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192Y1 - 편향요크장치 - Google Patents

편향요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192Y1
KR910005192Y1 KR2019890002966U KR890002966U KR910005192Y1 KR 910005192 Y1 KR910005192 Y1 KR 910005192Y1 KR 2019890002966 U KR2019890002966 U KR 2019890002966U KR 890002966 U KR890002966 U KR 890002966U KR 910005192 Y1 KR910005192 Y1 KR 9100051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deflection yoke
pair
vertical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29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788U (ko
Inventor
다께오 가와구찌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37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7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1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1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향요크장치
제 1 도는 본원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편향요크장치의 배면도.
제 2 도는 요부의 사시도.
제 3 도는 요부의 결선도.
제 4 도는 수직편향전류의 특성도.
제 5 도는 본원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의 정면도.
제 6 도는 컬러수상관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제 7 도, 제 8 도, 제 9 도, 제 10 도, 제 11 도는 종래의 컬러수상관의 편향자계와 라스터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12 도, 제 13 도는 종래의 컬러수상관의 라스터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편향요크장치의 배면도와 그 장치에 의한 라스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전자총 3 : 편향요크
3A : 코일세퍼레이터 7 : 수직편향코일
10 : 전자석
본원 고안은 인라인(in-line)형 전자총을 구비한 컬러수상관에 장착해서 사용되는 편향요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6 도는 종래의 컬러수상관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며, 이 도면에 있어서, (2)는 전자총이며, 컬러수상관(1)의 네크부(1a)에 수용되어 있다. (3)은 편향요크이고, 이 편향요크(3)는 제 6 도에 있어서 사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전방확대부 대략 원추형부 및 후방확대부를 가진 코일세퍼레이터(3A)내에 한쌍의 안장형 수평편향코일과 한쌍의 트로이달(troidal)형 수직편향코일을 배치하고 있다. (4)는 샤도우마스크이고, 상기 전자총(2)에는 방출된 3개의 전자(電子) 빔(2B),(2G),(2R)이 통과하는 구멍을 갖는다. (1A)는 컬러수상관(1)의 패널부이고, 그 내면에 청,녹,적의 형광체도트(dot)로 이루어지는 형광면(1b)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컬러수상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자총(2)에서 방출된 3개의 전자빔(2B),(2G),(2R)는 편향요크(3)가 창출하는 수평편향자계와 수직편향자계에 의해서 형광면(1b)의 앞면에 걸쳐서 주사되고, 샤도우마스크(4)의 구멍을 통해서 대응하는 각기 형광체도트에 사돌(射突) (이하, 랜딩이라함)함으로써 원하는 색을 발광하여 컬러화상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컬러수상관(1)에 있어서, 편향요크(3)의 자계가 수평 및 수직이 함께 균일하고, 이 균일한 자계에 의해서 전자빔(2B),(2G),(2R)이 편향된 경우, 형광면(1b)의 곡률반경이 편향중심에서 형광면중심까지의 거리에 비하여 크고, 형광면(1b)에 있어서 그 주변으로 갈수록 편향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크기 때문에, 제 7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사이드 빔(2B),(2R) 및 센터빔(2G)의 라스터(raster)가 형광면(1b)상에서 1점에 집중되지 않고, 미스콘버젠스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콘버젠스(convergence)상태로 되는 컬러수상관(1)에 있어서, 편향요크(3)의 자계분포를, 수평자계에 대해서는 제 8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강한 핀쿠션형으로, 또한 수직자계에 대해서는 제 9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한 배럴형으로 함으로써, 제 10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사이드빔(2B),(2R)을 형광면(1b)상에서 합치시킬 수 있다. 이때, 센터빔(2G)의 라스터는 코마수차(收差)왜곡에 의해 한쌍의 사이드빔(2B), (2R)을 형광면(1b)상에서 합치시킬수 있다. 이때, 센터법(2G)의 라스터는 코마수차(收差) 왜곡에 의해 한쌍의 사이드빔(2B), (2R)의 라스터에 의해 약간 작게 되는데, 이것은 각 전자빔에 부설한 자계제어소자를 사용해서 편향요크(3)의 네크부의 누설자계를 제어함으로써 센터빔(2G)과 한쌍의 사이드빔(2B)(2R)을 형광면(1b)상에 합치시키도록 보정할 수 있다.
한편, 라스터왜곡도 편향자계분포에 의존하고, 제 7 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광면(1b)의 상하 핀쿠션왜곡(PQ1)은 주로 수평자계분포로, 또 좌우핀쿠션변형(PQ2)은 주로 수직자계포로 결정되며, 이들 핀쿠션왜곡(PQ1)(PQ2)은 핀쿠션형 자계로 될수록 적어진다. 따라서 미스콘버젠스의 보정을 위해서, 수평자계를 제 8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한 핀쿠션형으로, 또한 수직자계를 제 9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한 배럴형으로 했을 경우, 형광면(1b)상에서 발생하는 라스터왜곡중, 상하핀쿠션(PQ1)은 없앨 수 있으나, 좌우핀쿠션왜곡(PQ1)은 커진다.
그래서, 수직자계의 분포에 대하여, 제 11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향요크(3)의 형광면(1b)축을 핀쿠션형자계로 하고, 중간부에서 네크부에 걸쳐서 매우 강한 배럴자계가 되도록 함으로써, 3개의 전자빔(2B),(2G),(2R)이 받는 수직자계의 총합량을 배럴형자계가 되도록 하여, 동적(動的)콘버젠스를 전혀 불필요하게 하는 동시에, 라스터왜곡의 동적보정이 불필요한 구성이 일반적으로 취해진다. 그러나, 컬러수상관(1)의 형광면(1b)의 곡률이 작은 것이나 복합곡률등 복잡한 곡률을 가진 경우, 편향코일의 자계분포만으로 완전한 콘버젠스와 라스터왜곡의 해소를 양립하는 것은 곤란하다.
제 12 도는 콘버젠스와 라스터왜곡의 보정을 실현하기 위해 고안된 종래의 편향요크장치의 배면도이며, 이 도면에 있어서, (5),(5)는 한쌍의 마그네트이고, 편향요크(3)에 있어서의 코일 세퍼레이터(3A)의 전방확대부(3a)의 수직축상에 배치되며, 형광면의 상하라스터왜곡을 보정하는 동시에, 편향코일의 자계분포로 콘버젠스와 라스터왜곡을 보정하도록 동작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편향요크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면 형광면의 곡률이 수평 및 수직 편향방향으로 각기 2차와 4차의 함수로 표시되도록 구성된 것에서는 상당히 강한 자력의 마그네트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며, 제 13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광면(1b)의 상하부에서의 라스터왜곡이 없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었다고 하더라도, 중간부에서의 갤형상라스터왜곡(PQ3)을 없앨 수는 없다. 또, 상당히 강한 자력의 마그네트를 사용하므로, 마그네트의 착자의 불균형이 있으면, 라스터왜곡이나 랜딩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미스랜딩이나 라스터왜곡을 발생하는 일 없이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편향요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고안에 관한 편향요크장치는 코일세퍼레이터의 최소한 전방확대부의 수직축상에 배치되어서, 수직편향코일의 수직편향주기에 동기하여 수직축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자속을 발생하는 한쌍의 전자석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고안에 의하면, 한쌍의 전자석에 수직편향전류를 가함으로써, 수직편향주기에 동기하여 수직축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자속을 발생시켜, 이 자속이 수직축의 중간부에 있어서 강하게 작용하게 되므로, 형광면의 중간부에서의 라스터왜곡을 없앨 수 있다.
이하, 본원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원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편향요크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이들 각 도면에 있어서, (3)은 편향요크이며, 이 편향요크(3)는 전방확대부(3a), 대략 원추형부 및 후방 확대부(3b)를 가진 코일세퍼레이터(3A)내에 전자빔을 형광면의 수평방향으로 편향하기 위한 한쌍의 안장형 수평편향코일(도시하지 않음)과, 전자빔을 형광면의 수직방향으로 편향하기 위한 한쌍의 트로이달형 수직편향코일(7)과,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3A)의 수직축(이하, Y축이라 함)상에 배치한 한쌍의 전자석(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자석(10)은 제 2 도에서 명시한 바와 같이, 규소강판이나 퍼말로이등의 고투자율재(高透磁率材)로 이루어지는 대략 ㄷ자형의 자성체(8)를 자심(磁芯)으로 하여, 이 자성체(8)에 왜곡보정코일(9)을 감아서 이루어지며, 상기 코일세퍼레이터(3A)의 전방확대부(3a)에 Y축과 평행하게 배설한 전자석장착부(3c)에 삽입하여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자성체(8)의 양단(8a)을 컬러수상관(1)의 콘부에 돌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3 도는 상기 한쌍의 전자석(10)과 한쌍의 수직편향코일(7)과의 결선도를 나타내며, 한쌍의 전자석(10)의 왜곡보정코일(9)은 차동저항기(12)를 통해서 한쌍의 수직편향코일(7)에 직렬로 결선되고, 수직편향주기에 동기하여 Y축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자속을 발생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수직편향전류(1)는 제 4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광면의 상하로 편향함에 따라서 직선적으로 증가하지 않는 이른바 S자의 보정이 가해진 전류이다. 이것은 형광면의 곡률반경이 편향중심에서 형광면중심까지의 거리에 비해서 크기 때문에, 편향각이 같으면 형광면의 끝부에서의 영상이 퍼지는 현상을 발생하기 때문에 편향각이 커짐에 따라 편향전류를 보정하고, 형광면의 전체면에 걸쳐 화상이 퍼지지 않는 이른바 리니어리티를 양호하게 한 것이다.
상기 구성의 편향요크장치(3)에 의하면, 코일세퍼레이터(3A)의 전방확대부(3a)의 Y축상에 배치한 한쌍의 전자석(10)이 수직편향코일(7)의 수직편향주기에 동기하여 수직축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자속을 발생하고, 이 자속은 수직편향전류와 같은 성질을 가지며, 형광면의 Y축의 중간부의 자속이 종래의 마그네트의 경우에 비하여 강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 13 도에 나타낸 종래의 마그네트방식의 왜곡보정에서 문제가 된 형광면의 중간부에서의 라스터왜곡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또 주지된 바와 같이, 양산되는 컬러수상관의 전자빔의 위치 및 편향요크의 자계분포의 대칭성은 반드시 완전하지는 않다. 따라서, 전자빔과 편향자계의 축을 완전히 일치시키는 조정기구로서, 일반적으로 편향요크를 구성하는 코일세퍼레이터의 전자총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형광면축을 왕복회전시킴으로써, 그 축맞춤을 한다. 예를 들면 전자빔의 위치가 편향자계의 중심축에서 형광면의 상측으로 벗어난 경우, 센터빔(2G)의 라스터에 대하여 한쌍의 사이드빔(2B),(2R)이 각기 반시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로 되는데, 편향요크의 형광면측을 상측으로 왕복회전함으로써 한쌍의 사이드빔(2B),(2R)을 센터빔(2G)에 합치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편향요크의 자계분포는 제 11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향요크의 왕복회전의 지지점이 되는 전자총측이 매우 강한 배럴자계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당량의 왕복회전을 필요로 한다. 그 결과, 라스터왜곡이 형광면의 상측에서 핀왜곡으로, 그 하측에서 배럴왜곡으로 된다.
그래서, 제 3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수직편향코일(7)에 차동저항기(12)를 통해서 접속된 형광면의 상측과 하측의 왜곡보정코일(9)에 흐르는 전류를 각기 증감제어함으로써, 형광면의 상측의 핀자계를 강하게, 그 하측의 핀자계를 약화시켜, 상기와 같이 전자빔과 편향자계의 축을 일치시키기 위해 편향요크를 왕복회전조정시킨 경우에도 라스터왜곡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 5 도는 본원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의 정면도이며, 대략 ㄷ자형의 자심(8)과 라스터왜곡보정코일(9)로 이루어진 메인전자석부(10)의 양측에 대략 ㄴ자형의 자심(8a)과 라스터왜곡보정코일(9a)로 이루어진 서브전자석부(10)를 대칭으로 연결한 것이다.
이 제 5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의 전자석을 라스터왜곡의 보정에 사용하면, 전자석에서 발생하는 자속은 제 5 도의(1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핀형상이 연소된 분포가 되고, 형광면의 코너부까지 편향되는 전자빔에 미치는 범위(a치수)내를 이른바 갤형상의 자계분포로 할 수 있고, 제 13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갤형상의 라스터왜곡(PQ3)을 없앨 수 있다. 이와 같은 갤형상의 자속분포는 변형보정코일(9)(9a)의 권수(卷數)를 예를 들면 9〉9a가 되도록 하거나, 전자석의 자심의 일부로 대략 Y축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돌출부(8a)간격이나 돌출부(8a)와 돌출부(8b)의 간격을 적당량으로 선택함으로써 간단히 그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원 고안에 의하면, 코일세퍼레이터의 최소한 전방확대부의 수직축상에 수직편향코일의 수직편향주기에 동기하여 수직축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자속을 발생하는 한쌍의 전자석을 배치함으로써, 라스터왜곡이나 미스탠딩의 불균일을 발생하지 않고, 라스터왜곡이 없는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전방확대부, 대략 원추형부 및 후방확대부를 가진 코일세퍼레이터내에 한쌍의 수평편향코일과 한쌍의 수직편향코일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편향요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일세퍼레이터의 최소한 전방확대부의 수직축상에 배치되어서, 상기 수직편향코일의 수직편향 주기에 동거하여 수직축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자속을 발생하는 한쌍의 전자석을 가진 수직편향요곡보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장치.
KR2019890002966U 1988-07-06 1989-03-17 편향요크장치 KR91000519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89793[U] 1988-07-06
JP1988089793U JP2518621Y2 (ja) 1988-07-06 1988-07-06 偏向ヨー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788U KR900003788U (ko) 1990-02-08
KR910005192Y1 true KR910005192Y1 (ko) 1991-07-20

Family

ID=1398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2966U KR910005192Y1 (ko) 1988-07-06 1989-03-17 편향요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14029A (ko)
JP (1) JP2518621Y2 (ko)
KR (1) KR91000519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867Y1 (ko) * 1990-11-22 1992-09-28 삼성전관 주식회사 편향 요크의 자성편의 취부구조
US5432401A (en) * 1992-10-05 1995-07-11 Murata Mfg. Co., Ltd. Correcting coil of deflection yoke
KR102507148B1 (ko) * 2020-04-06 2023-03-07 (주)코스턴 호두 껍질 박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2108A (en) * 1961-03-07 1963-07-24 Pye Ltd Improvements in scanning coil assemblies
US3550038A (en) * 1968-03-09 1970-12-22 Denki Onkyo Co Ltd Deflection yoke assembly for television picture
DE2155440C3 (de) * 1971-11-08 1975-01-09 Albertas Wazlowowitsch Bauschis Farbbildröhre mit einem den Röhrenhals umgebenden Ferritkern
US3906418A (en) * 1974-08-14 1975-09-16 Gte Sylvania Inc Means for effecting dynamic vertical convergence in an in-line plural beam cathode ray tube
JPS5820455B2 (ja) * 1977-09-21 1983-04-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偏向ヨ−ク
JPS5475215A (en) * 1977-11-29 1979-06-15 Toshiba Corp Deflecting unit
US4143345A (en) * 1978-06-06 1979-03-06 Rca Corporation Deflection yoke with permanent magnet raster correction
DE3271747D1 (en) * 1982-03-31 1986-07-24 Ibm Convergence unit for in-line colour cathode ray tube
US4556857A (en) * 1984-10-01 1985-12-03 General Electric Company Deflection yoke for small gun-base CRT
JPS62170133A (ja) * 1986-01-23 1987-07-27 Hitachi Ltd 偏向ヨ−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2148U (ko) 1990-01-25
JP2518621Y2 (ja) 1996-11-27
US5014029A (en) 1991-05-07
KR900003788U (ko) 199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1009A (en) Deflection yoke with a magnet for reducing sensitivity of convergence to yoke position
US5248920A (en) Cathode ray tube dynamic electron-optic eyebrow effect distortion correction
JPH0542776B2 (ko)
US5811922A (en) Coma-error correcting means of CRT
KR100432059B1 (ko) 칼라음극선관장치
KR910005192Y1 (ko) 편향요크장치
US3308328A (en) Magnetic apparatus for converging the beams of a plural gun cathode ray tube
US6326745B1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US3858134A (en) Horizontal convergence means for in-line beam cathode ray tube
US6518697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eflection unit, and a deflection unit for a display device
KR20010039960A (ko) 컨버전스 보정 장치를 가진 컬러 음극선관
JP2862575B2 (ja) カラー受像管
JPH0417238A (ja) カラー受像管および偏向装置
JPH0359931A (ja) カラー受像管用偏向ヨーク
KR0120935Y1 (ko) 컬러브라운관용 편향요크
JP2685797B2 (ja) カラー映像管装置
JP3128256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JP3150387B2 (ja) カラー受像管用偏向装置およびカラー受像管装置
JP2859900B2 (ja) カラー受像管
JPS59101745A (ja) カラ−受像管
EP0415125A1 (en) Cathode ray tube
FI58232C (fi) Sjaelvkonvergerande system foer faergtelevisionsaotergivning
JPH0414391A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ブラウン管用偏向装置
JP3215132B2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装置
JPS6290094A (ja) カラ−受像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