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085B1 - 컬러수상관 - Google Patents

컬러수상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085B1
KR910005085B1 KR1019890001082A KR890001082A KR910005085B1 KR 910005085 B1 KR910005085 B1 KR 910005085B1 KR 1019890001082 A KR1019890001082 A KR 1019890001082A KR 890001082 A KR890001082 A KR 890001082A KR 910005085 B1 KR910005085 B1 KR 910005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mask
frame
mask body
color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1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3694A (ko
Inventor
도시까즈 이와모또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기 가부시기갸이샤
시기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242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97943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2428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97942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기 가부시기갸이샤, 시기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기 가부시기갸이샤
Publication of KR890013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3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2Fr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66Details of skirt or border
    • H01J2229/0772Apertures, cut-outs, depressions, or the lik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컬러수상관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컬러수상관에 있어서 새도마스크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새도마스크 본체를 프레임의 안쪽벽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변형예에 의한 새도마스크의 분해사시도.
제4a, b, c도는 프레임의 안쪽벽의 오목부의 설치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컬러수상관에 있어서 새도마스크의 분해사시도.
제6도는 새도마스크 본체를 프레임의 안쪽벽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A-A선에서 본 단면도.
제8a, 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변형예에 의한 새도마스크의 주요부확대 사시도.
제9도는 종래의 컬러수상관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10도는 종래의 새도마스크의 일부를 잘라 낸 사시도.
제11a, b, c, d도는 컬러수상관에서의 화면 어긋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새도마스크 본체 21a, 22b : 볼록부
21b, 22a : 오목부 22 : 프레임
23 : 새도마스크 스커트부 26 : 탄성조각
본 발명은 컬러수상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널의 안쪽면에 내장된 새도마스크의 유지구조를 개량한 컬러수상관에 관한 것이다.
제9도는 컬러수상관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패널부, (1a)는 이 패널부(1)의 내면에 형성된 장방형상의 형광면부, (2)는 색선별전극인 새도마스크, (3)은 패널부(1)과 접속되는 파넬부, (4)는 형광면부(1a)를 향해서 전자빔을 발사하는 전자총이고, 상기 새도마스크(2)는 마스크스프링(5)를 거쳐서 패널부(1)에 내장유지된다.
패널부(1)의 외면형상은 구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새도마스크(2)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색선별 기능을 갖는 새도마스크 본체(21), 이 본체(21)을 유지하는 프레임(22)와 상기한 마스크 스프링(5)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용접 등에 의해 새도마스크 스커트부(23)을 프레임(22)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새도마스크 본체(21)이 프레임(22)에 고정된다.
상기 새도마스크 본체(21)은 상기 패널부(1)의 바깥쪽면 형상과 거의 유사한 구면형상을 하고 있고, 또 상기 프레임(22)는 새도마스크 본체(21)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0.8~2.5mm 두께의 열간 압연강판 또는 냉간 압연강판에 의해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새도마스크(2)는 색선별전극의 기능을 이루는 원형, 또는 장방형의 다수의 전자빔 투과구멍(24)를 갖고, 이 투과구멍(24)가 있는 부분의 경계형상(25)는 실질적으로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전자빔 투과구멍(24)는 컬러수상관의 제조에 있어서, 둘레 가장자리가 실질적으로 장방형의 형광면부(1a)를 형성하는 노출공정에서의 노출빔 통과기능도 갖는다.
이 노출공정에 있어서, 패널부(1)의 안쪽면에 둘레 가장자리가 장방형상의 형광면부(1a)를 형성할 때 패널부(1)에 대하여 새도마스크의 투과구멍이 있는 부분의 경계형상(25)가 편심 또는 회전한 상태에서 노출되면 제11도(a)와 같이 형광면부(1a)의 중심 P가 본래의 중심 Po에서 편심하거나, 또는 제11도(b)와 같이 형광면부(1a)가 회전상태에서 형성되는 소위 "화면 어긋남"이 생겨 컬러수상관의 외관상 바람직하지 않다.
이 화면 어긋남의 주된 원인은 프레임(22)의 내벽에 새도마스크 본체(21)을 용접등으로 고정하는, 소위 인사이드마스크 구조에 있어서, 프레임(22)와 이 내벽에 고정된 새도마스크 스커트부(23)의 클리어런스가 부적당하기 때문에 제11도(c), (d)와 같이 프레임(22)내에서 새도마스크 본체(21)이 편심, 또는 회전한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에 있다.
예를 들면, 37인치 컬러수상관인 경우 투과구멍이 있는 부분의 경계의 긴변의 길이가 약 640mm이지만, 이 경우 새도마스크 본체(21)이 X축에 대하여 0.4도 경사지게 고정되면 패널 내면상의 형광면부(1a)의 회전 어긋남량 d(제11도 (b)참조)는 약 5mm로 되어 외관상 좋지 않게 보이는 일이 있었다.
종래의 컬러수상관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특히 인사이드마스크구조인 경우 화면 어긋남을 없애기 위해서는 프레임 내벽에 새도마스크 본체를 편심이나 회전이 없도록 정밀도가 좋게 끼워 맞추고 고정해서 조립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새도마스크 본체의 센터링이나 위치결정 등을 위한 장치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되고, 새도마스크 본체 및 프레임의 부분 가공 정밀도의 불안정을 고려하면 이들의 조립장치는 기구가 복잡하고, 고가품으로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새도마스크 본체와 프레임의 센터링이나 위치결정 등을 위한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새도마스크 본체를 프레임내벽에 편심이나 회전어긋남이 없도록 거의 균등한 클리어런스를 유지해서 정밀도가 좋게 고정할 수 있어 화면 어긋남이 적은 컬러수상관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새도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와 프레임의 안쪽벽에 각각 서로 끼워 맞추는 맞춤부를 대응시켜서 마련한 것이다.
또, 새도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와 프레임의 한쪽에 상대측의 프레임의 안쪽벽 또는 새도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에 눌러접합하는 탄성조각을 적어도 2개 마련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새도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의 끼어 맞춤부와 프레임의 안쪽벽의 끼워 맞춤부를 서로 끼워 맞추는 것에 의해서, 새도마스크 본체는 프레임에 대해서 적절하게 위치결정되고, 프레임의 안쪽벽에 거의 균등한 클리어런스로 고정된다. 또한, 새도마스크 본체를 프레임의 안쪽벽에 끼워 맞추는 경우 탄성조각이 휘어서 탄성력이 발생하고, 이 탄성력이 새도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와 프레임의 안쪽벽 사이에 작용하는 것에 의해서, 새도마스크 본체는 프레임에 대해서 적절하게 위치결정되고, 프레임의 안쪽벽에 거의 균등한 클리어런스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그외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과 첨부도면에 의해서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새도마스크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1도에 있어서 (21)은 새도마스크 본체, (21a)는 이 새도마스크 본체(21)의 스커트부(23)의 짧은 변측 코너근방의 4곳(도면에서는 바로 앞쪽의 2곳만 도시함)에 마련된 볼록부로서, 이 볼록부(21a)는 바깥둘레가 원호형상의 기둥형돌기로 형성되어 있고, 새도마스크 본체(2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22)는 틀형상의 프레임, (22a)는 프레임(22)의 짧은 변측 코너근방의 4곳의 안쪽벽에 마련된 오목부로서, 이 오목부(22a)는 V자형의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21a)와 대응하는 부위에 프레임(22)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24)는 새도마스크 본체(21)에 형성된 전자빔 투과구멍, (25)는 실질적으로 장방형상의 구멍이 있는 부분의 경계형상이다.
제2도는 새도마스크 본체(21)의 볼록부(21a)와 프레임(22)의 오목부(22a)가 대응하도록 끼워 맞추어서 새도마스크 본체(21)을 프레임(22)의 안쪽벽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다.
제2도에 있어서 새도마스크 본체(21)의 볼록부(21a)와 프레임(22)의 오목부(22a)는 4곳에서 끼워 맞추어진 상태로 있다. 또, 볼록부(21a)는 바깥둘레가 원호형상의 기둥형돌기이고, 오목부(22a)는 V자형의 홈이므로 각 볼록부(21a)와 오목부(22a)는 기둥돌기의 2곳에서 선접촉을 유지하면서 눌러 붙은 상태로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 때문에 새도마스크 본체(21)은 제11도(c), (d)와 같이 프레임(22)내에서 편심이나 회전어긋남이 생기는 일없이 프레임(22)에 대해서 일정한 클리어런스를 유지해서, 적절하게 위치결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새도마스크 본체(21)의 스커트부(23)을 프레임(22)의 안쪽벽에 용접등으로 고정하는 것에 의한 형광면 제조공정중에서, 소위 화면 어긋남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제3도에 있어서, 제1도와는 반대로 새도마스크 본체(21)이 스커트부(23)에 V자형의 홈으로 되는 오목부(21b)를, 또 이것에 대응해서 프레임(22)의 안쪽벽에 바깥둘레가 원호형상의 기둥형돌기로 되는 볼록부(22b)를 각각 마련한 것이다.
이 경우에서도 오목부(21b)와 볼록부(22b)는 선접촉을 유지하면서 눌러 붙은 상태로 끼워 맞추어져 제1도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새도마스크 본체(21)의 볼록부(21a) 또는 오목부(21b)와 이것에 대응하는 프레임(22)의 안쪽벽에 오목부(22a) 또는 볼록부(22b)를 모두 스커트부(23) 또는 프레임(22)의 짧은 변측코너근방에 각각 4개 마련한 경우에 대해서 기술했지만, 이들의 오목부와 볼록부(21a), (21b), (22a), (22b)는 프레임(22)내에서 새도마스크 본체(21)이 편심 또는 회전하지 않는 부위에 설치하면 좋고, 예를 들면 제4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새도마스크 본체(21)의 중심 0에 대해서 점대칭의 위치에 최저 2개 마련해도 좋고, 또는 제4도(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 3 내지 그 이상의 여러 장소에 마련해도 좋다.
제4도에서는 프레임의 안쪽벽의 오목부(22a)의 위치만을 도시하고, 이것에 대응하는 새도마스크 본체측의 볼록부(21a)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볼록부(21a), (22b)를 바깥둘레가 원호형상의 기둥형 돌기고 하고, 오목부(22a), (21b)를 V자형의 홈으로 해서 이들 오목부 및 볼록부가 선접촉하는 경우에 대해서 기술했지만, 오목부 및 볼록부는 서로 끼워 맞춤이 가능한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볼록부(21a), (22b)를 바깥둘레가 원호형상의 기둥형 돌기로 하고, 오목부(22a), (21b)를 이 기둥형 돌기의 바깥둘레 원호면에 따르는 U자형의 홈으로 해서 오목부 및 볼록부가 면접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어느 것의 경우도 볼록부(21a), (22b)를 새도마스크 본체(21) 또는 프레임(22)와 일체로 성형한 경우에 대해서 기술했지만, 볼록부(21a), (22b)를 따로 성형해서 새도마스크 본체(21) 또는 프레임(22)에 용접등으로 고정해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새도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와 프레임의 내벽에 각각 서로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부를 대응시켜서 마련하는 것에 의해, 새도마스크 본체는 프레임에 대해서 적절하게 위치 결정되고, 프레임의 안쪽벽에 거의 균등한 클리어런스로 고정되므로 새도마스크 본체와 프레임의 센터링이나 위치 결정 등을 위한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새도마스크 본체를 편심이나 회전어긋남이 없는 상태에서 정밀도가 좋게 고정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화면 어긋남이 없는 컬러수상관을 얻을 수가 있다.
[실시예 2]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새도마스크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5도에 있어서 (21)은 새도마스크 본체, (22)는 틀형상의 프레임, (23)는 새도마스크 본체(21)의 스커트부, (24)는 새도마스크 본체(21)에 형성된 전자빔 투과구멍, (25)는 실질적으로 장방형상의 구멍을 갖는 경계형상이다. (26)은 새도마스크 본체(21)의 스커트부(23)의 짧은 변측코너부근방에 있어서, 코너부를 사이에 두고 2개씩 마련된 장방형평판형상의 탄성조각으로서, 이 탄성조각(26)은 프레임(22)의 안쪽벽을 향해서 펴지도록 새도마스크 본체(2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6도는 새도마스크 본체(21)를 프레임(22)에 끼워 맞추어서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는 탄성조각(26)이 휘어져서 프레임(22)의 내벽에는 탄성력 P가 화살표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즉, 제7도(제6도의 A-A선에서 본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조각(26)은 새도마스크 본체(21)을 프레임(22)에 끼워 맞추기전에는 도면중의 점선위치에 있지만 끼워 맞출때에는 도면중의 실선 위치까지 탄성변형해서 프레임(22)의 안쪽벽에 탄성력 P를 작용시킨다. 이 때문에 제6도에서 각 코너부 근방의 탄성력 P가 균형있게 작용하면 새도마스크 본체(21)은 제11도(c), (d)와 같이 프레임(22)내에서 편심이나 회전 어긋남이 생기는 일 없이 프레임(22)에 대해서 일정한 클리어런스를 유지하여 적절하게 위치 결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새도마스크 본체(21)의 스커트부(23)을 프레임(22)의 내벽에 용접등으로 고정하는 것에 형광면 제조공정중에서의, 소위 화면 어긋남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탄성조각(26)을 장방형의 평판형상의 것으로 나타냈지만 제8도(a)와 같이 탄성조각(26)을 아래 방향으로 컬(Curl)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라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새도마스크 본체(21)을 프레임(22)에 끼워 맞추게 하는 경우에 탄성조각(26)의 마찰이 적게 되어 끼워 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 제8도(a)에서는 탄성조각(26)의 기저부가 새도마스크 본체(21)의 변과 평행으로 되어 있지만, 제8도(b)와 같이 수직으로 해서 탄성조각(26)을 가로방향의 컬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라도 좋다. 또, 평행, 수직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각도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탄성조각(26)을 새도마스크 본체(21)의 각 코너부 근방에 코너부를 사이에 두고 2개씩 합계 8개 마련한 경우에 대해서 기술했지만, 탄성조각(26)은 탄성력이 균형있게 프레임(22)내에서 새도마스크 본체(21)이 편심 또는 회전하지 않는 부위에 적어도 2개 마련하면 좋고 그 개수에는 문제가 없다. 예를들면, 새도마스크 본체(21)의 중심에 대해서 점대칭의 위치에 2개 마련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탄성조각(26)을 새도마스크 본체(21)측에 마련했지만 탄성조각(26)은 프레임(22)와 일체로 형성해서 마련해도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탄성조각(26)을 새도마스크 본체(21) 또는 프레임(22)와 일체로 형성한 경우에 대해서 기술했지만 탄성조각(26)을 따로 형성해서 새도마스크 본체(21) 또는 프레임(22)에 용접등으로 고정해도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새도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와 프레임의 한쪽에 상대측의 프레임의 안쪽벽 또는 새도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에 눌러 접합하는 탄성조각을 적어도 2개 마련한 것에 의해 이 탄성조각의 탄성력에 의해서 새도마스크 본체는 프레임에 대해서 적당하게 위치 결정되고, 프레임의 내벽에 거의 균등한 클리어런스로 고정되므로 새도마스크 본체와 프레임의 센터링이나 위치결정 등을 위한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새도마스크 본체를 편심이나 회전어긋남이 없는 상태에서 정밀도가 좋게 고정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새 화면 어긋남이 없는 컬러수상관을 얻을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9)

  1. 패널의 안쪽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다수의 전자빔 투과구멍(24)를 갖는 새도마스크 본체(21)과 상기 새도마스크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에 고정된 프레임(22)를 갖는 컬러수상관에 있어서, 상기 새도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23)과 상기 프레임의 안쪽벽에 각각 서로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부(21a~22b)를 대응시켜서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수상관.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끼워 맞춤부(21a,21b)가 상기 새도마스크 본체(21)의 스커트부(22a,22b)가 일체로 형성되고, 또 끼워 맞춤부(22a,22b)가 프레임(22)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수상관.
  3.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부는 상기 새도마스크 본체(21)의 스커트부(23)과 프레임(22)의 각각에 적어도 2개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수상관.
  4.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도마스크 본체(21)의 스커트부(23)의 끼어 맞춤부(21a)는 원호형상의 기둥형 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2)의 끼워 맞춤부(22a)는 V자형의 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수상관.
  5.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도마스크 본체(21)의 스커트부(23)의 끼워 맞춤부(21b)는 V자형의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2)의 끼워 맞춤부(22b)는 원호형상의 기둥형 돌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수상관.
  6. 패널의 안쪽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다수의 전자빔 투과구멍(24)를 갖는 새도마스크 본체(21)과 상기 새도마스크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에 고정된 프레임(22)를 갖는 컬러수상관에 있어서, 상기 새도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23)와 상기 프레임의 한쪽에 상대측의 프레임의 안쪽벽 또는 새도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에 눌러 접합하는 탄성조각(26)을 적어도 2개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수상관.
  7. 특허청구의 범위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조각(26)이 새도마스크 본체(21)의 스커트부(23) 또는 프레임(22)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수상관.
  8. 특허청구의 범위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조각(26)이 장방형의 평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수상관.
  9. 특허청구의 범위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조각(26)이 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수상관.
KR1019890001082A 1988-02-03 1989-01-31 컬러수상관 KR9100050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4289 1988-02-03
JP63024290A JPH01197943A (ja) 1988-02-03 1988-02-03 カラー受像管
JP63024289A JPH01197942A (ja) 1988-02-03 1988-02-03 カラー受像管
JP63-24290 1988-0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694A KR890013694A (ko) 1989-09-25
KR910005085B1 true KR910005085B1 (ko) 1991-07-22

Family

ID=2636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1082A KR910005085B1 (ko) 1988-02-03 1989-01-31 컬러수상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949009A (ko)
KR (1) KR910005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4822Y2 (ja) * 1988-06-24 1997-08-20 日本電気株式会社 カラーブラウン管用マスクフレーム
TW328605B (en) * 1996-03-11 1998-03-21 Hitachi Ltd The color cathode tube
EP0818800B1 (en) * 1996-07-12 2001-12-19 Kabushiki Kaisha Toshiba Color cathode ray tube
US6188170B1 (en) 1996-07-12 2001-02-13 Kabushiki Kaisha Toshiba Color cathode ray tube including mask frame with protruding portions
JPH10144227A (ja) * 1996-11-14 1998-05-29 Hitachi Ltd シャドウマスクを備えたカラー陰極線管
JP3536960B2 (ja) * 1997-03-11 2004-06-14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シャドウマスクを備えたカラー陰極線管
JPH10334822A (ja) * 1997-05-30 1998-12-18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
TW512389B (en) 1998-04-24 2002-12-01 Hitachi Ltd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 shadow mask structure with curl reduced in a skirt portion thereof
JP2001185049A (ja) * 1999-12-27 2001-07-06 Toshiba Corp シャドウマスク、ブラウン管、ブラウン管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US6948697B2 (en) 2000-02-29 2005-09-27 Arichell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uid flow
US20070241298A1 (en) * 2000-02-29 2007-10-18 Kay Herbert Electromagnet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uid flow
KR20030029826A (ko) * 2001-06-21 2003-04-1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칼라 선택 전극을 구비한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315905A (nl) * 1973-11-21 1975-05-23 Philips Nv Elektronenstraalbuis voor het weergeven van ge- kleurde beelden.
US4327307A (en) * 1979-03-19 1982-04-27 North American Philips Consumer Electronics Corp.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 ray tube
US4437036A (en) * 1981-10-23 1984-03-13 Rca Corporation Cathode-ray tube having a temperature compensated mask-frame assembly
JP2703881B2 (ja) * 1984-12-27 1998-01-26 株式会社東芝 カラー受像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49009A (en) 1990-08-14
KR890013694A (ko) 198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085B1 (ko) 컬러수상관
KR970067528A (ko) 컬러음극선관
US3997811A (en) Color television tub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692660A (en) Improved indexing means with optimized groove angle
JP3074177B2 (ja) テレビ受像機の前面構成部材
JPH01197943A (ja) カラー受像管
US4586799A (en) Exposure apparatus
US4050602A (en) Color television tub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JPH0561949U (ja) 陰極線管
JPH05242842A (ja) X線管の陰極構体
US4387404A (en) Projector television tube alignment means and method
JPH01311582A (ja) 蛍光灯ランプソケット
JPH0752989Y2 (ja) フライホイール
KR940000380B1 (ko) 칼라 음극선관
JPS6265051A (ja) 複写機のフレ−ム
KR0131377Y1 (ko)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탄성홀더구조
KR950002740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그리드전극 및 그 조립방법
JPS6240133A (ja) 電子銃の電極
KR960000929Y1 (ko) 다이어프램 조립체
JPH10134711A (ja) 電子銃のビーディング組立方法
KR950015069B1 (ko) 비이드 마운팅의 전극 정합방법
JPS58194045A (ja) 複写機のフレ−ム
JP3875893B2 (ja) 部品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部品取付構造
JPH0643560Y2 (ja) フライホイル
JP3361845B2 (ja) ディスプレイ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