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854Y1 - 카오디오를 이용한 핸드프리장치 - Google Patents

카오디오를 이용한 핸드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854Y1
KR200214854Y1 KR2020000021413U KR20000021413U KR200214854Y1 KR 200214854 Y1 KR200214854 Y1 KR 200214854Y1 KR 2020000021413 U KR2020000021413 U KR 2020000021413U KR 20000021413 U KR20000021413 U KR 20000021413U KR 200214854 Y1 KR200214854 Y1 KR 2002148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ar audio
hand
output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봉
Original Assignee
권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봉 filed Critical 권혁봉
Priority to KR2020000021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8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8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854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오디오를 이용한 핸드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오디오의 튜너, 테이프 재생부 및 CD 재생부의 출력신호와 이어-마이크용 접속잭을 통해 인가되는 휴대폰의 출력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차량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카오디오용 앰프와; 상기 카오디오의 키입력부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의 음성을 수음하여 상기 이어-마이크용 접속잭을 통해 휴대폰으로 인가하는 마이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카오디오의 스피커와 앰프를 이용하여 핸드프리기능을 구현함에 따라 스피커와 앰프가 내장된 별도의 본체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아울러 휴대폰에 형성된 범용의 이어-마이크용 접속잭을 통해 카오디오와 휴대폰을 연결함에 따라 모든 종류의 휴대폰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오디오를 이용한 핸드프리장치 {a hand-free equipment using a car audio}
본 발명은 핸드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드폰과 카오디오를 결합하여 핸드프리기능을 구현하는 카오디오를 이용한 핸드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프리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핸드폰을 손으로 들지 않아도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로, 운전중에 휴대폰을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도 4는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의 핸드프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종래의 핸드프리장치는 휴대폰(110)이 안착되는 거치대(120)와, 상기 거치대(120)에 안착된 휴대폰(110)에 결합되는 본체(130)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본체(130)에는 스피커(131)와 미도시된 앰프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본체(130)의 일측에는 차량의 시거잭에 삽입되어 본체(130) 및 휴대폰 (11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130)의 타측에는 휴대폰(110)의 콜코드에 접속되는 콜코드단자부(133) 및 마이크(134)가 소정길이를 갖는 신호선(135)을 통해 각각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거치대(120)를 차량의 대쉬보드에 고정하고 본체(130)의 전원단자부 (132)를 시거잭에 삽입한 후, 마이크(134)를 운전석에 인접한 실내의 일측에 고정한 상태에서 콜코드단자부(133)를 휴대폰(110)의 콜코드에 접속시키면 핸드프리장치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같이 핸드프리장치에 연결된 휴대폰(110)으로 전화가 걸려와 운전자가 휴대폰(110)의 통화버튼을 누르거나 플립을 개방하면 운전자는 마이크(134)와 스피커(131)를 통해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핸드프리장치는 상기된 것처럼 스피커(131)와 앰프가 내장된 본체(130)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함에따라 가격이 비싸고, 아울러 휴대폰(110)의 종류마다 콜코드의 크기나 형태가 상이하여 핸드프리장치를 모든 종류의 휴대폰에 적용할 수는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카오디오의 스피커와 앰프를 이용하여 핸드프리기능을 구현함에 따라 스피커와 앰프가 내장된 별도의 본체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아울러 모든 종류의 휴대폰에 적용할 수 있는 저렴한 가격의 카오디오를 이용한 핸드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이어-마이크용 접속잭을 구비한 휴대폰의 핸드프리장치에 있어서: 카오디오의 튜너, 테이프 재생부 및 CD 재생부의 출력신호와 이어-마이크용 접속잭을 통해 인가되는 휴대폰의 출력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차량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카오디오용 앰프와; 상기 카오디오의 키입력부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음하여 상기 이어-마이크용 접속잭을 통해 휴대폰으로 인가하는 마이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따라 스위칭되어 카오디오의 출력신호나 휴대폰의 출력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상기 앰프로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선택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핸드프리장치는: 상기 휴대폰의 이어-마이크용 접속잭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검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신호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카오디오의 출력신호나 휴대폰의 출력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상기 앰프로 출력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상기 핸드프리장치는: 상기 휴대폰의 이어-마이크용 접속잭에 대응하는 제1 접속플러그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위칭부의 일측 입력단에 접속되는 제2 접속플러그가 타단부에 형성되며 소정부위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음하는 상기 마이크가 부착된 플러그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핸드프리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프리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종래의 핸드프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오디오장치 22 : 튜너
23 : 테이프 재생부 24 : CD 재생부
25 : 키입력부 26 : 제어부
27 : 스위칭부 28 : 앰프
29 톤검출부 30 : 휴대폰
31 : 접속잭 50 : 플러그 와이어
51,52 : 접속플러그 53 : 마이크
60 : 선택스위치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차량의 대쉬보드(10)에는 AM/FM 라디오 방송신호를 출력하거나 카세트 테이프 또는 콤팩트 디스크(CD)로 부터 재생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 (20)와 휴대폰(30)이 안착되는 거치대(40)가 설치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휴대폰(30)의 하단부에는 미도시된 콜코드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이어-마이크를 위한 접속잭(31)이 형성되어 있는데, 본 고안은 상기 접속잭(31)을 통해 휴대폰(30)과 오디오 장치(20)를 결합하여 핸드프리기능을 구현함에 따라 모든 종류의 휴대폰에 본 고안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일단부에는 휴대폰(30)의 접속잭(31)에 대응하는 제1 접속플러그(51)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오디오 장치(20)의 일측에 형성된 접속잭(21)에 삽입되는 제2 접속플러그(52)가 형성되어 있는 플러그 와이어(50)를 이용하여 휴대폰(30)과 오디오 장치(1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핸드프리기능을 구현한다.
한편, 상기 플러그 와이어(50)의 소정부위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음하는 마이크(53)가 부착되어 있으며, 대쉬보드(10) 또는 오디오 장치(20)의 일측에는 휴대폰(30)의 출력신호와 오디오 장치(10)의 출력신호중 일측 신호를 스위칭시켜 미도시된 앰프를 통해 증폭한 후, 스피커로 출력하는 선택스위치(60)가 고정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핸드프리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 튜너 (22), 테이프 재생부(23) 및 CD 재생부(24)의 출력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27)의 출력단에 선택스위치(60)가 접속되어 있는데, 상기 스위칭부(27)는 키입력부(25)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부(26)에서 출력되는 컨트롤신호(CTL)에 의해 스위칭된다.
한편, 선택스위치(60)는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따라 플러그 와이어(50)를 통해 인가되는 휴대폰(30)의 음성신호와 상기 스위칭부(27)를 통과한 오디오 신호중 일측 신호를 앰프(28)로 스위칭시켜 증폭한 후, 스피커(SP)를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핸드프리장치에 결합된 휴대폰(30)으로 전화가 걸려와 사용자가 선택스위치(60)를 휴대폰측으로 절환시킨 상태에서 휴대폰(30)의 통화버튼을 누르거나 플립을 개방하면 튜너(22), 테이프 재생부(23), CD 재생부(24)의 출력은 뮤트되고 휴대폰(30)의 음성신호는 앰프(28)에 의해 증폭되어 스피커(SP)로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마이크(53)와 스피커(SP)를 통해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프리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 휴대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오디오 장치의 출력신호를 자동적으로 뮤트시키고 휴대폰의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핸드프리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AM/FM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튜너(22), 카세트 테이프로 부터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테이프 재생부(23)와 콤팩트 디스크로 부터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CD 재생부(24)의 출력단 및 휴대폰(30)의 접속잭(31)에 접속된 플러그 와이어(50)의 제2 접속플러그(52)가 스위칭부(27)의 입력단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부(27)는 제어부(26)의 컨트롤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튜너(22), 테이프 재생부(23), CD 재생부(24) 및 휴대폰(30)의 출력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데, 상기 제어부(26)는 키입력부(25)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컨트롤신호를 출력하거나 휴대폰(30)의 출력신호를 검출하는 톤검출부(29)의 출력신호에 따라 컨트롤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부(27)를 스위칭시킨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키입력부(25)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부(26)가 컨트롤 신호를 출력하여 튜너(22), 테이프 재생부(23) 또는 CD 재생부(24)의 출력중 어느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앰프(28)로 스위칭시켜 증폭한 후, 스피커(SP)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하는 도중에 전화가 걸려오면 휴대폰(30)의 톤신호를 톤검출부가 검출하여 제어부(26)에 통지하게 된다. 따라서, 톤검출부(29)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어부(26)가 컨트롤신호를 출력하여 휴대폰측으로 스위칭부(27)를 스위칭시키므로, 휴대폰(30)의 음성신호는 앰프(28)에 의해 증폭되어 스피커(SP)로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카오디오의 스피커와 앰프를 이용하여 핸드프리기능을 구현함에 따라 스피커와 앰프가 내장된 별도의 본체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아울러 휴대폰에 형성된 범용의 이어-마이크용 접속잭을 통해 카오디오와 휴대폰을 연결함에 따라 모든 종류의 휴대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이어-마이크용 접속잭을 구비한 휴대폰의 핸드프리장치에 있어서:
    카오디오의 튜너, 테이프 재생부 및 CD 재생부의 출력신호와 이어-마이크용 접속잭을 통해 인가되는 휴대폰의 출력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차량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카오디오용 앰프와;
    상기 카오디오의 키입력부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의 음성을 수음하여 상기 이어-마이크용 접속잭을 통해 휴대폰으로 인가하는 마이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를 이용한 핸드프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따라 스위칭되어 카오디오의 출력신호나 휴대폰의 출력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상기 앰프로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선택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를 이용한 핸드프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드프리장치는:
    상기 휴대폰의 이어-마이크용 접속잭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검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신호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카오디오의 출력신호나 휴대폰의 출력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상기 앰프로 출력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를 이용한 핸드프리장치.
  4. 청구항 1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프리장치는:
    상기 휴대폰의 이어-마이크용 접속잭에 대응하는 제1 접속플러그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위칭부의 일측 입력단에 접속되는 제2 접속플러그가 타단부에 형성되며 소정부위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음하는 상기 마이크가 부착된 플러그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를 이용한 핸드프리장치.
KR2020000021413U 2000-07-27 2000-07-27 카오디오를 이용한 핸드프리장치 KR2002148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413U KR200214854Y1 (ko) 2000-07-27 2000-07-27 카오디오를 이용한 핸드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413U KR200214854Y1 (ko) 2000-07-27 2000-07-27 카오디오를 이용한 핸드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854Y1 true KR200214854Y1 (ko) 2001-02-15

Family

ID=73057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413U KR200214854Y1 (ko) 2000-07-27 2000-07-27 카오디오를 이용한 핸드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85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35563A (en) Portable telephone mounted upon a radio, compact disc and cassette deck unit
JPS63269633A (ja) 自動車電話
KR100469919B1 (ko)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및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
CA2071931A1 (en) Cell switch
KR20000041692A (ko) 핸즈프리 기능을 구비한 카오디오
KR100678218B1 (ko) 차량용 오디오장치를 이용한 이동 전화기의 핸즈프리장치
KR200214854Y1 (ko) 카오디오를 이용한 핸드프리장치
US20050111670A1 (en) Stereo audio headset interface and method that is compatible with mono headsets
JP2005277514A (ja) ハンズフリー装置
JP2894882B2 (ja) 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
KR100562569B1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KR20040023331A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JPH07288869A (ja) 車載用電話装置
KR100440924B1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KR100535754B1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KR200186229Y1 (ko) 자동 전환 특징을 구비한 이동 전화용 핸즈 프리 장치
JPH0413869Y2 (ko)
JP2622867B2 (ja) 自動車電話装置
JP3075819B2 (ja) 電話装置
KR20010064447A (ko) 핸드프리 기능을 갖는 카오디오
KR0155075B1 (ko) 차량용 카오디오의 음향신호출력 제어장치
KR19980023045U (ko) 스피커폰기능이 구비된 카오디오
KR200180596Y1 (ko) 휴대폰의 핸즈프리장치
JPH0623342U (ja) 車載用音響システム
JPH11150798A (ja) 車載ステレ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