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443Y1 - 노선버스의 안내방송 자동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노선버스의 안내방송 자동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443Y1
KR910004443Y1 KR2019880018229U KR880018229U KR910004443Y1 KR 910004443 Y1 KR910004443 Y1 KR 910004443Y1 KR 2019880018229 U KR2019880018229 U KR 2019880018229U KR 880018229 U KR880018229 U KR 880018229U KR 910004443 Y1 KR910004443 Y1 KR 9100044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bus
control signal
supply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8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648U (ko
Inventor
장석희
Original Assignee
장석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석희 filed Critical 장석희
Priority to KR2019880018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443Y1/ko
Publication of KR9000106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6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4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4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3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coun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Landscapes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노선버스의 안내방송 자동제어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회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각부 타이밍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정류장 안내방송녹음장치 10a : 스피커
11 : 스위칭수단 12 : 스위치 구동수단
13 : 제어신호 발생수단 14 : 제 1 타이머수단
15 : 제 2 타이머수단 16 : 출입문 개폐감지수단
RT : 릴레이 FF1, FF2: D형 플립플롭
CT1, CT2: 업카운터 CK1, CK2: 클럭펄스발생기
G1-G2: NOT게이트 Q1, Q2: 트랜지스터
SW1, SW2: 스위치 R1-R2: 저항
C1-C2: 콘덴서 VR1, VR2: 가변저항
D1-D4: 다이오드
본 고안은, 노선버스의 안내방송 자동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스출입문 개폐를 감지하여 안내방송이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노선버스의 안전운행 및 승객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형 노선버스는 승객편의를 위하여 정류장 안내방송 녹음장치를 구비하고 정류장간의 구간내에서 그때 그때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대응되는 정류장 안내방송이 출력되도록 하여 다음 정류장안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안내방송장치는 그때 그때 운전자가 조작해야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운전에 대한 주의력을 감소시키므로 안전운행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또한 운전에 주의한 나머지 운전자가 제때에 안내방송장치를 조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정류장안내방송의 소기의 목적을 수행하지 못할 뿐만아니라, 다음 조작시에 이미 지나간 정류안내방송이 출력되거나 하여 승객들에게 정류장에 대한 혼란을 주게되며 이로인한 승객의 불쾌감은 운전자의 피로감을 증가시켜 교통사고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역효과적인 폐단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버스출입문 개폐감지에 따라 정류장안내방송이 자동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노선버스의 안전운행 및 승객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노선버스의 안내방송 자동제어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부 스위치수단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정류장 안내방송 녹음장치로부터 정류장 안내방송을 재생출력하도록 구성된 노선버스의 안내방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수단을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스위치구동수단과, 상기 스위치 구동수단에 스위치 온/오프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스위치 온직후 설정된 안내방송시간을 카운티하여 스위치오프시간 정보를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에 공급하는 제 1 타이머 수단과,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에 버스출입문 개폐직후 설정된 안내 방송개시시간을 카운트하여 스위치 온시간 정보를 공급하는 제 2 타이머 수단과, 상기 제 2 타이머 수단에 버스출입문 개폐감지신호를 공급하는 출입문 개폐감지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서 녹음장치(10)은, 스위치수단(11)에 의해 정류장 안내방송이 녹음된 테이프로부터 안내방송을 재생하여 스피커(10a)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된 통상의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위치수단(11)을 릴레이(RY)로 구성하고, 이 릴레이(RY)는 스위치구동수단(12)의 트랜지스터(Q1), 저항(R1) 및 트랜지스터(Q2)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다이오드(D1)는 릴레이 코일에 의한 유도 역전압 바이패스용이다.
상기 스위치구동수단(12)에 스위치 온/오프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제어신호 발생수단(13)은 후술되는 제 1 타이머수단(14)에 의해 클리어되고 제 2 타이머수단(15)에 의해 프리세프되는 D형 플립플롭(FF1)의 정출력신호를 제어신호로 NOT게이트(G1)(G2)를 통하여 상기 스위치 구동수단(12)에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스위치온직후 설정된 안내방송시간을 카운트하여 스위치 오프시간정보를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13)에 공급하는 제 1 타이머수단(14)은 저항(R2), 방송시간 조절용 가변저항(VR1) 및 콘덴서(C1)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에 따라 클럭펄스를 발생하는 클럭발생기(CK1)와, 상기 스위치온시 형플립플롭(FF1)의 부출력신호기에 의해 클리어해제되어 상기 클럭펄스를 카운트하여 설정된 방송시간에 스위치 오프시간 정보를 상기 D형 플립플롭(FF1)의 클리어 신호로 공급하는 업카운터(CT1)로 구성한다.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13)에 버스출입문 개폐직후 설정된 안내방송개시시간을 카운트하여 스위치 온시간 정보를 공급하는 제 2 타이머수단(15)은 저항(R3), 방송개시시간 조절용 가변저항(VR2) 및 콘덴서(C2)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에 따라 클럭펄스를 발생하는 클럭발생기(CK2)와, 후술되는 출입문 개폐 감지수단(16)의 출입문 닫힘 감지신호에 의해 클리어 해제되어 상기 클럭펄스를 카운트하여 설정된 방송개시 시간에 스위치 온시간 정보를 상기 D형 플립플롭(FF1)의 세트신호로 공급하는 업카운터(CT2)로구성한다.
출입문 개폐감지수단(16)은 앞출입문 및 뒷출입문에 의해 각각 연동되는 스위치(SW1)(SW2)와, 이 스위치(SW1)(SW2)의 다이오드(D3) 및 저항(R5), 다이오드(D4) 및 저항(R6)을 통한 합성신호를 NOT 게이트(G3)를 통하여 클럭신호로 받아들여 클럭신호 인가시마다 하이에서 로우상태로 변환되는 부출력신호를 감지신호로 공급하는 D형 플립플롭(FF2)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콘덴서(C3), 저항(R4) 및 다이오드(D2)는 초기 전원투입시 상기 D형 플립플롭(FF2)의 부출력상태를 하이상태로 초기화시키기 위한 원샷(ONT SHT) 회로를 구성한다.
이설명 부호 Vc는 릴레이 구동전압이고, Vcc는 각 제어 회로소자의 구동전압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초기전원투입시 콘덴서(C3)의 초기특성에 의해 제 2a 도의 to에서 펄스가 발생되어 NOT게이트(G3)를 통하여 D-FF2에 클럭펄스로 공급된다.
이에 D-FF2="1" 상태로 초기화된다.
이때 제 1 정류장에서 정차하여 출입문을 개폐하면 스위치(SW1)(SW2)를 통하여 제 2a 도의 시간 t1에서 출입문이 닫힘과 동시에 NOT게이트(G3)를 통하여 D-FF2의 클럭입력단에 클럭입력되므로 데이터 입력(D)의 하이 신호가 출력측에 전송되어 부출력상태()는 하이에서 로우로 전환된다.
제 2d 도의 t1에서의 전환은 출입문닫힘 감지신호로 업카운터(CT2)에 전달되고 업카운터(CT2)는 클리어 해제되어 클럭펄스발생기(CK1)에서 공급되는 제 2e 도의 클럭펄스를 카운트 시작하여 소정시간(T1)이 지난후, 제 2f 도의 t2에서 출력(Q)이 하이로 되므로 이 하이신호에 의해 D-FF1이 프리세트되어 출력 Q="1", Q="0"상태로 된다.
제 2h 도의 D-FF1의 Q="1" 상태는 NOT게이트(G2)(G1)를 거쳐서 트랜지스터(Q2)(Q3)를 차례로 구동시키고 이에 릴레이(RY)의 코일이 자화되어 릴레이 접점이 스위치 온상태로 구동되므로 녹음장치(10)는 작동되어 스피커를 통하여 안내방송이 출력되게 된다.
또한 D-FF1의 Q="1" 상태는 D-FF2의 클리어신호로 공급되어 D-FF2는 "0"-"1"로 전환되어 이에 업카운터(CT2)로 클리어되므로 출력(Q)은 제 2f 도와 같이 로우상태로 된다.
한편 D-FF1는 제 2i 도와 같이 t2에서 "1"-"0"으로 전환되어 업카운터(CT1)가 클리어 해제되어 클럭펄스발생기(CK1)로부터 공급되는 제 2j 도의 클럭펄스를 카운트하기 시작하고, 소정시간(T2)이 지난후, 제 2k 도의 t3에서 출력(Q)이 하이로 전환되고 이 하이신호에 의해 D=FF1이 클리어되어 출력 Q="Q",="1"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릴레이(RY)는 제 2l 도의 t3에서 오프되어 안내방송이 종료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D=FF1="0" 상태는 D=FF2를 클리어 해제시켜 다음 출입문 개폐감지 신호를 발생하도록 복원시키고, Q="1"상태는 업카운터(CT1)를 클리어시켜 다음 방송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도록 복원시킨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이, 릴레이(RY)는 출입문이 닫힌 직후 소정시간(T1)이 지난다음 릴레이 온되어 녹음장치(10)가 작동되어 안내방송이 소정시간(T2)내에 출력되며 안내 방송시간(T2)이 지난 다음 릴레이 오프된다.
다음 정류장에서 출입문이 개폐하고 출발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반복 동작되어 녹음장치(10)가 순차 작동되므로 대응 정류장 안내방송이 수행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버스의 출입문의 개폐동작에 따라 녹음장치(10)가 동작되므로 일일이 운전자가 수동조작할 필요가 없게 되어 운전자는 안전운행을 할 수 있으며 승객은 보다 정확한 정류장 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외부스위치수단(11)의 스위치 동작에 따라 정류장 안내방송 녹음장치(10)로부터 정류장 안내방송을 재생출력 하도록 구성된 노선버스의 안내방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수단(11)에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스위치 구동수단(12) : 상기 스위치 구동수단(12)에 스위치 온/오프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제어신호 발생수단(13) : 상기 스위치 온직후 설정된 안내방송 시간을 카운트하여 스위치 오프시간 정보를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13)에 공급하는 제 1 타이머수단(14) :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13)에 버스 출입문 개폐직후 설정된 안내방송개시 시간을 카운트하여 스위치 온시간 정보를 공급하는 제 2 타이머수단(15) : 상기 제 2 타이머수단(15)에 버스 출입문 개폐감지 신호를 공급하는 출입문 개폐 감지수단(16) : 을 구비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선버스의 안내방송 자동제어회로.
KR2019880018229U 1988-11-04 1988-11-04 노선버스의 안내방송 자동제어회로 KR9100044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8229U KR910004443Y1 (ko) 1988-11-04 1988-11-04 노선버스의 안내방송 자동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8229U KR910004443Y1 (ko) 1988-11-04 1988-11-04 노선버스의 안내방송 자동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648U KR900010648U (ko) 1990-06-04
KR910004443Y1 true KR910004443Y1 (ko) 1991-06-29

Family

ID=19281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8229U KR910004443Y1 (ko) 1988-11-04 1988-11-04 노선버스의 안내방송 자동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4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571U (ko) * 2019-05-20 2020-11-30 변성철 건축물 내외장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571U (ko) * 2019-05-20 2020-11-30 변성철 건축물 내외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648U (ko) 199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4443Y1 (ko) 노선버스의 안내방송 자동제어회로
US4516034A (en) Circuit for operating a displaceable component in a motor vehicle, in particular a motor vehicle window
JP3948043B2 (ja) 開閉機構のモータ制御装置
JPS59106680A (ja) 自動車のパワ−ウインド制御装置
US5804990A (en) Wired combinational logic circuit with pullup and pulldown devices
KR920001525B1 (ko) 차량용 창유리자동닫힘장치
KR920007471Y1 (ko) 시내버스 안내방송기의 구동장치
JPH0698574A (ja) モータ駆動回路
KR870001718Y1 (ko) 버스 승객의 하차 예고 장치
KR960000563A (ko) 자동차의 파워윈도우 구동제어장치
JPS58185874A (ja) 自動車用ドアロツク制御回路
CN117719557A (zh) 一种轨道交通控制电路以及地铁
JPS58170237U (ja) 車両用点滅装置
JPS6324027Y2 (ko)
JP2017201089A (ja) パワーウインドシステム
US5477411A (en) Pulse motor control device
SU135252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и индикации режимов аппарата магнитной записи 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
SU92189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электроприводом электромобил
KR200153059Y1 (ko)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장치
KR200164557Y1 (ko) 자동차도어자동개폐회로
JP2538714Y2 (ja) 便座・便蓋自動開閉装置
JP2558743B2 (ja) 流量調節弁
JP2589589Y2 (ja) 車輌用開閉体駆動モータの制御装置
JPS61294081A (ja) 自動車のパワ−ウインド制御装置
JPH02172486A (ja) パチンコ機の解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