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744Y1 - 휴대폰 자동 통화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자동 통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744Y1
KR200214744Y1 KR2020000025954U KR20000025954U KR200214744Y1 KR 200214744 Y1 KR200214744 Y1 KR 200214744Y1 KR 2020000025954 U KR2020000025954 U KR 2020000025954U KR 20000025954 U KR20000025954 U KR 20000025954U KR 200214744 Y1 KR200214744 Y1 KR 2002147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bell signal
telephone
signal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식
Original Assignee
장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세식 filed Critical 장세식
Priority to KR2020000025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7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7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744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디오 입력단과 이어폰 단을 구비하여 이어폰으로 오디오를 청취하던 중 벨음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전화통화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며, 통화완료 후에는 오디오 청취모드로 전환되도록 한 휴대폰 자동 통화장치를 제공한다.
이는 전화음성 및 벨신호가 입력되며, 전원수단의 전원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 통화모드를 결정하는 전화음성/벨신호 입력수단과; 오디오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음이나 상기 전화음성/벨신호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전화음성/벨신호를 이어폰 단자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성 절환수단과; 상기 전화음성/벨신호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벨신호를 증폭하는 벨신호 증폭수단과; 상기 벨신호 증폭수단의 출력으로부터 부펄스신호를 검출하는 벨신호 검출수단과; 상기 벨신호 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 상기 음성 절환수단을 절환하기 위한 음성절환 구동수단과; 음성절환 구동수단의 출력과 연결되어 정해진 시정수에 따라 소정시간 동안 벨신호를 울리기 위한 타임 딜레이수단과; 상기 타임 딜레이수단의 출력에 따라 전화통화 스위치를 온 시켜 자동으로 전화통화모드로 절환되도록 하는 자동착신신호 구동수단을 구비함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휴대폰 자동 통화장치{AUTOMATIC COMMUNICATION APPARATUS FOR MOBI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 자동 통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디오 입력단과 이어폰 단을 구비하여 이어폰으로 오디오를 청취하던 중 벨신호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착신되도록 하는 휴대폰 자동 통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 기술은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으며, 이중 하나는 공중파 수신기능이다. 즉, 휴대폰으로 공중파를 수신하여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 경우 전화가 걸려왔을 경우 사용자는 수동으로 전화통화모드로 전환하여 전화통화를 하여야만 하며, 전화통화 후에는 다시 오디오 청취모드로 전환하여야만 한다.
이와 유사하게 휴대폰과 휴대용 카세트 라디오 수신기(워커맨)를 연결하여 오디오 청취와 전화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들 역시 오디오 청취 중에 전화가 걸려올 경우 수동으로 전화통화모드로 전환하여야만 하며, 전화통화 후에는 다시 오디오 청취모드로 전환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본 고안은 오디오 입력단과 이어폰 단을 구비하여 이어폰으로 오디오를 청취하던 중 벨신호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전화통화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며, 통화완료 후에는 오디오 청취모드로 전환되도록 한 휴대폰 자동 통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자동 통화장치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부 20 : 전화음성/벨신호 입력부
30 : 음성 절환부 40 : 벨신호 증폭부
50 : 벨신호 검출부 60 : 음성절환 구동부
70 : 타임 딜레이부 80 : 자동착신신호 구동부
90 : 통화 해제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자동 통화장치는, 시스템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수단과; 전화음성 및 벨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전원수단의 전원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 통화모드를 결정하는 전화음성/벨신호 입력수단과; 오디오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음이나 상기 전화음성/벨신호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전화음성/벨신호를 이어폰 단자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성 절환수단과; 상기 전화음성/벨신호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벨신호를 증폭하는 벨신호 증폭수단과; 상기 벨신호 증폭수단의 출력으로부터 부펄스신호를 검출하는 벨신호 검출수단과; 상기 벨신호 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 상기 음성 절환수단을 절환하기 위한 음성절환 구동수단과; 음성절환 구동수단의 출력과 연결되어 정해진 시정수에 따라 소정시간 동안 벨신호를 울리기 위한 타임 딜레이수단과; 상기 타임 딜레이수단의 출력에 따라 전화통화 스위치를 온 시켜 자동으로 통화모드로 절환되도록 하는 자동착신신호 구동수단과; 상기 자동착신신호 구동수단 및 전화통화 스위치와 연결되며, 통화 완료 후에는 상기 음성절환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오디오 청취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통화 해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자동 통화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 것으로, 시스템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0)와, 전화음성 및 벨신호가 입력되며, 전원부(10)의 전원 스위치(SW1)의 상태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 통화모드를 결정하는 전화음성/벨신호 입력부(20)와, 오디오 입력단자(L-in),(R-in)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음이나 상기 전화음성/벨신호 입력부(20)로부터의 전화음성/벨신호를 이어폰 단자(L-out),(R-out)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성 절환부(30)와, 상기 전화음성/벨신호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는 벨신호를 증폭하는 벨신호 증폭부(40)와, 상기 벨신호 증폭부(40)의 출력으로부터 부펄스신호를 검출하는 벨신호 검출부(50)와, 상기 벨신호 검출부(50)의 출력에 따라 상기 음성 절환부(30)를 절환하기 위한 음성절환 구동부(6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음성절환 구동부(60)의 출력과 연결되어 정해진 시정수에 따라 소정시간 동안 벨신호를 울리기 위한 타임 딜레이부(70)와, 상기 타임 딜레이부(70)의 출력에 따라 전화통화 스위치(SW3)를 온시켜 자동으로 전화통화모드로 절환되도록 하는 자동착신신호 구동부(80)와, 상기 자동착신신호 구동부(80) 및 전화통화 스위치(SW3)와 연결되며, 통화 완료 후에는 상기 음성절환 구동부(60)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오디오 청취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통화 해제부(9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화음성/벨신호 입력부(20)는 전화음성/벨신호 입력단자(T-in)에 연결되어 전원부(10)의 전원 스위치(SW1)의 스위칭에 따라 수동통화모드와 자동통화모드를 결정하는 스위치(SW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음성 절환부(30)는 상기 전화음성/벨신호 입력단자(T-in)로부터 입력되는 전화음성이나 벨신호 또는 상기 오디오 입력단자(L-in),(R-in)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음을 선택적으로 이어폰 단자(Lout),(Rout)로 출력하기 위한 릴레이 스위치(RL1a),(RL1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벨신호 증폭부(40)는 상기 전화음성/벨신호 입력부(20)에 콘덴서(C2) 및 저항(R5)을 통해 연결된 증폭용 트랜지스터(TR1),(TR2)를 구비하며, 상기 벨신호 검출부(50)는 상기 트랜지스터(TR1),(TR2)의 콜렉터단에 연결된 콘덴서(C13)에 일측 입력단(1)이 연결되고 타측 입력단(2)은 콘덴서(C3)를 통해 접지되며 또한 다이오드(D1) 및 저항(R9)을 통해 음성절환 구동부(60) 및 타임 딜레이부(70)에 연결되는 낸드 게이트(NAND1)로 구성된다.
상기 음성절환 구동부(60)는 상기 낸드 게이트(NAND1)의 출력단에 캐소드단이 연결된 다이오드(D2)에 두 입력단이 연결되어 상기 벨신호 검출부(50)의 출력을 인버팅시키는 낸드 게이트(NAND2)와, 상기 낸드 게이트(NAND2)의 출력단에 클럭단(CLK)이 연결된 플립플롭(FF1)과, 상기 플립플롭(FF1)의 반전 출력단()에 저항(R12)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릴레이(RL1a)(RL1b)를 스위칭시키기 위한 릴레이 코일(RL1)을 구동하는 트랜지스터(TR3),(TR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타임 딜레이부(70)는 상기 플립플롭(FF1)의 비반전 출력단(Q)의 출력을 미분하는 콘덴서(C7) 및 저항(R16)으로 이루어진 미분기(71)와, 상기 미분기(71)에 트리거단(TR)이 연결된 타이머 IC(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동착신신호 구동부(80)는 상기 타이머 IC(72)의 출력단(Q)의 출력을 인버팅시키는 낸드 게이트(NAND3)와, 상기 낸드 게이트(NAND3)의 출력을 미분하는 콘덴서(C9) 및 저항(R18),(R19)으로 이루어진 미분기(81)와, 상기 미분기(81)에 연결되어 전화통화 스위치(SW3)를 스위칭 시키기 위한 트랜지스터(TR5),(TR6)로 구성된다.
상기 통화 해제부(90)는 상기 자동착신신호 구동부(80)와 전화통화 스위치(SW3)에 연결되어 상기 전화통화 스위치(SW3) 온 시 턴 온 되는 스위칭용 PNP형 트랜지스터(TR7)와, 상기 낸드 게이트(NAND3)의 출력단에 일측 입력단(1)이 연결되고 타측 입력단(2)은 콘덴서(C11)를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TR7)에 연결되어 통화 완료 후, 상기 전화통화 스위치(SW3) 온 시 상기 음성절환 구동부(60)의 낸드 게이트(NAND2)에 부의 펄스를 공급하기 위한 낸드 게이트(NAND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자동착신신호 구동부(80)의 트랜지스터(TR5),(TR6) 및 전화통화 스위치(SW3)에는 마이크 입출력단자(MIC-in)(MIC-out)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전원 스위치(SW1)를 오프 시킨 상태에서는 휴대폰 수신기능을 수동으로 하게 된다.
즉, 전원 스위치(SW1)의 오프시 릴레이 스위치(RL1a),(RL1b)는 접점(b)에 연결되어 오디오 입력단자(L-in),(Rin)를 통하여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 단자(L-out),(R-out)에 연결된 이어폰으로 들을 수 있게 되며, 이어폰 단자 (L-out),(R-out)는 R,L단자를 가지므로 사용자는 스테레오 음의 청취가 가능하다.
이때, 전화벨이 울리면 벨음이 전화음성/벨신호 입력단자(T-in)로 입력되며, 이 벨신호는 오디오 신호와 합쳐져서 들리게 되어 사용자는 전화가 왔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때, 오디오 입력단자(L-in),(R-in)에 연결된 볼륨 조절용 가변저항(VR1),(VR2)을 이용하여 오디오 볼륨을 줄이고 전화통화 스위치(SW3)를 온 시키면 전화통화모드로 되어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통화 완료 후, 전화통화 스위치(SW3)를 다시 누르면 전화통화모드는 해제되며, 이때 상기 가변저항(VR1),(VR2)을 이용하여 오디오 볼륨을 다시 키워 오디오를 감상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는 달리 전원 스위치(SW1)를 온 시키면 자동통화모드가 되며, 이때 스위치(SW2)가 접점(b)으로 스위칭 되어 오디오 감상시 휴대폰 수신을 자동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즉, 오디오 감상시 릴레이 스위치(RL1a),(RL1b)는 접점(b)에 연결되어 오디오 입력단자(L-in),(R-in)를 통하여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 단자(L-out),(R-out)에 연결된 이어폰으로 들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전화벨이 울리면 벨음이 전화음성/벨신호 입력단자(T-in)로 입력되며, 이는 콘덴서(C2)와 저항(R5)을 거쳐 벨신호 증폭부(40)에 입력되어 증폭된 후, 벨신호 검출부(50)에 입력되어 부펄스신호로 검출된다. 이때, 벨신호 검출부(50)의 낸드 게이트(NAND1)의 입력단(2)에는 초기값이 하이로서 활성화되어 있게 된다.
상기 부펄스신호는 음성절환 구동부(60)의 낸드 게이트(NAND2)에서 정펄스로 변환되어 플립플롭(FF1)의 클럭단(CLK)에 클럭을 인가하게 된다. 상기 플립플롭(FF1)의 초기값은 비반전 출력단(Q)의 출력이 하이이고, 반전 출력단()은 로우상태이다. 따라서 플립플롭(FF1)에 클럭신호가 인가되면 출력은 반전되어 비반전 출력단(Q)은 로우이고, 반전 출력단()은 하이상태가 된다.
상기 반전 출력단()의 하이신호는 릴레이 구동용 트랜지스터(TR3),(TR4)를 온 시켜 릴레이 코일(RL1)을 구동한다. 이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RL1a),(RL1b)는 접점(a)으로 연결되어 오디오 입력단자(L-in),(R-in)를 통하여 입력되던 오디오 신호는 차단되고, 전화음성/벨신호 입력단자(T-in)로 입력되는 벨음이 연결되어 이어폰 단자(L-out),(R-out)로 착신이 확인된다.
한편, 플립플롭(FF1)의 비반전 출력단(Q)의 출력이 로우로 되면 낸드 게이트(NAND1)의 일측 입력단(2)은 로우로 되어 낸드 게이트(NAND1)는 비활성으로 되어 벨음의 검출은 중지된다.
또한, 플립플롭(FF1)의 비반전 출력단(Q)의 출력이 로우로 되면 타이머 IC(72)에는 미분기(71)에 의해 만들어진 부의 미분신호가 인가된다.
타이머 IC(72)와 그 주변회로로 이루어진 타임 딜레이부(70)는 벨 신호음 확인용으로 타이머 IC(72)의 트리거단(TR)에 트리거신호가 인가되면 출력단(Q)은 하이로 되며, 저항(R15)과 콘덴서(C6)의 시정수 값으로 정해진 시간만큼 경과 후, 다시 로우로 된다. 즉, 사용자에게는 이 시간만큼 벨음이 들리게 된다.
한편, 상기 타이머 IC(72)의 출력은 낸드 게이트(NAND3)에서 인버팅 되며, 낸드 게이트(NAND3)의 출력이 로우에서 하이로 될 때 미분기(81)는 하나의 정의 미분펄스를 발생하며, 이 미분신호에 의해 짧은 시간동안 트랜지스터(TR5),(TR6)가 턴 온 되어 마치 전화통화 스위치(SW3)를 온 시킨 것과 같은 효과를 주어 전화는 자동으로 통화모드로 되어 벨이 중지하고,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타임 딜레이부(70)가 작동 중에 전화통화 스위치(SW3)를 누르면 타이머 IC(72)의 리셋단(R)에 리셋신호를 인가하여 타임 딜레이부(70)는 작동을 중지하게 되며, 사용자는 즉시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통화 완료 후, 전화통화 스위치(SW3)를 누르면 전화통화모드는 해제되며, 이때 낸드 게이트(NAND4)의 일측 입력단(1)은 하이 이고, 전화통화 스위치(SW3)를 누를 때에 낸드 게이트(NAND4)의 타측 입력단(2)에는 트랜지스터(TR7)의 턴 온에 의해 정의 펄스가 입력되어 낸드 게이트(NAND4)는 부의 펄스를 출력하게 된다.
이 부펄스신호는 낸드 게이트(NAND2)에서 정의 펄스로 인버팅 되어 플립플롭(FF1)의 클럭단(CLK)에 클럭을 인가하게 된다.
클럭신호가 인가되면 플립플롭(FF1)의 출력은 반전되어 비반전 출력단(Q)은 하이가 되고, 반전 출력단()은 로우가 되며, 이 로우신호는 릴레이 구동용 트랜지스터(TR3),(TR4)를 턴 오프시켜 릴레이 스위치(RL1a),(RL1b)가 접점(b)에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오디오 입력단자(L-in),(Rin)를 통하여 입력되는 오디오 음을 이어폰 단자(L-out),(R-out)를 통하여 다시 들을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 기술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오디오 입력단과 이어폰 단을 구비하여 이어폰으로 오디오를 청취하던 중 벨신호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전화통화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며, 통화완료 후에는 오디오 청취모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이 증대된다.
또한, 오디오 볼륨 조절기능이 있어 보다 편리하게 전화통화를 할 수 있으며, 휴대폰과 워커맨의 이어폰을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시스템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수단과;
    전화음성 및 벨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전원수단의 전원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 통화모드를 결정하는 전화음성/벨신호 입력수단과;
    오디오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음이나 상기 전화음성/벨신호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전화음성/벨신호를 이어폰 단자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성 절환수단과;
    상기 전화음성/벨신호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벨신호를 증폭하는 벨신호 증폭수단과;
    상기 벨신호 증폭수단의 출력으로부터 부펄스신호를 검출하는 벨신호 검출수단과;
    상기 벨신호 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 상기 음성 절환수단을 절환하기 위한 음성절환 구동수단과;
    음성절환 구동수단의 출력과 연결되어 정해진 시정수에 따라 소정시간 동안 벨신호를 울리기 위한 타임 딜레이수단과;
    상기 타임 딜레이수단의 출력에 따라 전화통화 스위치를 온 시켜 자동으로 전화통화모드로 절환되도록 하는 자동착신신호 구동수단과;
    상기 자동착신신호 구동수단 및 전화통화 스위치와 연결되며, 통화 완료 후에 상기 음성절환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오디오 청취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통화 해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자동 통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절환 구동수단은
    상기 벨신호 검출수단에서 부펄스신호 검출시 상기 음성 절환수단에서 전화음성/벨신호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전화음성/벨신호를 이어폰 단자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자동 통화장치.
KR2020000025954U 2000-09-15 2000-09-15 휴대폰 자동 통화장치 KR2002147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954U KR200214744Y1 (ko) 2000-09-15 2000-09-15 휴대폰 자동 통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954U KR200214744Y1 (ko) 2000-09-15 2000-09-15 휴대폰 자동 통화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141A Division KR20020019802A (ko) 2000-09-07 2000-09-07 휴대폰 자동 통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744Y1 true KR200214744Y1 (ko) 2001-02-15

Family

ID=73088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954U KR200214744Y1 (ko) 2000-09-15 2000-09-15 휴대폰 자동 통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7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6467B1 (ko) 통화처리장치 및 그 방법
GB2343080A (en) Headset for mobile phone/radio combination has a device for muting the radio signal when the phone is in use
JPH07264280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US20030076952A1 (en) Ear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eiving telephone calls
KR200214744Y1 (ko) 휴대폰 자동 통화장치
KR100423705B1 (ko) 보청기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KR20010053811A (ko) 차량용 오디오장치를 이용한 이동 전화기의 핸즈프리장치
KR20020019802A (ko) 휴대폰 자동 통화장치
JP2007036908A (ja) 音声出力装置
JPH10126466A (ja) 携帯電話機
JP3112619U (ja) 携帯機器用のイヤホン装置
JP2894882B2 (ja) 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
KR200316625Y1 (ko) 음악 감상중 휴대폰으로 연결될 수 있는 헤드셋 스위칭장치
KR100366231B1 (ko) 다기능 마이크 겸용 이어폰
JPH0823366A (ja) 携帯電話機用音響信号制御装置
KR100640409B1 (ko) 휴대전화의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
KR200186229Y1 (ko) 자동 전환 특징을 구비한 이동 전화용 핸즈 프리 장치
JP2847946B2 (ja) 自動車用電話装置
KR200175238Y1 (ko) 텔레비전의 음소거 기능을 갖는 전화기
KR200315201Y1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
KR200210158Y1 (ko) 휴대폰 수신음 자동 연결 장치
KR0122448B1 (ko) 무선자동응답전화기에서 휴대장치에 구비된 재생용 스피커를 통한 자동응답메시지 원격재생방법 및 장치
KR20040076910A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
KR200362716Y1 (ko) 핸즈프리키트장치
JPH10200990A (ja) 携帯音響機器用イヤホ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20315

Effective date: 20040227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