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015Y1 -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의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의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015Y1
KR200272015Y1 KR2020020000328U KR20020000328U KR200272015Y1 KR 200272015 Y1 KR200272015 Y1 KR 200272015Y1 KR 2020020000328 U KR2020020000328 U KR 2020020000328U KR 20020000328 U KR20020000328 U KR 20020000328U KR 200272015 Y1 KR200272015 Y1 KR 2002720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volume
microprocessor
car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쓰리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쓰리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쓰리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020000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0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0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015Y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피커에서 음향신호를 출력하며, 방송국 채널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함과 동시에 제조회사가 다른 이동전화기의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을 설정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카 오디오세트와, 상기 카 오디오세트의 키보드에 의해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 제어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상기 오디오용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연산처리하여 출력되는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데이터에 포함된 정전기를 흡수하는 제1 정전기 흡수수단과, 상기 제1 정전기 흡수수단에서 정전기가 흡수된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데이터를 받음과 동시에, 상기 오디오용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연산처리하여 출력되는 이동전화기 모드신호를 받아서 연산처리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카 오디오 세트의 전원부로 부터 DC전원이 인가되었을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동작을 안정화시키도록 초기화시키는 리셋수단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데이터 및 이동전화기 모드신호를 받아 이동전화기에 볼륨레벨이 동기되도록 연산처리하여 출력되는 RX입력 볼륨제어신호, RX출력 볼륨제어신호, TX출력 볼륨신호 및 RX출력 볼륨신호를 받아서 저장하는 EEPROM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TX 볼륨 제어신호 및 RX볼륨 제어신호를 받아 이동전화기에 볼륨레벨이 동기되도록 볼륨레벨을 설정하는 디지털신호 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각각의 회사에서 제조된 이동전화기에 호환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회사에서 제조된 이동전화기의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을 조절해서 이동전화기의 제조회사가 달라도 모든 이동전화기에 공통으로 사용할 있다.

Description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의 제어장치{UNIVERSAL HANDS FREE KIT FOR MOBILE PHONE UTLIZING CAR AUDIO SET}
본 고안은 카 오디오 셋에 내장되어 있는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핸즈 프리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카 오디오 셋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미리 정의된 이동전화기의 각 모델에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서 이동전화기의 TX볼륨 및 RX볼륨을 사용자의 이동전화기에 매칭시킬 수 있는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 키트의 제어장치로서는 실용신안등록제229983호(등록일 : 2001년 4월27일)로 등록된 것이 있다.
동 실용신안등록 제229983호에 개시되어 있는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 키트의 제어장치(11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전화기으로 부터 수신데이터(RXD)를 받아서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토콜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일치할 경우에 통화가능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에 의해서 프로토콜이 일치한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1)를 스탠 바이(stand-by)시키도록 이동전화기로 부터 출력되는 바이어스 신호(파워 온(P-ON)신호)를 바이어스저항(R1)을 통해 받아 도통되는 트랜지스터(Q1)와, 전화를 걸어서 접속되었을 경우에 상기 마이크(132)로 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해서 이동전화기에 출력하는 제1 및 제2 증폭기(112,113)와, 통화시에 음성신호를 일정레벨로 차동증폭하는 차동증폭기(114)와, 상기 차동증폭기(114)에서 증폭된 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스위치(VR)와, 상기 볼륨스위치(VR)에서 볼륨이 조절된 신호를 받아서 스피커(122)를 통해서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일정레벨로 오디오 증폭하는 오디오증폭기(115)와, 통화시에 상기 스피커(122)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이 상기 마이크(132)에 입력되지 않도록 상기 마이크(132)에 입력된 스피커(122)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접지로 바이패스하는 에코음 제거부(116)와, 통화중임을 표시하도록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에코음 제거부(116)는 상기 차동증폭기(114)에서 출력되는 통화신호(음향신호)를 받아 DC성분을 차단하는 제1 커플링 캐패시터(C1)와, 제1 커플링 캐패시터(C1)를 통과한 오디오 신호(AC성분)를 바이어스저항(R2,R3)을 통해 베이스단자에서 받아 증폭하는 증폭트랜지스터(Q2)와, 상기 증폭트랜지스터(Q2)에 의해 증폭된 음성통화신호중에서 DC성분을 차단하고 AC성분을 통과시키는 제2 커플링 캐패시터(C2)와, 상기 제2 커플링 캐패시터(C2)를 통과한 AC 성분의 신호를 전파정류하는 전파정류기(D1,D2)와, 상기 전파정류기(D1,D2)에서 전파정류된 신호를 출력저항(R5)을 통해 받아 평활화시키는 평활캐패시터(C3)와, 상기 평활캐패시터(C3)에서 평활화된 신호를 바이어스저항(R6,R7)을 통해 베이스 단자에서 받아 스위칭 온되어 상기 스피커(122)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마이크(132)에서 입력받아 제1 증폭기(112)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신호를 저항(R8)을 통해 접지로 바이패스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118은 발진기이고, 110a는 안테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핸즈 프리 키트의 제어장치(110)는 이동전화기(100)가 콘넥터(10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이동전화기(100)로 부터 콘넥터(101)의 ①번 단자를 통해서 +5V의 직류전원이 공급됨과 동시에, 콘넥터(101)의 ⑤번 단자를 통해서 수신데이터(RXD ;Receive Data)가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에 입력되며, 수신데이터(RXD)를 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에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프로토콜과 상기 수신데이터(RXD)의 프로토콜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하여 동일할 경우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에서 프로토콜이 동일하다는 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송신데이터(TXD ;Transitter Data)가 콘넥터(101)의 ④번 단자를 통해서 이동전화기(100)에 출력하여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전화기(100)를 사용하여 전화를 걸어 상대방을 호출해서 통화가 연결되면, 마이크(132)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며, 상기 마이크(132)에서 음성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마이크(132)에서 전기적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TXA)는 제1 및 제2 증폭기(112,113)에서 증폭해서 콘넥터(101)의 ⑥번 단자를 통해서 오디오출력신호(TXA)를 이동전화기에 출력하며, 이동전화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기지국을 통해서 상대방의 전화기에 송신한다.
그리고, 상대방의 전화기에서 보내는 음향신호(RXA)는 수신측 이동전화기(100)에서 수신되어 콘넥터(101)의 ⑧번 단자를 통해 제어장치(110)의 차동증폭기(114)에서 일정레벨로 차동증폭하고, 볼륨스위치(VR)에서 볼륨이 조절되어 오디오증폭기(115)에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증폭기(115)에서는 볼륨스위치(VR)에서 볼륨이 조절된 수신신호를 일정레벨로 오디오 증폭하여 스피커(122)에 출력하며 스피커(122)에서 음성으로 출력한다.
한편, 스피커(122)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마이크(132)로 입력되어 수신자의 스피커(122)에 다시 출력됨으로서 에코음에 의해 통화감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코음 제거부(116)의 스위칭 트랜지스터(Q3)를 도통시켜서 제1 증폭기(112)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스피커(122)에서 출력된 음성신호 성분을 저항(R8)을 통해 접지로 바이패스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에코음 제거부(116)의 제1 커플링 캐패시터(C1)에서는 상기 차동증폭기(114)에서 출력되는 통화신호(수신된 상대방 음성신호)를 받아 DC성분을 차단하여 바이어스저항(R2,R3)을 통해 증폭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에 인가하여 증폭트랜지스터(Q2)에서 일정레벨로 증폭하여 제2 커플링 캐패시터(C2)에 출력하며, 상기 제2 커플링 캐패시터(C2)에서는 상기 증폭트랜지스터(Q2)에서 증폭된 음성통화신호 중에서 DC성분을 차단하고 AC성분을 통과시킨다.
상기 제2 커플링 캐패시터(C2)를 통과한 AC성분의 신호는 전파정류기(D1,D2)에서 전파정류되어 출력저항(R5)을 통해서 평활캐패시터(C3)에 출력되며, 평활캐패시터(C3)에서 평활화되어 바이어스저항(R6,R7)을 통해서 스위칭 트랜지스터(Q3)를 도통시시킴으로서, 스피커(122)에서 출력되어 마이크(132)로 입력되고 제1 증폭기(112)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신호를 저항(R8)을 통해 접지로 바이패스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종래의 핸즈 프리 키트의 제어장치(110)는 사용자가 이동전화기(단말기)를 직접 손에 쥐지 않고서도 휴대폰과 연결된 스피커와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입력 및 출력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각각의 회사에서 제조된 이동전화기의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레벨을 맞출 수가 없어 이동전화기를 교체하였을 경우에는 이동전화기 제조회사의 이동전화기에 매칭할 수 있는 핸즈 프리 키트의 제어장치를 교체하여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각각의 회사에서 제조된 이동전화기에 호환시킬 수 있는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회사에서 제조된 이동전화기의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을 조절해서 이동전화기의 제조회사가 달라도 공통으로 사용할 있는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스피커에서 음향신호를 출력하며, 방송국 채널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함과 동시에 제조회사가 다른 이동전화기의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을 설정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카 오디오세트와, 상기 카 오디오세트의 키보드에 의해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 제어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상기 오디오용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연산처리하여 출력되는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데이터에 포함된 정전기를 흡수하는 제1 정전기 흡수수단과, 상기 제1 정전기 흡수수단에서 정전기가 흡수된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데이터를 받음과 동시에, 상기 오디오용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연산처리하여 출력되는 이동전화기 모드신호를 받아서 연산처리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카 오디오 세트의 전원부로 부터 DC전원이 인가되었을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동작을 안정화시키도록 초기화시키는 리셋수단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데이터 및 이동전화기 모드신호를 받아 이동전화기에 볼륨레벨이 동기되도록 연산처리하여 출력되는 RX입력 볼륨제어신호, RX출력 볼륨제어신호, TX출력 볼륨신호 및 RX출력 볼륨신호를를 받아서 저장하는 EEPROM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TX 볼륨 제어신호 및 RX볼륨 제어신호를 받아 이동전화기에 볼륨레벨이 동기되도록 볼륨레벨을 설정하는 디지털신호처리수단과, 이동전화기를 통해서 상대방을 호출할 때에 상기 카 오디오 세트의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디지털신호처리수단에서 디지털처리된 신호를 받아서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제1 노이즈 필터와,
상기 제1 노이즈 필터에서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받아서 일정레벨로 증폭해서 이동전화기로 출력하는 제1 증폭부와, 상기 음향신호 검출부에서 음향신호를 검출하거나 상기 이동전화기 및 카 오디오 세트의 키보드의 버튼누룸 신호의 입력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바이어스신호를 받아서 일정시간(예를 들면 100㎳ 동안) 스위칭 온되어 통화가능 상태를 유지하는 토크스위치와,상기 이동전화기의 안테나를 통해 들어오는 수신신호를 받아서 정전기를 흡수하는 제2 정전기 흡수수단과, 상기 제2 정전기 흡수수단에서 정전기가 흡수된 수신신호를 받아서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제2 증폭부와, 상기 제2 증폭부에서 일정 레벨로 증폭된 신호를 받아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RX입력 제어신호에 의해 3.3dB로 RX입력 볼륨을 제어하는 RX 입력 볼륨 제어수단과, 상기 RX 입력 볼륨 제어수단에서 3.3dB로 RX입력 볼륨이 제어된 수신신호를 받아서 일정레벨로 증폭함과 동시에 DC성분을 차단하고, AC성분의 수신신호를 출력하는 제3 증폭부와, 상기 제3 증폭부의 DC커플러에서 출력되는 증폭된 수신신호의 이득을 제어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에 출력하는 자동이득 제어수단과, 상기 자동이득 제어수단에 의해 자동이득이 제어된 수신신호에서 음향신호를 검출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입력하는 음향신호 검출부와, 상기 자동이득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받아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에서 신호처리하여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받아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제2 필터와, 상기 제2 필터에서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받아서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제4 증폭부와, 상기 제4 증폭부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신호를 받아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RX출력 볼륨을 1.5dB로 낮추어서 출력하는 RX출력 볼륨 제어수단과, 상기 RX출력 볼륨 제어수단에서 1.5dB로 낮추어서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받아 정전기를 흡수하여 카 오디오 세트의 스피커를 통해서 수신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제3 정전기 흡수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카 오디오세트 201:전원부
203:마이크 205:오디오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209:키보드 210:제1 정전기 흡수수단
220:마이크로 프로세서 230:리셋수단
335:제3 증폭부 240:EEPROM
250:디지털신호 처리수단 260:제1 노이즈필터
270:제1 증폭부 280:토크스위치
290:이동전화기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는 스피커(207)에서 음향신호를 출력하며, 방송국 채널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함과 동시에 제조회사가 다른 이동전화기의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을 설정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카 오디오세트(200)와, 상기 카 오디오세트(200)의 키보드(209)에 의해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 제어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상기 오디오용 마이크로 프로세서(205)에서 연산처리하여 출력되는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데이터(예를 들면, 클록, 데이터, 인에이블신호)에 포함된 정전기를 흡수하는 제1 정전기 흡수수단(210)과, 상기 제1 정전기 흡수수단(210)에서 정전기가 흡수된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데이터를 받음과 동시에, 상기 오디오용 마이크로 프로세서(205)에서 연산처리하여 출력되는 이동전화기 모드신호를 받아서 연산처리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와, 상기 카 오디오 세트(200)의 전원부(201)로 부터 DC전원이 인가되었을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의 동작을 안정화시키도록 초기화시키는 리셋수단(230)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서 출력되는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데이터 및 이동전화기 모드신호를 받아 이동전화기에 볼륨레벨이 동기되도록 연산처리하여 출력되는 RX입력 볼륨제어신호, RX출력 볼륨제어신호, TX출력 볼륨신호 및 RX출력 볼륨신호를를 받아서 저장하는 EEPROM(240 ; ELECTRICALLY ERAS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서 출력되는 TX 볼륨 제어신호 및 RX볼륨 제어신호를 받아 이동전화기에 볼륨레벨이 동기되도록 볼륨레벨을 설정하는 디지털신호 처리수단(25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는 이동전화기를 통해서 상대방을 호출할 때에 상기 카 오디오 세트(200)의 마이크(203)를 통해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수단(250)에서 처리된 신호를 받아서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제1 노이즈 필터(260)와, 상기 제1 노이즈 필터(260)에서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받아서 일정레벨로 증폭해서 이동전화기(290)로 출력하는 제1 증폭부(270)와, 상기 음향신호 검출부(350)에서 음향신호를 검출하거나 상기 이동전화기(290) 및 카 오디오 세트(200)의 키보드의 버튼누룸 신호의 입력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의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바이어스신호를 받아서 일정시간(예를 들면 100㎳ 동안) 스위칭 온되어 통화가능 상태를 유지하는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 토크스위치(28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는 상기 이동전화기(290)의 안테나(290a)를 통해 들어오는 수신신호를 받아서 정전기를 흡수하는 제2 정전기 흡수수단(310)과, 상기 제2 정전기 흡수수단(310)에서 정전기가 흡수된 수신신호를 받아서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제2증폭부(320)와, 상기 제2 증폭부(320)에서 일정 레벨로 증폭된 신호를 받아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서 출력되는 RX입력 제어신호에 의해 3.3dB로 RX입력 볼륨을 제어하는 RX 입력 볼륨 제어수단(330)과, 상기 RX 입력 볼륨 제어수단(330)에서 3.3dB로 RX입력 볼륨이 제어된 수신신호를 받아서 일정레벨로 증폭함과 동시에 DC성분을 차단하고, AC성분의 수신신호를 출력하는 제3 증폭부(335)와, 상기 제3 증폭부(335)의 DC커플러(C17)에서 출력되는 증폭된 수신신호의 이득을 제어해서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수단(250)에 출력하는 자동이득 제어수단(340)과, 상기 자동이득 제어수단(340)에 의해 자동이득이 제어된 수신신호에서 음향신호를 검출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 입력하는 음향신호 검출부(350)와, 상기 자동이득 제어수단(340)에서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받아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수단(250)에서 신호처리하여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받아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제2 필터(360)와, 상기 제2 필터(360)에서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받아서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제4 증폭부(370)와, 상기 제4 증폭부(370)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신호를 받아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서 출력되는 RX출력 볼륨을 1.5dB로 낮추어서 출력하는 RX출력 볼륨 제어수단(380)과, 상기 RX출력 볼륨 제어수단(380)에서 1.5dB로 낮추어서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받아 정전기를 흡수하여 카 오디오 세트(200)의 스피커(207)를 통해서 수신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제3 정전기 흡수수단(39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카 오디오 세트(200)는 각 구성요소에 DC전원을 인가하는 DC전원부 (201)와, 사용자의 음향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203)와, 상기 DC전원부(201)에서인가되는 DC전원을 받아서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음향신호, 음향저장매체(카세트, CD(Compact Disc)에 저장된 음향신호 또는 수신된 통화신호를 받아서 연산처리하는 오디오용 마이크로 프로세서(205)와, 상기 오디오용 마이크로 프로세서(205)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207)와, 상기 오디오용 마이크로 프로세서(205)에 방송국 채널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숫자키(209c)를 가짐과 동시에, 제조회사가 다른 이동전화기의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을 설정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프로그램모드 키(209a;PGM)를 가지며, 핸즈프리를 통해 통화를 연결시키는 핸즈프리설정 키(209b;HFK)를 가진 키보드(20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노이즈 필터(260)는 마이크로폰 잭(151)에 접속된 마이크(203)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수단(250)을 통해 받아서 노이즈를 접지로 바이패스하는 캐패시터(C1,C2)와, 상기 캐패시터(C1,C2)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음향신호를 저항(R1)을 통해 받아서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제1 증폭기(262)와, 상기 제1 증폭기(262)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음향신호를 저항(R2)을 통해 받아 노이즈를 접지로 바이패스해서 필터링하는 캐패시터(C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증폭부(270)는 상기 제1 노이즈 필터(260)의 캐패시터(C3)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음향신호를 받아서 DC성분을 차단하고, AC성분의 음향신호를 통과시키는 DC커플러(C4)와, 바이어스전압 발생수단(272)으로 부터 바이어스전압을 인가받아서 상기 DC 커플러(C4)를 통해서 출력되는 AC성분의 음향신호를 저항(R3)을 통해 받아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제1 증폭수단(274)과, 상기 제1 증폭수단(274)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받아 DC성분을 차단하고, AC성분의 음향신호만을 통과시키는 DC커플러(C5)와, 상기 바이어스전압 발생수단(272)으로 부터 바이어스전압을 저항(R6)을 통해 인가받음과 동시에, 상기 DC 커플러(C5)를 통해서 출력되는 AC성분의 음향신호를 저항(R7)을 통해 받아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제2 증폭수단(276)과, 상기 제2 증폭수단(276)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받아 DC성분을 차단하고, AC성분의 음향신호만을 통과시키는 DC커플러(C6)와, 상기 DC커플러(C6)에서 출력되는 AC성분의 음향신호를 토크스위치(280)의 스위칭 온시에 이동전화기(290)로 출력하는 출력저항(R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증폭부(270)의 바이어스전압 발생수단(272)은 +5V 전압을 분주하는 분주저항(R4,R5)과, 상기 분주저항(R4,R5)에서 분주된 전압을 비교하여 +2V의 전압을 출력하는 비교기(272a)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증폭부(320)는 상기 이동전화기(290)의 안테나(290a)를 통해서 수신된 신호를 받아 제2 정전기 흡수수단(310)에서 정전기 흡수시킨 수신신호를 받아서 DC성분을 차단하고 AC성분만을 통과시키는 DC커플러(C7)와, 상기 제1 증폭부(270)의 바이어스전압 발생수단(272)에 연결되어 바이어스전압을 저항(R6)을 통해 출력되는 전원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DC 커플러(C8)와, 상기 DC커플러(C7)에서 출력되는 AC 성분의 수신신호를 저항(R9)를 통해 반전단자(-단자)에서 받음과 동시에, 상기 DC 커플러(C8)에서 출력되는 바이어스전압을 저항(R11)을 통해 받아서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증폭기(322)와, 상기 증폭기(324)에서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받아서 DC성분의 신호를 차단하고 AC성분의 수신신호를 출력하는 DC커플러(C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노이즈필터(322)는 저항(R10)과 캐패시터(C9)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RX 입력 볼륨 제어수단(330)은 상기 제2 증폭부(320)의 DC커플러(C10)에서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저항(R13)(R14)을 통해 받아 3.3dB로 감쇠시켜서 출력하도록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서 출력되는 RX입력볼륨신호(ⓑ)를 바이어스저항(R12)을 통해 받아서 도통(스위칭 온)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와,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의 드레인단자에서 출력되는 3.3dB의 수신신호를 받아서 DC성분 차단하고, AC성분을 상기 제3 증폭부(335)의 저항(R15)을 통해서 증폭기(335a)에 출력하는 DC커플러(C1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3 증폭부(335)는 상기 RX 입력 볼륨 제어수단(330)의 DC커플러(C11)에서 출력되는 3.3dB의 수신신호를 저항(R15)을 통해 받아서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증폭기(335a)와, 상기 는 증폭기(335a)에서 출력되는 일정레벨로 증폭된 수신신호를 받아 DC성분을 차단하고, AC성분의 수신신호를 출력하는 DC커플러(C1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음향신호 검출부(350)는 상기 제3 증폭부(335)의 DC커플러(C17)에서 출력되는 수신신호에 음향검출신호(ⓒ)가 있을 경우 핸즈프리 셋으로 자동연결되도록 상기 자동이득 제어수단(340)에서 이득이 제어된 신호를 저항(R16)을 통해 받아 증폭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 음향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증폭기(350a)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필터(360)는 상기 자동이득 제어수단(340)에서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받아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수단(250)에서 신호처리하여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받아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필터수단(362)과, 상기 필터수단(362)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수신신호를 저항(R18,R19)을 통해 받아 일정레벨로 증폭해서 상기 제4 증폭부(370)에 출력하는 증폭기(36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필터(360)에서 C13은 노이즈를 접지로 바이패스하는 캐패시터이다.
상기 제4 증폭부(370)는 상기 제2 필터(360)의 증폭기(364)에서 출력되는 증폭된 신호를 받아 DC 성분을 차단하고 AC성분의 수신신호를 출력하는 DC커플러(C14)와, 상기 DC커플러(C14)에서 출력되는 AC성분 수신신호를 반전단자(-)에서 받음과 동시에, 상기 제2 필터(360)의 저항(R18,R19)을 통해서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바이어스저항(R20,R21,R22)을 통해서 비반전단자(+)에서 받아 차신호를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증폭기(372)와, 상기 증폭기(372)에서 출력되는 증폭된 수신신호를 받아 DC성분을 차단하고, AC성분의 수신신호를 RX출력볼륨제어수단(380)에 출력하는 DC커플러(C1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RX출력 볼륨 제어수단(380)는 상기 제4 증폭부(370)의 DC커플러(C15)에서 DC성분이 차단된 일정레벨로 증폭된 신호를 저항(R24,R25)을 받아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서 출력되는 RX출력 볼륨신호를 바이어스저항(R26)을 통해 게이트단자에서 받아서 도통되어 1.5dB로 낮추어서 출력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FET2)와,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2)의 콜렉터 단자에서 출력되는 1.5dB의 수신신호를 감쇠시키는 감쇠기(37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감쇠기(372)는 캐패시터(C16)와 저항(R27)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DC 전원부(201)는 마이크 잭(203a)에 마이크가 삽입되면 2 내지 3Vdc의전압을 바이어스저항(R27,R28)을 통해 베이스단자에 인가되어 도통되는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Q2)와, 상기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Q2)의 도통시에 바이어스저항 (R29,R30)을 통해서 바이어스전압을 받아 도통되는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Q3)와,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Q3)의 도통시에 상기 2 내지 3Vdc의 전압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필터링하도록 캐패시터(C18,C19,C20,C21)와 인덕터(L1)로 구성된 필터(201a)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DC 전원부(201)에서 C22는 상기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는 바이어스전압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캐패시터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카 오디오세트(200)의 키보드(209)에서 프로그램모드 키(209a)를 누른 다음, A회사의 고유인식번호를 입력하고, 다시 프로그램 키(209)를 누르고 나서, 숫자 키(209c)를 사용하여 특정회사에서 제조한 이동전화기의 고유인식번호를 누르면, 오디오 셋(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05)에 입력되며, 상기 카 오디오 셋(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05)에서 연산처리하여 특정회사의 이동전화기임을 인식하게 되며, 이들 신호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 입력되어 연산처리해서 EEPROM(240)에 저장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ROM 의 실행프로그램에 따라 A회사의 이동전화기에 매칭되게 RX 및 TX볼륨이 세팅되어 이동전화기가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오디오용 마이크로 프로세서(205)에서 출력되는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데이터(예를 들면, 클록, 데이터, 인에이블신호)에 포함된 정전기는 제1 정전기 흡수수단(210)에서 흡수된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 입력된다.
상기 오디오용 마이크로 프로세서(205)에서 연산처리하여 출력되는 이동전화기 모드신호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서 이동전화기에 RX입력 볼륨제어신호, RX출력 볼륨제어신호, TX출력 볼륨신호 및 RX출력 볼륨신호가 동기되도록 연산처리하여 EEPROM(240)에 저장함과 동시에, 디지털신호 처리수단(250)에 RX입력 볼륨제어신호, RX출력 볼륨제어신호, TX출력 볼륨신호 및 RX출력 볼륨신호를 출력하여 디지털신호처리해서 이동전화기에 볼륨레벨이 동기되도록 볼륨레벨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서 다시 말하면, A회사 제품에서 제조한 이동전화기의 RX입력 볼륨제어신호, RX출력 볼륨제어신호, TX출력 볼륨신호 및 RX출력 볼륨신호를 맞추기 위해서 상기 카 오디오 셋(200)의 키보드(209)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모드 키(209a)를 누른 다음, A회사의 고유인식번호(예를 들면, A회사의 인식번호가 123일 경우 123을 누룸)를 누르면, 오디오 셋(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05)에 입력되며, 상기 카 오디오 셋(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05)에서 연산처리하여 A회사의 이동전화기임을 인식하게 되며, 이들 신호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 입력되어 연산처리해서 EEPROM(240)에 저장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ROM 의 실행프로그램에 따라 A회사의 이동전화기에 매칭되게 RX 및 TX입출력볼륨이 세팅되어 이동전화기가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카 오디오 셋(200)의 키보드(209)를 이용하여 미리 정의된 이동전화기(290)의 각 모델에 대응하는 이동전화기(290)의 TX볼륨 및 RX볼륨을 각 사용자의 이동전화기에 매칭시킨 상태에서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으로 부터 이동전화기(290)로 부터 호출신호가 걸려오면, 상기 이동전화기(290)의 안테나(290a)를 통해서 수신되어 상기 이동전화기(290)와 본 고안의 핸즈프리킷을 접속하는 도시하지 않은 콘넥터를 통해서 본 고안의 핸즈프리킷의 정전기 흡수수단(310)에 출력되어 수신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정전기가 흡수됨과 동시에, 수신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DC성분을 제2 증폭부(320)의 DC커플러(C7)에서 차단하고 AC성분만을 저항(R9)를 통해 반전단자(-단자)에서 받아서 증폭기(322)에서 일정레벨로 증폭하고, 상기 일정레벨로 증폭된 수신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DC성분의 신호는 제2 증폭부(320)의 DC커플러(C10)에서 차단되고 AC성분의 수신신호만이 상기 RX 입력 볼륨 제어수단(330)의 저항(R13)에 출력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서 출력되는 RX입력볼륨신호(ⓑ)가 바이어스저항(R12)을 통해 상기 RX 입력 볼륨 제어수단(330)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의 게이트단자에 저항(R12)을 통해서 인가되면, 상기 제2 증폭부(320)의 DC커플러(C10)에서 출력되는 AC 성분의 수신신호를 저항(R13)에서 받아 일부는 접지로 바이패스하고 DC커플러(C17)에 출력하며, 상기 DC커플러(C17)에서는 DC성분 차단하고, AC성분을 상기 제3 증폭부(335)의 저항(R15)을 통해서 증폭기(335a)에 출력하며, 상기 제3 증폭부(335)의 증폭기(335a)에서는 일정레벨로 증폭하고, 이들 신호는 상기 제3 증폭부(335)의 DC커플러(C17)에서 DC성분을 차단하고, AC성분을 상기 자동이득 제어수단(340)에 출력하여 여기에서 이득이 자동으로 제어되어 디지털신호 처리수단(250) 및 음향신호 검출부(350)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자동이득 제어수단(340)에서 출력되는 수신신호에 음향신호(예를 들면, 링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핸즈프리 셋으로 자동연결되도록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신호 검출부(350)의 저항((R16)을 통해서 증폭기(350A)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후에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 입력됨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의 출력단자(ⓐ)에서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에 일정시간 동안(예를 들면 100㎳ 동안) 바이어스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1)를 일정시간동안(예를 들면 100㎳ 동안) 스위칭 온하여 본 고안의 핸즈프리 킷을 통해서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이득 제어수단(340)에서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받은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수단(250)에는 이 수신신호를 디지털신호로 처리한 후, 상기 제2 필터(360)의 필터수단(362)에 출력하며, 상기 필터수단(362)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되고, 노이즈가 필터링된 수신신호는 제2 필터부(360)의 저항(R18,R19)을 통해서 증폭기(364)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후, 상기 제4 증폭부(370)의 DC커플러(C14)에서 DC 성분을 차단하고 AC성분의 수신신호만를 저항(R23)을 통해서 상기 제4 증폭부(370)의 증폭기(372)에 입력되며, 또한, 상기 제2 필터(360)의 저항(R18,R19)을 통해서 출력되는 수신신호는 바이어스저항(R20,R21,R22)을 통해서 증폭기(372)의 비반전단자(+)를 통해 입력되어 여기에서 차신호를 일정레벨로 증폭하고, 상기 증폭기(372)에서 출력되는 수신신호는 DC커플러(C15)에서 DC성분을 차단하고, AC성분의 수신신호를 RX출력볼륨제어수단(380)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RX출력볼륨 제어수단(380)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2)의 게이트단자에는 바이어스저항(R26)을 통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의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RX출력볼륨신호가 인가되므로,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2)가 도통되어 상기 제4 증폭부(370)의 DC커플러(15)에서 출력되는 수신신호의 레벨을 감쇠기(372)에서 1.5dB로 낮추어서 출력하며, 상기 감쇠기(372)에서 1.5dB로 감쇠된 수신신호는 정전기 흡수수단(390)에서 정전기가 흡수된 후, 카 오디오 세트(200)의 스피커(207)에서 음향으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카 오디오 세트(200)의 마이크(203)에서 입력되는 음향신호는 마이크 잭(203a)을 통해서 디지털신호 처리수단(250)에 입력되어 디지털신호로 처리된 후에 상기 제1 필터(260)의 캐패시터(C1,C2)에서 노이즈를 접지로 바이패스하고, 상기 제1 필터(260)의 제1 증폭기(262)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되어 저항(R2)을 통해서 제1 증폭부(270)의 DC커플러(C4)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DC커플러(C4)에서 DC성분을 차단하고, AC성분의 음향신호를 저항(R3)을 통해 상기 제1 증폭수단(274)에 입력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증폭수단(274)에는 바이어스전압 발생수단(272)의 비교기(272a)에서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고 있으므로, 상기 제1 증폭수단(274)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되고, 상기 제1 증폭수단(274)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음향신호는 상기 DC커플러(C5)에서 DC성분을 차단하고, AC성분의 음향신호만을 저항(R7)을 통해서 제2 증폭수단(276)에 입력되며, 이때 상기 제2 증폭수단(276)에는 상기 바이어스전압 발생수단(272)으로 부터 바이어스전압이 저항(R6)을 통해 인가되고 있어 다시 음향신호는 여기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되며, 상기 제2 증폭수단(276)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음향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DC성분의 음향신호는 DC커플러(C6)에서 차단하고, AC성분의 음향신호만을 저항(R8)을 통해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는 이동전화기(290) 및 이동전화기 (290)의 안테나(290a)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됨으로서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다.
한편, 이동전화기에 진동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음향신호 검출부(350)에서 RX음향신호를 검출할 수 없으므로, 상기 카 오디오 셋(200)의 키보드(209)에 설치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이동전화기(290)의 키보드(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키보드를 누르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의 출력단자(ⓐ)에서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에 일정시간 동안(예를 들면 100㎳ 동안) 바이어스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1)를 일정시간동안(예를 들면 100㎳ 동안) 스위칭 온하여 본 고안의 핸즈프리 킷을 통해서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때 상기 카 오디오 셋(200)의 키보드(209)에 설치되어 있는 HFK모드 키(209b)를 누르면, 이 신호는 상기 카 오디오 셋(200)의 오디오용 마이크로 프로세서(205)에서 로우레벨의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 출력하여 송수신상태(전화를 통화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에 의하면, 스피커에서 음향신호를 출력하며, 방송국 채널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함과 동시에 제조회사가 다른 이동전화기의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을 설정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카 오디오세트와, 상기 카 오디오세트의 키보드에 의해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 제어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상기 오디오용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연산처리하여 출력되는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데이터에 포함된 정전기를 흡수하는 제1 정전기 흡수수단과, 상기 제1 정전기 흡수수단에서 정전기가 흡수된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데이터를 받음과 동시에, 상기 오디오용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연산처리하여 출력되는 이동전화기 모드신호를 받아서 연산처리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카 오디오 세트의 전원부로 부터 DC전원이 인가되었을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동작을 안정화시키도록 초기화시키는 리셋수단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데이터 및 이동전화기 모드신호를 받아 이동전화기에 볼륨레벨이 동기되도록 연산처리하여 출력되는 RX입력 볼륨제어신호, RX출력 볼륨제어신호, TX출력 볼륨신호 및 RX출력 볼륨신호를 받아서 저장하는 EEPROM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TX 볼륨 제어신호 및 RX볼륨 제어신호를 받아 이동전화기에 볼륨레벨이 동기되도록 볼륨레벨을 설정하는 디지털신호 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각각의 회사에서 제조된 이동전화기에 호환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회사에서 제조된 이동전화기의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을 조절해서 이동전화기의 제조회사가 달라도 모든 이동전화기에공통으로 사용할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스피커(207)에서 음향신호를 출력하며, 방송국 채널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함과 동시에 제조회사가 다른 이동전화기의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을 설정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카 오디오세트(200)와, 상기 카 오디오세트(200)의 키보드(209)에 의해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 제어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상기 오디오용 마이크로 프로세서(205)에서 연산처리하여 출력되는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데이터에 포함된 정전기를 흡수하는 제1 정전기 흡수수단(210)과, 상기 제1 정전기 흡수수단(210)에서 정전기가 흡수된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데이터를 받음과 동시에, 상기 오디오용 마이크로 프로세서(205)에서 연산처리하여 출력되는 이동전화기 모드신호를 받아서 연산처리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와, 상기 카 오디오 세트(200)의 전원부(201)로 부터 DC전원이 인가되었을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의 동작을 안정화시키도록 초기화시키는 리셋수단(230)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서 출력되는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데이터 및 이동전화기 모드신호를 받아 이동전화기에 볼륨레벨이 동기되도록 연산처리하여 출력되는 RX입력 볼륨제어신호, RX출력 볼륨제어신호, TX출력 볼륨신호 및 RX출력 볼륨신호를 받아서 저장하는 EEPROM(240)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서 출력되는 TX 볼륨 제어신호 및 RX볼륨 제어신호를 받아 이동전화기에 볼륨레벨이 동기되도록 볼륨레벨을 설정하는 디지털신호 처리수단(250)과, 이동전화기(290)를 통해서 상대방을 호출할 때에 상기 카 오디오 세트(200)의 마이크(203)를 통해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수단(250)에서 디지털처리된 신호를 받아서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제1 노이즈 필터(260)와, 상기 제1 노이즈 필터(260)에서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받아서 일정레벨로 증폭해서 이동전화기(290)로 출력하는 제1 증폭부(270)와, 상기 음향신호 검출부(350)에서 음향신호를 검출하거나 상기 이동전화기(290) 및 카 오디오 세트(200)의 키보드의 버튼누룸 신호의 입력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의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바이어스신호를 받아서 일정시간(예를 들면 100㎳ 동안) 스위칭 온되어 통화가능 상태를 유지하는 토크스위치(280)와, 상기 이동전화기(290)의 안테나(290a)를 통해 들어 오는 수신신호를 받아서 정전기를 흡수하는 제2 정전기 흡수수단(310)과, 상기 제2 정전기 흡수수단(310)에서 정전기가 흡수된 수신신호를 받아서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제2 증폭부(320)와, 상기 제2 증폭부(320)에서 일정 레벨로 증폭된 신호를 받아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서 출력되는 RX입력 제어신호에 의해 3.3dB로 RX입력 볼륨을 제어하는 RX 입력 볼륨 제어수단 (330)과, 상기 RX 입력 볼륨 제어수단(330)에서 3.3dB로 RX입력 볼륨이 제어된 수신신호를 받아서 일정레벨로 증폭함과 동시에 DC성분을 차단하고, AC성분의 수신신호를 출력하는 제3 증폭부(335)와, 상기 제3 증폭부(335)의 DC커플러(C17)에서 출력되는 증폭된 수신신호의 이득을 제어해서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수단(250)에 출력하는 자동이득 제어수단(340)과, 상기 자동이득 제어수단(340)에 의해 자동이득이 제어된 수신신호에서 음향신호를 검출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 입력하는 음향신호 검출부(350)와, 상기 자동이득 제어수단(340)에서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받아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수단(250)에서 신호처리하여 출력되는 수신신호를받아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제2 필터(360)와, 상기 제2 필터(360)에서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받아서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제4 증폭부(370)와, 상기 제4 증폭부(370)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신호를 받아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서 출력되는 RX출력 볼륨을 1.5dB로 낮추어서 출력하는 RX출력 볼륨 제어수단(380)과, 상기 RX출력 볼륨 제어수단(380)에서 1.5dB로 낮추어서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받아 정전기를 흡수하여 카 오디오 세트(200)의 스피커(207)를 통해서 수신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제3 정전기 흡수수단(390)을 구비하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 오디오 세트(200)는 각 구성요소에 DC전원을 인가하는 DC전원부(201)와, 사용자의 음향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203)와, 상기 DC전원부(201)에서 인가되는 DC전원을 받아서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음향신호, 음향저장매체(카세트, CD)에 저장된 음향신호 또는 수신된 통화신호를 받아서 연산처리하는 오디오용 마이크로 프로세서(205)와, 상기 오디오용 마이크로 프로세서(205)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207)와, 상기 오디오용 마이크로 프로세서(205)에 방송국 채널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숫자키(209c)를 가짐과 동시에, 제조회사가 다른 이동전화기의 TX신호 및 RX신호의 볼륨을 설정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프로그램모드 키(209a;PGM)를 가지며, 핸즈프리를 통해 통화를 연결시키는 핸즈프리설정 키(209b;HFK)를 가진 키보드(209)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이즈 필터(260)는 마이크로폰 잭(151)에 접속된 마이크(203)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수단(250)을 통해 받아서 노이즈를 접지로 바이패스하는 캐패시터(C1,C2)와, 상기 캐패시터(C1,C2)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음향신호를 저항(R1)을 통해 받아서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제1 증폭기(262)와, 상기 제1 증폭기(262)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음향신호를 저항(R2)을 통해 받아 노이즈를 접지로 바이패스해서 필터링하는 캐패시터(C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폭부(270)는 상기 제1 노이즈 필터(260)의 캐패시터(C3)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음향신호를 받아서 DC성분을 차단하고, AC성분의 음향신호를 통과시키는 DC커플러(C4)와, 바이어스전압 발생수단(272)으로 부터 바이어스전압을 인가받아서 상기 DC 커플러(C4)를 통해서 출력되는 AC성분의 음향신호를 저항(R3)을 통해 받아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제1 증폭수단(274)과, 상기 제1 증폭수단(274)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받아 DC성분을 차단하고, AC성분의 음향신호만을 통과시키는 DC커플러(C5)와, 상기 바이어스전압 발생수단(272)으로 부터 바이어스전압을 저항(R6)을 통해 인가받음과 동시에, 상기 DC 커플러(C5)를 통해서 출력되는 AC성분의 음향신호를 저항(R7)을 통해 받아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제2 증폭수단(276)과, 상기 제2 증폭수단(276)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받아 DC성분을 차단하고, AC성분의 음향신호만을 통과시키는 DC커플러(C6)와, 상기 DC커플러(C6)에서 출력되는 AC성분의 음향신호를 토크스위치(280)의 스위칭 온시에 이동전화기(290)로 출력하는 출력저항(R8)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X 입력 볼륨 제어수단(330)은 상기 제2 증폭부(320)의 DC커플러(C10)에서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저항(R13)(R14)을 통해 받아 3.3dB로 감쇠시켜서 출력하도록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서 출력되는 RX입력볼륨신호 (ⓑ)를 바이어스저항(R12)을 통해 받아서 도통(스위칭 온)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와,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의 드레인단자에서 출력되는 3.3dB의 수신신호를 받아서 DC성분 차단하고, AC성분을 상기 제3 증폭부(335)의 저항(R15)을 통해서 증폭기(335a)에 출력하는 DC커플러(C17)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신호 검출부(350)는 상기 제3 증폭부(335)의 DC커플러(C17)에서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받아 음향검출신호(ⓒ)가 있을 경우 핸즈프리 셋으로 자동연결되도록 상기 자동이득 제어수단(340)에서 이득이 제어된 신호를 저항(R16)을 통해 받아 증폭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 음향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증폭기(350a)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X출력 볼륨 제어수단(380)은 상기 제4 증폭부(370)의 DC커플러(C15)에서 DC성분이 차단된 일정레벨로 증폭된 신호를 저항(R24,R25)을 받아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서 출력되는 RX출력 볼륨신호를 바이어스저항(R26)을 통해 받아서 도통되어 1.5dB로 낮추어서 출력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2)와,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2)의 콜렉터 단자에서 출력되는 1.5dB의 수신신호를 감쇠시키는 감쇠기(38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
KR2020020000328U 2002-01-05 2002-01-05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의제어장치 KR2002720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328U KR200272015Y1 (ko) 2002-01-05 2002-01-05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의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328U KR200272015Y1 (ko) 2002-01-05 2002-01-05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의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015Y1 true KR200272015Y1 (ko) 2002-04-12

Family

ID=73115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328U KR200272015Y1 (ko) 2002-01-05 2002-01-05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의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01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5829A1 (en) * 2002-09-12 2004-03-25 Min-Hwan Woo A stereophonic apparatus having multiple switching function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sound signal
KR101850033B1 (ko) 2011-11-02 2018-04-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피드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5829A1 (en) * 2002-09-12 2004-03-25 Min-Hwan Woo A stereophonic apparatus having multiple switching function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sound signal
KR101850033B1 (ko) 2011-11-02 2018-04-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피드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9604A (en) Safety switch for communication device
WO1997036411A9 (en) Smart telecommunications interface
EP0717547B1 (en) Automatically variable circuit of sound level of received voice signal in telephone
EP0272068B1 (en) Microphone circuit
KR200272015Y1 (ko) 카 오디오 세트를 이용한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의제어장치
JP3327326B2 (ja) 携帯電話の誤動作防止方式及び誤動作防止回路
US6272227B1 (en) Simultaneous two-way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ear microphone
CN107113351B (zh) 用于将主机设备耦合到附件设备的接口电路和通信系统以及用于这些设备之间的通信的方法
KR200316625Y1 (ko) 음악 감상중 휴대폰으로 연결될 수 있는 헤드셋 스위칭장치
KR100304531B1 (ko) 핸드프리전화기자동응답장치
KR2002005260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음성 제어장치
JP3241687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967006B2 (ja) 移動通信機のイヤホンマイク端子に端末装置を接続したシステムの自動発着信方式およびイヤホンマイクを利用した移動通信機の自動発着信方式
KR100242410B1 (ko) 전화단말기에서통화시볼륨제어장치및방법
KR200172527Y1 (ko) 컴팩트 핸즈프리 장치
JPH05136865A (ja) 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
KR100362561B1 (ko)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스피커 출력 신호의 처리 방법
JP2582147Y2 (ja) 電話機
JP3919697B2 (ja) Vox制御無線通信装置
KR100189619B1 (ko) 주변환경 변화에 따른 자동 국선링 제어방법
JPH03262239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00460532B1 (ko) 차량용 이동전화기의 유니버셜 핸즈 프리 키트
KR200214744Y1 (ko) 휴대폰 자동 통화장치
JPH04354498A (ja) ボタン電話装置
JP4311601B2 (ja) 車載用ハンズフリ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