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906B1 - 광스위치 및 광키보드 - Google Patents

광스위치 및 광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906B1
KR910005906B1 KR1019870012817A KR870012817A KR910005906B1 KR 910005906 B1 KR910005906 B1 KR 910005906B1 KR 1019870012817 A KR1019870012817 A KR 1019870012817A KR 870012817 A KR870012817 A KR 870012817A KR 910005906 B1 KR910005906 B1 KR 910005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light shielding
optical switch
shielding piece
optical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2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334A (ko
Inventor
유이치 고바라
켄이찌 후센
요시히로 고누마
타까오 토야
카쥬오 찌바
Original Assignee
후루까와 덴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쿠사카베 예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7339486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74313U/ja
Priority claimed from JP268673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851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7339386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80523U/ja
Priority claimed from JP2686748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23543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73392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80522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43022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50916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56599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64721U/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5007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9271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50073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92713A/ja
Application filed by 후루까와 덴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쿠사카베 예쭈지 filed Critical 후루까와 덴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7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334A/ko
Publication of KR910005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 H03K17/968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Landscapes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스위치 및 광키보드
제1도-제3도는 본 발명의 광스위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절개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광스위치에 있는 슬리브부근의 수평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광스위치에 있는 차광편 부근의 수평확대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광스위치를 붙인 기판의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광스위치를 기판에 붙인 상태의 사시도.
제8도와 제9도는 광스위치의 하우징내에 슬리브를 고정하는 수단을 각종예로 예시한 요부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고정수단에 이용되는 스토퍼의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키보드의 일 실시예를 개략화한 평면도.
제12도는 그 광키보드의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하우징본체 12 : 하우징의 저판
15A, 15B : 광섬유 15A', 15B' : 광섬유인출부
16A, 16B : 슬리브 17A, 17B : 가이드공
18 : 스토퍼 19 : 차광편
19a : 차광편의 후육부 19b : 차광편의 박육부
20 : 탄성설편 21 : 맞물기멈춤쇠
22 : 접촉돌출면 23 : 위치결정돌기
24 : 광스위치 25 : 기판
26 : 기판의 개구부 27a, 27b : 멈춤쇠편
28 : 스토퍼 29a, 29b : 스토퍼의 슬릿트
30a, 30b : 스토퍼의 눌름편 31 : 스토퍼의 연결편
50 : 광키보드 51 : 스위치부착밑판
52 : 광케이블 53A, 53B : 광케이블의 광섬유
54A, 54B : 광섬유어레이 55A : 발광소자어레이
55B : 수광소자어레이
본 발명은 광로(光路)를 도통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광스위치와 그 광스위치를 이용한 광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측제어장치, 기계제어장치, 감시제어장치 등의 대부분이 이들 신호제어수단으로서 전기계신호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신호기기의 경우, 지적되어 있듯이 발전소, 변전소, 송전선이 근접한 장소에 있어서, 전자유도장애를 받고 기연성기체가 송전선이 근접한 장소에 있어서, 전자유도장애를 받고 가연성기체가 존재하는 환경하에서는 전기접점부에 의하여 발생하는 불꽃이 화재를 일으키는 원인으로도 된다.
이들에 대한 대책으로서, 원격지에서 기기를 제어하는 수단이 취해지고 있지만, 원격제어의 경우에는 신호제어의 적격성, 신속성에 결함이 있다.
기타, 전기계신호기기의 경우는 신호입력부에 있는 정전기의 발생, 전기접점부가 금속도전체제로 된 것에 의한 내식성의 결여도 문제로 된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책으로서는 광스위치를 주체로 하여 소정의 광신호 제어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유망하고, 해당하는 광신호제어시스템에 의한 경우, 상기한 문제점이 대부분 해결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광신호제어시스템에 응용할 수 있는 광스위치의 일반예로서, 일본 실용신안공보소 61-14014호 공보에 개시된 것은 광로를 구성하는 1쌍의 광파이버에 있어서 이들 양광파이버의 단부에 로드렌즈(rod lenses)를 부착하여 해당하는 각 단부를 하우징내에서 대향시켜서 그 로드렌즈사이에 차광판을 출입하는 것에 의하여 광로를 도통시키거나 차단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예의 경우, 로드렌즈와 같은 고가의 부품을 사용하고 있어서, 광스위치가 필연적으로 고가로 된다.
가격 대책만 감소시킨다면, 로드렌즈를 사용하지 않고, 광파이버 단면상 호를 직접 대향시키는 구조의 광스위치가 생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어직경이 큰 광파이버를 선정하여 광파이버 상호의 단면가격을 좁히는 것에 의하여 통광상태에서의 결합손실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광파이버의 단면가격을 좁힌 경우에는 그 간격내를 출입하는 차광편도 엷게 되어야 하며, 이것과 동시에 광파이버의 단면가격과 차광편을 고정밀도로 대응시키지 아니하면 광파이버의 단면과 차광편의 접촉에 의하여 광파이버 단면이 손상되어 이질물이 부착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광스위치의 제작이 어렵게 된다.
특히, 광파이버 단면의 손상, 이질물 부착 등은 플라스틱 광파이버에 있어서 큰 문제로 된다.
반대로, 결합손실을 적게 하기 위하여 또는 광스위치를 치밀화하기 위하여 광파이버상호의 단면가격을 좁히면서 차광편을 엷게 형성하는 경우 엷은 차광편에서는 광신호가 투과하여서 광로의 차단이 불완전하게 된다.
기타에 있어서도, 광스위치는 가능한 적게 치밀하게 집합시켜야 하며, 조립구조가 안정되어 있는 것, 이 보드에의 부착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에 대하여 신규하고 유용성이 높은 광스위치와 광키보드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광스위치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우징내에 그 하우징내면에 의하여 돌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고 쌍을 이루는 광파이버의 단부가 각각 대경(大徑)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내에 삽입되어 동일축선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양쪽의 광파이버 단부가 상기한 스토퍼의 양면에 당접되어 상대적인 단면가격을 유지하고 있고, 양쪽의 광파이버에 있는 광로를 도통, 차단하기 위한 차광편이 상기한 하우징내의 광파이버 단면간과 대응하여 그 단면사이에 의하여 출입이 자유롭도록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광키보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우징내에 그 하우징내면에서 돌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고, 쌍을 이루는 광파이버의 단부가 각각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내에 삽입되어 동일축선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양 광파이버의 단부가 상기한 스토퍼의 양면에 맞대어져 상대적인 단면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양쪽의 광파이버에 있는 광로를 도통 시키거나 차단하기 위한 차광편이 상기한 하우징내의 광파이버 단면간과 대응하여 그 단면사이에 의하여 출입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는 광스위치에 있어서, 상대적인 단면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상기한 양쪽의 광파이버, 이 양 광파이버들에 있는 광로를 도통시키거나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한 차단편이 하우징내의 일측부에 몰려있고, 복수의 해당하는 광스위치가 스위치 부착밑판에 부착되어져서 광스위치열(列)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광스위치열에 있는 각 광스위치의 광파이버 인출부가 거의 동일선상에 나란히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광스위치, 광키보드를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본 발명에 관한 광스위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제1도-제5도의 광스위치(24)에 있어서, (11)은 플라스틱제의 하우징본체, (12)는 하우징의 저판, (13)은 하우징본체(11)의 내면에 가이드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조작축, (14)는 조작축(13)과 저판(12)의 사이에 개재된 압축스프링이다.
(15A),(15B)는 쌍을 이룬 광파이버, (16A),(16B)는 이 광파이버(15A),(15B)의 단부외주에 고정된 슬리브이다.
슬리브(16A),(16B)는 그 중심에 구멍을 지녔고, 그 구멍에 광파이버(15A),(15B)를 삽입하여 접착하는 것에 의하여 광파이버(15A),(15B)의 단부와 일체화 되어져 있다.
광파이버(15A)와 슬리브(16A), 광파이버(15B)와 슬리브(16B)는 각각 일체화된 상태로 그 단면이 동일평면으로 되도록 연마되어 있다.
하우징본체(11)에는 조작축(13)에 의하여 횡으로 위치하도록 수평으로 슬리브가이드공(17A),(17B)가 형성되어 있고, 광파이버(15A),(15B)와 일체의 슬리브(16A),(16B)는 그 가이드공(17A),(17B)에 삽입되어 동일축선상에 갖추어져 있다.
하우징본체(11)의 내면에 있어서, 상기한 가이드공(17A),(17B)의 사이에는 그 하우징내면에 의하여 윗쪽으로 돌출하는 스토퍼(18)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18)은 슬리브(16A),(16B)의 단면만이 튀어나와 맞닿고, 광파이버(15A),(15B)의 단면이 튀어나와 맞닿지 않는 높이로 되어져 있다.
따라서, 가이드공(17A),(17B)에 삽입된 슬리브(16A),(16B)의 단면이 스토퍼(18)의 양면에 맞닿아져서 광파이버(15A),(15B)의 단면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다.
슬리브(16A),(16B)는 이러한 상태에서 하우징본체(11)에 접착고정되어 있다. 조작축(13)의 측면에는 광파이버(15A),(15B)의 단부면간에 들어가도록 차광편(19)이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제5도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차광편(19)은 그 기단축에 슬리브(16A),(16B)의 단부면 간극에 들어가는 두께의 후육부(19a)가 있고, 그 선단측에 양면으로부터 살두께를 감소시킨 박육부(19b)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차광편(19)의 형상으로서는 그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점차로 살두께가 감소된 테이퍼형도 있을 수 있다.
상술한 차광편(19)는 조작축(13)를 상하동시킨 경우 그 박육부(19b)가 광파이버(15A),(15B)의 단부면간을 통과하여 후육부(19a)가 광파이버의 단부면간에 들어가는 일없이 슬리브(16A),(16B)의 단부면사이를 통과하도록 되어있다.
이에 따라서, 제1도와 같이, 차광편(19)의 박육부(19b)가 광파이버(15A),(15B)의 단면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광로가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축(13)을 누르면 차광편(19)가 내려가고, 광파이버(15A),(15B)의 단면사이에서 박육부(19b)가 발출되기 때문에 광로가 도통된다.
이 상태에서도 후육부(19a)가 슬리브(16A),(16B)의 단면사이에서 발출되지 않도록 해당하는 후육부(19a)는 박육부(19b)의 일측에 연결되어 위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조작축(13)을 개방하면, 압축스프링(14)의 반발력으로 조작축(13)이 최초의 위치로 돌아가며, 차광편(19)이 광로를 차단한다.
역으로 광로의 도통, 차단이 행해진다.
상술한 차광편(19)에 있어서, 후육부(19a)와 박육부(19b)가 설치된 이유는 차광편(19)를 광파이버(15A),(15B)의 단면에 접촉시키지 않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직경 0.5mm로 되는 플라스틱 광섬유(15A),(15B)가 단면간격 0.38mm로 대향하고 있으며, 차광편(19)의 후육부(19a)의 두께가 0.35mm, 박육부의 두께가 0.26mm인 광스위치가 시험제작되었다.
이러한 구체 예의 광스위치(24)는 그 통광상태에서의 결합손실이 1.4-1.8이며, 충분히 실용적인 것이 확인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광스위치(24)의 부착조작을 설명한다.
하우징본체(11)에 있어서, 하우징의 상부좌측, 상부우측에는 상단에 바깥쪽으로 향한 맞물기멈춤쇠(21)을 지닌 탄성설편(20)이 각각 형성되며, 하우징 상부앞쪽, 상부뒤쪽에는 상기한 맞물기멈춤쇠(21)의 하면보다도 낮은 접촉돌출면(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외에 하우징본체(11)의 상부 4귀퉁이에는 위치결정돌기(23)이 형성되어 있다. 맞물기멈춤쇠(21)의 하면과 접촉돌출면(22)의 단차(Stepwise difference)는 후술하는 기판(25)의 두께와 대응하고 있다.
제6도, 제7도를 참조하여 명백하듯이, 이 광스위치(24)가 부착되는 기판(25)에는 개구부(26)이 형성되어 있다.
제7도에 있어서, 광섬유(15A),(15B)를 갖는 광스위치(24)가 기판(25)의 하측에서 개구(26)내로 눌러들어가는 경우, 처음에 개구(26)의 내면을 작동시키는 맞물기멈춤쇠(21)이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동시에 탄성설편(20)이 휘어지며 이어서 탄성설편(20)의 복원작용으로 맞물기멈춤쇠(21)이 개구(26)의 윗테와 서로 맞물리게 된다.
역으로, 맞물기멈춤쇠(21)의 하면과 접촉돌출면(22)에서 기판(25)가 협지되어 광스위치(24)가 미끄러짐이 없이 기판(25)에 고정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광스위치(24)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기술한 실시예에서는 조작축(13)을 누르면 광로가 도통하고, 떨어지면 차단되는 광스위치(14)가 도시되었지만, 그 역조작으로 광스위치(24)의 도통, 차단하는 것, 구체적으로 도통, 차단의 각 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사소한 설계변경, 혹은 부가적 구조에 의하여 가능하다.
차광편(19)은 후육부(19a), 박육부(19b)가 없는 일정의 두께이어도 좋다.
차광편(19)에서, 적어도 그 박육부(19b)는 자명하듯이 차광기능을 갖는 불투명체로 되지만 특히 박육부(19b)가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광차단시에 있는 것보다 확실한 광차단을 이루기 위하여, 즉, 광투과 방지를 위하여 광흡수재가 해당하는 차광편(19)의 일부(박육부 19b) 또는 전부에 함유된다.
예를 들면, 차광편(19)가 ABS,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으로 되는 경우에 있어 그 플라스틱제 차광편(19)가 예를 들면 카본으로 되는 광흡수제를 함유한다.
보다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 상기한 플라스틱제 차광편(19)에 있는 박육부(19b)의 두께가 0.3mm, 그 차광편(19)의 카본함유율이 0.5% 전후의 경우, 해당 차광편(19)에 의한 광차단시의 광투과감소율이 25-30dB 정도이었지만, 상기한 카본함유율이 2% 이상인 경우, 상기한 광투과 감소율이 10% 이상으로 상승하였다.
차광편(19)의 카본함유율은 그 성형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광범위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광편(19)과 그것 이외의 부재가 광흡수재 함유율 등 같은 플라스틱에 의하여 성형되는 경우, 그 때 광흡수재함유율은 중량으로 2% 이상이 바람직하다.
광파이버(15A),(15B)의 단부가 크게 된다면, 슬리브 이외의 부재가 그 광섬유 단부에 부착되어도 좋다.
가이드공(17A),(17B)내의 슬리브(16A),(16B)를 하우징본체(11)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전술한 접착수단에 대신하여 또는 접착수단과 병용하여 제8도, 제9도-제10도에 나타나는 수단이 임의로 채용된다.
제8도의 경우는 하우징본체(11)에 있는 가이드공(17A),(17B)의 입구단에서 탄성변형 가능한 멈춤쇠편(17a),(27b)가 해당 하우징 본체(11)과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제8도에서, 전술한 것 같이 가이드공(17A),(17B)에 삽입된 슬리브(16A),(16B)는 각각 멈춤쇠편(27a)(27b)를 매개로 그 삽입상태가 유지되고 멈춤쇠편(27a),(27b)의 압부력에 의하여 슬리브(16A),(16b)의 선단면이 스토퍼(18)이 양면에 맞대어져서 슬리브(16A),(16B)는 하우징본체(11)내의 소정 위치에 유지된다.
제9도의 경우는 제10도에 명시한 찬넬형의 스토퍼(28)이 이용된다. 이러한 스토퍼(28)은 금속제 또는 플라스틱제의 스프링재로 되며, 각각 슬릿트(29a),(29b)를 갖고 있는 눌름편(30a),(30b)의 기간부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편 31로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 28에 있어서 양눌름편(30a),(30b) 사이에 있는 가장 좁은 개소의 간격은 하우징본체(11)의 폭보다도 좁다.
제9도의 경우는 전술한 대로 슬리브(16A),(16B)가 가이드공(17A),(17B)에 삽입된 후, 하우징본체(11)의 저면측에서 양측면에 있어서 스토퍼(28)이 장착되며, 해당스토퍼(28)의 눌룸편(30a),(30b)가 슬리브(16A),(16B)의 후단면을 스토퍼(18)에 향하여 눌러 붙인다.
역으로, 슬리브(16A),(16B)의 선단면을 눌름편(30a),(30b)의 탄성압력에 의하여 스토퍼(18)의 양면에 맞대어져 이 슬리브(16A),(16B)는 하우징본체(11)내의 소정위치에 유지된다.
이 경우, 광섬유(15A),(15B)는 눌름편(30a),(30b)의 슬릿트(29a),(29b)내에 감아 넣고 있다.
상술한 스토퍼(28)은 하우징본체(11)의 정면측에서 양측면에 걸쳐서 장착되어도 좋고, 그 장착방향에 따라 눌름편(30a),(30b)의 방향과 형상, 슬릿트(29a),(29b)의 방향 등이 적당하게 선정되며, 경우에 따라 슬릿트(29a),(29b)가 생략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광키보드의 구체적 구성을 설명한다.
제11도에 있어서, 광키보드(50)은 스위치 부착밑판(51), 그 부착밑판(51)에 부착된 다수의 광스위치(24)로 구성되어 있다.
이 광스위치(24)의 경우, 전술한 듯이, 광섬유(15A),(15B)와 차광편(19)가 하우징(11)내의 일측부에 치우쳐져 있다.
상기한 키보드(50)에서, 각 광스위치(24)는 예를 들면 전술한 기판(25)의 부착요령과 동일하게 스위치 부착밑판(51)에 부착되고, 소정숫자의 광스위치(24)가 각각 제Ⅰ열, 제Ⅱ열, 제Ⅲ열을 형성하고 있다.
더구나, 스위치부착밑판(51)에 부착된 제Ⅰ열, 제Ⅱ열, 제Ⅲ열의 각 광스위치(24)는 각각 하우징(11)의 양측면에서 노출하고 있는 광섬유(53A),(53B)의 인출부(15A'),(15B')를 거의 동일선상에 나란히 있게 한다.
역으로 스위치부착밑판(51)에 부착되어 각 광스위치(24)의 광섬유(15A),(15B)에는 광케이블(52)에서 인출된 광섬유(15A),(15B)가 각각 접속된다.
제11도의 광키보드(50)에서는 광섬유인출부(15A'),(15B')가 동일선상에 나란히 있어서, 상술한 광섬유상호의 배선접속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는 동시에 광섬유15A,15B에 무리한 만곡이 잘 발생되지 않는다.
제12도는 키보드(50)의 일 사용예이다.
제12도의 경우, 광케이블(52)의 일단이 전술하듯이 이 광키보드(50)이 각 광스위치(24)와 접속되며, 광케이블(52)의 타단측에 있어서는 광섬유(53A),(53B)에 광섬유어레이(54A),(54B)가 접속되고, 이 광섬유어레이(54A),(54B)에 발광소자어레이(55A), 수광소자(55B)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하여 광키보드(50)을 가연기체환경하에서 사용하는 경우, 수광소자어레이(55B)는 광키보드(50)에서 떨어져 있는 것이 방폭대책상 바람직하고, 광케이블이 송광전용, 수광전용과 같이 광케이블이 구별되는 경우도 동일하다.
본 발명의 광스위치는 광섬유 상호의 단부가 각각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대경의 광섬유단부가 하우징내면의 스토퍼 양면에 맞대어져서 광섬유의 단면간격이 유지되어 있어서, 광섬유단면간격의 일정한 광스위치가 간단하게 조립된다.
특히, 본 발명의 광스위치에서 광섬유상호의 단부외주에 슬리브가 부착되어져서 그 광섬유단부가 대경으로 형성된 경우, 해당단부의 대경화가 용이한 동시에 그 슬리브 단면을 스토퍼에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하여 광섬유 단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소정의 단면 간격이 설정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하우징이 그 하우징을 가이드로서 양 광섬유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이 자유로운 조작축을 구비하여, 그 선단축에 박육부를 구비하고 있다던가 또는 차광편이 그 기단측에서 선단측에 향하여 끝이 뾰족한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광섬유상호의 단면이 직접대향하는 모양으로 단면간격을 좁히면서도 차광편이 광섬유 단면과 접촉시키지 않고 광섬유단면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의 광스위치에서, 차광편이 광흡수성을 지니는 플라스틱으로 되는 경우, 차광편의 광차단성이 향상되고, 얇은 차광편에서도 광의 차단이 확실하게 되며, 그 얇은 차광편에 대응하여 광섬유 상호의 단면간격을 적게하는 것에 의하여 광결합 손실을 줄인다거나 광스위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광스위치에서 하우징 상부좌측, 상부우측에는 상단에 바깥쪽으로의 맞물기멈춤쇠를 갖고 있는 탄성설편이 각각 형성되며, 하우징 상부전측, 상부후측에는 상기한 맞물기멈춤쇠의 하면보다도 낮은 접촉돌출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경우, 광스위치의 상부를 기판의 혈에 눌러 넣는다는 간단한 조작으로 광스위치의 부착이 행해지며, 더구나 이같은 모양에 있어서 하우징의 상부 4귀퉁이에 위치결정용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광스위치의 부착조작이 보다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키보드는 전술한 광스위치와 스위치부착밑판의 상대구성에 있어서, 광섬유와 차광편이 하우징 내의 일측부에 치우쳐져 있어 복수의 광스위치가 스위치 부착밑판에 부착되어서 광스위치열이 형성되어져 있는 동시에 그 광스위치열에 있는 각 광스위치의 광섬유인출부가 거의 동일선상에 나란히 있기 때문에 광섬유의 배선접속이 용이하게 행해지며 그 경우 광섬유에 무리한 만곡이 잘 발행되지 않는 것외에 전자유도발생개소, 가연성기체환경 하등에 있어서 적당한 신호를 안전, 신속,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10)

  1. 하우징내에 양슬리브가이드공 저면 중간위치에 저면보다 돌출한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고, 쌍을 이루는 광섬유의 단부가 각각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어, 슬리브가이드공내에 삽입되어 동일축선상으로 선로 대향하는 양 광섬유의 단부가 상기한 스토퍼의 양면에 맞대어져 상대적인 단면간격을 유지하고 있어 양 광섬유에 있는 광로를 도통, 차단하기 위한 차광편이 상기한 슬리이브가이드공내의 광섬유 단면사이와 대응하여 그 단면사이보다 출입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광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쌍을 이룬 광섬유의 단부에 각각 슬리브가 장착되어서 이 광섬유단부가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광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슬리브가이드공이 그 슬리브가이드공을 가이드로서 양광섬유측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이 자유로운 조작축을 구비하고 광섬유 단면사이와 대응하여 그 단면사이보다 출입이 자유로운 차광편이 상기한 조작축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광스위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차광편이 그 기단축에 후육부를 구비하고, 그 선단측에 박육부를 구비하고 있는 광스위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차광편이 그 기단측에서 선단측에 향하여 뾰족하게 되는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광스위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차광편이 광흡수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되는 광스위치.
  7.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 상부좌측, 상부우측에는 상단에서 바깥쪽으로의 맞물기멈춤쇠를 지니는 탄성설편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하우징 상부전측, 상부후측에는 상기한 맞물기멈춤쇠의 하면보다도 낮은 접촉돌출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광스위치.
  8.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상부 4귀퉁이에 위치결정용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광스위치.
  9. 하우징의 슬리브가이드공 저면중간위치에 저면보다 돌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고, 쌍을 이루는 광섬유의 단부가 각각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슬리브가이드공내에 삽입되어 동일축선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양 광섬유의 단부가 상기한 스토퍼의 양면에 맞대어져 상대적인 단면간격을 유지하고 있고, 양광섬유에 있는 광로를 도통, 차단하기 위한 차광편이 상기한 슬리브가이드공내의 광섬유단면 사이와 대응하여 그 단면사이보다 출입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는 상기한 양 광섬유, 이 양 광섬유에 있는 광로를 도통, 차단하기 위한 상기한 차광편이 하우징내의 일측부에 치우쳐져 있고, 복수의 해당 광스위치가 스위치부착밑판에 부착되어져서 광스위치 열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광스위치 열에 있는 각 광스위치의 광섬유 인출부가 거의 동일선상으로 나란히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광키보드.
  10. 제5항에 있어서, 차광편이 광흡수성을 갖는 프라스틱으로 되는 광스위치.
KR1019870012817A 1986-11-13 1987-11-13 광스위치 및 광키보드 KR910005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73394 1986-07-23
JP1986173392U JPS6380522U (ko) 1986-11-13 1986-11-13
JP?61-268673 1986-11-13
JP61-173393 1986-11-13
JP?61-173394 1986-11-13
JP?61-173393 1986-11-13
JP17339486U JPS63174313U (ko) 1986-11-13 1986-11-13
JP26867486A JPS63123543A (ja) 1986-11-13 1986-11-13 縫合針の曲げ加工方法
JP?61-173392 1986-11-13
JP61-173392 1986-11-13
JP61-268673 1986-11-13
JP17339386U JPS6380523U (ko) 1986-11-13 1986-11-13
JP26867386A JPH0785137B2 (ja) 1986-11-13 1986-11-13 光スイツチ
JP61-268674 1986-11-29
JP?61-268674 1986-11-29
JP?62-43022 1987-03-24
JP1987043022U JPS63150916U (ko) 1987-03-24 1987-03-24
JP62-43022 1987-03-24
JP1987056599U JPS63164721U (ko) 1987-04-14 1987-04-14
JP62-56599 1987-04-14
JP?62-56599 1987-04-14
JP62250072A JPH0192712A (ja) 1987-10-03 1987-10-03 光スイッチ
JP62-250073 1987-10-03
JP25007387A JPH0192713A (ja) 1987-10-03 1987-10-03 光キーボードシステム
JP62-250072 1987-10-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334A KR890007334A (ko) 1989-06-19
KR910005906B1 true KR910005906B1 (ko) 1991-08-06

Family

ID=27522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2817A KR910005906B1 (ko) 1986-11-13 1987-11-13 광스위치 및 광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9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199U (ko) * 2017-11-10 2019-05-20 둥관 고우터 일렉트로닉스 컴퍼니.,리미티드 광 자기 마이크로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199U (ko) * 2017-11-10 2019-05-20 둥관 고우터 일렉트로닉스 컴퍼니.,리미티드 광 자기 마이크로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334A (ko) 198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6636A (en) Optical switch and optical keyboard utilizing the same
KR100414845B1 (ko) 광섬유 커넥터
US6434316B1 (en) Fiber optic connector
KR100424598B1 (ko) 광섬유 커넥터 리셉터클
US4767179A (en)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US5199099A (en) Optical cable splice cassette device and method using same
CA2334033A1 (en) High reliability fiber coupled optical switch
GB1583851A (en) Device for use in a switching system
KR100302269B1 (ko) 투명광가이드부재
US6434315B1 (en) Fiber optic connector
KR910005906B1 (ko) 광스위치 및 광키보드
US10725246B1 (en) Optical fiber adapter
KR970028627A (ko) 리본형 광케이블용 다심 광커넥터
DE2531398B1 (de) Schalter fuer lichtleiter
JP4125422B2 (ja) 多光軸光電スイッチ
CA1323225C (en) Fiber optic control system
US6422762B1 (en) Optical connection unit
US6804448B2 (en) Electrical variable optical attenuator
JPH06139903A (ja) 回路遮断器の付属装置
CN220154695U (zh) 回路器盒及光纤回路器
JP3718107B2 (ja) 光分岐結合装置
JPH07296691A (ja) 光スイッチ
JPH0512958A (ja) リミツトスイツチ
JPS63193122A (ja) 光スイツチ
JPH06174975A (ja) 光配線接続器ならびに光ループ配線方法および光ループ配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8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