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146Y1 - 코넥터 핀 (Connector Pin) - Google Patents

코넥터 핀 (Connector P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146Y1
KR910006146Y1 KR2019880016784U KR880016784U KR910006146Y1 KR 910006146 Y1 KR910006146 Y1 KR 910006146Y1 KR 2019880016784 U KR2019880016784 U KR 2019880016784U KR 880016784 U KR880016784 U KR 880016784U KR 910006146 Y1 KR910006146 Y1 KR 9100061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in
mounting
winding
pin according
enlar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6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140U (ko
Inventor
신영식
Original Assignee
오토스프라이스 주식회사
신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스프라이스 주식회사, 신영식 filed Critical 오토스프라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6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146Y1/ko
Publication of KR9000091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1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1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01R13/052Resilient pins or blades co-operating with socket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Landscapes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코넥터 핀(Connector Pin)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정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평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있어서 A-A선 확대 횡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에 있어서 B-B선 확대 횡단면도.
제 6 도는 제 4 도에 있어서 C-C선 확대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모따기 3 : 핀축
4 : 취부용 확대부 4a : 돌기
5 : 권부용 확대부 6 : 기판
7 : 취부공 11, 12 : 모따기
13 : 핀축 14 : 취부용확대부
14 : 측면 14b : 장출부
본 고안은 프린트 기판, 기타 전자, 전기부품에 있어서의 도전용 코넥터 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프린트 기판, 기타 전자 전기부품의 요소에 천설되어진 구멍에 핀축의 일단을 감삽하여 이 핀축에 리드선을 감어 붙일 수 있게 된 것으로 이와 같은 코넥터 핀은 일본국 특허공보 소 61-37052호에 상세히 기재 되어 있다.
또 핀축의 요소에 복수의 악부를 돌설하여 복수의 기판을 핀축에 삽입하는데 따라 각 기판이 각각 악부에 걸리게 하므로서 이 기판들이 일정 간격을 갖고 고정 유지될 수 있게 한 코넥터 핀도 공지이다.
상술한 종래의 코넥터 핀(둥근핀)에 있어서는 동시에 리드선의 단부를 감어 붙이는 것이 곤란하거나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후자와 같이 핀축에 악부를 부설하는데는 소정의 길이로 된 1개 마다 헷다 등으로 축선 방향에 가압하여 성형시켜야 되기 때문에 일이 어려움은 물론 코스트도 높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그 구체적인 수단은 핀축의 요소에 기판등에 있는 취부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비원형 취부용 확대부와 리드선의 단부를 용이하게 감어 붙일 수 있도록 복수개의 끝이 약간 뾰족한 외측단을 갖는 비원형 권부용 확대부를 설치하는 것이다.
취부용 확대부가 기판등에 있는 취부공에 들어 박힌 상태로 물려있으므로 코넥터 핀은 확실하게 고정, 보지된다.
권부용 확대부의 첨예한 각부는 코넥터 핀에 리드선의 단부가 쉽게 감겨지게 하는 것이다.
[실시예]
제 1 도 내지 제 3 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단면이 원형이 아니고 또 상하 양단면을 모따기(1)(2)한 핀축(3)이 하단 보다 약간 상방에는 비원형의 취부용 확대부(4)가, 또 그의 상방소정의 간격을 요하는 곳에는 비원형의 권부용 확대부(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핀축(3)의 재료로서는 신주, 인청동등이 좋으나 동으로 클래드(Clad : 피복)한 철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핀축(3)의 단면은 각형일 수도 있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양 확대부(4)(5)의 형상 및 치수를 동일하게 한 것으로 제 3 도를 참조하여, 취부용 확대부(4)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확대부(4)는 상하 방향으로 된 4개의 돌기(4a)로 되어 평면형이 +자향의 것으로, 각 돌기(4a)의 외측단은 약간 뾰족하게 되어 있고 또 외주보다 약간 돌출되어 있다. 확대부(4)를 형성하는데에는 확대부(4)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갖고 또 내측면을 열린 각이 90°로 하여 상하 방향의 칼날로 된 펀치를 핀축(3)의 요소의 외측에서 90°의 측방 간격을 갖고 강타하면 된다.
이에 의하여 펀치의 칼날이 핀축(3)을 파고 들어 그 측방의 두께보다 핀축(3)의 직경의 수분의 1의 폭을 갖는 돌기(4a)가 형성되고 또 돌기(4a)의 외측단은 핀축(3)의 본래의 직경보다 돌출된다.
이때 돌기(4a)의 외측 단면이 약간 거칠게 되는 경우가 있으나, 이 정도는 본 고안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무시해도 좋다.
또 돌기(4a)의 대신 다수의 작은 돌기를 설치하여 확대부(4)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코넥터 핀을 사용하기 위하여는 기판(6)의 요소에 핀축(3)의 직경 보다는 크나 그 취부용 확대부(4)의 직경보다는 작은 취부공(7)을 천설하여, 이 취부공(7)의 상방에서 코넥터 핀을 압입하므로서 취부용 확대부(4)가 취부공(7)에 파고 들어가는 상태가 되어 감합된다.
다음에 리드선의 단부를 권부용 확대부(5)에 대하여 접선 방향 또는 그의 약간 안쪽 방향을 향하여 강하게 안장시키면 리드선은 좁은 폭의 돌기(4a)의 약간 뾰족한 외측단이 존재하는 것에 의하여 쉽게 감어 붙일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돌조의 외측 단면이 거칠게 되어 있던지 또는 원 상태로 되돌아와도 기판의 구멍에 대한 물림이 확실하게 됨은 물론 리드선의 감어 붙임도 비교적 적은 힘으로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제 4 도 내지 제 6 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단면이 원형이 아니고 또 상하 양단면을 모따기(11)(12)한 핀축(13)의 하단보다 약간 위쪽에는 비원형의 취부용 확대부(14)가, 또 그의 상방에 소정의 간격을 요하는 곳에는, 비원형의 권부용 확대부(1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취부용 확대부(14)는 핀축(13)의 대향측면(14a)(14a)을 가압하므로서, 양측면(14a)(14a)이 평탄한 면이 됨과 동시에 양측면간의 두께가 직경 방향으로 두꺼워 진 상태로 형성되어 진다. (14b)는 이 장출부(두꺼워진 부분)을 나타낸다.
권부용 확대부(15)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상하 방향의 4개의 돌조(15a)로 되고 또 그의 외측단이 핀축(13)이 외주보다 돌출되는 평면형이 +자향으로 되는 것이다.
제2실시예의 것도 제1실시예의 것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되고 또 똑같은 기능을 발휘하나 그 외에 제2실시예 에서는 취부용 확대부(14)에 있어서 2방향만이 확대부(14b)(14b)로 이용되는 것이 되어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핀을 적은 코스토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코넥터 핀은, 취부용 확대부에 의하여 기판의 취부공에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취부할 수 있고 또 권부용 확대부의 뾰족한 외측단에 의하여 리드선의 단부를 용이하게 감아 붙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핀축(3) 요소에, 기판등의 취부공에 감합될 수 있는 비원형 취부용 확대부와, 리드선의 단부를 용이하게 감아 붙칠 수 있는 복수의 약간 뾰족한 외측단을 갖는 비원형 권부용 확대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핀.
  2. 취부용 확대부의 단면형이, 측방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소돌기를 갖추고 있는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코넥터 핀.
  3. 취부용 확대부의 단면형이 평행을 이루는 2면을 갖는 장원형으로 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코넥터 핀.
  4. 취부용 확대부의 단면형이 장방형인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코넥터 핀.
  5. 권부용 확대부가 측방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소돌기를 갖추고 있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의 어느 1 항에 기재된 코넥터 핀.
  6. 권부용 확대부가 각형으로 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의 어느 1 항에 기재된 코넥터 핀.
  7. 치부용 및 권부용 양 확대부의 간격이, 리드선의 말이 부치는 폭과 거의 같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의 어느 1 항에 기재된 코넥터 핀.
KR2019880016784U 1988-10-13 1988-10-13 코넥터 핀 (Connector Pin) KR9100061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784U KR910006146Y1 (ko) 1988-10-13 1988-10-13 코넥터 핀 (Connector P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784U KR910006146Y1 (ko) 1988-10-13 1988-10-13 코넥터 핀 (Connector P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140U KR900009140U (ko) 1990-05-04
KR910006146Y1 true KR910006146Y1 (ko) 1991-08-17

Family

ID=19280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6784U KR910006146Y1 (ko) 1988-10-13 1988-10-13 코넥터 핀 (Connector P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1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140U (ko) 199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7970A (en) Interface connector
JP3028199B2 (ja) 電気コネクタのターミナル
KR910006146Y1 (ko) 코넥터 핀 (Connector Pin)
KR970031104A (ko)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DE20113884U1 (de) Elektrischer Verbinder für eine Leiterplatte
JP3951334B2 (ja) ピンヘッダー
JP3414803B2 (ja) 電動機の製造方法
JPH0785910A (ja) コネクタ
JP2002042937A (ja) 電気コネクタ
JPH0636811A (ja) 鎖錠端子金具
JPH0244468Y2 (ko)
JPH0434880A (ja) コネクタ
JPH0218542Y2 (ko)
JPH0521316B2 (ko)
JPH0432769Y2 (ko)
JPS5849594Y2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JPS6328619Y2 (ko)
JPH0129980Y2 (ko)
JP2518641Y2 (ja) Lcd取付板の接地構造
JPS6240534Y2 (ko)
JPH0720910Y2 (ja) テーピング用端子
JPS6010284Y2 (ja) プリント板コネクタの固着構造
KR920003315Y1 (ko) 스피커용 단자판
KR200218574Y1 (ko) 전압 인출용 터미널 러그 구조
JP3274973B2 (ja) インターフェイス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8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