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303B1 - 주택의 절첩가동벽체 - Google Patents

주택의 절첩가동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303B1
KR910004303B1 KR1019870015263A KR870015263A KR910004303B1 KR 910004303 B1 KR910004303 B1 KR 910004303B1 KR 1019870015263 A KR1019870015263 A KR 1019870015263A KR 870015263 A KR870015263 A KR 870015263A KR 910004303 B1 KR910004303 B1 KR 910004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movable wall
moved
moving
fo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5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380A (ko
Inventor
공길상
Original Assignee
공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길상 filed Critical 공길상
Priority to KR1019870015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303B1/ko
Publication of KR890010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택의 절첩가동벽체
제 1 도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전체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에서 본 상태에 정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칸막이부재가 이동되는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
제 4 도는 고정레벨에 안내로울러가 진행되는 상태를 예시한 일부 확대도.
제 5 도는 고정레일에 보조레일이 이동되는 상태를 예시한 일부 확대도.
제 6 도는 가동박스를 절단하여 나타낸 측 단면도.
제 7 도는 제 1 도의 "B"에서 본 방향의 측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C-C'선 단면도.
제 9 도는 절첩부재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 10a와 10b 도는 절첩부재가 상승과 하강될때의 변화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박스 20 : 가동벽체
30 : 고정레일 40 : 보조레일
80 : 체인판 90 : 와이어
100 : 가동벽체 이동부 200 : 절첩부재이동부
210 : 고정틀 220 : 가이드 레일
230 : 승강기 240 : 유도레일
280 : 체인판 290 : 절첩부재
본 발명은 주택에서 상이한 2개 이상의 개별공간을 집적 시공하여 주 생활공간을 필요에 따라 임의로 그 용도를 변경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가동벽체를 개폐시키는 방법에 의해 사용공간을 다양하고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발명된 주택의 절첩가동벽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주로 이동되고 있는 주택이나 사무실 역할을 수반할 수 있는 오피스텔과 같은 경우 주방, 침실, 응접실, 그리고 방을 각각 구비해야 하므로 이를 구분하는 방법으로서 대개가 각각의 벽체를 고정 설치하는 방법으로 시공하게 되었다.
그러나 위와같은 재래식 공법은 다수의 개별공간을 형성할 때 많은 노력과 재료손실이 뒤따르게 된 것은 물론, 비 능률적인 공간이 형성하게 되어 건축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공간 이용율이 낮아지고, 냉난방 및 광열을 위한 에너지 소모원이 확대될 뿐만 아니라 대지 이용율이 낮아지는 등의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존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 전체적인 주택의 시공에 있어서 1개의 주공간을 설정, 상이한 기능을 갖는 2개 이상의 공간을 직접 시공하여 필요시에 가동벽체를 개폐하여 용도에 맞는 공간으로 용이하게 변경되도록 하였다.
둘째 ; 주택의 실용 면적을 증가시켜 넓은공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셋째 ; 보온 및 방음의 효과를 넓혀 아늑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넷째 ; 시공비가 저렴하며 공간활용을 자유롭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바,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 제 1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가동벽체 이동부(100) 및 절첩부재이동부(200)는 일반적인 건축 구조문에서 아는 바와 같이 각층을 구분토록 기초되어 있는 콘크리트 스라브층(S)과 실내의 천장판(P) 사이에 형성된다.
가동벽체 이동부(100)는 첨부도면 제 2 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이동박스(10)하부에 고정된 가동벽체(20)를 좌, 우로 이동하는 작동을 하게된다.
가동벽체(20)의 높이는 실내 바닥면과 천장판(P) 사이와 그 크기가 동일하게 되며, 그 폭은 첨부도면 제 3 도에서 평면도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벽체(Q)의 폭을 감안하여 우측으로 가동벽체(20)가 이동을 할 때 통로를 밀폐할 수 있는 것을 감안하여 결정한다. 여기서 가동벽체(20)를 이동시키는 주된 목적은 주택이나 오피스텔 등을 예로하여 ; 침대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낮에는 공간활용을 공간활용을 위해 침대를 세워지게 보관하고, 필요시에는 이를 펼쳐 사용할 때 침대 보관실(R)을 가동벽체(20)가 밀폐하여 외부로부터 세워진 침대를 보이지 않게하고 취침시에는 가동벽체(20)를 이동시켜 침대활용이 가능케 함과 동시 넓게 트여져 있던 공간을 밀폐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좌, 우로 이동되는 가동벽체(20)는 이동박스(10)에 고정된 상태로 제 2 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좌, 우 상단에 각각 고정설치된 구동모터(M)(M')에 의해 로우프(50)(51)를 감아지게 하여 이동박스(10)가 이동되는데, 좌측상단의 구동모터(M)가 회동되면 이동박스(10)의 상부에 고정연결된 로우프(50)가 로울러(60)에 감겨지며 이동박스(10)내에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로울러(70)(71)가 고정레일(30)의 안내로 이동박스(1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가동벽체(20)를 우측으로 이동코자 할 때는 별도의 콘트롤박스(도시없음)에 설치된 해당보턴을 조작함에 따라 우측상단에 위치된 구동모터(M')가 회동되며 로우프(51)를 우측로울러(61)에 감겨지게 하여 다시 안내로울러(70)(71)가 고정레일(30)의 안내로 이동박스(10)를 가동벽체(20)의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바닥면이 일직선으로 편평하지 못하여 가동벽체(20)가 좌우 이송할 때 바닥면의 돌출면이 있을 경우 작동이 원활치 못한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 대비하여 가동벽체(20) 및 이동박스(10)는 이동시에 약간 상승된 상태로 바닥돌출면과 무관하게 이송되고, 이송이 완료되면 다시 하강되어 바닥면에 밀착되는 방법으로 이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되 이동후 완전한 밀폐를 하는 것이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레일(30)의 상부면 수곳에 요부(31)(32)(33)(34)가 파여지게 하여 안내로울러(70)가 요부(31)(32)(33)(34)의 위치에서는 바닥면에 가동벽체(20)저면부가 접하도록 하고, 고정레일(30)의 평면부에 위치될 때는 이동박스(10) 및 가동벽체(20)가 상승된 상태로 수평이동을 하게 된다.
가동벽체(20)의 상승높이는 바닥면이 굴곡지는 돌출부를 감안하여 약간 높은 상태를 상승되게 하는 것이 좋으며, 첨부도면 제 4 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고정레일(30)에 파여진 요부(31)(32)(33)(34)의 깊이(D)에 따라 그 상승 높이를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가동벽체(20)가 일정 두께를 갖고 상승과 좌, 우 이동을 함에 따라 천정판(P)에는 가동벽체(20)의 두께보다 약간 넓은 통로(P1)를 시켜야 한다.
이 통로(P1)는 가동벽체(20)가 위치된 곳은 이 가동벽체(20)에 의해 밀폐가 가능하지만, 가동벽체(20)가 이동코자 길게 형성된 통로(P1)가 가동벽체(20)에 의해 가려진 나머지 부분이 뚫어진 상태로 노출되는 것은 외관을 크게 해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뚫어지게 노출된 통로(P1)부는 와이어(90)에 의해 단속되며, 그 면이 비교적 넓은 체인판(80)에 의해 가려지게 하므로 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 방음 및 보온의 효과를 갖게 하는 이하 가동벽체(20)의 작동상태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제 2 도에서와 같이 예로서 나타낸 침대보관실(R)을 밀폐하기 위해 좌측단에 가동벽체(20)가 위치되는데, 이동박스(10)내에 횡으로 형성된 안내로울러(70)(71)가 고정레일(30)의 좌측으로부터 첫 번째와 두 번째 요부(31)(32)에 위치되어 가동벽체(20)가 자중에 의해 바닥면과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는 제 3 도에서 가상선으로 표현한 것과 같이 위치되어져 제 1 공간(C)과 제 2, 제 3 공간(D)(E)이 전체적으로 트여지게 하여 넓은 공간을 활용하는 주로 낮에 활용하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제 1 공간(C)과 제 2, 제 3 공간(D)(E)을 상호 구분하고 밀폐되어 있던 침대보관실(R)을 개방코자 할 때는 도시되지 않은 콘트롤박스의 해당보턴을 압압하면 제 2 도의 우측 상단에 고정설치된 구동모터(M')가 회동되며 로울러(61)에 로우프(51)를 감겨지게 함에따라, 로우프(51)끝단과 고정연결된 이동박스(10)를 당기게 되는 결과로 이동박스(1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안내로울러(70)(71)가 요부(31)(32)의 위치에서부터 어긋나 고정레일(30)의 상부수평면에 위치되는 순간 가동벽체(20) 및 이동박스(10)가 요부(31)(32)의 파여진 높이만큼 상승되는 것이고, 통로(P1)를 밀폐하고 있던 우측의 체인판(80)은 풀리(81)에 감겨지며 이에 연결되어진 좌측의 체인판(80)은 다시 가동벽체(20)가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형성된 통로(P1)공간을 계속하여 밀폐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체인판(80)은 상호 연결된 상태로 그 단면이 제 6 도에서 예시한바와 같이 통로(P1)에 밀착되게 하였으며, 이동박스(10)의 하단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진 와이어(90)로 연결된 상태로 풀리(81)의 안내에 의해 좌우 순환운동이 가능케 하였다.
안내로울러(70)(71)가 고정레일(30)의 평면부에 위치되어 계속하여 우측으로 이동되면, 첨부도면 제 4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니언(35)의 중심으로부터 고정설치된 레버(36)에 접하게 되어 안내로울러(70)가 접한 상태로 우측으로 진행되면 레버(36)와 함께 피니언(35)이 회전되고, 피니언(35)에 치차 결합된 기어(38)가 보조레일(40)의 좌측단에 형성된 래크기어(41)를 치차 결합하며 진행시키게 된다.
이같이 래크기어(41)를 진행시키는 이유는 안내로울러(70)(71)가 2, 3번째 요부(32)(33)의 위치에서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진행중 가동벽체(20)가 중간에서 불필요하게 바닥면과 접하도록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보조레일(40)은 2번째 및 3번째요부(32)(33)의 좌측직전에 고정레일(30)과 그 상부면에 높이가 일치되도록 평면 보조부(42)가 일체로 돌출되어 래크기어(41)가 이동될 때 평면 보조부(42)는 요부(32)(33)의 위치로 첨부도면 제 4 도에서 실선으로 표현된 것과 같이 위치 이동되어 안내로울러(70)가 계속하여 수평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하였다.
제 5 도에서는 위와같은 작동에 의해 보조레일(40)이 장공(43)에 끼워진 안내핀(39)이 안내로 우측으로 이동될 때 보조레일(40) 우측단에 위치되어진 작동레버(44)가 안내공(30')을 따라 함께 이동된 상태를 가상선으로 예시하였는바, 안내로울러(71)가 수평이동을 계속하여 요부(34)의 위치직전에 위치되어진 자동레버(44)를 접하며 요부(34)의 위치에서 하강될 때 상기 작동레버(44)를 회전시키게되면 보조레일(40)의 우측단이 작동레버(44)회전에 의해 좌측으로 일부 이전되어 3번째 요부(33)를 밀폐하고 있던 평면보조부(42)가 이동되어, 좌측의 안내로울러(70)를 요부(33)에 안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수평이동을 끝마친 가동벽체(20)는 다시 바닥면에 밀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가동벽체(20)가 요부(33)(34)의 위치에서 수평이동을 마치고 하강되는 순간에는 고정벽체(20)의 상단에 매설되있는 리미트스위치(sw1)의 접점으로 구동모터(M')의 회전을 정지시켜 로우프(51)의 권회에 의한 가동벽체(20) 및 이동박스(10) 이동을 정지시킬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다시 가동벽체(2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콘트롤박스의 좌측 이동용 해당보턴을 조작하여 좌측단의 구동모터(M)가 회동하게 하면, 로우프(50)에 의해 이동박스(10)가 당겨지게 되고, 가동벽체(20)는 요부(33)(34)의 위치에서부터 상승되고 난 후 우측의 안내로울러(71)가 작동레버(44)를 다시 역회전 시키도록 접하며 좌측으로 이동되는 순간 작동레버(44)하단에 핀으로 유설되어진 보조레일(40)이 우측으로 이동되어 평면보조부(42)가 좌측으로부터 2번째 및 3번째 요부(32)(33)를 밀폐시켜 안내로울러(70)가 진행되는데 지장을 주지않게 된다.
그리고 좌측의 안내로울러(70)가 피니언(35)에 형성된 레버(36)에 접하여 회전시킬때는 피니언(35)과 기어(38)가 치차결합되고, 다시 기어(38)가 래크기어(41)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결과를 얻게된다.
따라서 평면보조부(42)는 다시 요부(32)(33)에서부터 이탈되어 안내로울러(70)가 가동벽체(20)를 좌측으로 완전히 이동시킨 상태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 요부(31)(32)에 안착되며 가동벽체(20)를 바닥면에 밀착시키게 되는 것이고 ; 좌측벽면부 상단에 설치된 또다른 리미트스위치(sw2)가 구동모터(M)의 회전을 차단시켜 이동을 방지하고 모든전원이 차단되는 것이며, 다음 작동을 준비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위와 같은 작동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별도로 첨부된 도면에서 일례로 도시한 바와같이 가동벽체 이동부(100)와는 직각되게 전체적으로 "T"자형으로 제 2 공간부(D)와 제 3 공간부(E)를 구획하는 절첩부재이동부(200)에 대해 설명하면 ; 3개의 가이드 레일(200)이 고정틀(210)의 양단에 고정되게 하여 승강기(230)에 의해 상,하 이동이 단속되게 한다.
여기서 가동벽체 이동부(100)와 절첩부재이동부(200)를 "T"형으로 구획하는 경우는 제 2 공간부(D)와 제 3 공간부(E)가 횡으로 길게 넓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을 때 해당되나, 상기 제 2, 3 공간부(D)(E)가 종으로 길게 형성되는 경우는 절첩부재이동부(200)가 가동벽체 이동부(100)에 평행 방향으로 작동 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승강기(230)는 콘크리트 스라브(S)에, 또는 별도의 고정구조물을 이용해 고정 설치하여 전기적 신호에 의해 일정간격, 상, 하 출몰케 되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며, 고정틀(210)의 양측단에 고정되는 결과로 유도레일(240) 및 가이드 레일(220)이 전기적 신호가 가해질 때 상승 또는 하강토록 한다.
고정틀(210)의 양측으로는 모터(M1)(M2)가 각각 설치되어 로울러(270)에 로우프(250)(251)가 감겨지게 하는 구성 및 로울러 박스(260)가 좌, 우로 이동되게 하는 작용효과는 전기한 가동벽체 이동부(100)에서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긴원형 궤적상의 유도레일(240)은 와이어(281) 및 체인판(28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어 절첩이동부재(290)가 접혀져 있는 상태, 즉 제 2 공간(D)과 제 3 공간(E)이 트여져 있는 상태에서는 체인판(280)이 유도레일(240)의 하부면에 위치되어져 절첩부재이동에 따른 천장판(P)의 공간부를 제 8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려지게 하여 실내공간에서 볼 때 외관이 미려하게 하고 방음 및 보온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절첩부재(290)는 2개의 차단벽(291)(292)과 그 사이에 방음벽(293)으로 구성된 3겹의 벽으로 구성되어지고, 각각의 벽은 힌지(294)와 동기(295)가 일정간격으로 상호 연결부위 상부에 형성되어져 절첩이 가능하게 하되, 돌기(295)는 가이드 레일(220)의 안내로 좌, 우 이동되는 수개의 로울러박스(261)의 저면부에 끼워져 로울러박스(260)(262)진행에 따라 각각의 벽체가 펼쳐지거나 절첩되게 하였는 바 작동상태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 3 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은 직각의 벽체, 즉 차단벽 (291)(292)과 방음벽(293)(이하 절첩부재라 한다)은 지그재그식으로 완전히 절첩된 상태에서 콘트롤박스의 상승보턴을 압압하면 전기적 신호에 의해 승강기(230)가 고정틀(210)을 당겨지게 하여 수개의 가이드 레일(220) 및 유도레일(240)과 모터(M1)(M2), 그리고 이에 부수적인 각종 기구들이 함께 상승된다.
승강기 (230)를 상승시키는 이유는 절첩부재(290)가 전진할 때 바닥면의 돌출부에 걸려 진행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상승된 상태에서 다시 전진보턴을 조작하면 제 7 도의 좌측상단에 위치된 모터(M1)가 구동되어 로우프(250)를 로울러(270)에 감겨지게 한다.
로우프(250)의 끝단은 최선단의 로울러박스(260)에 고정설치되어져 있으므로 로우프(250)가 감겨짐에 따라 로울러박스(260) 및 이의 저면에 돌기(295)에 의해 연결된 절첩부재(290) 선단부가 일직선으로 펼쳐지며 좌측으로 이동되고 힌지(294)와 돌기(295)로 이어지는 다음의 절첩부재(290)는 순차적으로 펼쳐지는 결과로 좌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수개의 로울러박스(260)(261)는 가이드 레일(220)의 외축을 감싸지게 하고 구동로울러(262)가 각각 유설되어져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원활하고 부드럽게 이동토록 하였으며, 최선단의 로울러박스(260)를 구동하면 나머지 각각의 로울러박스는 피동적으로 뒤따라 이동되며 절첩부재가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절첩부재(290)의 최선단은 절첩된 상태에서는 항상 이동 방향으로만 위치케 하여 첫 번째의 로울러박스(260)보다도 항상 일정길이만큼 앞선위치에 있도록 막판(296)을 설치하여, 로울러박스(260)가 고정틀(210)의 끝단에까지 이동되어 더 이상 전진못함에 따라 유도레일(240)의 반지름에 해당되는 길이만큼 가동벽체(20)와 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밀폐시키도록 한다.
이렇게하여 절첩부재 이동작업을 마친후에는 모터(M1)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승되어 있던 승강기(230)의 전기신호를 제거시키면, 고정틀(210) 및 이에 고정된 부속물과 절첩부재(290)가 하강되어 바닥면과 밀착되며 완전한 공간구분 작업을 끝마치게 되는 것이다.
제 9 도 및 제 10 도는 차단벽(291)(292)을 나타낸 것으로서 차단벽(291)(292)의 상단에 격판(297)을 위치시키고, 그 저부로부터 스프링(298)에 탄력지지된 유동봉(299)을 저면에까지 연결시킴으로서, 상기의 작동으로 차단벽(291)(292)이 이동될 때에는 제 10 도의 (a)와 같은 상태로 유동봉(299)의 저면부만이 바닥면과 접하게 하고, 이동완료후 차단벽(291)(292)이 하강될 때는 유동봉(299)이 스프링(298)의 탄력을 지지한 상태로 격판(297)을 지탱함에 따라 격판(297)의 상단은 차단벽(291)(292)보다 높은 크기를 갖게 되는데, 그 이유는 천정판(P)의 높이를 감안하여 절첩부재가 이동공간부로 이동후 하강할 때 천정판(P)에 형성된 이동공간부의 위치로부터 바닥면까지의 높이보다 높은 상태로 밀폐되어야 이동공간부에 절첩부재가 밀접하게 위치되어 불필요한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절첩부재(290)은 임시적인 칸막이와 같은 느낌보다 고정된 견고한 벽체를 설치한 것과 같은 효과를 부여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 필요에 따라 절첩부재(290)를 절첩되게 하여 제 2, 제 3 공간부(D)(E)가 합쳐진 공간을 이용할 때는 다시 해당보턴을 이용해 우선 승강기(230)를 상승시키고 고정틀(210)의 우측 상단에 위치된 모터(M2)가 구동되게 하면 전기와는 역으로 우측의 로우프(251)에 의해 로울러박스(260)(261)가 우측으로 이동되며 각각의 차단벽(291)(292) 및 방음벽(293)이 차례로 절첩되며 제 3 도의 가상선 위치에서부터 실선으로 표현한 것과같이 원위치되고, 이동작업 완료후 승강기(230)를 하강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 1 공간(C)은 예로서 응접실로 하고, 제 2 공간(D)은 침실, 제 3 공간(E)은 다용도 방으로 할 경우 가동벽체(20)는 침대보관실(R)을 밀폐한 상태에서 제 1, 2, 3 공간(C)(D)(E)이 일체로 합쳐진 넓은공간의 활용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가동벽체(20)만 이동하면 응접실과 침실이 형성된 방으로서 분리가 가능하며, 또한 절첩부재(290)를 다시 이동시키면 2개의 서로 다른 침실과 방이 구분되어 각각의 공간을 필요에 따라 선택사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가동벽체(20)에는 양측으로 2개의 도어(21)(22)를 형성하여 제 2, 제 3 공간(D)(E)으로 각각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1은 이동박스(10)와 스라브층(S)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해 유설된 분리격판, 295는 판스프링을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과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변경을 용이하고 신속히 행할 수가 있어 용도 활용이 편리할뿐만 아니라 다수로 형성되는 주택의 에너지 소모원을 지집적 설계 구성하여 주택 건축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택지의 이용율을 높이게 하는 등의 매우 경제적이고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스라브층의 하부에 횡으로 천장판 사이로 고정설치된 가이드레일들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에 고정되어 전기적 신호에 의해 회전되며 로울러에 로우프가 감겨지도록 구동되는 모터들, 양측에 위치되는 모터의 권회지시에 따라 로우프에 고정부착되어 좌, 우 이동되는 수개의 로울러박스들과, 각각의 로울러박스의 하단에 절첩 위치 상부를 향해 돌출된 돌기가 끼워져 로울러 박스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며 힌지로 연결되어 절첩과 평활하게 펼쳐짐이 가능한 절첩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절첩부재의 일측면 상단에 연결된 동일 단면형상으로 상호 이어지는 체인판들을 양측에서 안내하는 유도레일과, 스라브층 저면부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을 양측단에 고정하여 상기 절첩부재의 이동시 전기신호에 따라 전체적으로 상승된 위치를 유지토록하는 승강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의 절첩가동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판들은 절첩부재가 접혀질 때 천장판 사이로 형성되는 통로를 동일 크기의 단면형상으로 연접된 상태로 이어지게 하여 유도레일의 안내로 이동되며 상기 통로를 밀폐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주택의 절첩가동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재는 차단벽 사이에 방음벽이 형성된 3중의 부재로 힌지와 돌기를 반복되게 하여 수개의 로울러 박스 진행에 의해 절첩 또는 펼쳐지게 하되, 가이드레일의 양단에 고정된 고정틀의 위치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승강기 작동으로 상기 절첩부재 이동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절첩부재가 이동 완료후 하강될 때 유동봉의 상부면에 지지된 격판이 상부로 돌출되어 외부로부터 틈새가 보이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의 절첩가동벽체.
  4. 스라브층의 하부양측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에 따라 회동되는 구동모터들,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함께 회동되며 로우프를 권회하는 로울러들, 이 로우프의 끝단에 그 상단이 고정되며 권회되는 로우프에 의해 위치 이동이 단속되는 이동박스 및 로울러박스들과, 상기 이동박스 및 로울러박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고정레일과 가이드레일들, 이동박스의 하부에는 가동벽체가, 로울러박스의 하부에는 절첩부재가 각각 고정설치되어 실내공간을 구분토록 이동할 때, 천장판 사이로 가동벽체 및 절첩부재가 왕복하도록 뚫어지는 통로는 다수개의 동일 단면형상으로 상호연결된 체인판들로 밀폐시켜서 되는 가동벽체 이동부와 절첩부재이동부를 각기 구동시켜 실내공간을 "T"형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의 절첩가동벽체.
KR1019870015263A 1987-12-30 1987-12-30 주택의 절첩가동벽체 KR910004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5263A KR910004303B1 (ko) 1987-12-30 1987-12-30 주택의 절첩가동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5263A KR910004303B1 (ko) 1987-12-30 1987-12-30 주택의 절첩가동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380A KR890010380A (ko) 1989-08-08
KR910004303B1 true KR910004303B1 (ko) 1991-06-25

Family

ID=19267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5263A KR910004303B1 (ko) 1987-12-30 1987-12-30 주택의 절첩가동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3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837Y1 (ko) * 2007-12-17 2010-02-24 이건산업 주식회사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837Y1 (ko) * 2007-12-17 2010-02-24 이건산업 주식회사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380A (ko) 198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692B1 (ko) 가변 벽체 시스템
KR101014408B1 (ko) 이동식 주택
KR910004303B1 (ko) 주택의 절첩가동벽체
JPH10102643A (ja) 間仕切り構造
JP2005083117A (ja) 可動屋根構造
US4796404A (en) Light-transmitting thermal barrier
JP2019505259A (ja) 調整可能なスパンを有する電気ハウジング装置
KR100991225B1 (ko) 건축물의 가변벽체 구조
JPS6330465B2 (ko)
JP4179953B2 (ja) 間仕切り構造
KR101969760B1 (ko) 대면적 복층유리용 차양장치
WO2023039982A1 (zh) 一种双开滑动门
JP3668753B2 (ja) 住宅
JP2564121Y2 (ja) 可動屋根
CN220644725U (zh) 一种模块化墙板的框架结构
CN217711259U (zh) 一种移动隔断
JPH01101918A (ja) 天井収納装置
JPH0248631Y2 (ko)
JPH031931B2 (ko)
JPH0444662B2 (ko)
KR101124286B1 (ko) 가변형 구조를 갖는 실내 벽체
JPH0331835Y2 (ko)
JPH0725422Y2 (ja) 間仕切り装置
KR200241118Y1 (ko) 절첩 수납식 셔터
JP3288425B2 (ja) 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6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