭 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253)는 스위칭 하는 순간에만 스위치의 순간적인 접촉이 이루어진 후 자동적으로 그 접촉이 해제되는 택트(tact) 스위치이다.
비밀통화 스위치(257)는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265-2)에 연결되고,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265-2)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혼합부(220) 또는 비밀통화 출력부(255)로 스위칭 하여 경로 제어를 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용자가 비밀통화 스위치(257)의 스위칭에 의해 비밀통화를 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용자가 사운드 신호 출력단(265-2)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비밀통화 출력부(255)를 통해 이어폰, 헤드폰 등으로 들음으로써 다른 사람이 들을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용자가 비밀통화 스위치(257)의 스위칭에 의해 비밀통화를 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용자가 사운드 신호 출력단(265-2)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에 해당하는 출력부(240)를 통해 들음으로써 다른 사람도 들을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제어부(250-3)는 제 1 실시예의 사운드 신호 제어부(250-3)에 비해 다중선택 스위치(258)가 더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중선택 스위치(258)와, 좌측 혼합부(220-1) 및 우측 혼합부(220-2)와 관련된 것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다중선택 스위치(258)는 일단이 비밀통화 스위치에 연결되고, 나머지 타단은 좌측 혼합부(220-1) 및 우측 혼합부(220-2)에 연결되어 있다. 다중선택 스위치(258)는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260-2)로부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좌측 혼합부(220-1) 및 우측 혼합부(220-2) 중 적어도 하나로 스위칭 한다. 즉, 다중선택 스위치(258)의 스위칭에 따라 사운드 신호는 좌측 혼합부(220-1) 또는 우측 혼합부(220-2)에 입력될 수 있으며, 또한 좌측 혼합부(220-1) 및 우측 혼합부(220-2) 모두에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다중선택 스위치(258)와 비밀통화 스위치(257)는 후술될 도 6에 나타낸 비밀통화 및 다중선택 스위치(257-8)와 같이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단순한 설계변경으로 하나의 스위치로 통합될 수 있다. 이는 스위치가 비밀통화로 스위칭 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260-2)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비밀 통화 출력부(255)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스위치가 비밀통화 스위치로 사용되도록 하고, 스위치가 비밀통화로 스위칭 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260-2)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좌측 혼합부(220-1) 및 우측 혼합부(22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스위칭 되도록 스위치가 다중선택 스위치로 사용되도록 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260-2)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좌측 혼합부(220-1) 및 우측 혼합부(22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스위칭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중선택 스위치(258)에 의해 사운드 신호 출력단(260-2)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좌측(L) 혼합부(220-1)/우측(R) 혼합부(220-2)로 스위칭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260-2)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좌측(L) 혼합부(220-1)/우측(R) 혼합부(220-2)를 개재하여 좌측(L) 오디오 증폭부(230-1)/우측(R) 오디오 증폭부(230-2)에 의해 증폭하여 좌측(L) 출력부(240-1)/우측(R) 출력부(240-2)를 통해 들으면서, 오디오 신호 발생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우측(R) 오디오 신호/좌측(L) 오디오 신호를 우측 혼합부(220-2)/좌측 혼합부(220-1)를 개재하여 우측 오디오 증폭부(230-2)/좌측 오디오 증폭부(230-1)에 의해 증폭하여 우측 출력부(240-2)/좌측 출력부(240-1)를 통해 들을 수 있다. 또한, 다중선택 스위치(258)에 의해 사운드 신호 출력단(260-2)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좌측 혼합부(220-1) 및 우측 혼합부(220-2)의 양쪽 모두에 스위칭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260-2)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좌측 혼합부(220-1) 및 우측 혼합부(220-2)를 개재하여 좌측 오디오 증폭부(230-1) 및 우측 오디오 증폭부(230-2)에 의해 증폭하여 좌측 출력부(240-1) 및 우측 출력부(240)의 양쪽 모두를 통해 들으면서, 오디오 신호 발생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좌측(L) 오디오 신호 및 우측(R) 오디오 신호는 뮤트시켜서 들려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제 2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신호의 전력 레벨이 낮은 오디오 신호와신호의 전력 레벨이 높은 사운드 신호가 혼합된 혼합 사운드 신호는 혼합 사운드 신호의 전력 레벨에 따라 증폭율이 조정된 오디오 증폭부에 의해 증폭되기 때문에 신호의 전력 레벨이 낮은 오디오 신호는 거의 들리지 않게 되는 뮤트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제어부(250-5)는 제 2 실시예의 사운드 신호 제어부(250-4)에 비해 핸즈프리 폰 및 사운드 링커 선택 스위치가(259)가 더 구비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핸즈프리 폰 및 사운드 링커 선택 스위치(259)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핸즈프리 폰 및 사운드 링커 선택 스위치(259)는 일단이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260-1)에 연결되고, 마이크부(251)와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253)를 병렬 연결하는 접지 노드의 반대 노드 또는 좌측 혼합부(220-1)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스위치이다. 여기서, 좌측 혼합부(220-1)를 우측 혼합부(220-2)로 할 수 있음은 좌측 혼합부(220-1)와 우측 혼합부(220-2)의 역할을 바꾸면 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있어서 당연한 설계 변경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핸즈프리 폰 및 사운드 링커 선택 스위치(259)는 좌측 혼합부(220-1)에 연결되도록 스위칭 되는 것으로 한다.
우선, 핸즈프리 폰 및 사운드 링커 선택 스위치(259)를 마이크부(251)와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253)를 병렬 연결하는 접지 노드의 반대 노드에 연결하는 경우, 전체적으로 외부 음향기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제한 도 4의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핸즈프리 폰 및 사운드 링커 선택 스위치(259)를 좌측 혼합부(220-1)에 연결하는 경우, 전체적으로 외부 음향기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제하지 않고 외부 오디오 기기로 MP3, DVD 등을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다. 즉,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운드 신호 입력단 및 사운드 신호 출력단을 가지지만 외부 오디오 기기는 사운드 신호 출력단이 좌,우측단으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으로 사용된 일단을 외부 오디오 기기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의 좌측단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외부 오디오 기기로 MP3을 가정하여 설명하면, MP3의 우측 사운드 신호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신호는, 도 4의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오디오 신호 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다중선택 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라 좌측 혼합부(220-1) 또는/및 우측 혼합부(220-2)에서 혼합된다. 그리고, MP3의 좌측 사운드 신호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신호는, 좌측 혼합부(220-1)에 직접적으로 입력되어 오디오 신호 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혼합된다.
따라서, 핸즈프리 폰 및 사운드 링커 선택 스위치(259)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외부 오디오 기기를 겸용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다중선택 스위치(258)와 비밀통화 스위치(257)는 후술될 도 6에 나타낸 비밀통화 및 다중선택 스위치(257-8)와 같이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단순한 설계변경으로 하나의 스위치로 통합될 수 있다. 이는 스위치가 비밀통화로 스위칭 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260-2)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비밀 통화 출력부(255)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스위치가 비밀통화 스위치로 사용되도록 하고, 스위치가 비밀통화로 스위칭 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260-2)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좌측 혼합부(220-1) 및 우측 혼합부(22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스위칭 되도록 스위치가 다중선택 스위치로 사용되도록 함으로서 이루어진다.
도 6은 도 5의 사운드 신호 제어부의 일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에 나타난 것과 같이,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253)는 마이크부(251)에 병렬 연결되어 그 일단이 접지 노드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접지 노드의 반대 노드에 연결되어 있다.
마이크부(251)는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265-1)에 가변 저항(251-1)의 일단이 연결되고, 가변 저항(251-1)의 다른 일단에 다이오드(251-3)의 일단이 직렬 연결되고, 다이오드(251-3)의 다른 일단에 마이크(251-5)의 일단이 직렬 연결되고, 마이크(251-5)의 다른 일단이 접지 노드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마이크부(251)의 마이크(251-5)는 음성을 사운드 신호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265-1)에 입력한다. 여기서, 다이오드(251-3)의 방향에 변화를 가하지 않고 가변 저항(251-1)과 다이오드(251-3)의 위치를 바꿀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가변저항(251-1)은 출력 조절용 저항으로 마이크(251-5)로부터의 출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항 R의 값이 클 경우에는, 마이크(251-5)로부터의 출력이 감소되어 상대방 통화자는 신호의 전력 레벨이 낮은 음으로 송신자의 음성을 수신하도록 되고, 저항 R의 값이 작을 경우에는, 상대방 통화자는 전력 레벨이 큰 음으로 송신자의 음성을 수신하도록 된다. 그러나, 저항 R의 값이 작아지면 에코(echo) 및 하울링(howling)이 발생하므로 저항 R은 적정한 값으로 할 필요가 있다.
다이오드(251-3)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와 마이크(270)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양방향으로 송, 수신함에 있어서, 하울링, 에코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다이오드(251-3)를 역방향으로 구성하면 송신 신호가 차단되므로 상대 통화자는 송신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없게 된다.
전술의 다중선택 스위치와 비밀통화 스위치는 비밀통화 및 다중선택 스위치(257-8)와 같이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단순한 설계변경으로 하나의 스위치인 비밀통화 및 다중선택 스위치(257-8)로 통합될 수 있다. 이는 비밀통화 및 다중선택 스위치(257-8)가 비밀통화로 스위칭 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260-2)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비밀 통화 출력부(255)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비밀통화 및 다중선택 스위치(257-8)가 비밀통화 스위치로 사용되도록 하고, 비밀통화 및 다중선택 스위치(257-8)가 비밀통화로 스위칭 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260-2)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좌측 혼합부(220-1) 및 우측 혼합부(22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스위칭 되도록 비밀통화 및 다중선택 스위치(257-8)가 다중선택 스위치로 사용되도록 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사운드 신호 제어부(250-5)의 동작을 회로적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 도면의 부호가 생략된 부분은 도 4를 참조하면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우선, 핸즈프리 폰 및 사운드 링커 선택 스위치(259)를 마이크부(251)와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253)를 병렬 연결하는 접지 노드의 반대 노드인 위치 1로 스위칭 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는 외부 음향기기로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다.
마이크부(251)는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265-1)에 연결된다. 마이크부(251)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부(251)를 통해 입력되면 사용자의 음성은 마이크부(251)에서 사운드 신호로 변환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265-1)에 입력된다.
비밀통화 및 다중선택 스위치(257-8)가 위치 2/위치 1로 스위칭 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265-1)으로부터 출력된 좌측(L) 사운드 신호/우측(R) 사운드 신호는 오디오 신호 발생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좌측(L) 오디오 신호/우측(R) 오디오 신호와 좌측(L) 혼합부/우측(R) 혼합부에서 혼합되어 좌측(L) 오디오 증폭부/우측(R) 오디오 증폭부를 통해 증폭되어 좌측(L) 출력부/우측(R) 출력부를 통해 출력된다. 따라서, 좌측(L) 오디오 신호/우측(R) 오디오 신호는 좌측(L) 사운드 신호/우측(R) 사운드 신호에 비해 신호의 전력 레벨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좌측(L) 오디오 증폭부/우측(R) 오디오 증폭부에 의해 증폭되어 스피커인 좌측 출력부(L)/우측(R)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어도 사용자에 거의 들리지 않게 되는 뮤트 현상이 일어난다. 또, 우측(R) 오디오 신호/좌측(L) 오디오 신호는 우측(R) 오디오 증폭부/좌측(L) 오디오 증폭부에 의해 증폭되어 스피커인 우측(R) 출력부/좌측(L)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면 일반적인 오디오 청취와 같이 사용자에 들려지도록 된다. 그 결과, 하나의 출력부를 통해서는 오디오 신호, 다른 하나의 출력부를 통해서는 사운드 신호를 들을 수 있다.
비밀통화 및 다중선택 스위치(257-8)가 위치 3으로 스위칭 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265-1)으로부터 출력된 좌,우측(L,R) 사운드 신호는 오디오 신호 발생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좌,우측(L,R) 오디오 신호와 좌,우측(L,R) 혼합부에서 혼합되고, 좌,우측(L,R) 오디오 증폭부에 의해 증폭되어 좌,우측(L,R) 출력부를 통해 출력된다. 따라서, 좌,우측 오디오 신호는 좌,우측 사운드 신호에 비해 신호 레벨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좌,우측 오디오 증폭부를 거쳐 스피커인 좌,우측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때 거의 들려지지 않게 되는 뮤트 현상이 일어나 좌,우측(L,R) 사운드 신호만 들려지게 된다.
비밀통화 및 다중선택 스위치(257-8)가 위치 4로 스위칭 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265-1)으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신호는 비밀통화 출력부(255)를 통해 출력되므로 이어폰 또는 헤드폰 등에 의해 들을 수 있다.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253)는 일단이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265-1)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접지(GND)에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가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253)를 스위칭 하는 순간에 접촉이 이루어지면 이동통신 단말기(260)와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253)를 연결하는 폐루프가 형성되어 전류가 이동통신 단말기(260)에 유입된다. 이동통신 단말기(260) 내의 마이크로프로세스(미도시)는 이 전류를 제어 신호로 감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동작 상태를 스위칭 하게 된다. 즉, 통화대기 모드에서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253)가 스위칭 되면 통화 모드로 스위칭 되고, 통화 모드에서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253)가 스위칭 되면 통화대기 모드로 스위칭 된다. 또, 이동통신 단말기(260)가 통화대기 모드인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사용자가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253)를 스위칭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60)의 마이크로프로세스에 미리 설정된 회수로 스위칭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프로세스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시간 내에 이동통신 단말기(260)에 연속적으로 입력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화대기 모드로부터 재발신 모드로 스위칭 되어 마지막으로 통화를 했던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게 된다.
그리고, 핸즈프리 폰 및 사운드 링커 선택 스위치(259)를 위치 2로 스위칭 하는 경우, 전체적으로 외부 음향기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제하지 않고 외부 오디오 기기로 MP3, DVD 등을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다. 즉,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운드 신호 입력단 및 사운드 신호 출력단을 가지지만 외부 오디오 기기는 사운드 신호 출력단이 좌,우측단으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으로 사용된 일단을 외부 오디오 기기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의 좌측단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외부 오디오 기기로 MP3을 가정하여 설명하면,MP3의 우측 사운드 신호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신호는, 도 4의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오디오 신호 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다중선택 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라 좌측 혼합부(220-1) 또는/및 우측 혼합부(220-2)에서 혼합된다. 그리고, MP3의 좌측 사운드 신호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신호는, 좌측 혼합부(220-1)에 직접적으로 입력되어 오디오 신호 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혼합된다.
따라서, 핸즈프리 폰 및 사운드 링커 선택 스위치(259)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외부 오디오 기기를 겸용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는 차량용 오디오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는 사운드 신호 제어부의 구성만으로, 즉 기존의 핸즈프리 폰 장치와 사운드 링커 장치에 구성되는 많은 회로부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기존의 핸즈프리 폰 장치의 기능은 물론 여러 부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 나타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음향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혼합하여 동시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미약한 신호가 거의 들려지지 않게 되는 뮤트 현상이 일어나서 신호 레벨이 높은 사운드 신호만 들리도록 할 수 있으며,복수개의 음향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다중 또는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음향기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약한 신호를 다시 증폭한 후 출력함으로써 전파가 약한 통화 불량 지역에서도 정상적인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속 주행시 발생되는 기존 핸즈프리 폰 장치의 통화중 단절, 하울링, 에코 현상이 감소되어 운전자가 운전자가 운전에만 전념할 수 사고 유발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7)

  1.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 발생부;
    사운드 신호를 외부 음향기기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외부 음향기기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의 경로 제어를 하는 사운드 신호 제어부;
    상기 오디오 신호 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상기 사운드 신호 제어부를 개재하여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혼합하여 혼합 사운드 신호를 형성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로부터 입력되는 혼합 사운드 신호를 증폭하는 오디오 증폭부; 및
    상기 오디오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혼합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발생부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라디오 수신부 또는 미디어를 재생하여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미디어 재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음향기기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는,
    상기 외부 음향기기에서 신호의 크기가 증폭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음향기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신호 제어부는,
    일단이 상기 외부 음향기기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접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음성을 사운드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 음향기기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으로 출력하는 마이크부;
    일단이 상기 외부 음향기기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접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음향기기의 동작 상태를 통화 모드 또는 통화대기 모드로 스위칭 하는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 및
    상기 외부 음향기기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상기 혼합부 또는 비밀통화 출력부로 스위칭 하는 비밀 통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는,
    택트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부는,
    일단이 상기 외부 음향기기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에 연결되는 저항; 및
    일단이 상기 저항에 직렬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접지되어 있으며, 음성을 사운드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은,
    가변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부는,
    애노드가 상기 저항의 상기 다른 일단에 직렬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마이크의 상기 일단에 직렬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부는, 
    애노드가 상기 외부 음향기기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저항의 상기 일단에 직렬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좌측 혼합부 및 우측 혼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신호 제어부는,
    일단이 상기 비밀 통화 스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좌측 혼합부 및 우측 혼합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음향기기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좌측 혼합부 및 우측 혼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스위칭 하는 다중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 통화 스위치와 상기 다중선택 스위치는 하나의 스위치로 통합되어,
    스위치가 비밀통화로 스위칭 되는 경우에는, 상기 외부 음향기기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상기 비밀 통화 출력부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비밀통화 스위치로 사용되도록 하고,
    스위치가 비밀통화로 스위칭 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좌측 혼합부 및 우측 혼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스위칭 되도록 다중선택 스위치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신호 제어부는,
    일단이 상기 외부 음향기기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마이크부, 또는 상기 좌측 혼합부 및 우측 혼합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스위칭 되는 핸즈프리 폰 및 사운드 링커 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폰 및 사운드 링커 선택 스위치가 상기 좌측 혼합부 및 우측 혼합부 중 어느 하나에 스위칭 되어 상기 외부 음향기기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이 상기 좌측 혼합부 및 우측 혼합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외부 음향기기는 외부 오디오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1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는,
    상기 외부 음향기기가 통화대기 모드인 상태에서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를 스위칭 하여 미리 설정된 회수의 스위칭 신호가 소정의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상기 외부 음향기기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외부 음향기기의 동작 상태를 통화대기 모드로부터 재발신 모드로 스위칭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17. 음향기기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여 제어하는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접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음성을 사운드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으로 출력하는 마이크부;
    일단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접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통화 모드 또는 통화대기 모드로 스위칭 하는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상기 음향기기의 혼합부 또는 비밀통화 출력부로 스위칭 하는 비밀 통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는,
    택트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부는,
    일단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에 연결되는 저항; 및
    일단이 상기 저항에 직렬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접지되어 있으며, 음성을 사운드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은,
    가변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부는,
    애노드가 상기 저항의 상기 다른 일단에 직렬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마이크의 상기 일단에 직렬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부는,
    애노드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저항의 상기 일단에 직렬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기기의 혼합부는 좌측 혼합부 및 우측 혼합부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비밀 통화 스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좌측 혼합부 및 우측 혼합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으로부터출력된 사운드 신호를 상기 좌측 혼합부 및 우측 혼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스위칭 하는 다중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 통화 스위치와 상기 다중선택 스위치는 하나의 스위치로 통합되어,
    스위치가 비밀통화로 스위칭 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상기 비밀 통화 출력부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비밀통화 스위치로 사용되도록 하고,
    스위치가 비밀통화로 스위칭 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신호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좌측 혼합부 및 우측 혼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스위칭 되도록 다중선택 스위치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마이크부, 또는 상기 좌측 혼합부 및 우측 혼합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스위칭 되는 핸즈프리 폰 및 사운드 링커 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폰 및 사운드 링커 선택 스위치가 상기 좌측 혼합부 및 우측 혼합부 중 어느 하나에 스위칭 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신호 입력단이 상기 좌측 혼합부 및 우측 혼합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경우,
    외부 오디오 기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신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
  27.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대기 모드인 상태에서 통화 모드 절환 스위치를 스위칭 하여 미리 설정된 회수의 스위칭 신호가 소정의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통화대기 모드로부터 재발신 모드로 스위칭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
KR10-2003-0057829A 2002-09-12 2003-08-21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및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 KR100469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213 2002-09-12
KR1020020055213 2002-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453A true KR20040024453A (ko) 2004-03-20
KR100469919B1 KR100469919B1 (ko) 2005-02-21

Family

ID=3194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829A KR100469919B1 (ko) 2002-09-12 2003-08-21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및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50190932A1 (ko)
JP (1) JP2004104806A (ko)
KR (1) KR100469919B1 (ko)
CN (1) CN1495070A (ko)
AU (1) AU2003258858A1 (ko)
DE (1) DE10341792A1 (ko)
FR (1) FR2844667B1 (ko)
TW (1) TWI226204B (ko)
WO (1) WO200402582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8188B2 (en) 2007-01-16 2011-12-13 Qualcomm Incorporated User selectable audio mixing
US8265782B2 (en) 2005-09-29 2012-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having multi-audio output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7948B2 (en) 2002-04-09 2007-03-06 Skullcandy, Inc. Personal portable integrator for music player and mobile phone
US20050111672A1 (en) * 2003-11-25 2005-05-26 Chen-Lee Chen Speaker matcher for use of multiple rooms
US7079026B2 (en) * 2003-12-31 2006-07-1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apparatus of karaoke storage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DE602005023868D1 (de) * 2005-08-29 2010-11-11 Scullcandy Inc Vorrichtung zum Tragen von Audio- und Telefoneinrichtungen
US20070154052A1 (en) * 2006-01-04 2007-07-05 Sync1 Noise cancelling cable assembly
KR100744301B1 (ko) * 2006-06-01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휴대 단말기및 그 방법
US7555354B2 (en) * 2006-10-20 2009-06-30 Creative Technolog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patial reformatting of multi-channel audio content
CN101009950B (zh) * 2006-12-30 2010-11-03 华南理工大学 一种连续处理式混合音频盲分离装置
US20080183755A1 (en) * 2007-01-31 2008-07-3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for storing an alert file by converting the alert file to a lower complexity file format and using the converted alert file to generate an alert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KR100889478B1 (ko) * 2007-11-23 2009-03-19 정원섭 다중 음상을 갖는 음향 장치
JP2010119019A (ja) * 2008-11-14 2010-05-27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端末、音声出力制御方法及び音声出力制御プログラム
CN108566591B (zh) * 2018-06-29 2024-02-27 宁波东源音响器材有限公司 音频处理电路、音响系统及播放立体声或混合声的方法
KR102660660B1 (ko) * 2019-07-25 2024-04-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라디오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외부 전자 장치를 이용한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8432A (en) * 1981-04-25 1982-11-02 Pioneer Electronic Corp Audio device for car
US4491694A (en) * 1981-10-23 1985-01-01 Michael Harmeyer Telephone to stereo amplifier interface coupling
FI107002B (fi) * 1994-01-13 2001-05-15 Nokia Mobile Phones Ltd Matkapuhelimen kädet vapaana- eli HF-laitteisto
JP3046203B2 (ja) * 1994-05-18 2000-05-29 三菱電機株式会社 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
JP2928754B2 (ja) * 1995-02-22 1999-08-03 三星電子株式会社 電話機能付きコンピュータ接続装置
JPH10507052A (ja) * 1995-03-04 1998-07-07 モルド−テック プラスティックス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ラジオインターフェースに対する外部通信ソース
KR100187194B1 (ko) * 1995-12-30 1999-05-15 김광호 핸즈프리시의 볼륨 자동 조절방법
DE19619815A1 (de) * 1996-05-17 1997-11-20 Bosch Gmbh Robert Rundfunkempfänger mit integrierter Fernsprecheinrichtung
AUPO439996A0 (en) * 1996-12-24 1997-01-23 Marrakech Pty. Limited Audio integrator module
US6058319A (en) * 1997-03-05 2000-05-02 Ericsson, Inc. Cassette adapter for mobile telephones
US6007328A (en) * 1997-04-16 1999-12-28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Flame jet impingement heat transf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ing radial jet reattachment flames
US6101403A (en) * 1997-07-25 2000-08-08 Cortron Corporation Adapter and signal transmission cable for mobile telephone
US6801630B1 (en) * 1997-08-22 2004-10-05 Yamaha Corporation Device for and method of mixing audio signals
US6154666A (en) * 1997-12-20 2000-11-28 Ericsson, Inc. Wireless communications assembly with variable audio characteristics based on ambient acoustic environment
US6230029B1 (en) * 1998-01-07 2001-05-08 Advanced Mobile Solutions, Inc. Modular wireless headset system
US6078825A (en) * 1998-02-20 2000-06-20 Advanced Mobile Solutions, Inc. Modular wireless headset system for hands free talking
KR100524056B1 (ko) * 1998-03-09 200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2웨이 스피커 시스템
JP3042681B2 (ja) * 1998-04-15 2000-05-15 怡利電子工業股▲ひん▼有限公司 自動車音響装置のスピーカと結合した携帯電話握持不要受話器
US6131042A (en) * 1998-05-04 2000-10-10 Lee; Chang Combination cellular telephone radio receiver and recorder mechanism for vehicles
KR20000026077A (ko) * 1998-10-17 2000-05-06 전주범 핸즈프리 카오디오 장치
US6304764B1 (en) * 1999-01-06 2001-10-16 Priority Tech, Inc. Hands-free cellular phone kit
US6163690A (en) * 1999-02-04 2000-12-19 Ericsson Inc. Communications accessory with improved vehicle ignition sense
US6349223B1 (en) * 1999-03-08 2002-02-19 E. Lead Electronic Co., Ltd. Universal hand-free system for cellular phones in combination with vehicle's audio stereo system
US6397086B1 (en) * 1999-06-22 2002-05-28 E-Lead Electronic Co., Ltd. Hand-free operator capable of infrared controlling a vehicle's audio stereo system
US7031474B1 (en) * 1999-10-04 2006-04-18 Srs Labs, Inc. Acoustic correction apparatus
US6697638B1 (en) * 1999-10-29 2004-02-24 Denso Corporation Intelligent portable phone with dual mode operation for automobile use
US6339696B1 (en) * 1999-11-05 2002-01-15 Magnadyne Corporation In-vehicle audio/video system
JP2001333161A (ja) * 2000-05-18 2001-11-30 Nec Corp 携帯端末
GB0014328D0 (en) * 2000-06-12 2000-08-0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Portable audio devices
US6928168B2 (en) * 2001-01-19 2005-08-09 Nokia Corporation Transparent stereo widening algorithm for loudspeakers
US7451006B2 (en) * 2001-05-07 2008-11-11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ound processing system using distortion limiting techniques
US6687517B2 (en) * 2001-05-16 2004-02-03 Nokia Corporation Hands-free operation of mobile termina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link
US7272232B1 (en) * 2001-05-30 2007-09-18 Palmsourc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ioritizing and balancing simultaneous audio outputs in a handheld device
US6892051B2 (en) * 2001-06-25 2005-05-10 Cingular Wireless Ii,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dapter module
US6636749B2 (en) * 2001-06-25 2003-10-21 At&T Wireless Ser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and wireless protocol capability to a wireless device, such as a wireless phone
KR20030039560A (ko) * 2001-11-13 2003-05-22 주식회사 디에스아이통신 핸즈프리 기능을 가진 차량용 오디오/비디오 시스템
US7096047B2 (en) * 2001-11-30 2006-08-22 Motorola, Inc. Electronic audio accessory for use with automotive stereo loudspeakers
KR200272015Y1 (ko) * 2002-01-05 2002-04-12 주식회사 엔쓰리코퍼레이션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의제어장치
US7117021B2 (en) * 2002-05-15 2006-10-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luetooth cassette-like device for a hands-free cell-phone k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5782B2 (en) 2005-09-29 2012-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having multi-audio output function
US8078188B2 (en) 2007-01-16 2011-12-13 Qualcomm Incorporated User selectable audio mix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58858A1 (en) 2004-04-30
WO2004025829A1 (en) 2004-03-25
CN1495070A (zh) 2004-05-12
FR2844667A1 (fr) 2004-03-19
DE10341792A1 (de) 2004-04-08
KR100469919B1 (ko) 2005-02-21
US20050190932A1 (en) 2005-09-01
JP2004104806A (ja) 2004-04-02
FR2844667B1 (fr) 2006-01-13
TW200412815A (en) 2004-07-16
TWI226204B (en) 2005-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31094B1 (en) Integrated cellular telephone and vehicular audio system
US6519475B1 (en) Earphone-microphone combination including a radio module and method of shifting its operational mode between telephone mode and radio mode
KR100469919B1 (ko)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및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
CA2765048C (en) Land mobile radio and adapter for use with standard mobile phone headset
JP3159321B2 (ja) 携帯電話機
JP3398699B2 (ja) 携帯端末装置
US7096047B2 (en) Electronic audio accessory for use with automotive stereo loudspeakers
US20030076952A1 (en) Ear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eiving telephone calls
CN111294702B (zh) 音频控制系统和音频系统
JP2007036908A (ja) 音声出力装置
KR100310345B1 (ko)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부와 폰부로 구성된 복합휴대폰에서 듀얼 이어폰을 이용한 이중모드 동시 수행 회로 및 방법
JP2894882B2 (ja) 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
JPH09247249A (ja) 携帯電話機
JPH0737398Y2 (ja) 通話切替機能付きオーディオ出力装置
JPH11150798A (ja) 車載ステレオ装置
KR200214854Y1 (ko) 카오디오를 이용한 핸드프리장치
KR100541763B1 (ko) 4극 이어-마이크 세트를 이용한 두 채널 음성 통화 장치
KR20030003646A (ko) 다기능 음성신호 제어장치
KR200186229Y1 (ko) 자동 전환 특징을 구비한 이동 전화용 핸즈 프리 장치
KR100469846B1 (ko) 헬멧라디오의 핸즈프리장치
KR20020092641A (ko) 다기능 음성신호 제어장치
KR20000038167A (ko) 전화모드 전환기능을 구비한 카오디오 장치
JPH0260269A (ja) ハンドフリー通話回路
KR20010064447A (ko) 핸드프리 기능을 갖는 카오디오
KR20050003301A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