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675Y1 -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 - Google Patents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675Y1
KR910005675Y1 KR2019880003484U KR880003484U KR910005675Y1 KR 910005675 Y1 KR910005675 Y1 KR 910005675Y1 KR 2019880003484 U KR2019880003484 U KR 2019880003484U KR 880003484 U KR880003484 U KR 880003484U KR 910005675 Y1 KR910005675 Y1 KR 910005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terminal
base
fixed contac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3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9807U (ko
Inventor
우영석
Original Assignee
우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영석 filed Critical 우영석
Priority to KR2019880003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675Y1/ko
Publication of KR8900198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98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6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조합상태 단면도.
제 3 도는 제1실시예의 단자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 4 도는 제1실시예의 단자변형에 관한 다른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 5 도는 제1실시예의 탄성부재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7 도는 제2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 8 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9 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10 도는 종래의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전원단자의 구성을 예시하는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단자함
4 : 클램프 단자 5 : 탄성부재
6 : 가동접점 7 : 고정접점
11 : 요철면 12 : 융기
13 : 가이드포스트 14 : 통공
50 : 탄성돌기 A : 회로 수납실
본 고안은 화재감지기용 베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원선의 연결 접속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용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재감지기용 베이스는 제 10 도의 도시와같이 스윗칭 회로가 수용되는 수납실(A)의 주변에 +,-양단자(B)(C)가 접점편에 스크류를 나삽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단자(B)(C)를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 작업자는 전선 인입공(D)를 경유하여 인입된 전원선(E)(F)를 드라이버로 조작하여 접속해야 하는 불편이 있고, 이 점은 화재감지기용 베이스가 실내의 천장에 부착되어 있는 관계로 인하여, 한층 고되고 힘든 작업중에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단자(B)(C)는 접점편과 스크류의 나사 맞춤 공정과 스크류 종단의 타발 변형 공정을 거쳐야 하는 등, 조립수공에 비용이 많이든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화재감지기용 베이스에서 볼 수 있는 단자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원선의 연결 접속을 손쉽게 간격하게 행 할 수 있는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베이스 몸체에 단자함을 일체로 형성하고, 탄성부재에 의해 탄압되는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클램핑 단자를 전기한 단자함에 수용 조합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전원선을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사이에서 클램핑하여 접속되는 것이므로, 가동접점 또는 고정접점의 접촉면에 너얼링이나 엠보싱 가공을 하여 요철면을 부여할 수 있다.
전원선의 삽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고정접점의 선단변에 유도구를 형성부가할 수 있다. 탄성부재는 통상적인 코일스프링을 채용 하거나 또는 단자함의 바닥측에 탄력돌기를 일체로 성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가동단자를 측면자상으로 밴딩하여 자체 탄성을 갖게할 수도 있다.
전원선의 삽착 접속을 더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로서, 가동접점에 가이드 포스트를 기립 설치하고, 이 가이드포스트를 고정접점에 뚫려진 동공을 통해 외부로 도출하여 인위적으로 고정접점과 가동접점 사이가 벌어지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포스트는 가동접점과 별개로 성형하여 고정접점과 가동접점 사이에 개재시켜 놓아도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가이드포스트의 제조를 간격하게 행하기 위하여 가동접점에서 가이드포스트를 절제 형성할 수 도 있으며, 이 경우에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은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의 몸체(1)은 회로수납실(A)와 근접위치하는 1쌍의 단자함(2)를 보유한다.
단자함(2)는 전단부측에 전원선이 삽입되기 위한 1쌍의 홈(3)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내부에 클램핑단자(4)가 수납된다.
클램핑단자(4)는 탄성부재(5)에 의해 항상 탄압되어지는 가동접점(6)과, 이에 대향 위치하는 고정접점(7)로 구성된다.
먼저, 탄성부재(5)가 단자함(2)내에 수납된 다음, 그 상측에 가동접점(6)의 놓여진다.
여기서, 탄성부재(5)와 가동접점(6)의 연계가 정확히 행해질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가동접점(6)은 하측면에 돌기상 시트(8)을 보유할 수도 있다.
가동접점(6)이 단자함(2)의 내부에 장치되면, 단자함(2)는 고정접점(7)에 의해 복개된다.
고정접점(7)은 일측후방으로 리이드선(9)를 연장하고 있는 것으로, 단자함(2)의 상방을 복개할 때, 도면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같이 리이드선(9)는 회로수납실(A)로 진입되어 회로 전원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다음에, 스크류(10)과 같은 적당한 체결 수단으로 고정 부착된다.
이와같이 단자함(2)를 고정접점(7)이 복개하고,그 내측에는 가동접점(6)이 탄성부재(5)에 의해 탄압됨에 따라, 가동접점(5)와 고정접점(6)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2 도의 도시와 같이, 전원선(E)(F)의 나전선부를 단자함(2)의 홈(3)을 통해 진입시켜 주면, 가동 접점(5)와 고정접점(6)사이에서 클램핑되어 전기적인 접속이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가동접점(6)과 고정접점(7)의 대향면 어느 한쪽에 제 3 도시와 같이, 너얼링이나 엠보싱에 의한 요철면(11)을 부여하여 클램핑상태가 보다 확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전원선(E)(F)의 삽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제 4 도의 도시와같이 가동접점(6)에 융기(12)를 성형 부가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 탄성부재(5)는 통상적인 코일 스프링을 채용하고 있으나, 이 코일스프링 대신에 제 5 도의 도시와같이 단자함(2)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자체탄성력을 갖는 형태로 된 탄성돌기(50)을 연장 성형하여 가동접점(8)에 탄압력이 가해지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부품수가 절감되고, 조립 수공이 간편해 진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제 6 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탄성부재(5)에 의해 탄압되는 가동접점(8)은 상방에 가이드 포스트(13)을 보유하며, 이에 대하여 고정접점(6)은 가이드포스트(13)이 외부로 도출될 수 있도록 통공(14)를 보유한다.
이와같은 구조에 있어서, 가동접점(6)과 고정접점(7)사이의 간격은 가이드포스트(13)에 의해 벌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가이드포스트(13)을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내리 누르고, 전원선(E)(F)의 나전선부를 밀어 넣은 것으로 수월하게 접속작업이 종료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4 도에 예시한 바와같은 융기(12)를 고정접점(7)에 형성하지 않아도 전원선(E)(F)의 접속이 용이하게 행해지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 가이드포스트(13)을 가동접점(16)에 고정 부착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 가이드포스트(6)은 제 7 도의 도시와같이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의 적당한 재질로 별도 성형하여 놓고, 이를 가동접점(6)과 고정접점(7)사이에 개재시켜서, 가이드포스트(13)의 상단이 고정접점(7)에 뚫려진 통공(14)를 통하여 외부로 도출되도록 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가동접점(6)에는 가이드포스트(13)이 안착 보전되는 시이트(15)를 성형하여 양 접점(6)(7)사이가 보다 근접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8 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예에서 클램프단자(4)를 구성하는 가동접점(6)은 측면자상으로 밴딩 성형되어, 자체 탄력을 보유하게끔 형성된다.
이 경우, 가이드포스트(13)은 가동접점(6)에서 절제 형성되어 대향측의 고정접점(7)에 뚫려진 통공(14)를 통하여 외부로 도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같은 구조에 의하면 탄성부재(5)를 생략할 수 있는 부품절감의 이점과, 조립수공이 더 한층 용이하게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제 9 도는 제 8 도의 제3실시예에서 진일보하여 가동접점(6)과 고정접점(7)을 일체로 밴딩성형하여 단일의 클램프단자(4)를 구성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것은 부품이 하나로 가장 양호한 이점을 갖추게 되는 것이나, 부차적으로 밴딩 성형이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다.
제 8 도와 제 9 도의 실시예에서도 전원선(E)(F)는 그 나전선부를 단자함(2)의 홈(3)를그러나 통해 진입시키면서, 가이드포스트(13)을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눌러주어 가동접점(6)과 고정접점(7)사이의 간격을 넓혀주는 것에 의해, 용이하고 간편하게 행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클램프단자에 의해 전원선이 클램핑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이 손쉬운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또 이들은 구조적으로 간결하기 때문에 조립 수공이 용이하여 생상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을 나타낸다.

Claims (8)

  1. 몸체(1)의 회로 수납실(A)에 근접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1쌍의 단자함(2)와, 탄성부재(5)에 의해 탄압되는 가동접점(6)과 이에 대향하는 고정접점(7)로 이루어지는 클램프단자(4)를 보유하는 화재감지기용 베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부재(5)는 단자함(2)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돌기(5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용 베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클램프단자(4)는 상방에 가이드포스트(13)이 기립 설치된 가동접점(6)과, 전기한 가이드포스트(13)이 관통 도출되는 통공(14)을 보유하는 고정접점(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용 베이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동접점(6)과 고정접점(7)사이의 대향면 어느 한쪽에 요철면(11)이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용 베이스.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동접점(6)은 상방에 용기(12)를 보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용 베이스.
  6. 제 3 항에 있어서, 가이드포스트(13)은 가동접점(6)과 별개로 성형되어, 양 접점(6)(7) 사이에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용 베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클램프단자(4)는 측면자 상으로 밴딩되어 자체 탄성력을 보유하는 가동접점(6)과, 이에 대향하는 고정접점(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용 베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클램프단자(4)는 고정접점(7)의 일단부를 측면자 상으로 밴딩하여 가동접점(6)을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용 베이스.
KR2019880003484U 1988-03-16 1988-03-16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 KR910005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484U KR910005675Y1 (ko) 1988-03-16 1988-03-16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484U KR910005675Y1 (ko) 1988-03-16 1988-03-16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807U KR890019807U (ko) 1989-10-05
KR910005675Y1 true KR910005675Y1 (ko) 1991-07-30

Family

ID=1927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3484U KR910005675Y1 (ko) 1988-03-16 1988-03-16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67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807U (ko)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8981A (en) Connecting clamp for electrical conductors
US4842557A (en) Contact device for mak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ion
KR980006631A (ko) 보강 이행 영역이 구비된 암형 전기 접촉 터미널
US4447684A (en) Automotive horn switch structure on steering wheel
US3812453A (en) Electric terminal connector
KR910005675Y1 (ko)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
KR100295232B1 (ko) 스위치를갖는시프트노브의구조
FI95180B (fi) Kontaktin antava puristuselin sähkölaitteiden johtojen yhdistämiseksi
GB1519684A (en) Electrical connector
KR980006632A (ko) 보강된 케이지 형태의 암형 전기 접촉 터미널
US4281229A (en) Buzzer switch
KR900007012A (ko) 전자접촉기
JPH0244663A (ja) 端子台装置
JPS6230241Y2 (ko)
GB2113481A (en) Electrical terminal provided with a built-in lead fixing element
GB2079071A (en) Socket connector
KR960000250Y1 (ko)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
JPH0625887Y2 (ja) 電池収納ケースにおける電極ばね端子取付構造
JP3684753B2 (ja) 蛍光ランプソケット
JPS6010307Y2 (ja) ランプソケツト
JP3619758B2 (ja) パック電池
JPS5841705Y2 (ja) ヒユ−ズ装置
JPS6020278Y2 (ja) 乾電池ケ−スの電極端子
JPS5825575Y2 (ja) 接続装置
JPS633548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REQUESTED 19940823

Effective date: 1995012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