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837Y1 -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 - Google Patents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837Y1
KR200447837Y1 KR2020070020196U KR20070020196U KR200447837Y1 KR 200447837 Y1 KR200447837 Y1 KR 200447837Y1 KR 2020070020196 U KR2020070020196 U KR 2020070020196U KR 20070020196 U KR20070020196 U KR 20070020196U KR 200447837 Y1 KR200447837 Y1 KR 2004478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guide rail
pivot
guid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095U (ko
Inventor
김종훈
최순근
홍정의
양명준
이한신
Original Assignee
이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20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837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0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0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8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8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7Partitions constituted of sliding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05D15/26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for bi-fold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면서도 절첩이 가능한 절첩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실내 천정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레일(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3)의 일측단에는 일측 상하단이 피봇된 상태(P)의 피봇축(S)이 각각 구비되고 타측면 중간부에는 숨은 힌지(H)가 구비된 회동벽체(1)와,
일측은 숨은 힌지(H)에 의해 상기 회동벽체(1)와 결합되어 있고 타측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3)을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3)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블 체인(5)에 의해 직선상 가이드되는 로울러부(4)가 상기 가이드 레일(3)을 따라 전후로 가이딩되어 이동 및 상기 숨은 힌지(H)에 의해 상기 회동벽체(1)와 절첩 및 확개 가능하도록 된 이동벽체(2)로 이루어진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따라서 절첩된 상태인 회동벽체와 이동벽체에 있어서 실내 천정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이동벽체를 이동하여 실내 공간을 구획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을 제공하게 되므로, 이동벽체 설치 비용의 현저한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회동벽체, 이동벽체, 가이드레일, 숨은 힌지

Description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SLIDING DOOR}
본 고안은 일반 주택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일반 주거용은 물론이고 특히 사무실 등의 업무공간과 같은 건물 내부의 공간을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가변토록 함으로서 방과 방 사이나 거실과 방 사이 등 공간과 공간을 분할하는 벽체를 필요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변경토록 함으로서 주거공간이나 업무공간을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도록 한 가변을 위한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에 관한 것이다.
주거공간에 해당되는 일반주택이나 아파트의 경우 자녀의 성장이나 혼인 등으로 인하여 구성원에 변동이 생길 경우나 또는 생활 패턴의 변화에 의해 방 수의 변경, 거실 크기 등의 변경과 같은 구조적 변화를 요구할 경우 리모델링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비단 일반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주거용 건축물에만 국한 되는 것은 아니며, 오피스텔용 건물 등의 사무실의 배치변경, 구조변경 등을 요할 때 벽체로 대용되는 칸막이 등을 새롭게 배치하게 되는 리모델링을 요함은 물론이 다.
또한 아파트는 물론이거니와 오피스텔 등의 건축물에 입주하는 입주자의 희망에 따라 방 수와 거실의 크기 등을 구조변경 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대하는 추세에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입주자 등 사용자의 필요조건에 따라 주거용 또는 사무실용 실내의 공간을 재구획하는 경우 발생되는 리모델링의 비용 및 시간이 상당하게 소요하게 되어, 공사기간 동안 다른 곳에서 주거를 하거나 업무를 하지 못하게 되는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아파트나 사무실 등 건축물의 실내 공간을 필요에 따라 절첩 구획하기 위한 절첩형 가변 구조를 갖는 실내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한 절첩 가변형 실내 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실내를 구획하지 않을 경우에는 절첩하여 일측 내벽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실내 공간 활용도를 저해하지 않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절첩부위를 확개시 힌지가 절첩부위 양측의 벽체내로 삽입 구성됨으로서 확개로 인한 외관상으로 힌지가 노출됨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토록 하 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실내 천정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레일(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3)의 일측단에는 일측 상하단이 피봇된 상태(P)의 피봇축(S)이 각각 구비되고 타측면 중간부에는 숨은 힌지(H)가 구비된 회동벽체(1)와,
일측은 숨은 힌지(H)에 의해 상기 회동벽체(1)와 결합되어 있고 타측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3)을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3)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블 체인(5)에 의해 직선상 가이드되는 로울러부(4)가 상기 가이드 레일(3)을 따라 전후로 가이딩되어 이동 및 상기 숨은 힌지(H)에 의해 상기 회동벽체(1)와 절첩 및 확개 가능하도록 된 이동벽체(2)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숨은 힌지는 회동벽체와 이동벽체가 일직선상으로 확개시 외부로 부터 보이지 아니하도록 상기 숨은 힌지가 결합된 부위의 회동벽체 및 이동벽체에는 각각 삽입홈이 구비된 것과,
상기 가이드 레일은 직하방으로 개방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구 양 내측으로 각각 절곡되는 절곡부 내측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길이방향 길게 일체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방향 이격되며 상측으로 가이드 레일의 각 내측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안내턱을 각각 형성하고, 가이드 레일 각 상부 외측으로 외부면이 길게 개방되는 길이방향 고정요홈을 길게 형성하되 상기 고정요홈 외부면 상하로 각각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요홈을 따라 삽입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체결되기 위한 통공이 측면으로 구비되어 가이드 레일 상부를 각각 감싸며 천정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로울러부를 안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과,
상기 로울러부는 상기 이동벽체 상단측과 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단부에 베어링이 형성되는 고정축을, 몸체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통해 삽입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 양측에는 외주면 중앙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각각 2개의 로울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선단 상면 내측으로 제1고정구에 의해 케이블체인 일단이 고정되고 케이블체인 타단은 상기 몸체 후단 하방측의 제2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피봇상태의 피봇축에 있어서 상단에 구비된 피봇축의 중앙에 통공을 천공하고 상기 통공과 일치되는 상기 회동벽체의 부위에 소통홈을 천공하여 그 내측으로 상기 케이블 체인의 구동을 가능토록 한 전선을 구비한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절첩된 상태인 회동벽체와 이동벽체에 있어서 실내 천정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이동벽체를 이동하여 실내 공간을 구획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을 제공하게 되므로, 이동벽체 설치 비용의 현저한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로울러부의 구조를 변 경하여 외관상 미려한 레일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함은 물론, 설치 비용 등의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회동벽체와 이동벽체간의 절첩부위에 삽입홈을 각각 구비하여 상기 삽입홈내에 힌지를 구비 설치함으로서 확개시 외부로 힌지의 노출을 차단함으로서 외관상 미려함과 기존의 일반적인 벽체로서의 분위기와 세련됨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인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에 대하여 구체적인 구성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가 확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인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에 있어서 이동벽체와 회동벽체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에 있어서 이동벽체가 회동벽체로 부터 힌지에 의해 확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에 있어서 가이드레일과 로울러부가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인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에 있어서 가이드레일과 로울러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인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에 있어서 가이드레일과 로울러부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7a는 본 고안인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에 있어서 피봇상태의 피봇축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 단면도이며, 도 7b는 본 고안인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에 있어서 피봇상태의 피봇축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인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을 따라 로울러부가 이동됨과 동시에 이동벽체가 확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구체적인 구성은,
본 고안의 핵심적인 구성요소는 크게 회동벽체, 이동벽체, 숨은 힌지, 가이드 레일, 로울러부로 구성된 것으로서,
우선, 지시부호 1은 회동벽체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동벽체(1)은 일측 상하단이 피봇된 상태이고 타측면 중간부에는 숨은 힌지(H)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H)는 회동벽체(1)가 하기에 설명하는 이동벽체(2)와 일직선상으로 확개시 외부로 부터 보이지 아니하도록 상기 힌지(H)가 결합된 부위의 회동벽체(1)에는 삽입홈(1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피봇상태를 별도로 부호 P라 지시하고 이에 대한 도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를 설명하면 회동벽체(1)의 일측의 상하단이 단지 회동만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상태로서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봇상태(P)의 피봇 축(S)에 있어서 상단에 구비된 피봇축(S)의 중앙에 통공(K)을 천공하고 상기 통공(K)과 일치되는 상기 회동벽체(1)의 부위에 소통홈(11)을 천공하여 그 내측으로 상기 케이블 체인(5)의 구동을 가능토록 한 전선을 구비한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H)가 상기 회동벽체(1)에 구비된 삽입홈(10)내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확개시 외부로 부터 힌지(H)의 노출이 없도록 함으로서 외관상의 미려함과 세련됨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지시부호 2는 이동벽체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벽체(2)는 일측은 상기 회동벽체(1)의 숨은 힌지(H)와 결합되어 있고 타측 상단에는 로울러부(4)가 실내 천정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 레일(3)을 따라 전후로 가이딩되어 이동 및 상기 힌지(H)에 의해 상기 회동벽체(1)와 절첩 및 확개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물론, 상기 이동벽체(2)도 회동벽체(1)와 마찬가지로 일직선상으로 확개시 외부로 부터 보이지 아니하도록 상기 숨은 힌지(H)가 결합된 부위의 이동벽체(2)에는 삽입홈(20)이 구비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동벽체(1)의 피봇된 일측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벽체(1)가 회동하면서 상기 회동벽체(1)와 힌지(H)로 절첩 결합된 상기 이동벽체(2)는 상기 가이드레일(3)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확개되면서 결국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공간부를 상기 회동벽체(1)와 이동벽체(2)가 일직선상으로 폐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개방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방법과 역순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요소인 가이드 레일과 로울러부에 대하여 하기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상기에서 언급한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3)은 도 4 내지 도 6 등에서 보듯이 실내 천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지는 것으로, 직하방으로 개방구(30)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구(30) 양 내측으로 각각 절곡되는 절곡부(31) 내측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2)가 길이방향 길게 일체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2)로부터 상방향 이격되며 상측으로 가이드 레일(3)의 각 내측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안내턱(33)을 각각 형성하고, 가이드 레일(3) 상부 외측으로 외부면이 길게 개방되는 길이방향 고정요홈(34)을 길게 형성하되 상기 고정요홈(34) 외부면 상하로 각각 걸림턱(35)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요홈(34)을 따라 삽입되는 고정부재(36)와, 상기 고정부재(36)와 체결되기 위한 통공(370)이 측면으로 구비되어 가이드 레일(3) 상부를 감싸며 천정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37)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개방구(30)는 후술하게 되는 로울러부(4)의 각 고정축(41)이 통과되는 통로이며, 상기 돌출부(32)와 안내턱(33)의 이격 거리는 로울러부(4)에서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로울러(43)의 직경이 내합 될 수 있는 거리로 한정하므로서, 상기 로울러(43)가 가이드 레일(3)의 각 돌출부(32)와 안내턱(31) 사이에 내합 된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3)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현상 없이 안정적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3)에 적용되는 로울러부(4)의 로울러(43)는 외주면 중앙으로는 홈(430)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 레일(3) 돌출부(32)의 외형 또한 둥근 라운딩 형상을 갖도록 하여 상기 돌출부(32)가 상기 로울러(43)의 홈(430)에 의해 안내되도록하며, 로울러(43)가 쉽게 가이드 레일(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 레일(3)의 안내를 받으며 이송되는 로울러부(4)는 케이블체인(50)에 의해 동력을 전달 받으며 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 케이블체인(50)의 일단부는 가이드 레일(3) 내부 상단측에 고정되고 케이블체인(50) 타단부는 이송되는 로울러부(4)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하여, 전기력에 의해 로울러ㅂ부(4)가 동력을 케이블체인(50)으로부터 전달 받아 구동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이동벽체(2) 상단부 중, 후단측에 고정되는 로울러부(4)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부에 베어링(41a)이 형성되는 고정축(41)을, 몸체(42)를 관통하는 관통공(420)을 통해 삽입 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몸체(42) 양측으로 각각 2개의 로울러(43)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3)의 선단 상면내측으로 제1고정구(51)에 의해 케이블체인(50) 일단이 고정되고 케이블체인(50) 타단은 상기 몸체(42) 후단 하방측의 제2고정구(52)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로울러부(4)의 2개의 로울러(43) 외주면 중앙으로 홈(430)을 형성하 여, 이와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 레일(3) 돌출부(32)의 외형 또한 둥근 라운딩 형상을 갖도록 하여 상기 돌출부(32)가 상기 로울러(43)의 홈(430)에 의해 안내되도록하며, 로울러(43)가 쉽게 가이드 레일(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회동벽체(1)와 이동벽체(2)가 숨은 힌지(H)에 의해 절첩된 상태로 일측벽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3)이 천정에 구비된 공간부를 구획하기 위해서 상기 가이드 레일(3)을 따라 이동벽체(2)의 상단에 구비된 로울러부(4)가 상기 가이드 레일(3)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 이는 결국 상기 이동벽체(2)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사익 회동벽체(1)와 결합된 숨은 힌지(H)에 의해 회동벽체(1)와 절첩된 이동벽체(2)가 회동벽체(1)가 회동함과 동시에 확개되면서 상기 로울러부(4)가 가이드 레일(3)을 따라 슬라이딩됨에 따라 가능한 작동인 것이다.
이에 대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상기와 같이 일정공간부를 구획함으로서 사용자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공간을 임의적으로 구획함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구획의 필요성이 없을 경우에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벽체(1)를 회동함과 동시에 숨은 힌지(H)를 이용하여 이동벽체(2)를 회동벽체(1)와 함께 절첩하여 일측벽면에 구비토록 함으로서 공간의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공간부를 자유롭게 구획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실내 천정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면서도 절첩이 가능한 절첩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인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가 확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에 있어서 이동벽체와 회동벽체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에 있어서 이동벽체가 회동벽체로 부터 힌지에 의해 확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인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에 있어서 가이드레일과 로울러부가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에 있어서 가이드레일과 로울러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인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에 있어서 가이드레일과 로울러부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7a는 본 고안인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에 있어서 피봇상태의 피봇축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 단면도,
도 7b는 본 고안인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에 있어서 피봇상태의 피봇축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인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을 따라 로울러부가 이동됨과 동시에 이동벽체가 확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동벽체 2 : 이동벽체
3 : 가이드 레일 4 : 로울러부
10 : 삽입홈 20 : 삽입홈
30 : 개방구 31 : 절곡부
32 : 돌출부 33 : 안내턱
34 : 고정요홈 35 : 걸림턱
36 : 고정부재 37 : 고정프레임
41 : 고정축 41a : 베어링
42 : 몸체 43 : 로울러
50 : 케이블 체인 51 : 제1고정구
52 : 제2고정구 370 : 통공
421 : 관통공 H : 숨은 힌지
P : 피봇상태

Claims (5)

  1. 실내 천정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레일(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3)의 일측단에는 일측 상하단이 피봇된 상태(P)의 피봇축(S)이 각각 구비되고 타측면 중간부에는 숨은 힌지(H)가 구비된 회동벽체(1)와,
    일측은 숨은 힌지(H)에 의해 상기 회동벽체(1)와 결합되어 있고 타측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3)을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3)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블 체인(5)에 의해 직선상 가이드되는 로울러부(4)가 상기 가이드 레일(3)을 따라 전후로 가이딩되어 이동 및 상기 숨은 힌지(H)에 의해 상기 회동벽체(1)와 절첩 및 확개 가능하도록 된 이동벽체(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숨은 힌지(H)는 회동벽체(1)와 이동벽체(2)가 일직선상으로 확개시 외부로 부터 보이지 아니하도록 상기 숨은 힌지(H)가 결합된 부위의 회동벽체(1) 및 이동벽체(2)에는 각각 삽입홈(10,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3)은 직하방으로 개방구(30)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구(30) 양 내측으로 각각 절곡되는 절곡부(31) 내측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2)가 길이방향 길게 일체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2)로부터 상방향 이격되며 상측으로 가이드 레일(3)의 각 내측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안내턱(33)을 형성하고, 가이드 레일(3) 상부 외측으로 외부면이 길게 개방되는 길이방향 고정요홈(34)을 길게 형성하되 상기 고정요홈(34) 외부면 상하로 각각 걸림턱(35)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요홈(34)을 따라 삽입되는 고정부재(36)와, 상기 고정부재(36)와 체결되기 위한 통공(370)이 측면으로 구비되어 가이드 레일(3) 상부를 각각 감싸며 천정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37)으로 구성되어 로울러부(4)를 안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부(4)는 상기 이동벽체(2) 상단측과 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단부에 베어링(41a)이 형성되는 고정축(41)을, 몸체(42)를 관통하는 관통공(421)을 통해 삽입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42) 양측에는 외주면 중앙에 홈(430)이 형성되어 있는 각각 2개의 로울러(4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3)의 선단 상면 내측으로 제1고정구(51)에 의해 케이블체인(50) 일단이 고정되고 케이블체인(50) 타단은 상기 몸체(42) 후단 하방측의 제2고정구(52)에 의 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상태(P)의 피봇축(S)에 있어서 상단에 구비된 피봇축(S)의 중앙에 통공(K)을 천공하고 상기 통공(K)과 일치되는 상기 회동벽체(1)의 부위에 소통홈(11)을 천공하여 그 내측으로 상기 케이블 체인(5)의 구동을 가능토록 한 전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
KR2020070020196U 2007-12-17 2007-12-17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 KR2004478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196U KR200447837Y1 (ko) 2007-12-17 2007-12-17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196U KR200447837Y1 (ko) 2007-12-17 2007-12-17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095U KR20090006095U (ko) 2009-06-22
KR200447837Y1 true KR200447837Y1 (ko) 2010-02-24

Family

ID=41290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196U KR200447837Y1 (ko) 2007-12-17 2007-12-17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83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769Y1 (ko) * 2010-05-19 2013-01-16 윤장노 조립식화장실 구축용 다기능 칸막이설치프레임
KR200465403Y1 (ko) * 2012-12-27 2013-02-22 그린담 주식회사 가설 칸막이
AT519902B1 (de) * 2017-05-11 2022-07-15 Blum Gmbh Julius Führungssystem zur Führung eines Türflügels
CN109110054A (zh) * 2018-08-02 2019-01-01 广州船舶及海洋工程设计研究院(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六0五研究院) 一种分隔结构
FR3106602B1 (fr) * 2020-01-23 2023-06-30 Vinci Construction Système de cloisonnement mobi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303B1 (ko) * 1987-12-30 1991-06-25 공길상 주택의 절첩가동벽체
JPH0616027Y2 (ja) * 1989-11-27 1994-04-27 京浜クロセット株式会社 ドア付き折畳式間仕切装置
JPH10212870A (ja) 1996-11-27 1998-08-11 Sekisui Chem Co Ltd 折り畳み扉
KR20010107426A (ko) * 2000-05-29 2001-12-07 김재준 숨은정첩을 이용한 벽 겸용 접이식 도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303B1 (ko) * 1987-12-30 1991-06-25 공길상 주택의 절첩가동벽체
JPH0616027Y2 (ja) * 1989-11-27 1994-04-27 京浜クロセット株式会社 ドア付き折畳式間仕切装置
JPH10212870A (ja) 1996-11-27 1998-08-11 Sekisui Chem Co Ltd 折り畳み扉
KR20010107426A (ko) * 2000-05-29 2001-12-07 김재준 숨은정첩을 이용한 벽 겸용 접이식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095U (ko) 2009-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7837Y1 (ko) 절첩이 가능한 슬라이딩 벽체
US7493731B2 (en) Insert type removable built model
KR100950464B1 (ko) 가변형 구조를 갖는 실내 벽체
KR20060133817A (ko) 슬라이딩식 샤워도어
KR100991225B1 (ko) 건축물의 가변벽체 구조
KR102091462B1 (ko) 접이식 행거도어
KR102177082B1 (ko) 자동 슬라이드형 가변 벽체
JP2011179221A (ja) クローゼット
KR102110347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절첩식 방충망 도어
JP6829335B2 (ja) 建具
JP7002325B2 (ja) 引戸
CN109488153B (zh) 一种隐形电动门窗装置
JP2015017394A (ja) 建物の間仕切り構造
JP4668841B2 (ja) 集合住宅の住戸構造
KR100591072B1 (ko) 건축물의 이동식 발코니 창
KR101904449B1 (ko) 미닫이형 이중창문
CN206880450U (zh) 安装有抽拉门且具平移、旋转功能的柜子
KR102032743B1 (ko) 폴딩도어용 프로파일
KR200228474Y1 (ko) 안전성을 향상시킨 이중창
KR102160460B1 (ko) 간접조명이 가능한 블라인드 장치
CN212079068U (zh) 折叠门
JP3601452B2 (ja) ユニットルーム出入口枠構造
KR200424991Y1 (ko) 용이한 개폐 및 교체 가능한 주택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박스형 앵커
JP3210839U (ja) 住空間区画用パネル組立構造
KR20110010954U (ko) 조립식화장실 구축용 다기능 칸막이 설치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