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426Y1 - 굴삭기의 비상작동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비상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426Y1
KR910004426Y1 KR2019870017900U KR870017900U KR910004426Y1 KR 910004426 Y1 KR910004426 Y1 KR 910004426Y1 KR 2019870017900 U KR2019870017900 U KR 2019870017900U KR 870017900 U KR870017900 U KR 870017900U KR 910004426 Y1 KR910004426 Y1 KR 9100044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or
main control
control valve
hydraulic pump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79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8761U (ko
Inventor
황봉동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최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최관식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79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426Y1/ko
Publication of KR8900087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7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4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5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redundant latching means, e.g. for safety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굴삭기의 비상작동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굴삭기의 안전유압회로도이다.
제 2 도는 본고안에 따른 굴삭기의 안전유압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펌프 2 : 주조절밸브
3 : 부움실린더 4 : 조절레바
5 : 보조유압펌프 6 : 파이롯트관
7 : 하강쪽라인 8 : 수동밸브
본 고안은 굴삭기의 작업수단으로 장착된 예컨대 버킷(bucket)이나 브레이커(breaker)등을 엔진등의 고장에 의해 작동시킬 수 없게 되었을 때 이들 작업수단을 안전하게 보호하여 지면으로 내려놓을 수 있도록 한 굴삭기의 비상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토목 및 건축의 기초공사를 할 때 이용되는 건설기계로서, 브레이커를 가지고 지면이나 구조물을 굴착하거나 버킷을 가지고 흙같은 것을 퍼담아 옮기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바, 종래의 굴삭기에 있어서는 작업도중 엔진에 고장이 일어나 주유압펌프와 보조유압펌프를 작동시킬 수 없게 되면 굴삭기의 버킷이나 브레이커와 같은 작업 수단이 부하등이 걸린 상태에서 공중에서 정지하게 됨으로써 작업환경의 불안을 초래하고 있었다.
이러한 경우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도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굴삭기의 작업장치 안전유압시스템을 개발해서 이용하고 있는바, 이 시스템은 엔진의 고장으로 주유압펌프(21)나 보조유압펌프(22)가 작동되지 않게 되었을 때, 축압기(23)에 저장되어져 있던 작동유를 조절레버(25) 및 파리롯트관(26)을 통해 주조절밸브(27)쪽으로 공급하여, 부움실린더(24)의 하강쪽 라인을 주탱크쪽으로 연결함으로써 이 부움실린더(24)에 연결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작업수단을 지면에 안전하게 내려놓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유압시스템에서는 보조유압펌프(22)의 작동이 정지된후 일정한 시간이 지나게 되면 축압기(23)에 저장되어져 있던 작동유가 누출되어 유압회로의 주탱크쪽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그에 따라 작동유가 축압기(23)와 직렬로 조절레버(25) 및 파이롯트관(26)을 통해 연결된 주조절밸브(27)쪽으로 흐르지 못하게 됨으로서 작동수단이 연결된 부움실린더(24)를 작동시켜주지 못하게 되어 작업수단을 내릴수 없게 될 뿐만아니라, 상기 조절레버(25)와 주조절밸브(27) 및 파이롯트관(26)등에 문제가 있게되면 이들과 직렬로 연결된 축압기(23)를 작동시켜주어도 역시 작업수단이 작동되어지지 못하게 된다고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해 주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유압펌프에 주조절밸브와 부움실린더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주조절밸브에는 조절레버에 연결된 보조펌프가 파이롯트관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면서 상기 부움실린더와 주조절밸브 사이의 하강쪽라인에는 수동밸브가 이 주조절밸브와 병렬로 연결되어 보조펌프에 연결됨으로서 굴삭기의 엔진고장등에 의해 작업장치가 연결된 부움실린더와 작동유가 공급되어지지 못할 때 수동밸브를 가지고 상기 부움실린더 하강쪽 작동유를 보조펌프의 릴리이프밸브를 통해 탱크로 빠져나가게 해서, 굴삭기의 작업수단을 안전하게 지면에 내려놓을 수 있도록 한 굴삭기의 비상작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주유압펌프(1)에 주조절밸브(2)와 부움실린더(3)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주조절밸브(2)에는 조절레버(4)와 보조유압펌프(5)가 파이롯트관(6)을 통해 연결되는 한편, 상기 부움실린더(3)와 주조절밸브(2)사이를 연결시키는 하강쪽라인(7)에는 보조유압펌프(5)와 연결된 수동밸브(8)가 이 주조절밸브(2)와 병렬설치되어져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0은 릴리이프밸브, 11은 탱크이다. 이와같은 유압회로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부움실린더(3)의 하강쪽라인(7)의 중간에 수동밸브(8)가 주조절밸브(2)와 병렬로 연결되어져 있어서, 굴삭기의 엔진고장에 의해 주유압펌프(1)와 보조유압펌프(5)가 작동시켜지지 못할 때 상기 수동밸브(8)를 조작해주므로서, 이 부움실린더(3)의 하강쪽라인(7)으로 부움실린더(3)에 공급되어져 있던 작동유가 배출되게 되어 상기 수동밸브(8)와 보조유압펌프(5)의 릴리이프밸브(10)을 동해 탱크(11)쪽으로 빠져나가게 되므로서 상기 부움실린더(3)에 연결된 작업수단을 원하는대로 안전하게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도중 엔진이 고장을 일으켜 전체 유압시스템이 작동할 수 없게 되어 작업수단이 현상태에서 정지되게 되어도, 본 고안에 따른 수동밸브(8)를 간단하게 조작해주므로서 하중이 걸린 작업수단을 언제든지 안전하게 지면등으로 내려놓을 수가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움실린더(3)의 하강쪽라인(7)에서 수동밸브(8)를 통해 배출되어져 나오는 작동유를 조절레버(4)쪽으로 공급시켜 이 조절레버(4)를 조작해줌으로서 상기 조절레버(4)와 파리옷트관(6)을 통해 주조절밸브(2)를 작동시켜 부움실린더(3)에 연결된 작업장치의 하강속도를 더욱 빨라지게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고안에 따른 굴삭기의 비상작동장치는 종래의 축압기장치에 비해, 작동유의 누출에 관계없이 언제든지 작동이 가능하며, 기타 조절레버(4) 및 주조절밸브(2)등에 고장이 나도 그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작동시킬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주펌프(1)에 주조절밸브(2)와 부움실린더(3)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주조절밸브(2)에는 조절레버(4)와 보조유압펌프(5)가 파이롯트관(6)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된 굴삭기의 작업장치 안전유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움실린더(3)와 주조절밸브(2)를 연결시키는 하강쪽라인(7)의 중간에 보조유압펌프(5)와 연결될 수동밸브(8)가 주조절밸브(2)와 병렬로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비상작동장치.
KR2019870017900U 1987-10-21 1987-10-21 굴삭기의 비상작동장치 KR910004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7900U KR910004426Y1 (ko) 1987-10-21 1987-10-21 굴삭기의 비상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7900U KR910004426Y1 (ko) 1987-10-21 1987-10-21 굴삭기의 비상작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761U KR890008761U (ko) 1989-05-29
KR910004426Y1 true KR910004426Y1 (ko) 1991-06-29

Family

ID=1926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7900U KR910004426Y1 (ko) 1987-10-21 1987-10-21 굴삭기의 비상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4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761U (ko) 198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36740A4 (en) Linear excavation control apparatus in hydraulic excavator
JPH07504723A (ja) エネルギ回収装置
US5067321A (en) Hydraulic hoisting circuit with electrical control for relief valve adjustment pilot and pilot disable valve
JP2005321094A (ja) ホールディングバルブの応答性が改善された油圧制御弁
US3865013A (en) Auxiliary tool control circuit
EP2700827A1 (en) Hydraulic circuit for controlling booms of construction equipment
KR910004426Y1 (ko) 굴삭기의 비상작동장치
JPS6323401B2 (ko)
ES482508A1 (es) Un aparato hidraulico, perfeccionado.
KR101186568B1 (ko) 작업모드 설정기능이 구비된 유압시스템
JP2652801B2 (ja) ショベルローダ制御装置
KR200333340Y1 (ko) 굴삭기의붐비상하강장치
JPS55108538A (en) Hydraulic circuit for hydraulic shovel
JP2002294759A (ja) 建設機械の作業アタッチメント制御装置
KR0131980Y1 (ko) 중장비의 2단 릴리프 유압회로 장치
KR960003150Y1 (ko) 굴삭기 붐 합류밸브의 유압제어장치
JP6220131B2 (ja) 油圧制御システムとその油圧制御システムを搭載した建設機械
KR101250083B1 (ko) 로그로더 굴삭기의 유압제어장치
KR920005489B1 (ko) 건설장비의 붐구동 유압장치
KR920004544Y1 (ko) 굴삭기의 크레인 작업 안전장치
KR930000936Y1 (ko) 중장비용 보조 유압장치
JP3182614B2 (ja) ロードセンシングシステムにおける油圧装置
JPS61211504A (ja) 作業用機械のための油圧回路
KR960002911Y1 (ko) 토건 중장비인 휠로우더의 작업장치의 단독 및 동시 조작용 유압회로
KR950004019B1 (ko) 굴삭기의 부움과 브레이커 동시동작금지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3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